舊 石 器 BC.70만년 |
☞ 빙하기: 고기잡이와 사냥, 채집 생활 → 무리 생활 → 이동 생활 → 동굴과 막집 생활 : 뗀석기, 골각기 ☞ 주먹도끼: 연천군 전곡리 출토 → 서구 우월주의 비판 |
|
中 石 器 BC.2~1만년 |
☞ 빙하기 → 해빙기: 해수면 상승, 기온 상승 시작 ☞ 잔석기를 이용한 이음 도구 제작, 작은 찌르개 제작 |
|
新 石 器 BC.6000년 |
☞ 농경의 시작 → 정착 생활 → 강가나 해안가(물고기잡 이 병행): 움집 생활, 씨족 공동체사회(부족, 평등사회) ☞ 빗살무늬 토기, 간석기 사용, 원시 신앙 발달 |
|
靑 銅 器 BC.1000년 |
☞ 청동기 사용 → 전반적인 기술의 급격한 발달 → 부와 권력에 의한 계급 발생 → 국가 등장: 고조선(선민사상) ☞ 비파형 동검과 미송리식 토기(고조선의 강역과 일치) ☞ 벼농사의 시작과 농경의 보편화 → 구릉 지대 생활 |
|
鐵
器 |
초기철기 BC.4C |
☞ 세형 동검, 명도전과 거푸집, 암각화 ☞ 연맹 왕국이 나타나기 시작함. ☞ 배산임수의 취락 구조 정착, 장방형 움집, 지상가옥화 |
본격철기 BC.2C |
☞ 철제 농기구의 사용 → 생산력의 증대, 황무지 개간 ☞ 철제 무기의 사용 → 정복 전쟁의 활발 ☞ BC194년 위만조선 건국 → 중국의 발달된 철기 도입 |
|
聯盟 王國 BC.2~1C |
☞ 여러개의 소국들이 연맹하여 국왕 선출. ☞ 정치적 한계: 왕의 권력이 취약 ☞ 제전행사→수확 감사, 부족의 단결과 화합, 갈등 해소 ☞ 옥저․동예: 지리적 한계와 씨족 공동체 전통→후진국 |
|
古
代 |
삼 국 1C~676 |
☞ 중앙 집권 국가의 등장: 왕권 강화, 영역 국가 ☞ 1~4C : 고대국가의 성립기 ☞ 4~7C : 삼국의 항쟁기 ☞ 삼국의 흥성기: 백제(4C), 고구려(5C), 신라(6C) ☞ 백제 멸망(660), 고구려 멸망(668), 당 축출(676) |
남 북 국 (발해와 통일신라) 8C~926 |
☞ 삼국 통일 : 민족 문화의 동질적 기반 확립 ☞ 발해 건국(698) → 고구려 계승 → 남북국 시대 ☞ 신라 중대(7C중엽~8C말): 왕권 강화, 6두품 등용 - 녹읍 폐지, 화엄종, 9서당10정, 9주5소경, 시중 ☞ 신라 하대(9~935): 왕권 약화, 귀족 득세, 사회동요 - 왕위 쟁탈전, 호족과 선종의 등장, 6두품의 반정부화 ☞ 사회 통제: 골품제와 민정문서를 통해 확인. |
|
中
世
|
고려초기 918-1018 |
☞ 왕건의 고려 건국(918) → 후삼국 통일(936) ☞ 호족 통합책: 회유책과 견제책 ☞ 민족적, 자주적, 개방적 |
고려중기 1018-1170 |
☞ 문벌 귀족 사회 발전, 귀족사회의 구조적 모순 심화 →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1135) ☞ 보수적, 폐쇄적, 사대적 → 금에 굴복, 삼국사기 |
|
무신집권 1170-1270 |
☞ 정중부의 무신 정변(1170): 하극상의 사회 동요 ☞ 신진 사대부의 등장, 조계종의 발달 ☞ 민족적, 자주적. ☞ 신분 해방 운동 |
|
몽고간섭 1270-1351 |
☞ 몽고 침략에 항복(1231-1270) ☞ 권문세족의 득세 |
|
고려말기 1351-1392 |
☞ 공민왕의 즉위(1351)․개혁정치: 왕권강화, 반원정치 ☞ 신진 사대부와 신흥 무인 세력의 연합 → 위화도 회군 ☞ 과전법 실시(1391): 신진사대부의 경제적 기반 마련 |
近
世 |
조선전기 1392~ 1636 |
☞ 조선 건국(1392) : 유교적 중앙 집권 체제 확립 - 왕권과 신권의 조화: 의정부와 6조, 서경(여론정치) - 성리학적 명분질서: 사대주의, 양반지배, 지주전호제 - 양인수와 자영농 증가, 과거제에 따른 능력본위 사회 ☞ 15세기: 훈구파 - 성리학 이외도 포용, 사장 중심. 중앙집권, 자주적, 단군 중시. ☞ 16세기: 사림파 - 성리학만 인정, 경학과 명분 중시, 향촌자치, 사대적, 기자 중시. ☞ 서원과 향약: 사림의 정치적 기반, 향촌지배 강화 ☞ 기호학파: 서인, 이이, 주기론, 경험적 현실세계 중시 ☞ 영남학파: 남인, 이황, 주리론, 도덕과 명분 중시 ☞과전법 → 직전법(세조) → 관수관급제(성종)→ 녹봉제 지주 전호제 강화(양반의 토지 겸병),농민의 토지 이탈 ☞ 임진왜란(1592), 병자호란(1636) |
近 代의 胎 動 |
조선후기 1636~ 1876 |
☞ 임란과 병란으로 국토의 황폐화와 통치체제의 동요 - 부역제의 해이 → 농병 일치제의 붕괴(용병제 등장) - 양반지배체제 강화: 군적 수포제 실시 ☞ 농민의 불만 해소와 재정 확보를 위해, 궁극적으로는 양반지배체제의 유지를 위하여 수취체제를 개편 - 영정법(전세): 1결당 4두씩 거둠 → 지주에게 유리 - 대동법(공납): 1)공납의 전세화, 2)토지 결수로 징수 - 균역법: 1) 2필→1필. 2) 선무군관포, 결작 ☞ 조세의 전세화, 금납화→ 화폐경제, 도시와 시장 발달 →수요 증대 → 상품경제와 상공업, 수공업 발달 ☞ 근대의 태동: 1) 경제 ․사회 - 자본주의 맹아 등장, 신분제의 동요. 3) 사상 - 천주교, 동학, 실학 But 정치는 세도정치로 흘러 근대 태동에 장애가 됨. |
近 代의 發展 |
1876~ 1910 |
☞ 병인양요(1866), 신미양요(1871) : 척화주전론 ☞ 강화도 조약(1876): 개항, 불평등 조약 ☞ 임오 군란(1882): 청의 간섭과 상민 수륙 무역 장정 ☞ 갑신 정변(1884): 최초 근대국가 수립 운동,텐진조약 ☞ 동학 농민 운동, 청일 전쟁, 갑오 개혁(1894) ☞ 을미사변과 을미개혁, 을미의병(1895) ☞ 아관파천, 독립 협회 활동(1896) ☞ 대한 제국 수립, (1897): 전제군주제 강화, 舊本新參 ☞ 러일 전쟁(1904) ☞ 을사조약(1905): 애국계몽, 실력양성, 국권회복 운동 ☞ 고종의 강제퇴위, 군대해산 (1907), 국권 피탈(1910) ▷ 위정 척사 운동 : 1) 척화주전론(1860년대) 2) 왜양일체론(1870년대) 3) 연미론 반대(1880년대) 4) 의병활동: 을미(1895), 을사(1905), 정미(1907) ☞ 근대 국가 수립 운동: 갑신정변, 갑오개혁, 독립협회, 애국계몽 운동(신민회 활동) |
獨立運動期 |
1910~ 1945 |
☞ 1910년대: 일제의 무단 통치 시대(헝병경찰제), 토지조사사업(1912-1918): 농민 경작권 상실 - 비밀결사 운동 ▷ 1919년 : 3․1운동→ 상해 임시정부 수립 ☞ 1920년대: 문화 통치 시대, 산미증식 계획(1920-35) - 무장 독립 투쟁(봉오동, 청산리 전투:1920) - 6.10 만세 운동(1926) - 신간회, 근우회(1927): 민족유일당 운동 -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 1930년대: 민족 말살 통치, 병참 기지화 정책 - 만주사변(1931), 중일전쟁(1937), 태평양전쟁(1941-45) ☞ 독립 쟁취(1945) |
'한국사 > 분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사상/종교사 핵심 표 요약 (0) | 2019.04.07 |
---|---|
한국사 정치사 핵심 표 요약 (0) | 2019.04.07 |
근현대사 분류별 연표 정리 - 사건, 조약/협정/운동, 기타(조직/기구/학교 등) (0) | 2019.04.07 |
한국사 전체 빈출내용 올인원 표 요약 정리 (0) | 2019.04.06 |
한국사 시대별 핵심만 요약 정리 (0) | 2019.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