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사회
Ⅰ. 대원군의 집권과 개혁정치
1. 대원군의 집권(1863)
2. 대원군의 개혁정치 → 능력에 따른 인재등용(탕평책) - 안동김씨 세력의 견제목적.
→ 정치와 군사의 분리 - 비변사․5군영 폐지, 의정부․삼군부 부활
→ 법전 정비 - <대전회통>, <육전조례>
→ 삼정문란의 시정 - 호포제 실시, 환곡대신 사창제 실시
→ 서원의 정리(47개로 정리) - 유생들의 반발을 받음.
→ 경복궁 중건 - 원납전(기부금), 4대문 통행세, 결두전 징수, 당백전 발행(물가앙등),
묘지림 벌채
3. 쇄국정책과 양요
(1). 배경 → 서양의 제국주의 침략시기, 중국의 문호개방(아편전쟁,1842), 일본의 문호개방(1854)
→ 이양선 출몰 - 18세기에는 탐험, 측량목적
- 19세기에는 통상요구 : 최초의 통상요구(영국상선 암허스트 호, 순조, 1832)
(2). 병인양요(1866) → 대원군의 천주교 박해가 원인(병인박해, 1866)
→ Roze제독의 프랑스 함대 침공
→ 한성근의 활약(문수산성), 양헌수의 활약(정족산성)
(3). 신미양요(1871) → 제너럴 셔먼호 침몰 사건이 계기
→ 미국의 Rodgers 제독이 침공
→ 어재연의 활약(광성진)
(4). 대원군의 쇄국정책의 강화 → 두차례의 양요, 옵페르트 도굴사건(1868), 유생들의 지지(이항로, 기정진)
→ 두차례의 양요 후 척화교서를 발표하고 척화비 건립
※ 척화비의 건립 → 대원군이 1871년에 서울 및 전국 요지에 세운 비석
→ 임오군란 후 서울에 세웠던 것은 철거하였으나 지방의 것은 1920년까지 존속.
→ < 洋夷侵犯 非戰則和 主和賣國 >
Ⅱ. 조선의 개항
1. 통상개화론의 대두
(1). 배경 → 북학파의 영향, 박제가의 <북학의>
(2). 전개 → 18세기 북학파(박제가) - 19세기( 이규경, 최한기 ) - 박규수, 오경석(역관), 유홍기(개화당에 영향)
(3). 개화사상에 영향을 준 서적 → <해국도지>, <영환지략>, <이언>, <만국공법>
(4). 주장내용 → 청과 서양의 문물을 수용하여 부국강병을 이룩하고자 함.
→ 개화사상 형성과 개화정책 추진에 영향을 미침.
2. 강화도 조약(병자수호조규)의 체결
(1). 대원군의 실각 → 개혁정치에 따른 유생의 반발, 최익현의 상소
→ 경복궁 중건에 따른 농민의 반발
→ 세도가문의 반발과 민비세력의 형성
(2). 운양호 사건(1875)
(3). 강화도 조약의 체결(1876) → 자주국의 명시, 부산 외 2항구 개항(원산, 인천), 일본인의 통상활동 허가
연해측량권, 치외법권(영사 재판권)
→ 조약의 성격 - 조선이 외국과 체결한 최초의 근대적 조약, 치외법권․조차지 설정 및 연해 측량권등을 규정한 불평등한 조약
3. 구미제국과의 수교 → 미국과의 수교(1882) - 청의 주선, 황준헌의 <조선책략>의 영향
- 조약의 내용 : 거중조정(양국 중 한 나라가 어려울 때 돕는다),
치외법권, 조차지 설정, 최혜국 조관, 관세권 규정
→ 영국과의 수교(1882) - 청의 주선, 관세가 고율이고 아편수입의 금지 문제로 정식조인은 1883년에 이루어짐.
→ 독일(1882) - 청의 주선
→ 러시아(1884) - 청의 중재없이 직접수교, 베베르의 활약.
Ⅲ. 개화운동과 위정척사 운동의 전개
1. 개화운동의 전개
(1). 개화사상의 발생 → 1860년대 통상개화론의 영향으로 개항전후에 형성
→ 실학사상(특히 북학파)계승, 중국양무운동, 일본의 문명개화론의 영향.
(2). 개화사상의 내용 → 수신사인 젊은 관료층이 주도 -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서광범등
→ 1880~1890년대 조선정부 정책추진의 방향으로 기능.
(3). 동도서기론의 대두 → 서양의 근대적 기술을 도입하여 부국강병책 제시.
→ 천주교에 대해서는 반대 - 전통적 유교 윤리 고수.
(4). 개화정책의 추진 → 수신사 파견 - 1차수신사 : 김기수, <일동기유>
- 2차수신사 : 김홍집, <조선책략>
→ 신사유람단 파견(1881) - 박정양, 조준영, 홍영식, 어윤중.
→ 영선사 파견(1881) - 김윤식, 군기제조술 학습 목적, 기기창 설치.
→ 행정기구 개편(1881) - 청제도 모방, 통리기무아문, 12사 설치.
→ 군제개편 - 2영(무위영, 장어영)설치, 무위영 소속의 별기군 설치.
2. 위정척사운동의 전개
(1). 1860년대의 운동 → 1866년 병인양요 당시, 이항로․기정진의 척화주전론, 쇄국정책의 사상적 기반제공.
(2). 1870년대의 운동 → 강화도조약 체결시, 왜양일체론 주장․ 최익현의 <5불가소>, 개항불가론
(3). 1880년대의 운동 → 1881년 2차 수신사인 김홍집이 <조선책략>을 소개가 원인.
→ 이만손의 <영남만인소>, 홍재학의 <만언척사소>
(4). 1890년대의 운동 → 일제 침략기에 항일의병운동으로 전개.
※ 조선책략 → 2차 수신사인 김홍집이 일본에서 전래.
→ 일본주재 청의 외교관인 황존헌이 쓴 책
→ 조선의 러시아 견제책으로 < 친중국, 결일본, 연미국 >의 외교책을 제시.
Ⅳ. 보수와 개혁의 갈등
1. 임오군란(고종, 1882)의 발생
(1). 배경 → 신식군대(별기군)과 구식군대의 차별대우, 밀린급료에 불만을 품은 구식군대가 일으킴.
(2). 대원군의 재집권 → 2영과 별기군 폐지, 5군영 부활, 통리기무아문 폐지
(3). 청의 개입과 대원군 압송 → 청의 신속한 개입, 청의 세력 강화(일본세력 약화)
→ 고문의 파견 - 묄렌도르프(외교), 마건상(재정)
→ 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1882) - 청상인의 내지통상 허용
→ 정치개혁 -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통리군국사무아문 설치
(4). 제물포 조약의 체결 → 일본공사관 경비병 주둔 허용(일본군대의 주둔을 허용한 최초의 조약), 피해배상,
군란주모자 처벌, 사죄사 파견(박영효 파견: 태극기 사용)
2. 개화당과 보수세력의 대립
(1). 임오군란 후 청의 내정간섭 심화 및 정부가 사대정책으로 청에 의존관계가 심화.
(2). 개화당의 형성 → 일본의 후원을 얻음 -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 급진적인 개혁 주장
→ 신식기관 설립 - 박문국, 전환국, 기기국, 우정국.
3. 갑신정변의 발생(1884)
(1). 배경 → 개화당이 재정타개책으로 제시한 일본으로부터의 차관도입실패로 입지약화.
→ 정부의 청에 대한 사대정책의 반발이 원인.
(2). 혁신정강 14개조 발표 → 성격 - 입헌군주제, 문벌폐지와 능력에 따른 인재등용, 지주전호제를 인정하면서 지조법만의 개혁을 주장.
(3). 결과 → 청의 개입으로 3일 천하로 결말, 청의 지위가 한층 더 강화됨.
→ 위로부터의 개혁으로 민중의 지지를 받지 못함.
(4). 한성조약 체결(조선 vs 일본)
(5). 텐진조약 체결(청 vs 일본) → 청․일 양국의 공동철병, 어느 한 나라가 군대를 파견할 때에는 상대국에 사전통고하고 사건이 해결되면 즉시 철수한다.(갑오농민전쟁 당시 일본의 군대파견의 구실)
Ⅴ. 동학혁명의 발생
1. 갑신정변 후 조선의 상황(열강세력의 침투로 혼란)
(1). 청의 정치 간섭 강화로 반청감정의 고조.
(2). 러시아의 남하정책 → 1860년 뻬이징 조약 - 연해주 차지, 조선과 국경을 접하면서 남하정책 추진.
(3). 조․러 밀약설 유포 → 러시아 공사 베베르의 활약, 조선정부의 친러화 경향이 나타남(청세력 견제위해)
(4). 러시아 세력의 견제 → 청은 러시아 세력을 견제키 위해 대원군을 소환함.
→ 영국은 거문도를 점령하고 러시아 세력 견제(거문도 사건, 1885)
(5). 중립론의 대두 → 독일 영사 부들러는 조선의 영세중립국을 정부에 건의
→ 유길준, 김옥균도 중립론 논의.
2. 일본과 청의 경제적 침투
(1). 일본의 침투 → 개항 이후부터 1880년대 초반 - 조선과의 무역을 독점.
→ 중계무역의 이익을 누림 - 영국산 면제품 vs 쌀․콩․금
→ 농촌경제의 파탄 - 입도선매 방식으로 농촌에 침투, 고리대의 수익을 차지.
(2). 청의 경제적 침투 → 임오군란 후 본격적인 침투가 시작됨(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
→ 일본에 비해 대자본 소유, 대규모 영업, 정치적 후원을 얻음.
→ 조선의 무역비중의 변화 - 1885년(81 : 19)
- 1892년(55 : 45)
→ 아직도 일본의 무역비중이 가장 높으나 청에 의해서 그동안 누려왔던 일본의 조선에 서의 독점적 지위는 위협을 당함.
(3). 일본의 경제적 침탈에 대한 저항 → 방곡령 사건 - 1876~1904년 사이에 100건에 달하는 사건이 일어남.
- 조선에 흉년이 들면 지방관이 직권으로 곡물반출을 내 리는 조치.(조병식)
- 일본은 한․일 통상장정규정 내용을 근거로 조선측에 강압을 가함.
3. 동학혁명의 발생과 전개
(1). 배경 → 무능․부패한 정부에 대한 저항(반봉건), 일본의 경제적 침탈에 대한 저항(반외세)
(2). 교세의 확장 → 2대교주 최시형의 포교, 포․접의 조직망
→ 경전 - <동경대전>, <용담유사>
(3). 교조 신원 운동 → 1차 집회(삼례집회, 1892) - 교조신원운동.
→ 2차 집회(서울, 1893)
→ 3차 집회(보은, 1893) - 정치적 성격으로 변화 : 탐관오리 숙청과 척외양창의 주장.
(4). 동학운동의 전개
▣ 1차 농민 전쟁 → 고부군수 조병갑의 횡포(만석보 사건)
→ 전봉준을 중심으로 <보국안민>, <제폭구민>을 주장하며 봉기.
→ 백산전투 - 황토현전투(전라감영군 격파) - 장성전투(홍계훈의 경군격파)
- 전주 점령 - 전주화약
→ 전주화약 - 집강소 설치(전라도에 설치, 민정기관), 대도소 설치(전주)
▣ 2차 농민 전쟁 → 1차때와 달리 항일 구국 운동의 성격을 갖음, 북접(최시형)의 가세.
→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일본과 관군의 연합군에게 패배.
(5). 폐정개혁안 12개조
(6). 동학혁명의 성격과 영향 → 반봉건․반제국주의 민족주의적 성격, 아래로부터의 개혁
→ 청․일군의 한반도 파견(텐진조약이 근거), 청․일전쟁의 계기
→ 동학농민의 잔여세력이 의병전쟁에 가담.
Ⅵ. 근대적 개혁의 추진
1. 갑오개혁의 추진
(1). 배경 → 개화사상의 고조, 개혁의 필요성 인식(교정청 신설)
→ 일본의 개혁 압력.
(2). 개혁 실시 → 1차 개혁(김홍집 내각) - 군국기무처 설치, 대원군의 참여
→ 2차 개혁(2차 〃 〃 ) - 홍범 14조 선포, 군국기무처 폐지, 대원군을 배제.
- 홍범 14조는 근대적 성문헌법의 효시, 입헌군주제 지향, 자주독립을 내외에 선포한 최초의 선언.
(3). 개혁안의 내용 → 정치 - 개국연호 사용, 주상전하를 대군주폐하로 칭함, 입헌군주제 지향, 왕실과 정부의 분리로 군주권 약화, 관리임용법 제정, 사법권 독립(지방관 권한 제한)
지방제도를 8도에서 23부로 개편
→ 경제 - 은본위제 채택(신식화폐발행장정), 조세의 금납화, 재정의 일원화, 도량형 통일
→ 사회 - 신분제도 폐지, 인신매매 금지, 과부의 재가허용, 조혼금지, 적서차별의 철폐,
연좌법과 고문금지.
→ 군사 - 일본의 의도대로 군사제도의 개편은 이루어지지 않은 불완전한 개혁.
→ 교육 - 교육입국조서 발표 : 근대교육제도 마련
(4). 개혁의 성격 및 한계 → 법제상의 근대적 개혁
→ 자주적이지 못한 개혁, 불완전한 개혁(타율성과 자율성의 공존)
2. 을미개혁의 추진
(1). 배경 → 청․일전쟁에서의 일본의 승리(시모노세키 조약 체결)
→ 삼국간섭(1895)이후 러시아 세력의 대두
→ 조선의 일본세력 견제를 위한 친러경향 강화 - 조선의 친러내각 수립(3차내각)
(2). 을미사변의 발생(1895) → 조선에서의 지배권이 위축되자 이를 만회하기 위해 민비시해사건을 일으킴.
→ 친일내각 성립(4차내각)
(3). 을미개혁의 실시(1895) → 태양력 사용, 군제개편(서울:친위대, 지방:진위대), 연호사용(건양), 단발령 공포,
종두법 실시, 소학교 설치, 우편제도 실시.
3. 의병운동의 시작 →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자극을 받아 기병(최익현)
→ 지도자는 대개 유학자 출신
→ 주리론적 입장, 위정척사사상의 영향을 받음.
→ 문석봉(보은), 유인석(제천), 이소응(춘천), 박준영(여주,이천)등.
Ⅶ. 독립협회의 활동과 대한제국
1. 열강의 이권 침탈
(1). 배경 → 아관파천의 발생(1896), 친러내각의 성립
→ 1차 러․일 협상(웨베르․고무라 각서, 1896,5) - 조선에서의 러시아의 우위 인정.
- 일본군의 계속주둔 인정
→ 2차 러․일 협상(로바노프․야마가따 조약, 1896,6) - 완충지대 설치 합의
(2). 열강의 이권침탈( 러시아의 재정고문 알렉세예프에 의해 이권이 러시아에 넘어감 )
→ 러시아 : 경원․종성 광산 채굴권, 두만강․압록강․울릉도 삼림채벌권
→ 미 국 : 경인선 철도부설권, 운산금광 채굴권, 서울시내 전차․전기 부설권
→ 프랑스 : 경의선 철도부설권
→ 일 본 : 경부선․경인선(미국으로부터 매입)철도 부설권, 직산광산 채굴권.
→ 독 일 : 당현 금광 채굴권
2. 독립협회의 활동
(1). 배경 → 아관파천 후 열강의 이권침탈에 대한 분노
→ 신지식인 성장 : 서구시민사상의 신지식인(서재필), 개신유학사상자(장지연, 남궁억)
(2). 조직 및 성격 → 회원가입의 개방, 전국에 지회 설치
→ 초기에는 정부고위관리도 참여하였으나 후에는 탈퇴.
→ 도시 상인․농민, 광산․부두 노동자, 백정출신도 참여.
(3). 활동 → 자주 독립 운동 - 독립문 건립, 독립신문 발행, 독립관, 고종의 환궁 요구
- 외국에 대한 이권할양 반대운동
→ 자강 혁신 운동 - 입헌군주제 주장, 행정․재정제도 개혁, 신교육 주장, 근대적 산업 개발
→ 자유 민권 운동 - 생존권․재산권․참정권 운동 전개, 의회설립 주장.
(4). 만민공동회 개최(1898) → 헌의 6조
(5). 정부의 탄압 → 보부상으로 조직된 황국협회를 이용해 독립협회를 해산시킴.
3. 대한제국의 성립과 광무개혁
(1). 대한제국의 성립(1897.10) - 고종의 환궁(경운궁:지금의 덕수궁), 국호를 대한제국, 연호를 광무로 정함.
(2). 광무개혁의 실시 → 구본신참(舊本新參)이 개혁의 기본방향, 복고주의적 성격, 황제권 강화.
→ 군제개편 - 서울에 친위대․시위대 설치, 지방에 진위대 설치
→ 관제개편 - 지방을 23부(갑오개혁)에서 13도로 개편
→ 외교정책 - 자립외교, 간도의 편입(간도관리사파견), 울릉도의 군승격(독도까지 관할)
→ 경제정책 - 양전사업 실시, 지계발급
→ 상공업 진흥 - 근대적 회사 설립, 실업교육 강조, 유학생 파견
→ 사회 - 새 호적제도 제정, 교통․통신등의 사회복지시설 확충
→ 교육 - 신교육령 반포, 소학교, 중학교, 사범학교, 외국어학교 설립.
4. 근대문명의 수용
(1). 배경 → 개항 후 신사유람단 파견과 영선사의 파견이 근대적 기술도입에 중요한 계기.
→ 박문국(신문발간), 기기창(무기제조), 전환국(화폐주조), 우정국(우편)등의 근대시설 설치.
(2). 통신시설 → 전신 - 청에 의해 1885년 처음 가설(서울-인천, 서울-의주)
→ 전화 - 경복궁에 처음 가설(1896)
→ 우편 - 갑신정변으로 중단, 을미개혁 후 다시 운영(우정국), 만국우편연합에 가입(1900)
(3). 교통시설 → 철도 - 경인선이 최초로 부설(미국→일본), 경부선․경의선 부설.
→ 전차 - 한성전기회사 설립(왕실과 미국의 합자), 서대문~청량리.
(4). 의료시설 → 지석영의 종두법 보급.
→ 광혜원 - 최초의 근대식 병원(알렌), 후에 제중원으로 개칭.
→ 광제원 - 종두법 보급
→ 자혜의원 - 도립병원의 효시
→ 세브란스 병원 - 미국인 선교사에 의해 건립.
(5). 근대건축 → 독립문(1896) - 프랑스의 개선문 모방
→ 덕수궁 석조전(1910), 명동성당(1898)
Ⅷ. 독도와 간도문제
1. 간도문제
(1). 간도의 지역적 배경 → 간도는 초기국가때는 부여, 남북국 시대에는 발해에 속했던 땅으로 여진족의 거주지.
(2). 백두산 정계비(1712)의 설치(조선 vs 청)
(3). 관리사 파견 → 간도를 함경도에 편입(1902), 북간도 관리사(이범윤)파견
(4). 간도협약(1909) → 을사조약 후 통감부가 관리하다가 청과 간도협약을 맺어 청의 영토로 인정해줌.
2. 독도문제
(1). 독도와 울릉도의 지역적 배경 → 지증왕(512)에 울릉도를 신라의 영토로 편입.
→ 숙종(1696)에 안용복이 울릉도의 왜인을 축출.
(2). 울릉도의 관리 → 1901년에 울릉군으로 승격시켜 관청을 두고 독도까지 관리.
(3). 일본의 독도 강탈 → 일본은 러․일전쟁 중(혹은 을사조약 후) 독도를 불법적으로 일본영토에 편입.
'한국사 > 근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 개화세력의 성장 (0) | 2019.04.07 |
---|---|
근현대사 요약 총정리 - 1. 근대사 (0) | 2019.04.06 |
근현대사 요약 (0) | 2019.03.17 |
근현대사 정리 요약 표 (0) | 2018.12.25 |
근대사 개혁안 총정리 - 갑신 14개조, 동학(사발, 폐정), 갑오개혁[1차, 홍범, 2차, 3차(을미)], 독립협회(헌의6) (1) | 2018.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