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의 고분 .................................................................................

고구려 - 돌무지무덤(석총): 장군총(벽화×) 토총(흙무덤) - 굴식돌방무덤: 강서고분(사신도),

쌍영총(여인도,무사도,우차도,서역영향 받음), 무용총(무용도,수렵도), 각저총(씨름도),

삼실총(무사,역사의 벽화)

백제 - 한성시대(돌무지무덤: 석촌동구분-장군총영향; 고구려 유이민설의 근거)

웅진시대(굴식돌방무덤, 벽돌무덤: 무령왕릉- 양나라의 동전 출토.남조의 영향)

사비시대(굴식돌방무덤: 능산리2호분-세련)

신라 - 돌무지덧널무덤: [천마총: 천마도(벽화×)], [황남총: 왕비의 능으로 추정, 금관 방추차등 출토],

[호우총 벽화×, 호우명그릇(신라와 고구려의 관계)]

통일신라 - 굴식돌방무덤(호석+12지신상;도교적 요소): 김유신묘, 화장무덤, 해중릉(불교식, 문무왕릉)

발해 - 벽돌무덤: [정효공주묘 - 당의영향,벽화, 도교적요소: 4,6변려체안의 불로장생]

굴식돌방무덤: [정혜공주묘 - 고구려영향, 벽화, 천장:모줄임 구조, 도교적요소: 4,6변려체안의 불로장생]

가야 - 벽화

 

통일 전 신라의 벽화는 거의 없다고 보는 것이 좋다.

 

무령왕릉 - 1971년 공주 송산리 고분에서 처녀 발굴. 벽돌무덤. 중국 남조양식. 지석(현존 최고의 지석),

토지매지권(최초, 도교적 요소), 7호분.

 

금석문 ......................................................................................

고구려 - 광개토대왕비(장수왕): 건국신화(동명왕편보다 먼저 기록), 정복활동, 쪽바리의 임나일본부설 주장.

중원고구려비(장수왕): 고구려왕이 신라왕(매금)을 만나 충북중원 고구려땅 확인, 5c 3국의 역학관계를 보여줌. 신라를 동이로 칭함(고구려와 신라의 역학관계, 장수왕의 남하정책)

백제 - 무령왕릉지석(남북조시대의 해서체), 사택지적비(의자왕, 도교사상)

신라 - 영일냉수리비(지증왕): 재산분쟁에 관한논의, 신라최고의 비석

울진봉평신라비(법흥왕): 율령관계 수록, 단양적성비(진흥왕): 한강상류 진출, 충북단양.

진흥왕 순수비: 신라의 관제연구에 도움 - 북한산비(한강유역), 창녕비(대가야정벌),

황초령비(원산만 진출), 마운령비(원산만진출)

암기법: 냉수봉단북창황마.

임신서기석 - 화랑도(의리)연구, 한자사용연구(춘자상시서예~)

조선 - 백두산정계비(숙종): 조선과 청의 경계선 확정, 간도 귀속문제

 

금석문 중 가장 오래된 것 - 점재현신사비(AD85)

 

UNESCO 지정 문화재 ..........................................................................

지정 세계문화유산: 불국사(석굴암), 종묘, 해인사장경판전(팔만대장경), 창덕궁, 화성(1997)

고인돌(2000), 경주고적지구(2000)

지정 기록문화유산: 조선왕조실록(1997), 훈민정음(1997), 승정원일기(2001), 직지심경(2001)

지정 무형문화유산: 판소리(2003),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1)

 

대장경과 활자 .......................................................................................

1차 대장경(=초조대장경): 거란대비, 몽고 침입때 소실, 대구 부인사와 일본에 일부 전함.

속장경(불서목록;신편제종교장총록): 의천이 수집해서 만듦, 흥왕사교정도감설치, 선종(×)

몽고 3차 침입때 소실, 송광사에 일부 전함

2차 대장경(=8만대장경=재조대장경): 몽고침입시 최우가 강화도(대장도감)에서 조판,

선원사에 보관조선초기에 해인사로 이전

금속활자 - 상정고금예문: 전하지 않는 세계최고의 금속활자 본

직지심체요절: 현전하는 세계최고의 금속활자 본(청주흥덕사’, 현재 프랑스 국립도서관)

 

 

호국신앙 .............................................................................................

황룡사9층탑(선덕여왕때 아비지(백제)가 건축, 몽고 때 소실), 인왕경, 팔관회, 왕흥사(백제 무왕),

감은사(문무왕시작 신문왕완공, 문무왕이 해룡이되어 신라를 보호한다는 고사(만파식적), 전제왕권 확립(신문왕)

세속오계(원광이 화랑도계율로 지음), 백고자회(고려시대 호국신앙적 불교행사), 대장경(불심의 힘으로~!!)

화랑: 군사적 단체, 화랑도 정신(최치원의 난랑비문(유불선 3교의 현묘한 도), 세속오계, 임신서기석)

계급간의 갈등을 완화하는 기능, 사회 중견인 양성하는 기능

 

도교적 요소(무위자연, 현세구복, 불로장생의 사상) ......................................................

고구려: 사신도, 연개소문의 장려 보덕은 도교의 불로장생사상에 대항하여 열반종 개창하여 백제에 전파.

백제: 산경문전, 사신도, 사택지적비, 무령왕릉 지석

신라: 세속오계, 최치원의 사산비분, 국선풍월풍류도라는 화랑도의 명칭.

발해: 정효공주 비문 정혜공주 비문 ; 4.6 변려체안의 불로장생.

고려: 첨성단, 도관(도교사원)

조선: 원구단(천자가 하늘에 제사를 드리는 제천단)

 

문화의 유형 ..........................................................................................

고구려: , 패기, 정열의 사실적 표현

백제: 우아함, 세련미, 그러나 토착문화를 충분히 발전 시키지 못함.

신라: 소박한 전통 통일신라: 엄격함과 조화미, 정제미. 조형미술의 발달.

발해: 고구려문화를 바탕으로 당문화 수용, 귀족문화의 발달, 고구려보다 부드러우면서도 웅장하고 견실.

석등: 8각의 기단위에 중간의 볼록한 간석, 간석위에는 탐스러운 연꽃이 조각되어있어 힘찬 느낌.

당적 요소(수치가 나오면 당적요소.예외-5경제.)

고구려적 요소(불교적인것, ‘발음)

36, 주작대로, 1562, 관등제, 동경성

축조, 잠자는 미녀상, 정효공주묘(벽돌무덤)

5경제, 궁전지의 온돌장치, 천장의 모줄임구조,

사원지의 불상양식, 와당의 연화문, 석등,

발해음악, 정혜공주묘(굴식 돌방무덤)

고려: 유교문화와 불교문화의 융합,공예미술의 발달(나전칠기, 고려자기, 불교미술 등)

중국에서 전래되어 우리나라에서 더욱 발전된 문화: 나전칠기, 대성악(아악)

조선: 유교적 검약으로 건물규모를 법적으로 제한하고 자연미와 주위환경 조화를 중시.

 

건축 .................................................................................................

 

백제: 백제의 탑들은 탑의 기둥에 엔타시스 수법을 사용함.

익산 미륵사지탑(최고 최대, 목조형 석탑), 부여 정림사지5층석탑(전형적인 석탑양식)

신라: 황룡사9층목탑(아비지, 몽고때 소실, 호국사상), 분황사 모전석탑(최초의 전(벽돌)), 첨성대, 천마총

통일신라: 높은 기단위에 세운 3층 석탑이 유행.불국사 3층석탑, 화엄사4사자3층석탑(석굴암),감은사지 3층 석탑

고려: 다각다층의 여러 가지 형식 시도.

[흥국사지 석탑, 현화사7층석탑 신라계승], 월정사89층탑(송에 영향받음),

경천사10층석탑(목조건축양식, 원에 영향받음), [익산 왕궁리 5층석탑, 부여 무량사 5층석탑 백제 계승],

불일사5층석탑(고구려 계승)

조선: 원각사10층석탑(경천사10층탑의 영향받음), 법주사팔상전(현존하는 국내최고의 목탑)

 

 

 

 

부도(선종의 유행)

신라: 형태-팔각당형의 전형적 승탑형식. 신라하대에 선종이 유행하면서 많이 만들어짐.

고려: [8각 원당형: 공주 갑사부도, 구례 연곡사지 북부도,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 혜진탑]

[8각 원당형+구형탑신: 정토사 흥법국사 실상탑, 8각원당형+평면사각형탑신: 법천사 지광국사 현묘탑]

조선: 고승 대덕에게만 허용되던 승탑이 주지승들에게까지 허용되어 엄청 만들어진다네~.

 

건축물

통일신라

석굴암: 불교세계의 이상. 통일신라시대의 대표적 건축물. 불국사: 경덕왕~혜공왕때 완성.

안압지: 경주 궁성 안의 인공연못. 화려한 궁중생활과 귀족생활.

고려시대 건축양식

주심포양식: 통일신라시대 이래 전해와 고려전기 유행. 맞배지붕이 대부분이면서 장중하고 우아하며 간소함.

다포양식: 원간섭기 이후 전해와 조선 전기 유행. 팔작지붕이 대부분이고 주심포보다 화려하고 장엄.

- 봉정사극락전(최고의 목조건축물, 주심포양식), 부석사무량수전(신라계승한 고려의 대표적 건축물, 주심포),

부석사조사당, 수덕사대웅전, [원영향 다포양식; 석왕사응진전, 성불사응진전], 심원사보광전(다포양식)

조선시대 건축

특징: 유교적 검약으로 건물규모를 법적으로 제한하고 자연미와 주위환경 조화를 중시

15c: 궁궐, 성곽, 성문, 학교건축 중심(경북궁, 숭례문...), 해인사 장경판전.

16c: 서원건축중심(경주의 옥산서원,안동의 도산서원, 해주석담의 소현서원)

17c: 사원건축중심(금산사 미륵전, 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팔상전)

18c: 불국사 대웅전, 수원성(정약용, 거중기이용),

부농과 상인의 지원으로 그들 근거지에 장식성이 강한 사원건축 - 논산 쌍계사, 부안 개암사, 한성 석남사

19c: 경복궁 중건(대원군),광화문(복원)20c:덕수궁석조전

 

조각공예품 ........................................................................................

고구려: 연가칠년명금동여래입상(북조에 영향 받음), 금동미륵반가상

백제: 서산마애삼존불상(온화미,엷은미소), 금동미륵반가상, 금동대향로(불교,도교,유교?)

신라: 금동미륵반가상(가장 세련, 일본에 영향미침)

통일신라: 조각 - 석굴암(불국사), 만불산(경덕왕때 만든 인조산), 불상(석굴암의 석가본존여래상,

불국사의 비로자나불좌상, 백률사의 약사여래상), 무령왕릉비

공예 - 범종: 상원사 동종(성덕왕), 성덕대왕 신종(에밀레종)

나전칠기(당에서 수입하나 고려때는 더 역수출), 은입사(송에서 유입)

고려: 조각 - 신라에 비해 뒤떨어진다. 논산 관촉사은진미륵불(최대,지방문화상징), 철불주조가 유행

불균형, 무형식, 자유분방을 특징. 부석사소조아미타여래좌상(고려시대대표불상).

조선시대: 생활필수품 중심, 값싼 재료 이용, 소박하고 견고

 

자기의 발달()

순수청자(11c) 음악청자 상감청자(12~13c) 분청사기(15c전후)

순수백자청화백자(16c) 철사백자진사백자(17~18c)

서긍고려도경에서는 고려자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서도 상감청자에 대한 언급이 없다.

 

사관과 역사서 .......................................................................................

고려전기 - 유교적 역사서술체가 확립. 고려후기 - 자주의식을 바탕. cf> 원부,허공 고금록’; 고려후기

고려시대 - 유교사관: 황주량 7대실록(거란의 침입, 현종, 부전), 박인량고금록’, 김부식삼국사기

자주사관: 이규보동명왕편’(고구려건국의 시조), 일연삼국유사’(단군신화),

이승휴제왕운기’(발해역사, 단군신화), 각훈해동고승전’(한국 불교사 정리)

성리학적사관: 여말-이제현사략’, 선초-정도전고려국사’, 권근동국사략

신흥사대부 역사관: 유교의 합리주의와 정통의식, 대의명분 중시. - 원부.허공 고금록’,

민지본조편년강목, 정가신천추금경록’.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구별

삼국사기 - 김부식(12C), 관천사서, 기전체, 삼국시대 기록 유일한 정사, 신라에 편중, 중국중심적,북진정책좌절

삼국유사 - 일연(고려 충렬왕), 기사본말체, 내용(민간설화, 단군신화), 불교입장+신라중심, 자주적 사관

cf) 기전체; 본기(왕의 업적), 세가(중요가계). (모든제도). 열전(신하의 전기)등으로 구분.- 삼국사기, 고려사, 해동역사

기사본말체; 사건마다 실증사학적으로 기술 - 삼국유사, 연려실기술

편년체; , 시간적 순서. - 삼국사절요, 고려사절요, 동국통감, 조선왕조실록(실록,절요,통감은 모두 편년체)

 

조선시대 - 15c의 역사서: 성리학적 명분론 + 민족적 자주자존의힉(단군을 민족의 시조로)

고려국사(정도전,조선건국의 합리화,편년체),동국사략(권근,편년체),조선왕조실록(춘추관, 편년체),

고려사(군주중심의 역사서술, 기전체), 고려사절요(고려사 보충, 신하적 입장에서 서술, 편년체),

삼국사절요(서거정,세조의 왕권강화와 부국강병의 목적),

동국통감(서거정,성종. 최초의 통사, 성리학적 명분론에 입각하면서도 자주적)

- 16~17c의 역사서: 15c 역사관 비판 + 왕도정치강조 + 사림의 존화주의적 경향

동국사략(박상, 성리학적이념), 기자실기(이이, 왕도정치의 기원을 기자에서 찾음)

- 18c 이후의 역사서: 민족의식의 고취 + 전통문화에대한 자부 + 민족의 정통성

뒤로 갈 수록 더욱 자주적이고 민족적이다: 동국통감<동사강목<해동역사

동사강목(안정복, 한국사의 독자적 체계, 성리학적이지만 자주적, 편년체),

해동역사(한치윤, 중국 등 외국사서를 인용, 정통사체에 대한 인식을 심화.)

[동사(이종휘),발해고(유득공)]-고대사 연구의 시야를 만주지방까지 확대(반도 중심의 역사관 탈피)

규사(이진택, 서얼의 역사서), 연조귀감(이진흥, 향리출신의 역사서)

근대사학 - 민족주의 사학: 신채호독사실론’, 박은식한국통사’, 정인보조선사연구’.

 

 

고조선건국신화(단군신화)가 나와있는 책들(암기법: 제동강목세종유사응)

왕운기,국여승람,신증국여지승람,국역대, , 동사강목, 세종실록지리지, 삼국유사, 제시주

발해사 연구서적

이승휴의 제왕운기’(발해를 우리민족의 역사로 최초로 다룸)

본격적연구: 조선후기 실학자, 민족사학자들이 연구. - 유득공발해고’, 이중휘동사’, 정약용아방강역고’,

한치윤해동역사’, 서상우발해강역고’, 홍석주발해세가.

 

조선왕조실록

1차사료(사초, 시정기)를 바탕으로 하여 편찬.

태종 때 태조실록편찬. 세종 때 정종태종실록편찬.

<선조, 현종, 경종>은 수정(삭제)실록 존재. 왕은 볼 수 없었고 사가의 주관 개입이 가능하였다.

4대사고(세종) 5대사고(전주사고를 광해군때 정비: 춘추관, 오대산, 태백산, 정족산, 적상산)

(임진왜란) 2(서울-전주사고(원본), 부산), 1(김일성 대학)

 

선원록: ‘선원계보기략’. 조선왕실의 족보. 숙종때 처음 간행.

 

개화시책에 영향을 준 서적 ..........................................................................

일동기유(김기수, 1차수신사 후 저술, 신문명에 대한 조심스런 비판),

조선책략(황준헌, 2차수신사 김홍집이 들고옴, 러시아 남하 방지책으로 친중국,결일본,연미방 해야함. 조미수호통상조약에 영향을 줌.이만손<영남만인소>, 성현모독부분.)

이언(정관응, 기술뿐만 아니라 정치제도등도 받아들여함을 강조)

 

각종 서적 ...................................................................................

법전(암기법: 조경속, 정경속, 대대육)

 

태조 태조 태종 세종 성종 영조 정조 (대원군)고종 (대원군)고종

선경국전 제육전 육전 국대전 대전전통편 전회통전조례

정도전 정도전, 조준 하륜 (육전등록), 집현전 최항, 노사신 김재로 김치인 조두순

 

경국대전: 세조시작~예종완성, 성종 때 반포, 재산의 자녀 균분상속(, 장남은 +20%),

토지가옥의 사유권 보장, 연좌제가 채택(갑오개혁때 폐지)

 

조선시대에는 기본법전으로 경국대전을 정비하였으나 실제로는 관습법과 대명률(명나라 형법)을 중시.

 

의학서적

고려: ※『향약구굽방- 고려(고종), 현존 최고의 의학서

조선: 향약집성방(태조), 신주무원록(세종); 법의학서, 동의보감(광해군); 조선최대의서,

동의수세보원(고종); 이제마, 인체를 성격에따라 태양소양태음소음의 사상으로 나눔(사상의설)

 

지리서적

조선전기 - 정치군사행정적 목적(중앙집권과 국방의 강화)

팔도지리지(세종실록에 수록, 각 지방의 연혁, 호구, 토상등이 기록), 세종실록지리지(팔도지리지 정비)

동국여지승람(성종, 단군신화), 신증동국여지승람(동국여지승람을 증보, 현존), 역대제왕혼일강리도(세계지도)

조선후기 - 경제문화의 인문지리적 성격

역사지리서: 동국지리지, 강계고, 아방강역고(정약용)

인문지리서: 택리지(이중환, 각지방의 자연환경, 인물, 풍속, 인습 등을 흥미있게 서술)

지도제작: 대동여지도(김정호, 서구적 기술을 도입하여 정밀하게 표시, 군사지도적 성격)

동국지도(정상기, 영조때. 처음으로 백리척의 축척법을 사용, 8도 분도)

 

 

백과사전류

지봉유설(이수광), 성호사설(이익, 삼한정통론, 역사적 문물을 해석), 동국문헌비고(홍봉한, 영조때.)

동문휘고(정조때 조선시대 외교관계문헌을 수집.정리)

 

농서

고려말 농상집 이암(소개): 독자성×

조선초 농사정초: 직파법 권장.

조선후 농가집 신속: 이앙법 소개.

조선전기: 농사직설(세종, 정초, 현존최고의 농서로서 우리실정에 맞게 수록, 직파법권장)

사시찬요(세조, 강희맹, 계절에 따른 토지관리 및 파종법),

금양잡록(성종, 강희맹, 경기도 농민들의 경험토대)

구황촬요(기근에 대비한 농업서적, 도토리, 나무껍질을 먹는 방법제시)

조선중기: 농가집성(신속, 모내기법에 공헌, 조선전기의 농서를 집대성), 색경(숙종, 박세당, 중농학자 농서)

조선후기: 산림경제(숙종,홍만선,중상학자),과농소초(정조,박지원,농업기술과 농업정책을 논하고,한전법을 제시)

임원경제지(서유구, 농업기술과 산업전반에 관한 백과사전)

 

회화 ...............................................................................

고려: 혜허(양류관음상도), 이령(예성강도), 공민왕(청산대렵도)

조선시대 3화가 - 안견, 김홍도, 장승업

15c: 인물산수화, 진취적, 씩씩하고 낭만 - 안견(몽유도원도-도원이라는 이상세계를 그려냄),

강희안(고사관수도-인간의 내면세계 표현, 문인화가)

16c: 사군자, 자연속에서 서정적인 아름다움을 찾음. - 이암(당견도, 화조묘구도),

이상좌(노비출신, 송아보월도- 인간의 강인함 표현)

17c~18c:진경산수화 발달(18c) - 정선(금강전도, 인왕제색도)

 

 

18c 후반 특징: 실학적 화풍, 서양화법 영향, 풍속화, 민화발달

- 김홍도(씨름, 서당. 배경없는 농촌 생활상 묘사, 간결하고 소박한 필치),

신윤복(주로 도시의 여인 묘사, 배경 있음, 섬세하고 세련된 필치.)

18c : 원근법 등 서양화법 영향.- 강세황(난죽도)

19c 특징: 실학적 화풍 쇠퇴, 복고적 화풍 - 장승업(군마도, 관인화가), 김정희(세한도)

 

과학기술 ....................................................................................

조선전기 -과학기구: 앙부일구(해시계, 세종), 자격루(물시계, 세종), 측우기(강우량측정, 세계최초, 세종),

규형(인지의; 양전, 지도제작에 이용, 세조), 천체관측(혼천의, 간의)

무기: 거북선(태종(귀선)), 비거도선, 화포, 화차, 비격진천뢰.

역법: 달력- 칠정산내외편 작성(독자성)

병서: 진도(태조, 정도전이 지음), 병장도설(세종, 그림으로 설명한 군사훈련 지침서),동국병감(문종)

조선후기 - 서양문물: <곤여만국전도>; 세계지도, 진취적 세계관.

천문학: 지전설(김석문, 홍대용, 이익, 정약용), 지봉유설(이수광, 백과사전, 일식.월식.조수. 설명)

중국중심의 세계관을 탈피하는데 영향을 줌.

 

중국에서 전래되었던 문화 ...................................................................

통일신라: 나전칠기(고려는 송으로 수출)

고려: 쇄술(의천에 의해 속장경 조판),입사,월정사 팔각9층석탑,성악, 자기(암기법: 송인은월정대도)

고려: 화약(최무선이 이원주고 배움), 수시력(역법, 칠정산내외편), 목화(문익점), 임제종(보우),

송설체(조맹부의 서체), 경천사지 10층석탑(라마불교영향, 원각사지 10층석탑의 원형),

농상집요(이암이 소개), 성리학(충렬왕때 안향이 전래), 천산대렵도, 석왕사 응진전(다포양식)

 

각종 개인 저서 .............................................................................

정도전: 제문감, 제육전, 려국사, 선경국전(왕조의 기틀마련), (암기법: 경고불조심!)

[씨잡변, 기리편 - 불교배척 및 도교비판],

세종대왕 때 간행된 서적: 강행실도, 직설, 시찬요, 려사, 의방, 정산내외편, 도지리지,

향약집성방,용비어천가,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 (암기법: 삼사고유칠팔)

 

중농학자

정약용: 여유당전서500여권: 3부작 - 목민심서(지방관의 도리), 경세유표(정치조직에 대한 의견),

흠흠신서(형옥 담당 관리)

3논설 - 탕론(왕조교체의 가능성), 원목(정치의 근본과 목민관 강조),

전론(공동소유, 공동생산, 노동량에 따른 분배)

기예론’(북학파의 이용후생설과 같은 주장)

유형원: ‘반계수록’(균전제와 과전제 실시 주장)

이익: ‘성호사설’(한전제 주장-토지소유의 평등 요구),

6좀론(노비제도, 과거제도, 양반문벌제도, 기교(사치,미신), 승려, 게으름)

박세당색경’, 홍만선산림경제’, 서유구임원경제지

 

중상학자

유수원: ‘우서’-농업의 전문화와 상업화, 농업생산력의 증대. 대상인의 지역사회 개발 참여

홍대용: ‘임하경륜’(균전제 주장), ‘의사문답’(지전설 주장: 중국중심의 세계관 탈피)

박지원: ‘열하일기’, ‘과농소초’, ‘한민명전의’, ‘양반전’ - 화폐유통의 필요성, 수레와 선박의 이용.

박제가: ‘북학의’, 절약보다 소비촉진(우물)

 

내용

 

시대

경 제

토지 제도

조세 제도

산 업

연맹왕국

이 전

 

 

 

고 대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1C936

­왕토사상: 토지 공유

­통일신라의 토지분급

녹읍(귀족의 농민 징발도 가능)

관료전 지급 (신문왕, 왕권강화)

녹읍의 부활 (신라하대,왕권약화)

­농민에게 정전 분급

(토지세)

(부역, 인두세)

(공납, 토산물세)

 

 

 

­신석기: 농경시작

­청동기: 벼농사 시작, 농경의 보편화

­철기: 철제농기구 사용경작지 확대

­지증왕: 우경시작

­신라통일후 상업발달, 아라비아 상인

출입 (울산항)

고 려

9361392

전시과 체제 정비

­역분전(공신)

­전시과 제도: 수조권만 지급

시정전시과개정전시과(, 산관)

경정전시과(직관만)

 

­귀족의 경제 기반: 공음전

­고려후기: 농장 발달(권문 세족)

­전세: 민전은 1/10

­공납: 상공, 별공

­: 정남(16-60) 강제노동

­잡세: 어세, 염세, 상세

 

 

 

 

­농업중심의 자급자족사회: 유통경제부진

­농업: 심경법, 23, 시비법, 목화

­상업: 화폐주조

­무역발달(, 여진, 거란, 일본, 아랍)

예성강 입구의 벽란도

 

 

 

조선전기

15C16C

과전법 체제(1391)

­과전법: 사대부의 경제기반 마련

직전법(세조, 직관): 농장의 출현

관수관급제(성종): 국가의 토지 지배

강화, But 양반의 농장 보편화 촉진

녹봉제(명종): 과전법 체제의 붕괴,

지주 전호제 강화, 농민 토지 이탈

부역제와 수취제제의 붕괴

(임란과 병란이 이를 촉진 시킴)

­전세: 수확의 1/10,

영정법(4)

­공납: 호구세, 상공과 별공

­군역:양인 개병제, 농병일치

 

 

 

 

 

중농억상 정책으로 상공업 부진

­농업: 이앙법 시작, 이모작 보급

­상업:시전중심,지방중시,화폐유통부진

­수공업: 장인은 관청에 부역

­무역: 조공무역 중심

 

 

조선후기

17C1876

실학자의 토지제 개혁론

농민의 토지 이탈과 부역제의 붕괴를

막는 것은 체제의 안정을 유지하는 것

­유형원:균전제(계급차등분배)

­이 익: 한전제(영업전 지급)

­정약용: 여전제(급진적 내용, 공동

생산과 공동 분배)

 

 

 

 

 

농민의 불만 해소와 재정 확보를 위해, 궁극적으로는 양반지배체제의 유지를 위하여 수취체제를 개편

- 영정법(전세): 14지주 유리

- 대동법(공납): 1)공납의 전세화

2)토지 결수로 징수

- 균역법: 1) 21.

2) 선무군관포, 결작

조세의 전세화,금납화화폐경제, 도시와 시장 발달수요 증대상품 경제와 상공업 발달자본주의 맹아

 

서민경제의 성장서민 의식의 향상

­농업: 이앙법,견종법의 보급광작

농촌사회의 계층 분화

­상업: 사상, 도고의 성장상인의 계층

분화, 장시의 발달도시의 발달

­민영 수공업 발달: 납포장, 선대제

­광업: 17세기 은점 발달16세기 서유럽의 신항로 개척에 따른 중남미의 막대한 은이 중국으로 들어와 명과 청은 은본위제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대외 교역을 위해서 은이 필요했고, 또 수출하기도 했다.

근 대

1876년후

­동학 농민 운동에서만 토지의 평균

분작요구(태평천국운동의 천조전무제

실시와 비슷: 농민운동)

­대한제국: 지계발급

­일제:

토지 조사 사업(1912-1918)

산미증식 계획(1920-35)

병참 기지화 정책1930년대-45)

­갑신정변: 지조법 개정

­동학농민운동: 무명 잡세 폐지

­갑오,을미개혁: 조세 금납화

­독립협회: 예산공표 요구

 

 

 

 

근대적 자본의 성장

­일제시대: 물산장려운동

 

 

 

 

 

 

내용

 

시대

思 想

불 교

유 교

전통사상 및 도교

연맹왕국

이 전

신석기시대: 애니미즘, 샤머니즘, 토테미즘, 영혼숭배와 조상숭배(원시 신앙).

청동기시대: 선민사상(정치이념)

삼 국

1C668

­수용:중앙집권국가체제 정비기(4-5C)

­발전: 왕실불교, 귀족불교

 

 

­고구려: 태학, 경당(모든 계층 망라)

­백제: 5경박사

­신라: 임신서기석

 

­시조신 숭배: 지배층

­샤머니즘, 점술: 민중

­도교: 사신도, 산수무늬벽돌,

산택지적비,백제 봉래산향로

남 북 국

8C926

­원효의 정토종: 불교의 대중화

화쟁 사상(불교 통합)

­의상의 화엄종: 전제왕권지지

­교종: 경전, 귀족 - 신라중대

­선종: 참선, 호족 - 신라하대(반신라)

개인의 정신 중시신라 중대에 탄압

­발해: 고구려 불교 계승

­유교이념수용: 국학,독서출신과(귀족의

반대로 실패)

­강수: 외교문서

­설총: 이두 정리

­김대문: 주체적

­최치원: 사회개혁

 

­도교: 최치원의 난랑비,

정효 공주 묘비

­풍수지리설: 중국서 전래,

국토 재편론(호족지지)신라

정부 권위를 약화

 

 

고 려

9181392

­숭불정책(훈요십조:연등,팔관회)

­연등회, 팔관회: 왕실귀위 높임

­불교의 통합운동(원효 화쟁론의 영향)

의천의 천태종:교종중심,귀족적(중기)

교관 겸수 - 교종의 입장서 선종통합

지눌의 조계종: 선종중심, 무신정권기

돈오점수, 정혜쌍수 - 선종 중심 통합

혜심의 유불일치설

 

­유교정치이념 채택

(최승로의 시무28)

­유학 성격변화: 자주적(최승로)보수적

(김부식)쇠퇴(무신)

­성리학의 수용(몽고간섭기): 사대부의

정치사상

으로 수용, 사회개혁촉구

­이제현의 사략(성리학적 사관)

 

­도교행사 빈번(초제): 장례

­풍수지리설 : 서경길지설

(북진정책 기반: 묘청의 서경천도)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귀족사회의

구조적 모순에서 비롯됨.

 

 

 

조선전기

15C16C

­불교의 정비: 유교주의의 구현

­재정확보책: 도첩제, 사원전 몰수,

종파의 통합

 

고대 : 불교

중세 : , 불교

근세 : 유교

 

­관학파(15C): 중앙집권,부국강병,

사장중시, 과학기술 수용, 단군숭배

­사림파(16C): 향촌자치, 왕도정치,

경학중시, 과학기술 천시, 기자숭배

 

­주리론: 이황(영남학파,남인,도덕중시)

­주기론: 이이(기호학파,서인,현실중시)

 

­도교 행사 정비: 소격서(중종때

조광조에 의해 폐지)

­풍수지리설: 한양 천도(왕권강화)

풍수,도참사상 관상감에서 관리

­민간 신앙의 국가 신앙화

기타 종교와 사상에 대한 국가

관리는 유교사회를 확립하려는

의도임.

조선후기

17C1876

­불교의 민간 신앙화

 

 

 

 

 

 

 

 

 

 

­양명학의 수용: 정제두의 강화학파

실학: 통치질서의 붕괴와 성리학의 한계,

서학의 전래, 고증학의 영향으로 등장

­중농학파토지제도 개혁

­중상학파상공업 진흥책, 박제가-소비론

박지원-화폐유통론

­국학: 동사강목 - 한국사의 정통론

해동역사 - 다양한 자료 이용

동사, 발해고 - 반도 사관 극복

연려실기술 - 실증적 연구

 

19세기 사상의 변화

(조선 후기 사회의 동요)

­천주교 수용,동학의 발전,정감록

등 비기도참 사상,미륵신앙 유행

현실 비판: 서민 문화의 발달

이 경향은 성리학적 명분질서와

양반지배 체제가 붕괴되어 가고

있음을 가리키는 것이며 동시에

봉건적인 틀에서 탈피하여 평등

을 지향하고 대중적인 근대사회

로 나아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근 대

1876년후

東道西器: 우리의 정신문화는 지키고 서양의 과학 기술을 받아들이자는 주장=中體西用, 舊本新參양무운동, 대한제국

불교 유신론: 미신적 요소를 배격하고 불교의 쇄신을 주장.

민족사학의 발전: 신채호, 박은식, 최남선 기독교계는 애국 계몽 운동에 힘씀

내용

 

시대

政 治

政 治 制 度

地 方 行 政

軍 事 制 度

연맹왕국

이 전

군장중에서 왕이 추대됨 왕의

권력이 취약.

 

 

군장세력이 각기 자기 부족 통치

- 군장의 관료 명칭이 왕의 관료와

동일한 명칭으로 사용됨

왕의 권위가 약함.

군장세력이 독자적으로 지휘

 

 

 

삼 국

1C668

왕권 강화와 中央集權化

­왕위세습, 율령반포, 관등제

­귀족합의제도: 제가,정사암,화백

회의는 국가 중대사 결정

왕권중심의 귀족국가정치

군사적 성격을 함께 지님, 부족적

전통이 남아 있음.

­고구려: 5(욕살) 󰠏󰠈

­백 제: 5(방령) 󰠐 성주

­신 라: 5(군주) 󰠏󰠎

군사조직은 지방제도와 관련,

국왕이 직접 군사를 지휘함.

 

 

 

남 북 국

(발해와 통일신라)

8C926

왕권의 전제화(신라중대)

­집사부 시중의 권한강화

­국학설치: 유교정치이념 수용

발해: 왕위의 장자상속

독자연호 사용

지방 제도 정비

­신라: 9(도독)󰠏󰠏행정중심

5소경󰠏󰠏지방세력통제

­발해: 51562

 

군사제도 정비

­신라: 9서당(왕권강화,민족융합)

10(지방군)

­발해: 8

 

고 려

9181392

유교 정치 이념 채택

­최승로의 시무28: 중앙집권적

귀족정치, 유교정치이념 채택

­귀족제: 공음전과 음서제

­합좌기구:도병마사도평의사사

(귀족연합체제)

­지배계급변천: 호족문벌귀족

무신권문세족신진사대부

­서경제: 관리임면 동의, 법률개폐동의

지방 행정 제도의 특성

­지방제도의 불완전성(5도양계:이원화

­중앙집권의 취약성(속군,속현)

­중간행정기구의 미숙성

(임기6개월, 장관품계의 모순)

­지방의 향리세력이 강함

속군과 속현: 지방관이 파견안된 곳

으로 향리가 실제 행정을 담당함.

이들 향리가 후에 신진사대부로 성장

­중앙: 26(직업군인)

­지방: 주현군, 주진군(국방담당)

­특수군: 광군, 별무반, 삼별초

­합의기구: 중방

 

 

 

 

 

조선전기

15C16C

왕권과 신권의 균형

(성리학을 바탕으로한 왕도정치)

­의정부: 합의기구, 왕권강화

­6: 행정분담

­3: 왕권견제

­승정원의금부: 왕권강화

15세기: 훈구파가 주도

16세기: 사림파의 성장과 주도

중앙집권과 지방자치의 조화

­8(일원화): ,,,, ,,

­모든 군현에 지방관파견

­향리의 지위 격화

­부곡 소멸:양인수 증가

­유향소경재소 운영: 향촌자치

를 인정하면서도 중앙집권강화

사림은 향약과 서원을 통해 향촌지배

良人皆兵制, 兵農一致制

­중앙: 5

­지방: 영진군

­특수군: 잡색군

­병역: 정군󰠏󰠏번상병

 

 

 

조선후기

17C1876

­임란을 계기로 비변사의 강화

왕권의 약화 (상설기구 전환)

­정쟁의 심화서인의 일당 독재화

.정조의 탕평책과 실패

세도정치의 등장대원군의 개혁

(왕권강화, 농민 안정책)

 

 

­중앙: 5군영(용병제): 임란과 병란으

로 부역제의 해이로 실시

­지방: 속오군(향촌자체방위,모든계층)

­조선초(진관체제)임란(제승방략체제

조선후기(진관체제,속오군편성)

 

근 대

1876년후

근대화 운동: 강화도조약(1876)임오군란(1882)갑신정변(1884)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 청일전쟁(1894)

을미사변, 을미개혁(1895)독립협회(1896)대한제국(1897).

애국 계몽 운동: 을사조약(1905)이후 근대화보다는 국권의 회복, 실력양성을 위해 교육, 민족산업 진흥

근대 국가 수립 운동: 갑신 정변, 갑오 개혁, 독립 협회 활동, 애국 계몽 운동,

반제국주의 운동: 위정 척사 운동, 항일 의병 전쟁, 동학 농민 운동,

갑오개혁(1894)23(지방관의 사법권,군사권 분리)

 

 

舊 石 器

BC.70만년

빙하기: 고기잡이와 사냥, 채집 생활 무리 생활

이동 생활 동굴과 막집 생활 : 뗀석기, 골각기

주먹도끼: 연천군 전곡리 출토 서구 우월주의 비판

中 石 器

BC.21만년

빙하기 해빙기: 해수면 상승, 기온 상승 시작

잔석기를 이용한 이음 도구 제작, 작은 찌르개 제작

新 石 器

BC.6000

농경의 시작 정착 생활 강가나 해안가(물고기잡

이 병행): 움집 생활, 씨족 공동체사회(부족, 평등사회)

빗살무늬 토기, 간석기 사용, 원시 신앙 발달

靑 銅 器

BC.1000

청동기 사용 전반적인 기술의 급격한 발달 부와 권력에 의한 계급 발생 국가 등장: 고조선(선민사상)

비파형 동검과 미송리식 토기(고조선의 강역과 일치)

벼농사의 시작과 농경의 보편화 구릉 지대 생활

 

초기철기

BC.4C

세형 동검, 명도전과 거푸집, 암각화

연맹 왕국이 나타나기 시작함.

배산임수의 취락 구조 정착, 장방형 움집, 지상가옥화

본격철기

BC.2C

철제 농기구의 사용 생산력의 증대, 황무지 개간

철제 무기의 사용 정복 전쟁의 활발

BC194년 위만조선 건국 중국의 발달된 철기 도입

聯盟 王國

BC.21C

여러개의 소국들이 연맹하여 국왕 선출.

정치적 한계: 왕의 권력이 취약

제전행사수확 감사, 부족의 단결과 화합, 갈등 해소

옥저동예: 지리적 한계와 씨족 공동체 전통후진국

 

삼 국

1C676

중앙 집권 국가의 등장: 왕권 강화, 영역 국가

14C : 고대국가의 성립기

47C : 삼국의 항쟁기

삼국의 흥성기: 백제(4C), 고구려(5C), 신라(6C)

백제 멸망(660), 고구려 멸망(668), 당 축출(676)

남 북 국

(발해와 통일신라)

8C926

삼국 통일 : 민족 문화의 동질적 기반 확립

발해 건국(698) 고구려 계승 남북국 시대

신라 중대(7C중엽8C): 왕권 강화, 6두품 등용

- 녹읍 폐지, 화엄종, 9서당10, 95소경, 시중

신라 하대(9935): 왕권 약화, 귀족 득세, 사회동요

- 왕위 쟁탈전, 호족과 선종의 등장, 6두품의 반정부화

사회 통제: 골품제와 민정문서를 통해 확인.

 

 

고려초기

918-1018

왕건의 고려 건국(918) 후삼국 통일(936)

호족 통합책: 회유책과 견제책

민족적, 자주적, 개방적

고려중기

1018-1170

문벌 귀족 사회 발전, 귀족사회의 구조적 모순 심화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1135)

보수적, 폐쇄적, 사대적 금에 굴복, 삼국사기

무신집권

1170-1270

정중부의 무신 정변(1170): 하극상의 사회 동요

신진 사대부의 등장, 조계종의 발달

민족적, 자주적. 신분 해방 운동

몽고간섭

1270-1351

몽고 침략에 항복(1231-1270)

권문세족의 득세

고려말기

1351-1392

공민왕의 즉위(1351)개혁정치: 왕권강화, 반원정치

신진 사대부와 신흥 무인 세력의 연합 위화도 회군

과전법 실시(1391): 신진사대부의 경제적 기반 마련

 

조선전기

1392

1636

조선 건국(1392) : 유교적 중앙 집권 체제 확립

- 왕권과 신권의 조화: 의정부와 6, 서경(여론정치)

- 성리학적 명분질서: 사대주의, 양반지배, 지주전호제

- 양인수와 자영농 증가, 과거제에 따른 능력본위 사회

15세기: 훈구파 - 성리학 이외도 포용, 사장 중심.

중앙집권, 자주적, 단군 중시.

16세기: 사림파 - 성리학만 인정, 경학과 명분 중시,

향촌자치, 사대적, 기자 중시.

서원과 향약: 사림의 정치적 기반, 향촌지배 강화

기호학파: 서인, 이이, 주기론, 경험적 현실세계 중시

영남학파: 남인, 이황, 주리론, 도덕과 명분 중시

과전법 직전법(세조) 관수관급제(성종)녹봉제

지주 전호제 강화(양반의 토지 겸병),농민의 토지 이탈

임진왜란(1592), 병자호란(1636)

조선후기

1636

1876

임란과 병란으로 국토의 황폐화와 통치체제의 동요

- 부역제의 해이 농병 일치제의 붕괴(용병제 등장)

- 양반지배체제 강화: 군적 수포제 실시

농민의 불만 해소와 재정 확보를 위해, 궁극적으로는

양반지배체제의 유지를 위하여 수취체제를 개편

- 영정법(전세): 1결당 4두씩 거둠 지주에게 유리

- 대동법(공납): 1)공납의 전세화, 2)토지 결수로 징수

- 균역법: 1) 21. 2) 선무군관포, 결작

조세의 전세화, 금납화화폐경제, 도시와 시장 발달

수요 증대 상품경제와 상공업, 수공업 발달

근대의 태동: 1) 경제 사회 - 자본주의 맹아 등장,

신분제의 동요. 3) 사상 - 천주교, 동학, 실학

But 정치는 세도정치로 흘러 근대 태동에 장애가 됨.

發展

1876

1910

병인양요(1866), 신미양요(1871) : 척화주전론

강화도 조약(1876): 개항, 불평등 조약

임오 군란(1882): 청의 간섭과 상민 수륙 무역 장정

갑신 정변(1884): 최초 근대국가 수립 운동,텐진조약

동학 농민 운동, 청일 전쟁, 갑오 개혁(1894)

을미사변과 을미개혁, 을미의병(1895)

아관파천, 독립 협회 활동(1896)

대한 제국 수립, (1897): 전제군주제 강화, 舊本新參

러일 전쟁(1904)

을사조약(1905): 애국계몽, 실력양성, 국권회복 운동

고종의 강제퇴위, 군대해산 (1907), 국권 피탈(1910)

위정 척사 운동 : 1) 척화주전론(1860년대)

2) 왜양일체론(1870년대) 3) 연미론 반대(1880년대)

4) 의병활동: 을미(1895), 을사(1905), 정미(1907)

근대 국가 수립 운동: 갑신정변, 갑오개혁, 독립협회,

애국계몽 운동(신민회 활동)

獨立運動期

1910

1945

1910년대: 일제의 무단 통치 시대(헝병경찰제),

토지조사사업(1912-1918): 농민 경작권 상실

- 비밀결사 운동

1919: 31운동상해 임시정부 수립

1920년대: 문화 통치 시대, 산미증식 계획(1920-35)

- 무장 독립 투쟁(봉오동, 청산리 전투:1920)

- 6.10 만세 운동(1926)

- 신간회, 근우회(1927): 민족유일당 운동

-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1930년대: 민족 말살 통치, 병참 기지화 정책

- 만주사변(1931), 중일전쟁(1937),

태평양전쟁(1941-45)

독립 쟁취(1945)

 

 

 

 

연도

주요 사건

조약협정운동

기타 (조직기구학교 등)

1800

세도 정치

 

 

1863

흥선대원군

 

 

 

최초통상요구 () 병인박해 (천주교, ) 병인양요 () 오페르트 도굴 사건 () 신미양요 ()

 

척화비 건립 운요호 사건 ()

1876

강화도 조약 (개항, 일 수호조규)

 

일 통상 장정

 

 

 

1차 수신사 파견 (김기수)

1880

 

 

2차 수신사 파견 (김홍집, 조선책략)

1881

 

 

신사유람단 (), 영선사 ()

 

 

 

영남만인소 (개화정책에 반대)

1882

임오군란

제물포 조약 ()

 

 

 

상민수륙 무역 장정

 

 

 

미 수호 통상조약

 

1883

 

 

원산학사 (최초 근대식 사립학교)

1884

갑신정변

한성 조약 ()

 

 

 

텐진 조약 ()

 

 

 

러 통상조약

 

1885

거문도 점령 ()

 

 

1886

 

 

육영공원 (최초 근대식 관립 학교)

1888

 

러 육로 통상조약

 

1889

방곡령 사건 (황해도, 함경도)

 

 

1892

 

교조 신원 운동

 

1894

동학 농민 운동

 

 

 

일 전쟁

 

 

 

갑오개혁

 

 

1895

삼국간섭 () (친러)

 

 

 

을미사변 (친일)

 

 

 

을미개혁

 

 

 

을미 의병

 

 

 

춘생문 사건

 

 

1896

아관파천 (친러)

 

 

 

독립협회 이권수호운동 (자주자유자강)

 

 

1897

대한제국 (광무개혁)

 

 

1898

관민 공동회 (헌의6)

 

 

1902

 

1차 영일 동맹

 

1904

일 전쟁

한일 의정서

보안회, 농광 회사

 

1차 한일 협약

 

고문 통치

1905

 

가쓰라태프트 밀약 ()

헌정 연구회

 

 

2차 영일 동맹 ()

 

 

 

포츠머스 조약 ()

 

 

을사조약 (2차 한일 협약)

 

외교권 박탈 통감 통치

 

을사 의병

 

한민회 (한인 자치 기구)

1906

 

 

대한 자강회

1907

국채 보상 운동

일 신협약 (정미 7조약)

행정권 박탈 차관 통치

 

 

 

고종황제 퇴위, 군대 해산

 

정미 의병 (의병의 전쟁화)

 

대한 협회, 신민회

1908

 

서울 진공 작전

 

 

 

국내 진공 작전 (이범윤, 홍범도)

 

1909

 

간도 협약 ()

 

 

 

기유 각서

사법권 박탈

1910

국권 강탈

 

경찰권 박탈 총독 정치

 

무단 통치 (헌병 경찰 통치)

 

 

 

토지 조사 사업

 

13도 의군 (한말의 대표적 의병 통합체)

 

 

 

성명회, 대한인 국민회 조직

 

 

 

 

 

 

 

 

 

 

 

 

 

 

 

 

 

 

 

 

 

 

 

 

 

 

 

 

 

 

 

 

연도

주요 사건

조약협정운동

기타 (조직기구학교 등)

1911

 

 

권업회

1912

 

 

독립 의군부

1913

 

 

흥사단 (안창호)

1914

 

 

대한 광복군 정부

1915

 

 

대한 광복회

 

 

 

신한 혁명당

1919

28 독립 선언

 

의열단 (길림, 김원용)

 

31 운동

 

신한 청년당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대한 국민의회, 구미 위원부 (이승만)

 

문화 통치 (보통 경찰 통치)

 

 

1920

산미증식 계획

봉오동 전투

보합단

 

 

청산리 전투

 

 

간도 참변 (경신참변)

 

 

1921

자유시 참변

 

조선어 연구회

1922

물산장려 운동

 

 

1923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1924

 

 

조선 청년 총동맹

1925

미쓰야 협정

 

조선사 편수회 (조선사 편찬)

1926

610 만세 운동

 

애국단 (상하이, 김구)

1927

 

 

신간회

1929

광주 학생 항일 운동

 

원산 노동자 총파업

1930

 

 

청구 학회 진단 학회

1931

만주사변

 

조선어 학회

 

병참기지화 정책

 

 

1932

 

 

이봉창 의거, 윤봉길 의거

1937

일 전쟁

 

 

 

민족말살 정책

 

 

1940

 

 

한국 광복군

 

 

 

한국 독립당

1941

 

조소앙의 삼균주의 채택

 

1942

 

 

조선 독립 동맹 (사회주의 계열)

43.11

카이로 회담 ()

 

 

44. 8

 

 

조선 건국 동맹 (여운형)

45. 2

얄타 회담 ()

 

소 군정의 실시

45. 7

포츠담 선언 (카이로 선언 재확인)

 

 

45. 8

광복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 (여운형)

45. 9

조선 인민 공화국 결성 (박헌영)

 

미군정 통치

45.12

모스크바 3상 회의 ()

 

 

46. 2

민주주의 민족 전선

 

 

46. 3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

 

북한 토지개혁법 (무상몰수, 무상분배)

 

1차 미소 공동 위원회

 

북한 남녀평등법 제정

46. 5

조선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

 

 

46. 6

이승만의 정읍발언

 

 

46. 7

 

 

좌우합작 위원회 (김규식, 여운형)

46.12

과도 정부 발족

 

 

47. 2

 

 

여운형 암살

47. 5

2차 미소 공동 위원회

 

 

48. 1

UN 한국 임시 위원단 파견

 

 

48. 2

UN 소총회

 

 

 

 

 

 

 

 

 

 

 

 

 

 

 

 

 

 

 

 

 

 

 

 

 

 

 

 

 

 

 

 

 

 

연도

주요 사건

조약협정운동

기타 (조직기구학교 등)

48. 4

남북 협상 추진 (김구, 김규식)

 

 

 

제주도 43 사건

 

 

48. 5

510 총선거

 

 

 

제헌 국회 소집

 

 

48. 7

헌법 제정

 

 

48. 8

대한민국 정부 수립 (최초 민주공화제 수립)

<1공화국>

자유당

48. 9

반민족 행위 처벌법

 

 

 

조선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수립

 

 

48.10

여수순천 1019 사건

 

 

48.12

UN 총회 승인

 

 

49. 6

 

 

농지개혁법 제정 (유상매입, 유상분배)

 

 

 

김구 암살

50. 6

625 전쟁 (한국 전쟁)

 

 

52. 5

발췌 개헌

대통령 직선제로 바꿈

 

53. 7

휴전 협정

 

 

53.10

미 상호 방위 조약

 

 

54

제네바 회담

 

 

54.11

사사오입 개헌

 

초대 대통령의 중임 제한 철폐

56

 

 

우리말 큰 사전 완간

58

진보당 사건

 

 

60. 3

315 부정 선거

 

못 살겠다 갈아보자’ (민주당)

60. 4

419 혁명

 

 

60. 7

장면 내각

<2공화국>

민주당 (3차 개헌)

 

 

내각책임제양원제

 

61

남북학생회담 추진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

61. 5

516 군사정변

 

 

62

 

 

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실시

63

 

<3공화국>

민주공화당

 

 

대통령 직선제

 

64

한일국교 정상화에 대한 학생시위(63시위)

 

 

65

한일협정 체결, 베트남 파병

 

 

66

미 행정 협정 체결 (SOFA)

 

 

69

3선 개헌

 

 

70

815 선언, 새마을 운동 시작

 

 

71

남북 적십자 회담 제의

 

 

72. 7

74 남북 공동 성명

 

자주평화민족적 대단결

72.10

10월 유신체제 (긴급조치 9)

<4공화국>

공화당

 

 

대통령 간선제

 

73

623 공동 선언

 

남북한 UN 동시 가입 제의

74

남북한 상호 불가침 협정 체결 제안

 

3대 평화 통일원칙

79.10

1026 시테

 

 

79.12

1212 사태

 

 

80

518 광주 민주화 운동

 

 

 

고려 민주 연방 공화국 통일 방안

 

1민족 1국가 2체제 2정부

81

 

<5공화국>

()(), 국가보위비상대책 위원회

 

 

대통령 간선제

7년 단임제 (8차 개헌)

83

KAL기 피격 참사, 아웅산 사건

 

 

85

남북 이산가족 고향 방문

 

 

87. 4

413 호헌 조치 발표

 

 

 

 

 

 

 

 

 

 

 

 

 

 

 

 

 

 

 

 

 

 

 

 

 

 

 

 

 

 

 

 

 

 

연도

주요 사건

조약협정운동

기타 (조직기구학교 등)

87. 6

6월 항쟁, 629 민주화 선언

 

 

88

77 선언

<6공화국>

민정당

 

 

대통령 직선제

5년 단임제

 

 

 

지방자치제 부분적 실시

89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 제시

 

자주평화민주

 

동구권 국가와 수교 (헝가리, 폴란드)

 

 

90

소련과 국교 수립

 

 

91

남북한 UN 동시 가입

 

 

 

남북 기본 합의서

 

 

92

중국과 국교 수립

 

 

93

3단계 3기조 통일 정책

<6공화국>

 

 

금융실명제

 

 

94

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

 

1민족 1국가 1체제 1정부

95

WTO 체제 출범

 

지방자치제 재개 (전면적 실시)

96

OECD 가입

 

 

00

615 남북 공동 선언

 

 

 

 

 

 

 

 

 

 

 

 

 

 

 

 

 

 

 

 

 

 

 

 

 

 

 

 

 

 

 

 

 

 

 

 

 

 

 

 

 

 

 

 

 

 

 

 

 

 

 

 

 

 

 

 

 

 

 

 

 

 

 

 

 

 

 

 

 

 

 

 

 

 

 

 

 

 

 

 

 

 

 

 

 

 

 

석 기 시 대

청동기 시대(B.C10)

철기시대(B.C2)

중앙집권국가(기원 전후)

 

구석기(70만년-B.C6000)

신석기 시대(B.C6000)

단군조선

위만조선(B.C194)

연맹왕국(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

고구려, 백제, 신라

 

 

 

 

 

 

 

유물

유적

골각기(뼈도구)

빙하기, 간빙기 교차로 해수면 변화

 

 

뗀석기

(주먹도끼, 찍개, 찌르개)

-이른민무늬토기(서해안)

-덧무늬토기(동해안)

-빗살무늬토기(남해안)

 

간석기

-미송리식토기(고조선 영역과 일치)

-민무늬토기

 

 

간석기(반달돌칼)

청동기(북방 시베리아 계통)

-비파형동검(고조선의 영역과 일치)

-거친무늬거울

 

고인돌, 돌무지 덧널무덤

- 간토기

- 덧띠토기

 

 

철제농기구

청동기(의기화)

-세형동검(한국형)

-잔무늬거울(한국형)

 

철기전래(철제무기활벌한 정복활동, 철제농기구생산력 획기적 증가)

거푸집(한국형) 명도전(중국과 교역) (한자의 전래)

 

고대중앙집권국가의 특징

1. 왕권강화

지방부족장 통합

부족장의 중앙귀족화

왕위세습(형제부자)

2. 중앙집권체제의 정비

신분제도 율령제도

정치제도 불교수용(사상통일)

3. 영역국가

정복활동으로 영토확장

경제

채집

사냥

어로

사냥, 고기잡이 계속

농경, 목축 시작

직조문화(뼈바늘, 가락바퀴)

농경발달(보리, , 벼농사 시작)

철제농기구 사용으로 농업급진전

주거

동굴, 막집

움집(원형, 방형-난방을 위한 반지하)

해안, 강가 거주

장방형 움집(지상가옥화, 4-8명 거주, 부부중심)

취락(배산임수형)

 

 

사회

무리이동생활

부족사회(씨족단위)

족외혼

평등사회

사유재산, 계급발생

군장국가(고조선)출현

가부장적 사회(남자중심)

사유재산, 계급분화 심화

 

신앙

 

원시신앙(토테미즘,애니미즘,샤머니즘)

선민사상(단군신화)

 

불교의 수용

예술

동굴벽화(풍요와 다산기원)

조개껍데기 가면

청동제품 장식 무늬

바위그림(울주,고령)

 

기타

 

 

 

 

 

 

 

 

 

 

선사시대에서 중앙집권국가의 형성기까지

 

부여

고구려

옥 저

동 예

삼 한

초기국가들의 지도

특산물

,주옥,모피

맥궁

5, 소금,

어믈

해산물, 단궁

과하마, 반어피

,

제천행사

영고(12)

동맹(10)

 

무천(10)

수릿날(5), 계절제(10)

장 례

순장

 

골장제

 

독무덤 유행

결혼풍습

형사취수제

데릴사위제

민며느리제

 

 

기타

점복

112

반농반목

약탈경제

(부경)

 

책화

천군,소도(제정의 분리)

,낙랑에 철수출(변한)

저수지 축조(벼농사)

군장국가단계에 머뭄

고구려에 복속

 

석 기 시 대

청동기 시대(B.C10)

철기시대(B.C2)

중앙집권국가(기원 전후)

 

구석기(70만년-B.C6000)

신석기 시대(B.C6000)

단군조선

위만조선(B.C194)

연맹왕국(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

고구려, 백제, 신라

 

 

 

 

 

 

 

유물

유적

골각기(뼈도구)

빙하기, 간빙기 교차로 해수면 변화

 

 

뗀석기

(주먹도끼, 찍개, 찌르개)

-이른민무늬토기(서해안)

-덧무늬토기(동해안)

-빗살무늬토기(남해안)

 

간석기

-미송리식토기(고조선 영역과 일치)

-민무늬토기

 

 

간석기(반달돌칼)

청동기(북방 시베리아 계통)

-비파형동검(고조선의 영역과 일치)

-거친무늬거울

 

고인돌, 돌무지 덧널무덤

- 간토기

- 덧띠토기

 

 

철제농기구

청동기(의기화)

-세형동검(한국형)

-잔무늬거울(한국형)

 

철기전래(철제무기활벌한 정복활동, 철제농기구생산력 획기적 증가)

거푸집(한국형) 명도전(중국과 교역) (한자의 전래)

 

고대중앙집권국가의 특징

1. 왕권강화

지방부족장 통합

부족장의 중앙귀족화

왕위세습(형제부자)

2. 중앙집권체제의 정비

신분제도 율령제도

정치제도 불교수용(사상통일)

3. 영역국가

정복활동으로 영토확장

경제

채집

사냥

어로

사냥, 고기잡이 계속

농경, 목축 시작

직조문화(뼈바늘, 가락바퀴)

농경발달(보리, , 벼농사 시작)

철제농기구 사용으로 농업급진전

주거

동굴, 막집

움집(원형, 방형-난방을 위한 반지하)

해안, 강가 거주

장방형 움집(지상가옥화, 4-8명 거주, 부부중심)

취락(배산임수형)

 

 

사회

무리이동생활

부족사회(씨족단위)

족외혼

평등사회

사유재산, 계급발생

군장국가(고조선)출현

가부장적 사회(남자중심)

사유재산, 계급분화 심화

 

신앙

 

원시신앙(토테미즘,애니미즘,샤머니즘)

선민사상(단군신화)

 

불교의 수용

예술

동굴벽화(풍요와 다산기원)

조개껍데기 가면

청동제품 장식 무늬

바위그림(울주,고령)

 

기타

 

 

 

 

 

 

 

 

 

 

선사시대에서 중앙집권국가의 형성기까지

 

부여

고구려

옥 저

동 예

삼 한

초기국가들의 지도

특산물

,주옥,모피

맥궁

5, 소금,

어믈

해산물, 단궁

과하마, 반어피

,

제천행사

영고(12)

동맹(10)

 

무천(10)

수릿날(5), 계절제(10)

장 례

순장

 

골장제

 

독무덤 유행

결혼풍습

형사취수제

데릴사위제

민며느리제

 

 

기타

점복

112

반농반목

약탈경제

(부경)

 

책화

천군,소도(제정의 분리)

,낙랑에 철수출(변한)

저수지 축조(벼농사)

군장국가단계에 머뭄

고구려에 복속

 

1-2

3

4

5

6

7

8

9

삼국의 정립기

백제의 전성기

고구려의 전성기

신라의 팽창기백제의 중흥기

삼국 통일기

전제왕권의 강화기

( 통일신라의 전성기 )

신라하대의 혼란기

발해의 융성기

사 건

진대법실시()194

 

낙랑멸망()313 불교전래태학설치()372

불교전래()384

427 평양천도()

433 제동맹 성립

율령반포()520 527 불교공인()

사비천도()538 552일본에 불교전파()

도교전래()624 660백제멸망

고구려 멸망 668 676 삼국통일

발해건국698

정전지급722 독서삼품과 설치 788

불국사석굴암 세움751

 

김헌창의 난822 828청해진 설치

태조왕(53-146)

옥저복속

계루부 고씨 왕위세습

 

고국천왕(176-197)

부자상속

5부제

동천왕(227-331)

오와 교류

서안평 공격

)미천왕(300-331)

서안평 점령

낙랑축출

 

)소수림왕(371-384)

불교수용

율령반포

태학설립

 

)광개토왕(391-413)

요동정벌

신라 침입한 왜구격파

장수왕(413-491)

남하정책

평양천도(한강상류진출)

중원고구려비 건립

 

문자명왕(491-519)

부여복속

 

 

살수대첩(612) 안시성싸움(645)

 

대조영(698-719)

발해건국(698)

국호 : 발해

 

)무왕(719-737)

당과 적대

산둥지방 공격

 

)문왕(737-793)

당과 친교(중국문화 수용)

상경천도

선왕(818-830)

연해주까지 영토확장

지방행정 조직 정비

해동성국 칭호

 

 

 

고이왕(234-286)

6좌평, 16관등

한강유역통합

관리복색 지정

율령반포

근초고왕(346-375)

마한정복

요서, 산둥, 왜진출

고구려 공격

문주왕(356-402)

웅진천도

성왕(523-554)

사비천도(중흥시도)

관제정비(22, 5, 5)

일본에 불교전파

나제동맹 결렬

백제멸망(660)

 

 

 

 

 

 

 

신문왕(681-692)

전제왕권의 강화

관제정비(14개 관청)

9서당 10

국학설치

녹읍폐지관료전지급

 

원성왕(785-798)

독서삼품과(788)

 

선덕왕(780-785)

내물왕계 즉위(하대시작)

 

화엄종(교종)의 융성(의상전제 왕권 강화에 기여)

정토종의 유행 (원효불교의 대중화 및 통합(화쟁사상) 기여)

장보고

청해진 설치(828)

 

풍수지리사상 및 선종은 통일전후에 유입되어 9세기 호족6두품과 연결됨

호족의 성장

선종의 융성(9)

 

 

 

내물왕(356-402)

김씨 세습

마립간 칭호

낙동강 진출

왜구격퇴(고구려의 도움)

)지증왕(500-514)

우경

국호 신라’, ‘칭호사용

 

)법흥왕(514-540)

율령반포(17관등)

불교공인

금관가야 병합

병부, 상대등(왕권강화)

독자적 연호(건원)

 

)진흥왕(540-576)

화랑도 공인

한강유역 독점

대가야 병합

당과 통교

대당전쟁

매소성,기벌포 전투

삼국통일(676)

 

무열왕(654-661)

진골왕위즉위

중대시작

유물

 

유적

 

 

칠지도(백제의 일본진출)

호우명 그릇

광개토대왕비()

중원고구려비()

무령왕릉(백제, 벽돌무덤)

단양적성비

울진봉평비

진흥왕 순수비

정림사지5층석탑()

미륵사지석탑()

분황사모전석탑()

사택지적비(백제,노장사상)

임신서기석()

불국사(석가탑다보탑)

석굴암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상원사종 성덕대왕신종

민정문서작성

부도유행

철불제조

사산비명(최치원)

기타

 

 

 

 

 

 

 

 

고 려 시 대

918(고려건국) 1018(귀주대첩) 1170 (무신정변) 1270 (개경환도) 조선건국(1392)

 

10

11

12

13

14

고려초기

고려중기

무신집권기대몽항쟁기

원간섭기

고려말기

사 회

진취적개방적시대

보수적폐쇄적인 시대

하극상의 혼란기

문화적 침체기

보수개혁 갈등기

연 표

고려건국(918) 발해멸망(926) 노비안검법(956) 전시과 실시(976)

후삼국 통일(936)∙ ∙과거제 실시(958)강동6주개척(서희, 993)

귀주대첩(강감찬, 1019) 여진정벌(윤관, 1107)무신정변(1170)

이자겸의 난(1126)∙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1135)

망이망소이의 난(천민의 난,1176)김사미효심의 난(농민의 난,1193)

만적의 난(1198) 몽고침략(1231)∙ ∙팔만대장경 간행(1236-51)

삼별초의 항전(1270)

내정간섭 정동행성, 순마소 설치

 

영토상실 쌍성총관부, 동녕부, 탐라총관부 설치

홍건적침입(1359-61)

위화도회군(1388)∙∙과전법실시(1391)

지배세력

호 족

문벌귀족(음서제, 공음전의 특권)

무신(사대부 등장)

권문세족

신진사대부

신흥무인세력

외 교

북진정책(친송정책거란배격)

거란과 친선, 금의 사대압력에 굴복

대몽항쟁

자주성 상실

홍건적왜구침입

북진정책(공민왕)

인 물

왕건(918-943)

민생안정책

호족융합정책(사심관,기인제도)

북진정책(서경중시)

 

광종(949-975)

왕권강화(노비안검법, 과거제 실시)

칭제건원

 

성종(981-997)

유교정치사상 채택(최승로의 시무 28)

지방관 파견, 국자감 설치

통치기구 정비(36), 도병마사 설치

 

이자겸의 난(1126)

외척의 왕권장악 기도

문벌귀족사회의 붕괴 계기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1135)

사대적 유교사상과 자주적 전통사상의 대립

칭제건원(자주성 표현)

서경천도 주장(풍수지리와 연결)

조선역사 일천년래 제1대사건(신채호의 평가)

 

 

 

 

 

 

 

 

 

 

 

 

 

유 물

철불 및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초조대장경 간행

월정사 89층석탑(송의 영향)

속장경 간행(1086)

고려청자의 전성기(문벌귀족의 취향에 맞음)

팔만대장경의 간행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

경천사10층석탑(원의 영향)

조선 원각사 10층석탑에 영향

 

 

 

 

종 파

국가의 보호와 장려

태조-연등회, 팔관회 장려

통일 신라말 이후의 선종 유행

의천의 해동천태종(교종)

교종(화엄종) 입장에서 선종 통합 운동 전개(원효의 화쟁사상을 모범으로 함)

교관겸수(敎觀兼修)-교와 선의 겸수(이론과 실천 강조)

지눌의 조계종(선종)

선종의 입장에서 교종통합 시도(무신정권의 후원)

정혜쌍수(定慧雙修), 돈오점수(頓悟漸修)

결사운동전개수선사(修禪社)

불교타락, 세속화

불교혁신운동 좌절

 

정도전의 배불론

(불교비판)

승 려

의통제관(중국 천태종 부흥에 공헌)

의천

지눌

혜심(불 일치설, 성리학 수용의 터전 마련)

지공, 보우

 

대장경

초조대장경

속장경

팔만대장경

 

 

 

학 풍

자주적주체적

보수적사대적

문벌귀족 몰락으로 위축

성리학 전래

성리학의 실천적,사회개혁기능 강조

학 자

최승로, 김심언

최충, 김부식

 

안향, 이제현

정몽주,정도전

한 문 학

독자적 성격

송문학에 심취(사대적 경향)

세련되고 자유로운 문체(이규보. 이인로)

 

 

역 사 서

7대 실록

삼국사기(김부식, 1145)

동명왕편(이규보)

삼국유사(일연), 제왕운기(이승휴)

사략(이제현)

역 사 관

자주적 사관(고구려 계승의식)

사대적 유교사관(신라계승의식)

자주적 사관(고구려 계승의식)

자주적 사관(고조선 계승의식)

성리학적 사관

교육기관

국자감(관학)

12공도(사학융성)

 

 

 

 

종 파

국가의 보호와 장려

태조-연등회, 팔관회 장려

통일 신라말 이후의 선종 유행

의천의 해동천태종(교종)

교종(화엄종) 입장에서 선종 통합 운동 전개(원효의 화쟁사상을 모범으로 함)

교관겸수(敎觀兼修)-교와 선의 겸수(이론과 실천 강조)

지눌의 조계종(선종)

선종의 입장에서 교종통합 시도(무신정권의 후원)

정혜쌍수(定慧雙修), 돈오점수(頓悟漸修)

결사운동전개수선사(修禪社)

불교타락, 세속화

불교혁신운동 좌절

 

정도전의 배불론

(불교비판)

승 려

의통제관(중국 천태종 부흥에 공헌)

의천

지눌

혜심(불 일치설, 성리학 수용의 터전 마련)

지공, 보우

 

대장경

초조대장경

속장경

팔만대장경

 

 

 

학 풍

자주적주체적

보수적사대적

문벌귀족 몰락으로 위축

성리학 전래

성리학의 실천적,사회개혁기능 강조

학 자

최승로, 김심언

최충, 김부식

 

안향, 이제현

정몽주,정도전

한 문 학

독자적 성격

송문학에 심취(사대적 경향)

세련되고 자유로운 문체(이규보. 이인로)

 

 

역 사 서

7대 실록

삼국사기(김부식, 1145)

동명왕편(이규보)

삼국유사(일연), 제왕운기(이승휴)

사략(이제현)

역 사 관

자주적 사관(고구려 계승의식)

사대적 유교사관(신라계승의식)

자주적 사관(고구려 계승의식)

자주적 사관(고조선 계승의식)

성리학적 사관

교육기관

국자감(관학)

12공도(사학융성)

 

 

 

 

15

16

17

18

19

민족문화의 창달기(왕권강화기)

사림의 등장 및 집권

붕당기

탕평기, 실학기

세도정치

흥선대원군집권기

개항

연 표

호패법실시한글창제(1433)46진개척(1443-47)

직전법실시(1466)경국대전완성(1469)

백운동서원(1543)

비변사설치(1554) 임진왜란(1592)

대동법실시(1608) 병자호란(1636) 상평통보주조(1678)

인조반정(1623)

대동법 전국실시(1708) 탕평책 실시(1725)규장각 설치(1776)

백두산 정계비 건립(1712) 균역법 실시(1750)

 

홍경래의 난(1811) 동학창시(1860)

대동여지도(1861)∙∙ 진주민란(1862)

 

경복궁중건(1865)

병인양요(1866)

신미양요(1871)

 

정치면

집권

세력

강경파(관학파) 훈구파

 

온건파(사학파) 사림파

훈구파 동인

(사화) (당쟁)

사림파 서인

남인(현종,숙종때 집권)

북인(광해군) 소론

서인(인조,효종) 노론

남인시파 (정조. 실학주도)

 

노론벽파 (영조)

신유박해로 몰락

 

노론외척의 일당독재

 

 

정치

사상

관학파 성리학 (사장)

사학파 성리학 (경학)

도교 (소격서, 초제거행)

 

 

주기파 (이이. 기호학파)

주리파 (이황, 영남학파)

사림이 배척함

양명학

 

실학에 영향

이일원론

일부 재야인(동인북인)이 신봉함

강화학파 (정제두)

천주교 전래후 학문으로 연구(남인) 신앙운동

개화사상에 영향

위정척사에 영향

동학에 영향

국학자에 영향

천주교 탄압

 

 

정치

의식

민본주의 정치(민생안정)

민족의식 왕성(주체의식)

부국강병 추구(영토개척)

양반문벌정치(민생피폐)

맹목적 존화주의(사대주의)

국력약화(여진왜 침입)

대동법영정법

북벌 운동 전개

5군영속오군

민본주의부활

민족의식소생

부국강병모색

민생피폐(3정문란)

존화주의적경향

문약,국방력약화

 

 

제도면

관제

의정부 (서정 합의기관)

6 (집행기관)

의정부 (서정권)

비변사 (군권,임시기구)

의정부 (기능약화)

비변사 (군권+서정,상설기구화)

비변사 기능의 약화(영조)

서정-의정부

비변사의 폐지(대원군)

군사-삼군부

 

토지

제도

과전법(15) 직전법(15후반) 관수관급제(15말엽) 직전법폐지(16중엽)

토지국유제 농장의 등장 농장의 확대 소작농이 70%에 달함(실학자의 자영농 육성책 주장)

(자영농육성) (소작농 등장) (소작농 증가)

 

 

 

조세

제도

(전세) 과전법 전분6등법(토지의 비옥도 기준)

(1/10) 연분9등법(풍흉기준)

영정법 (결당 4두로 고정)

 

균역법 (군포 21)

대동법 (공납의 전세화, 지주부담 증가)

3정의 문란

(전정,군정,환곡)

 

 

(군역) 양인개병제(병농일치)

(공납) 지방특산물(호세)

방군수포제(군포2)

방납의 폐단

군사

제도

(군역) 양인개병제(병농일치)

(군제) 5위제(중앙), 진군(지방)

(방어) 진관체제(군현단위)

대립제(군포징수)

5위제, 진군 붕괴

제승방략체제(도단위)

장번급료병제(모병제)

5군영(중앙)속오군(지방)

진관체제로 복귀

17C : 당인(서인남인)이 병권을 장악

18C : 영조-병권을 왕에게 귀속시켜 왕권강화

정조-장용영을 설치하여 왕권강화

 

 

 

문화면

문학

관료문인의 활동

민족문화의 발달(동문선)

재야인,중인,부녀자

시조가사의 발달

애국적 작품(임진록)

사회비판작품(홍길동전)

서민문학의 등장

(한글소설과 사설시조)

서민문학의 전성기

(판소리가곡산대놀이)

 

 

회화

인물과 산수를 씩씩하고 낭만적으로 묘사(진취적인 시대분위기 반영)

안 견 - 몽유도원도

강희안 - 고사관수도

서정적인 아름다음과 개성있는 화풍

초상화의 유행 4군자 유행

신사임당(섬세,정교)어몽룡(매화)

이암(동물) 황집중(포도)

실학적 화풍

진경산수화(정선-인왕제색도, 금강전도)

풍속화 : 김홍도(서민적), 신윤복(도회적))

민화의 유행(서민중심) 서양화풍(강세황, 김수철)

실학적 화풍의 소멸

복고적 문인화풍

김정희 : 세한도

장승업

 

 

건축

건물규모 제한 성곽,성문,궁궐,학교

서원건축이 중심(도산서원 등)

사원건축이 중심(법주사의 팔상전)

수원성 축조(정약용 거중기 사용)

 

경복궁 중건

 

 

 

 

 

이앙법 도조법 상품작물재배

견종법 (정액지대)

광 작 지주권약화

 

 

 

 

 

훈 구 파(15세기)

사 림 파(16세기 이후)

학 문

사장중심(강경파,관학파)

경학중심(온건파,사학파)

사 상

성리학 외에도 포용

성리학 외에는 배격

성 향

부국강병추구

의리,도덕숭상

정치체제

중앙집권추구(왕권중시)

지방분권주장(신권중시)

민족의식

자주적

존화주의적

역 사 관

단군중시

기자중시

정치사상

패도정치인정

왕도정치추구

시 기

15세기 민족문화의 주역

16세기 이후 사상계 지배

시기

일의 각축기(1876-1894)

일의각축기(1895-1904)

일본의 독점기(1905-1910)

연표

강화도 조약1876 임오군란1882 미국과 수교1882원산학사설립1883갑신정변1884거문도 사건1885

위정척사운동(1866-1884) 방곡령 실시1889 동학농민운동, 청일전쟁1894

삼국간섭1895을미사변,을미의병1895 아관파천1896독립협회(1896-8)대한제국(1897-1910)

한일의정서1904 러일전쟁(1904-5) 황무지개간권 요구1904

카스라테프트 밀약1905을사조약1905 국채보상운동1907신민회 창설1907

고종퇴위, 군대해산, 정미의병, 정미7조약1907

안중근 의거1909간도협약1909한일합방1910

지배층

개화파

북학파 실학사상의 계승, 동도서기 사상(청의 양무운동 일의 문명개화론 영향)

일본에 수신사, 청에 영선사 파견(박문국, 기기창의 설립)

통리기무아문(행정), 별기군(신식군대)

 

 

독립협회(1896-98)

아관파천후 성립, 애국계몽운동의 전개

국권민권운동의 전개 : 만민공동회의 개최, 헌의6조 결의(입헌군주제 지향)

독립협회의 사상 : 자주국권사상(열강의 이권침탈 저지), 자유민권 사상(민주주의 이념, 의회 민주주의 추구), 자강개혁사상(자주적 근대화 운동, 자본주의)

애국계몽운동

성격 : 국권회복 위한 실력 양성 운동(교육운동학교설립

언론활동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단체 : 보안회, 헌정연구회대한자강회대한협회, 신민회

의의 : 독립운동의 이념전략 제시 및 독립운동 기반마련(국내실력양성, 국외독립기지 건설 및 군사력 양성)

위정척사파(1866-1884)

정학인 성리학을 수호(衛正)하고 이단을 배척(斥邪)

반침략반외세의 자주운동

한계 : 양반중심의 봉건체제 유지가 목적(보수적 유생충 주도)

 

항일의병운동 해외 항일 무장 투쟁

피지배층

동학농민운동(1894)

배경 : 일본의 경제적 침략, 국가 재정의 궁핍, 열강의 대립(, (거문도사건))

전개 : 교조신원운동고부민란기전주점령 폐정개혁안 실천기(집강소)우금치의 패배

성격 : 반봉건(갑오개혁에 영향), 반침략(항일의병투쟁에 영향)

 

 

 

 

 

 

 

 

대한제국(1897-1910)

배경 : 국민적 자각과 국제여론(러시아의 독주 견제)에 힘입어

자주국가임을 내외에 선포

성립 : 국호(대한제국), 연호(광무)사용

광무개혁(구본신참, 복고주의적 성격)

- 정치 : 전제왕권의 강화(독립협회 탄압)

- 경제 : 양전사업(지계의 발급근대적 토지 소유권)

- 교육 : 실업교육 강조

 

 

국권 피탈 과정

일의정서 체결(1904) 군사적 요지 점령

1차 한일협약(1904) 외교와 재무분야에 고문배치(고문정치)

을사조약(1905) 외교권 박탈, 통감부 설치

일 신협약(1907) 고종퇴위, 군대해산, 차관정치 실시

기유각서(1909) 사법권, 경찰권 박탈

일합방(1910) 국권피탈

 

 

 

 

 

 

개항에서 합방까지

 

을 미 의 병(1895)

을 사 의 병(1905)

정 미 의 병(1907)

원 인

을미사변, 단발령

을사조약

고종퇴위, 군대해산

과 정

단발령 철회

고종권고로 해산

상소운동, 자결, 언론활동

태인, 영해등지 활약

서울진공 작전, 간도연해주의 이병활동

남한대토벌작전으로 위축간도의 독립군으로 재편

의병장

유생과 농민, 동학 잔여세력

민종식, 최익현(유생), 신돌석(평민)

이인영, 허위(국내), 홍범도(국외)

한계 : 양반유생층 주도로 결속력 약화, 외교권 상실로 국제적 고립 의의:국권회복을 위한 무장 투쟁(항일 무장 독립투쟁으로 계승)

구분

무 단 통 치(1910-1919)

문 화 통 치(1919-1931)

민 족 말 살 기(1931-1945)

병참기지화(1931-1941)

민족말살(1941-1945)

연표

105인 사건(1911)토지조사사업(1912-1918)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1919) 봉오동,청산리전투(1920) 6.10만세운동(1926) 신간회결성(1927)광주학생항일운동(1929)만주사변(1931)

간도참변(1920)∙∙자유시참변(1921)

윤봉길 의거(1932) 중일전쟁(1937) 태평양전쟁(1941)

 

일제의 식민통치

정치

무관총독제

헌병경찰제

언론, 집회 탄압

105인 사건

문관총독 임명가능

보통경찰제

민족계 신문(동아, 조선일보)발행 허가

 

대륙침략의 기지화 정책

경제공황타개를 위한 본국과 식민지 경제 블럭 추진

민족운동의 억압

민족말살정책

내선일체, 황국신민서사

신사참배, 창씨개명

 

경제

토지조사사업(1912-1918)

-기한부 신고제소작농으로 전락

민족자본 억압

-회사령(허가제)

산미증식계힉(1920-1930)

-식량공급지화 (증산량<수탈량)

경공업화 정책

회사령(신고제)

남면북양(공업원료증산정책)

대륙침략 위한 병참기지화 정책

중화학군수공업 육성

 

인적, 물적 수탈

징병, 징용, 정신대

전쟁물자의 징발(공출)

 

민족의

 

항일운동

국내

항일결사의 조직

1. 신민회(1907-1911)

-비밀결사로 조직(안창호 주도)

-국권회복과 공화정체의 정부수립 목표

-민족교육 실시(오산대성학교 설립)

-민족산업 육성(자기회사, 태극서관 설립)

-해외 독립군 기지건설(간도의 삼원보)에 앞섬

-105인 사건으로 와해

2. 독립의군부(고종의 밀명으로 임병찬이 조직), 광복회

 

 

무장항일투쟁

1. 보합단, 천마산대, 구월산대

2. 의열단(김원봉) 애국단(김구)소속 애국지사 의거김상옥, 나석주, 이봉창, 윤봉길

경제적 저항운동(민족실력양성운동)

1. 민족기업의 성장 - 지주출신기업(경성방직주식회사)

- 서민출신기업(평양 메리야쓰 공장), 민족계 은행(삼남은행)

2. 물산장려운동(1923. 조만식 중심) : 일본상품배격, 국산품 애용운동

3. 소작쟁의 : 생존권투쟁(초기)항일민족운동의 성격(1930년대이후)

4. 노동쟁의(1930년대 절정)반제반일 투쟁적 성격

항일독립운동

31운동(1919) 610만세운동(1926) 광주학생항일운동(1929)

사회적 저항운동

1. 1920년대 초 사회주의 사상 유입사회운동 활발 전개 독립운동에 갈등과 차질민족유일당 운동 신간회, 근우회 결성

2. 신간회(1927, 이상재 중심, 민족주의 계열 + 사회주의 계열)

민족의 단결과 정치적경제적 각성의 촉구, 기회주의자의 배격

3. 청년 운동 : 민족주의+사회주의=조선청년총동맹

4. 소년운동 : 방정환, 조철호, 천도교 중심(어린이 날 제정)

5. 문맹 퇴치 운동 : 브나드로 운동, 야학, 언론활동, 미신타파, 구습타파 등

기타

교육 : 민립 대학 설립 운동

광복군의 활동

-1940년 임시정부의 정규군으로 편성 - 대독대일 선전포고

-국내진입 작전 국내 정진군 편성 일본의 항복으로 무산

 

 

 

 

일제의 민족사 왜곡

1. 식민통치의 합리화를 위해 고대사 왜곡(임나일본부설, 일선동조론), 단군조선 부정

2. 한국사의 정체성, 타율성 강조

3. 조선사 편수회, 청구학회(역사 왜곡 단체)

 

국학의 연구

1. 한글진흥운동 : 조선어 학회-한글 맞춤법 통일안, 표준어제정

2 민족주의 사학 : 고대사 연구, 한국사의 주체적 발전 강조

 

 

 

 

 

 

 

3. 진단학회(1934) : 청구학회의 역사왜곡에 반발, 실증사학

 

1. 무장항전준비(독림운동기지 건설)

-신민회가 앞장섬

-간 도 : 삼원보 -밀산부 : 한흥동

-연해주 : 대한광복군정부(1914)

2. 외교활동

-중국 : 신한청년단(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 파견)

-미주 : 이승만, 안창호

31 운동

-거족적인 민족 운동

-독립운동의 분수령(무장투쟁으로 변화)

-식민지배체제의 변화(무단통치문화통치)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계기 마련

-약소국 독립운동에 영향(중국(54 운동), 인도(무저항 주의), 중동(민족운동))

 

 

무장독립전쟁

봉오동전투청산리전투간도참변자유시참변미쓰야협정삼부(참의부,정의부,신민부)통합운동

(1920) (1920) (1920) (1921) (1925) (1920년대 중반)

중 연합 작전(만주사변후)

1. 쌍성보, 대전자 전투(한국독립군+중국 호로군) 2. 흥경성, 영릉가 전투(조선혁명군+중국의용군)

대한민국 임시정부(1919. 4)

- 3권분립에 의한 최초의 민주 공화 정체 정부

- 한성정부의 법통계승

- 비밀행정조직망(연통제)와 통신망(교통국) 설치

-상하이에 무관학교설립, 한국광복군 창설(1940)

-외교활동(구미위원부 설치)

 

학 자

연 구 활 동

특 징

박은식

한국통사, 한국독립운동지혈사

민족혼의 강조

신채호

조선상고사, 조선사연구초

낭가사상”. 민족주의역사학의 기반마련

정인보

조선사연구

조선얼의 강조

문일평,안재홍

민족주의 역사학 계승

조선심"(문일평)간조

관념주의 사학, 민족주의사학의 성격

일 제 시 대

구분

무 단 통 치(1910-1919)

문 화 통 치(1919-1931)

민 족 말 살 기(1931-1945)

병참기지화(1931-1941)

민족말살(1941-1945)

연표

105인 사건(1911)토지조사사업(1912-1918)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1919) 봉오동,청산리전투(1920) 6.10만세운동(1926) 신간회결성(1927)광주학생항일운동(1929)만주사변(1931)

간도참변(1920)∙∙자유시참변(1921)

윤봉길 의거(1932) 중일전쟁(1937) 태평양전쟁(1941)

 

일제의 식민통치

정치

무관총독제

헌병경찰제

언론, 집회 탄압

105인 사건

문관총독 임명가능

보통경찰제

민족계 신문(동아, 조선일보)발행 허가

 

대륙침략의 기지화 정책

경제공황타개를 위한 본국과 식민지 경제 블럭 추진

민족운동의 억압

민족말살정책

내선일체, 황국신민서사

신사참배, 창씨개명

 

경제

토지조사사업(1912-1918)

-기한부 신고제소작농으로 전락

민족자본 억압

-회사령(허가제)

산미증식계힉(1920-1930)

-식량공급지화 (증산량<수탈량)

경공업화 정책

회사령(신고제)

남면북양(공업원료증산정책)

대륙침략 위한 병참기지화 정책

중화학군수공업 육성

 

인적, 물적 수탈

징병, 징용, 정신대

전쟁물자의 징발(공출)

 

민족의

 

항일운동

국내

항일결사의 조직

1. 신민회(1907-1911)

-비밀결사로 조직(안창호 주도)

-국권회복과 공화정체의 정부수립 목표

-민족교육 실시(오산대성학교 설립)

-민족산업 육성(자기회사, 태극서관 설립)

-해외 독립군 기지건설(간도의 삼원보)에 앞섬

-105인 사건으로 와해

2. 독립의군부(고종의 밀명으로 임병찬이 조직), 광복회

 

 

무장항일투쟁

1. 보합단, 천마산대, 구월산대

2. 의열단(김원봉) 애국단(김구)소속 애국지사 의거김상옥, 나석주, 이봉창, 윤봉길

경제적 저항운동(민족실력양성운동)

1. 민족기업의 성장 - 지주출신기업(경성방직주식회사)

- 서민출신기업(평양 메리야쓰 공장), 민족계 은행(삼남은행)

2. 물산장려운동(1923. 조만식 중심) : 일본상품배격, 국산품 애용운동

3. 소작쟁의 : 생존권투쟁(초기)항일민족운동의 성격(1930년대이후)

4. 노동쟁의(1930년대 절정)반제반일 투쟁적 성격

항일독립운동

31운동(1919) 610만세운동(1926) 광주학생항일운동(1929)

사회적 저항운동

1. 1920년대 초 사회주의 사상 유입사회운동 활발 전개 독립운동에 갈등과 차질민족유일당 운동 신간회, 근우회 결성

2. 신간회(1927, 이상재 중심, 민족주의 계열 + 사회주의 계열)

민족의 단결과 정치적경제적 각성의 촉구, 기회주의자의 배격

3. 청년 운동 : 민족주의+사회주의=조선청년총동맹

4. 소년운동 : 방정환, 조철호, 천도교 중심(어린이 날 제정)

5. 문맹 퇴치 운동 : 브나드로 운동, 야학, 언론활동, 미신타파, 구습타파 등

기타

교육 : 민립 대학 설립 운동

광복군의 활동

-1940년 임시정부의 정규군으로 편성 - 대독대일 선전포고

-국내진입 작전 국내 정진군 편성 일본의 항복으로 무산

 

 

 

 

일제의 민족사 왜곡

1. 식민통치의 합리화를 위해 고대사 왜곡(임나일본부설, 일선동조론), 단군조선 부정

2. 한국사의 정체성, 타율성 강조

3. 조선사 편수회, 청구학회(역사 왜곡 단체)

 

국학의 연구

1. 한글진흥운동 : 조선어 학회-한글 맞춤법 통일안, 표준어제정

2 민족주의 사학 : 고대사 연구, 한국사의 주체적 발전 강조

 

 

 

 

 

 

 

3. 진단학회(1934) : 청구학회의 역사왜곡에 반발, 실증사학

 

1. 무장항전준비(독림운동기지 건설)

-신민회가 앞장섬

-간 도 : 삼원보 -밀산부 : 한흥동

-연해주 : 대한광복군정부(1914)

2. 외교활동

-중국 : 신한청년단(파리강화회의에 김규식 파견)

-미주 : 이승만, 안창호

31 운동

-거족적인 민족 운동

-독립운동의 분수령(무장투쟁으로 변화)

-식민지배체제의 변화(무단통치문화통치)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계기 마련

-약소국 독립운동에 영향(중국(54 운동), 인도(무저항 주의), 중동(민족운동))

 

 

무장독립전쟁

봉오동전투청산리전투간도참변자유시참변미쓰야협정삼부(참의부,정의부,신민부)통합운동

(1920) (1920) (1920) (1921) (1925) (1920년대 중반)

중 연합 작전(만주사변후)

1. 쌍성보, 대전자 전투(한국독립군+중국 호로군) 2. 흥경성, 영릉가 전투(조선혁명군+중국의용군)

대한민국 임시정부(1919. 4)

- 3권분립에 의한 최초의 민주 공화 정체 정부

- 한성정부의 법통계승

- 비밀행정조직망(연통제)와 통신망(교통국) 설치

-상하이에 무관학교설립, 한국광복군 창설(1940)

-외교활동(구미위원부 설치)

 

학 자

연 구 활 동

특 징

박은식

한국통사, 한국독립운동지혈사

민족혼의 강조

신채호

조선상고사, 조선사연구초

낭가사상”. 민족주의역사학의 기반마련

정인보

조선사연구

조선얼의 강조

문일평,안재홍

민족주의 역사학 계승

조선심"(문일평)간조

관념주의 사학, 민족주의사학의 성격

일 제 시 대

 

   

     

구 석 기

BC.70만년

▶ 빙하기: 고기잡이와 사냥, 채집 생활 → 무리 생활

→ 이동 생활 → 동굴과 막집 생활 : 뗀석기, 골각기

▶ 주먹도끼: 연천군 전곡리 출토 → 서구 우월주의 비판

중 석 기

BC.2

1만년

▶ 빙하기 → 해빙기: 해수면 상승, 기온 상승 시작

▶ 잔석기를 이용한 이음 도구 제작, 작은 찌르개 제작

신 석 기

BC.6000

▶ 농경의 시작 → 정착 생활 → 강가나 해안가(물고기잡이 병행): 움집 생활, 씨족 공동체사회(부족, 평등사회)

▶ 빗살무늬 토기, 간석기 사용, 원시 신앙 발달

청 동 기

BC.2000

▶ 청동기 사용 → 전반적인 기술의 급격한 발달 → 부와 권력

   에 의한 계급 발생 → 국가 등장: 고조선(선민사상)

▶ 비파형 동검과 미송리식 토기(고조선의 강역과 일치)

▶ 벼농사의 시작과 농경의 보편화 → 구릉 지대 생활

 

초기철기

BC.4C

▶ 세형 동검, 명도전과 거푸집, 암각화

▶ 연맹 왕국이 나타나기 시작함.

▶ 배산임수의 취락 구조 정착, 장방형 움집, 지상가옥화

본격철기

BC.2C

▶ 철제 농기구의 사용 → 생산력의 증대, 황무지 개간

▶ 철제 무기의 사용 → 정복 전쟁의 활발

BC194년 위만조선 건국 → 중국의 발달된 철기 도입

 

 

 

연맹 왕국

BC.21C

▶ 여러개의 소국들이 연맹하여 국왕 선출.

▶ 정치적 한계: 왕의 권력이 취약

▶ 제전행사→수확 감사, 부족의 단결과 화합, 갈등 해소

▶ 옥저동예: 지리적 한계와 씨족 공동체 전통→후진국

 

   

1C676

▶ 중앙 집권 국가의 등장: 왕권 강화, 영역 국가

14C : 고대국가의 성립기

47C : 삼국의 항쟁기

▶ 삼국의 흥성기: 백제(4C), 고구려(5C), 신라(6C)

▶ 백제 멸망(660), 고구려 멸망(668), 당 축출(676)

남 북 국

(발해와 통일신라)

8C926

▶ 삼국 통일 : 민족 문화의 동질적 기반 확립

▶ 발해 건국(698) → 고구려 계승 → 남북국 시대

▶ 신라 중대(7C중엽~8C): 왕권 강화, 6두품 등용

  - 녹읍 폐지, 화엄종, 9서당10, 95소경, 시중

▶ 신라 하대(9935): 왕권 약화, 귀족 득세, 사회동요

  - 왕위 쟁탈전, 호족과 선종의 등장, 6두품의 반정부화

▶ 사회 통제: 골품제와 민정문서를 통해 확인.

 

 

고려초기

918-1018

▶ 왕건의 고려 건국(918) → 후삼국 통일(936)

▶ 호족 통합책: 회유책과 견제책

▶ 민족적, 자주적, 개방적

 

 

 

고려중기

1018-1170

▶ 문벌 귀족 사회 발전, 귀족사회의 구조적 모순 심화

   →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1135)

▶ 보수적, 폐쇄적, 사대적 → 금에 굴복, 삼국사기

무신집권

1170-1270

▶ 정중부의 무신 정변(1170): 하극상의 사회 동요

▶ 신진 사대부의 등장, 조계종의 발달

▶ 민족적, 자주적  ▶신분 해방 운동  ▶민족적 역사서 편찬

몽고간섭

1270-1351

▶ 몽고 침략에 항복(1231-1270)

▶ 권문세족의 득세

고려말기

1351-1392

▶ 공민왕의 즉위(1351)개혁정치: 왕권강화, 반원정치

▶ 신진 사대부와 신흥 무인 세력의 연합 → 위화도 회군

▶ 과전법 실시(1391): 신진사대부의 경제적 기반 마련

 

조선  전기

(1392

1636)

▶ 조선 건국(1392) : 유교적 중앙 집권 체제 확립

 - 왕권과 신권의 조화: 의정부와 6, 서경(여론정치)

 - 성리학적 명분질서: 사대주의, 양반지배, 지주전호제

 - 양인수와 자영농 증가, 과거제에 따른 능력본위 사회

15세기:훈구파 - 성리학 이외도 포용, 사장 중심. 중앙집권

                자주적, 단군 중시.

16세기:사림파 - 성리학만 인정, 경학. 명분중시, 향촌자치                  사대적, 기자 중시.

▶ 서원과 향약: 사림의 정치적 기반, 향촌지배 강화

▶ 기호학파: 서인, 이이, 주기론, 경험적 현실세계 중시

▶ 영남학파: 남인, 이황, 주리론, 도덕과 명분 중시

▶ 과전법 → 직전법(세조) → 관수관급제(성종) → 녹봉제

▶ 지주전호제 강화, 농민의 토지 이탈

▶ 임진왜란(1592), 병자호란(1636)

 

 

 

조선  후기

(1636

1876)

▶ 임란과 병란으로 국토의 황폐화와 통치체제의 동요

  - 부역제의 해이 → 농병일치제의 붕괴 (용병제 등장)

  - 양반지배체제 강화: 군적수포제 실시

▶ 농민의 불만 해소와 재정 확보를 위해,

  궁극적으로는 양반지배체제의 유지를 위해 수취 체제를 개편

  - 영정법(전세): 1결당 4두씩 거둠 → 지주에게 유리

  - 대동법(공납): 1)공납의 전세화, 2)토지 결수로 징수

  - 균역법: 1) 2필→1.    2) 선무군관포, 결작

▶ 조세의 전세화, 금납화→ 화폐경제, 도시와 시장 발달

   → 수요 증대 → 상품경제와 상공업, 수공업 발달

▶ 근대의 태동: 1) 경제 사회 - 자본주의 맹아 등장,

   2) 신분제의 동요. 3) 사상 - 천주교, 동학, 실학

   But 정치는 세도정치로 흘러 근대 태동에 장애가 됨.

 

 

(1876

1910)

▶ 병인양요(1866),  신미양요(1871) : 척화주전론

▶ 강화도 조약(1876): 개항, 불평등 조약

▶ 임오 군란(1882): 청의 간섭과 상민 수륙 무역 장정

▶ 갑신 정변(1884): 최초 근대국가 수립 운동,텐진조약

▶ 동학 농민 운동, 청일 전쟁, 갑오 개혁(1894)

▶ 을미사변과 을미개혁, 을미의병(1895)

▶ 아관파천, 독립 협회 활동(1896)

▶ 대한제국 수립,광무개혁(1897): 전제군주제 강화, 구본신참

▶ 러일 전쟁(1904)

▶ 을사조약(1905): 애국계몽, 실력양성, 국권회복 운동

▶ 고종의 강제퇴위, 군대해산 (1907) → 국권 피탈(1910)

▶ 위정 척사 운동 : 1) 척화주전론(1860년대)

   2) 왜양일체론(1870년대) 3) 연미론 반대(1880년대)

   4) 의병활동: 을미(1895), 을사(1905), 정미(1907)

▶ 근대국가 수립운동: 갑신정변, 갑오개혁, 독립협회(입헌군주)

          애국계몽 운동(신민회-공화정, 독립군기지 건설)

 

 

 

 

(1910

1945)

1910년대: 일제의 무단 통치 시대(헌병경찰제),

            토지조사사업(1912-1918): 농민 경작권 상실

            - 비밀결사 운동

            - 1919 : 31운동→ 상해 임시정부 수립

1920년대: 문화 통치 시대, 산미증식 계획(1920-35)

  - 무장 독립 투쟁(봉오동, 청산리 전투:1920)

  - 6.10 만세 운동(1926):학생과 사회주의세력 주도

  - 신간회, 근우회(1927): 기회주의배격 → 민족유일당 운동

  -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 전국으로 확대

1930년대: 민족 말살 통치, 병참 기지화 정책

  - 만주사변(1931),중일전쟁(1937),태평양전쟁(1941-45)

  - .중연합작전  광복군

▶ 독립 쟁취(194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