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현대사
<민족운동의 새양상>
1. 3․1운동 후의 민족운동의 양상 → 러시아 혁명의 영향으로 사회주의 사상이 보급
→ 민족운동의 분열 - 민족주의계와 사회주의 계열로 분열.
- 민족주의계열도 ‘선실력양성 후독립’을 주장하는
민족주의 우파와 ‘선독립’, ‘절대독립’을 주장하는
민족주의 좌파로 분열
→ 민족주의 우파- 실력양성운동에 치중 : ‘선실력양성 후 독립’
- 이광수의 민족개조론(1922), 민족적 경륜(1924)
- 민립대학설립운동, 물산장려운동, 타협적 자치운동론
→ 민족주의 좌파 - 우파의 개량주의적 자치운동론 비판
- 사회주의자와 연대하여 신간회 결성(1927)
- 안재홍(신민족주의 주장)
2. 민족실력양성운동의 전개
(1). 배경 → 3․1운동의 실패로 새로운 독립운동 방향의 모색.
→ 1920년대 문화정치로의 전환을 이용한 독립운동.
→ 민족의 사회․문화․경제면의 실력을 양성하여 독립을 쟁취하려는 운동.
(2). 국민교육․민중계몽운동 → 언론기관의 활동
→ 조선일보(1926) - 문맹퇴치운동의 전개
→ 동아일보(1931) - 브나로드 운동의 전개
(3). 민족교육운동
▣ 민립대학설립운동(1923) → 조선교육회조직(1920) - 이상재
→ 민립대학설립기성회(1923) - 전국적 모금운동 전개
→ 일제의 방해, 대홍수 등의 재해 때문에 실패
→ 일제는 경성제국대학(1924)을 설립하여 고등교육운동 억제.
▣ 노동야학운동 → 1920년대에 노동야학․부녀야학․농촌야학이 성행, 민중 문자보급운동.
(4). 종교계의 활동 → 천도교 - 제 2 의 3․1운동 계획, 1922년 3․1에 자주독립선언 발표.
- 문화운동의 전개 : <개벽>등의 잡지 발간.
→ 불교 - 일제의 회유와 통제로 일부의 친일화
- 만해 한용운의 개혁운동
→ 기독교 - 민중교육운동, 각종 문화사업 전개
- 일제의 신사참배 거부사건(1935년 이후)
→ 대종교 - 만주지방의 독립운동의 정신적 지주.
→ 원불교 - 개간사업과 저축사업 전개
(5). 경제자립운동(물산장려운동,1923) → 조선물산장려회 조직(1923) : 평양에서 조만식.
→ ‘내 살림 내 것으로’라는 구호.
→ 자급자족, 국산품애용, 소비절약, 금주, 금연운동 전개
→ 사회주의 자들은 이념상 반대.
2. 학생운동
(1). 배경 → 2․8독립선언, 3․1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
→ 동맹휴학, 계몽운동, 비밀결사, 가두시위등 민족운동을 전개.
→ 조선청년총동맹 결성(1924)
(2). 6․10만세운동(1926) → 순종의 인산일
→ 사회주의 계열의 계획 - 일제에 발각되어 실패.
→ 전문학교․중학교 학생의 독자적 계획이 진행됨.
(3). 광주학생운동(1929) → 일제에 의한 한국학생의 차별대우에 대한 분노폭발, 기차에서 한일학생 충돌.
→ 1930년까지 전국 194개학교, 54,000명 참가.
→ 3․1운동 후 최대의 민족운동.
→ 신간회에서 조사단을 파견하고 지원.
3. 사회주의 운동
(1). 배경 →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사회주의 사상이 도입되어 민족주의 운동과 대립.
→ 한인사회당(1918, 이동휘),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1919, 김철훈), 상해파 고려공산당(1921,
이동휘), 조선공산당(1925.4)결성
(2). 조선공산당의 성립(1925.4)과 전개 → 1차 조선공산당(1925.4)
→ 2차 조선공산당(1925.12) - 6․10만세운동으로 해체
→ 3차 조선공산당(1926.9) - 일명 ML당, 신간회 조직.
→ 4차 조선공산당(1928.3)
(3). 신간회 조직(1927) → 배경 - 사회주의 운동의 노선변화 : 민족협동전선으로 변화
- 민족주의 운동의 분열 : 우파의 자치론에 대한 좌파의 비판.
- 민족유일당운동의 전개
→ 조직(1927) - 정우회 선언이 계기(1926)
- 민족주의 좌파와 사회주의 계열의 통합
- 총독부의 허가를 얻은 합법적 단체
→ 활동 - 기회주의 규탄(자치론 배격), 한국인 착취기관의 철폐, 한국인에
대한 특수취재법 폐지, 교육차별 금지, 한국어 교육 실시, 과학사상연구 자유 주장.
- 광주학생운동에 조사단 파견
- 방계조직으로 근우회 조직
→ 해체 - 일제의 방해
- 사회주의 계열의 탈퇴로 해산(1931)
(4). 소작쟁의 → 일제의 산미증산계획에 따른 수탈에 대한 농민의 저항.
→ 소작권 이동 반대, 소작료 인하 주장
→ 1930년대에 이르러 절정에 이름. 민족운동으로 전개
→ 조선농민총동맹(1927), 불이농장의 소작쟁의
(5). 노동쟁의 → 일제의 산업침탈에 대한 노동자의 저항.
→ 임금인상, 노동시간 단축, 노동조건 개선 주장
→ 1930년대에 절정에 이름, 민족운동으로 전개
→ 노동총동맹(1927), 부산 부두노동자파업(1921), 원산 총파업(1929)
※ 형평운동 → 백정에 대한 신분개선운동
→ 진주에서 백정 이학찬이 <조선형평사, 1923>조직
5. 무장운동의 전개
(1). 결사운동과 애국지사의 활동
▣ 결사운동 → 의열단(1919) - 김원봉이 조직, 신채호가 ‘조선혁명선언’을 기초함,
- 조선민족 혁명당(1935), 조선의용대(1938)결성.
→ 애국단(1926) - 김구가 상해에서 조직, 이봉창(1932), 윤봉길(1932)
▣ 애국지사의 활동 → 강우규(1919) - 사이토 총독 저격 실패
→ 김익상(1921) - 조선 총독부 폭탄투척
→ 김상옥(1923) - 종로경찰서에 폭탄투척
→ 김지섭(1924) - 일본 황궁에 폭탄투척
→ 나석주(19260 - 동양척식회사에 폭탄투척
→ 조명하(1928) - 일본 육군 특명 검열사 척살(타이중 의거)
→ 이봉창(1932) - 일본천황 저격미수
→ 윤봉길(1932) - 홍커우 공원 의거 : 중국정부의 지원의 계기.
(2). 무장독립운동의 전개
▣ 봉오동전투(1920) →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일본군 1개대대 격파.
▣ 청산리전투(1920) → 김좌진의 북로군정서군
▣ 경신참변(1920) → 간도참변이라고도 함, 일제의 만주거주 한민족 대량 학살.
▣ 자유시참변(1921) → 대한독립군단의 조직과 연해주에서의 무장해제사건.
→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과 상해파 고려공산당의 분열 계기.
▣ 미쓰야 협정(1925) → 三矢협정
(2). 통합운동의 전개
▣ 3부시대 → 참의부(1924) - 압록강, 임정의 직할부대
→ 정의부(1925, 이청천)
→ 신민부(1925, 김좌진) - 자유시 참변 이후 소련영토에서 돌아온 독립군 중심.
▣ 국민부 시대(1928)
(4). 광복군의 활약 → 조직 - 중경에서 조직(1940), 1941년에 서안으로 이동.
→ 활동 - 대일․대독 선전포고, 연합군과 연합작전(인도․버마전선투입)
국내 진입 작전 계획(지청천, 이범석)
※ 해방전의 건국준비 → 한국독립당(1940,상해) - 임정의 김구가 조직.
→ 조선독립동맹(1942) - 화북의 연안에서 김두봉이 조직
- 조선의용군이 북한군에 편입, 연안파 형성
→ 조선민족 혁명당(1935) - 김원봉, 조선의용대가 광복군에 편입.
→ 조선건국 동맹(1944) - 여운형이 국내에서 조직.
< 현대사회 >
Ⅰ. 대한민국의 성립
1. 민족의 광복
(1). 한국독립에 대한 국제회의
▣ 카이로 회담(1943.11) → 이태리의 항복 후 미국(루즈벨트)․영국(처칠)․중국(장개석)이 모여 회의.
→ 연합국은 영토확장의 야심은 없다.
→ 일본은 침략전쟁에서 얻은 모든 영토를 포기할 것.
→ 미․영․중 삼국은 ‘한국의 노예상태에 유의하여 적당한 시기’에 독립을 보장한다.
→ 한국의 독립에 관해 언급한 최초의 회의.
▣ 포츠담 회담(1945.7.26) → 독일 항복 후 미국(트루먼)․영국(처칠)․중국(장개석)․소련(스탈린)이 모여회의.
→ 카이로 회담의 내용을 재확인(한국 독립의 재확인)
→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요구함.
(2). 한국민의 독립준비 → 한국 독립당 - 김구를 중심으로 한 상해임시정부.
→ 조선독립동맹 - 사회주의 계열, 조선의용군
→ 조선건국동맹 - 여운형이 조직
건국준비위원회 - 여운형이 일본의 행정권 교섭에 응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조직.
2. 미소의 군정과 남북분단
(1). 3․8선 설정의 원인
▣ 얄타회담(1945.2) → 미국(루즈벨트)․영국(처칠)․소련(스탈린)의 삼국정상이 모여 회담.
→ 소련의 대일참전, 3․8도선의 분활, 신탁통치의 잠정결정등.
(2). 미군정의 정책과 상황
① 미군정의 시책 → 남한내 유일한 행정부임을 강조 - 임시정부나 조선인민공화국등 일체의 조직의 정당성을
불인정
→ 일제의 총독부 체제 이용 - 한국에 대한 정보부족, 친일파들이 미군정에 참여.
→ 소작료의 개정(상한선 제정-총수확량의 3분의1), 신한공사 설립.
② 한국내의 상황 → 한국민주당(1945.9) - 송진우등의 민족주의 계열, 지주출신, 미군정과 친밀.
→ 독립촉성중앙협의회 - 이승만
→ 조선인민공화국- 여운형
3. 신탁통치안과 찬탁․반탁운동의 전개
(1). 신탁통치의 문제
▣ 모스크바 3상회의(1945. 12) → 미국․영국․소련의 외상회의.
→ 한국에 민주주의 임시정부를 수립한다.
→ 위의 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미․소 공동위원회를 개최한다.
→ 5년 이내를 기한으로 미국, 영국, 중국, 소련에 의한 신탁통치를 실시한다.
▣ 미․소 공동위원회 개최 → 1차 미․소 공동 위원회(1946.3) - 신탁통치의 실행과 민주정부 수립의 원조를 위해 덕수궁에서 개최
- 협의에 참가할 단체문제로 결렬
→ 2차 미․소 공동 위원회(1947.5)
(2). 좌우익의 대립 심화 → 우익 계열 - 한국독립당, 한국민주당등은 반탁운동 전개
→ 좌익 계열 - 처음에는 반탁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소련의 지시로 찬탁으로 선회
- 조선공산당(박헌영), 조선인민당(여운형)
(3). 좌․우 합작운동의 전개 → 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된 후에 추진
→ 우익의 김규식, 좌익의 여운형에 의해 추진
→ 미군정의 지원을 받음.
Ⅱ.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1.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1). 한국문제의 유엔 상정 → 미소 공동위원회의 결렬후 미국은 한국문제를 유엔에 상정하고, 유엔 감시하의 총선거
안을 통과시키고, 유엔한국위원회 설치가 가결됨.
(2). 유엔 한국임시위원단의 활동 → 북한의 입국은 거부된 채 가능한 지역에서의 선거 실시 결정.
(3). 남북협상의 실패 → 이승만과 김성수의 한민당의 남한만의 선거지지에 반대한 김구, 김규식등이 협상시도.
(4). 총선거 실시(1948.5.10) → 남북협상파를 제외한 우익진영이 참가, 198명의 의원선출, 이승만과 한민당계열이 압승 을 거두었으며, 당선자 소속은 무소속이 가장 많음.
(5). 정부수립(1948.8.15) → 이승만을 초대대통령으로 하는 제 1 공화국의 성립, 제 3 차 유엔총회에서 한반도에 있어 서의 유일한 합법정부임을 공인받음.
2.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성립
(1). 해방 후 북한의 정치세력 → 조선민주당 - 조만식 등의 민족주의계
→ 조선공산당(국내파) - 박헌영을 중심으로 하는 토착공산주의 세력
→ 갑산파, 소련파 - 김일성 중심의 공산주의 세력
→ 조선신민당 - 김두봉 중심의 연안파
(2).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1946) 조직
(3). 인민공화국(1948.9.9) → 김일성은 국내파 공산당을 제거하고 연안파․소련파와 연합하여 북조선 노동당을 결성하 고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창설.
Ⅲ 한국전쟁의 발발
1. 전쟁전의 상황 → 국내정세 - 5․30 총선의 결과 : 남북협상파도 참여한 이 선거에서 반여당, 반이승만 성향의 무소 속후보가 대거 당선되어 국내 정세가 혼란.
→ 국제정세 - 애치슨 선언(1950.1) : 한반도가 미국의 극동방위선에서 제외된다는 선언.
중국의 공산정권 수립과 소련의 지원.
2. 전쟁의 발발과 전개
3. 휴전협정의 성립과 복구
(1). 휴전성립의 전개과정 → 소련의 유엔대표인 말리크가 휴전을 제의(1951.6.23)
→ 수차례의 결렬 후 휴전협정 성립(1953.7.27) - 유엔대표 해리슨 vs 북한대표 남일
→ 휴전반대 운동 - 한국민의 휴전 협정 반대운동 전개, 이승만의 반공포로 석방(1953.6)
→ 휴전협정의 가장 큰 걸림돌 - 포로 송환 문제
(2). 전후 복구 과정 → 한․미 상호 방위조약 체결(1953.10)
Ⅳ. 대한민국의 발전
1. 제 1 공화국의 성립과 전개
(1). 민주주의의 시련 → 발췌개헌(1952) - 대통령 직선제 개헌안
- 1950. 5.30 선거에서의 이승만의 참패, 5. 26 정치파동, 발췌개헌안 통과.
→ 사사오입 개헌(1954) - 초대 대통령에 한해 중임제한조항을 철폐하려는 개헌안.
- 총의석 203석중 135표(개헌선 3분의 2인 135.3...표에 미달)로 부결되 었으나 수학의 사사오입에 따라 2일만에 번복하여 통과시킴.
(2). 통일정책 → 북진통일 정책
(3). 경제정책 → 농지개혁법(1949) - 임야는 제외
- 3정보를 한도로 초과하는 지주의 토지를 국가에서 유상매수, 유상분배
- 매입,매수가는 총수확량의 150%를 한도로 5년에 걸쳐 매년 30%씩 보상,상환
- 결과 : 지주에게 유리한 개혁, 실시의 지연으로 개혁효과 감소.
- 북한의 토지개혁 : 5정보를 한도로 하며, 무상매수․무상분배
(4). 4․19혁명의 발생 → 이승만의 장기집권 야욕
→ 3․15 부정선거 - 4․19의 계기가 된 사건.
→ 4․18 고려대생의 궐기, 4․25일 대학교수단의 시국선언으로 이승만이 하야.
2. 제 2 공화국의 성립
(1). 민주당 정권의 탄생 → 양원제와 의원내각제를 골자로 하는 민주당 정권 수립.
(2). 통일정책의 변화 → 통일 정책의 혼란, 남북회담을 제기하는 등의 급진적인 통일방안 등장.
(2). 민주주의의 혼란 → 민주당내의 구파와 신파의 대립으로 정치․사회적 혼란.
3. 제 3 공화국의 성립과 전개
(1). 5․16혁명의 발생과 공화당 정부의 탄생 → 국가재건 최고회의 설치 - 모든 정당․사회단체의 해산을 명하고 정 면정부의 지도자 체포, 2공화국 당시의 혁신계 정당들을 반국가 단 체로 몰아 중심인물을 체포하는 등 권력 장악.
→ 3공화국 성립 - 정치활동정화법을 제정하여 정치할동 규제.
- 대통령직선제, 단원제를 중심으로한 3공화국 성립.
(2). 경제․사회정책의 전개 →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추진(1962) - 수출주도형 성장정책, 불균형 성장전략(공업중심)
정부주도형, 외자의 적극적인 도입 추진.
→ 새마을 운동의 전개(1970) - 근면, 자조, 협동의 정신강조.
→ 국민교육헌장 공포(1968)
(3). 외교와 통일정책 → 적극적인 외교정책 - 한일협정체결(1965), 월남파병(1965), 한미행정협정체결(1966)
→ 통일정책
4. 삼선개현과 유신체제 → 10월 유신의 단행(1972.11) - 4 공화국의 성립
5. 제 5 공화국, 제 6 공화국의 성립과 전개
Ⅴ. 남북관계의 변화 및 통일 정책의 전개
1. 3․4공화국
(1). 8․15 선언(1970) → 전쟁도발행위의 중지, 무력에 의한 적화통일 야욕의 포기 요구.
→ UN에서의 한국문제 토의에 북한이 참석하는 것을 반대하지 않음.
→ 선의의 경제 개발 경쟁에 나설 것을 촉구.
(2). 남북적십자 회담(1971.8.12) → 대한적십자사가 이산가족 찾기 운동을 제의, 1972년에 본 회담 개최.
(3). 7․4 남북 공동 성명(1972.7.4) → 자주적 ․ 평화적 ․ 민족적 통일의 원칙에 합의.
→ 상대방에 대한 비방, 무장도발 금지
→ 서울과 평양사이에 직통전화 가설
→ 남북조절위원회 구성, 운영 합의
(4). 6․23 특별선언(1973) → ‘평화통일 외교정책에 관한 특별선언’, UN의 동시가입 제시.
(5). 남북 상호 불가침 협정 체결(1974.1.18)
(6). 평화통일 3대 기본원칙(1974.8.15)→남북간 불가침협정 체결, 남북대화의 성실한 이행, 토착인구 비례에 의한 자 유총선거 실시.
(7). 대 북한 식량원조 제의(1977)
(8). 남북경제 협력협의기구 설치 제의(1978)
(9). 무조건의 대화 재개 제의(1979)
2. 5공화국의 정책
(1). 남북한 당국의 최고책임자 상호방문 제의(1981.1.12)
(2). 민족화합 민주 통일방안 제시(1982.1.22) →민족통일협의회의 구성, 통일헌법의 기초, 국민투표로 확정, 총선거 실시.
(3). 20개 시범 실천 사업 제의(1982)
(4). 남북한 고위대표 회담 제의(1982)
(5). 남북한 당국 및 정당․사회단체 대표회의(1983)
(6). 남북한 경제회담 제의(1984)
(7). 남북 적십자회담의 재개(1985) → ‘이산가족 고향방문단 및 예술공연단’의 교환에 합의하고 실시.
3. 6공화국의 정책
(1). 한민족 공동체 통일방안 제의(1989.9.11)
4. 김대중 정부의 통일 정책과 6․15 공동 선언 → 남과 북은 통일문제를 자주적으로 해결한다.
→ 남측의 연합제안과 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안이 서로 공통점이 있음을 인정하고 이 방향에서 통일을 지향시킨다.
→ 가족,친척등의 방문단교환, 비전향장기수 문제등 인도적 문제를 조석 히 해결한다.
→ 경제협력을 통하여 민족경제를 균형적으로 발전시키고, 사회․문 화․체육․보건․환경 등 제반 분야의 협력과 교류를 활성화하여 서로의 신뢰를 다진다.
→ 남과북은 이상과 같은 합의사항을 조속히 실천에 옮기기 위해 빠른 시일 안에 당국 사이의 대화를 개최하기로 하였다.
'한국사 > 근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현대사 요약 총정리 - 1. 근대사 (0) | 2019.04.06 |
---|---|
근대 사회문화사 요약 (0) | 2019.03.17 |
근현대사 정리 요약 표 (0) | 2018.12.25 |
근대사 개혁안 총정리 - 갑신 14개조, 동학(사발, 폐정), 갑오개혁[1차, 홍범, 2차, 3차(을미)], 독립협회(헌의6) (1) | 2018.12.13 |
근대사 12 - 문맹퇴치, 민립대학, 물산장려, 소작쟁의, 원산노동자총파업, 조선공산당, 6.10만세, 광주학생운동, 신간회, 병참기지화, 국가총동원 등 (0) | 2018.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