제목

시기

내용

향약제생집성방

정종

일부 전하는 의학, 본초학 효시

향약채취월령

세종

수백종 약재 소개한 약용식물학 최초 정리의서

향약집성방

-국산 의약제 개발 & 조선의학 학문적 체계수립, 1천여 병종 치료예방법 제시

태산요록

산부인과 의서

신주무원록

원나라 무원록을 음과 훈을 붙여 쉽게 설명, 법의학서

의방유취

왕명에 의해 집대성, 동양최대 의학백과사전(세계최초)

동의보감(허준)

광해군

 

-조선 최대의서(25), 의학 집대성, 중국 일본까지 영향

-수련도교 영향받아 예방의학에 중점, 값싼 시골약재 사용한 치료방법 개발

신찬벽온방(허준)

-전염병 치로 의학서

침구경험방(허임)

인조

침구술 집대성

마과회통(정약용)

정조

-종두법 소개, 천연두 치료&예방법 강조, 홍역 증세 관찰, 치료법 상세기술

-박제가와 더불어 종두법 처음으로 연구, 실험

제중신편(강명길)

의학 처방서

방약합편

고종

한의학 대중화

동의수세보원(이제마)

-사상의설

-인체를 기질과 성격에 따라 태양/소양/태음/소음으로 나눔

-증증보다 체질에 중점을 두고 시술


15세기 역사서 : 성리학적 명분론에 입각, 유교사관 + 민족적 자주 자존의식(단군을 민족 시조로)

제목

편찬자

시기

내용

형식

비고

고려()

정도전

태조

왕명에 의해 고려전체 역사 완성

첫 사서

편년체

고려멸망 당위성, 조선건국 합리화

동국사략

권근/

하륜

태종

단군~삼국시대

강목체

편년체

-단군-기자-위만-한사군-삼한-삼국 순 상고사 체계화

-불교문화 강 비판

조선왕조실록

춘추관

사후

태조~철종 25대 역사적 사실

편년체

 

고려사

김종서/정인지

문종

왕실 위신 강화 위해 주로 고려사 보급

기전체

139

-고려()사에서 국왕보다 재상 역할 강조가 문제되어 수정

-조선건국 합리화 위해 고려말 왜곡(군주 중심 역사서술)

고려사절요

35

기전체

고려사에 빠진 부분 보충, 추가(신하적 입장 서술)

삼국사절요

서거정/노사신

세조~성종

삼국시대 역사

편년체

자주적 입장에서 세조는 왕권강화 & 고조선-고구려-고려로 이어지는 역사체계 세우려함

(신편)동국통감

서거정 등

성종

-삼국사절요 +고려사절요

-최초의 통사, 자주적

(신라 혁거세~공양왕)

 

편년체

-한계 : 세조 도덕적 이상주의가 지나치게 사론을 통해 반영

-고려시대 고구려계승과 신라계승 갈등 해결 삼국균적(삼국이 대등) 주장

-단국조선을 국사의 시작으로 확립

-훈구파사림파가 함께 통사체계 구성 -> 관찬사서의 완성

-성리학적 명분론에 입각한 자주적

16~17세기 사서 : 15세기 역사관 비판 + 왕도정치(도덕정치) 강조 + 사림의 존화주의적 경향, 주로 사찬

동국사략

박상

1474~

1530

-원나라 십구사략 + 동국통감 요약서술

-신라통일 의의 부각, 고조선과 고구려 중심지를 한반도에서 찾음

-정몽주, 이색, 이숭인 등 성리학자 재평가->역성혁명파 중심 역사관 탈피

-성리학적 이득 강한 사림 통사

-15세기 동국통감 비판&요약, 엄정한 도덕적 기준으로 우리나라 역사 재정리, 강목체 철저 적용

-유교적 기준에서 인물 행적관한 기사 중점 수록

-중국에서 조선사략으로 출간

신증동국여지승람

이행

중종

동국사략과 비슷한 역사인식

 

-고구려 발상지 졸본을 평안도 성천으로 비정 -> 한반도 중심사관

-조선 초기 만주중심 부국강병책에 반발

표제음주동국사략

유희령

-박상 동국사략 비판

-단군 조선을 상세히 다루고 삼한위치에 관한 권근설 대신 최치원설 채택

-고구려를 삼국 서두에 서술, 동국통감과 다른 북방중심 역사 서술체계

동몽선습

박세무(1487-1564)

서당소년 역사교과서

기자에서 시작되는 우리역사 도덕사관 강조(: 삼강오륜, : 중국사+한국사요약)

기자지

윤두수

선조

 

 

기자조선 연구 심화

기자실기

이이

선조

-기자가 주의 무왕에서 홍범을 전하고 우리나라 정전제, 팔조교를 시행한 것은 왕도정치의 시작이라고 강조

-16세기 말 왕도정치 근원을 찾으려는 시도, 성리학 토착화에 기여

동사찬요

오운(1549~1617)

-왜란이후 역사의식을 기전체로 서술

-절의를 지킨 의병과 애국장군 찬양하는 열전 중심

여사제강

유계

(서인)

현종

-고려가 자치자강에 힘쓰며 북방족에게 항전한 것, 재상이 정치 주도권 잡은 사실 강조

-송시열 등 내수외양 북벌론자들의 칭송을 받음, 후에 노론 사이에서 가장 추앙받는 사서

휘찬여사/

동국통감제강

홍여하

인조

현종

-우리나라가 기자때부터 예의와 평화를 지키는 유교 국가였음을 주장, 그 연역이 마한을 거쳐 신라로 계승

-왕권 강화 & 붕당정치 폐지 강조, 영남남인들에게 추앙받는 사서

-동국통감제강은 현종때 편찬, 정조때 간행, 동국통감 요점만 뽑아 편년체로 엮은 것, 기자 이후 삼국시대까지 취급

동사

허목

현종

-조선후기 사서 중 단군, 기자, 신라를 중국의 삼대에 비유하여 이상시대로 그림

-이종휘의 동사 아님

18세기 이후 : 민족의식 고취 + 전통문화 자부심 + 민족 정통성

동국역대총목

홍만종

숙종

-단군을 정통국가 시작으로 기자-마한-통일신라로 계승되었다고 하며, 삼국은 정통 없는 시대로 여김

-단군정통론은 이익, 안정복에게 계승

-고려와 조선에 대하여 왕실 중심 역사 서술

동사회강

임상덕

숙종

-여사제강(유계)을 따르고 고대 강역과 단군, 기자에 관한 고증을 추가, 후에 동사강목에 많은 영향 줌

동사강목

안정복

 

-지금까지지 명분론에 입각한 역사의식, 실증적 역사연구를 집대성한 편년체 사서

-삼한정통론 & 민족독자성에 입각, 조선 후기 대표적 통사

-이익 정통사관을 적용하여 단군조선~고려말까지 한국사의 독자적 체계 세움

-정확한 고증을 거쳐 엮은 통사, 명분론에 입각한 자주의식 강조

* 성리학 탈피x, 조선시대 모든 사서는 명분론 탈피 x

해동역사

한치윤

 

-중국 등 외국 사서를 500여종 인용한 기전체적 분류사(열전은 없고 세기, 지 고로 구성)로 서술한 통사

-삼국사기, 고려사 누락, 소홀한 점 보충

-서두 단군조선 앞에 동이문화권 설정, 가장 자주적, 독립적

-우리문화의 선진성, 중국 일본과의 문화교류가 상세히 정리

연려실기술

이긍익

기사본말체

-조선시대 역사를 서술한 야사

-실증적, 객관적 정리, 백과사전식 정리

동사

이종휘

-‘에서 고구려에 큰 비중 & 만주중심 역사관

-고대사 연구 시야를 만주 지방까지 확대

-> 반도중심 역사관 탈피

발해고

유득공

-발해, 신라를 남북국 형세로 파악 & 한국사 무대를 만주~한반도에 걸치는 것으로 인식

근대사학(계몽사학) : 민족성, 계몽성, 애국심, 독립심, 자주성, 독자성, 정통성 강조

계몽사학

유교적 사대주의 비판, 실학 정통사론 계승한 민족주의 부각

조선역대사략, 대동역사, 역사집략, 을지문덕전, 이순신전 등

민족주의 사학

독사신론(신채호), 한국통사(박은식), 조선사연구(정인보) 등 민족주의 사학자들은 한국사를 체계화, 민족주의 연구방향 제시

기타

조선광문회

최남선, 박은식이 설립, 민족 고전 정리, 간행


1 장 원시공동체의 사회

 

[ 1절 구석기 시대 ]

 

1. 구석기 시대 - 동굴, 바위그늘, 평지(집터)

함북 

󰠆 웅기 굴포리 두만강

󰠌 종성 동관진 맘모스, 코뿔소 화석, 석기, 골각기

평남 

󰠆 덕천 승리산동굴 아래턱뼈

󰠐 평양 만달리동굴 머리뼈, 아래턱뼈

󰠌 평양 상원 검은모루동굴

황해도 평산 해상동굴

경기도 연천 전곡리 주먹도끼(아프리카 아술리안형 도끼와 유사)

충남 - 공주 석장리 집터(화덕자리,후기구석기)

충북 

󰠆 단양 상시리 바위그늘, 인골(상시인)

󰠐 청원 두루봉동굴 어린이뼈(홍수아이인)

󰠌 제천 점말동굴

강원도 명주 심곡리

제주도 빌레못동굴

 

2. 구석기인의 생활과 문화 - 수렵, 채취생활

사냥도구 - 주먹도끼, 찍개, 찌르개

요리도구 - 긁개, 밀개

공작도구 - 새기개

 

 

[ 2절 신석기인의 등장 ]

 

1. 신석기인의 등장 (B.C. 4000 B.C. 10세기)

전기 (BC 6000) : 원시 민무늬토기(原始無文土器), 덧무늬토기(隆起文土器)

- 함북 굴포리, 평북 만포, 강원도 오산리, 부산 동삼동, 경남 상노대도

(만주 흑룡강 중류, 대마도)

중기 (BC 4000) : 빗살무늬토기(櫛文土器)

- 함북 굴포리, 평남 대동 청호리, 서울 강동 암사동, 경기도 양주 미소리, 부산 영도 동삼동

(요동반도, 송화강 유역, 몽고, 발해주)

후기 (BC 2000) : 平底즐문토기, 물결무늬토기(波狀文土器), 번개무늬토기(雷文土器)

중국 칠무늬(彩文土器) 영향받음

- 함북 청진 농포동, 평남 온천 궁산리, 황해도 봉산 지탑리, 경기도 부천 시도,

강원도 춘천 교동

 

2. 신석기인의 생활 - 강가, 바닷가, 내륙지방(후기)

어로 - 돌로 만든 그물추(石錘), 작살, 낚시, 조개잡이

사냥 - 돌로만든 화살촉, - 사슴, 노루, 멧돼지

과일채집

농경시작 - 괭이, 반달돌칼(추수용)

, 기장, 조 같은 밭곡식 재배

주거지 - 움집, 원형정방,장방형 변화

가운데 화덕자리, 저장구덩

뼈바늘, 가락바퀴(직물), 꾸미개

 

 

[3절 신석기시대의 사회와 문화 ]

 

1. 씨족 공동체의 사회 - 취락을 이루고 집단생활, 자급 자족하는 경제 독립체

기본 사회 단위 - “씨족촌락을 이루고 삶 (혈연중심)

) 혁거세의 전설 - 6

토테미즘 - 자연물과의 친근관계 ; 다른 씨족과 구별지음

) , 호랑이...

씨족회의 신라의 和白

공동 생산활동 두레

 

2. 무속신앙

애니미즘 - 우주의 만물이 영혼을 지니고 있다 ; 영혼 불멸 사상

) 태양, , , 나무

샤머니즘 - 주술 (질병·불행 퇴치)

 

3. 원시예술

토기 - 빗살무늬토기, 번개무늬(雷文)토기

조각품

- 암사동 : 동물모양 토우

- 오산리 : 흙으로 빚은 안면상

- 동삼동 : 눈과 입을 뚫은 패면(貝面), 장식용 구슬

 

 

 

2 장 성읍국가와 연맹왕국

 

[ 1절 청동기의 사용과 성읍국가의 성립 ]

 

1. 청동기의 사용 (B.C. 10세기 B.C. 4세기)

비파형동검, 다뉴조문경, 무문토기, 고인돌(支石墓) 송화강, 요하유역, 한반도

 

2. 청동기인의 생활 - 구릉지대 생활 (농경생활)

청동제 도끼, , 공구

청동제 농구는 발견되지 않음

벼농사 시작 : 반달돌칼(半月形石刀) - 추수할 때 이삭 자르개

홈돌자귀(有溝石斧) - 땅을 가는 기구

, 수수, 보리 등도 경작 (벼는 중국에서 전래 추측)

움집 : 화덕자리는 모서리에 위치, 두 개 있는 경우도 있음

고인돌(支石墓)과 돌널무덤(石棺墓)

- 마제석검, 청동기 발견

 

3. 성읍국가의 성립

권력 집중 ; 청동기 소유, 고인돌

 

 

[ 2절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

 

1. 고조선사회의 성장

고조선(요하와 대동강 유역), 부여(송화강 유역), 예맥(압록강 중류 지역)

임둔(동해안 함흥평야), 진번(황해도), 진국(한강이남)

 

2. 철기의 사용 (B.C. 4세기)

대동강 유역 일본 야요이 문화

농구의 발달, 철제무기

세형동검, 청동과() - 독자적인 양식

다뉴세문경

온돌 문화 시작(움집), 목조가옥

널무덤(土壙墓), 독무덤(甕棺墓)

중국 문화의 영향 - 명도전, 오수전, 왕망전(김해패총)

 

3. 위만조선

()과 대립

武帝의 침략 (B.C. 109) 1년후 멸망 (B.C. 108)

 

4. 한의 군현

4군현 설치 (낙랑,진번,임둔) + 현도(의 땅)

- 20년후 진번, 임둔 폐지 (B.C. 82) 토착 세력의 반발

현도군의 만주로 이동 (B.C. 75) 고구려 신흥세력

- 후한 공손씨 대방군 설치 (옛 진번군 땅)

- 고구려에 의해 낙랑군 소멸 (A.D. 313)

백제에 의해 대방군 소멸

목곽분(木槨墳), 전축분(塼築墳)

고조선 시대의 8조목 60여 조목

 

 

[ 3절 여러 연맹왕국의 형성 ]

 

1. 부여

중국과 우호, 고구려와 적대

A.D. 494년 멸망

 

2. 고구려의 등장

A.D. 1세기초 칭호

태조왕(53146?)

- 옥저 복속, 요동 공격

 

3. 진한과 삼한

고인돌, 간돌검(마제석검) 부장

한과 직접 무역원했지만 위만조선의 방해로 좌절

철제농기구, 청동검,

 

 

[ 4절 연맹왕국의 사회와 정치 ]

 

1. 촌락과 농민

농업

- 밭농사 : 잡곡재배

논농사 : 벼재배 저수지

- 신농제 : 5월 씨뿌린후

추수감사제 : 10월 추수후

목축성행 (관직이름에 동물이름)

- 부여 : ··돼지·

삼한 : ··

어로 - 반구대 암각화 (고래 등 물고기 그림)

 

2. 성읍국가의 구조

양인 신분이 대다수

지배자(豪民) : 부족장

- 부여 : ()

고구려 : (), 상가(相加)

옥저·동예 : 삼노(三老), 거수(渠帥), 읍군(邑君)

삼한 : 신지(臣智), 읍차(邑借), 험측(險側), 불례(不例)

노예

 

3. 왕권의 성장

성읍국가 연맹왕국 중앙 집권적 지방통치 체제

- 부여의 四出道, 고구려의 5(고국천왕)

형제상속 부자상속

大加 : 정치적인 권력 소유자

- 使者 거느림 연맹체적인 遺制

고구려 : 使者,조의(皂衣),先人

- 순장 많은 노예 거느림

 

 

[ 5절 연맹왕국시대의 문화 ]

 

1. 법률 - 단순, 엄격

고조선 8조목

- 사람을 죽인자는 즉시 사형에 처한다.

- 남에게 상해를 입힌자는 곡물로서 배상한다.

- 남의 물건을 훔친자는 데려다 노비로 삼는다.

, 스스로 속죄하려는 자는 1인당 50만전을 내야한다.

부여의 4조목

- 사람을 죽인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은 데려다 노비로 삼는다.

- 절도를 한 자는 12배의 배상을 갚는다.

- 간음한 자는 사형에 처한다.

- 부인의 질투를 특히 미워하여 이를 사형에 처한다.

시체를 가져 갈려면 소와 말을 바쳐야 한다.

살인과 상해에 대한 처벌 - 개인의 생명과 노동력 존중

절도에 대한 처벌 - 사유재산 존중

간음과 질투에 대한 처벌 - 가부장적인 가족제도

 

2 종교

제정일치 종교 분리(주술사제사장)

삼한 : 천군(제사장) - 소도(蘇塗)주관

추수 감사제

- 부여 : 영고 (12)

고구려 : 동맹 󰠏󰠈

삼한 : 시월제 󰠉󰠏 (10)

동예 : 무천 󰠏󰠎

신농제 (5)

영혼 불사 장례를 후하게 지냄 (부장,순장,후장)

- 조상 숭배사상

점복(占卜)의 습관

 

3. 예술

청동 장식구 - 사실적인 조각, 기하학적 무늬

암각화

- 고령 양전동 : 동심원, 십자형, 가면

- 울주 천전리 : , 삼각형, 능형(菱形) 무늬에 동물그림

반구대 : 고래·거북·사슴···멧돼지·토끼, 사냥장면, 고래잡이

 

'한국사 > 선사~초기국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조선, 삼국 초기  (0) 2019.04.09
한국사의 바른 이해, 선사시대  (0) 2019.04.09

 

1860년대

1870년대

1880년대

1890년대

1900년대

정 부

1863(대원군 집권)

- 내용(p492~493)

494p 책 내용 및 이름

제병지오신

1873(민비정권대두)

1876년 강화도 조약

- 내용 및 결과

1882년 조미수호조약(825)

임오군란 이후(p500,501)

- 제물포조약

- 상민무률 수욕장정

1885년 거문도사건

1894년 갑오개혁

1895년 을미개혁

갑오개혁 / 을미개혁 내용 바꿔서 냄

- 을미개혁 : 군단종건태우소

(1차 갑오개혁()청일전쟁승리

2차 갑오개혁() 삼국간섭

3(러시아 집권) 삼국간섭 흔들림, 을미사변 4(일본집권) 춘생문사건아관파천

1896년 아관파천

1896년 독립협회

1997년 광무개혁

영용러의협가영포을

1902일동맹

1903암포사건

1904일전쟁(2)

1904년 한일정서(2)

19048월 한일정서

(1차협정)

1905쓰라태프트(7)

1905년 제2일동맹(8)

1905츠머스(9)

1905사조약(11)

(2차협정)

1907년 헤이그밀사(6)

1907년 고종퇴위(7)

1907년 정미 7조약

(한일신협약)

1909년 기유각서(사법권 박탈)

1910년 경찰권 박탈

1910경술국치(주권박탈)

 

박탈순서 : 재정 외교 군사 사법 경찰 주권

R

일본의 통감부 침탈내용

: 1905~ 화재토농괌삼(p547)

- 1876년 김기수 1차 수신사 파견

- 1880년 김홍집 2차 수신사 파견

(황준헌, 조선책략 이언 들어옴)

- 1880년 통리기무아문 설치

- p503 제도개편 봐야함

- 1881년 신사유람단, 청에 영선사, 1883년 미국에 보빙사 파견

민 중

 

 

 

1894년 동학농민운동

(노토공지과잡7, p522)

 

- 1894년 이후 남학당, 동학당, 영학당, 활빈당 간단한 내용

의병전쟁

- 1894년 갑오, 을미의병

- 1905년 을사의병

- 1907년 정미의병

- 1909년 일본 남한대 토벌 작전이후 독립군으로 감

위정척사

통상반대운동과 척화주전론

(이항로, 기정진, 김평묵)

개항불가론, 왜양일체론

(최익현의 지부복궐소)

신사척사운동

(이만손 영남만인소,,홍재학의 만인척화소, 이재선 역모사건)

1882년 임오군란

- 결과가 중요함,(p508~510)

을미사변과 단발령 계기로 의병운동으로 발전

개 화

 

 

갑신정변(변법자강흐름)

(대문환경찰제지혜탐)

- 결과 : 한성, 텐진조약

 

- 1904협보공

- (타협)(타협)

(비타협)(타협)

- 1907년 국채보상운동

갑신정변, 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 광무개혁 (4개의 경우 조약내용을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1894년 동학의 교조신원운동 (교조신원운동 : 공주삼례서울보은)

백산 황토현 장성 전주화약 청나라, 일본 들어옴 일본이 우리나라에 개혁요구 우리나라는 교정청 설치 일본 경복궁 점령 청일 전쟁 군국기무처

청일전쟁이후 공주 우금치에서 동학이 패배 , 군국기무처와 청일 전쟁은 순서 바뀔수 있다.)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

1940년대

대한민국임시정부

19년 임정수립(대통령제)

- 출발시 좌우합작

- 한성정부(국내)+대한국민의회(연해주)

-

25(국무령중심,내각책임제)

23 국민대표회의소집(임정 분열 배경)

26년 애국단(김구)

 

27(국무위원중심,집단지도제)

- 신간회와 연도 같음

31년 삼균주의 선포(좌우절충)

- 삼균주의

(정치 보통선거, 경제국유제, 교육 균등교육)

40(주석제), 44(주석,부주석)

-광복군조직(40), 가장큰 활발(40)

40년 광복군 창설

42년 조선의용가 광복군에 편입

( cf) 조선의용이 광복군에 편입됐다 X)

44년 내각면에서 좌우합작

- 군자금 모금, 연통제(비밀행정연락망), 독립공채 발행, 외교활동(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 보냄, 워싱만 군축회의에 이승만, 서재필)

- 독립신문 발행, 한일관계사료집 발간, 군사계획 수립과 활동(주만참의부 설치, 서로군정서군, 북로군정서군을 군무부 산하 조직으로 편제)

- 1920년 소련정부와 비밀협정(공수동맹 맺음) 이동휘 19211월 임정 탈퇴(임정갈등배경) 1923년 국민대표회의에서 분열

3.1 운동

- 만주(191812월 무오독립선언서) 일본(1919.2.8독립선언 우리나라(1919.3.1. 기미독립선언서)

- 3월 말에서 4월초 사이에 전국적으로 확산(학생이 주도, 농민이 가장 많음)

- 서울 주변의 농촌지역으로 운동이 확산되는데 결정적 역할(노동자)

- 4월초에 절정 / 대체로 비폭력이나 처음부터 폭력적인 경우도 있었다. / 경기도가 시위와 충돌이 가장 많음

- 민족대표 33인은 대중운동으로의 확산단계에서 지도력 행사를 포기하였다.

각종단체

10년대는 프린트물 참고

1920년 국내의 사회주의와 비타협주의의 통일전선운동

- 통일전선운동 = 좌우합작 = 신간회운동

- 조선청년총동, 조선흥회, 간회,

조선정연구회, 우회, 근우회(총동 민 신 사 정선)

신간회의 경우 신민회와 비교해서 내용까지 알아야함

 

1920년대 만주

---

|---혁신의회(우익) 한국총연합회 한국독립당과 군

---

|---국민부 (좌익)조선혁명당과 조선혁명군

---

 

 

1920년대 중국

 

51--- 유호한국독립운동자연맹(좌익)

|

--- 한국독립당(우익)

 

 

타협주의

- 김동진 동아일보, 최남선

- 최린 천도교 신파 , 조선농민사, 개벽

- 조선청년연합,

- 안창호 - 흥사단, 수양동우회

- 이승만 - 동지회, 흥업구락부

무장단체의 활동

 

-19321월 이봉창 일본 국왕 암살 미수

-19324월 윤봉길 : 상하이 홍커우 공원 투탄

 

1930년대 만주

-- 지정천의 한국독립당과 한국독립군

| (호로군과 쌍성보 전투에서)

-- 양세봉의 조선혁명당과 조선혁명군

| (중국의용군과)

-- 동북항일연군

 

1930년대이후 좌우합작

 

- 민족유일당 운동

- 조국광복회

- 한국대일전선 통일연맹

- 민족혁명당

- 전국연합진선협회

- 조선건국동맹

- 조선독립동맹(주의 9: 사회주의, 7: 좌우합작)

 

이 부분은 1920년대임(10년대 아님)

무장단체의 활동

- 국내에 1919년에 보합단, 천마산대

- 국내에 1920년에 구월산대

- 1919년 만주에서 김원봉 의열단

(국내와 상해 중심, 무정부주의,

1923년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에 잘 나타남)

- 1926년 김구의 애국단

 

봉오동전투(1920) 청산리전투(1920)

간도참변(1920) 참의부/정의부/신민부 설립(1923~25) 미쓰야협정(1925)

사회주의운동

- 1920년대 사회주의 운동의 일환으로 수용

- 1930년대초 혁명적 농민/ 노동운동 전개

- 1차 조선공산당(1925창립, 신의주사건으로 해체)

- 2차 조선공산당(25~266.10만세운동 준비중 해체)

- 3차 조선공산당(26~28, 신간회에 참여)

- 1930년대 공산당재건운동 추진, 그러나 실패함

노동운동 및 농민운동

-1920년대 초 : 생존권 투쟁

-1920년대 말 : 다양해졌다(1929년 원산총파업)

-1930년대 초 : 비합법적인 혁명적·적색노조운동 전개

- 1937년 중일전쟁 이후 : 잠복기(소멸됐다.X)

기 타

운 동

- 1920년대 민립대학설립운동

- 1923년 물산장려운동

- 1929년 조선일보 문자보급운동

- 19266.10만세운동(신간회X)

· 조선공산당에서 시위를 주도하였다.(X) 준비하였다 (O)

· 고려공산청년회가 주도하였다. (O)

· ·우익 다 있음

- 1929년 광주학생항일운동

· 신간회가 조사단을 파견하여 후원하였다. (O)

· 신간회가 직접참여했다.(X)

· 신간회가 민중대회를 개최하였다. (X), 시도하였다. (O)

- 1931년 동아일보 브나로드 운동

형평사 운동

- 1923년 조선형평사 창립

- 1936년 친일적인 대동사로 바뀜

cf) 1930년대 후반까지 형평사 운동이 지속되었다. (x)

해방전·후 공간

카이로회담 테헤란회담 얄타회담 포츠담회담 → → 미국 일반명령 1해방 미소군정

(최초로독립약속,미영중) (38선 배경, 신탁통치 동의) (카이로재확인(한국의독립약속), 간접적인 3.8선의 배경) (직접적인 3.8선 배경)

 

모스크바 3상회의 미군정은 비상국민회의를 1차 미소공동위원회 이승만 46년 정읍발언, 미군정은 좌우합작위원회와 2차 미소공동위원회 UN으로 이관

군정자문기간으로 삼아 1차대비 김규식·여운형의 좌우합작운동 한민당계를 주축으로

조선정판사사건 남조선과도입법의원으로 구성하여 2차대비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북한정권

568월 종파사건(갑산파만 남게됨)

58년 사회주의 경영완료

54~58 농업협동화 운동

57년 천리마운동

 

60년 농업에 청산리방법

61년 공업에 대안사업

624대군사노선채택

67년 갑산파 숙청

69김일성 유일사상이 노동당 유일사상으로 됨

72년 사회주의헌법

85년 주체사상이 유일사상

98년 주석제폐지, 주석 국방위원회 위원장

통일문제

19708.15선언 1971년 남북적십회담 19727.4남북공동성명 19736.23선언(남한이함) 19741월 상호가침협정체결을 제안

(북한을 협상대상으로서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 (북한과 공산당의 실체로 승인)

지위를 인정) (비적성국가에 대한 문호개방)

(국가로 승인 X)(북한 : 1민족 1국가 2체제의 연방제 주장)

 

1989년 한민족 공동체통일방안 1991UN동시가입, 남북간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기본 합의서 채택 1994년 김영삼정권 20006.15 공동선언

(자주,평화,민주) (남북한이 서로 국가적 실체를 인정하고, 국가로는 승인하지 않기로함.) (화해협력남북연합통일국가) (통일을 위한 연합제와

(남한 : 국가연합(1민족 2국가 2체제) 1국가 1체제) 연방제의 공통성 인정 )

 

1공화국(1948~60, 이승만정부)

2공화국(1960~61, 장면내각)

박정희 군사정권(1961~62)

3공화국(1963~72, 박정희집권)

대통령

업 적

발췌개헌사사오입진보당조봉암

2.4파동 3.15부정선거4.19혁명

 

· 48년 반민족특별조사기관법 국회 통과

· 503월 농지개혁

(내용까지 알아야, 프린트 734페이지)

· 삼백산업(밀가루,설탕,면화)

6.25

이승만정부수립전(2,7총파업,제주도4,3사건)

전쟁전(여수,순천14연대, 대구6연대 사건)

(국민보도연맹조직,김구암살)

전쟁중(국민보도연맹사건,

51년 거창양민학살,국민방위군횡령)

민주당 정권으로

노동운동, 농민운동,

학생운동 등이 시작됨

4대 의혹사건

삼분폭리사건

(밀가루,설탕,시멘트)

 

652

65622일 한일협정

658월 베트남 파병, 한일국교정상화

66년 한미행정협정

 

(1979년이후)

19876월 민주항쟁


<발해의 위대한 왕들>

 

고왕(대조영) ~ 고천진동( 고왕, 천통, , 동모산)

무왕 ~ 무인장발확장( 인안, 장문휴, 발해관세움, 영토확장)

문왕 ~ 문대상담주자( 대흥, 상경 용천부로 수도 이동, 당으로부터 독립국가 인정, 주자감), 문왕이후 친당외교를 수립.

선왕 ~ 선건신지해( 건흥, 신라와 몇 차례 교섭-쟁장사건, 등재서열사건, 지방제도 정비, 해동성국)

발해 문화는 고려에 이어 지지 못하였다.

 




<지방세력의 대두>

 

대공의 난(770) ~ 혜공왕 4, 96각간의 난, 왕위 쟁탈전의 시초,

신라 하대의 시작, 귀족연립적 정권, 상대등 재득세, 원성계 시작.

김헌창의 난(882) ~ 김헌창은 헌덕왕때 국호를 장안 연호를 건운이라 하여 반란.

원성왕계의 즉위에 대한 불만, 그 후 그의 아들 범문도 반란,

왕족의 반란.

장보고의 난(846) ~ 신무왕을 즉위하게 하였으며 문성왕에게 그의 딸을 왕비로 삼게 하려 다 실패 하자 난을 일으킴.

 

새로운 세력의 성장

해상세력

지방호족세력 ~ 관반제 실시( 중앙의 행정 조직을 모방하여 자신의 독립된 영역에 적용)

6두품 세력의 반발 ~ 왕거인, 최치원

농민의 반란 ~ 초적, 농민 무장도적이라 함( 원종과 애노, 양길, 기훤, 궁예, 견훤)




<교육제도>

 

삼국시대 ~ 공통점( 귀족중심, 문무일치, 수도 중심)

고구려 ~ 태학, 경당(지방 사립학교, 장수왕, 평민자제 입학가능)

 

고려시대 ~ 국자감의 설치는 성종때이고 경사육학은 인종때.

경사육학 ~ 3학은 신분별로 국자학, 태학, 사문학 (9년간 수학)

잡학은 전공별로 율학, 산학, 서학 (6년수학, 서민입학 가능)

고려 중기 사학의 발달 ~ 최충의 9재 학당(문헌공도)

 

조선 성균관은 유생이 입학하는 최고 교육기관으로 정원은 200명이나 미달의 경우 사학의 생도중에서 보충하였다.

기술교육은 해당관청에서 교육, 초시는 해당관청에서 뽑았고 복시는 예조에서 관장

잡과-역과(사역관), 음양과(관상감), 의과(전의감), 율과(형조)

취재-산학(호조), 도학(소격서), 화학(도화서), 악학(장악원)

조선시대 향교는 지방에 설치한 관학으로 중등교육기관이었다.

사학(四學)은 서울의 고등교육기관이다.

 




<시대별차이>


신석기청동기

혈족사회지연사회, 평등사회계급사회, 원시공동체재산사회

 


청동기철기

철제농기구의 사용으로 농업이 산업의 중심이 되었다.

친족공동체 성립, 초기국가의 성립, 무덤양식의 변화

신라통일신라

 

신라

통일신라

지방제도

652소경

95소경

군사제도

서당 6

9서당 10

고분

적석총

횡혈식 석실분

갈문왕제도

발달

사라짐

불교

2(열반종,계율종)

59

건축물

황룡사9층탑, 분황사모전탑, 첨성대

법주사석연지, 성덕대왕신종, 화엄사 각황전, 석등, 석굴암

 

고려시대에 와서 달라진 점

유불의 융합, 왕권 경제책의 발달 ( 서경권, 봉박, 간쟁, 상소, 도당의 합의제)

최초로 과거제 실시(광종, 무과 없음), 원효의 화쟁사상을 이은 교선통합·절충(천태종, 조계종)

대장경 조판, 중인계급의 등자에 따라 4계급으로 분화

한문학과 역사관의 발달, 금속활자(상정고금예문 1234, 직지심경 1377) 목판인쇄물 다라니경 ·금속화폐(건원중보) 사용, 족보 편찬, 대가족 단위의 친족 공동체, 성씨의 본관사용, 평민들의 성 사용


고려조선

향리 지위의 약화와 향촌자치의 성장(유향소, 향약, 두레, 향도, ), 호패법의 실시

고려는 행정·군사의 2원적인 5도 양계로 편제되었으나, 조선은 행정적인 8도로 편제

수령에게 상피제와 임기제를 적용한 것은 두 시대 모두 같다.

 




<고려시대 개관과 왕건>

고려전기~문벌귀족사회 가문, 전시과, 천태종, 양천제

고려중기~ 보수화, 사대화 (이자겸의 난,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무신정권~ 문무합작 독재정권 실력, 향몽주체정권, ··부곡폐지 대두, 조계종발달

고려후기~ 권문세족 관료, 도평의사사강화, 신진사대부등장, 성리학 수용

왕건~ 결혼정책, 만부교(거란), 훈요 10, 개태사(황산벌), 융합, 숭불, 역분전, 학보, 흑창, 북진, 사심관

 




<고려초기 왕들>

 

정종~ 서경천도계획, 광군사 거란대비, 대비원, 왕규의 난, 광학보

광종~ 광준풍, 광덕풍, 노비안검법, 불교장려, 과거제도, 제위보, 훈신숙청, 송과외교,

귀법사, 공복제정, 홍화사

성종~ 문신월과법, 의창, 상평창, 분사제도, 비서원(개경도서관), 건원중보, 수서원(서경도서관), 향직개편, 유교정리, 중앙관제, 권농정책, 노비환천법, 지방관파견, 국자감

현종~ 대장경, 주창수렴법(흉년곡식대여), 주현공거법(향리자제에게 과거응시), 면군급고법(노부모있을때 군면제), 나성, 경기제, 사료편찬, 지방제도(5도 양계 4도호부 8), 중앙제도, 감목양마법, 칠대실록

문종~ 3심제, 9재학당, 12공도, 공음전시과(경전전시과), 동서대비원, 불교장려, 기인선상제,

흥왕사

숙종~ 별무반 조직, 서적포, 화폐, 남경건설

예종~ 국학, 보문각(궁밖의 학술연구소), 칠재, 양현고, 청연각(궁중 학술연구소), 구제도감, 혜민국, 감무파견(향촌사회에 파견한 관리), 무학재 강예제

 

고려의 태조·광종, 조선의 태종·순조의 업적 중에서 공통적인 것은?

왕권의 안정을 가져왔다. (태조, 순조가 아님)

사학의 융성을 가져왔다. (순조가 나와야 함)

유교의 정치이념을 정식으로 채택하였다. (유교는 고려 성종때)

노비를 풀어 주었다.

 




<고려대장경>

1차 대장경 ~ 부인사에서 조판, 거란대비, 몽고침입때 소실,

속장경(신편제종교장총록)~흥왕사에서 조판, 의천이 송··일등에서 수집, 선종관계의 것은 하나도 포함시키지 않았다. 몽고 3차 침입때 소실

2차 대장경~ 선원사에 설치, 보관, 몽고 침입시, 최우가 강화도 대장도감에서 조판, 국보로 해인사 장경각에 보존

 

유네스코 지정 세계문화유산~ 불국사, 석굴암, 종묘, 창덕궁, 화성, 조선왕조실록

유네스코 지정 기록문화유산~ 팔만대장경, 훈민정음

 

문화재 소실의 배경

황룡사 9층 목탑~ 몽고침입, 불국사·경복궁~ 임진왜란, 춘추관 조선왕조실록~ 임진왜란

춘추관사고~ 이괄의 난

 




<고려의 중앙관제>

초기관제 태조는 태봉의 관제를 답습하고, 신라와 당의 관제일부를 모방

성종의 정비~ 당의 관제인 26부제를 모방하였으나 고려의 독자적인 국가기구(도병마사, 식목도감)가 정비되었다. 송의 관제 모방중추원, 3

6~ 이부-문관의 인사, 병부-무관의 인사, 호부-호구·조세·화폐, 형부-법률·소송·노비, 예부-외교·교육·제사·과거, 공부-토목·건축

이부의 속사-고공사, 형부의 속사-도관

 

중추원~왕명출납과 군기 장악

도병마사~내사문하성의 재신(겸직금지-추신, 어사대, 국자감)과 중추원의 추신으로 구성된 국가의결기관

성종때 양계의 병마를 통솔하기 위해 처음 실시하였고, 현종때 하나의 기구로 완성되었다. 무신정변 이후에는 재추 전원이 구성원이 되었고, 관장사항도 군사문제 뿐만아니라 국정전반에 미치게 되었다.)

 

고려시대 서경권은 모든 관리임명시에 적용되나 조선시대에는 5품이하의 당하관 임명시로 축소된다.

부병제 실시~ 농병일치의 의무병제로 백정들은 군역과 노역을 지게됨.

중앙군(26)~ 모두 군반씨족으로 구성된 26위는 45령으로 편성

2(목종)~국왕의 친위대로 응양군, 용호군으로 구성

6(성종)~ 핵심군단인 좌우위, 신호위, 흥위위-수도 및 변방의 방위

금오위~경찰, 천우위~의장, 감문위~궁성수비를 분담

지방군~5도의 주현군과 양계의 주진군으로 편성

특수군단~ 광군사-거란, 별무반-여진정벌, 9성설치

삼별초~ 항몽군 강화에서 발란, 진도, 제주에서 몽고군과 항전

연호군~ 농한기에 농민과 노예로 편성한 지방방위군

잡색군은 농민 안들어 가고 양반과 노비로만. 속오군은 양반, 농민, 노비 다 들어감

 

, 부곡은 통일신라에 생겼고 농업을 담당하는 천민이 거주

소는 고려에 생겼고 수공업에 종사하는 천민이 거주

 




<고려 지방행정조직의 특징>

 

성종때 시작 하였으나, 현종에 이르러 지방제도 완성. 5도 양계 4도호부 8.

현종~ 3(개경, 서경, 남경)

5도 행정적 성격(경상도, 전라도, 양광도, 교주도, 서해도)

양계 군사적 성격

전국은 5도 양계라는 이원적 체제

토호적 성격이 강하여 원래 속군과 속현은 인근 지방의 주군과 주현의 수령이 통치하도록 도록 되어 있었으나 실제로 그 지방 향리가 조세, 공납, 요역 징발의 실권을 행사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수령이 안찰사 보다 계급이 높았으나 조선시대에는 관찰사가 수령보다 높음

특수 행정구역~ ··부곡 향리가 통할, 민란발생시는 감무파견

·부곡이 통일신라 시대에 생겨 났고, 소는 고려시대 생겨남

 




<고려의 과거제도>

 

제술과가 명경과 보다 중시. 무과 없음.

양민 이상의 자제는 누구나 응시 가능. 조선시대보다 넓음

음서(5품이상자제) 정치적, 공음전 경제적 조선 :문음(2), 대가제(3)

전시과는 문예(문장)로 시험, 명경업은 겸서로 시험(경학), 공민왕때 경학 중시

과거 2차시험은 국자감시, 3차시험은 동당감시

 3. 주요행정이념 

합법성

1. 의의 : 행정이 법에 근거를 두고 법에 의하여 규제됨으로써 법을 떠난 자의적인 행정이 허용되어서는 안된다는 이념

2. 배경: 국민의 권리와 자유를 최대한 보장하고 법적 안정성이나 행정의 예측가능성, 통일성, 일관성, 공평성을 확보하려는 것임.

3. 한계: 합법성의 지나친 강조는 소극적인 법규만능주의, 행정편의주의, 동조과잉(목표전환), 경직성(융통성과 창의성 저해) 초래.

 



. 능률성

1. 의의 : 최소의 비용과 노력으로 최대의 산출을 얻고자 하는 것(투입 대 산출의 비율을 극대화)

2. 배경.

19C 말 행정학성립기때 행정기능의 확대. 강화와 함께 대두

과학적관리법의 영향 적극적이고 새로운 이념으로 능률성이 대두

급격한 예산팽창과 그에 따른 납세자들의 담세증가로 인하여 납세자들이 보다 적은 세금으로 보다 많은 봉 를 원하게 되고 당시 엽관주의의 폐해인 행정의 비능률과 예산낭비를 비판하며 개혁을 통한 능률적인 행정 요구

3. 능률관의 변천

* 기계능률과 사회적 능률

구분

기계적 능률

사회적 능률

행정이론

과학적 관리론, 관료제이론

인간관계론, 통치기능설

유사개념

대차대조표적능률, 수치적 능률, 금전적 능률, 물리적 능률, 양적능률, 단기적 능률, 몰가치적 능률

인간적능률, 대내적민주성, 상대적 능률, 장기적능률, 발전적 능률, 가치적 능률, 질적능률, 합목적적능률

대두요인

행정기능의 확대,변동 및 과학적관리론의 영향

과학적관리론의 한계 및 인간의 기계화에 대한 노조측 반대

비판

인간적 가치 무시

능률의 본질을 애매화, 자원낭비에 대한 변명구실

학자

Gulick (능률과 절약이 행정의 기본적인 )

메이요, 디목

* 행태론은 기계적능률(객관적 능률)과 사회적능률(규범적 능률)을 조화시키려는 종합적 능률을 주장

4. 문제점(기계적 능률개념 중심)

행정부문에서의 능률은 공적 산출단위가 없어 그 측정이 용이하지 않음.

인간의 가치를 무시한 수치적 개념





. 민주성

1. 의의

인간중심의 행정을 의미하며 대외적으로는 국민을 위한 행정, 대내적으로는 행장관리의 민주화 의미

2. 배경

과학적 관리론의 한계가 드러나고 인간적 가치를 무시한 기계적 능률이 누구를 위한 능률인가하는 비판이 제기 되면서 1930년대 인간관계론과 정행1 원론자(디목)가 주장한 인간중심의 이념(사회적 능률)으로 1970년대 신행정론의 고객지향성이나 현상학 또는 비판행정학의 인본주의 행정과도 궤를 같이 함.

행정과정에서 기계적 능률을 확보한는 것 이상으로 국민의사 존중, 행정에 의한 사회목적 실현, 인간적 가치 추 , 조직내 민주주의 확립 등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게 됨.

3. 내용(행정의 민주화 방안)

(1) 대외적 민주화 : 응답성, 책임성, 위민성

행정윤리의 확립

행정구제제도의 확립 (행정쟁송, 행정절차법 등)

관 협동체계 확립

공개행정의 강화(행정 PR의 활성화)

관료제의 대표성 확립(Kingsley)

의사 결정과정상 행정참여의 촉진

행정책임의 확보와 국민에 의한 행정 통제

(2) 대내적 민주화 : 공무원의 인간적 가치를 충족시켜 주는 여건 조성.

하의상달적 의사 소통(창안제도, 상담, 고충심사 등)

민주형 리더십 발휘

정책결정 과정에 부하들의 참여(MBO )

공무원의 능력발전(교육훈련, 승진, 근평 등)

Y이론적인 인간관리

권한위임의 촉진(분권화)

탈관료제화(행정기구의 민주화)

공무원의 민주적 행정 행태 확립

 

 4. 능률화와 민주화의 상호관계

국민의 의사를 수렴하는 민주적인 행정은 시간. 비용소요

상호보완적 관계로 보는 것이 바람직함.

민주화는 능률의 목적(민주화를 위한 능률), 능률화는 민주화의 수단(능률에 의한 민주)

행정의 민주화와 능률화는 상호보완적관계

조화방안

목표설정단계에서는 민주화를 추구하고, 설정된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는 고도의 능률을 추구하는 민주 적 능률 추구

현대행정에 있어서 가장 중시되는 양대이념이 능률화와 민주화임(구조론적 입장)

* 구조론적 접근

행정에는 대립되는 다양한 요인(조직과 개인, 집권과 분권, 관료제와 민주주의, 고전적이론과 신고전적이론, X이론 Y이론, 공식과 비공식, 합리성과 비합리성)등이 있는데 이들은 모두 능률과 민주의 조화차원에서 조화롭게 인식 되어야 한다는 조직행태론자 에치오니의 이론





합리성

(1)Mannheim 이론

. 실질적 합리성 : 충동이나 본능이 아닌 지적 통찰력을 나타내는 사고작용을 중심. Weber

의 실질적 합리성과 유사

. ·기능적 합리성 : 설정된 목적의 달성에 기여하는 행위와 관련. Weber의 형식적 합리성에

유사. 관료제

(2)Simon 이론

. 객관적, 주관적, 의식적, 의도적, 조직상, 개인적

. 내용적 합리성 : 목적달성을 위한 적절한 수단을 선택하는 행위

. 절차적 합리성 : 인간의 인지능력 한계를 극복하는데 적절한 수단절차를 활용

(3) M. Weber 이론

관료제가 형식적 합리성이 가장 높은 조직이라 함.

실질적 합리성 : 자유주의, 민주주의, 쾌락주의 등 일련의 가치 전체를 표준으로 하는 행위

형식적 합리성 : 특수성을 배재하고 법의 보편적 정신을 목표로 하고 그에 부합하는 행위를 중요시하는 관료제나 시장의 법칙

(4) Lineberry의 이론

개인적 합리성, 집단적 합리성 사회적 합리성

개인적 합리성과 사회적 합리성-죄수의 딜레마(Lineberry)

(5)Diesing 이론

. 기술적 합리성 : 적절한 수단탐색

. 경제적 : 비용편익 비교측정

. 사회적 : 사회체제 구성요소간의 조화가 있는가

. 법적 : 규칙과 선례에 부합되는가

. 정치적 : 보다 나은 정책추진이 가능한 정책결정구조를 갖는가

*합리성의 관계

구분

이성적,인지적 사고작용 판단을 통한 합리성

목표달성에 순기능적 행위를 하는 수단

K. Mannheim

실질적 합리성

기능적 합리성

Simon

절차적 합리성

내용적 합리성

M. Weber

실질적 합리성

형식적 합리성

P. Diesing

정치적. 사회적 합리성

기술적. 경제적. 법적 합리성

특징

공익의 과정설, 점증주의 의사결정 모형

공익의 실체성. 합리주의 의사결정 모형

합리성의 제약요인

지식 정보의 불완전성 현상유지적타성적 경향

인식의 차이 주관적감정적 요인

문화적 요인사회가치체계의 영향 관습과 기억의 작용

다원주의의 영향

 

 

 

 

효과성

1, 의의

1960년대 발전행정론

국가발전목표를 중시 여기는 동태적 새 이념

효과서이란 발전목표의 달성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목표중심적이고 최종적. 변화지향적, 절적인 이념

2. 효과성에 관한 논의

(1) 목표모형과 체제모형

목표모형 : 고전적, MBO

효과성 측정요인: 생산성, 순응성, 사기, 제도화

체제모형 : 현대적

적응. 생존 및 존속기능 등도 고려

효과성과 건전성을 중시하는 OD 등이 이에 해당

(2) 경쟁적 가치 접근법

 

조직

인간

통제

합리적 목표모형

조직 그 자체를 강조하나 구조에 있어서 통제를 중시하고 합리적 계획과 목표설정 및 평가 중시

내부과정모형

인간을 중시

정보관리와 의사소통을 통한 통제 중시

유연성

개방체제 모형

조직 그 자체를 강조

환경과 바람직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조직구조의 유연성 중시

인간관계모형

인간을 중시하나 통제보다는 유연성을 강조

구성원의 사기와 응집성을 통해 효과성이 확보된다고 간주

* 전통적 접근법 : 조직활동의 특정측면을 기준으로 효과성 평가

(1) 체제자원적 접근법

(2) 내부과정적 접근법

(3) 목표달성 접근법

* 현대적 접근법 : 복수의 지표에 의하여 효과성 측정

(1) 이해관계 접근법

(2) 경쟁적 가치 접근법

 





. 사회적 형평과 정의 

1. 형평성의 의의

경제적.사회적으로 불리한 입장에 있는 계층을 위하여 보다 나은 행정서비스를 보다 우선적으로 제공하고자 하는 정의. 공평 중심의 이념

도덕적 윤리적 개념

2. 대두배경

신행정론의 주된 이념

월남전의 패배, 소수민족문제, 신구세대간의 갈등, 풍요속의 빈곤 등격동기의 미국사회를 배경으로 전개


기족행정이론(행태론)이 철학의 부재, 가치판단의 결여 등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할 적실성이 없다고 비판, 특히 가치 중립적인 종전의 행태론을 배격(1)Aristotle의 배분적 정의 기준

 

(2) 수평적 공평과 수직적 공평

수평적 공평 : 동일한 것은 동일하게 다룬다

누구에게나 동일한 기회를 준다는 자유주의자들의 입장(개인주의)으로 소극적이고, 보수주의적 공평

보통선거, 납세.국방의 의무, 공원입장료, 도로통행료. 대학등록금, 등의 수익자부담주의, 실적주의, 비례세제

수직적 공평 : 다른것은 다르게 다룬다

약자에게는 더많은 기회를 제공한다는 관점, 사회주의자들의 입장(집단주의)으로 적극적이고 진보주의적 공

누진세(응능주의), 임용할당제(대표관료제), 등록금이나 통행료 면제

절충설

4. J. Rawls, 정의론

(1) J. Rawls는 극단주의와 자유주의간의 중도적 입장으로 원초적 자아(갓 태어난 상태) 와 무지의 베일(자신의 소질 등에 대해 모르는 가상적 상태) 상태로부터 정의의 2가지 원리를 경험적으로 도출

(2) 1의 원리가 제2의 원리에 우선하며, 2의 원리 중에서도 기회균등의원리가 자등조정의 원리에 우선

정의의

1의 원리

동등한 자유의 원리: 다른 사람의 동일한 자유와 상충되지는 않는 범위내에서 최대한 자유에 대하여 동등한 권리를 가짐

* 정치적 자유(선거 및 피선거권 등), 언론, 출판의 자유, 양심의 자유 등

정의의

2의 원리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의 조정에 관한 원리

기회균등의 원리: 직무와 직위는 모든 사람에게 공정하게 개방되어야 한다는 원리

차등조정의 원리: 불평등의 시정은 가장 불리한 입장에 있는 사람(극빈층)에게 최대한 이익이 되도록 조정되는 경우에만 이익이 되도록 조정되는 경우에만 정당하다는 원리(최소극대화의 원리: Maximin)

결 론

경제적 이익을 위해 평등한 자유를 제한 할수 없고, 자유의 제한은 전체적으로 자유의 강화를 위해서만 가능

바람직한 정책기준은 )전체적 자유 )자유의 평등한 보장(1의 원리) ) 기회균등의 원리 )차등조정의 원리, ) 총효용이나 총이익의 극대화 순





. 생산성(효율성)

1. 의의

1980년대 이후 신공공관리론에서 정부실패를 해결하고 국가경쟁력의 제고와 성과중심의 행정을 목표로 하여 강 조된이념

공공부문의 생산성(능률 + 효과)EpsteinHatry에 의하여 강조된 개념

최소의 비용과 노력으로 최대한 산출을 얻으면서도 산출물이 당초의 목표를 어느 정도 달성했는가를 나타내는 척도(능률성과 효과성의 조화)

전통적 개념은 능률성과 동의어로서 사용되나 현대 공공행정부문은 생산성을 단순히 투입에 대한 산출이라는 측면에서만 파악할수 없고, 산출이 행정목표나 사회적 기대수준의 충족여부까지 포함시켜 양적.질적 동시에 파

* X 의 비효율성과 X 의 효율성: 정부실패의 주원인

X 의 효율성:

X 의 비효율성

3. 공공부문에서 생산성 측정의 난점

(1) 명백한 공적 산출물의 단위가 없음 : 산출이나 효과의 계량화 곤란

(2) 명백한 생산함수가 존재하지 않음 : 생산요소나 생산량간의 명확한 인간관계 부재

(3) 행정은 질적. 다목적 기능을 가짐

(4) 한 기관의 업무는 타기관과의 상호작용관계를 갖고 있어 단일기관의 생산성은 의미가 없으며, 정부전체의 생산 성 측정은 더욱 어려움

(5) 생산성측정에 필요한 적절한 자료. 정보. 통계가 없음.

(6) 양적. 계량적 측정에만 치중 : 무형적인 부분은 측정 곤란

(7) 서비스의 제공주체와 객체가 직접적이기 못하기 때문: 외부효과로 인하여 비용과 수익의 연계나 수익자부담주의 구현 곤란

 

 

 

쟁점 정부와 NGO와의 관계

 

정부와 NGO관계를 보는 시각은 크게 보완적(협조적)이냐, 대립적이냐 하는 이분법적이고 단선적인 시각에서 최근에는 다음과 같이 중층적이고 복잡한 관계로 바뀌고 있다.

 

1) Gidron(1992)의 모형 : 4가지모형

 

재정부담과 공공서비스 공급이라는 두가지 측면에서 정부와 NGO관계를 다음 네가지 모델로 구분

모형

정부주도형

이중혼합형

상호공조형

3섹터주도형

재정부담

정부

정부/3섹터

정부

3섹터

서비스공급

정부

정부/3섹터

3섹터

3섹터

 

2) Coston(1998)의 모형 - 제도적 다원주의 유형

 

Coston은 제도적 다원주의에 대하여 이를 정부가 수용할 것이냐 혹은 거부할 것인가와 관계의 공식화 정도 그리고 양자간 권한관계 대칭 혹은 비대칭적이라는 3대기준을 변수로 정부와 NGO관계를 8가지로 유형화

* 제도적 다원주의(institutional pluralism) : 국가에 의한 독점적인 공공서비스 제공이 아닌 민간집단에 의해서도 공공서비스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입장

 

 

 

() 재정의 자율성 ()

활동의 ()

자 율 형

협 력 형

자율성 ()

권위주의적 억압 또는 민주적 포섭형

종 속 형

 

자율형 : 재정과 활동의 자율성이 높은 성숙된 시민사회에서 많이 발견되는 유형(우리나라 경실연, 여연대 등)

협력형 : 정부로부터 재정지원은 받으면서도 활동은 정부의 간섭을 거의 받지 않는 유형으로 시민단체가 자발성과 필요에 따라 정부에 협력한다.

권위주의적 억압 또는 민주적 포섭형 : 민주적 포섭형이란 사회가 어느 정도 민주화가 진전되면서 시민단체가 조직화와 정치화를 통하여 역량을 강화함에 따라 정부가 시민단체의 순응을 확보할 전략으로 명시적이거나 또는 묵시적으로 시민단체의 정책변화에 대한 요구를 수용하거나 시민단체의 유력인사를 정부의 주요 기관에 임용하는 식으로 포섭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른바 적응적 흡수(co-optation)를 시도하는 것이다. 반면 권위주의적 억압형에서는 정부와 NGO의 관계는 갈등관계를 나타낸다.

종속형 : 재정과 활동의 자율성이 낮은 우리나라의 관변단체 (새마을운동협의회, 바르게살기운동협의회 등)

 

4) 권해수(1999)의 모형

 

정부와 NGO간 목적과 수단의 일치여부에 따라 자율관계, 관용관계, 갈등관계, 억압관계로 구분

일치 < 목 적 > 불일치

수단(일치)

자율관계

관용관계

(불일치)

갈등관계

억압관계

* NGO 의 역할과 기능

1) 잘못된 정책이나 행정일탈에 대한 경고자. 수행중인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자 역할을 수행(정책감시자)

2) 문제의 발굴 문제에 대한 관심의 환기, 여론형성, 대안제시 등을 통하여 정책제언자로서의 역할

3) 정보의 수집제공, 정책에 대한 압력행사, 집행된 정책에 대한 오류수정 등 정책과정의 파트너 역할 수행

4) 재해구조. 사회봉사활동 등 사회적 서비스를 직접 공급하는 공급주체로서의 역할

5) 국제기구에 대한 영향력 행사, 국경을 초월한 연대와 협조 등 국제적인 협조자로서의 역할

* 유용성

1)정부조직의 확대없이 복지서비스 등 공공서비스의 공급총량을 증대 시킬 수 있다

2) 지역주민의 요구에 근접한 서비스, 국민에게 다가가는 근린(근접)정부를 실현 할 수 있다.

3) 시민참여에 의한 자율적인 규제기능으로 정부규제를 줄일수 있다.

4) 민관간의 거리감 해소와 선의의 협조관계, 신뢰감, 행정의 반응성이 높아진다.

5) 자원봉사 활용으로 행정의 경비감소와 주민의 자발적 참여의식을 함양할수 있다.

* 한계

1) 책임성, 안정성, 구속력이 미흡

2) 사업분야가 인권, 환경 등으로 제한되고, 운영자금, 사업규모도 제한적

3) 자원봉사주민들의 무경험과 비전문성으로 인한 비효율이 문제된다.

4) 공무원들은 주민들을 행정서비스생산의 기여자(공동생산자)로 보지 않고 소비자 내지는 생산활동에 대한 평가자로만 보려는 경향아 있기 때문에 주민참여를 자신들의 영역침해로 여길지 모른다.

5) 활동면이나 재정적으로 자율성이 부족한 경우 광변단체화가 우려

* NGO 활성화를 위한 전제조건

1) 시민의 대표성 확립

2) 시민단체간 연대강화

3) 행정. 재정상, 자율성 확보

 

 

 

 

3절 행정의 가치와 지도이념

1. 행정과 가치

. 가치와 사실

가치란 바람직한 것에 대한 사람들의 관념으로서 사람의 선호. 욕구. 소망이나 도덕적 의무, 옳고 그름에 대한 주관적이고 규범적인 판단기준

정행1원론, 사회과학의 기초

사실이란 있는 그대로의 존재하는 객관적인 자료나 현상으로서 주관적인 평가와 판단이 배제된 영역

자연과학의 기초, 정행2원론

* 행정철학

(1) 의의 : 행정철학은 의사결정자의 신념의 원천이자 행정이념의 기준으로서 행정학연구에 있어 행정이 추구하며 실현하는 궁극적 가치가 무엇인가, 행정인들은 어떤 가치에 기초하여 행정행위를 하여야 하는가 등의 가치규범적 문제를 주요 연구초점으로 하는 영역

(2) 대두 : 1970년대 신행정학(가치주의)에서 강조

(3) 행정철학 모형 : Bellone(가치와 규범 강조), Hodgkinson(행정철학을 향하여),

 

. 가치의 본질에 관한 다양한 접근법

(1) C. T. Goodsell의 가치접근법

(2) Kaplan 의 가치접근법

1) 개인적 맥락 : 개인의 가치관이나 욕구, 선호를 기준으로 판단하는 경우

2) 표준적 맥락 : 특정집단이 어떤 가치를 가지고 있다는 식으로 가치를 파악하는 경우

3) 이상적 맥락 : 개인의 선호나 특정지반의 가치관을 초월하는 가치로서 가장 바람직한 가치기준

(3) Anderson 가치기준(공공정책결정의 기준)

1) 정치적 가치

2) 조직의 가치

3) 개인적 가치

4) 정책의 가치 : 공익이나 도덕적 신념, 윤리적 기준에 의하는 것 - 가장 바람직함.

5) 이념적 가치 : 이데올로기

(4) B. Bozeman 의 행정가치(정책철학으로서의 공익관)

1) 합리주의 : 현실세계의 문제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조사, 분석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보는 입장

2) 이기주의

3) 보호주의 : 절차적 공익관

4) 이전주의 : 규범적 공익관으로 가진 자로부터 가지지 못한 자에게 재배분(이전)해주는 것이 복지국가의 정책철학이라고 전제

5) 중개주의 : 공리주의적 공익관

6) 실용주의 : 다원적공익관 또는 점증주의적 정책결정모형으로서 현실상황에 따라 적절히 대처하는 것이 정책결정의 원리

 

 

 

 

 

 

2. 행정이념의 변천과 유형

. 의의

행정이 지향하는 최고가치, 이상적 미래상, 또는 행정철학, 행정의 지도정신, 공무원의 행동지침 및 방향을 의미

행정수요가 변동됨에 따라 시대마다 다양하고 유동적일 뿐 아니라 행정이념 간에 상충이 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조화가 필요

. 행정이념의 기능

행정의 방향. 지침을 제시 이념상호간의 우선순위를 정립

행정의 존재가치 부여 행정목표의 최대한 달성

행정의 환경변동대응능력의 증진 행정활동에 대한 평가기준 정립 시대적 가치관 반영

행정이념의 종류와 변천

합법성 : 법률적합성 - 19C 초 근대입법국가 - 관료제 이론(1901)

능률성 : 산출/투입, - 19C말 엽관제의 페단 관리 도입(성립기) 기계적능률성

대내적 : 공무원 기계적 능률 사회적 능률(1930-40) 행정관리설

대외적 : 국민

민주성 : 대내적 : 공무원 통치기능설

대외적 : 국민

합리성 : 수단이 목표달성에 기여한 정도(목표에 대한 수단의 적합성) 사이몬 행태론 = 합리적 의사결정

효과성 : 목표달성도, 질적개념 산출과 목표의 관계 발전행정론

사회적 형평 : 불리한 위치에 있는 사람 신행정론

생산성 : 능률성() + 효과성() 신공공관리론(NPM)

. 해정이념간의 상호관계와 우선순위

1. 부합관계 : 민주성과 대응성 민주성과 형평성 민주성과 공익성 민주성과 합법성 민주성과 책임성

능률성과 효과성

2. 상충관계

(1) 민주성과 능률성 : 엽관제나 대표관료제와 실적주의나 직업관료제의 딜레마

(2) 합법성과 대응성 : 예측가능성, 안정성과 신축성, 재량성

(3) 민주성과 중립성 : 민주성이 가치성, 대표성, 형평성 합의성을 중립성은 기술, 도구, 능률, 자율성을 추구

(4) 능률성과 형평성 : 자원 최적배분과 소득재배분, 즉 성장(분배정책)과 복지정책(재배분정책)의 딜레마

(5) 능률성과 가외성 : 경제성 대 여유분(신뢰성)

* 능률성과 효과성 : 능률성은 양적(산출)개념, 효과성은 질적(결과)개념으로 반드시 일치하지는 않으며 충돌의 소지도 있으나 효과성과 능률성을 전제로 한다는 잠과 능률에 의한 수단의 극대화가 목표달성의 극대화로 연계된다는 점 에서 양자는 보완적 관계로 보는 것이 일반적

3. 우선순위

1) 본질적.종국적 가치: 형평성. 공익성. 지유. 평등 등

2) 수단적 .도구적 가치 : 민주성, 생산성, 효과성, 능률성. 합법성

단 민주성에 형평성. 공익성 책임성 등이 포함 된다고 보고 민주성을 가장 총괄적인 종국적 가치로 보는 입장

1) 민주성과 형평성은 행정의 목적가치이자 헌정원리에 속한다

2) 형평성은 민주성의 한 부분이 될수 있는 행정의 지도원리

3) 민주성을 절차적 민주성으로 보면 합법성과 관련되지만 실질적으로 민주성으로 볼때에는 대응성, 책임성, 익성, 형평성 등을 포함하는 개념

4) 행정에서 민주성이 가장 중요한 가치

03 자유 민주주의 발전

 

1 이승만 정부의 권위주의 통치 (1공화국)

 

1948: 제헌헌법

임기 4년 중임 가능 / 간선제 / 대통령제 /

 

1950: 5.30 총선 (이승만 지지세력 대거 탈락)

 

1951: 자유당 창당

 

1952: 1차 개헌(발췌 개헌)

대통령 직선제+의원내각제+양원제(참의원 민의원)

부산정치 파동과 이승만의 당선

 

1954:5.20총선(자유당 압승 민의원 선거)

2차 개헌(사사오입 개헌)

초대 대통령에 한에서 중임 제한 철폐

 

1955: 민주당 창당

 

1956: 이승만vs신익희vs조봉암 / 이기붕vs장면

 

1958: 진보당 사건: 조봉암 사형 / 보안법파동:신국가보안법

 

1959: 경향신문 폐간

 

1960: 3.15 부정 선거: 이승만vs 조병욱 / 이기붕vs 장면 /

 

2. 4.19 혁명

 

3.15 부정선거 규탄 시위

마산 앞바다 김주열 시신 발견

고대생 시위 깡패 동원

경무대 효자동 길에서 발포 수백명 사망

대학 교수단 시국 선언문 발표

이승만 하야되고 이기붕 일가 자살

 





2 공화국(장면 내각)

 

허정 과도 내각: 3차 개헌(내각 책임제+양원제)

7.29 총선(민주당 압승) / 대통령 윤보선 국무총리 장면

 

장면 내각: 4차 개헌(소급입법과 3.15부정 선거 책임자 처벌)

 

민주화 요구 운동

학생: 학원 자율화 학도 호국단 폐지

교사: 교원노조 인정

시민: 거창 양민 학살 진상 조사 요구

 

구파: 상징적 대통령 윤보선지지 > 신민당

신파: 실질적 국무총리 장면지지 > 민주당

 





3. 5.16 군사정변과 박정희 정부 (3공화국)

 

1961: 5.16 군사정변

군사 혁명 위원회

반공국시 / 경제개발 / 민정 이양 /

국가 재건 최고 회의(초헌법적 군정 기관)

부정 축재자 처벌 / 화폐 개혁 / 농가 부채 탕감

 

중앙 정보부(정권 목적 설치한 정보 기관)

 

1962: 5차 개헌(대통령 직선제+국회 단원제) 공화당 창당

김종필과 오히라 각서 체결

1963: 박정희vs윤보선

1964: 6.3 시위 1965: 한일 수교

1964~1973: 베트남 파병(라이따이한 / 고엽제)

1967: 박정희vs윤보선

1968: 위기의 해 (김신조 간첩 침투 / 푸에블로호 나포 / 울진과 삼척 무장 공비 침투)

1969: 6차 개헌(3선 허용)

1971: 박정희vs김대중

1972: 7.4 남북 공동 성명

평화 통일 3대 원칙: 자주와 평화 민족 대단결

냉전 완화의 영향

 



4. 유신체제의 성립과 민주화 운동 (4공화국)

 

1972: 7차 개헌(유신헌법)

임기 6년 연임 제한 없음 / 통일 주체 국민 회의 선출 /

권력 강화: 긴급 조치권 / 국회 해산권 / 국회의원 3분의 1 추천권

 

유신체제의 대한 저항

장준하(100만인 개헌 청원 서명 운동)

동아일보(언론 수호 운동)

3.1만주 구국 선언(명동 사건)

 

유신체제의 탄압

백지 광고 사태

긴급 조치 발표

민청학련인혁당 조작 사건

 

1979: YH무역 사건 > 부마항쟁 > 10.26사태 > 12.12사태




1980: 서울의 봄

유신헌법 폐지 / 비상 계엄 해체

전두환 퇴진 민간 정부 수립 요구

신군부의 계엄령 전국적 확대

5.18 광주 민주화 운동

유신 철폐와 신군부 퇴진 주장

광주 공수부대 투입 계엄군 발표

시민군 조직 무력 진압

 



5. 신군부의 등장과 5.18 민주화 운동 (5공화국)

 

1980:국가 보위 비상 대책 위원회

언론 통폐합 / 삼청 교육대 / 전두환 /

8차 개헌: 7년 단임제+간선제 / 유화정책 /

 

6. 6월 민주 항쟁과 자유 민주주의 진전 (6공화국)

 

1987: 직선제 개헌 위한 1천만 서명 운동

박종철 고문 치사 사건 > 4.13 호헌 조치 > 6월 항쟁

명동 성당 농성 / 6월 한달 시위 계엄령x / 호헌 철폐 독재 타도

외침 / 최루탄 의해 이한열 사망 / > 6.29 선언 노태우 직선제o

9차 개헌: 5년 단임제+대통령 직선제

 

여소야대(3당 합당) 정국 / 광주 청문회 / 부분적 지방 자치제 /

88 올림픽 / 북방 외교 /

 

<김영삼 정부>

31년만의 민간 정부

 

3대개혁

전국적 지방 자치제 실시

금융 실명제 실시

고위 공직자 재산 등록제

 

역사 바로 세우기 운동

조선 총독부 건물 철수

특별법 제정

내란죄 구속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