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의 대외관계

(1) 고려전기의 외교정책:북진정책, 친송정책

(2) 경과:중국세력의 변화와 집권세력의 이해관계에 따라 전개

한 족 ()

거란족(, 10세기11세기 전)

여 진 족 (, 12세기)

몽 고 족 (, 13세기)

왜구, 홍건적 (14세기)

1)광종 때 수교

목적

고려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군사적

2)무력충돌이

없음

 

 

1)태조:만부교사건

2)정종:광군의 설치

3)침입과정

1(성종,993):서희

고려가 고구려의 후예임을

인정받음

강동6의 차지

(국경선이 압록강까지 확장)

2(현종,1010)

강조의 정변을 계기로

강동 6주를 넘겨줄 것을 요구

개경의 함락

양규의 선전

3(현종,1018):강감찬

귀주대첩의 승리(1019)

4)결과

고려, , 거란의 세력균형유지

외교관계의 수립

천리장성의 축조(압록강 어귀

동해안의 도련포)

목적:거란,여진의 방어

나성의 축조(개경)

7대 실록의 편찬

초조대장경의 조판

1)처음:무력행사

별무반(윤관)

구성

신기군

신보군

항마군(승병)

결과:“9의 축조

1년 만에 돌려줌

수비의 어려움

여진의 조공 약속

거란족과의 대치

2)금의 건국(1115)

군신관계(사대)의 요구

이자겸이 정권 유지를

위해 수락

북진정책의 좌절,

귀족사회의 분열

1)강동성의 역(1219):몽고와의 첫 접촉(무력충돌×)

2)대몽항쟁

내용

1차 침입:귀주에서 박서가 저항

2차 침입

-최우:강도(강화도)로 천도,팔만대장경의 조판

-김윤후:처인성

일반 민중:충주 다인철소,처인 부곡의 승리

삼별초의항쟁:강화도진도(용장성)제주도

(127073) ↑ ↑

배중손 김통정

결과

고려의 주권과 고유한 풍속의 유지

부마국의 지위

1)북적:홍건적의 침입

공민왕 때 두 차례의 침입으로 개경 함락

정세운,안우,이방실,최영 등이 분전

2)남적:왜구의 침입

외교적 교섭:정몽주,김일실패

무력토벌의 전개

최영:홍산대첩

이성계:황산대첩

정지:관음포대첩

최무선:화통도감의 설치진포대첩

박위:쓰시마섬의 토벌(이종무:세종)

결과

전국 해안지방의 황폐화

신흥무인세력의 성장

3)원의 간섭기

문화재의 소실:황룡사 9층 목탑,부인사 대장경판

영토의 상실:쌍성총관부,동녕부,탐라총관부

관제의 개편,격하-중서문하성,상서성첨의부

-64(이부,예부:전리사,공부:폐지)

행정의 간섭:정동행성순마소만호부의 설치,다루가치의 파견

경제적 수탈:결혼도감의 설치,특산물의 징수,응방의 설치

문화와 풍속의 교류:몽고풍, 고려양(두루마리,생채,병 등)

활발한 신분 상승:전공,몽고귀족과의 결혼,몽고어에 능숙 등

개혁의 추진

충선왕 토지제도와 수취체제의 폐단 시정 추진

개혁추진세력의 미성장,원의 간섭을 인정한 상태에서 추진실패

충목왕

친원파를 몰아내면서 권세가들의 경제기반을 약화시키려는 개혁 추진

권문세족의 반발과 원의 간섭실패

공민왕(14세기)-중국:명교체기

반원자주정책=친명정책의 추진(명의 연호 사용)

-정동행성의 이문소 폐지,요동지방의 공략,몽고풍의 폐지

-쌍성총관부의 철폐:철령이북의 땅 수복

왕권강화정책=권문세족의 억압

-정방의 폐지인사권의 장악

-전민변정도감의 설치:신돈의 등용

-성균관의 정비,과거제도의 실시신진사대부의 등용

원의 압력,권문세족의 반발,개혁추진세력의 미약실패

 

[ 1절 친원정책과 권문세족 ]

 

1. 에의 굴복

일본원정 - 충렬왕 즉위년(1274), 7(1281)

원의 공주를 正妃로 맞음

3첨의부(僉議府), 중추원(추밀원) 밀직사(密直司)

이부+예부 전리사(典理司), 호부 판도사(版圖司)

병부 군부사(軍簿司), 형부 전법사(典法司)

 

2. 대원관계의 발전

정동행성 설치 (충렬왕 6,1280) 일본원정 목적, 원의 연락기구

- 좌승상에 고려국왕 임명 내정간섭

영토의 일부를 빼앗김

- 쌍성총관부 : 화주(영흥), 철령 이북 땅 공민왕이 무력으로 수복

- 동녕부 : 서경, 자비령 이북 󰠏󰠈

- 탐라 총관부 : 제주도 󰠏󰠍→ 곧 반환

 

3. 권문세족과 농장·노비

친원세력의 형성 권문세족으로 발전, 막대한 농장·노비 소유

권문세족들의 도평의사사 회의에 참석

전시과 붕괴후 녹과전 제정 (원종 12,1271) - 경기 8현의 토지를 현직자에게 분배

권문세족들의 관심을 끌지 못함

농장 : 귀족들의 사유지에서 발전 - 면세·면역의 특권

- 개경에 사는 不在地主, 토지겸병으로 전호들은 여러명에게 부담

 

 

[ 2절 신흥사대부 세력의 성장 ]

 

1. 신흥사대부의 진출

사대부 : 학자적 관료

- 과거를 통한 정치 진출

- 軍功등으로 신분상승 (閑良)

- 무인정권에 의해 귀족정치 붕괴후 등장, 무인정권 타도후 활발한 정치적 진출

 

2. 공민왕의 개혁

공민왕 (13511374) - ·명 교체기에 즉위

- 친명·반원 정책, 권문세족 억압

정동행성 폐지, 쌍성총관부 무력 탈환

정방 폐지 : 인사권 장악, 왕권견제, 신흥사대부 진출 억제 해소

전민변정도감 설치 (공민왕 15, 1366)

 

 

[ 3절 조선 왕조의 성립 ]

 

1. 이성계의 집권

홍건적의 침입 : 공민왕 8(1359), 10(1361)

- 개경 점령, 공민왕 안동으로 피난

왜구의 창궐 : 충정왕 2(1350) 이후 漕運 방해

무장세력 등장

- 최영, 이성계, 정지 왜구소탕

- 최무선 화포 사용 (화통도감)

- 박위 대마도 정벌 (창왕 원년,1389)

명의 철령위 설치 (옛 쌍성총관부) 요동정벌 위화도 회군

 

2. 전제 개혁

공양왕 옹립 (1389) - 이성계, 정도전, 조준

귄문세족, 불교의 사원세력 배척 막대한 농장 소유

새로운 양전 작업 (창왕 원년,1389), 종래의 公私田籍 불살라 버림 (공양왕 2,1390) 과전법 공포 : 공양왕 3(1391)

- 경기도에 한하여 관직에 따라 분배

- 경기도 이외의 지역은 公田으로 편입 농장 몰수

조선왕조의 경제적 기초

 

3. 조선왕조의 성립

이성계 왕위 등극 (공양왕 4,1392)

 

 

[ 4절 신흥사대부의 문화 ]

 

1. 성리학의 전파

경사교수도감 설치 (충렬왕) : 사장·훈고 경학·史學

성리학의 도입 : 안향

- 백이정, 이제현, 이숭인, 이색, 정몽주, 길재, 정도전, 권근

주자가례에 의하여 家廟 세움

 

2. 史學

고려실록 : 현종(10091301)때 태조목종까지 칠조실록 편찬··․ → 不傳

인종 23(1145) : 김부식 삼국사기

의종 (11461170) : 김관의 편년통록不傳

고종 (12131259) : 각훈 해동고승전” - 교종 입장에서 불교 정리

충렬왕 (12741308) : 원전 고금록”, 정가신 천추금경록不傳

일연 삼국유사”, 이승휴 제왕운기단군을 시조

충선왕 (13081313) : 민지 본국()편년강목不傳

공민왕 (13511374) : 이제현 史略不傳, 일부 史論만 현존

 

3. 景幾體歌長歌

경기체가, 어부가 : 무인정권기 사대부들의 귀족문학

- 제유 한림별곡”, 안축 관동별곡”,“죽계별곡

장가 : 작자 미상의 민중문학

- “청산별곡”,“서경별곡”,“가시리”,“정읍사”,“동동”,“쌍화점

 

4. 미술

현존 목조건물 : 고려 중기 이후, 주심포 양식

- 13세기 : 안동 봉정사 극락전 - 현존 最古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 14세기(고려말) : 영주 부석사 조사당

덕산 수덕사 대웅전

- 조선초기 : 서울 남대문

회화 : 문학화, 낭만적

- 흑죽, 은일도, 유연계회도, 사군자도 유행

- 이규보, 이제현 등 詩畫일치론주장

- 공민왕 천산수렵도”, 혜허 수원관음도(양류관음도)”

부석사 조사당 벽화 천왕상도”, 수덕사 벽화 수화도”, 신광사 오백나한도

석탑

- 개풍의 경천사탑 : 대리석 사용 원의 영향

石浮屠 : 石鐘 형식의 소박한 형태로 변함

- 여주 신륵사 보제사리석종

목조공예품

- 하회탈

서예 : 조맹부의 우아한 송설체 유행 조선시대 계승

- 충선왕때 이암

 

5. 과학과 기술

농업 기술의 발전

- 시비법, 수리시설(제방,) 休閑法 극복, 연작법 시행

- 중국 농업기술, 이암이 원의 농상집요간행

衣料의 발전

- 공민왕 (13511374)때 문익점 : 삼베·모시·명주 무명

의학의 발전

- 전통적인 향약 연구개발

- 고종 23(1236) “향약구급방현존 最古 의학서

- “삼화자향약방” - 임상서

화약의 제조

- 최무선 : 우왕 3(1377) 화통도감 설치 창왕(1389)때 폐지

인쇄술

- 활판인쇄 : 고종 21(1234) “상정고금예문” -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 不傳

-공양왕 4(1392)에 국가에서 서적원 설치

 

 

[ 1절 무인의 집권 ]

 

1. 무신의 반란 (12세기 후반)

무신에 대한 천대, 군인들의 불평

무신의 반란 : 의종 24(1170) 정중부,이의방,이고

 

2. 무인간의 정권쟁탈

重房을 중심으로 정치

정치·경제적 장악 군사력 확장 실력에 의한 정권교체

이의방이 이고를 제거하고 집권

정중부의 득세 경대승에 의해 피살 (경대승 都房 신설하여 안전도모) - 병으로 사망

이의민의 집권 최충헌·최충수 형제에게 살해 (명종 26,1196)

 

3. 최충헌의 집권

독재정권 수립 : 최충수,박진재 제거

명종·희종 폐하고, 신종·희종·강종·고종 옹립

사원 세력 억압

농민·노비의 봉기 진압

- 토벌 및 회유 (관직, ··부곡등을 현으로 승격)

아들 최이()에 이르러 무인정권 정비

 

 

[ 2절 농민과 노비의 봉기 ]

 

1. 민란의 발생

농민들의 流民化 경향 - 12세기 초 예종(11051122)때부터

개경에서 가까운 지역에서 심함

명종 2(1172) : 서계(평안도) 창주(창성성주(성천철주(철산) 지방

지방관의 횡포 묘향산을 근거로 지속 (조위총)

” 6(1176) : 공주 명학소에서 망이·망소이의 난 공주·청주·아산 일대 점령

” 12(1182) : 전주에서 군인과 관노의 반란 전주 점령

 

2. 민란의 발전

명종 23(1193) : 운문(청도)의 김사미, 초전(울산)의 효심의 반란 연합화 경향

밀성(밀양)의 싸움에서 패함

반란군들의 연합전선 - 10여년 지속 신분질서 개혁, 정권탈취 목적으로 발전

신종 원년(1198) : 개경에서 만적의 반란 - 노비들의 신분개혁, 정권탈취

 

 

[ 3절 최씨 무인정권 ]

 

1. 사병의 양성

도방의 확대 신변호휘 목적

마별초 조직 - 기병부대(의장대)

삼별초 - 야별초(좌별초,우별초),신의군 경찰·전투 등 공적인 임무

- 6위의 유명무실화 영향으로 창설

- 최씨의 사병같은 존재

사유지 확대 - 사병 양성의 경제적 기반

 

2. 최씨정권의 지배기구

중방 - 무신란 직후 정권행사

흥녕부 (최충헌) : 도방·정방·서방으로 구성 권력행사 기구

- 정방 (최이) : 인사기구

- 서방 ( ” ) : 문인들로 조직

 

 

[ 4절 몽고와의 항쟁 ]

 

1. 무인 정권의 대몽항쟁

고종 18(1231)에 제1차 침입 몽고사신 피살

- 사례탑 귀주를 돌아 개경 압박 고려가 강화 요청

최이 몽고와 항쟁 결의, 강화도로 천도 (고정 19,1232)

30년간 6차례 침입

 

2. 농민의 항쟁

초기에는 농민·천민들이 강한 대몽항쟁 펼침

농촌의 황폐화로 농민생활 곤란

강도(강화)정부의 가혹한 수취

 

3. 무인정권의 몰락과 대몽강화

농민들의 지지 감소

대장경 재간행 : 해인사 고려대장경불력에 의존

* 현존 고려 대장경은 몽고 침입을 막으려는 염원에서 만들어짐 (원본은 거란 침입)

 

 

[ 5절 무인정권 시대의 문화 ]

 

1. 설화 문학과 서사시

설화 문학의 유행

- 임춘 공방전” : 돈을 의인화

이곡 죽부인전” : 죽부인을 의인화

이규보 국선생전” : 술을 의인화

이인로 파한집”, 이규보 백운소설”, 최자 보한집

서사시 : 민족의식 양양

- 이규보 동명왕편

 

2. 조계종의 성립

지눌 (보조국사) : 선종을 로한 교·선 통인

- 돈오점수를 중심 취지 (인간의 마음이 부처님의 마음, 깨달음을 꾸준히 실천)

왕실·문신귀족과 결탁 거부 무인정권에 의해 옹호

* 교종 : 공덕 쌓음으로써 현실세계에서 이익 추구

心性의 도야 강조 성리학의 터전 구실

 

[ 1절 고려 귀족사회의 성립 ]

 

1. 귀족정치의 지향

광종의 개혁 - 과거에 합격한 문벌없는 학자, 중국인 중용 광종 사망후 제거

신라 육두품 계통의 유학자 득세

- 중앙 집권적인 귀족사회 목표, 왕권의 전제화 반대

- 최승로 : 28조의 時務策

성종 (981997)

- 중앙에서 지방관 파견

- 향직 개혁 (향리제도 실시 의미) 지방호족들의 지위 격하

- 지방호족들을 중아 귀족으로 흡수 노력

- 혈통을 중시하는 신분제 사회

 

2. 귀족사회의 확립

문벌귀족 형성 : 육두품 출신, 지방호족

가문의 세력 (문벌) 확장 혼인을 통해서 외척세력으로 성장

 

3. 신분체제의 재편성

일정한 범위의 친족을 단위로 세습됨

음서제도 : 5품 이상 문·무반 - 아들 1명에게 관직을 줌

군반, 향리는 자손이 그 직책 세습 영업전 지급

신분 변동 빈번 과거시험

- 향리문반, 군반출신 군인무반

백정(양인),노비 군반걸쳐 무반으로 상승 가능

 

 

[ 2절 귀족적 통치기구 ]

 

1. 정치기구 - 성종 2(983) 문종 30(1076)

1) 중앙

3체제 :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

- 중서성+문하성 = 중서문하성 or 宰府

중서문하성(재부) : 2품이상 재신 - 정책결정

3품이하 郎舍 - 간쟁기능

상서성 : 정책시행 담당

- 6: 이부(문관의 인사), 병부(무관의 인사,군사,郵驛)

호부(호구와 조세), 형부(법률,소송)

예부(의례,외교,교육,과거), 공부(山澤,工匠,營造)

산택,공장,영조

중추원(추부) : 성종때 처음설치, 왕명출납과 군기의 장악

추밀원(樞密院)으로 바뀜

재신, 추신 : 재추회의 (도당)

어사대 (사헌부) : 정치의 잘잘못을 논하고, 관리의 잘못 규탄

어사대 + 낭사 : 臺省 - 서경(署經)권한 (관리의 임명, 법률의 개폐) 왕권제약

2) 지방

12: 성종 2(983) - 최초의 중앙관 파견

5- 현종 9(1018)

- : 안찰사(按察使), (() 설치

- : 병마사(兵馬使), () 설치

3: 開京(개성), 西京(평양), 東京(경주)南京(서울) 풍수지리설

5都護府 : 안동,안남,안서,안북,안변 군사적인 방비의 중심지

안동과 안남은 후에 폐지

중앙관 파견 : 고향 지방에 장관으로 임명될 수 없음, 일정기한 설정

長吏(鄕吏) : 일반 국민과 접촉하는 실제적인 행정사무 담당

토착세력(향리제도) 억제 : 사심관(事審官)제도, 기인제(其人制)

- 사심관 : 그 지방 출신의 중앙관리를 사심관으로 임명

- 기인제 : 그 자제들을 인질로 상경 숙위(宿衛)케 함

 

2. 군사조직

1) 중앙군 : 26

6: 성종 14(995)경에 형성

- 좌우위, 신호위, 흥위위 : 수도 개경 수비, 변방에 대한 방술(防戌) 임무

- 금오위 : 경찰

- 천우위 : 의장

- 감문위 : 대문의 수위

2: 6위보다 우위, 6위보다 약간 늦게 형성

- 응양군, 용호군 : 국왕의 친위군

지휘관 : ·대장군 중방(회의기구)

26위는 총 45으로 구성

- (보승,정용,역령,상령,해령,감문위령)

- 지휘관 : 장군 장군방(회의기구)

2) 지방군

光軍 (정종 2,947) 州縣軍으로 개편

: 마다 사군,좌군,우군의 정규군 주둔

: 보승·정용 - 치안, 방술

一品 - 공역 (노동에 동원)

 

3. 과거와 음서

과거 : 제술업, 명경업, 잡업

- 제술업 : ···등 문학 󰠏󰠇󰠏 문신등용, 제술업 중요시

- 명경업 : “”,“”,“”,“春秋등 유교경전 󰠏󰠎

- 잡업 : 명법업·명산업·의업·축금업(점업지리업 - 기술관 등용

- 무신등용 과거 시험은 공양왕(마지막 왕)때 실시

- 良人이상 시험 자격, 천민, 승려의 자식은 응시못함

- 심험관 : 지공거(知貢擧)

음서제도

- 문음(門蔭) : 5품이상 관리의 자손에게 관직허락

- 공음(功蔭) : 공훈이 있는 관리의 자손에게 관직허락

특정 가문의 세력을 확대시키는 구실도 됨 ( : 仁州 李氏 )

 

4. 교육기관

국자감 (성종 11,992) : 일종의 종합대학

- 인종(11221146)京師6으로 정비 (국자학,태학,사문학,율학,서학,산학)

* 국자학(3품이상),태학(5품이상),사문학(7품이상) - 5經學을 배움

율학,서학,산학 - 8품이하 관리의 자제, 庶人 입학

성종때 지방자제 상경시켜 교육 실패

경학박사·의학박사 지방에 파견 향교로 발전

 

[ 3절 귀족사회의 경제구조 ]

 

1. 토지제도

역분전 (태조 23,940) : 통일뒤의 논공행상

전시과

- 경종 원년(976) : 다원적인 원칙 (관품,인품,···)에 의해 지급

- 목종 원년(998) : 성종때의 관제를 기준으로 18로 구분하여 토지와 柴地 지급

- 科田 : 관리에 대한 보수 사망시 반납

의 수취 국가에서 관장, 직접수취 허락되지 않음

공음전 : 5품이상 관리, 세습허용한 영업전

의 직접 수취 (사유지 성격이 강함)

- 문종(10461083) : 공음전시과의 지급, 전시과를 개정 확립

외역전 : 향리, 세습이 되는 영업전 향역이 세습

의 직접 수취

군인전 : 군인, 세습가능 군역이 세습

- 군역을 이을 자손이 없으면 반납

구분전 지급 (전쟁 미망인, 군인유족, 생계유지 못하는 관리)

내장전 : 궁성에 소속, 왕실의 사유지

공해전 : 관아의 비용 충당

사원전 : 사원 소유 (영업전이라 부르지는 않음)

 

2. 귀족의 경제 기반

귀족들의 세력이 강해지면서 과전의 세습화, 의 직접 수취

사유지를 넓혀감 - 병작제에 의한 수확고의 1/2 수취

장생고 : 殖利(고리대업) - 귀족,국가,사원

() - 이자의 취득으로 운영

- 학보 : 국자감 학생의 장학

- 광학보 : 승려의 장학

- 제위보 : 가난한 사람 구제

- 팔관보 : 팔관회의 경비를 위해

殖利활동 - 곡물이나 사용

 

3. 민중의 생활

양인 농민 (白丁) - 국가로부터 토지 못받음

민전 경작 : 수확의 1/10로 국가에 바침

貢賦 부담 : 주로 로 바침 (··소금·牛皮 등 특산물)

요역의 의무 : 1660세 장정, 공사동원

·部曲····거주자 - 양인 농민보다는 천대 양인화

- ·부곡 : 농업

- : 수공업

- ·: 교통기관

- : 숙박소

노비계층 - 외거노비의 증가 양인으로 신분상승

- 화척(양수척, 조선시대의 백정), 재인(조선시대 광대) 포함

구제기관 근본적인 대책은 못됨

- 제위보 : 가난한 사람 구제

- 동서대비원 : 빈민이고 병든자 구호·요양

- 혜민국 : 약을 제공

- 의창 : 흉년에 빈민 구제

- 상평창 : 물가조절

 

 

[ 4절 대외정책 ]

 

1. 거란과의 항쟁 (契丹,)

태조 : 청천강까지 국경선 확장, 북진정책

정종 : 서경천도 계획 실패

光軍 조직 - 거란 침입 대비

성종 12(993) : 1차 침입 (소손녕)

- 서희의 외교활동 압록강 동쪽 영토화 (강동6)

현종 원년(1010) : 2차 침입 (성종)

- 강조의 패배, 거란의 개경 점령 현종 나주 피난

현종 9(1018) : 3차 침입 (소배압)

- 감감찬 활약

현종 10(1019) : 평화적인 관계 유지

 

2. 여진정벌 및 과의 관계

천리장성 축조 : 덕종 2(1033) 정종 10(1044), 거란·여진 침입 대비

별무반(別武班) 편성 - 숙종

- 신기군, 신보군, 융마군(승병)

여진정벌 : 예종 2(1107)에 윤관에 의해 단행 9축조

9환부 (예종 4,1109)

여진 통일, 건국 : 예종 10(1115)

에 굴복 : 인종 4(1126) 이자겸 정권유지 위해

금의 고려에 대한 군사적 침략은 없었음

 

3. 과의 관계 : 일시적 단절있었으나 대체로 우호 교류관계

수출 : ···인삼·(원료품), 종이···부채(수공예품)

수입 : 비단··자기·약재·향료·악기

- 고려 목판 인쇄에 영향

- 자기 고려 청자에 영향

아라비아 상인과 교류 : 예성항, 수은·향료·약품 수입

 

 

[ 5절 문신귀족의 문화 ]

 

1. 유교와 사학

사학의 발달 고려 귀족들의 문벌존중 풍조

구제학당(최공도,문헌공도) - 문종(10461083)때 최충

12형성 : 국자감보다 선호, 학벌 형성

관학의 진흥책

* 예종(11051122)

- 7(or ) 설립 : “주역 - 여택재”, “상서 - 대빙재”, “毛詩 - 경덕재”,

周禮 - 구인재”, “대례 - 복응재”, “춘추 - 양정재”,

武學 - 강예재강좌

- 양현고 설치 : 장학재단

- 궁성안에 청연각, 보문각 설치 : 經史연구

* 인종(11221146)

- 경사 6학 설립

삼국사기 편찬 : 김부식, 기전체의 正史

유교와 불교는 서로 병존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

 

2. 대장경과 천태종

대장경의 조판 : 현종(10091031) 초년에 착수 선종 4(1087) 완성

- 거란의 2차 침입 (1010)

거란의 침입을 막으려는 염원, 불교의 교리 정리

고려대장경 : 고종때 강화에서 재 조판, 해인사 보관

의천(대각국사) : 교장도감 설치 속장경간행

- 교종과 선종의 일치 주장 (천태종)

- 대장경 : 교종의 교리를 정리 (선종 관계 서적은 없음)

- 고려의 귀족들은 교종 추종, 선종도 여전히 성행

천태종의 성립 교종(화엄종)과 선종의 분열과 대립 해소를 위해 (교종위주)

 

3. 불교와 귀족사회

功德사상 : 국가나 개인의 현세에 있어서의 행복을 좌우하는 현세이익의 종교로 인식

많은 사찰과 불교행사

上元(115)의 연등회, 仲冬(115)의 팔관회

- 祈福道場(국왕생일), 忌辰道場(국왕의 기일), 석가탄신일 법회(48)

菩薩戒道場(6/15,국왕의 보살계), 㿻蘭盆道場(7/15,부모명복)

除夜道場(12/30), 仁王會(국가의 평안 기원)

과거제도에 승과제도 창설

- 敎宗選(승통), 禪宗選(대선사)

의 의무에서 면제 승려의 수 늘어남

사원전 - 면세의 특권, 경제적으로 부유 佛寶·장생고 운영, 상업·양주·목축 시행

승병양성(재산보호 목적) 정치적 간섭

 

4. 문학과 음악

고려 초기에는 신라향가 이어짐 소멸

- 균여 보현십원가” 11

한문학 성행

- 문신월과법 : 매달 를 지어바침

- 漢詩 유행

향악, 당악, 아악(에서 수입)

 

5. 미술

청자 - 宋磁의 영향 받음

청동제품 : 은상감향로, 정병(淨甁), 촉대, 거울

石浮屠 : 충주 정토사의 홍법국사 실상탑 (현종 8,1017)

원주 법천사의 지광국사 현묘탑 (선종 2,1085)

석탑 : 개풍의 현화사 7층탑, 오대산 월정사 9층탑, 익산 왕궁리 5층석탑

불상 : 영주 부석사의 아미타소상

회화 : 인종때의 이녕·이광필 부자

서예 : 문종때의 유신, 인종때의 탄연, 고종때의 최이() (+ 신라 김생 = 신품사현)

- 간결한 구양순체 환영

 

 

[ 6절 귀족사회의 동요 ]

 

1. 이자겸의 난 (12세기 초)

이자겸의 득세 : 仁州 李氏

척준경에 쫓겨 귀양 (인종 5, 1127)

 

2. 묘청의 난

인종 5(1127) 15조의 개혁령 : ‘이자겸의 난이후 왕권강화 노력

묘청의 난 (인종 13,1135)

- 묘청·백수한·정지상 등 서경인 (서경파,풍수지리설파)

- 김부식(개경파,유학파,사대파)에 의해 진압

 

<고려시대의 토지제도>

 

문종 경정전시과 ~ 무관우대, 녹과전(전시과의 보완책), 한외과 폐지, 공음전 지급시작

국가·관청이 거둬 가면 공전, 양반·사원이 거둬 가면 사전.

군인전, 외역전, 공음전, 공신전, 내장전~ 영업전(면세+세습)

내장전과 공해전은 공전.

 

<고려시대의 대외무역>

 

조선의 대외정책이 새대교린정책인데 비하여 고려는 친송북진정책

고려는 문화적·경제적 이득을 위해, 송은 정치적·군사적 목적

송나라의 영향으로 인쇄술의 발달, 대성악의 전래, 도자기의 발달, 은입사 기술

송인은 월정대도

은은 대송무역에서는 수출품이나 거란에는 수입품

일본과는 활발한 무역을 하지 못함

 

<조계종과 천태종>

 

천태종

조계종

고려전기(숙종)

교관겸수

의천(원효의 화쟁사상을 계승)

지관(생각중단, 지혜로서 사물관조)

왕실, 귀족

안정기

화엄종으로 교선을 통합

신편제종교장총록

정화운동:백련사묘련사

중심사찰:국청사

고려후기

선중중심, 선교겸수

지눌

정혜쌍수, 돈오점수

무신

혼란기

조계종으로 교선을 통합

9산선문 통합

정화운동:수선사

중심사찰:송광사

 

초기~5·9산의 사상적 대립이 계속됨, 광종, 제관(천태사교의 저술), 의통

중기~의천(천태사교의주 저술), 교관겸수

 

불교 종파의 형성된 시기 시대순~정토종, 선종9, 천태종, 조계종

 

<고려시대 여성의 삶>

 

균분상속제도는 경국대전에도 명시되어 조선후기까지 이어졌으나 무시됨.

18세 전후하여 혼인이 가능했고 근친혼과 동성혼이 성행하였다.

일부일처제가 원칙이었으나 왕실을 중심으로 한 귀족은 일부다처제와 축첩이 폭넓게 허용.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

 

최질·김훈의 난(무신란 선구 1014)이자겸의난(십팔자위왕 도참설 1128)묘청의 난

(1135)무신의 난

11세기 거란, 12세기 여진, 13세기 몽고, 14세기 왜·홍건 이 괴롭힘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이 좌절된 직후 나타난 역사학의 경향은?? 유교사관에 입각한 신라 계승의식이 강한 사서가 편찬되었다. (사대화, 보수화경향)

고려의 분사제도란?? 묘청의 난이 일어나게 된 원인, 개경과 비슷한 기구를 두어 서경을 우대한제도, 정종대에는 중요성을 인정하여 천도계호기을 세우기도 하였다. 서경의 중시와 북진정책 때문이었다.

 

<무신의 정권 쟁탈전>

 

정중부(중방정치)경대승(도방설치)이의민(중방정치)최충헌(도방강화, 교정도감설치)

정방(인사권), 서방은 최우가 설치 문인등용.

최씨정권의 성격문무합작 정권, 항몽자주정권, 관료적 성격

 

<고려후기 사회의 동요>

 

무신의 난 1170

무신의 난 이후 난의 성격은 문신의난(김보당, 조위총), 하극상이다.

김보당·조위총의 난공주명학소의 난(··부곡의 폐지 현상이 대두)전주관조의 난김사미·효심의 난만적의난진주 노비의 난신라부흥운동(동경의 난)고구려 부흥운동(최광수의 난)백제부흥운동(이언년의 난)

무신난의 결과~민란의 발생, 전시과의 붕괴, 무인의 독재정치, 설화문학(패관문학)대두

 

소중화의식은 조선시대에 등장

왜구, 홍건족과의 싸움~홍산싸움-최영, 진포싸움-최무선, 황산싸움-이성계,

관음포싸움 - 정지, 대마도 정벌-박위

 

<신하들이 올린 문서>

 

신라~최치원 시무10신라개혁안

고려~왕건 정계1, 계료백서8신하의 도리

최승로 시무285조정적평 태조~경종까지의 치적을 평가

최충헌 봉사10조 고려명종

조선~이항로:척화주전론-병인양요

최익현:5불가소-강화도 조약시

창의투적소-을사조약시

홍재학:만언척사소-신미척왜운동

이만손:영남만인소-조선책략유포시

유인석:격고내외백관-을미사변

 

<최충헌에 대하여>

 

조위총의 난 토벌, 강동의 역(1219 몽고와 조공의 약속), 봉사10, 만적의난, 불교의 탄압(특히 교종), 교정도감(최고의 권력 기관)설치

최우~문신우대(이인로, 이규보), 정방설치(인사), 서방설치(숙위기구), 대몽항쟁 시작(8만대장경), 강화도로 천도

최우때부터 항몽정책 시작.

 

<원간섭기의 고려>

 

순마소~고려인의 항몽투쟁 감시, 개경의 치안담당

정동행성 설치, 부속기구로서 이문소가 불법적인 사법권행사로 작폐심함

쌍성총관부(철령공민왕때 탈환), 동녕부(자비령), 탐라총관부(목마장)충렬왕때 탈환

원간섭기의 관직 격하 : 이부,예부전리사, 호부판도사, 병부군부사, 형부전법사, 중추원밀직사, 3첨의부, 국자감성균관

 

<충선왕의 개혁정치>

 

정방폐지, 사림원설치, 의렴창설치(소금, 철 전매), 전농사를 설치하여 농무사파견,

만권당설치(이제현), 관제복구시도, 조세제도를 폐지하여 농장에 징세, 심양왕에 최초로임명

 

<공민왕의 개혁정치>

 

신진사대부의 정계진출 시작, 원명교체기를 이용한 친명외교정책, 권문세족 숙청

공민왕~ 자제위 설치, 신돈, 조종입법(고려전기체제로 복귀), 쌍성총관부 회복, 몽고풍일소, 정동행성폐지, 전민변정도감, 관제복구, 동녕부공격, 경학, 과거정비

자제위는 공민왕의 개혁정치와 역행함!!

 

<고려말 개혁기구>

 

충렬왕 : 전민변전도감

충선왕 : 사림원~인사행정 관할, 한림원의 기능, 정치고문 담당, 이승휴를 비롯 과거급제자 기용, 전농사농무사 파견~농장혁파, 노비감찰

충숙왕 : 찰리변위도감

충목왕 : 정치도감

공민왕 : 전민변전도감신돈기용, 토지와 노비정리

창왕 : 급전도감~조준의 사전 개혁안에 의거 전국 토지를 먼저 측량후 설치, 공사전적을 소각하여 구세력의 경제기반 박탈, 과전법 시행기구, 과전법 공포는 공양왕때

전민변전도감은 원래 고려 원종때 만들어진 기관이나 유명무실하다가 충렬왕때 재설치되었고 공민왕때 또다시 설치되어 활발한 개혁정치의 중심기구가 되었다. 한자의 상이는 동어반복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되며 보통 전민변정도감 이라 하면 공민왕의 개혁기구로 이해함이 무난. 그러나 처음 설치는 아니다

 

 

<고려의 유학과 역사학>

 

고려의 고구려 계승의식~ 서희의 거란과의 담판, 서긍의 고려도경, 공민왕의 북진정책, 이성계가 전주등에 붙힌 포고문

고려초기는 고구려 계승의식, 고려 중기는 신라 계승의식, 무신집권기는 고구려 계승의식, 대몽항쟁기와 고려말기는 고조선 계승의식

신흥사대부의 성라학적 관념, 원부·허공의 고금록, 민지의 본조편년강목,

정가신의 천추금경록, 이제현의 사략

고려시대 역사서적은 전기에 유학의 발달과 더불어 편년체, 기전체등의 유교적 역사서술체계가 확립되어 많은 역사서적이 편찬, 후기 무신난, 대몽항쟁이후 자주의식을 바탕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목적으로 편찬

고려 태조 왕건의 가계와 역사를 가장 상세하게 정리한 고려시대 역사서~편년통록

 

<고려의 문학>

 

소설의 형성과 발달 : 설화패관문학가전체고대소설신소설현대소설

고려시대는 국문학이 위축되고 한문학이 가장 융성하던 시대였다.

고려중기 사대적, 보수적...

경기체가(한림별곡, 죽계별곡, 관동별곡)는 사림의 문학.

청산별곡은 민중들의 고려가요

고려속요와 경기체가는 3음보, 분절체, 후렴구 발달이 공통점

 

김대문은 진골 출신으로 우리나라의 역사와 전통에 자부심을 갖고 우리문화를 주체적으로 인식, 화랑세기

최치원은 유교정치이념을 강조하였으며 중국문화를 모방하는 단계

김생은 신품사현(최우, 유신, 탄연, 김생)의 하나, 왕희지체, 해동서성, 해동필명으로 불림, 원화첩(통일신라시대 그의 글씨를 모은책, 부전), 집자비문

우리나라 최초의 설화는 박인량의 수이전

 

<문화와 예술의 흐름>

 

발해문화는 고구려보다 부드러우면서도 웅장하고 견실한 기풍

고려 지방문화~ 관촉사 석조미륵보살, 토기, 둔마리 고분벽화, 운주사 석불과 석탑

고려의 귀족문화와 지방문화의 공통점은 유교문화와 불교문화의 융합, 지방호족들이 문화의 주인공으로 등장, 문화의 폭이 넓어짐, 공예미술이 발달(나전칠기, 고려자기, 불교미술)

조선 15C 인물, 산수화유행

16C~17C 사군자, 초상화 유행, 서정적 산수화풍

18C~19C 진경산수화, 서양화법도입, 문인화 유행, 실학적 화풍발달

중국에서 전래되어 우리나라에서 더욱 발전된 문화나전칠기, 대성악

고려 (월화수목 아 임송경 농성)

화약, 수시력, 목화, 아라비아 문화, 임제종, 송설체, 경천사지 10층석탑, 농상집요, 성리학

고려시대의 건축, 예술 중 신라시대의 전형적 양식에서 그대로 계승한 것은~ 범종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구별>

 

삼국사기~김부식, 고려 인종의 명을 받고서, 기전체(50), 현존 최고의 사서, 삼국시대를 기록한 유일한 정서, 신라에 편중, 중국중심적, 구삼국사등을 참고, 북진정책을 좌절시킨 사관, 귀족사회 전성기에 저술, 사론 중심의 주관서술,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사

삼국유사~일연, 고려 충렬왕때 야사체(5), 기사본말체, 민간설화, 단국신화, 향가14, 불교입장, 민족의식 소생·자주사관, 원지배하에 저술, 고증 중심의 객관서술, 원시시대~고려시대

 

기전체(본기·세가··열전등으로 구분)~사마천의 사기, 삼국사기, 고려사, 해동역사

(본기~왕의 업적, 세가~중요 가계, ~모든제도, 열전~신하의 전기)

편년체(··일 등의 사실을 편술)~사마광의 자치통감, 삼국사 절요, 고려사 절요, 동국통감, 조선왕조 실록 실록·절요·통감은 모두 편년체

기사본말체(사건마다 발단과 결과를 실증사학적으로 기술)~통감기사본말, 삼국유사, 연려실기술

강목체(대의·세목으로 나누어 기술)~주자의 자치통감강목, 강목집요, 고려말 성리학 전래와 함께 유행

제왕운기~이승휴가 중국과 한국의 역대를 서사시, 단군의 역사와 발해의 역사가 있음

황룡사는 진흥왕때 세워졌으나 황룡사 9층탑은 선덕여왕(7C)때 건립

고로 황룡사 9층탑은 통일전에 세워짐.

 

<조선시대의 군역제도>

 

통일신라~중앙군:9서당, 지방군:10

고려~중앙군:26, 지방군:주현군

조선초~중앙군:5, 지방군:영진군

조선후기~중앙군:5군영, 지방군:속오군

개화기~중앙군:2, 지방군:속오군

 

5위는 녹봉과 품계를 같이 받음

호적을 토대로 군역대상자를 3년마다 조사하고 군역은 6년 마다 작성

 

양인개병제(15C)대립제(15C)방군수포제(18C)군적수포제균역법동포제

중앙군의 설립 순서~훈련도감(삼수미세)총융청(자비부담)수어청(자비부담)어영청금위영

체제~진관체제(세조, 군현단위 소규모 체제)제승방략체제(을묘왜변후, 도단위, 1인지휘, 총동원체제)속오군체제(임란후, 군현단위, 진관복구)영장체제(정묘호란후, 직업군인이 방위담당)

15C 의무병(부병제)에서 16C 모병제적(3수병)성격이 나타남

도시~매년 훈련도감과 병영에서 봄가을로 실시하는 무사시험

 

<농서의 변화>

 

고려말~이암의 농상집요, 독자성이 없음, 원의 것, 우경에 의한 심경법, 윤작법, 시비법발달, 일역전(1년휴한), 재역전(2년휴한) 사라짐

조선초~정초의 농사직설, 최초, 강희맹의 금양잡록, 강희맹의 시시찬요, 농종법(), 직파법(), 이앙법등장

조선중기~신속의 농가집성, 박세당의 색경, 이앙법 보급

조선후기~18C 홍만선의 산림경제, 박지원의 과농소초, 경종법등장, 이앙법 확대

19C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정병하의 농정촬요, 광작유행, 농민계층분화

 

<조선시대 농업제도>

 

현종때 제언사 설치, 정조때 제언절목 반포, 정조때 송금절록 반포하여 산림녹화 강화

담배, 고추, 호박은 일본에서 전래

지대의 변화~ 타조법도조법도전법

도지권은 매매가능

 

<고려와 조선의 화폐>

 

화폐는 널리 쓰이지 못함, 미나 포가 널리 쓰임

조선후기 숙종때 상평통보의 3차발행때 널리 쓰임

숙종때 의천의 건의로 주전도감 설치

화폐의 최초 발행시기~ 건원중보-성종, 은병-숙종, 저화-공양왕, 상평통보-인조

 

<고려와 조선의 신분제도>

 

고려의 노비는 호적에 등록하여 관리했으나 양수척, 진척, 재인, 기생은 국소수라 국역부담이 없을 뿐만 아니라 호적에 등록하지도 않았다.

노비는 원칙적으로 관직에 나갈 수 없음

국가에 대해 원칙적으로 국역 부담 없음

형부의 도관에서 노비 담당

 

조선의 노비~공노비는 순조때 해방, 사노비는 갑오개혁때 해방 결국 노비는 19세기에 모두 해방

조선의 노비는 장예원에서 노비 담당, 국초 사노비의 수가 궁노비 보다 많음, 모든 공노비는 60세가 되면 역이 면제

조선 중인의 문학작품~ 최성환의 고문비략, 이진택의 규사(서얼의 역사), 유재건의 이향견문록(서리의 저서), 이진흥의 연조귀감(향리의 역사), 조희룡의 호산외기(중인의 역사), 이경민의 희조일사(서민의 저서)

 

<신진사대부와 무인세력의 성장>

 

무인세력의 등장~홍산싸움(1376) 최영 외국침입격퇴, 진포싸움(1380) 최무선·나세 화통도감설치, 화포를 사용하여 승리, 황산싸움(1380) 이성계 왜구토벌, 관음포싸움(1383) 정지 왜구토벌, 대마도 정벌(1389) 박위 쓰시마섬 정벌

이종무도 대마도 정벌을 하지만 고려 시대가 아님.

위화도 회군(1388)과전법 공포(1391)조선건국(1392)조선 국호 사용(1394)

'한국사 > 고려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고려 무신정변과 무인정권  (0) 2019.04.07
6. 고려 문벌귀족기  (0) 2019.04.07
고려 중기, 후기 역사 요약  (0) 2019.03.17
고려 전기 역사 요약  (0) 2019.03.17
고려의 집권세력 흐름 정리  (0) 2018.12.14

고려 중,후기

 

. 귀족 사회의 동요

1. 귀족사회의 전개( 문종 의종 )

2. 귀족사회의 동요( 개경 문벌귀족 vs 지방신진세력 )

(1). 이자겸의 난(1126)

1). 배경 전기의 대표적 문벌귀족 출신의 인주 이씨

예종인종과 중복된 외척관계 형성

지방출신의 신진관료와 대립

2). 경과 척준경과 함께 국왕측근세력 제거

척준경에 의해 제거당함(전기 귀족사회의 붕괴 발단)

3). 결과 인주이씨의 몰락, 왕권의 약화, 귀족간의 대립(서경파 등장), 도참설과 서경천도설 대두

금과 유약한 사대주의 결정

 

(2). 묘청의 난(1135)

1). 배경 개경파와 서경파의 대립

2). 경과 서경천도운동의 실패, 국호를 대위, 연호를 천개, 군대를 천견충의군이라함.

3). 결과 서경세력의 몰락, 분사제도삼경제 폐지

4). 역사적 의의 북진이념의 계승 : 금의 압력에 저항, 금국정벌론

신채호의 평가 : < 조선사 연구초 >에서 조선역사상 일천년에 1대사건이라고 높이평가.

낭가불교세력 vs 유학, 국풍파 vs 한학파,

독립당 vs 사대당, 진취사상 vs 보수사상의 대결이라 칭함.

 

 

. 무신란과 무신정권( 귀족사회의 붕괴 )

 

1. 무신란의 발생

(1). 원인 귀족사회 내부의 모순 : 특권적 지위를 누리던 문벌귀족들의 자기항쟁(이자겸의난, 묘청의 난)

기성문벌귀족에 대한 신진관료의 도전.

무신정책의 모순 : 문반에 비해 무반의 차별정책, 정치권력군대권을 모두 문반이 장악.

군인들의 불만 : 농장확대와 농민의 몰락, 잡역에 혹사당함.

 

2.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화

(1). 형성기 ( 1170 1196 )

1). 특징 무인들의 연합정권, 무인정권의 불안정, 무인의 문반관직 독점

2). 전개 정중부, 이의방, 이고 : 중방정치

경대승 : 도방정치

이의민 : 천민출신, 중방정치

 

(2)확립기 ( 1196 1258 ) : 최씨 집권기

1). 특징 자체적인 권력기반 확립(교정도감, 정방, 서방)

무신과 정방을 억압하고, 문신보호의 역현상 발생( 문인들의 행정능력 이용 )

민란의 진압과 교종세력의 억압 : 선종세력과 연결 도모.

2). 전개 최충헌 : 시무 10, 도방부활, 교정도감, 농장의 확대로 경제적 기반확립.

최 우 : 정방, 서방설치, 삼별초 조직, 대몽항쟁

최항, 최의

(3). 붕괴기 ( 1258 1270 ) 김준, 유경, 임연, 임유무, 문신의 대몽강화시도, 삼별초의 저항

 

3. 무신란의 전개 김보당의 난(1173) : 동북면 병마사 김보당의 난, 의종복위운동, 최초의 반무신란

조위총의 난(1174) : 서경유수 조위총의 난, 최대의 난

귀법사의 난(1175) : 귀족의 비호를 받고 있던 교종계열 승려의 난

공주 명학소의 난(1176) :망이망소이의 난,회유책으로 충순현으로 승격, 신분해방운동

전주 관노의 난(1182)

김사미, 효심(울산)의 난(1193)

만적의 난(1198) : 최충헌의 노비출신, 신분해방운동.

민란의 발생과 성격 명종신종대의 30여년간 집중적으로 발생.

최충헌의 집권후 기세약화(무신정권이 안정기에 접어들었기 때문)

정부의 대응 : 진압과 함께 권농책실시, 조세감면등 농민안정정책.

무신집권기의 민란은 귀족중심의 엄격한 신분사회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사회체제 로 넘어가는 원동력이 되었다.

 

4.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1). 형성기의 지배기구 정권의 불안정기로 기존의 관부를 존치해 둔 채, 중방을 중심으로한 연합정치.

 

(2). 확립기의 지배기구

1). 최충헌 집권기 교정도감(인사조세감찰) : 최고의 관부

도방의 강화

천민의 난 진압, 흥녕부(경제적기반), 최충헌의 시무10조건의.

2). 최 우 집권기 정방(문무관 인사권)

서방(문신의 자문기구) : 문신을 등용, 최자이규보이인로등용

삼별초조직 : 경찰전투등 공적임무를 띤 사병집단, 대몽항쟁에 참가

야별초(좌별초, 우별초), 신의군(몽고에 포로로 갔다가 돌아온자)

강화천도(1232 1270) : 1차침입후 강화천도, 대몽항쟁.

최씨 정권의 성격 문무 합작 정권

항 몽 정 권

막대한 농장의 소유 : 전시과 체제의 붕괴, 본격적으로 농장이 확대되어 이 시기의 농 장은 산천을 경계로 할 만큼 확대.

 

5. 무신정권의 대몽항쟁

(1). 시대적 배경 몽고 제국의 성립(1206), 대요수국(거란, 1216), 동진국(여진, 1217)

강동의 역(1219) : 고려, 몽고의 첫 접촉, 연합작전으로 거란 격퇴.

 

(2). 대몽 항쟁

1). 1차침입( 고종, 1231 ) 원인 : 몽고사신 저고여의 피살사건

결과 : 박서의 분전(귀주), 고려의 강화요청으로 강화성립.

다루가치 설치( 국사전반을 관장하여 내정간섭기구, 충렬왕때 폐지)

2). 2차침입( 1232 ) 원인 : 최우의 강화천도와 함께 대몽정책의 강경화

결과 : 처인성 전투(김윤후)

3). 3차침입( 1235 ) 부인사 대장경 소실, 황룡사 9층탑 소실

4). 이후 6차침입까지 있었음.

 

삼별초의 대몽항쟁 설치 : 최우때 야별초와 신의군을 합하여 설치

원종때 개경출륙반대 : 무신정권의 붕괴와 함께 대몽항쟁을 고수

대몽항쟁 : 배중손(진도, 용장성), 김통정(제주도)

결과 : 몽진압군에 의해 진압, 제주도에 탐라총관부 설치

 

. 고려후기사회의 변동

 

1. 원간섭기의 고려

(1). 영토의 상실 쌍성총관부 설치(1258 1356) 철령 이북의 땅, 공민왕때 수복.

동녕부 설치(1270 1290) 자비령 이북의 땅(서경), 충렬왕때 수복.

탐라총관부 설치(1273 1301) 삼별초의난 진압 후 제주도에 설치.

 

(2). 일본정벌에의 동원

1). 1차정벌( 충렬왕, 1274 ) 강화후 첫 시련, < 둔전경략사 >설치

홍다구, 김방경, 합포(마산)을 출발, 실패

2). 2차정벌( 충렬왕, 1281 ) < 정동행성 >설치

관부의 설치순서 : 다루가치(1231) 쌍성총관부(1258) 동녕부(1270) 탐라총관부(1273)

둔전경략사(1274) 정동행성(1280)

 

(3). 관제의 변화

1). 왕칭호의 변화 충자가 붙음, 폐하 : 전하, 태자 : 세자, :

2). 도병마사 확대개편 도평의사사(도당)로 개칭, 권문세족의 최고정치기구로 국정전반을 관장하는 합 좌기구

3). 병제개편 순마소 설치(경찰, 감찰임무)

4). 관제 격하 및 변화(보충프린트 참조)

(4). 입성책동(1308)

(5). 내정 간섭 기구 및 기타 다루가치(1231)

정동행성(1280) : 장관인 승상은 고려왕이 겸임, 관원도 고려인

중심기구로는 정동행성 이문소가 있음.

응방 : 해동청()의 사육

독로화 : 원에 인질로 끌려간 왕자의 별칭

심양왕 : 원의 분열정책의 소산

반전도감 : 공물수탈기구

 

(6). 원지배하의 영향 공녀요구(결혼도감) , 농촌의 파탄 , 인종언어교류

풍속교류 : 몽고풍, 고려양의 유행

만권당 설치 : 왕이 연경에 설치

주자학의 전래 : 왕때 안향이 소개

사라센문화의 영향 : 천문, 역법, 수학의 전래

 



2. 권문세족의 등장

(1). 권문세족의 형성 무신집권기를 거쳐 대원관계가 진전되면서 형성.

(2). 권문세족의 성분 무신세력 : 언양 김씨(김취려), 평강 채씨(채송년)

부원세력 : 평양 조씨(조인규), 안동 김씨(김방경)

전기문벌귀족 세력 : 인주 이씨, 경주 김씨, 파평 윤씨

충선왕 즉위년에 발표한 < 재상지종 >이 고려후기의 권문세족.

 

(3). 권문세족의 성격 고려후기의 정치권력 장악 : 재추직 장악, 도평의사사 장악, 왕권의 약화

대토지 소유자 : 녹과전이나 녹봉보다는 불법적 토지집적을 통한 농장경영.

농장은 면세면역의 특권, 산천을 경계로 하는 광대한 농장소유.

문화적 소양과는 거리가 멀다

친원적 성향보수적 성향 : 원의 세력을 이용하여 기득권을 지키려는 반개혁적 성향.

관료적 성향(전기 문벌귀족에 비해서)

고려권력층의 변화 : 호족 문벌귀족 무신 권문세족 신흥사대부

문벌귀족과 권문세족의 비교(보충프린트 참조)

 

3. 전시과 체제의 붕괴와 농장의 확대

 

(1). 전시과 체제의 붕괴 귀족정치기인 12세기초부터 동요시작 : 문벌귀족들의 토지겸병(이자겸)

무신집권기의 최충헌

몽고간섭기에 본격적으로 농장이 확대(권문세족)

 

(2). 농장의 확대 권문세족, 왕실, 사원이 주체

확대방식은 불법적: 약탈, 강점등

 

(3). 농장의 성격 면세면역의 특권 ( 사적 지배력이 농후함 )

고려후기의 농장은 산천을 경계로 하는 광대한 영역(군에 걸침, 하나의 행정구역구성)

국왕의 농장( ), 사원세력은 왕또는 권문세족의 기탁으로 농장형성.

 

(4). 농장확대의 영향 국가수입의 감소(녹과전 제도의 실패)

국가 인적자원의 감소

왕권의 약화(고려후기 개혁정치의 동기)

구세력의 갈등 : 신흥사대부와의 갈등원인

 

4. 원간섭하의 개혁정치(권문세족 억압목적과 원세력 약화목적)

 

(1). 충렬왕 < 전민변정도감 >설치, 홍자번의 < 편민 18>

(2). 충선왕 < 사림원 >설치, 소금철의 전매사업 실시

(3). 충숙왕 < 찰리변우도감 >설치

(4). 충목왕 < 정치도감 >설치

(5). 공민왕의 개혁정치

1). 반원정책 원명교체기를 이용하여 친명정책 천명

친원파 숙청, 몽고풍 폐지, 정동행성 이문소 혁파

2). 영토회복정책 쌍성총관부 탈환, 동녕부 공격

3). 왕권강화정책 정방을 폐지 : 인사권을 장악

신진사대부와 가문이 없는 신돈의 등용

권문세족억압정책 : <전민변정도감>을 설치, 실패

4). 개혁실패요인 권문세족의 압력, 상대적으로 개혁주체세력(신흥사대부)의 미약,

홍건적왜구침입, 원의 압력, 신돈의 횡포, 자제위의 변태적 운용.

 

5. 신흥사대부의 대두

 

(1). 시대적 배경 권문세족의 정치권력 독점과 농장확대에 따른 정치,경제,사회적 혼란을 시정하기 위한 개혁 이 필요한 시대.

 

(2). 형성 최씨정권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여 무신정권 붕괴후 더욱 활발히 중앙정계에 진출.

 

(3). 개혁에 참가( vs 권문세족) 충선왕의 개혁정치에 참가

공민왕의 개혁정치에 참가

(4). 위화도 회군으로 신흥무장세력과 결탁

 

(5). 사대부의 성격 및 권문세족과의 비교( 보충프린트 참조 )

 

6. 국제정세 변화와 위화도 회군

 

(1). 왜구의 침입

1). 왜구의 침입 대마도등 일본의 해적상인을 말함. 고종때부터 출몰하기 시작.

충정왕때부터 극심, 강화도까지 약탈, 개경에 게엄령선포.

2). 일본정부와의 교섭 김일(공민왕), 정몽주(우왕)을 파견.

일본정부의 통제력 약화로 효과를 보지못함.

3). 왜구 토벌 홍산대첩(우왕, 1376) 최영, 부여

화통도감 설치(우왕, 1377) 최무선

진포대첩(우왕, 1380) 나세최무선, 서천, 화포사용

황산대첩(우왕, 1380) 이성계

관음포대첩(우왕, 1383) 정지, 남해

대마도정벌(창왕, 1389) 정지의 건의, 박위파견

4). 영향 고려재정의 파탄 : 농민의 유망, 조세감소, 조운의 곤란

수군의 창설, 사수서(해안경비 담당), 무기발달(화포의 제작)

 

(2). 홍건적의 침입

1). 1차침입(공민왕, 1359) 이방실

2). 2차침입(공민왕, 1361) 복주(안동)으로 피난, 정세운이방실최영이성계

 

(3). 위화도 회군

1). 시대적 배경 명의 교체기(공민왕, 1368)

2). 고려의 대응 공민왕의 친명정책

친명파(공민왕, 신흥사대부)와 친원파(권문세족)의 대립심화.

우왕의 즉위(1374) : 이인임의 추대, 명에 대한 양면외교 추구

명의 철령위 설치(1388) : 쌍성총관부 관할, 최영의 요동정벌 결정

 

 

7. 이성계의 집권 전제개혁의 단행(공양왕, 1391) : <급전도감>을 설치하고 도평의사사에서 공직적으로 과전법 공포

권문세족의 경제적 기반 몰락, 재정확보, 농민의 지위향상

강경파(역성혁명파: 정도전, 조준)와 온건파(다수, 정몽주, 이색)의 대립.

 

 

보충자료

 

1. 서경파 vs 개경파

서경파

묘청백수한정지상

풍수지리설

북진주의

금국정벌

(자립국가)

신진관료

진 보

불교낭가

고구려유민

독립당

개경

김부식

유 학

사대주의

금정벌불능

(송이용우 려)

문벌귀족

보 수

유 교

신라유민

사대당

 

 

2. 관제의 격하 및 변화

중서문하성, 상서성

첨의부

중추원

밀직사

도병마사

도평의사사

이부,예부

전리사

병부

군부사

호부

판도사

형부

전법사

공부

폐지

안찰사

안렴사

어사대

감찰사

한림원

문한서

문하시중

첨의중찬

상서

판서

시랑

총랑

 

3. 문벌귀족과 권문세족의 비교

문벌귀족

권문세족

호족출신

무신집권 이후 성장

왕실과 통혼

과 결탁

과거, 음서

음서

공음전

농장세습

관직에 집착않음(귀족적)

관직에 참여(관료적) 도평의사사 장악

고려전기의 지배층

고려후기(원간섭기)의 지배층

 

4. 권문세족과 사대부의 비교

권문세족

사대부(신진세력)

중앙고관(음서로 진출)

지방의 향리(과거로 진출)

재경 부재지주, 농장소유

재향 중소 지주

유학적 소양이 적음

성리학자

불교를 옹호

철저한 불교비판(정도전의 불씨잡변)

친원 외교 전개

친명외교 전개

귀족 연합 정치 운영

왕도정치(민본주의)

주체의식이 미약

주체의식이 강함


고 려 전 기

 

문벌귀족 사회의 형성(고려전기사회)

 

1. 고려의 집권화 과정

 

(1). 태조 (918 943)

1). 호족 연합 정책 혼인정책, 사성정책( 의제 가족적 관계 형성 )

2). 역분전 지급(940) 충성도를 기준으로 한 논공행상적 토지급여로서 개국공신, 중앙관료의 경제적 기반

3). 기인제도, 사심관 제도

4). 북진 정책 거란에 대한 강경책 ( 만부교 사건 : 942 ), 여진에 대한 강경회유 정책

5). 숭불 정책 연등회팔관회 중시 ( 진흥왕때 발생 ), 비보사찰의 건립

6). <정계>, <계백료서> 신하의 도리 제시

7). <훈요십조> 자손에게 남긴 정치지침서

 

(2). 정종(946 949) 왕규의난 (외척인 왕규가 왕위계승을 둘러싸고 일으킨 난으로 왕권약화)진압.

서경천도 계획의 추진 : 서경세력을 이용하여 외척공신세력 견제의도.

광군의 설치 : 거란의 침입에 대비

 

(3). 광종(949 975)

1). 독자적 연호 사용 ( 광덕, 준풍 )

2). 노비안검법 실시 호족의 경제적군사적 기반 약화목적 ( 왕권강화)

3). 과거제 실시 후주인인 쌍기의 건의, 개국공신의 권한약화 목적 ( 왕권강화책 )

4). 백관의 공복 제정( )

5). 불교의 통합정책 선 통합 정책, 화엄종장려, 법안종, 천태학 도입

광종대 개혁세력의 특징 : 개국공신계열에 대립된 중소호족, 과거를 통해 선발된 신진관리, 중국의 귀화인으 로 가문의 기반이 없는 사람들.

 

(4). 성종(981 997)

1). 유교 정치이념 채택 최승로<시무 28>

2). 관제정비 중앙관제 : 36(당제 채택)

지방관제 : 12목 설치( 최초로 지방관 파견 ), 향직개편(호장, 부호장 : 지방관의 보좌역)

3). 교육제도 국자감 설치, 12목에 경학의학 박사 파견, 문신월과법

4). 경제정책 건원중보(최초의 화폐), 상평창, 의창설치

5). 사회정책 팔관회연등회 행사 폐지, 노비환천법(불량한자의 노비화)

6). 분사제도 서경중시

 

(5). 현종(1010 1031)

1). 지방제도 완성 5도 양계, 4도호부, 8, <경기제 시작>

2). 초조대장경 조판(거란의 침입을 불력을 통해 물리치기 위함.)

3). 7대실록 편찬

4). 나성 축조(거란 대비)

 

(6). 문종(1047 1083) : 귀족정치의 극성기

1). 사학의 발전 최충의 9재학당, 12공도 성립

2). 불교장려 흥왕사 창건, 천태종도입, 연등회팔관회 공식부활

3). 공음전시과 실시

 

2. 고려전기의 지배체제

 

(1). 중앙정치제도( 국초에는 신라와 태봉의 제도를 원용하였으나, 성종대부터 시작하여 문종대에 이르러 완성)

1). 36중서성문하성상서성

2품이상의 재신3품이하의 낭사로 구성

중서문하성의 재신이 6부 관할(상서령은 실직이 아님)

형식적으로는 당제 모방, 운영은 독자적( 중서문하성, 최고 정무기관)

2). 도병마사 재신과 추신으로 구성, 합좌회의기관, 귀족적 성격을 대변하는 기관

국방문제등 국가중요정책의 협의

도평의사사로 확대 개편(충렬왕) : 상설기관화, 관료적 성격, 참가인원의 확대, 의제의 확대

3). 식목도감 도병마사와 같이 재추신이 구성원, 귀족적 성격, 합좌기관

중요 법령 제정(입법기관)

4). 중추원(추밀원) 2품이상의 추신(군기담당), 3품의 승선(왕명출납)

중서문하성(재부)와 더불어 추부라 하여 중요시함

5). 기타관청 삼사 재정기관으로 전곡출납과 회계( 조선의 삼사와 구별)

어사대 시정의 논의와 관리 규찰탄핵

중서문하성 낭사와 더불어 서경권 행사(조선시대 서경권과 비교)

보문각 경연과 서적

한림원 교서와 외교문서 작성

 

고려 정치 조직의 특성 당제 모방 : 36

송제 모방 : 중추원, 삼사

독자적 제도 : 도병마사, 식목도감

서경제도와 대간

 

(2). 지방행정 조직( 현제도 근간 ) : 경기제, 5도양계,

1). 고려초 : 지방에 외관이 파견되지 못하고 호족의 자치에 맡김.

2). 성종 12목 설치, 최초로 지방관 파견

그러나 외관이 파견되 주현보다 파견되지 못한 속현이 압도적으로 많음.

중앙정부와 주현과의 중간기구로 계수관 설치

3). 현종(지방제도의 완비) 5도 양계 : 안찰사와 병마사 파견

4도호부(군사적 요지에 설치), 8(도의 행정 중심지)

경기( 개성부에서 직접 통치 )

: 주현과 속현(주현이 압도적으로 많음), 주현과 속현에 향리 설치

: 가장 말단의 행정단위로 외관이 파견되지 못하고 촌장이 자치

 

특수행정조직인 부곡 천민의 집단거주지, 향리가 지배

국학, 과거응시 금지등 차별대우를 받음

부곡은 농민, 소는 수공업, 공장이 거주

군현에서 부곡으로 강등되거나 승격되는 사례가 있었음(무신란 이후)

소는 고려시대에서 새로이 발생

 

고려 향리의 성격 지방호족 출신

조세부역관리등 말단행정사무 담당, 수령의 보좌역

속현, , , , 부곡에서의 지배자

실권이 커서 백성침탈의 패해, 외역전 지급(조선시대에는 박탈)

향리 통제책 : 상수리제도(신라), 기인제도, 사심관제도

 

(3). 군사제도

1). 중앙군대( 국초 : 국왕의 군사력기구인 병부와 호족의 군사기반인 순군부 병존)

2(상장군) 응양군, 용호군(근장)

국왕의 친위부대로서 6위보다 우위.

6(상장군) 좌우위신호위흥위위 : 6위의 핵심부대로서 개경변방방어임무.

금오위(경찰), 천우위(의장), 감문위(궁성문 수비)

중방 : 26위의 대장인 상장군과 부대장인 대장군으로 구성된 합좌기관

장군방 : 각 령의 대장인 장군으로 구성된 합좌기관

 

2). 지방군

주현군 5도에 설치, 일반 농민들로 구성된 예비군

보승, 정용(국방치안), 일품(공역 : 향리가 지배)

주진군 양계에 설치, 상비군

초군, 좌군, 우군

3). 기타 특수부대 광군 : 정종대에 설치, 거란의 침입에 대비

별무반 : 속종대에 설치, 여진의 침입에 대비, 신기신보항마군으로 구성

연호군 : 농민, 노예로 구성된 부대

도방, 삼별초 : 최씨정권하의 부대, 특히 삼별초는 대몽항쟁에 참가.

 

(4). 교육과거제도

1). 교육제도 :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채택하여 육교교육을 받은 관리의 양성 필요.

태조 : 개경과 서경에 학교 설치

성종 국자감 설치(992), 문신월과법

지방교육 강화 : 12목에 경학박사의학박사 파견

예종 7설치, 사학 9재를 모방한 국학의 학과별 단과대학으로 ,무모두 겸비.

인종 경사 6학설치(신분별 학교로 개편), 향교설치

고려시대의 기술교육 : 산학 이외의 기술교육은 해당관서에서 취급.

( 천문,지리 : 사천대, 의학 : 태의감, 외국어 : 통문관 )

2). 과거제도

제도의 설치 광종대(958)에 후주인인 쌍기의 건의로 설치, 훈신억제왕권강화가 목적

제도의 종류 제술: 한문학으로 응시, 한문학 발달의 계기, 과거시험에서 가장중시됨.

명경: 유교경전으로 응시

: 기술관 등용 시험

제도의 특징 문과가 중시되고 (그 중에서도 제술업이 가장 중시), 무과가 없었음(공양왕때 생김)

좌주문생관계형성 : 지공거(과거시험관)와 급제자는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여 고려 문벌 귀족 사회를 형성하는 배경이 됨

음서제도의 존재(귀족사회의 특징) : 관직임명에 있어서 출신문벌이 가장 중요시 되었으

며 음서로 진출한 자가 오히려 최고직 까지 승진하는 등 고려사회가 문벌귀족사회임을

나타내는 증거.

 

시험방법 식년시원칙(3년마다 보는 정기시험),

삼장제( 향시 - 국자감시:사마시,진사시 - 동당감시:예부시 )

음서제도 5품이상 고관의 자손은 과거를 거치지 않고 관직진출 ( 조선은 2품이상 )

과거보다 음서제도가 일반화

관품이나 관직승진에 제한이 없었고, 오히려 고관으로 출세

공음전과 함께 고려문벌귀족 사회의 성격을 반영하는 대표적 제도.

 




3. 귀족사회의 경제제도

 

(1). 토지제도

1). 고려의 토지소유관계 국유제가 원칙

소유권과 수조권에 따라 공전사전으로 구분

2). 토지제도의 변천 역분전( 태조,940 ) 통일후 공훈,충성도,인품기준으로 지급한 논공행상적 토지제도

시정전시과(경종,976) 전지(토지)와 시지(임야)지급

현직 지급, 한외과 전 15결 지급

기준 : 광종의 사색공복과 인품을 기준으로 함

개정전시과(목종,998) 성종때 마련된 관직고하에 따라 1 18과 지급

현직의 비중강화( 현직주의 )

문관우위의 토지지급( 문신귀족주의 반영 )

한외과 17결 지급, 군인전 지급

경정전시과(문종,1076) 전시과 체제의 완성, 토지지급액수의 전체적 감소

현직자에게만 지급, 한외과 폐지

무관에 대한 대우 상승

공음전, 한인전, 별사전등

3). 토지제도의 성격 : 직역에 대한 반대급부로 지급, 토지에 대한 수조권을 지급한 것임,

원칙적으로는 세습불허(반납이 원칙)

4). 토집분급의 종류( 교재 96page 참고 )

5). 민전의 분포와 성격 일반농민(백정)이 조상 대대로 물려 받은 토지

소유권상으로는 사전, 수조권상으로는 공전 ( 수확량의 10분의 1 납세 )

매매가 가능한 토지

(2). 수취제도와 조운

1). 수취제도 조세 사유지인 민전의 조세율은 수확의 10분의 1

소작농의 경우 - 사전의 경우에는 수확량의 2분의 1

- 공전의 경우에는(궁방전,공해전,둔전) 수확량의 4분의 1

결부법적용 : 1결에 2(30)를 조세로 냈으므로 1결의 총수확량은 20(300)

,부곡민은 조세를 부담하고 소의 주민들은 공납을 부담

공납 상공 : 호별로 배분

별공 : 임시적 공납, 농민의 부담가중

부역 16 60세 남자는 이라하여 의무를 짐

주로 토목공사에 동원하였다.

2). 조운 육상교통로 미발달로 인해 역은 공문전달이나 관물수송, 출장관리의 숙박등에 이용

조운은 방대한 곡물수송에 이용되고

조창이라고 하여 한강이남에 설치하여 곡물수송, 양계지방에는 그대로 두고 필요한데 사용(잉류)

 

4. 귀족사회의 사회구조

 

(1). 귀족사회의 성격 문벌귀족사회. 추를 중심으로한 고위관직을 독차지하여 정치권력 장악.

과전공음전등 막대한 토지를 차지, 음서제도를 활용

사회적 제1신분으로 여러 가지 특권, 문화면의 주역 담당

문벌귀족 상호간의 폐쇄적인 혼인관계, 외척형성

고려전기의 대표적 문벌귀족가문으로는

안산김씨, 인주(경원)이씨, 해주최씨, 파평윤씨, 경주김씨등이 있다.

(2). 사회신분의 구성 ( 신분이 세습되고, 신분간 구별이 엄격 )

1). 귀족 왕실과 문벌이 좋은 일부 특권신분으로 고위관직을 독차지

음서제도공음전의 특권을 누림( 5품이상의 고위관리 )

무반보다는 문반이 중요시되고 이것은 중기 무신란의 원인이 됨

2). 하급관리 실무적 사무 담당, 문무반 6품이하의 관리

중앙관서의 서리, 궁중의 잡일을 맡은 남반, 무관 하급 장교등

3). 양 인 농민(백정)이 대다수로 조세공납부역의 의무 부담.

상인, 수공업자 : 농민보다 천시되었고, 공역을 부담

4). 천민계층

천민 부곡민, 화척, 진척, 재인등

노비 공노비 : 공역노비 - 궁중이나 관청에서 잡역

: 외거노비 - 농사에 종사

사노비 : 솔거노비

: 외거노비 - 농사에 종사하며 독립적인 가족생활 영위, 토지가옥을 소유함

- 전호(소작농)과 유사하고, 조를 바침

노비의 사회적 진출 제한 : 교육이나 과거응시가 제한되고, 관리임명의 자격이 없음, 동색혼만을 인정하는 것이 원칙이며, 일천즉천으로 신분이 세습됨

(3). 고려신분사회의 개방성 원칙 : 신분제도 엄격, 세습

개방성 - 부곡의 군현승격현상( 천민의 양인화 : 무신란이후 )

- 외거노비의 양인화 ( 재산축적 )

- 향리의 문무관리 진출 ( 과거응시 )

- 일반농민의 무반진출현상

 

5. 귀족사회의 대외정책

 

(1). 고려 대외정책의 특성

1). 친송정책 중국역대와조와 친선관계 유지

2). 북진정책 원칙 : 거란, 여진, 몽고등 북방민족에 대한 강경책

북방민족의 압력에 대한 대응 : 그때그때의 지배층의 체질에 따라 양상을 달리함.

건국초기( vs 거란 ) : 자주의식을 바탕으로 강경책(만부교사건,942), 발해유민 포섭흡수

고려중기( vs 여진 ) : 문벌귀족사회의 전성기, 유약한 사대주의

고려후기( vs 몽고 ) : 무신집정기로 강력한 항쟁.

 

(2). 거란과의 관계

1). 북진정책과 대거란 강경책 만부교 사건( 태조, 942 ), 발해유민 포섭

광군설치( 정종 )

2). 거란의 침입

1차침입( 성종, 993 ) 원인 : 고려의 북진정책과 대거란 강경책

침입 : 성종 12년 소손녕이 80만대군으로 침공

결과 ; 서희의 담판( 송과의 단교, 거란을 적대시 않는다는 조건),

강동6의 획득 국경이 압록강 유역까지 확대

2차침입( 현종, 1010 ) 원인 : 강조의 정변구실, 성종이 40만대군으로 침공

결과 : 현종의 나주피난, 현종의 입조조건으로 철군, 양규의 활약.

3차침입( 현종, 1018 ) 원인 : 현종의 입조불응, 강동6주의 반환거부, 소배압의 침입

결과 : 강감찬의 귀주대첩

3). 전란의 영향 현종 10(1019)에 거란과 강화체결, 평화관계유지

나성축조(개경, 강감찬 건의), 천리장성 축조(국경지방)

초조대장경 조판, 7대실록 편찬

 

(3). 여진과의 관계

1). 여진의 성격 발해의 일부를 이루던 말갈족의 후예, 문화적 수준이 낮고 고려를 부모의 나라로 섬기고 공물을 바침과 동시에 국경지대를 침범.

2). 고려의 여진 정책 회유정책 : 공물을 상납하는 여진인에게는 식량과 철제농구 제공

귀순하는 여진인에게는 일반민호로 편입

강경정책 : 침입하는 여진에게는 강경노선을 취함

3). 여진 정벌( 예종, 1107 ) 별무반조직(숙종, 1104) : 신기군, 신보군, 항마군

윤관의 동북 9(함경도 지방)

9성의 환부(1109) : 여진의 반환애원,

4). 금의 건국(1115)과 이자겸의 사대외교 ,금이 연합하여 요(거란)를 멸망시킴(1126)

금의 고려에 대한 사대요구

이자겸의 사대외교 결정

 

(4). 송과의 관계

1). 친송정책 고려는 기본적으로 송건국(960)부터 친선관계 유지

2). 양국의 교류목적 : 군사적 목적 ( 거란, 여진의 침입에 대비 )

고려 : 문화적, 경제적 목적 ( 선진문화의 수입 )

군사적으로는 중립적 태도 ( 송의 군사원조 요청 거절 )

3). 교역물품 수입품 : 서적, 비단, 자기, 약재, , 향료등 주로 귀족의 사치품

수출품 : ,,, 인삼, 나전칠기, 화문석

4). 송문화의 영향 송판본의 전래 ( 인쇄술 ), 송자기(고려자기: , 상감청자는 고려의 독자적 작품)

송의 대성악, 정치제도 ( 중추원, 삼사 )

4. 보충자료

고려시대 왕조 계보

태종(918-943) 혜종 정종(945-949) 광종(949-975) 경종(975-981) 성종(981-997) 목종(997-1009)

 

현종(1009-1031) 덕종 정종 문종(1046-1083) 순종 선종 헌종

 

숙종(1095-1105) 예종(1105-1122) 인종(1122-1146) 의종(1146-1170) 명종(1170-1197)

 

신종 희종 강종 고종(1213-1259) 원종(1259-1274)

 

충렬왕(1274-1308) 충선왕(1308-1313) 충숙왕(1313-1330) 충혜왕 충목왕(1344-1348) 충정왕

 

공민왕(1351-1374) 우왕(1374-1388) 창왕(1388-1389) 공양왕(1389-1392)

 

사심관 제도 그 지방출신의 高官에게 자기고장을 다스리도록 임명한 관직

경순왕인 김부에게 경주사심관으로 임명한 것이 최초

임무 : 신분의 구별, 부역의 조달, 풍속의 교정, 향리의 감독

조선의 유향소(향청)제도의 기원이 됨

 

기인제도 지방향리 자제를 상경시위케하는 일종의 인질제도로서 신라 상수리제도가 그 기원

향리세력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

조선시대의 영저리, 경저리로 발전

 

도병마사의 변천 초기에는 임시회의 기구로서, 국방군사문제를 다룸.

고종(무신정변후) : 국정전반의 문제를 다룸.

충렬왕(원지배하) : 도평의사사로 개편되고, 상설기구화, 참여인원의 확대가 이루어짐.

도병마사는 귀족적 성격을 대변하지만, 도평의사사는 관료적 성격 대변

 

고려의 안찰사와 조선의 관찰사의 비교

1. 고려의 안찰사 중앙관의 신분, 임기는 6개월, 처음에는 상피제도가 적용되지 않았다.

신분은 56품의 낮은 신분

지방에 상주하는 것이 아니라, 지방을 순시 감찰하였다.

2. 조선의 관찰사 원칙적으로 상피제도가 적용되었고, 임기는 1년으로 외관(지방관)신분

지방에 상주

 

고려향리와 조선향리의 비교

1. 고려향리 촌의 평민, 부곡소의 천민의 조세, 공물의 징수와 부역 징발의 사무담당

외역전을 지급받음(세습), 과거에 응시가능, 후기에 사대부계층 형성

2. 조선향리 조세, 부역, 공물과 관련된 사무를 봄으로써 향리의 권한이 축소되어 수령밑에 예속.

토지나 보수를 받지 못함.

과거 응시가 제한되고 실무행정담당자로서 중인계층을 형성.

 

사학 12문존대에 문하시중이던 최충이 후진양성을 위해 세운 사학 9재가 기원(전문강좌)

이를 모방하여 개경에 사학이 11개가 더생겨 12공도 출현

설립자들은 대개 지공거출신이 많았음.

사학이 발달하여 숙종이후에 관학진흥책이 나오게 되는 계기

 

관학진흥책 왕권강화책의 일환으로 추진 : 서적포, 7양현고, 향교경사6, 섬학전등

관학 진흥책은 실패하여 사학의 발달이 촉진되고 문벌귀족사회가 강화됨

 

교육시설 성종: 비서원(개경에 세운 왕립도서관), 수서원(서경에 설치한 왕립도서관)

숙종 : 서적포(궁중에 설치한 출판소)

예종 : 청연각(경연처), 보문각(학문연구소)

 

교육재단 학 보 : 태조가 서경에 세운 육영재단

양현고 : 예종대에 국학에 설치한 육영재단

섬학전 : 국학생의 학비를 보조하기 위해 마련한 기금, 충렬왕대에 안향의 건의.

학 전 : 국자감, 향교에 지급한 토지

 

고려시대의 화폐 성 종 : 건원중보( 최초의 철전 )

숙 종 : 활구 ( 은병 ), 해동통보해동중보, 삼한통보삼한중보, 동국통보둥국중보

충렬왕 : 쇄은

충혜왕 : 소은병

공양왕 : 저화 ( 최초의 지폐 )

전시과와 과전법의 비교

 

전 시 과 ( 고 려 )

과 전 법 ( 조 선 )

차 이 점

* 전지와 시지의 지급

* 전국(특히 하삼도)이 지급대상

* 소유권과 수조권에 따라서 공사전 구분

* 별사전 - 승려, 풍수지리업자에게 지급

* 국가의 수조대행

* 유가족 - 과전환수, 구분전 지급

* 군인전 - 중앙군인인 2군에게 지급

* 구분전 - 하급관료, 군인의 유가족에게 지급

* 민전의 매매허용

* 전지만 지급

* 경기에 한하여 지급

* 수조권에 따라 공사전 구분

* 별사전 - 준공신에게 지급

* 관료의 직접수조

* 유가족 - 과전을 수신전,휼양전으로 지급

* 군전 - 한량에게 지급

* 구분전 - 읍리, 진척, 역자에게 지급

* 민전의 매매금지

공 통 점

* 왕토사상에 따라 토지국유제가 원칙이었으나 개인토지가 존재함.

* 퇴직에게 토지를 지급함(초기)

* 18품계에 따라 차등 지급함.

* 과전은 사후 반납이 원칙이나 점차 세습화됨.

* 국가가 관료들에게 수조권을 분급함(직접 토지를 나누어 준 것이 아님)

 

고려의 집권세력 흐름 정리



1. 지방 호족


고려 초기에는 강했지만 점점 약해졌다. 그냥 지방의 향리화 되어갔다.




2. 문벌귀족


1) 정치권력의 독점

① 음서과거관직의 독점

② 재상(재부,추부)정국의 주도


2) 경제력의 독점

과전(관직에 따라 받음),녹봉, 공음전,공신전

개인, 국가의 토지 차지(불법)


3)음서제도, 공음전(5품이상)의 혜택


4)왕실과의 혼인관계를 통해외척의 지위 이용정권유지


5)특징 

향리의 자제가 과거를 통해 참여

향리가 되는 경우도 있음



6)문벌귀족사회의 모순으로 발생한 사건

왕의 측근세력과 문벌귀족의 대립


이자겸의 난(인종,1126):세도정치와 비슷(조선후기)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인종)

배경:이자겸의 난 이후 정치개혁의 추구

서경파-------------개경파

*묘청, 정지상 *김부식, 김인존

*지방출신의 개혁적 관리 *보수적 관리

*왕권의 강화 (개경의 문벌귀족세력)

*자주적 혁신정치의 추진

*주장-서경에 대화궁의 건립

-황제를 칭할 것, 금의 정벌

묘청의 난(1135):국호-대위,연호-천개

결과-숭문천무의 강화무신정변의 발생

-분사제도의 폐지

성격

*문벌귀족사회의 내부 분열과 지역세력 간의 대립

*풍수지리설이 결부된 자주적 전통사상과

유교정치사상의 충돌

*고구려 계승이념에 대한 이견과 갈등

평가:조선사연구초”(신채호)

조선 역사 일천년래 제1대 사건이라고 찬양






3. 무신 정권


1) 무신정변 원인

문신우대와 무신의 차별

-무과가 없음,군인들의 생활고

의종이 측근세력에 의존향락생활


2) 경과:

정중부(중방)

경대승(도방)

이의민(중방)

최충헌

교정도감의 설치

최씨정권의 최고집정부

반대세력의 제거,국정의 총괄

조세의 징수,인사권의 행사 등

장관인 교정별감은 최씨가 세습

도방의 설치(사병)신변의 경호

사회개혁안의 제시(봉사10


최 우

정방의 설치:인사권의 장악

서방의 설치:문신의 등용

삼별초의조직:도방과 함께 최씨정권의 군사적 기반

대몽항쟁:강화도(강도)로 천도,팔만(재조)대장경의 조판




3) 특징,결과, 영향


문벌귀족사회의 붕괴권문세족 등장,향리자제가 중앙관리로 진출(권문세족신진사대부로 성장)

개혁이 없음국가의 발전, 백성의 안정에 소홀 

문신의 우대, 과거제도의 실시(문과)

농장의 확대전시과의 붕괴 

선종(조계종)의 발달교종(천태종)의 침체

신분질서의 동요 

패관문학과 시조문학의 발달(한문학의 발달)

새로운 관청(통치기구)의 설치:중방× 

왕명을 통해서 통치하는 형식을 취함



4)농민항쟁(농민,천민):신분해방과 정권탈취의 시도, 왕조질서의 부정, 지방관의 탐학을 국가에 호소

망이망소이의 봉기(공주 명학소의 봉기):부곡이 군현으로 승격되는 계기

만적의 봉기:개경, 사람이면 누구나 공경대부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신분차별에 항거

김사미효심의 봉기:경상도 전역,이의민이 간접적으로 지원



5)반무신난

김보당의 난(계사의 난)

교종승려의 난

조위총의 난:백성(농민)의 가세






4. 권문세족


1) 원의 세력을 배경으로 등장(대부분)

2)고위관직의 독점, 도평의사 사의 구성원권력의 장악

3)(재경)부재지주 농장,노비의 소유:면세

4)훈고학

5)음서제도문학적,유학적 소양이 낮음

6)불교의 옹호

7)친원적 성향

8)보수적

9)요동정벌의 추진+최영(최영도 권문세족)  






5. 신진사대부 (+신흥무인세력)


1)하급관리, 향리의 출신 행정실무에 밝음

2)왕도정치, 민본정치의 추구 왕권강화의 추진

3)지방중소지주의 출신

4)성리학(유교적 소양을 갖춤

5)과거제도 학자출신의 관료

6)불교의 비판 (정도전:불씨잡변의 저술)

7)친명적 성향

8)개혁의 주장(구질서,농장의 소유 등)권문세족과 대립

9)요동정벌에 반대+신흥무인세력

위화도회군전제개혁조선의 건국(139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