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

사건

1801~1863

세도정치 -대내 : 왕권실추, 관기문란, 삼정문란, 민생피폐(민란)

-대외 : 서세동점(서양세력이 동쪽을 장식)최초 서양의 통상요구(영국,암허스트호1832)

1863~1873

흥선대원군

왕권강화책 -세도정치타파 (관리등용개선)

-비변사 폐지 (정치의정부, 군사삼군부)

-대전회통(법전), 육전조례(시행규칙) 편찬

-경복궁 중건(원납전 징수, 당백전 발행 등)

-서원정리(백성을 해치는 자는 공자라도 가만두지 않겠다)

 

민생안정 -전정 :양전사업, 은결적발

-군정 : 호포법(=동포제, 양반에게 군포부과)

-환곡 : 사창제도 시행

 

통상수교거부정책 : 병인양요, 오페르트도굴사건, 신미양요

1866

병인박해(, 남종삼)

제너럴셔먼호 사건(미국)

병인양요(, 로즈) - 한성근 : 문수산성, 양헌수 : 정족산성)

외규장각 도서 탈취(, 프랑스 파리 국립박물관에 있음)

1868

오페르트 도굴사건 -대원군의 통상수교 거부의지가 강화

1871

신미양요(, 로저스) -어재연(광성진 갑곶에서 활약)

-척화비건립

1875

운요호사건

1876

강화도조약(=병자수호조약, 조일수호조규)

-조선은 자주국이다청의 종주권 부인, 일본침략 의도

-사절을 파견수신사파견(1:김기수, 2:김홍집)

-조차지 설정

-부산 외 2개 항구 개항부산(경제), 원산(군사), 인천(정치)

-조선의 해안 측량권 주권침해

-치외법권(영사재판권) 주권침해

 

<의의> 최초의 근대식 조약, 불평등 조약

수호조규부록 -일본 거류민의 거주지역 설정(10) 1882년 개정: 거주지확대

-일본 화폐의 유통을 허용

조일통상장정 -양곡의 무제한 유출을 허용 1883년 개정: 국내 사정 시 1개월전 통고

- 수출입 상품에 대한 무관세

=> 일본 경제적 침략 발판이 용이 하게 됨

1차 수신사 파견 : 김기수일동기유

1880

2차 수신사 파견 : 김홍집조선책략소개

-러시아 남하방지책 (친청, 결일, 연미: 1882 조미수호통상에 영향)

-서양기술도입개화정책에 자극

-성현모독(예수=주자)위정척사 사상 강화

 

통리기무아문 설치(개화추진전담기구)

1881

신사유람단(조사시찰단) -일본에 파견(박정양, 어윤중, 홍영식 등)별기군 조직

영선사 -청나라에 파견(무기제조술, 군사훈련법)

영남만인소 (이만손, 개화정책 반대)

1882

조미수호통상조약

청의 알선 -조선에 대한 종주권 인정

-러시아와 일본견제 목적

내용 -치외법권

-최혜국 대우 규정(조관) =>최초(강화도 조약에 없음)

-관세부과 =>최초

-3국의 압력 : 거중조정

 

의의 : 서양과의 최조 통상조약, 불평등 조약

 

임오군란 (개화보수(척사)) 위정척사운동

발단 : 구식군대에 대한 차별대우(도봉소 사건) -1860년대:통상반대운동, 화주전론(이항로,기정진)

경과 - 대원군 일시 재집권 -1870:개항반대운동, 왜양일체론

- 청의 군대진입 대원군을 청으로 압송 -1880:개화반대운동(이만손, 홍제연)

결과 : 민씨 재집권(친청정책)개화정책 후퇴 -1890:항일의병운동 등

 

상민수륙무역장정(, ) :청의 상권확대(내지통상권) “조선은 청의 속방이다

제물포조약(, ) : 경비병주둔(최초 일본 군대 주둔 계기)

 

1883

박문국(출판-한성순보 발간), 기기창(무기제조), 전환국(화폐주조-당오전주조),

원산학사(최초 근대식 사립학교)

1884

갑신정변(개화당)

정강 -대원군 송환, 청에 대한 사대관계 청산

-문벌폐지, 인민평등권 확립, 능력에 따라 인재 등용

-지조법(토지개혁이 아님, 토지에 대한 조세개혁)

-내시부 폐지

-부정한 관리를 치죄

-환상미(봄에 빌려주는 쌀) 영구히 받지 않음

-규장각 폐지

-순사를 두어 도둑방지(경찰제 실시)

-혜상공국(보부상 옹호 기관) 폐지

-죄인의 감형

-4영을 1영으로 합함, 근위대 설치

-재정을 호조에서 관할(재정일원화)

-대신과 참찬을 의정부에서 모여 정령을 의결하고 반포한다(입헌군주제 엿볼 수 있음)

-의정부와 6조 외의 불필요한 기관폐지

 

한성조약(, ):공사관 신축비 부담

텐진조약(, ): 양군의 공동철수, 파병시 상대국에 통보(청일전쟁에 영향)

 

조러 통상 조약(직접수교)

1885

거문도 사건(영국, 러시아 견제 목적)

부들러, 유길준-중립안제기

1886

육영공권(최초 근대식 관립학교)

1888

조러 육로 통상조약

1889

방곡령 사건(함경도)

1892.03

교조신원운동

-삼례집회 서울 복합 상소 보은집회(정치적 구호, 농민운동으로 전환되는 계기) = 금구 취회

1894

동학농민운동

전개 <1> 고부민란기(조병갑 학정)

<2> 절정기 - 기치: 제폭구민, 보국안민

1차봉기(반봉건적, 남접) - 전봉준 격문 우리가 의를 들어~”

- 황투현 전투 장성황룡촌전투 전주점령

<3> 폐정개혁실천기 - 집강소 설치(민정기관), 교정청 설치, 청일전쟁, 갑오개혁(군국기무처)

<4> 재봉기 -논산집결, 공부 우금치 전투

2차봉기(반외세적, 남접+북접)

 

패정개혁 12

-정부와의 원한을 씻고 서정에 협력

-탐관오리를 엄징

-횡포한 부호와 양반무리를 징벌

-불량한 유림을 징벌

-노비문서를 소각

-천인차별을 폐지, 평량갓을 없앤다

-과부의 재가를 허용

-무명잡세를 폐지

-지벌을 타파하고 인재를 등용

-왜와 통한 자 엄징

-기왕의 공사채를 무효

-토지는 평균하여 분작

 

갑오개혁(김홍집) : 1894~1895

-1(친일) 군국기무처 설치

-2(친일) 홍범 14

-3(친러) 삼국간섭 후(1985)

-4(친일) 을미개혁

 

내용

<정치> -연호 : 개국기원

-왕실사무 정부사무를 분리(왕 외척의 정치 관여를 막음)

-국왕의 전제권을 제한

-사법권의 독립

-지방관의 권한이 축소

-과거제도 폐지

-경찰제 확립(경무청 설치)

-8도를23부로 개편

 

<경제> -재정의 일원화(탁지아문=탁지부)

-도량형 통일

-조세의 금납제

-은본위제

 

<사회> -신분제 폐지

-조혼 금지

-과부 개가 허용

-인신매매 금지

 

<군사> -훈련대 창설, 확충

-사관양성소 설치 시도 소홀

 

일전쟁(일본승리)

시모노세키 조약(하관조약) -조선은 자주국

-요동반도, 타이완을 일본에 할양

1895

삼국간섭(, , ) 친러내각 수립 -명성황후가 주도

을미사변(명성황후 시해)

 

 

을미개혁 -단발령 시행 -소학교 설치 -종두법 시행

-태양력 사용 -우편사무 재개

-연호:건양 -친위대, 진위대 설치

 

을미의병 : 문석봉, 유인석, 이소응, 허위 등

1896

아관파천(친러내각) -고문파견(알렉세프), 열강의 이권침탈

독립신문

독립협회 -자주국권, 자유민권, 자강개혁

<의의>: 민중을 개화운동과 결합시킨 근대화 운동

1897

대한제국(광무개혁-구본신참) :1897~1910

<정치> -대한국 국제 9조 반포 :황제권의 강화

-독립협회 탄압

<경제> -양전사업 (지계발급)

-상공업육성

<교육> -신교육령 반포 : 소학교, 중학교, 사범학교 설립

<사회> -근대 시설확충 :도로, 철도 , 의료

<외교> -국외 중립 선언

-관도 관리사, 해삼위 통상 사무관 파견

<군사> -원수부 설립, 군사 수 증강

-무관학교 설립

1898

관민공동회 개최 : 헌의 6조 결의

-외국인에 의지하지 말고 관민이 힘을 합하여 황제권을 견고하게 할 것

-외국과의 조약은 대신 단독으로 처리 하지 말고 중추원 의장과 합동 날인하라

-국가재정은 탁지부에서 전관하고 예산 결산을 국민에게 공포 할 것

-중대 범죄를 공판(공개재판)하고 피고의 인권을 존중하라

-칙임관을 임명시 중의를 따를 것

-정해진 규정을 실천에 옮길 것

1899

대한국 국제 9조 반포

경인선 일부 개통

1902

1차 영일동맹 : 러시아 견제 목적

1904

04.02

04.08

-

일전쟁 : 국외중립 선언

항일의정서 : 군사기지 점유, 중립파기, 3국과의 조약시 일본의 허락

1차 한일 협약 : 고문정치(메가다, 스티븐스)

보안회 조직-원세성, 송수만 중심, 일본의 황무지 개간 요구반대운동

1905

 

05.11

헌정연구회: 입헌정치체제 목적, 일진회 규탄해산

일본의 조선지배를 인정

-가쓰라테프트 밀약(05.07): 미국(필리핀)

-2차 영일동맹(05.08): 영국(인도)

-포츠머츠조약(05.09): 러시아인정

2차 한일 협약(을사조약)-통감정치, 외교권 박탈

을사의병-민종식(홍주성)

-최익현(순창성)

-신돌석(평해,울진)

1906

대한자강회 -교육, 산업의 진흥

-월보의 간행과 연설회 개최

-고종퇴위 반대운동해산

1907

대한협회- <강령> 교육보급, 산업개발, 민권신장, 행정개선

신민회-안창호, 양기탁 등 비밀결사 단체

-공화정치체제 수립 목적

-문화적, 경제적 역량 배양

<교육> 대성학교(평양),오산학교(정주)

<산업> 태극서관(대구), 도자기 회사(평양)

<근대 자주의식> 대한매일신보 발행, 조선광문회 후원

<독립운동기지건설 선구> 남만주:삼원보(이회영, 이상봉), 밀산부:한흥동(이상설, 이승희)

 

헤이그 특사 파견(이상설, 이준, 이위종)

-고종퇴위

-한일신협약(정미7조약) : 차관정치, 행정권 박탈

-군대해산

 

정미의병-의병의 전쟁화

간도파출소 설치(일본통감부가 설치)

1908

서울진공작전(이인영, 허위)

국내진공작전(이범윤, 홍범도)

전명운, 장인환-스티븐스 사살

1909

기유각서-사법권 박탈

간도협약()

안중근 의거

1910

경찰권 박탈

국권강탈, 총독부 설치

 

[ 1절 일제 식민정책의 전환 ]

 

1. 문화정치의 표방

3·1 운동의 영향으로 일본은 헌병경찰정치를 버리고 문화정치를 실시한다고 발표

- 새 총독 사이토의 부임과 함께 표방됨

- 총독에 문관도 임명될 수 있게 함 실제론 한명의 문관도 총독에 임명되지 않음

- 보통경찰제도의 채용 경찰기관과 인원은 오히려 증가함

- 언론 통제의 완화 동아일보’,‘조선일보’,‘시대일보등이 창간되었지만 검열이 심했음

일본에서 관동대지진(1923)이 일어났을 때 무고한 한국인들을 학살

 

2. 식량의 약탈

1918년 일본에서 쌀값이 급등하여 미소동 발생 한국의 쌀에 대한 요구 증대

산미증식계획

- 1910년대에 시작한 미작개량 정책이 더욱 강력하게 추진된 것

- 쌀의 증산은 1.5배도 못되었지만, 수출량은 8배 이상 증가하여 국내에 큰 피해

- 일본의 산미증식계획은 1934년에 중지되었지만, 증가된 수리시설에 의한 농민들의 부담 증가

 

3. 상품시장의 구실

1920년에 일본과 한국과의 관세제도가 철폐

- 일본으로부터 한국으로 수입되는 것은 완제품(의료···담배·종이·기계 등 일용품)이 주류

- 한국으로부터 일본으로 수출은 쌀을 주로하는 식료품과 원료·원료제품이 대부분

1930년대에 들어서는 일본의 한국에 대한 투자의 증가로 인해 완제품의 수입은 감소됨

 

4. 중공업에의 투자

1920년에 총독부는 회사령을 철폐

- 회사의 설립은 허가주의에서 신고주의로 변함

- 낮은 임금과 값싼 수력전기의 개발 가능성으로 일본인 자본의 투자 증가

- 1926년에 조선수력 전기회사가 설립되어 부전강의 수력이 개발

- 그 전력을 이용하는 조선질소비료회사가 흥남에 건설 일본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대규모

1931년에 만주사변으로 만주를 지배하게 되어 더욱 투자가 촉진됨

- 일본은 국방국가 건설의 필요로 공업의 비중이 급속도로 커짐

 

5. 광산자원의 약탈

1930년대 중반부터 광산액이 급증

- 중국 침략을 위한 전쟁에 필요로 하는 석유·고철·공작기계 등의 수입하는데 필요한 금을

얻기위해 금광을 집중 개발

1941년에 미일전쟁이 벌어지면서 철·석탄·중석·흑연·水鉛·마그네사이트 등으로 옮겨감

- 한국을 일본의 병참기지화하는 성격이 나타남

 

6. 민족말살정책

일본은 1937년에 중국에 대한 전면적인 침략을 개시하고, 1941년에는 미국에 대해 선전포고

일본은 내선일체라는 표어를 내걸고 민족말살정책을 감행

- 모든 민족적인 문화활동을 금지시킴

- ‘동아일보’,‘조선일보등 한글로 발행되는 신문과, ‘문장등 한글로 된 잡지가 모두 폐간

- 조선어학회(한글학회), 진단학회 등의 활동이 금지됨 한국어,한국사에 대한 연구 금지

- 신사참배 강요, 창씨개명 강요함

식량·원료 및 노동력의 강제적인 동원

- 쌀의 강제 공출, 각종 금속기가 강제로 헌납됨, 인적 동원의 강요

 

 

[ 2절 민족자본과 농민·노동자의 상태 ]

 

1. 민족자본의 상태

일제의 정치적 보호하에서 군수공업·광업 등 일본 자본이 급성장 함

민족자본의 성장

- 김성주의 경성방직

󰠆 1919년에 호남지방 지주를 중심으로 한 민간자본으로 창립된 민족기업

󰠐 특히 민족정신이 강한 서북지방에서 환영

󰠐 중앙중학과 보성전문을 맡아 민족교육을 담당

󰠌 동아일보를 운영하여 민족의 여론을 대변

- 안희제의 백산상회

󰠆 영남지방 지주들의 자본으로 부산에서 창립

󰠌 독립운동의 자금을 공급, 장학사업·협동조합 운동을 전개

- 평양의 메리야스공업, 고무공업

󰠆 메리야스공업은 1920년 이후에 활기를 띰, 주로 양말을 생산

󰠐 가난한 소상인 출신(공신양말-이진순,삼공양말-손창연)의 경영주가 많았음

󰠐 이병두가 고무신을 고안하여 일반 대중으로부터 환영받음

󰠌 일본의 기업이 따르지 못하는 중요한 민족기업으로 성장

 

2. 농민의 영락

토지조사사업으로 일본인 대지주 증가, 양반 지주들의 특권은 인정됨

많은 농민들이 영세소작농으로 전락

- 자작농이라도 지극히 적은 농토밖에 소유하지 못한 영세농이 절대적인 비중

- 소작료는 생산량의 1/2, 비료대·수리조합세·곡물운반비·지세 등을 소작농이 부담

- 농민의 생활이 점점 곤란해져 화전민이 격증함

농민들의 반항운동이 격화되자 일본은 농촌진흥운동(1933) 실시

- 자력갱생에 의하여 춘궁을 퇴치하고 부채를 근절하여 농가의 경제를 갱신

- 농가의 식량생산과 부업을 장려

- 영세농민이 절대다수인 현실에서 성과를 기대할 수 없었음

농민의 반항운동이 격화되었기 때문에 이를 완화시키려는 일본의 정책적 수단에 지나지 않음

 

3. 노동자의 생활

광공업의 발전에 따라 노동자의 수도 급증

한국인 노동자의 임금은 한국거주 일본인 공장 노동자의 절반 수준도 안됨

많은 노동자들이 재해와 질병으로 고생, 실업자도 증가

노동문제가 당시의 중요한 사회문제로 부각

 

 

[ 3절 민족운동의 새 양상 ]

 

1. 물산장려운동과 소작·노동쟁의

물산장려운동

- 1920년대에 상인 및 지주들이 많이 기업으로 진출하였지만, 일본의 자본에 비해 미약

- 1923년에 물산장려회가 조직되어 국산품 애용운동 펼침

소작쟁의

- 1920년대 중반부터 크게 증가

- 소작권 이동에 대한 반대와 소작료의 인하가 주된 요구

- 일본인 지주의 농장에서 많이 일어남

(함남 고원의 동척농장쟁의, 평북 용천의 불이농장쟁의)

노동쟁의

- 일본의 대기업들이 진출하여 광공업이 발전함에 따라서 급격히 증가

- 1920년에 조선노동공제회, 1922년에 그 후신인 조선노동연맹회가 조직되어 적극성을 띰

- 1921년 부산 부두노동자 파업, 1923년 서울 고무여공 파업, 1929년 원산 노동자 총파업 등

1920년대에 크게 일어난 물산장려운동이나 소작쟁의 및 노동쟁의는 일제에게 큰 위협

일본은 탄압정책으로 일관, 1930년대에 중국에 대한 침략을 강행하면서 더욱 탄압이 심해짐

 

2. 신간회의 활동

3·1 운동 이후 독립운동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그 방향을 모색하게 됨

사회주의와의 연결

- 러시아 혁명이 성공하고, 레닌은 약소 민족의 독립운동에 대한 원조를 주장

- 1921년 상해에서 이동휘를 중심으로 고려공산당이 세워지고, 레닌으로부터 자금 원조도 받음

- 1925년 조선공산당을 조직하고 노동쟁의 등을 통한 조직적 항일운동을 일으킴

동경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무정부주의(아나키즘) 운동이 일어남

- 절대적인 자유를 내세워 일체의 권력을 부인하는 이 운동은 폭력항쟁의 과격한 방법을 취함

- 1923년 박열의 일황암살계획

신간회의 조직

- 6·10 만세운동 다음해인 1927년에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가 공동전선을 펴서 조직

- 일본은 문화정치 표방과 한국 민족운동의 내막 파악위해 합법적인 기관으로 인정함

- 신간회의 강령 󰠆 우리는 정치적·경제적 각성을 촉진함

󰠐 우리는 단결을 공고히 함

󰠌 우리는 기회주의를 일체 부인함

- 일본 경찰의 심한 감시가 있었지만, 전국에 많은 지회가 설립되고 회원도 3만에 이름

- 여성단체인 근우회가 방계단체로 신간회의 활동에 동조

- 신간회는 광주학생운동 때 조사단을 파견하고 민중대회를 계획함

- 만주사변이 일어나던 1931년에 사회주의 계열의 주장에 의하여 해산됨

 

3. 6·10 만세운동과 광주학생운동

6·10 만세운동

- 19264월에 순종의 붕어

- 장례일인 610일에 항일시위운동 계획 일본의 삼엄한 경계

- 610일에 가두 시위를 벌임

“2천만 동포여! 원수를 구축하라. 피의 값은 자유이다. 대한독립만세.”

광주학생운동

- 1929년 한국학생과 일본학생들과의 충돌로 발생 일본은 한국학생들 검거

- 검거된 학생들의 석방과 민족차별의 철폐, 약소민족의 해방, 제국주의 타도 등을 외치면 시위

- 1930년까지에 걸쳐서 국내 각지에 파급됨

 

4. 해외의 독립운동

1920년의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전투

- 봉오동 전투 : 홍범도의 대한독립군과 최진동의 군무도독부가 합세하여 일본군에게 승리

- 청산리 전투 : 김좌진의 북로군정서의 독립군이 일본군 격파

- 일본군은 그 보복으로 만주의 한국인 부락을 습격 (경신참변)

경신참변 후 독립군 부대들은 러시아 등지로 흩어졌으나, 효과적인 활동을 위하여 통합운동 전개

- 만주의 독립군은 참의부·정의부·신민주 셋으로 정리됨

󰠆 參議府 : 집안현을 중심으로 압록강 연안지방에 설립 (임시정부 직할 하)

󰠐 正義府 : 길림성과 봉현성을 중심으로 성립 남만주 지방에서 한족행정부로 성장

󰠌 신민부 : 북만주에서 自由市사변 이후 러시아로부터 돌아온 독립군을 중심으로 통합

- 한국인의 자치를 집행하는 민정기관과 독립군의 훈련과 작전을 관장하는 군정기관 갖춤

만주에서 독립군의 활동이 계속되자, 일본은 1925년에 총독부 경무국장 미쯔야를 보내어 탄압

- 만주의 군벌 장작림과 협약(三矢협약)을 맺고 탄압

- 한국의 독립운동자들은 중국인 관리에게 붙잡혀서 일본으로 인도됨 독립군에게 큰 타격

- 만주사변(1931) 이후 독립군은 반만중국군과 연합하여 투쟁

- 중국, 연해주 등으로 흩어짐

공포수단에 의한 항일투쟁

- 김원봉의 의열단과 김구의 애국단의 활동이 두드러짐

- 의열단원 나석주 : 서울에서의 동척폭탄사건 (1926)

- 애국단원 이봉창 : 동경에서의 일황 암살을 위한 수류탄투척사건 (1932)

윤봉길 : 상해에서의 홍구공원 사건 (1932)

임시정부의 활동

- 이승만의 대통령 취임반대 문제, 이동휘의 레닌으로부터 받은 자금 사용문제 등으로 분열

- 이를 단합시키려고 1923년에 국민대표회의가 소집(실패), 재정의 궁핍으로 활동이 거의 중단

- 1937년에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통일을 위한 움직임이 일어남

- 1941년에 미일전쟁이 일어나자 임시정부를 중심으로 다시 단결함 (상해에서 중경으로 이동)

- 임시정부는 미일전쟁이 일어난 다음날 일본에 대하여 선전포고하고 대외적인 외교활동 벌임

- 정치단체의 통합과 함께 여러 독립군도 임시정부 밑에 있는 광복군으로 통합

- 중국군·영군군 등과 협동작전을 수행

 

 

[ 4절 민족문화의 수호 ]

 

1. 민족교육의 저항

3·1 운동 이후 문화정치가 표방됨에 따라 일본의 교육방침에도 표면상의 변화가 일어남

- 일본은 한국인의 교육 정도를 일본인과 같게 한다는 구호를 내세움

- 학교도 늘고 서울에 대학까지 설치되었지만, 일본인을 위한 교육기관의 확장이였음

1930년대 들어서 일본은 교육즉생활주의를 표방

- 일본어와 실업 교육에 치중 군수공업의 발달에 따른 필요

전쟁말기에는 민족말살정책에 따라 한글수업 폐지, 일본어 상용을 강요

교육에 대한 민족적 요구에 따른 움직임

- 교육기관이 너무 적었기 때문에 보조 교육기관의 필요성이 증가됨

- 재래의 서당이 개편되어 개량서당으로 발전, 농촌 아동들의 초등교육기관의 구실을 함

- 개량서당 중에는 보통학교로 승격하는 경우도 있었음

- 3·1 운동 이후 노동야학이 크게 발전함 만주사변 이후 일제의 탄압으로 줄어듬

- 학생들의 농촌계몽운동(브나로드 운동) 전개

 

2. 국학연구

1) 國語 연구

주시경의 제자들로써 조직된 조선어학회가 그 중추적 역할을 담당

- 1921년 조선어연구회로 발족한 후 1931년에 조선어학회로 개칭 (현 한글학회)

- 이윤재,이극로,최현배,김윤경 등이 중심

-한글이란 잡지를 발간하여 국어 보급에 힘씀

- 사전 편찬에 착수, 맞춤법의 제정, 표준어의 사정, 외래어 표기법의 통일 등 업적

- ‘한글날의 제정

2) 國史 연구

1920년대에는 애국적 사학의 전통을 이은 민족주의적 사학이 성하였음

- 박은식 : “한국통사”,“한국독립운동지혈사등 저술

- 신채호 : 고대사 연구에 주력, 郞家思想을 강조, “조선사연구초”,“조선상고사등 저술

- 정인보 : “조선사연구”(오천년간 조선의 얼) 저술

- 최남선 : “兒時朝鮮” ‘조선정신의 표현으로서 단군신화를 연구

- 문일평 : “한미오십년사” ‘조선심의 발로로서 한국사를 이해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한국사에 있어서의 사회적 발전에 주목하여, 그 발전과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려는 학풍이 나타남

- 안 곽 : “조선문명사

- 백남운 : “조선사회경제사”,“조선봉건사회경제사유물사관의 입장

개별적인 역사적 사실을 정확하고 충실하게 이해하려는 실증사학이 발생

- 1934년에 조직된 진단학회를 중심

- 이병도·손진태·이상백·김상기·고유섭·최현배 등

- 일본 학자들의 연구 활동에 맞서서 진단학보발행

 

3. 현대문학의 성장

3·1 운동 이후, 문학을 하나의 독립된 예술활동으로 인식

- 1919년에 창조’, 1920년에 폐허’, 1922년에 백조등 문학 동인지 탄생

- 김동인 감자” : 자연주의 문학

- 염상섭 삼대” : 사실주의 문학

- 감상적인 심미주의에 흐른 문학이 일어나기도 함

1920년대 중엽에는 병약한 감상의 예술에 대한 반발로 새로운 경향이 일어남

-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문학 : 한용운 님의 침묵”, 이병기의 시조 현대화

- 신경향파 문학 : 당시의 사회주의 운동에 영향을 받아서 가난에 허덕이는 인간들을 주로 묘사

1930년대에 들어서면서 험악한 현실과 직접적인 충돌을 피하려는 경향이 나타남

- 1939년에 이태준,정지용 등이 참여한 문장발행

- 문학을 정치세계로부터 옹호하려는 경향이 나타남

- 순수문학이 주장되기도 함

일제 말기에는 순수문학의 활동도 탄압의 대상이 됨

 

 

14 장 민족국가의 태동과 제국주의의 침략

 

[ 1절 독립협회의 활동 ]

 

1. 대한제국의 성립

아관파천 : 건양 원년(1896)

- 을미사변으로 전국 혼란 러시아 대표 웨베르는 공사관 보호 명목으로 水兵 100명 파견

- 친러파인 이범진 등이 국왕을 러시아 공사관으로 데려감

- 친일 내각의 김홍집·어윤중 등 살해, 유길준 등은 일본 망명

- 이범진·이완용 등 친러내각 성립

- 러시아의 이권 획득이 열강을 자극하여 아관파천 이후 많은 이권이 외국인 손으로 넘어감

대한제국 성립 : 광무 원년(1897)

- 아관파천으로 국민의 비나 집중 독립협회 등..

- 고종은 경운궁(덕수궁)으로 옮겨와 국호를 大韓, 연호를 光武, 왕을 황제 칭함

 

2. 독립협회의 창립과 발전

정부가 외세에 의존하여 국가를 보존하려는데 반발한 신지식층들이 각종 정치단체를 창설

독립협회

- 건양 원년(1896)에 갑신정변 실패로 미국에 망명하였던 서재필이 귀국하여 조직

- 윤치호·이상재·남궁억·정교·한규설 등 참여

- 회원 가입의 전적인 개방 : 정부 관료들 중심에서 일반 시민을 중심으로 한 협회로 변화

- 광무 2(1898)에 조직된 공주지회를 필두로 지방으로 확대

(서울의 본회가 해산된 후에도 계속 활동)

- 신지식층을 선두로 하여, 새로이 성장한 시민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음

 

3. 독립협회의 활동

청의 사신을 맞이하던 영은문을 헐고 독립문 세움, 독립관·독립공원 만듬

계몽운동 전개

- 일요일마다 독립관에서 토론회 개최

- 기관지 발행

󰠆 공 식 : 월간 대조선 독립협회 회보

󰠐 비공식 : 일간신문 독립신문』 ← 독립협회 창설전에 간행, 순 한글

󰠌 독립협회에 참여한 유교의 혁신파 : 황성신문

독립협회의 활동 목표

- 자주독립 옹호

󰠆 외국의 정치간섭 배격, 이권양여 반대, 침탈된 이권도 되찾을 것

󰠌 열강의 세력을 균형 유지시켜 자주적인 중립외교

- 일반국민을 정치에 참여할 수 있게 민권 신장

󰠆 국민의 참정권 주장 : 개인의 생명과 재산의 보호권, 언론과 집회의 자유권,

󰠐 만민의 평등권, 국민 주권론

󰠌 중추원을 개편하여 의회를 설립 제의 고종의 승낙을 받기도 함

- 국가의 자강을 이룩

󰠆 촌마다 학교를 세워 신교육을 실시

󰠐 방직·제지·철공업 등의 공장을 건설하여 상공업 국가로 발전

󰠌 자위를 위해 근대적인 국방력을 양성

독립협회의 활동에 의한 영향

- 러시아의 군사교관과 재정고문(알렉세프)의 본국 소환, 한로은행 폐쇄

- 고종은 러시아 공사관으로부터 경운궁으로 돌아옴 (경복궁 아님)

- 광무 2(1898) 10월에 종로광장에서 관민공동회 개최

󰀲 헌의 6조 건의 : 입헌정치와 법치행정 요구, 홍범 14조 등 장정 실행 요구

- 정부의 독립협회에 대한 해산 명령 만민공동회 개최 무력으로 시위군중 해산

독립협회의 해산

 

 

[ 2절 일제의 정치적 침략과 의병의 항쟁 ]

 

1. ·일의 침략 경쟁

러시아의 만주에 대한 지배력 강화후 대한제국에 대해서도 강력한 침투 시도

실력에서 뒤지던 일본은 러시아와 타협을 원함

·일간 니사(西)-로젠 협정(광무 2,1898) 체결

- 한국의 내정 불간섭, 훈병교관과 재무고문의 파견은 사전 협의,

일본의 한국에 대한 경제적 침투 인정

러시아의 해군 근거지 확보위한 마산의 토지 조차 시도 (광무 4,1900) 실패

·일 전쟁

- 광무 4년에 청에서 의화단의 난일어남

- 러시아 만주에 군대 파견 ·일 동맹 체결

- 러시아는 압록강을 넘어 용암포에 주둔, 조차 요구 (광무 7,1903) 일본 항의로 실패

- 광무 8(1904) 2월에 일본이 旅順 기습공격으로 러일전쟁 발발

 

2. 일제 침략의 국제적 승인

한국의 국외중립 선언 : 광무 8(1904) 1

한일의정서 성립 : 광무 8(1904) 2

- 일본이 무력으로 위협하여 강제 성립, 일본의 정치적·군사적 간섭을 합리화

- 한국과 러시아간의 모든 조약 폐기

- 전쟁을 위한 필요에서 경의·경부선 착공, 통신망 강점, 한국의 해안과 하천의 항행권 획득

- 토지의 강탈을 위한 황무지 개척권 요구 여론의 반대로 철회

- 일본인 고문관의 초빙을 강요 내정 간섭 목적

한일협정서 (1차 한일협약) : 광무 8(1904) 8

- 일본이 추천하는 일본인 1명을 재정고문으로 초빙, 자문후 시행

외국인 1명을 외교고문으로 초빙, 일본과 협의하여 시행

재정고문:메가다, 외교고문:스티븐스

- 협약에 없는 군부고문·경무고문·궁내부고문·학정참여관 등 파견 고문정치 시행

- 독일·프랑스·일본·청 등에 파견 되었던 한국공사 소환됨

일본의 한국에 대한 지배 인정

- 러일전쟁에서 일본의 연승

- 루스벨트는 미국의 필리핀 지배 승인 대가로, 일본의 한국에 대한 지배 인정

태프트·가쯔라 비밀협약 : 광무 9(1905) 7

- 영국도 영일동맹을 개정하여 일본의 한국 보호조치 승인 : 광무 9(1905) 8

- 포츠머드 강화조약 : 광무 9(1905) 9

일본의 한국 지배를 러시아가 인정

일본의 한국에 대한 독점권리 확보

 

3. 을사조약

일진회 : 송병준·이용구 등이 조직한 친일단체 보호조약의 필요를 선전

헌정연구회 : 이준, 양한묵

을사조약 (한일협약) : 광무 9(1905) 11

- 일본 정치계 원로 이토, 주한일본공사 하야시에 의한 강제 조약

안중근의 이토 살해 (융희 3,1909) - 한일합방 전

- 한국의 외교권을 완전히 박탈

일본은 간도를 안봉선 개축 조건으로 청에게 넘겨줌 (융희 3,1909)

- 통감(統監) 정치 : 규정상에는 외교에 관한 사항만 관리하게 되어있었지만,

실제로는 한국의 모든 내정을 관장

국민적인 반항

- 상소문·연설·시위·철시가 끊이지 않음

- 시종무관 민영환 자결

- 조병세·홍만식·송병선·이상철 등 많은 憤死者

- 의병들의 봉기 : 민종식(홍성), 최익현·임병찬(순창), 신돌석(경상도)

 

4. 海牙密使事件과 한일신협약

대한매일신보에 고종의 친서 발표

헤이그밀사사건

- 광무 11(1907) 6월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만국평화회의

- 이상설·이준·이위종 참석하지는 못함

- 이위종은 만국기자협회에서 실정을 폭로, 이준은 순국

고종의 양위

- 밀사사건으로 일본은 지배의 강화를 꾀하려 함

- 일본의 강요로 순종 황제 즉위 (광무 117), 연호를 隆熙

- 시위운동 확산, 일진회의 기관지인 국민신보의 사옥 파괴

한일신협약 (정미7조약) : 융희 원년(1907)

- 통감은 한국의 내정에 간섭할 수 있는 권한을 정식으로 가짐

- 施政개선, 법령제정, 중요한 행정처분, 고등관리 임명, 외국인 초빙등에 통감의 동의필요

- 고문을 없애고, 각 부의 차관이하에 다수의 일보인 관리 임명 차관정치

군대의 해산 : 융희 원년(1907) 8- 한일신협약 직후

- 해산된 군대는 일본과 시가전을 전개하였으나 탄약이 떨어져 패배

- 해산되어 지방으로 내려간 군대들은 각지의 의병과 합류

- 지방의 진위대들도 의병에 참가

 

5. 일제의 식민지화

한일합방 (융희 4,1910)

- 일본은 육군대신 데라우치를 새 통감으로 임명

- 데라우치는 부임전 동경에서 경찰권을 위양받는 조약을 맺어서 한국으로 옴

- 일본 헌병 2000여명을 증원시켜 경찰업무 담당

- 황성신문·대한민보·대한매일신보등을 정간시킴

- 총리 이완용과 더불어 병합안을 꾸미어 822일에 조약에 조인

총독부 설치

- 총독은 육·해군 대장 중에서 임명, 입법권·사법권·행정권 및 군사통수권 가짐

- 초대 총독에 데라우치 강압적인 통치

- 헌병 경찰제도 실시

- 1910년 안명근의 데라우치 암살 미수사건

그 이듬해에 신민회의 윤치호·양기탁·이승훈 등 600여명 검거, 105명 기소 (105인 사건)

- 한국인의 모든 정치활동 금지 : 집회취체령(集會取締令)

- 총독부 부속 관청으로 중추원 만듬 일본 자문기관

󰀲 중추원 의장에 정무총감(일본인), 의원은 일본이 임명, 부의장에 이완용 등 임명

 

6. 의병항쟁의 격화

의병활동은 을미사변(고종 32,1895)때부터 있었지만 활동은 미비

군대 해산(융희 원년,1907) 후 서울의 시위대와 지방의 진위대 합류 후 본격화

- 서울의 시위대는 일본군과 항전 후 지방으로 내려가 의병과 합류

- 원주의 진위대는 민긍호의 지휘하에 원주·충주·여천·춘천 등에서 왜군 격파

- 강화의 진위대는 유명규의 지휘하에 일본군 격파하고 황해도로 가서 의병과 합류

- 허위는 적성 등 임진강 일대를 중심으로 활약

- 이인영은 강원도에서, 이강년은 안동 진위대와 함께 경북·강원 일대에서 활약

- 신돌석(평민출신 의병장)은 경상도에서 활약

융희 원년(1907)에 이인영,허위 등이 전국 의병 1만으로 십삼도창의군결성

서울 동대문 앞 30리 지점까지 진격

융희 2(1907)을 고비로 의병활동은 점차로 약화되었으나,

한일합방 이후에는 만주·발해주로 무대를 옮기어 독립군으로 전환

 

 

[ 3절 일제의 경제적 침략과 민족자본 ]

 

1. 토지의 약탈

광무 8(1904) 6월에 황무지 개척이라는 구실로 토지의 약탈을 강행하려 함

- 이도재 등이 농광회사 조직하여 황무지 개척은 우리손으로 해야한다고 주장

정부의 승인 받음

- 보안회에서 대중적인 반대운동

황무지 개척안은 철회되었으나, 국유미간지이용법 제정 (광무 11,1907)하여 목적달성

일본인 자본가들의 농업회사 설립

- 국유 미개간지 뿐만아니라 역둔전 등까지 침탈해서 대규모 농장소유

- 한국농업주식회사(광무 8,1904)·한국흥업·한국실업·산음도산업 등 많은 농장 소유

- 동양척식주식회사(융희 2,1908)16개월동안 3만 정보의 토지소유

- 일본 농민의 이주가 급격히 증대

- 철도용지·군용지를 빙자한 토지수용 방법으로 약탈

국유지는 무상으로 약탈, 사유지는 한국정부가 매입하여 제공

토지조사 사업

- 1910년 토지조사국 설치

- 1912년 토지조사령 반포 공공기관 소유, 신고하지 않은 모든 토지 총독부에 몰수

- 1911년 산림령, 1918년 임야조사령 국유산림, 소유자 불확실한 산림이 총독부 소유

1930년 통계 : 총독부가 소유한 전답과 임야 : 888만 정보 (전 국토의 40%)

- 총독부가 점유한 토지의 일부는 동양척식회사 등 일본인 토지회사나 이민들에게 헐값으로 불하

 

2. 자원의 독점

금의 확보를 한국에 의존 일본의 자본주의가 金本位制로 전환

병합이후 일본인 소유 광산 증가

삼림채벌 - 1920년 이후에 심해짐

독도를 불법적으로 일본 영토로 편입 일본인 어부 보호

총독부는 철도·항만·통신·항공 등의 시설운영, 인삼·소금·담배·아편 등을 전매

 

3. 공공사업의 지배

전신시설

- 고종 22(1885)에 서울과 인천 및 의주와의 연락위해 처음 가설 청의 관리

- ” 25(1888)에 서울과 부산 사이에 전신선 가설,

부산에서 해저선을 통하여 일본으로 연결 한국 정부가 운영

- 러일전쟁을 계기로 일본의 수중으로 넘어감

우편사무

- 고종 21(1884)에 우정국 설치 갑신정변으로 폐지

- ” 32(1895)에 우편사를 두고 우편사무 시작

- 광무 4(1900)에 외국과의 우편물 교환도 실시

- 러일전쟁을 계기로 일본관리에 위임

철도의 가설

- 경인선 : 일본이 양해로 먼저 얻었음

건양 원년(1896)에 미국에게 경인선 부설권이 넘어감

다음해 공사가 시작되었으나, 일본에게 인계되어 광무 4(1900)에 완성

- 경부선·경의선 : 러일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일본이 가설

- 을사조약 이후 통감부 철도관리국의 관장하에 놓였고, 이어 총독부 관하로 들어감

전기시설

- 광무 2(1898)에 한국과 미국의 합자로 한성전기회사 설립되어 전차·전등 가설

- 전기시설만은 통감부의 관리를 받지 않았음 병합후에는 모두 총독부의 지배

 

4. 금융의 지배

화폐의 정리 (광무 9,1905)

- 한일협정서 (광무 8,1904)에 의하여 재정고문으로 온 메가다에 의해 실시

- 엽전(상평통보)과 백동화가 주로 유통되고 있었음

- 제일은행(일본소유)으로 하여금 새 화폐를 만들어 교환·정리

- 백동화를 갑··병으로 구분하여 병(전 백동화의 2/3)은 교환해 주지 않음

한국 상공업자는 막대한 손해

- 일본의 은행이 한국의 금융업계를 지배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됨

일본 금융기관의 침투

- 1900년경에 제일은행,제십팔은행,제오십팔은행,일본흥업은행 등 지점과 출장소 설치됨

- 제일은행의 한국지점은 광무 9(1905) 3월이래 통화발행권을 가짐 한국의 중앙은행 구실

- 융희 3(1909)에 한국은행 설치되어 제일은행의 업무 계승

총재에는 제일은행 한국총지점 지배인이 취임

- 합방후인 1911년에 한국은행을 조선은행으로 만들어 중앙은행의 구실을 담당케 함

- 광무 10(1906)에 설치된 농공은행(식산은행)은 식민지가 된 후에 주로 일본인 상·농민 지원

정부의 국채 증가

- 통감부는 금융기과의 구제, 도로의 개수, 일본인 관리의 고용 등의 비용을 정부에게 부담시킴

- 정부는 통감부의 주선으로 일본정부 및 일본인 은행에서 차관을 함

- 국채의 부담은 정부로 하여금 더욱 일본에 의존하게 만듬

국채보상운동의 전개 (광무 11,1907)

- 병합된 뒤에 총독부는 한국국민의 세금으로 이를 모두 상환함

 

5. 민족산업의 수난

민족자본에 의한 근대적 기업 활동이 활발해짐 : 18971907

- 독립협회가 활발한 사회적 활동을 하고, 대한제국이 성립되던 무렵 이후

객주조합은 개항장에서 근대적 상인단체로 성장

고종 32(1895)상무회의소규례가 발표되면서 상무회의소로 바뀜

광무 9(1905)에 서울에 설치된 상무회의소가 한성상업회의소

- 화폐개혁으로 인한 금융공황의 구제책을 강구하는 것이 목적

- 상업은행 설립을 계획하여 광무 10(1906)에 한일은행 창립

- 기관지인 상공월보간행

- 한성상업회의소는 일제의 식민지가 된 후에 해산,

한국 상업인들도 일본인 주도하의 경성상업회의소에 흡수

민간 기업인들에 의한 근대적 공장 건설

- 가장 관심을 가진 분야는 방직(紡織)공장

안동수의 대한직조공장, 백목전의 종로직조사, 김덕창의 김덕창직조공장

- 요업·정미업·담배제조업·제분업 등의 공장도 늘어남

철도를 민족자본으로 건설해야 한다는 주장

- 광무 2(1898)에 부산과 하단을 연결하는 철도 가설 위해 박기종 등이 부하철도회사 설립

- 광무 3(1899)에 설립된 대한철도회사는 경의선·경원선·함경선 등 건설 계획

- 자본 부족으로 시작을 못하자, 정부는 광무 4(1900)에 철도원을 두고 건설 계획 세움

- 광무 6(1902)에 경의선 건설을 위해 서북철도국을 신설하여 기공식까지 함

러일전쟁 이후 일본에게 부설권 강탈당함

해운에 있어서는 관민합판회사인 이운사 몰락후, 민간 해운업 점차 설립됨

- 광무 4(1900)에 대한협동우선주식회사·인천우선회사·인한윤선주식회사·통운사 등 설립

김종한 등이 건양 원년(1896)에 한국인이 세운 최초의 금융기관인 조선은행 설립

- 이어 한성은행·대한천일은행·한일은행 등 설립

- 광무 7(1903)에 중앙은행 설립위한 조례 반포

한국 정부에 의한 중앙은행은 실현되지 못함

 

 

[ 4절 애국계몽운동 ]

 

1. 정치·사회 단체의 활동

보안회

- 광무 8(1904)에 송수만 등이 조직

- 일본의 황무지 개척권 요구에 반대운동을 일으켜, 일본으로 하여금 철회케 하는데 성공

- 이상설을 회장으로 하는 협동회로 발전 일본의 탄압으로 해산

공진회

- 광무 8(1904)에 독립협회 계통의 인사들로 조직

- ” 9(1905)에 헌정연구회로 발전

정치·사회 단체의 활동은 정부·일본의 탄압으로 사회문화 운동으로 변화

대한자강회

- 광무 10(1906)에 헌정연구회의 후신으로 조직됨

- 헤이그 밀사사건으로 일본이 고종의 퇴위를 강요하자 반대운동 전개

- 통감부에 의해 강제 해산되었으나, 대한협회로 이름바꾸고 계몽운동 전개

국채보상운동

- 광무 11(1907)에 국채보상기성회 조직

- 간사인 양기탁의 구속으로 더 이상 진전없이 좌절

신민회

- 통감부의 감시속에서 정치·사회 운동이 많은 제약을 받자 조직된 비밀단체

- 광무 11(1907)에 윤치호·안창호·양기탁·전덕기·이동휘·이갑·이승훈 등이 조직

- 산업을 위하여 자기회사 세우고, 교육을 위하여 학교설립, 출판활동을 위하여 서점을 경영

- 무장활동을 목표로 한 준비도 하고 있었으나, 1911년에 105인 사건으로 활동 중지

 

2. 언론기관의 발달

·한성순보

- 한국 최초의 신문

- 고종 20(1883)에 김옥균 등 개화당의 노력에 의하여 박문국에서 발행

- 갑신정변으로 1년만에 폐간

·독립신문

- 건양 원년(1896)에 서재필이 창간

- 한글전용으로 처음 1주일에 3회에서 일간으로 발전

- 독립협회에서도 서구문화를 흡수한 신지식층의 견해를 대변

·황성신문

- 광무 2(1898)에 남궁억 등이 창간

- 독립협회에서 유교의 혁신파 세력의 견해를 대변, 국한문 혼용

-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오건조약체결전말이라하여 상세보도

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이라는 논설 실음

·제국신문

- 광무 2(1898)에 이종일 등이 발행

- 중류이하의 대중과 부녀자를 상대로 하는 순한글로 된 신문

- 정치적 문제보다는 사회적인 계몽운동에 주력

·대한매일신보

- 광무 8(1904)에 영국인 베델(배설)이 양기탁과 함께 창간

- 영국인의 경영이라하여 일본의 검열을 받지 않음

- 처음에는 국한문 혼용으로 간행하였으나, 한글판·영문판(The Korea Daily News)도 간행

- 을사조약 후 고종의 친서 발표

·만세보

- 광무 10(1906)에 손병희·오세창 등 천교도 계통

- 일진회에 대한 비난

·대한민보

- 융희 3(1909)에 대한협회에서 간행

- 일진회 등과 맞서 싸움

광무 11(1907)에 통감부는 신문지법 제정하여 언론을 탄압

- 1910년 경에는 대한매일신보만이 민족의 대변지 구실

병합후 총독부에 매수되어 매일신보로 개제

- 미국에서 신한민보, 발해주에서 해조신문이 간행되어 국내로 배달

융희 2(1908)에 완전히 금지됨

 

3. 교육열의 팽창

정부는 고종 23(1886)에 육영공원 설립하여 서양의 새 학문에 대한 교육 실시

고종 32(1895)에 교육입국의 조서를 내려, 교육의 중요성 강조

사립학교의 설치

- 원산학사 : 고종 20(1883)에 덕원부사 정현석이 원산에 세움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학교

- 배재학당 : 고종 23(1886) 미국 선교회 계통의 아펜젤러가 세움

- 을사조약 체결 후에 한국인에 의한 사립학교가 많이 세워짐

사립학교는 양반보다는 평민 출신들이 설립을 많이 하였고, 관심도 많았음

을사조약 이후 노동야학이 크게 성행함

통감부시대에 사립학교령(1908)을 제정하여 인가제로 하고, 교과서도 인가된 것만을 사용케 함

많은 사립학교가 폐교

병합후에는 총독부가 실용주의 교육을 내세움

- 보통교육에서는 일본어를, 실업교육에서는 기술을 교육시킴

 

4. 종교운동

기독교(신교)의 영향

- 고종 21(1884)에 미국 북장로회의 알렌,

고종 22(1885)에 언더우드, 미국 북감리회의 아펜젤러 등이 활발한 선교활동

전도의 한 수단으로 의료 등 사회사업을 경영

- 사상적으로 자유주의를 고취하고 민족의식 양양에 커다란 구실

- 광무 7(1903)에 황성기독교청년회 설립, 활발한 정치적·사회적 운동 전개

천도교

- 동학계통의 일부가 일진회로 흡수되자, 손병희는 천도교란 이름을 내세우고 민족운동에 가담

-만세보를 발간하는 등 활발한 사회활동

유교

- 보수적인 입장이여서 근대화의 방향과 반대인 경우가 많았지만,

강한 척왜사상으로 상소문이나 의병활동 일으킴

불교

- 불교를 혁신하려는 운동 전개

-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1913)이 간행됨

대종교

- 나철·오적 등이 단군신앙 부활, 민족적 입장 강조

 

5. 계몽적 학문

학문적인 계몽 단체들의 조직

- 李甲 등의 서북학회 (서우학회+한북흥학회) → 『서북학회월보

- 이광종 등의 기호흥학회 → 『기호학회월보

- 장지연 등의 영남학회

- 이채 등의 호남학회 → 『호남학보

- 남궁억 등의 관동학회

- 유길준 등의 흥사단

- 김윤식 등의 대동학회

- 진학신 등의 여자교육회

계몽적인 잡지

-대조선독립협회 회보·대한자강회월보·소년

- 여성 계몽을 위하여 신민회의 가정잡지, 여자교육회의 여자지남

- 광학서포·회동서관 등 기업적인 출판사 설립

國語 연구

- 유길준의 조선문전”(19세기 말) : 최초의 문법서 1909대한문전으로 간행

- 주시경이 국문동식회, 지석영이 국문연구회 조직

- 주시경은 국어문법”,“말의소리등 저술, 많은 제자 배출 후에 조선어학회 결성

國史 연구

- 장지연·박은식·신채호 등 을지문덕전”,“강감찬전”,“최도통전”,“이순신전등 전기 전술

- 역사지리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국토에 대한 애호 강조

- 한국의 고전을 발굴하여 그 가치를 재인식하려는 노력,

최남선이 조선광문회 조직 조선총서간행

- 세계사에 대하여도 큰 관심 (건국사·망국사)

서사건국지”,“미국독립사”,“의대리독립사”,“월남망국사”,“파난말년전사

- “이태리건국삼걸전”,“비사맥전”,“피득대제”,“애국부인전등 영웅들의 전기가 환영됨

 

6. 소설과 가사

신소설 : 구소설로부터 신문학으로의 다리를 놓는 역할

- 순한글, 권선징악적 주제, 인물들이 틀에 박힌듯한 유형

- 등장인물이나 사건을 현대에서 취하고, 언문일치의 문장을 사용

- 민족의 자주독립, 신교육의 필요성, 남녀평등, 미신타파, 과학문명의 필요를 역설

- 이인직 : “혈의 누”,“치악산”,“귀의 성

이해조 : “자유종”,“모란병(牡丹屛)”

최찬식 : “추월색

안국선 : “금수회의록

- 신소설은 1911년에 이광수가 무정을 발표할때까지 소설의 주류를 이룸

새로운 형태의 가사(창가)가 크게 유행

- 애국·독립·신교육·신문화 등 당시의 시대상을 반영

외국 문화의 소개도 늘어남

- “성경”,“천로역정같은 기독교물

- “이솝이야기”,“로빈손표류기”,“걸리버여행기등 아동문학

 

 

[ 53·1 운동 ]

 

1. 망명과 비밀결사

한일합방이후 많은 민족운동자들이 해외로 망명함

무력에 의한 독립쟁취 움직임

- 삼원보 : 이시영·이동녕·이상용 등이 중심이 되어 서간도에 설치

1911년에 군사훈련을 위한 신흥무관학교가 세워짐

- 대한광복군정부 : 연해주에 건설한 신한촌 등 여러 한국인 거주지를 토대로,

1914년 이상설·이동휘 등이 블라디보스톡에 세움

- 미국에서는 박용만이 1909년 헤스팅스에 한인소년병학교 설립

1914년에는 하와이에 대조선국민군단 편성하고, 사관을 양성하기 위한 사관학교 설립

외교적 수단에 의하여 독립을 쟁취하려는 움직임

- 상해에서 활동하던 신규식은 1912년에 동제사 조직, 중국의 혁명가들과 연결

- 미국으로 간 이승만은 1909년 대한인민국회(국민회)를 조직, 미국을 중심으로 활동

- 안창호는 강제 해산당한 신민회의 후신으로 흥사단 조직

- 중국에 망명한 독립운동자들은 1917년 스톡홀름에서 열린 만국사회당대회,

뉴욕에서 열린 세계약소민족회의에 대표 파견

국내에서의 독립활동

- 안창호가 1907년에 비밀결사인 신민회 조직 105인 사건으로 강제해체

- 장일환이 중심으로 1917년에 기독교 계통의 조선국민회 조직

독립군의 조직

- 대한독립의군부 : 1912년에 임병찬이 중심이 되어 조직

- 조선국권회복단 : 1915년에 서상일등이 조직

- 대한광복회 : 1913년에 채기중 등이 조직하고, 뒤에 박상진 등이 강화

 

2. 3·1 운동의 발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의 영향으로 약소민족들이 독립함

19191월에 상해에 모인 망명지사들이 신한청년당 조직

- 2월에 파리의 평화회의에 김규식을 대표로 파견

- 국내와 일본·만주·시베리아 등 각지에 대표를 보내 구체적인 독립활동 모색

2·8 독립선언

- 일본 동경의 유학생인 최팔용 등은 조선청년독립단을 조직하고 독립운동 계획

- 이들 유학생 600여명은 191928일 동경 기독교 청년회관에서 선언서와 결의문 발표

3·1 운동의 시작

- 천도교·기독교·불교 등 종교 단체를 중심으로 계획

- 고종의 장례일인 33일을 앞두고, 전국 각지의 군중들이 서울에 집결

- 민족대표들은 태화관에서 독립선언서 발표

- 학생들은 탑골공원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 후 시위 행진

 

3. 3·1 운동의 전개

민족대표 33인에 의하여 작성된 독립선언서의 발표와 더불어 시작

평화적인 시위운동의 전국적인 확대 만주·연해주 등 해외로도 번져감

1차 세계대전의 전승국인 일본의 국제적인 지위가 높았기 때문에 열강의 지원은 못받음

 

4. 임시정부의 수립

강력한 통일된 조직의 필요성 대두

- 3·1 운동 직후에 국내외에 여러개의 임시정부가 생김

- 통합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상해에 수립됨 (19194)

대한민국 임시정부

- 의정원과 국무원으로 구성

- 임시정부와 국민과의 연결은 연통제를 통하여 이루어 짐

- 19195월 김규식을 전권대사로 임명하여, 파리강화회의에서 독립 주장케 함

- ” 8월 스위스에서 열린 만국사회당대회에 대표 파견

- 만주와 발해주 지방의 독립군을 일원적으로 재편성하고, 안동현에 광복군 총영을 설치

- 임시정부 기관지로서 독립신문간행

 

 

[ 1절 개화정책과 그에 대한 반발 ]

 

1. 통상 개화론의 대두

초기 통상론

- 박제가 (북학파) : ,일본,서양과 통상해야 국가 부강 주장

- 이규경 : 순조 32(1832), 영국상선 통상 요구때 허락 주장

- 최한기 : “지구전요저술, 무호개방 주장

박규수·오경석·유홍기 등에 의한 통상론 추진

- 박규수 : 박지원의 손자

- 오경석 : 중인 출신의 역관, 청 왕래하면 해국도지등 수입

- 유홍긱 : 중인 출신 종사

대원군의 정권 하야 (고종 10,1873)

 

2. 開港

운양호 사건 : 고종 12(1875)

- 대원군의 정권 하야를 통상조약 강요의 기회로 삼음

- 譯官 오경석이 우의정 박규수를 움직여 통상 수교 방침을 결정

- 신헌(申櫶)을 파견하여 구로다와 협상

朝日修好條規 (병자수호조약, 강화도조약) : 고종 13(1876)

- 12조로 구성

󰠆 조선이 자주의 국가로서 일본과 평등한 권리를 갖는다 청의 종주권 배격

󰠐 20개월을 기하여 부산과 그 밖의 2개의 항구를 개항 - 원산만,인천

󰠐 일본은 수시로 조선의 해안을 측량

󰠌 개항장에는 일본인의 조차지(租借地)를 설정, 일본인의 치외법권 규정

- 원산만 : 러시아의 남하에 대비

인 천 : 정치적 이용 - 인천으로부터 쌀의 수출은 금지됨

 

3. 개화정책의 추진

1) 개화정책에 따른 문화 도입

김기수를 수신사로 임명하여 일본에 파견

- 고종 13(1876) ; 강화도 조약이 성립된 해

- “일동기유를 저술, 고종에게 바침 신문명에 대한 조심스런 비판

일본은 하나우사를 公使로 파견, 서대문밖의 청수관(청연정)공사관으로 삼음

김홍집(김굉집)이 수신사로 방일

- 고종 17(1880)

- 청의 황준헌 조선책략”, 정관응 이언(易言)”을 가져옴

* 조선책략 : 나라가 부강하려면 서양의 제도와 기술을 배우고,

러시아 남침을 막으려면 친중국·결일본·연미방하여 자강을 꾀하여야 함

* 이언 : 국가를 부강하게 하려면 기술뿐만 아니라 정치제도도 받아들여야 함

조사시찰단(신사유람단)을 일본에 파견

- 고종 18(1881), 조준영·박정양·어윤중·홍영식 등

- 각종 시설을 시찰하기 위한 전문 위원의 파견

청의 권고에 따라 김윤식을 영선사로 삼아 청의 천진기기국 파견

- 양반 출신의 학도, 공장(工匠) 수십명

- 신식무기 제조법, 군사관계의 기초과학을 배움

2) 개화 정책에 따른 정치개혁

군사제도의 개편 (고종 18,1881) 왕권 강화를 위한 군대 개혁

- 5군영 양영(무위영,장어영) : ‘大將에 국왕의 친근자 임명

- 별기군 신설 : 일본인 장교초빙, 국왕의 근위병 성격

- 사관생도 교육 : 양반의 자제 100여명

행정기구의 개혁

- 대체로 청의 제도를 참작

-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을 설치,

그 밑에 12(사대·교린·군무·변정·통상·군물·기계·함선·어학·典選·理用) 설치

 

4. 위정척사 운동

위정척사 사상 : 개화의 조류에 반대하는 유학자들의 사상

- 성리학에 근본을 두고, 그 밖의 다른 이질적 문화를 배척

- 양요와 강화도 조약의 영향으로 척화론의 형태를 띰

- 이항노 󰠆 고종 3(1866;병인양요가 있던 해)에 상소 주전론 주장

󰠐 고종 4(1867) 언행록인 화서아언” - 침략 배격

󰠐 內修가 있은 연후에 外攘이 가능

󰠐 의병을 조직하여 관군과 호응하여 외적과 싸울 것 주장 의병운동에 영향

󰠌 경제적 침략에 대한 경고 서양 물품을 사용하지 말 것을 주장

- 강화도조약 이후 왜양일체론대두 최익현의 五不可疏고종 13(1876)

김홍집(김굉집)이 가져온 조선책략에 대한 유학자들의 반발

- 영남 유학자들이 이만손을 疏頭로 하고 낸 영남만인 축출되었던 대원군 추앙받음

 

5. 임오군란

대원군의 정권 복귀 노력

- 고종 18(1881), 이재선을 국왕추대 실패

임오군란 (고종 19,1882)

- 개화와 수구 세력의 대결로 정계혼란, 일본 세력 침투에 대한 민족적 반항심

- 별기군 창설후 구식 군대에 대한 차별대우 등에 의해 발발

- 별기군을 훈련하던 일본인 장교 살해, 일본 공사관 습격

대원군의 재집권

- 양영과 별기군 폐지 5군영 부활

- 통리기무아문 폐지

 

6. ·일의 침략행위와 열강과의 통상

일본의 출병소동 청의 군대파견 (영선사 김윤식의 의견)

- 일본에게 빼앗긴 조선에 대한 우월적 지위 회복 목적

- 대원군을 납치하여 텐진(天津)으로 호송 군란의 책임자라는 이유

제물포조약 (조선,일본) : 고종 19(1882)

- 군란의 주모자 처단, 일본인 피살자 유족에게 위문금 지불,

일본 정부에 손해 배상금 50만원 지불, 일본 공사관에 경비병 주둔

제물포조약이 체결되긴 했지만, 청이 주도권 계속 유지

- 정권을 담당한 명성황후는 청에 의존

- 조선의 요청으로 청은 묄렌도르프와 馬建常을 외교고문으로 파견

- 고종 19(1882)통리교보통상사무아문(외아문)’통리군국사무아문(내아문)’ 설치

󰀲 외교와 통상 󰀲 군국의 기무와 내정의 일체

- 군사제도 : 친군영을 세우고 그 밑에 4(···), 청국식으로 훈련

- ‘상민수륙무역장정체결 : 청국인의 조선안에서의 거주·영업·여행의 자유 인정

청국 상인의 수 급증하여 조선 상인에게 타격 반청감정

열강과의 통상 일본의 진출을 막으려는 청의 의도

- 고종 19(1882)에 미국과 통상조약, 그 다음해(1883)에 비준

- 영국·독일과도 고종 19년에 의정되었다가, 익년에 작성, 그 다음해(1884)에 비준

- 이탈리아·러시아 : 고종 21(1884)에 조인

- 프랑스 : 고종 23(1886)에 조약

- 오스트리아·벨기에·덴마크 등과 통상조약 체결

 

 

[ 2절 개화당의 개혁운동 ]

 

1. 개화당의 탄생

개화당(독립당)의 탄생 : 급진적 개화정책 주장

- 김옥균·박영효·박영교·서광범·홍영식 등 (민비에게 압박받는 양반층) 유홍기의 영향

- 이동인(승려), 변수(중인), 유상오 부자(무인), 이창규(상인) 등 참여

- 신분차별 폐지, 일본의 메이지유신을 본떠 정치쇄신, 청의 간섭배격 등

󰀲 일본에게 원조받기를 희망

개화당의 활동

- 임오군란 이후 박영효가 수신사로 일본에 갔을 때 (고종 19,1882)부터 활발

김옥균·서광범 등이 동행

- “한성순보간행, 일본에 유학생 파견

우정국(우편), 전환국(화폐주조), 기기국(무기제작) 설치

- 경기도 광주에서 신식군대 양성 민비세력의 반대로 곧 중지

- 열강의 외교사절과 빈번히 접촉 외교 활동의 중요성 인식

민비 세력의 반발과 일본의 지원 미비로 활동에 한계

 

2. 갑신정변

정변의 준비

- 김옥균이 일본으로부터 300만원의 차관 계획 (고종 20,1883) 실패

- 고종 21(1884)청불사변발생 청의 간섭을 배격할 기회로 생각

- 서재필 등 합류, 일본(다케소에)의 지원 약속

갑신정변 단행 (고종 21,1884)

- 홍영식이 총판(總辦)으로 있는 우정국 개국 축하연 이용

- 대원군의 귀국 요청 민비세력 압도위해

문벌 폐지하여 인민 평등의 권리를 제정

국가에 해를 끼친자 처벌 민씨 일파의 척족세력 제거

- 재정을 호조로 단일화

타조법 개혁하여 국가 수입 확대

관제를 개혁하여 회의로써 정책 결정

갑신정변의 실패

- 청군의 출동으로 실패 (서울주둔군 - :1500, :200)

- 일본군 물러나자 김옥균·박영효 등 일본으로 망명

- 다케소에 공사는 공사관에 방화한 뒤에 일본으로 귀국

- 일본 경비대 본부, 일본인 거류지 등이 군중의 습격 받음

 

3. 열강세력의 침투

한성조약 (고종 21,1884)

- 이노우에가 대표로 갑신정변의 책임문제보다는 선후책의 강구를 위주로 하는 해결 꾀함

- 일본인 피살자에 대한 위휼금 지불, 공사관 건축비 배상 등...

天津條約 (고종 22,1885) : -

- 일본은 갑신정변을 계기로 청의 주도권을 약화시키려 함

- ·일 양군의 철병

- 교련을 위한 인원 파견 금지, 파병시 사전 통고

- 청의 원세개는 서울에 남아 심한 간섭 청 상인들의 집단거주

러시아 세력의 등장

- 러시아와 통상조약 : 고종 21(1884)

- 러시아 대표 웨베르의 외교활동 정부(고종,민비)의 친러적 성향

- 청의 러시아에 대한 경계 󰠆 대원군 귀국, 뭴렌도르프대신 Denny를 외교 고문으로 추천

󰠌 뭴렌도르프에 의해 개선된 조선해관의 사무를 청에 예속

- ‘조로육로통상약정체결 󰠆 경흥이 러시아와의 무역에 개방

󰠐 러시아인 조차지 허용

󰠌 러시아인의 두만강 항행 인정

- 원산과 절영도에 저탄소(貯炭所) 설치 시도 청의 간섭으로 실패

영국의 러시아에 대한 견제

- 청의 양해하에 전라도 거문도를 불법으로 점령 (고종 22,1885)

- 러시아의 반발로, 청의 중재하에 영국함대 철수 (고종 24,1887)

조선의 열강 침투에 대한 반발

- 유길준 중립론” : 고종 22,1885 발표도 못됨

- 박정양을 주미 전권공사로 미국에 파견 (고종 24,1887)

- 독일 영사 부들러의 영세국외 중립국 제안 묵살

 

 

[ 3절 동학 농민군의 항쟁 ]

 

1. 농민의 동요

정부의 재정 궁핍 농민에게 전가

일본의 경제적 침투

- 일본의 곡물 수입(침탈) 증가

방곡령

- 고종 26(1889) : 함경도

- ” 27(1890) : 황해도

- 일본의 항의로 효과를 거두지 못함

 

2. 동학 농민군의 봉기

교조신원 운동 (고종 29,1892)

- 전라도 삼례에서 충청·전라 감사에게 교조의 누명 풀것과 교도에 대한 탄압금지 요구

- 교조신원은 기각되었으나 교도탄압 금지 약속

- 고종 30(1893)에 박광호를 소두로 복합상소 실패

- 충청도 보은에 2만여명 집결 척왜양창의(斥倭洋倡義)’의 구호

- 정부는 탐학한 향리를 징벌할 것을 약속하여 해산시킴

군사행동 (고종 31,1894)

- 고부군수 조병갑의 횡포 만석보 水稅의 강제 징수

- 전봉준의 지휘 아래 고부군청 점령 무기탈취, 곡식 빈민들에게 분배, 만석보 파괴

- 전부는 안핵사 파견 조사 전기 민란의 책임을 동학 교도에게 떠 넘김

- 전봉준·김개남·손화중 등을 중심으로 재 봉기

󰀲 倡義文 산포, 보국안민을 위해 궐기 호소

은 국가의 근본이다...’

- 고부를 점령한 뒤에 白山에 진을 옮겨 대오정비

 

3. 집강소의 설치와 항일전

1) 관군의 격파

전주에서 출동한 관군을 황토현의 싸움에서 격파 정읍·고창을 거쳐 무장 점령

영광을 거쳐 함평에 도달

정부에서는 홍계훈을 양호초토사에 임명 토벌 장성에서 패배 동학 농민군 전주 점령

2) 휴전의 성립

독학 농민군이 전주 점령 즈음, 청군·일본군 출동 정부의 휴전제의

폐정 개혁을 조건으로 휴전 성립

- 양반들의 부당한 가렴주구 배격

- 외국상인의 침투 반대

동학 농민군의 해산

- 각 촌마다 를 설치 (村村設包)

- 전라도 53군에는 집강소(일종의 민정기관) 설치 폐정개혁에 착수

- 전주에 집강소의 총본부인 大都所를 두어 전봉준이 총지휘

- 요직에는 행정에 대한 지식이 있는 잔반이나 향리들이 임명

개혁의 요강

- 탐관오리, 횡포한 부호, 불량한 유림과 양반의 무리 징벌

- 노비문서 불태울 것

- 천인의 대우 개선, 제한적인 과부 개가 허락

- 인재등용, 명분없는 잡세 폐지

- 公私債의 무효화

- 토지를 평균으로 나누어 경작하게 할 것

- 일본의 침략에 내통하는자를 엄벌

동학 세력은 三南 지방을 비롯하여 평안도·함경도까지 미침

3) 동학 농민의 재 봉기

청군·일본군의 출동으로 정세 혼미 斥倭를 구호삼아 북진

공주에서 일본군과 합세한 관군에게 패하고, 태인에서 패배

전봉준이하 많은 지도자들이 체포 혹은 피살 해산

4) 동학 운동의 의미

양반 사회에 항거하여 일어난 대규모적인 농민들의 반항운동

외국의 자본주의 침략에 대항

 

4. ·일의 침략경쟁

동학운동 ·일은 조선에 있어서의 세력확장의 기회로 보고 군사 출동

청의 공동 철병 제안 일본의 거부, 공동으로 내정개혁 추진 제의

청일전쟁 발발 일본의 승리

하관조약(시노모세키 조약) 체결 (-)

- 조선은 완전한 자주 독립국가로 확인 청의 종주권 부인

- 청이 요동반도와 대만을 일본에게 할양

 

 

[ 4절 갑오경장 ]

 

1. 개혁의 실시

1) 일본의 내정 개혁 요구 정부의 거절 군대 출동하여 경복궁 점령,

대원군 집정, 김홍집을 수반으로 한 친일·중립계 정부 구성

2) 갑오경장 (고종 31,1894)

군국기무처의 설치

- 김홍집을 총재관으로 17명의 회의원으로 구성

- 초정부적 존재 국왕·왕비·대원군 무시

- 세력 제거되자 군국기무처 폐지시키고 개혁 진행

정치상의 개혁

- 開國紀元 사용 청과의 종속관계 벗어남을 나타냄

- 의정부와 궁내부를 구별

󰠆 궁내부 : 과거의 왕실 관계 여러 관부를 정리하고 간소화

󰠌 의정부 : 총리 대신을 최고로 하여 8개 아문 (6+외무,농상)

- 의정부를 내각으로 고치고 7(외부·내부·탁지부·법부·학부·농공상부·군부)

- 관리의 品級을 개정하고, 에 따르는 월봉제도 수립

- 과거제도 폐지, 새로운 관리 임용법 시행 양반·상민이나 문반·무반의 차별 없앰

- 지방관제 개혁 󰠆 82313개편

󰠌 지방관으로부터 사법권·군사권 박탈

- 사법권을 행정기구에서 분리 독립 재판소 구성법 공포

󰠆 1심 재판관 : 지방 재판소, 개항장 재판소

󰠌 2” : 고등 재판소, 순회 재판소

- 경찰권 일원화

󰠆 서울 : 경무청

󰠌 지방 : 관찰사 지휘하에 경무관 둠

경제적 개혁

- 재정의 일원화 󰠆 탁지부(度支部)에서 재정에 관한 사무 담당

󰠌 탁지부 관하에 220개 처의 徵稅署, 9개처의 管稅司 설치

- 화폐제도 정리 : 신식화폐장정에 의하여 은본위제 채택, 수종의 동화로써 보조화폐

조세의 금납제

- 도량형 개정 통일

사회적 개혁

- 신분제도 철폐

- 고문이나 연좌법 폐지

- 남녀의 조혼은 금함 (남자20, 여자16)

- 모든 과부의 재가 허용, 관직에서 물러난 후 상업 종사 가능

- 양자 제도의 개정, 의복 제도의 간소화

 

2. 개혁의 파문

일본의 자본주의가 침투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

- 일본 화폐 혼용 가능

- 군사제도의 개혁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

조세의 금납제

- 농촌에까지 화폐가 널리 유통되지 않아서 농민들에게 부담

대원군의 불만 일본은 공사를 오오도리에서 이노우에로 교체하여 대원군 축출

- 김홍집·박영효 연립 내각 성립

- 홍범 14(한국 최초의 헌법)

러시아·독일·프랑스가 요동반도를 청에게 다시 반환시킴

배일·친러 세력 형성 : 민씨세력

박영효 등 친일세력 축출 이범진·이완용 등 친러파 기용

을미사변 (고종 32,1895)

- 일본의 친러세력 축출, 친일세력 부활 의도

- 이노우에의 뒤를 이은 미우라가 주도

- 김홍집을 수반으로한 새 내각 조직

급진적 개혁의 추진 (을미개혁)

- 태양력 채용

- 어린애에 대한 종두규칙 발표

- 서울에 소학교 설치

- 충주·안동·대구·동래에서 우체 사무개시

- 一世一元의 연호 사용, 이듬해부터 건양(建陽)

- 군제 변경 : 중앙에 친위대, 지방에 진위대

- 단발령

을미사변, 단발령 등으로 반일 분위기 고조

의병 (유인석·이소응·이춘영 등) 봉기

 

 

[ 5절 개화기의 상공업과 사회사상 ]

 

1. 개항후 상공업의 변화

1) 개항초기 : 외국 상인의 활동범위 제한

객주·여각(도고상인)은 보부상을 통하여 수입품 판매나 수출품 매입으로 재부 축적

2) 외국 상인의 내륙에서의 상업활동 개시

객주·여각 및 보부상에게 큰 타격

객주·여각의 진취적 상인들은 상사회사를 조직

- 평안도이 처음 평야에 설립한 대동상회 등...

- 서적출판 목적의 廣印社 󰠏󰠈

- 술을 양조 판매한 長春社 󰠏󰠍󰠏 민간의 합자회사

- 농민들의 稅穀 환금 담당한 米商會社 - 관설회사

관설회사의 수가 더 많았음, 정부로부터 특권

3) 상인단체 조직

고종 20(1883)에 보부상 보호 목적으로 혜상공국 설치

- 보부상단은 특권의식 때문에 근대적 상인단체로 성장하지는 못함

개항장의 객주들이 객주상회 조직

- 고종 20(1883) : 원산의 상회소

- ” 22(1885) : 부산 상법회사, 인천 객주상회(紳商協會)

4) 공업

고종 20(1883) 󰠆 근대적인 무기 제조하는 기기국(機器局)

󰠐 화폐 주조하는 전환국(典圜局)

󰠌 출판물 인쇄하는 박문국(博文局)

고종 22(1885) - 방직을 위한 직조국(織造局)

고종 24(1887) 󰠆 제지를 위한 조지국(造紙局)

󰠌 근대식 채광법에 의한 광산 개발을 위한 광무국(鑛務局)

개항 초기의 근대식 공장은 정부에 의해서 운영됨

5) 해운

고종 23(1886) - 轉運局 설치하여 근대식 汽船을 구입하여 해운업 경영을 담당

” 29(1892) - 官民합판회사인 利運社 설립하여 세곡 운반등에 종사

 

2. 개화사상의 전개

개화사상 :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상공업을 발전시킴으로써 부국강병의 실을 거두려 함

초기에는 무기와 농업기술의 도입에 큰 관심

- “해국도지의 설명에 따라 신식전함 제조 시험, 대포 제작하여 강화도에 배치

- 최경석은 농무목축시험장에서 미국에서 도입한 종자 재배, 가축 기름

- 새로 설치된 잠상공사에서는 독일인 초빙하여 새 양잠법 시도

- 안종수는 고종 18(1881)농정신편저술 󰠏󰠈

- 정병하는 ” 23(1886)농정촬요저술 󰠏󰠍󰠏 서양의 근대 농법 소개

정치와 사회의 개혁을 중요시하는 급진적인 개화사상으로 발전

- 김옥균 󰠆 전제군주제를 입헌군주제로 개혁

󰠐 서구식 무기로 무장한 신식군대 양성

󰠐 자본주의적 경제 조직과 근대적인 산업을 건설

󰠐 양반 중심의 신분제도 폐지, 만민의 평등권 확립하여 근대적인 시민사회 추구

󰠌 학교의 설립, 종교의 자유

- 유길준 󰠆 고종 26(1889) “서유견문에서 서양의 근대문명을 모범으로하여 개화에 노력

󰠐 허명개화, 실상개화 언급

󰠐 법치주의적 민주주의, 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수립 목표

󰠌 당시의 한국에서는 군민이 함께 다스리는 정치체제가 적절한 것이라 함

- 고종 20(1883) “한성순보에 발표된 회사설

상업하는 방법으로서 여러사람이 자본을 모아 서양회사를 설립하는 것이 필요

 

 

 

 

<흥선대원군의 집권과 개혁 정치>

 

봉건적 왕권강화, 위민정치

중농적 실학사상의 영향, 4색을 고르게 등용, 비변사 혁파, 의정부와 삼군부 부활

대전회통, 육전조례

당백전, 원납전(기부금), 결두전, 섬문세

양전사업 실시, 호포법실시, 사창제 실시, 도고의 금지

 

병인사옥병인양요(한성근, 양헌수)오페르트도굴 사건신미양요(어재연)

 

해국도지의 영향을 받아 쇄국정책을 강화함

 

<조선책략과 김홍집 내각>

 

위정척사운동과 조미수호 통상조약에 영향을 줌

1~대원군 참가, 2~홍범14, 3~3국 간섭 후 성립, 4~을미사변후 성립

해국도지와 영환지략은 우리나라 사람 아님

지구전요는 최한기

김기수의 일동기유는 신문명에 대한 조심스런 비판이 담겨져 있음

 

<위정척사 운동>

 

이일원론을 사상적 바탕, 항일의병운동으로 발전

위정척사는 초기에는 불교를 중기에는 양명학을 후기에는 천주교·동학을 거부

이만손의 영남만인소를 필두로 해서 항소문이 빗발침, 조선책략 비판

 

위정척사운동의 전개~1860년대 통상반대 운동1870년대 개항반대운동1880년대 개화반대운동1890년대 항일의병운동

 

<개화사상>

 

박규수, 오경석, 유대치 등 중인출신이 많음

유홍기는 급진 개화당에만 영향을 끼침

충의계는 김옥균이 조직한 비밀결사 단체로 유생, 군인, 궁녀, 내시, 상인등 포함

유길준~서유견문, 갑신정변, 자유주의적 자본주이 목표, 사회진화론 소개, 중립론자, 대한문전 저술(국한문 혼용체)

서광범~갑신정변이후 미국에 망명하여 조선교육론을 남김

 

 

 

 

<강화도 조약>

 

운양호 사건

수호조규 부록~여행자유, 거주지역, 일본화폐

통상장정~무관세, 무제한 양곡유출

일본과의 최혜국 조항은 조·일 통상장정때(1883) 체결

의정부와 6조밑에 통리기무아문 설치, 12사로 개편, 5군영을 2(무위영, 장어영)으로 개편

러시아와는 조약체결을 직접단독체결

 

<개항이후 일상과 청상의 경제침투>

 

일본에서의 수입은 절대액은 감소되지 않고 있을 분만 아니라 일본에서의 수입상품 중 자국산의 비중이 높아짐

상민수륙무역장정(1882)

청상인은 일본 상인에 비해 거상·부상인 이었다.

1890년대 초에 조선의 전 수입액의 50% 이상, 수출액의 90%이상 차지

조미수호통상조약의 체결(1882)

 

<임오군란과 청의 내정간섭>

 

대원군의 짧은 재집권

민씨정권의 재집권~적극적 사대정책 실시

통리외무아문~외교통상, 통리내무아문~군국·내무

상민수륙무역장정~일본의 경제진출 견제

제물포 조약~최초로 일본 군대가 들어오게 됨, 박영효가 일본에 처음으로 태극기 사용

임오군란의 결과 청의 내정간섭이 강화되었다.

 

<갑신정변(1884)>

 

신정부강령 14~문벌폐지, 사민평등, 지조법 개혁, 순사두자, 근위대 설치

한성조약 체결

천진조약(1885)~일본과 청간에, 조선에 변란이 일어나 양국중 어느 한 나라가 군대파견의 필요가 있을 때에는 사전통고(청일전쟁의 원인)

 

 

 

<동학의 폐정개혁안>

 

삼례집회복합상소보은집회(제폭구민, 척왜양창의, 정치색채)고부민란황토현 전투장성싸움집강소갑오개혁·청일전쟁공주우금치(남접+북접, 2차봉기X)

1~고부민란시기, 2~황토현 전투(절정기), 3기 집강소 설치, 4~공주 우금치 전투

 

1차 봉기는 남접 중심이고 반봉건적, 2차 봉기는 남접+북접 이고 반제민족주의 운동

개혁파는 남접중심이고 종교파는 북접중심, 엽관파로 몰락양반도 참여

 

<갑오개혁과 을미개혁>

 

일본의 개혁 강요

1차 갑오개혁(1894)~군국기무처, 의정부 밑에 8아문을 둠

재정의 일원화~탁지아문 관장, 보조화폐 동화 사용, 조세의 금납화

 

2차 갑오개혁~홍범 14

자주독립은 내외에 선포한 최초의 선언

지방관은 행정권만 가짐, 군사면 개혁 소홀, 23부 소지역주의 채택

 

갑오·을미 개혁은 타율적 성격과 자율적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으나 조선의 근대화가 시작되는 출발점이라는데 그 의의가 있음

 

<독립협회(1896~1899)>

 

중립외교, 참정권의 확대, 입헌군주제 주장

보증없이 가입과 탈퇴가 자유로움

헌의 6~국가 재정을 탁지부에서 관할

 

독립협회의 한계~국민 주권론이 전제 군주권을 부인하지 못함

의병과 동학군을 비난, 토벌의 대상으로 보았음

친미, 친일 경향으로 러시아의 침략은 이권 침탈로 보고 미국의 침략은 자원 개발로 두둔하는 한계를 가졌음

 

<광무개혁+대한국제 9>

 

황제권의 강화, 군제개편, 지계발급, 양전사업, 북간도 편입계획, 궁내부 내장원에 재원 집중

광무개혁의 역사적 의의~근대사회로의 지향, 황권의 강화와 황실 중심, 진보적 개혁운동을 탄압하여 국민적 결속에 실패, 열강간섭 배제의 면에서도 실패

 

 

 

<교통·통신·구호제도>

 

봉수제와 역원제는 병조에서 관장, 파발제는 공조에서 관장

전신은 청에 의해 처음 설치, 서울~의주간

 

<한말 애국계몽·독립단체>

 

1905년 이후 민족운동 2대 방향(을사조약 이후)

독립전쟁론(의병전쟁, 생존권사수, 무력투쟁, 양기탁 중심)과 애국계몽운동(국권회복, 산업·교육, 실력양성, 안창호 중심)으로 분리

의열단(1919)~만주에서 김원봉이 조직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 강령

애국단(1926)~김구가 조직

 

보안회(1904) 서울에서, 황무지 개척권 철회

헌정연구회(1905)~서울에서

대한자강회(1906)~서울에서

대한협회(1906)~서울에서

신민회(1907)~서울에서, 대성학교, 오산학교, 태극서관, 자기회사

국민회(1909)~미국에서, 이승만

독립의군부(1912)~전국적

대한광복단(1913)~국내, 군자금 모집, 친일파 숙청, 대한광복회(1915) 공화주의

신한청년당(1918)~상하이, 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 파견

 

상해에서는 동제사, 신한혁명당, 신한청년당 등이 조직

연해주 지역에서는 이상설, 이동휘를 중심으로 대한광복군정부가 조직

 

<경제 자립운동>

 

국채보상운동(1907)~대한매일신보

물산장려운동은 사회주의 계열은 반대함

 

<근대교육의 발전>

 

원산학사~최초의 근대적 사립학교

육영공원~최초의 근대적 관립학교

동문학~정부에서 설립한 영어 강습기관

 

서북학회(함경도), 호남학회(전라도), 기호흥학회(경기·충청), 교남교육회(경상도), 관동학회(강원도)  

 <근대적 시설의 수용>

 

1880년대 신사유람단(1881), 영선사(1881), 보빙사(1883)

대한의원은 의료요원을 양성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 외국인>

 

묄렌도르프~한말 조선정부에 고용된 최초의 외국인

헐버트~육영공원 외국어 교사

스티븐스 나쁜 시키

 

<통감과 총독·친일파 양성책>

 

3대 사이또 총독 1919년 문화정치, 8대 미나미 총독, 30년대 민족말살정치

각종 종교단체에서 친일파가 최고 지도자가 되게 하고 일본인을 고문으로 앉힘

 

<국권침탈 과정>

 

한일 의정서(1904, 군사시설 이용권 규정)한일 협정서(1차 한일 협약, 고문정치)을사조약(2차 한일 협약, 외교권 박탈, 통감정치)정미7조약(한일 신협약, 차관정치)기유각서

러일전쟁(1904~1905)~고문정치, 용암포사건, 포츠머드 조약 체결(1905, 한국에 대한 일본의 우월권 인정)

1차 한일 협약(1904)~고문정치, 메가다의 화폐정리 사업

2차 한일 협약(1905)~통감정치, 을사오적신, 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 고종의 무효선언

정미7조약~차관정치, 헤이그 밀사사건으로 고종 퇴위

기유각서(1909)~사법권 박탈, 감옥사무도 이관

한일합방(1910)~주권박탈, 무단정치, 총독정치

 

<간도와 독도>

 

간도협약(1909)~청일간에 일본의 안봉선 철도 부설권, 무순 탄광권을 대가로 청의 영토로 인정

독도가 우리땅임을 규정한 관계문헌~세종실록지리지, 고려사, 동국여지승람, 은주시청합기

일본이 독도를 일본 영토에 포함시키는 불법행위를 자행한 시기는 러일전쟁시기

 

<신문>

 

한성순보~관보성격의 최초의 신문

독립신문~최초의 근대적 일간지, 순 한글판

황성신문~장지연의 시일야방성대곡

제국신문~부녀자를 대상

대한매일신보~항일운동의 가장 선봉

경남일보~최초의 지방신문

한성주보독립신문황성신문만세보

친일신문~경성일보, 매일신보, 국민신보, 법정신문, 대한신보

<국학자와 사학자>

 

국문법연구: 유길준(조선문전, 최초의 문법서)

국문연구소조선어연구회(1921, 한글날제정)조선어학회(1931, 표준어제정, 맞춤법통일안, 우리말큰사전편찬착수)조선어학회사건(1942, 치안유지법)

진단학회~유물사관, 민족주의사관을 모두 거부, 청구학회에 반발, 실증사학 도입

신민족주의 사학~사회경제사학을 수용, 계급협조와 계급공생을 목표, 균등과 단결을 중시

 

민립대학설치운동(1922) 일제는 이에 경성제국대학을 설치하여 응수

조선학운동~비타협적민족주의자들이 일제의 동화정책에 저항하려는 소극적 민족운동가, 우리문화의 고유성을 찾고자 함

신채호~낭가사상, 민족주의 사학자

박은식~유교구신론, 혼 사상

정인보~얼 사상

문일평~심 사상 강조

최남선~밝 사상, 최초의 잡지인 소년 창간

 

<천도교에 대해>

 

3대 교주: 손병희

23.1운동 전개, 개벽사 설립, 만세보, 동덕여학교, 조선농민사 (개간운동, 저축운동, 소비조합운동 등 개량적 운동), 청소년 운동에 적극 참여

농민운동 지도 단체~조선노농총동맹(1924)조선농민총연맹(1927)혁명적(적색)농민조합운동(1930~)

노동운동지도단체~조선노동공제회(1920)조선노동연맹회(1922)조선노농총동맹(1924)조선노동총동맹(1927)혁명적(적색)노동조합운동(1930~)

 

<신민회와 신간회>

 

신민회(1907)~대성학교(평양), 오산학교(정주), 태극서관, 자기회사, 공화주의 정치 주장

신간회(1927~1931)~자진해산, 자치운동에 반대하는 우익세력(좌파)+좌익세력, 광주학생운동 지원, 참정권은 주장하지 않았다.

신간회의 중앙조직은 비타협적 민족주의 세력이 우세, 지회조직은 사회주의 세력이 우세

입헌군주제~초기개화파갑신정변갑오개혁독립협회헌정연구회

 

<3·1 운동>

 

배경~러시아혁명의 영향(10월 혁명), 민족자결주의

태화관에 모여 조선독립선언서를 선포

경기도, 평안도지역이 가장 활발

대한민국임시정부를 수립, 일본은 문화정치를 표방

<대한민국 임시정부>

 

임시의정원(내각책임제)+국무원(대통령 중심제)미주공화정체, 자유주의

3권분립, 사법부가 없고 중앙심판처가 있음, 구미위원부 설치, 한국독립운동사 편찬, 광복군 창설(1940)

 

개헌과정정치형태~1차개헌(대통령중심제), 2차개헌(내각 책임 지도제), 3차개헌(집단지도체제), 4차개헌(주석지도체제), 5차개헌(주식·부주석 중심체제)

건국강령~친일파·민족반역자의 재산 몰수, 초등, 중등교육의 의무화, 보통선거 실시, 삼균주의

 

<6·10만세운동(1926)과 광주학생항일운동(1929)>

 

6·10만세운동~순종의 인산일에 격문을 살포하고 만세시위 전개(일본제국주의 타도, 토지는 농민에게, 8시간 노동제, 우리 교육은 우리들 손에), 중앙고등보통학교 학생과 전문학교학생이 추진하여 만세시위, 사화주의계에 발각되어 제2차 조선공산당 해산

의의~학생중심의 운동으로서 청년, 학생의 자각계기동맹휴학으로 확산

 

광주학생항일운동(1929)~신간회의 조사단 파견, 3·1운동이후 최대의 민족적 항거

 

<1910년대의 일제의 식민정책>

 

헌병경찰제도~헌병경찰은 재판 없이 구류, 벌금, 태형등을 가할 수 있는 즉결처분권을 가지고 있음

토지조사사업(기한부 신고제, 농민은 기한부계약제 소작농으로 전락, 친일지주화, 지주권의 강화), 회사령(허가제), 삼림령, 어업령(한국인 어업권 부인), 광업령

 

조선교육령~1(1911, 보통·실업·전문기술교육에 한정, 우민화교육), 2(1922, 대학교육 허용, 민립대학 설치 운동, 일본은 경성제국대학 설립으로 대응), 3(1938, 우리말 교육과 국사 교육 금지), 4(1943, 민족교육기관을 탄압)

 

<1920년대 일제의 식민정책>

 

문관출신도 조선총독에 임명이 가능하도록 규정을 바꿈(문관은 임명되지 않음), 조선일보, 동아일보 발행 허가

치안유지법(1925)~공산주의자들을 체포한다고 공포하였으나 실제로는 민족운동, 독립운동을 억압하기 위함이었다.

산미증식계획, 신고제

조선농회는 지주들이 조직한 단체 나쁜단체

소작권이동반대를 이유로 소작쟁의 발생

 

20년대 노동운동~원산총파업에서 초저임금보장, 8시간 노동제 수립, 외래자본의 착취반대 등을 주장, 빈농중심의 농민조합들은 토지혁명의 구호를 내걸고 정치투쟁에도 노력, 30년대 후반 이후 일제의 탄압으로 노동운동은 잠복기에 들어감

 

<1930년대 일제의 식민정책>

 

민족말살정치~경찰력, 군사력의 대폭 증가, 국가 총동원체제로 전환, 창씨개명, 동아일보·조선일보 폐지(1940), 조선어학회사건(1942, 조선어학회를 강제로 해산)

병참기지화 정책~중화학 공업육성, 광산개발, 남면북양정책

농촌진흥운동(1932~1940)~일본의 어용운동, 농촌의 피폐된 원인을 농민 자신의 게으름, 낭비벽, 무식함에 있는 것처럼 돌렸다.

 

<일제에 저항한 종교활동>

 

개신교~신사참배운동 거부(1935), 극심한 탄압 받음

천주교~양로원, 고아원 설립, 경향 창간, 만주에서 의민단 조직

천도교~청소년운동, 조선농민사 조직(소극적)

대종교~단군숭배 사상, 중광단 조직북로군정서

불교~조선불교 유신론 저술

원불교~저축운동, 새생활 운동 전개, 남녀평등, 허례허식 폐지 주장

 

<일제에 저항한 민족예술>

 

전형필은 문화재를 수집하고 보호함

극예술협회(1921)토월회(1923~1926)극예술연구회(1931)

 

<일제에 저항한 문학활동>

 

1910년 이전~신소설, 신체시, 번역문학, 신소설을 언문일치의 문장 사용, 계몽문학의 역할

신체시~최남선이 선구자(해에게서 소년에게), 언문일치 확립의 선구자

신채호가 발전자

1910년대 계몽주의 문학~이광수의 무정(계몽시대 신문학의 총결산)

3·1운동 이후~신사조의 등장, 창조(자연주의), 개벽(사실주의), 폐허(퇴폐주의), 백조(낭만주의), 조선문단(민족주의) 창 개 폐 백 조

20년대 중반~노동자·농민의 조직화, 프로문학의 등장, 순수문학 비판,

민족주의계열의 반발국민문학운동 전개(계급주의 반대)

30년대 이후~저항시인의 등장

 

 

 

 

<독립군에서 광복군까지>

 

봉오동전투(1920)청산리전투(1920)간도참변(1920)자유시참변(1921)미쓰야협정(1925)만보산 사건(1931, ·중 농민 충돌사건)만주사변(1931, 독립군의 분산과 광복군에의 편입야기)

 

통의부가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로 문할

광복군~1940년에 발족, 중국의 충칭에서 결성 후 서안으로 이동, 조선의용대가 모체

 

'한국사 > 근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 대한제국, 열강의 침략, 경술국치, 3.1운동 등  (0) 2019.04.07
13. 개화세력의 성장  (0) 2019.04.07
근대 사회문화사 요약  (0) 2019.03.17
근현대사 요약  (0) 2019.03.17
근현대사 정리 요약 표  (0) 2018.12.25

근대사회

 

. 대원군의 집권과 개혁정치

 

1. 대원군의 집권(1863)

 

2. 대원군의 개혁정치 능력에 따른 인재등용(탕평책) - 안동김씨 세력의 견제목적.

정치와 군사의 분리 - 비변사5군영 폐지, 의정부삼군부 부활

법전 정비 - <대전회통>, <육전조례>

삼정문란의 시정 - 호포제 실시, 환곡대신 사창제 실시

서원의 정리(47개로 정리) - 유생들의 반발을 받음.

경복궁 중건 - 원납전(기부금), 4대문 통행세, 결두전 징수, 당백전 발행(물가앙등),

묘지림 벌채

 

3. 쇄국정책과 양요

 

(1). 배경 서양의 제국주의 침략시기, 중국의 문호개방(아편전쟁,1842), 일본의 문호개방(1854)

이양선 출몰 - 18세기에는 탐험, 측량목적

- 19세기에는 통상요구 : 최초의 통상요구(영국상선 암허스트 호, 순조, 1832)

 

(2). 병인양요(1866) 대원군의 천주교 박해가 원인(병인박해, 1866)

Roze제독의 프랑스 함대 침공

한성근의 활약(문수산성), 양헌수의 활약(정족산성)

 

(3). 신미양요(1871) 제너럴 셔먼호 침몰 사건이 계기

미국의 Rodgers 제독이 침공

어재연의 활약(광성진)

 

(4). 대원군의 쇄국정책의 강화 두차례의 양요, 옵페르트 도굴사건(1868), 유생들의 지지(이항로, 기정진)

두차례의 양요 후 척화교서를 발표하고 척화비 건립

척화비의 건립 대원군이 1871년에 서울 및 전국 요지에 세운 비석

임오군란 후 서울에 세웠던 것은 철거하였으나 지방의 것은 1920년까지 존속.

< 洋夷侵犯 非戰則和 主和賣國 >

 

. 조선의 개항

 

1. 통상개화론의 대두

 

(1). 배경 북학파의 영향, 박제가의 <북학의>

(2). 전개 18세기 북학파(박제가) - 19세기( 이규경, 최한기 ) - 박규수, 오경석(역관), 유홍기(개화당에 영향)

 

(3). 개화사상에 영향을 준 서적 <해국도지>, <영환지략>, <이언>, <만국공법>

 

(4). 주장내용 청과 서양의 문물을 수용하여 부국강병을 이룩하고자 함.

개화사상 형성과 개화정책 추진에 영향을 미침.

 

2. 강화도 조약(병자수호조규)의 체결

 

(1). 대원군의 실각 개혁정치에 따른 유생의 반발, 최익현의 상소

경복궁 중건에 따른 농민의 반발

세도가문의 반발과 민비세력의 형성

(2). 운양호 사건(1875)

(3). 강화도 조약의 체결(1876) 자주국의 명시, 부산 외 2항구 개항(원산, 인천), 일본인의 통상활동 허가

연해측량권, 치외법권(영사 재판권)

조약의 성격 - 조선이 외국과 체결한 최초의 근대적 조약, 치외법권조차지 설정 및 연해 측량권등을 규정한 불평등한 조약

 

3. 구미제국과의 수교 미국과의 수교(1882) - 의 주선, 황준헌의 <조선책략>의 영향

- 조약의 내용 : 거중조정(양국 중 한 나라가 어려울 때 돕는다),

치외법권, 조차지 설정, 최혜국 조관, 관세권 규정

영국과의 수교(1882) - 의 주선, 관세가 고율이고 아편수입의 금지 문제로 정식조인은 1883년에 이루어짐.

독일(1882) - 의 주선

러시아(1884) - 청의 중재없이 직접수교, 베베르의 활약.

 

. 개화운동과 위정척사 운동의 전개

 

1. 개화운동의 전개

 

(1). 개화사상의 발생 1860년대 통상개화론의 영향으로 개항전후에 형성

실학사상(특히 북학파)계승, 중국양무운동, 일본의 문명개화론의 영향.

 

(2). 개화사상의 내용 수신사인 젊은 관료층이 주도 -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서광범등

18801890년대 조선정부 정책추진의 방향으로 기능.

 

(3). 동도서기론의 대두 서양의 근대적 기술을 도입하여 부국강병책 제시.

천주교에 대해서는 반대 - 전통적 유교 윤리 고수.

 

(4). 개화정책의 추진 수신사 파견 - 1차수신사 : 김기수, <일동기유>

- 2차수신사 : 김홍집, <조선책략>

신사유람단 파견(1881) - 박정양, 조준영, 홍영식, 어윤중.

영선사 파견(1881) - 김윤식, 군기제조술 학습 목적, 기기창 설치.

행정기구 개편(1881) - 청제도 모방, 통리기무아문, 12 설치.

군제개편 - 2(무위영, 장어영)설치, 무위영 소속의 별기군 설치.

 

2. 위정척사운동의 전개

 

(1). 1860년대의 운동 1866년 병인양요 당시, 이항로기정진의 척화주전론, 쇄국정책의 사상적 기반제공.

(2). 1870년대의 운동 강화도조약 체결시, 왜양일체론 주장최익현의 <5불가소>, 개항불가론

 

(3). 1880년대의 운동 18812차 수신사인 김홍집이 <조선책략>을 소개가 원인.

이만손의 <영남만인소>, 홍재학의 <만언척사소>

 

(4). 1890년대의 운동 일제 침략기에 항일의병운동으로 전개.

조선책략 2차 수신사인 김홍집이 일본에서 전래.

일본주재 청의 외교관인 황존헌이 쓴 책

조선의 러시아 견제책으로 < 친중국, 결일본, 연미국 >의 외교책을 제시.

. 보수와 개혁의 갈등

 

1. 임오군란(고종, 1882)의 발생

 

(1). 배경 신식군대(별기군)과 구식군대의 차별대우, 밀린급료에 불만을 품은 구식군대가 일으킴.

 

(2). 대원군의 재집권 2영과 별기군 폐지, 5군영 부활, 통리기무아문 폐지

 

(3). 청의 개입과 대원군 압송 청의 신속한 개입, 청의 세력 강화(일본세력 약화)

고문의 파견 - 묄렌도르프(외교), 마건상(재정)

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1882) - 청상인의 내지통상 허용

정치개혁 -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통리군국사무아문 설치

 

(4). 제물포 조약의 체결 일본공사관 경비병 주둔 허용(일본군대의 주둔을 허용한 최초의 조약), 피해배상,

군란주모자 처벌, 사죄사 파견(박영효 파견: 태극기 사용)

 

2. 개화당과 보수세력의 대립

 

(1). 임오군란 후 청의 내정간섭 심화 및 정부가 사대정책으로 청에 의존관계가 심화.

(2). 개화당의 형성 일본의 후원을 얻음 -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급진적인 개혁 주장

신식기관 설립 - 박문국, 전환국, 기기국, 우정국.

 

3. 갑신정변의 발생(1884)

 

(1). 배경 개화당이 재정타개책으로 제시한 일본으로부터의 차관도입실패로 입지약화.

정부의 청에 대한 사대정책의 반발이 원인.

 

(2). 혁신정강 14개조 발표 성격 - 입헌군주제, 문벌폐지와 능력에 따른 인재등용, 지주전호제를 인정하면서 지조법만의 개혁을 주장.

 

(3). 결과 청의 개입으로 3일 천하로 결말, 청의 지위가 한층 더 강화됨.

위로부터의 개혁으로 민중의 지지를 받지 못함.

 

(4). 한성조약 체결(조선 vs 일본)

 

(5). 텐진조약 체결(vs 일본) 일 양국의 공동철병, 어느 한 나라가 군대를 파견할 때에는 상대국에 사전통고하고 사건이 해결되면 즉시 철수한다.(갑오농민전쟁 당시 일본의 군대파견의 구실)





. 동학혁명의 발생

 

1. 갑신정변 후 조선의 상황(열강세력의 침투로 혼란)

 

(1). 청의 정치 간섭 강화로 반청감정의 고조.

(2). 러시아의 남하정책 1860년 뻬이징 조약 - 연해주 차지, 조선과 국경을 접하면서 남하정책 추진.

 

(3). 러 밀약설 유포 러시아 공사 베베르의 활약, 조선정부의 친러화 경향이 나타남(청세력 견제위해)

 

(4). 러시아 세력의 견제 청은 러시아 세력을 견제키 위해 대원군을 소환함.

영국은 거문도를 점령하고 러시아 세력 견제(거문도 사건, 1885)

 

(5). 중립론의 대두 독일 영사 부들러는 조선의 영세중립국을 정부에 건의

유길준, 김옥균도 중립론 논의.

 

2. 일본과 청의 경제적 침투

 

(1). 일본의 침투 개항 이후부터 1880년대 초반 - 조선과의 무역을 독점.

중계무역의 이익을 누림 - 영국산 면제품 vs

농촌경제의 파탄 - 입도선매 방식으로 농촌에 침투, 고리대의 수익을 차지.

 

(2). 청의 경제적 침투 임오군란 후 본격적인 침투가 시작됨(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

일본에 비해 대자본 소유, 대규모 영업, 정치적 후원을 얻음.

조선의 무역비중의 변화 - 1885(81 : 19)

- 1892(55 : 45)

아직도 일본의 무역비중이 가장 높으나 청에 의해서 그동안 누려왔던 일본의 조선에 서의 독점적 지위는 위협을 당함.

 

(3). 일본의 경제적 침탈에 대한 저항 방곡령 사건 - 18761904년 사이에 100건에 달하는 사건이 일어남.

- 조선에 흉년이 들면 지방관이 직권으로 곡물반출을 내 리는 조치.(조병식)

- 일본은 한일 통상장정규정 내용을 근거로 조선측에 강압을 가함.

3. 동학혁명의 발생과 전개

 

(1). 배경 무능부패한 정부에 대한 저항(반봉건), 일본의 경제적 침탈에 대한 저항(반외세)

 

(2). 교세의 확장 2대교주 최시형의 포교, 의 조직망

경전 - <동경대전>, <용담유사>

 

(3). 교조 신원 운동 1차 집회(삼례집회, 1892) - 교조신원운동.

2차 집회(서울, 1893)

3차 집회(보은, 1893) - 정치적 성격으로 변화 : 탐관오리 숙청과 척외양창의 주장.

 

(4). 동학운동의 전개

1차 농민 전쟁 고부군수 조병갑의 횡포(만석보 사건)

전봉준을 중심으로 <보국안민>, <제폭구민>을 주장하며 봉기.

백산전투 - 황토현전투(전라감영군 격파) - 장성전투(홍계훈의 경군격파)

- 전주 점령 - 전주화약

전주화약 - 집강소 설치(전라도에 설치, 민정기관), 대도소 설치(전주)

 

2차 농민 전쟁 1차때와 달리 항일 구국 운동의 성격을 갖음, 북접(최시형)의 가세.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일본과 관군의 연합군에게 패배.

 

(5). 폐정개혁안 12개조

 

(6). 동학혁명의 성격과 영향 반봉건반제국주의 민족주의적 성격, 아래로부터의 개혁

일군의 한반도 파견(텐진조약이 근거), 일전쟁의 계기

동학농민의 잔여세력이 의병전쟁에 가담.

 

. 근대적 개혁의 추진

 

1. 갑오개혁의 추진

 

(1). 배경 개화사상의 고조, 개혁의 필요성 인식(교정청 신설)

일본의 개혁 압력.

 

(2). 개혁 실시 1차 개혁(김홍집 내각) - 군국기무처 설치, 대원군의 참여

2차 개혁(2〃 〃 ) - 홍범 14조 선포, 군국기무처 폐지, 대원군을 배제.

- 홍범 14조는 근대적 성문헌법의 효시, 입헌군주제 지향, 자주독립을 내외에 선포한 최초의 선언.

 

(3). 개혁안의 내용 정치 - 개국연호 사용, 주상전하를 대군주폐하로 칭함, 입헌군주제 지향, 왕실과 정부의 분리로 군주권 약화, 관리임용법 제정, 사법권 독립(지방관 권한 제한)

지방제도를 8도에서 23부로 개편

경제 - 은본위제 채택(신식화폐발행장정), 조세의 금납화, 재정의 일원화, 도량형 통일

사회 - 신분제도 폐지, 인신매매 금지, 과부의 재가허용, 조혼금지, 적서차별의 철폐,

연좌법과 고문금지.

군사 - 일본의 의도대로 군사제도의 개편은 이루어지지 않은 불완전한 개혁.

교육 - 교육입국조서 발표 : 근대교육제도 마련

 

(4). 개혁의 성격 및 한계 법제상의 근대적 개혁

자주적이지 못한 개혁, 불완전한 개혁(타율성과 자율성의 공존)

 

2. 을미개혁의 추진

 

(1). 배경 일전쟁에서의 일본의 승리(시모노세키 조약 체결)

삼국간섭(1895)이후 러시아 세력의 대두

조선의 일본세력 견제를 위한 친러경향 강화 - 조선의 친러내각 수립(3차내각)

 

(2). 을미사변의 발생(1895) 조선에서의 지배권이 위축되자 이를 만회하기 위해 민비시해사건을 일으킴.

친일내각 성립(4차내각)

 

(3). 을미개혁의 실시(1895) 태양력 사용, 군제개편(서울:친위대, 지방:진위대), 연호사용(건양), 단발령 공포,

종두법 실시, 소학교 설치, 우편제도 실시.

 

3. 의병운동의 시작 을미사변단발령에 자극을 받아 기병(최익현)

지도자는 대개 유학자 출신

주리론적 입장, 위정척사사상의 영향을 받음.

문석봉(보은), 유인석(제천), 이소응(춘천), 박준영(여주,이천).

 

. 독립협회의 활동과 대한제국

 

1. 열강의 이권 침탈

(1). 배경 아관파천의 발생(1896), 친러내각의 성립

1차 러일 협상(웨베르고무라 각서, 1896,5) - 조선에서의 러시아의 우위 인정.

- 일본군의 계속주둔 인정

2차 러일 협상(로바노프야마가따 조약, 1896,6) - 완충지대 설치 합의

(2). 열강의 이권침탈( 러시아의 재정고문 알렉세예프에 의해 이권이 러시아에 넘어감 )

러시아 : 경원종성 광산 채굴권, 두만강압록강울릉도 삼림채벌권

미 국 : 경인선 철도부설권, 운산금광 채굴권, 서울시내 전차전기 부설권

프랑스 : 경의선 철도부설권

일 본 : 경부선경인선(미국으로부터 매입)철도 부설권, 직산광산 채굴권.

독 일 : 당현 금광 채굴권

 

2. 독립협회의 활동

 

(1). 배경 아관파천 후 열강의 이권침탈에 대한 분노

신지식인 성장 : 서구시민사상의 신지식인(서재필), 개신유학사상자(장지연, 남궁억)

 

(2). 조직 및 성격 회원가입의 개방, 전국에 지회 설치

초기에는 정부고위관리도 참여하였으나 후에는 탈퇴.

도시 상인농민, 광산부두 노동자, 백정출신도 참여.

 

(3). 활동 자주 독립 운동 - 독립문 건립, 독립신문 발행, 독립관, 고종의 환궁 요구

- 외국에 대한 이권할양 반대운동

 

자강 혁신 운동 - 입헌군주제 주장, 행정재정제도 개혁, 신교육 주장, 근대적 산업 개발

자유 민권 운동 - 생존권재산권참정권 운동 전개, 의회설립 주장.

 

(4). 만민공동회 개최(1898) 헌의 6

 

(5). 정부의 탄압 보부상으로 조직된 황국협회를 이용해 독립협회를 해산시킴.

 

3. 대한제국의 성립과 광무개혁

 

(1). 대한제국의 성립(1897.10) - 고종의 환궁(경운궁:지금의 덕수궁), 국호를 대한제국, 연호를 광무로 정함.

 

(2). 광무개혁의 실시 구본신참(舊本新參)이 개혁의 기본방향, 복고주의적 성격, 황제권 강화.

군제개편 - 서울에 친위대시위대 설치, 지방에 진위대 설치

관제개편 - 지방을 23(갑오개혁)에서 13도로 개편

외교정책 - 자립외교, 간도의 편입(간도관리사파견), 울릉도의 군승격(독도까지 관할)

경제정책 - 양전사업 실시, 지계발급

상공업 진흥 - 근대적 회사 설립, 실업교육 강조, 유학생 파견

사회 - 새 호적제도 제정, 교통통신등의 사회복지시설 확충

교육 - 신교육령 반포, 소학교, 중학교, 사범학교, 외국어학교 설립.

 

 

 

4. 근대문명의 수용

 

(1). 배경 개항 후 신사유람단 파견과 영선사의 파견이 근대적 기술도입에 중요한 계기.

박문국(신문발간), 기기창(무기제조), 전환국(화폐주조), 우정국(우편)등의 근대시설 설치.

 

(2). 통신시설 전신 - 청에 의해 1885년 처음 가설(서울-인천, 서울-의주)

전화 - 경복궁에 처음 가설(1896)

우편 - 갑신정변으로 중단, 을미개혁 후 다시 운영(우정국), 만국우편연합에 가입(1900)

 

(3). 교통시설 철도 - 경인선이 최초로 부설(미국일본), 경부선경의선 부설.

전차 - 한성전기회사 설립(왕실과 미국의 합자), 서대문청량리.

 

(4). 의료시설 지석영의 종두법 보급.

광혜원 - 최초의 근대식 병원(알렌), 후에 제중원으로 개칭.

광제원 - 종두법 보급

자혜의원 - 도립병원의 효시

세브란스 병원 - 미국인 선교사에 의해 건립.

 

(5). 근대건축 독립문(1896) - 프랑스의 개선문 모방

덕수궁 석조전(1910), 명동성당(1898)

 

. 독도와 간도문제

 

1. 간도문제

 

(1). 간도의 지역적 배경 간도는 초기국가때는 부여, 남북국 시대에는 발해에 속했던 땅으로 여진족의 거주지.

(2). 백두산 정계비(1712)의 설치(조선 vs )

(3). 관리사 파견 간도를 함경도에 편입(1902), 북간도 관리사(이범윤)파견

(4). 간도협약(1909) 을사조약 후 통감부가 관리하다가 청과 간도협약을 맺어 청의 영토로 인정해줌.

 

2. 독도문제

 

(1). 독도와 울릉도의 지역적 배경 지증왕(512)에 울릉도를 신라의 영토로 편입.

숙종(1696)안용복이 울릉도의 왜인을 축출.

 

(2). 울릉도의 관리 1901년에 울릉군으로 승격시켜 관청을 두고 독도까지 관리.

 

(3). 일본의 독도 강탈 일본은 일전쟁 중(혹은 을사조약 후) 독도를 불법적으로 일본영토에 편입.

 

근현대사

 

 

<민족운동의 새양상>

 

1. 31운동 후의 민족운동의 양상 러시아 혁명의 영향으로 사회주의 사상이 보급

민족운동의 분열 - 민족주의계와 사회주의 계열로 분열.

- 민족주의계열도 선실력양성 후독립을 주장하는

민족주의 우파와 선독립’, ‘절대독립을 주장하는

민족주의 좌파로 분열

민족주의 우파- 실력양성운동에 치중 : ‘선실력양성 후 독립

- 이광수의 민족개조론(1922), 민족적 경륜(1924)

- 민립대학설립운동, 물산장려운동, 타협적 자치운동론

민족주의 좌파 - 우파의 개량주의적 자치운동론 비판

- 사회주의자와 연대하여 신간회 결성(1927)

- 안재홍(신민족주의 주장)

2. 민족실력양성운동의 전개

 

(1). 배경 31운동의 실패로 새로운 독립운동 방향의 모색.

1920년대 문화정치로의 전환을 이용한 독립운동.

민족의 사회문화경제면의 실력을 양성하여 독립을 쟁취하려는 운동.

 

(2). 국민교육민중계몽운동 언론기관의 활동

조선일보(1926) - 문맹퇴치운동의 전개

동아일보(1931) - 브나로드 운동의 전개

 

(3). 민족교육운동

 

민립대학설립운동(1923) 조선교육회조직(1920) - 이상재

민립대학설립기성회(1923) - 전국적 모금운동 전개

일제의 방해, 대홍수 등의 재해 때문에 실패

일제는 경성제국대학(1924)을 설립하여 고등교육운동 억제.

 

노동야학운동 1920년대에 노동야학부녀야학농촌야학이 성행, 민중 문자보급운동.

 

(4). 종교계의 활동 천도교 - 2 31운동 계획, 192231에 자주독립선언 발표.

- 문화운동의 전개 : <개벽>등의 잡지 발간.

불교 - 일제의 회유와 통제로 일부의 친일화

- 만해 한용운의 개혁운동

기독교 - 민중교육운동, 각종 문화사업 전개

- 일제의 신사참배 거부사건(1935년 이후)

대종교 - 만주지방의 독립운동의 정신적 지주.

원불교 - 개간사업과 저축사업 전개

 

(5). 경제자립운동(물산장려운동,1923) 조선물산장려회 조직(1923) : 평양에서 조만식.

내 살림 내 것으로라는 구호.

자급자족, 국산품애용, 소비절약, 금주, 금연운동 전개

사회주의 자들은 이념상 반대.

 

2. 학생운동

 

(1). 배경 28독립선언, 31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

동맹휴학, 계몽운동, 비밀결사, 가두시위등 민족운동을 전개.

조선청년총동맹 결성(1924)

 

(2). 610만세운동(1926) 순종의 인산일

사회주의 계열의 계획 - 일제에 발각되어 실패.

전문학교중학교 학생의 독자적 계획이 진행됨.

 

(3). 광주학생운동(1929) 일제에 의한 한국학생의 차별대우에 대한 분노폭발, 기차에서 한일학생 충돌.

1930년까지 전국 194개학교, 54,000명 참가.

31운동 후 최대의 민족운동.

신간회에서 조사단을 파견하고 지원.

 

3. 사회주의 운동

 

(1). 배경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사회주의 사상이 도입되어 민족주의 운동과 대립.

한인사회당(1918, 이동휘),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1919, 김철훈), 상해파 고려공산당(1921,

이동휘), 조선공산당(1925.4)결성

(2). 조선공산당의 성립(1925.4)과 전개 1차 조선공산당(1925.4)

2차 조선공산당(1925.12) - 610만세운동으로 해체

3차 조선공산당(1926.9) - 일명 ML, 신간회 조직.

4차 조선공산당(1928.3)

(3). 신간회 조직(1927) 배경 - 사회주의 운동의 노선변화 : 민족협동전선으로 변화

- 민족주의 운동의 분열 : 우파의 자치론에 대한 좌파의 비판.

- 민족유일당운동의 전개

조직(1927) - 정우회 선언이 계기(1926)

- 민족주의 좌파와 사회주의 계열의 통합

- 총독부의 허가를 얻은 합법적 단체

활동 - 기회주의 규탄(자치론 배격), 한국인 착취기관의 철폐, 한국인에

대한 특수취재법 폐지, 교육차별 금지, 한국어 교육 실시, 과학사상연구 자유 주장.

- 광주학생운동에 조사단 파견

- 방계조직으로 근우회 조직

해체 - 일제의 방해

- 사회주의 계열의 탈퇴로 해산(1931)

 

(4). 소작쟁의 일제의 산미증산계획에 따른 수탈에 대한 농민의 저항.

소작권 이동 반대, 소작료 인하 주장

1930년대에 이르러 절정에 이름. 민족운동으로 전개

조선농민총동맹(1927), 불이농장의 소작쟁의

 

(5). 노동쟁의 일제의 산업침탈에 대한 노동자의 저항.

임금인상, 노동시간 단축, 노동조건 개선 주장

1930년대에 절정에 이름, 민족운동으로 전개

노동총동맹(1927), 부산 부두노동자파업(1921), 원산 총파업(1929)

 

형평운동 백정에 대한 신분개선운동

진주에서 백정 이학찬이 <조선형평사, 1923>조직

 

5. 무장운동의 전개

 

(1). 결사운동과 애국지사의 활동

 

결사운동 의열단(1919) - 김원봉이 조직, 신채호가 조선혁명선언을 기초,

- 조선민족 혁명당(1935), 조선의용대(1938)결성.

애국단(1926) - 김구가 상해에서 조직, 이봉창(1932), 윤봉길(1932)

 

애국지사의 활동 강우규(1919) - 사이토 총독 저격 실패

김익상(1921) - 조선 총독부 폭탄투척

김상옥(1923) - 종로경찰서에 폭탄투척

김지섭(1924) - 일본 황궁에 폭탄투척

나석주(19260 - 동양척식회사에 폭탄투척

조명하(1928) - 일본 육군 특명 검열사 척살(타이중 의거)

이봉창(1932) - 일본천황 저격미수

윤봉길(1932) - 홍커우 공원 의거 : 중국정부의 지원의 계기.

(2). 무장독립운동의 전개

 

봉오동전투(1920)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일본군 1개대대 격파.

 

청산리전투(1920) 김좌진의 북로군정서군

 

경신참변(1920) 간도참변이라고도 함, 일제의 만주거주 한민족 대량 학살.

 

자유시참변(1921) 대한독립군단의 조직과 연해주에서의 무장해제사건.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과 상해파 고려공산당의 분열 계기.

 

미쓰야 협정(1925) 三矢협정

(2). 통합운동의 전개

 

3부시대 참의부(1924) - 압록강, 임정의 직할부대

정의부(1925, 이청천)

신민부(1925, 김좌진) - 자유시 참변 이후 소련영토에서 돌아온 독립군 중심.

 

국민부 시대(1928)

 

 

(4). 광복군의 활약 조직 - 중경에서 조직(1940), 1941년에 서안으로 이동.

활동 - 대일대독 선전포고, 연합군과 연합작전(인도버마전선투입)

국내 진입 작전 계획(지청천, 이범석)

 

해방전의 건국준비 한국독립당(1940,상해) - 임정의 김구가 조직.

조선독립동맹(1942) - 화북의 연안에서 김두봉이 조직

- 조선의용군이 북한군에 편입, 연안파 형성

조선민족 혁명당(1935) - 김원봉, 조선의용대가 광복군에 편입.

조선건국 동맹(1944) - 여운형이 국내에서 조직.

 




< 현대사회 >

 

. 대한민국의 성립

 

1. 민족의 광복

 

(1). 한국독립에 대한 국제회의

 

카이로 회담(1943.11) 이태리의 항복 후 미국(루즈벨트)영국(처칠)중국(장개석)이 모여 회의.

연합국은 영토확장의 야심은 없다.

일본은 침략전쟁에서 얻은 모든 영토를 포기할 것.

중 삼국은 한국의 노예상태에 유의하여 적당한 시기에 독립을 보장한다.

한국의 독립에 관해 언급한 최초의 회의.

 

포츠담 회담(1945.7.26) 독일 항복 후 미국(트루먼)영국(처칠)중국(장개석)소련(스탈린)이 모여회의.

카이로 회담의 내용을 재확인(한국 독립의 재확인)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요구.

 

(2). 한국민의 독립준비 한국 독립당 - 김구를 중심으로 한 상해임시정부.

조선독립동맹 - 사회주의 계열, 조선의용군

조선건국동맹 - 여운형이 조직

건국준비위원회 - 여운형이 일본의 행정권 교섭에 응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조직.

2. 미소의 군정과 남북분단

 

(1). 38선 설정의 원인

얄타회담(1945.2) 미국(루즈벨트)영국(처칠)소련(스탈린)의 삼국정상이 모여 회담.

소련의 대일참전, 38도선의 분활, 신탁통치의 잠정결정등.

(2). 미군정의 정책과 상황

 

미군정의 시책 남한내 유일한 행정부임을 강조 - 임시정부나 조선인민공화국등 일체의 조직의 정당성을

불인정

일제의 총독부 체제 이용 - 한국에 대한 정보부족, 친일파들이 미군정에 참여.

소작료의 개정(상한선 제정-총수확량의 3분의1), 신한공사 설립.

 

한국내의 상황 한국민주당(1945.9) - 송진우등의 민족주의 계열, 지주출신, 미군정과 친밀.

독립촉성중앙협의회 - 이승만

조선인민공화국- 여운형

 

3. 신탁통치안과 찬탁반탁운동의 전개

 

(1). 신탁통치의 문제

 

모스크바 3상회의(1945. 12) 미국영국소련의 외상회의.

한국에 민주주의 임시정부를 수립한다.

위의 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소 공동위원회를 개최한다.

5년 이내를 기한으로 미국, 영국, 중국, 소련에 의한 신탁통치를 실시한다.

 

소 공동위원회 개최 1차 미소 공동 위원회(1946.3) - 신탁통치의 실행과 민주정부 수립의 원조를 위해 덕수궁에서 개최

- 협의에 참가할 단체문제로 결렬

2차 미소 공동 위원회(1947.5)

(2). 좌우익의 대립 심화 우익 계열 - 한국독립당, 한국민주당등은 반탁운동 전개

좌익 계열 - 처음에는 반탁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소련의 지시로 찬탁으로 선회

- 조선공산당(박헌영), 조선인민당(여운형)

 

(3). 우 합작운동의 전개 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된 후에 추진

우익의 김규식, 좌익의 여운형에 의해 추진

미군정의 지원을 받음.

 

.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1.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1). 한국문제의 유엔 상정 미소 공동위원회의 결렬후 미국은 한국문제를 유엔에 상정하고, 유엔 감시하의 총선거

안을 통과시키고, 유엔한국위원회 설치가 가결됨.

 

(2). 유엔 한국임시위원단의 활동 북한의 입국은 거부된 채 가능한 지역에서의 선거 실시 결정.

 

(3). 남북협상의 실패 이승만과 김성수의 한민당의 남한만의 선거지지에 반대한 김구, 김규식등이 협상시도.

 

(4). 총선거 실시(1948.5.10) 남북협상파를 제외한 우익진영이 참가, 198명의 의원선출, 이승만과 한민당계열이 압승 을 거두었으며, 당선자 소속은 무소속이 가장 많음.

(5). 정부수립(1948.8.15) 이승만을 초대대통령으로 하는 제 1 공화국의 성립, 3 차 유엔총회에서 한반도에 있어 서의 유일한 합법정부임을 공인받음.

2.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성립

 

(1). 해방 후 북한의 정치세력 조선민주당 - 조만식 등의 민족주의계

조선공산당(국내파) - 박헌영을 중심으로 하는 토착공산주의 세력

갑산파, 소련파 - 김일성 중심의 공산주의 세력

조선신민당 - 김두봉 중심의 연안파

 

(2).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1946) 조직

 

(3). 인민공화국(1948.9.9) 김일성은 국내파 공산당을 제거하고 연안파소련파와 연합하여 북조선 노동당을 결성하 고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창설.

 

한국전쟁의 발발

 

1. 전쟁전의 상황 국내정세 - 530 총선의 결과 : 남북협상파도 참여한 이 선거에서 반여당, 반이승만 성향의 무소 속후보가 대거 당선되어 국내 정세가 혼란.

국제정세 - 애치슨 선언(1950.1) : 한반도가 미국의 극동방위선에서 제외된다는 선언.

중국의 공산정권 수립과 소련의 지원.

2. 전쟁의 발발과 전개

 

3. 휴전협정의 성립과 복구

(1). 휴전성립의 전개과정 소련의 유엔대표인 말리크가 휴전을 제의(1951.6.23)

수차례의 결렬 후 휴전협정 성립(1953.7.27) - 유엔대표 해리슨 vs 북한대표 남일

휴전반대 운동 - 한국민의 휴전 협정 반대운동 전개, 이승만의 반공포로 석방(1953.6)

휴전협정의 가장 큰 걸림돌 - 포로 송환 문제

 

(2). 전후 복구 과정 미 상호 방위조약 체결(1953.10)

 

. 대한민국의 발전

 

1. 1 공화국의 성립과 전개

 

(1). 민주주의의 시련 발췌개헌(1952) - 대통령 직선제 개헌안

- 1950. 5.30 선거에서의 이승만의 참패, 5. 26 정치파동, 발췌개헌안 통과.

사사오입 개헌(1954) - 초대 대통령에 한해 중임제한조항을 철폐하려는 개헌안.

- 총의석 203석중 135(개헌선 3분의 2135.3...표에 미달)로 부결되 었으나 수학의 사사오입에 따라 2일만에 번복하여 통과시킴.

 

(2). 통일정책 북진통일 정책

 

(3). 경제정책 농지개혁법(1949) - 임야는 제외

- 3정보를 한도로 초과하는 지주의 토지를 국가에서 유상매수, 유상분배

- 매입,매수가는 총수확량의 150%를 한도로 5년에 걸쳐 매년 30%씩 보상,상환

- 결과 : 지주에게 유리한 개혁, 실시의 지연으로 개혁효과 감소.

- 북한의 토지개혁 : 5정보를 한도로 하며, 무상매수무상분배

 

(4). 419혁명의 발생 이승만의 장기집권 야욕

315 부정선거 - 419의 계기가 된 사건.

418 고려대생의 궐기, 425일 대학교수단의 시국선언으로 이승만이 하야.

 

2. 2 공화국의 성립

 

(1). 민주당 정권의 탄생 양원제와 의원내각제를 골자로 하는 민주당 정권 수립.

 

(2). 통일정책의 변화 통일 정책의 혼란, 남북회담을 제기하는 등의 급진적인 통일방안 등장.

 

(2). 민주주의의 혼란 민주당내의 구파와 신파의 대립으로 정치사회적 혼란.

 

3. 3 공화국의 성립과 전개

 

(1). 516혁명의 발생과 공화당 정부의 탄생 국가재건 최고회의 설치 - 모든 정당사회단체의 해산을 명하고 정 면정부의 지도자 체포, 2공화국 당시의 혁신계 정당들을 반국가 단 체로 몰아 중심인물을 체포하는 등 권력 장악.

3공화국 성립 - 정치활동정화법을 제정하여 정치할동 규제.

- 대통령직선제, 단원제를 중심으로한 3공화국 성립.

 

(2). 경제사회정책의 전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추진(1962) - 수출주도형 성장정책, 불균형 성장전략(공업중심)

정부주도형, 외자의 적극적인 도입 추진.

새마을 운동의 전개(1970) - 근면, 자조, 협동의 정신강조.

국민교육헌장 공포(1968)

 

(3). 외교와 통일정책 적극적인 외교정책 - 한일협정체결(1965), 월남파병(1965), 한미행정협정체결(1966)

통일정책

 

4. 삼선개현과 유신체제 10월 유신의 단행(1972.11) - 4 공화국의 성립

 

5. 5 공화국, 6 공화국의 성립과 전개

 

. 남북관계의 변화 및 통일 정책의 전개

 

1. 34공화국

 

(1). 815 선언(1970) 전쟁도발행위의 중지, 무력에 의한 적화통일 야욕의 포기 요구.

UN에서의 한국문제 토의에 북한이 참석하는 것을 반대하지 않음.

선의의 경제 개발 경쟁에 나설 것을 촉구.

 

(2). 남북적십자 회담(1971.8.12) 대한적십자사가 이산가족 찾기 운동을 제의, 1972년에 본 회담 개최.

 

(3). 74 남북 공동 성명(1972.7.4) 자주적 평화적 민족적 통일의 원칙에 합의.

상대방에 대한 비방, 무장도발 금지

서울과 평양사이에 직통전화 가설

남북조절위원회 구성, 운영 합의

 

(4). 623 특별선언(1973) 평화통일 외교정책에 관한 특별선언’, UN의 동시가입 제시.

(5). 남북 상호 불가침 협정 체결(1974.1.18)

(6). 평화통일 3대 기본원칙(1974.8.15)남북간 불가침협정 체결, 남북대화의 성실한 이행, 토착인구 비례에 의한 자 유총선거 실시.

(7). 대 북한 식량원조 제의(1977)

(8). 남북경제 협력협의기구 설치 제의(1978)

(9). 무조건의 대화 재개 제의(1979)

 

2. 5공화국의 정책

 

(1). 남북한 당국의 최고책임자 상호방문 제의(1981.1.12)

(2). 민족화합 민주 통일방안 제시(1982.1.22) 민족통일협의회의 구성, 통일헌법의 기초, 국민투표로 확정, 총선거 실시.

(3). 20개 시범 실천 사업 제의(1982)

(4). 남북한 고위대표 회담 제의(1982)

(5). 남북한 당국 및 정당사회단체 대표회의(1983)

(6). 남북한 경제회담 제의(1984)

(7). 남북 적십자회담의 재개(1985) 이산가족 고향방문단 및 예술공연단의 교환에 합의하고 실시.

 

3. 6공화국의 정책

 

(1). 한민족 공동체 통일방안 제의(1989.9.11)

 

4. 김대중 정부의 통일 정책과 615 공동 선언 남과 북은 통일문제를 자주적으로 해결한다.

남측의 연합제안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안이 서로 공통점이 있음을 인정하고 이 방향에서 통일을 지향시킨다.

가족,친척등의 방문단교환, 비전향장기수 문제등 인도적 문제를 조석 히 해결한다.

경제협력을 통하여 민족경제를 균형적으로 발전시키고, 사회 체육보건환경 등 제반 분야의 협력과 교류를 활성화하여 서로의 신뢰를 다진다.

남과북은 이상과 같은 합의사항을 조속히 실천에 옮기기 위해 빠른 시일 안에 당국 사이의 대화를 개최하기로 하였다.

 

1860년대

1870년대

1880년대

1890년대

1900년대

정 부

1863(대원군 집권)

- 내용(p492~493)

494p 책 내용 및 이름

제병지오신

1873(민비정권대두)

1876년 강화도 조약

- 내용 및 결과

1882년 조미수호조약(825)

임오군란 이후(p500,501)

- 제물포조약

- 상민무률 수욕장정

1885년 거문도사건

1894년 갑오개혁

1895년 을미개혁

갑오개혁 / 을미개혁 내용 바꿔서 냄

- 을미개혁 : 군단종건태우소

(1차 갑오개혁()청일전쟁승리

2차 갑오개혁() 삼국간섭

3(러시아 집권) 삼국간섭 흔들림, 을미사변 4(일본집권) 춘생문사건아관파천

1896년 아관파천

1896년 독립협회

1997년 광무개혁

영용러의협가영포을

1902일동맹

1903암포사건

1904일전쟁(2)

1904년 한일정서(2)

19048월 한일정서

(1차협정)

1905쓰라태프트(7)

1905년 제2일동맹(8)

1905츠머스(9)

1905사조약(11)

(2차협정)

1907년 헤이그밀사(6)

1907년 고종퇴위(7)

1907년 정미 7조약

(한일신협약)

1909년 기유각서(사법권 박탈)

1910년 경찰권 박탈

1910경술국치(주권박탈)

 

박탈순서 : 재정 외교 군사 사법 경찰 주권

R

일본의 통감부 침탈내용

: 1905~ 화재토농괌삼(p547)

- 1876년 김기수 1차 수신사 파견

- 1880년 김홍집 2차 수신사 파견

(황준헌, 조선책략 이언 들어옴)

- 1880년 통리기무아문 설치

- p503 제도개편 봐야함

- 1881년 신사유람단, 청에 영선사, 1883년 미국에 보빙사 파견

민 중

 

 

 

1894년 동학농민운동

(노토공지과잡7, p522)

 

- 1894년 이후 남학당, 동학당, 영학당, 활빈당 간단한 내용

의병전쟁

- 1894년 갑오, 을미의병

- 1905년 을사의병

- 1907년 정미의병

- 1909년 일본 남한대 토벌 작전이후 독립군으로 감

위정척사

통상반대운동과 척화주전론

(이항로, 기정진, 김평묵)

개항불가론, 왜양일체론

(최익현의 지부복궐소)

신사척사운동

(이만손 영남만인소,,홍재학의 만인척화소, 이재선 역모사건)

1882년 임오군란

- 결과가 중요함,(p508~510)

을미사변과 단발령 계기로 의병운동으로 발전

개 화

 

 

갑신정변(변법자강흐름)

(대문환경찰제지혜탐)

- 결과 : 한성, 텐진조약

 

- 1904협보공

- (타협)(타협)

(비타협)(타협)

- 1907년 국채보상운동

갑신정변, 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 광무개혁 (4개의 경우 조약내용을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1894년 동학의 교조신원운동 (교조신원운동 : 공주삼례서울보은)

백산 황토현 장성 전주화약 청나라, 일본 들어옴 일본이 우리나라에 개혁요구 우리나라는 교정청 설치 일본 경복궁 점령 청일 전쟁 군국기무처

청일전쟁이후 공주 우금치에서 동학이 패배 , 군국기무처와 청일 전쟁은 순서 바뀔수 있다.)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

1940년대

대한민국임시정부

19년 임정수립(대통령제)

- 출발시 좌우합작

- 한성정부(국내)+대한국민의회(연해주)

-

25(국무령중심,내각책임제)

23 국민대표회의소집(임정 분열 배경)

26년 애국단(김구)

 

27(국무위원중심,집단지도제)

- 신간회와 연도 같음

31년 삼균주의 선포(좌우절충)

- 삼균주의

(정치 보통선거, 경제국유제, 교육 균등교육)

40(주석제), 44(주석,부주석)

-광복군조직(40), 가장큰 활발(40)

40년 광복군 창설

42년 조선의용가 광복군에 편입

( cf) 조선의용이 광복군에 편입됐다 X)

44년 내각면에서 좌우합작

- 군자금 모금, 연통제(비밀행정연락망), 독립공채 발행, 외교활동(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 보냄, 워싱만 군축회의에 이승만, 서재필)

- 독립신문 발행, 한일관계사료집 발간, 군사계획 수립과 활동(주만참의부 설치, 서로군정서군, 북로군정서군을 군무부 산하 조직으로 편제)

- 1920년 소련정부와 비밀협정(공수동맹 맺음) 이동휘 19211월 임정 탈퇴(임정갈등배경) 1923년 국민대표회의에서 분열

3.1 운동

- 만주(191812월 무오독립선언서) 일본(1919.2.8독립선언 우리나라(1919.3.1. 기미독립선언서)

- 3월 말에서 4월초 사이에 전국적으로 확산(학생이 주도, 농민이 가장 많음)

- 서울 주변의 농촌지역으로 운동이 확산되는데 결정적 역할(노동자)

- 4월초에 절정 / 대체로 비폭력이나 처음부터 폭력적인 경우도 있었다. / 경기도가 시위와 충돌이 가장 많음

- 민족대표 33인은 대중운동으로의 확산단계에서 지도력 행사를 포기하였다.

각종단체

10년대는 프린트물 참고

1920년 국내의 사회주의와 비타협주의의 통일전선운동

- 통일전선운동 = 좌우합작 = 신간회운동

- 조선청년총동, 조선흥회, 간회,

조선정연구회, 우회, 근우회(총동 민 신 사 정선)

신간회의 경우 신민회와 비교해서 내용까지 알아야함

 

1920년대 만주

---

|---혁신의회(우익) 한국총연합회 한국독립당과 군

---

|---국민부 (좌익)조선혁명당과 조선혁명군

---

 

 

1920년대 중국

 

51--- 유호한국독립운동자연맹(좌익)

|

--- 한국독립당(우익)

 

 

타협주의

- 김동진 동아일보, 최남선

- 최린 천도교 신파 , 조선농민사, 개벽

- 조선청년연합,

- 안창호 - 흥사단, 수양동우회

- 이승만 - 동지회, 흥업구락부

무장단체의 활동

 

-19321월 이봉창 일본 국왕 암살 미수

-19324월 윤봉길 : 상하이 홍커우 공원 투탄

 

1930년대 만주

-- 지정천의 한국독립당과 한국독립군

| (호로군과 쌍성보 전투에서)

-- 양세봉의 조선혁명당과 조선혁명군

| (중국의용군과)

-- 동북항일연군

 

1930년대이후 좌우합작

 

- 민족유일당 운동

- 조국광복회

- 한국대일전선 통일연맹

- 민족혁명당

- 전국연합진선협회

- 조선건국동맹

- 조선독립동맹(주의 9: 사회주의, 7: 좌우합작)

 

이 부분은 1920년대임(10년대 아님)

무장단체의 활동

- 국내에 1919년에 보합단, 천마산대

- 국내에 1920년에 구월산대

- 1919년 만주에서 김원봉 의열단

(국내와 상해 중심, 무정부주의,

1923년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에 잘 나타남)

- 1926년 김구의 애국단

 

봉오동전투(1920) 청산리전투(1920)

간도참변(1920) 참의부/정의부/신민부 설립(1923~25) 미쓰야협정(1925)

사회주의운동

- 1920년대 사회주의 운동의 일환으로 수용

- 1930년대초 혁명적 농민/ 노동운동 전개

- 1차 조선공산당(1925창립, 신의주사건으로 해체)

- 2차 조선공산당(25~266.10만세운동 준비중 해체)

- 3차 조선공산당(26~28, 신간회에 참여)

- 1930년대 공산당재건운동 추진, 그러나 실패함

노동운동 및 농민운동

-1920년대 초 : 생존권 투쟁

-1920년대 말 : 다양해졌다(1929년 원산총파업)

-1930년대 초 : 비합법적인 혁명적·적색노조운동 전개

- 1937년 중일전쟁 이후 : 잠복기(소멸됐다.X)

기 타

운 동

- 1920년대 민립대학설립운동

- 1923년 물산장려운동

- 1929년 조선일보 문자보급운동

- 19266.10만세운동(신간회X)

· 조선공산당에서 시위를 주도하였다.(X) 준비하였다 (O)

· 고려공산청년회가 주도하였다. (O)

· ·우익 다 있음

- 1929년 광주학생항일운동

· 신간회가 조사단을 파견하여 후원하였다. (O)

· 신간회가 직접참여했다.(X)

· 신간회가 민중대회를 개최하였다. (X), 시도하였다. (O)

- 1931년 동아일보 브나로드 운동

형평사 운동

- 1923년 조선형평사 창립

- 1936년 친일적인 대동사로 바뀜

cf) 1930년대 후반까지 형평사 운동이 지속되었다. (x)

해방전·후 공간

카이로회담 테헤란회담 얄타회담 포츠담회담 → → 미국 일반명령 1해방 미소군정

(최초로독립약속,미영중) (38선 배경, 신탁통치 동의) (카이로재확인(한국의독립약속), 간접적인 3.8선의 배경) (직접적인 3.8선 배경)

 

모스크바 3상회의 미군정은 비상국민회의를 1차 미소공동위원회 이승만 46년 정읍발언, 미군정은 좌우합작위원회와 2차 미소공동위원회 UN으로 이관

군정자문기간으로 삼아 1차대비 김규식·여운형의 좌우합작운동 한민당계를 주축으로

조선정판사사건 남조선과도입법의원으로 구성하여 2차대비

 

1950년대

1960년대

1970년대

1980년대

북한정권

568월 종파사건(갑산파만 남게됨)

58년 사회주의 경영완료

54~58 농업협동화 운동

57년 천리마운동

 

60년 농업에 청산리방법

61년 공업에 대안사업

624대군사노선채택

67년 갑산파 숙청

69김일성 유일사상이 노동당 유일사상으로 됨

72년 사회주의헌법

85년 주체사상이 유일사상

98년 주석제폐지, 주석 국방위원회 위원장

통일문제

19708.15선언 1971년 남북적십회담 19727.4남북공동성명 19736.23선언(남한이함) 19741월 상호가침협정체결을 제안

(북한을 협상대상으로서 (자주, 평화, 민족대단결) (북한과 공산당의 실체로 승인)

지위를 인정) (비적성국가에 대한 문호개방)

(국가로 승인 X)(북한 : 1민족 1국가 2체제의 연방제 주장)

 

1989년 한민족 공동체통일방안 1991UN동시가입, 남북간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기본 합의서 채택 1994년 김영삼정권 20006.15 공동선언

(자주,평화,민주) (남북한이 서로 국가적 실체를 인정하고, 국가로는 승인하지 않기로함.) (화해협력남북연합통일국가) (통일을 위한 연합제와

(남한 : 국가연합(1민족 2국가 2체제) 1국가 1체제) 연방제의 공통성 인정 )

 

1공화국(1948~60, 이승만정부)

2공화국(1960~61, 장면내각)

박정희 군사정권(1961~62)

3공화국(1963~72, 박정희집권)

대통령

업 적

발췌개헌사사오입진보당조봉암

2.4파동 3.15부정선거4.19혁명

 

· 48년 반민족특별조사기관법 국회 통과

· 503월 농지개혁

(내용까지 알아야, 프린트 734페이지)

· 삼백산업(밀가루,설탕,면화)

6.25

이승만정부수립전(2,7총파업,제주도4,3사건)

전쟁전(여수,순천14연대, 대구6연대 사건)

(국민보도연맹조직,김구암살)

전쟁중(국민보도연맹사건,

51년 거창양민학살,국민방위군횡령)

민주당 정권으로

노동운동, 농민운동,

학생운동 등이 시작됨

4대 의혹사건

삼분폭리사건

(밀가루,설탕,시멘트)

 

652

65622일 한일협정

658월 베트남 파병, 한일국교정상화

66년 한미행정협정

 

(1979년이후)

19876월 민주항쟁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