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절 골품제도의 모순 ]

 

1. 진골 귀족의 분열

경덕왕(742765) : 신라문화 절정기

진골 귀족들의 전제왕권에 대한 반발 시작 (관료전·세조 폐지, 녹읍의 부활)

정치개혁 실패

혜공왕혼란

혜공왕(765780)대혼란

- 혜공왕 4(768) : 대공의 난 - 3년동안 계속

- ” 10(774) : 良相(귀족파) 정권탈취

김은거 등 왕권회복 시도 실패

- 양상(선덕왕) 즉위 (780)

- 敬信(원성왕) 즉위 (785) 태종무열왕계에서 원성왕계로 교체

下代(원성왕)의 시작 전제왕권에 대한 귀족들의 반항 - 귀족(진골)연립적 성향

- 상대등의 재부각

- 귀족 연립적 성향에 대한 반항 : 김헌창(태종무열왕계)의 난

녹읍의 부활 (경덕왕 16,757)

- 귀족들의 개인재산 증대

- 정치력, 무장력에 의한 왕위 계승 下代 150년 사이 20명의 왕 교체

 

2. 육두품 세력의 대두

강수, 설총, 여삼, 녹진, 최치원(10여조의 시무책 - 과거제 포함)

반 신라적 성향, 신라 진골 귀족에 대한 반항

 

 

[ 2절 호족의 대두 ]

 

1. 해상무역의 발달 (9세기 중반)

장보고 - 청해진 (완도)

왕봉규 - 강주 (진주)

작제건(왕건의 조부) - 송악 (개성)

 

2. 군진 세력의 대두

해안의 요지에 군진 설치 : 청해진(완도), 당성진(남양), 혈구진(강화)

패강진(평산) : 선덕왕 3(782) - 대동강 이남지역 군사담당

청해진(완도) : 흥덕왕 3(828) - ·일본과 무역 문성왕 13(851) 폐지

 

3. 城主의 자립

지방 세력가 성주, 장군 호칭

몰락한 중앙귀족, 육두품, 토착촌주 출신

촌락민에게 조세와 力役 부과 중앙 정부의 경제적 기반 잠식

 

 

[ 3後三國 ]

 

1. 농민의 봉기

정부의 조세 독촉 (진성여왕 3,889) 농민 이중부담 (정부+성주)

농민 반란

상주(사벌주)의 원종과 애노(889), 원주(북원)의 양길,궁예

준산(죽주)의 기훤, 전주(완산)의 견훤

 

2. 후백제와 태봉

견훤

- 전주를 근거로 후백제 건국 (효공왕 4,900)

- 경주(금성) 습격 경애왕 사망

궁예

- 개성의 근거로 후고구려 건국 (효공왕 5,901), 반신라적 성향

- 국호 : 후고구려 마진(도읍을 철원으로 이동) 태봉

- 관부 정비, 9관등 설정

 

3. 고려의 건국

왕건 : 개성(송악) 지방의 호족 출신

- 고려 건국 (경명왕 2,918), 연호를 천수(天授)

- 친 신라적 성향 견훤 타도

 

 

[ 4절 고려의 통일 ]

 

1. 후삼국의 통일

고려와 후백제 : 안동(고창)진주(강주)에 이르는 낙동강 서부지역의 전선 형성

후백제 : 남중국과 교류 󰠏󰠏󰠈

고려 : 산동반도를 거쳐 북중국과 교류 󰠏󰠏󰠍󰠏󰠏 중국 五代의 혼란기

신라의 항복 : 경순왕 9, 태조18(935)

후백제 멸망 : 후삼국의 통일 (태조 19,936)

 

2. 호족 연합정책

북진 정책 : 청진강까지 국경 확장

신라귀족 우대, 후백제인 냉대

전국적으로 통일된 관계제도 실시

지방호족들과 타협·연합 왕권의 불안정 (지방관 파견 못함)

태조 : “정계”, “계백료서”, “십훈요

 

3. 왕권과 호족

정종 : 왕권강화 위해 평양천도 계획 실패

광종 - 왕권의 안정화

- 광종 7(956) : 노비 안검법 실시 지방세력 소유의 노비 축소

- ” 9(958) : 과거제도 실시 - 중국인 쌍기(雙冀)의 건의

새로운 관료체계의 기초

- ” 11(960) : ···의 공복 제정

- 개국 공신의 축출

경종

- 전시과 제정 새로운 중앙관료들의 경제적 뒷받침

 

 

[ 5절 호족의 문화 ]

 

1. 유교의 성장

육두품 출신 유학자 - 지방호족이 세운 지방학교를 통해서 유교전파

 

2. 선종의 유행

신라 下代 : 선종유행 개인주의적인 경향

선종 9산 성립 지방 호족들로부터 환영

 

3. 풍수지리설

도선 : 불교의 선근공덕사상 + 음양오행설

 

4. 미술

願塔 유행 : 경주 창림사 삼층석탑(문성왕), 팔공산 동화사 비로암 삼층석탑(민애왕)

장흥 보림사 삼층석탑(헌안왕)

비로사나불의 조상 유행, 鐵佛 주조 주류

부도(浮屠)와 탑비의 유행

 

'한국사 > 고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전제왕권의 성립  (0) 2019.04.06
3. 중앙집권적 귀족국가의 발전  (0) 2019.04.06
발해, 고구려사 핵심 표 정리  (0) 2019.04.06
고대 사회문화사 요약  (0) 2019.03.17
남북국시대 요약  (0) 2019.03.17

 

[ 1절 신라의 반도 통일과 발해의 건국 ]

 

1. 신라의 반도 통일

1) 백제의 멸망

신라 김춘추 - 당과 연맹

소정방의 백제 공격 (의자왕 20,660), 김유신 공격

백제 멸망 (의자왕 20,660)

백제 부흥군

- 복신(왕족), 도침(승려)등이 주유성(한산)에서 부흥운동

내분으로 와해, 周留城 함락(663)

- 흑지상지 任存城(대흥)에서 부흥운동

임존성 함락(665)

2) 고구려의 멸망

보장왕 20(661) : 소정방 대동강 입구를 거쳐 평양공격

연개소문에 패해 퇴각(662)

보장왕 26(667) : 당의 李勣 재공격, 신라도 공격 가담

보장왕 27(668) 멸망 - 1년간 항쟁하였으나 멸망 (문무왕 8)

안승을 받든 검모잠의 2년간 부흥운동

안승이 신라에 망명하여 고구려왕(보덕왕)에 임명됨 (670)

 

2. 신라의 당 축출

당의 지배의도

- 옛 백제땅에 웅진도독부 설치, 의자왕의 아들 부여륭을 웅진도독에 임명

- 경주에 계림도독부 설치 (문무왕 3), 문무왕을 계림주 대도독에 임명

문무왕과 부여륭으로 하여금 웅진(공주) 취리산에서 화친케 함

- 고구려 멸망후 9도독부두고, 평양에 안동도호부를 둠 (668)

당 축출

- 검모장의 부흥운동 지원, 안승을 고구려왕에 임명 (670)

- 부여륭의 백제군과 당군 격파

사비성 함락 소부리주 설치 (문무왕 11,671) 옛 백제땅 지배권 장악

- 당은 김인문(문무왕 동생)을 일방적으로 신라왕에 임명하고 신라공격

매초성(의정부) 전투 (문무왕 15,675)

- 한강유역 전투에서 당군 축출 (문무왕 16,676)

안동도호부를 평양에서 요동성으로 옮김 (676)

- 대동강 원산만 이남의 땅 점유

 

3. 발해의 건국 (698)

1) 대조영의 발해 건국

- 동모산(길림성 돈화 부근)을 근거, 震國王이라 칭함

- 고구려 유민 + 말갈인

2) 대외 관계

초기 : 당과 신라에 적대적

- 무왕(719737)때 해군을 보내 登州(산동반도) 공격 (732)

- 신라는 북경에 장성을 축조 (721)

- 신라·당 연합세력 발해 협공 (733)

- 북쪽 돌궐, 남쪽 일본과 외교

후기 : 신라와도 교류

3) 영토 확장

무왕(719737) : 북만주 일대 차지

문왕(737794) : 당의 안녹산의 난을 계기로 요동반도 지배

- 소고구려국 흡수

선왕(818830) : 전성기를 이룸

-발해주, -開元, -함남, -흑룡강

 

4. 신라의 대외 정책의 전환

1) 당과의 교류

- 당의 침략 세력 후퇴 신라·발해 모두 당과 평화적 외교관계 유지

경제적인 교류 : 조공의 형식

- 수출품 : 원료적인 것 공예품, 수공업제품 (만불산,견직물)

- 수입품 : 의료·의류·공예품 - 귀족들의 사치품

흥덕왕 9(834) 사치를 금하는

문화의 수입

- 서적, 미술품 수입

- 유학 : 승려 유학자 주류

2) 일본, 아라비아 상인과 교류

 

 

[ 2專制主義下의 신라사회 ]

 

1. 전제왕권과 귀족

성골의 소멸 : 선덕여왕, 진덕여왕을 마지막으로 대가 끊김

진골 출신 태종무열왕(654661) 등극

- 상대등으로 대표되는 귀족세력을 누르고 왕위 차지

- 왕비족 : 박씨 김씨

- 갈문왕제도 사라짐

전제왕권의 성립 : 신문왕(681692)

- 귀족세력의 숙청 (김흠돌의 반란 계기)

- 정치,군사제도의 정비

전제 왕권의 안정 : 성덕왕(702737)

- 萬波息笛으로 상징됨

왕족인 김씨가 정치적 특권 독점 일반 진골 세력의 약화

- 육두품 세력의 상대적 부각 (왕권과 결합)

 

2. 정치 기구의 정비

집사부의 중요시 - 진덕여왕 5(651) 설치

- 집사부 中侍(侍中)의 부각 : 왕권의 지배

- 상대등의 약화 : 귀족의 대표자, 화백회의

지방 조직의 정비 (95小京)

- : 신문왕 5(685)9로 정비

의 장관은 문무왕때 軍主에서 總管으로 변함 원성왕때 都督으로 개칭

- 5소경 : 중원경(충주), 북원경(원주), 금관경(김해), 서원경(청주), 남원경(남원)

- (태수), (),

- ··부곡 설치 : 천민집단

신문왕 9(689)에 달구벌(대구)로 천도 계획 실패

총관(도독)현령은 중앙귀족 임명

촌주, ··현의 吏職에는 토착세력 임명

세력 견제위해 상수리제도, 사민정책 생겨남

 

3. 귀족 경제의 변화

국가에 공을 세운 귀족 : 食邑, 사전(賜田), 馬阹(牧馬場),(곡물)

일반 관료 : 祿邑 지급 (+勞役)

신문왕 7(687) : 관료전 지급 - 조의 수취만 허용

신문왕 9(689) : 녹읍의 폐지

歲租(녹봉제)의 지급

경덕왕 16(757) : 녹읍의 부활 관료전과 세조 폐지

귀족들의 전제주의의 지배를 벗어나려는 세력이 커짐

귀족들의 중심지 : 왕경인 金城(경주)

 

4. 군제의 개편

69誓幢(중앙), 10(지방)

- 9서당 : 왕의 직속부대, 고구려·백제·말갈인 포함

* 신라인 : 녹금서당, 자금서당, 비금서당

백제인 : 백금서당, 청금서당

고구려인 : 황금서당, 벽금서당(보덕국인)

말갈인 : 흑금서당

- 10: 국방 + 치안

 

5. 민중생활

: 10호 가량의 혈연집단 거주

촌주를 통하여 국가의 지배, 장적(帳籍) 작성

- 장적 : 연수(煙數)-戶數, 인구수, 牛馬, 토지면적

뽕나무, 잣나무(), 호두나무()

戶口·牛馬의 감소 기입됨

3년에 한번씩 조사

力役 징수 기준 : 연령에 의하여 6등급 분류

의 수에 의하여 9등급 분류

官謨畓(내시령답(內視令畓麻田 경작

- 촌주 : 국가로부터 촌주위답(村主位畓) 받음

- 촌민 : 연수유답(烟受有畓) 받음

 

 

[ 3절 전제주의하의 신라문화 ]

 

1. 불교의 발전

당 유학 : 자장, 의상, 원측

인도 유학 : 혜초 - 왕오천축국전

교종 5교 성립 : 열반종, 계율종, 법성종, 화엄종, 법상종

의상 : 화엄종 성립, 부석사 창건

중앙집권적 지배체제, 귀족사회에서 환영받음

원효 : 법성종이 이긴 하나, 불경 연구범위 매우 넓음

정토신앙 : 나무아미타불 극락왕생

- 원효에 의해 널리 전도됨

지방사회 : 법상종의 미륵신앙 크게 유행

- 진표 : 경덕왕때 금산사 중심활동 (백제유민 출신)

 

2. 유교의 대두

국학(國學) 설립 : 신문왕 2(682) 태학감(太學監)으로 개칭

- 3구분 : 논어·효경·禮記·周易

” · ” ·左傳·毛詩

” · ” ·尙書·文選

* 논어·효경 + 오경or문선

독서삼품과 설치 : 원성왕 4(788)

- 관리채용 위한 국가 시험제도

진골 중심의 골품제와 이를 옹호하는 불교에 대항하는 성격

 

3. 학문과 기술

史學

- 김대문 (성덕왕,진골출신) : “계림잡기”,“고승전”,“화랑세기”,“악본”,“한산기

不傳

- 김장청 : “김유신행록

천문학, 曆學

- 선덕여왕(632647)때 첨성대 건축 통일전

- 물시계(漏刻) 널리 사용 漏刻典 설치 (성덕왕 17,718)

- 김암 (혜공왕) : “둔갑입성법(遁甲立成法)” 저술

수학, 주조술, 목판 인쇄술 발달

- 銅佛, 銅鐘

- 석가탑 다라니경” : 현존 最古 목판인쇄물 (경덕왕 10,751 이전)

 

4. 향가와 한문학

향가 : 처음 4구체 10구체의 정형시

- 득오 : “모죽지랑가

월명사 : “두율가(兜率歌)”,“제망매가

충담사 : “찬기파랑가”,“안민가

- 진성여왕(887897)때 대구화상과 위홍에 의해서 삼대목으로 집대성

한문학

- 강수 : “청방인문서(請放仁問書)”

설총 : “풍왕서(諷王書)”,“甘山寺 造像記

- 김필오 : “聖德大王 神鐘銘碑文

 

5. 음악과 무용

악기의 다양화

- 3: 가야금, 거문고, 향비파

3: 대금, 중금, 소금

拍板, 大鼓 ..

향악(鄕樂)의 발전

- 향악에 맞춰 추는 무용 : 처용무, 상염무

당악 : 궁중의식, 불교의식

 

6. 미술 - 무르익은 기교로써 이상적인 조화미 강조

불국사, 석굴암

석가탑, 다보탑, 화엄사 사자탑

굴불사의 사면석불, 감산사의 아미타불상·미륵반가상

범종

- 상원사종 (성덕왕 24,725) : 현존 最古

성덕대왕 신종 (혜공왕 7,771) : 현존 最大

분묘

- 통일전 : 수혈식 적석총 (竪穴式 積石塚) 도굴 곤란

- 통일후 : 횡혈식 석실분 (橫穴式 石室墳) - 법흥왕무렵에 시작

* 김유신 괘릉 - 12지신상, 문무석, 석사자

서예

- 김인문 : 태종무열왕碑額, 화엄사의 화엄경 석경

김생 : 郎空大師碑

 

 

[ 4절 발해의 사회와 문화 ]

 

1. 정치와 사회

지배층 : 고구려 유민

피지배층 : 말갈인

36- 당의 제도 모방

- 3: 선조성(宣詔省,門下省), 中臺省(中書省), 政堂省(尙書省)

- 6: 忠部(吏部), 仁部(戶部), 義部(禮部), 智部(兵部), 禮部(刑部), 信部(工部)

- 정당성의 大內相이 행정기구의 해고위

515의 행정구획 - 고구려적 요소

 

2. 문화의 양상

당과 외교관계 수립후 많은 문화 수용

불교가 널리 행해지고, 지배층은 유교도 중요시

 

3. 발해의 역사적 위치

926년 거란에 의해 멸망

말간인 - 거란축출 (여진) 건국 (고려 예종 10,1115)

 

 

'한국사 > 고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신라하대 및 고려초기  (0) 2019.04.06
3. 중앙집권적 귀족국가의 발전  (0) 2019.04.06
발해, 고구려사 핵심 표 정리  (0) 2019.04.06
고대 사회문화사 요약  (0) 2019.03.17
남북국시대 요약  (0) 2019.03.17

 

[ 1절 중앙집권적 귀족국가의 성장 ]

 

1. 고구려의 성장과 백제의 흥기

1) 고구려의 성장

태조왕(53146?) - 소노부에서 계루부 高氏로의 왕위계승 확립

고국천왕(179196) - 왕권강화, 통치체제의 중앙 집권화

- 55

- 형제상속 부자상속

- 연나부 명임씨 출신의 왕비

- 진대법 실시

미천왕 14- 낙랑군 축출 (대동강유역), 대방군 차지

2)백제의 흥기

고이왕(234286)

- 27(260) : 6좌평, 16관등의 관직·복색

- 뇌물, 도둑질 - 3배 벌금

근초고왕(346375)

- 24(369) : 마한 차지

- 26(371) : 고구려 평양성 공격 고국원왕 전사

- 부자상속, 眞氏 왕비

- 백제의 國史 書記편찬 (博士 고흥)

침류왕

- 원년(384) : 불교수용

 

2. 고구려의 융성

고국원왕(331371) - 전연과 백제에게 침입 당함

소수림왕(371384) - 국가 체제의 재정비

- 2(372) : 불교 수용, 태학 설립

- 3(373) : 율령 반포

광개토왕(391413) - 정복활동 추진

- 요동, 만주 차지 숙신(肅愼)복속

- 임진강, 한강까지 영토 확대

- 신라를 도와 왜 섬멸 (낙동강)

- ‘永樂연호 사용 중국과 대등한 입장 과시

장수왕(413491)

- 중국 남·북조 동시외교 견제

- 15(427) : 평양천도

나제동맹(433) - 눌지마립간

백제(개로왕 18,472)가 중국 북조 위에 고구려 남침 요청

- 63(475) : 백제 서울 한성 함락, 개로왕 처형

백제 웅진(공주) 천도

- 죽령남양만, 만주, 요동 점령

 

3. 신라의 흥기와 가야

내물마립간(356402) : 이사금 마립간 왕호 사용, 金氏 왕위 독점

법흥왕 19(532) : 본가야 점령

진흥왕 23(562) : 대가야 점령

본가야 (낙동강 하구) - 해상활동 (낙랑·대방, , 왜 등과 교류)

 

4. 신라의 융성과 백제의 중흥

1) 신라의 융성

눌지마립간(417458) : 부자상속제 확립

자비소지마립간 : 66

소지마립간 : 사방에 우역(郵驛) 설치, 서울에 시장 개설

지증왕(500524)

- ‘칭호, ‘新羅국호 사용

- 우경 시작, 수리사업 진행

- 朴氏 왕비족

- 우산국 정복

법흥왕(514540) : 중앙 집권적 통치체제 완성

- 7(520) : 율령반포

- 1422(527~535) : 불교 공인

- 19(532) : (금관)가야 점령

- 23(536) :‘建元연호 사용

- 병부와 상대등 설치

진흥왕(540576)

- 23(562) : 대가야 점령

- 한강점령, 함흥평야 진출

- 순수비 (창녕, 북한산, 황초령, 마운령)

2) 백제의 중흥

웅진(공주)시대

- 동성왕(479501) : 南濟와 외교, 소지왕과 결혼외교, 탐라 복속

- 무녕왕(501523) : 과 교류, 지방에 22담로 설치

사비(부여)천도 - 성왕(523554) : 국호를 남부여개칭

- 22부의 중앙관부, 5·5방의 지방제도

- 승려 겸익 등용 불교 진흥

- 중국 남조와 외교

- 진흥왕과 동맹 한강 진출

신라의 한강 독차지 신라공격, 관산성에서 전사

 

 

[ 2절 대외적인 정복활동과 한족과의 투쟁 ]

 

1. 대외 관계의 전개 - 영토확장 위한 항쟁, 중국 남·북조 대립 이용

북방유민·왜 이용, 중국 문화의 섭취

1) 고구려 : 북조와는 투쟁, 남조와는 교섭 (遠交近攻 정책)

동천왕(227248) - 압록강입구 서안평 공격

- 18(244) : 위 모구검의 침입 국내성 함락

- 19(245) : 왕기의 침입 동천왕 동해안 피난

미천왕14(313) : 낙랑군 축출, 요동 공격 위 멸망, 의 통일

고국원왕

- 12(342) : 모용휘의 침입 중국 516국 난립, 전연(선비족) 만주 진출

- 41(371) : 백제 근초고왕 평양 침입, 고국원왕 전사

소수림왕 - 국가 체제 재정비

2) 백제

·북조 모두 교류 고구려 견제

왜 이용 신라 공격 광개토왕의 왜 정벌 고구려의 압력 강화

나제동맹(눌지마립간 17,433)

 

2. 고구려의 ·과의 투쟁

6세기 후반 신라의 한강 진출 고구려·백제 동맹

중국과의 통로인 당항성(남양) 공격

중국 남·북조 수의 통일(589), 북방 돌궐 흥기

- 고구려 : 돌궐과 연결하여 수에 대항

- 백제 : 왜와 교섭

- 신라 : 수와 연결

영양왕 9(598) - 요서 공격 수문제 고구려 침략 실패

영양왕 23(612) - 수양제 요동성,평양 공격 을지문덕 활약

수 멸망, 당 설립 고구려 천리장성 축조

- 연개소문의 독재정치, 김춘추의 외교 거절(보장왕 원년,642)

보장왕 4(645) - 당 태종 침략 안시성 전투

 

 

[ 3절 정치와 사회 ]

 

1. 중앙 귀족의 탄생 - 중앙 집권적인 귀족국가

1) 고구려 : 왕족 계루부 고씨, 옛 왕족 소노부, 왕비족 절노부(명임씨)

- 대대로(大對盧) 취임, 선거 권리

2) 백제 : 왕족 부여씨, 왕비족 진씨, 석씨 - 주요 관직 독점

- 16관등을 3구분하는 색복제도

3) 신라 : 골품제 (성골, 진골, 육두품~일두품)

- 육두품(득난),오두품,사두품 : 일반 귀족

삼두품,이두품,일두품 : 일반 평민층 후에 소멸

- 골품에 따라 가옥규모, 복색, 車騎, 器用 제한

- 갈문왕(고구려의 古雛加)에 왕족과 왕비족만 임명

진골 : 17관등 모두 승진 가능

- 이벌찬까지, 군부대(6) 최고 지위관 장군(급벌찬이벌찬) 가능

육두품 : 6관등인 아찬(阿湌)까지

오두품 : 10관등은 대내마(大奈麻)까지

사두품 : 12관등 대사(大舍)까지

 

2. 정치조직 - 국왕을 중심으로한 일원화 된 관등체제

1) 관등체제

고구려 - 14등급

- 수상 : 대대로(莫離支)

- (족장), 使者(가신) 존재

백제 - 3구분 16등급

- 紫服 : 좌평(佐平), ()

緋服 : ()

靑服 : 문독(文督) 이하

신라 - 17관등

- 紫服 : 이벌찬(伊伐湌) 대아찬(大伐湌)

緋服 : 아찬(伐湌) 급아찬(級伐湌)

靑服 : 대내마(大奈麻) 내마(奈麻)

黃服 : 大舍() 조위(造位)

2) 관부

백제

- 한성시대 : 6좌평

- 사비시대 : 내관 12, 외관 10(22)

3) 회의제도

고구려 : 귀족들의 선거에 의한 대대로 임명

조의두대형(皂衣頭大兄) 이상 - 국가 정사를 담당

백제 : 정사암회의(政事巖會議) - 재상선출

신라 : 화백제도 (상대등이 의장) - 진골출신(대등) 참여

4) 행정구획

- 城主 : 고구려 - 처여근지(處閭近支) (都使)

백제 - 郡將

신라 - 郡太守

고구려 : 5(,,,,)

백제 : 5(,,,,)

신라 : 단위

왕경 - 중앙귀족의 근거지

- 백제, 고구려 : 5

신라 : 6

 

3. 군사조직

신라 - 왕경의 6, 지방의 52성에 법당(法幢) 설치

단위로 설치된 6이 중요한 구실

- 6: 명망군(名望軍), 진골출신 장군

서당 : 모병(募兵)

지방행정조직 군사조직

고구려의 경당(扃堂) - 지방군의 보충

 

4. 촌주와 농민

良人인 자영 농민들이 큰 비중

신라의 村主 - 오두품, 사두품에 해당하는 특권

- 眞村主, 次村主

 

 

[ 4절 귀족문화의 발전 ]

 

1. 문자의 보급

한자를 우리말 순서대로 배열 - 壬申誓石記 吏讀 (釋讀 보충)

향찰 - 실질적 의미(語幹)는 석독으로 표기, 문법적 요소(접미사)는 음독으로 표기

순수한 한문식 문장 - 광개토왕릉비(고구려), 사택지적비(백제)

 

2. 史學과 유교

1) 史學

고구려 : 國初 유기(留記)” 100

영양왕 11(600) 이문진에 의해 新集” 5권으로 改修

백제 : 근초고왕(346375)때 고흥이 書記편찬

신라 : 진흥왕 6(545)에 이사부에 의해 國史편찬

2) 유교

고구려 : 소수림왕 2(372) 太學 설립 - 유교 교육

지방 扃堂 - 독서, 활쏘기

백제 : 博士 제도

신라 : 원광의 세속오계, 임신서석기

 

3. 불교의 수용 - 왕실에서 주도

고구려 : 소수림왕 2(372) 前秦에서 順道가 불상과 불경 전래

백제 : 침류왕 원년(384) 東晋에서 摩羅難陀가 불교전래

신라

- 눌지마립간(417458)때 고구려를 거쳐온 阿道(黑胡子)에 의해 지방 전래 실패

- 의 사신인 승려 元表에 의해 왕실에 보급 귀족 반대로 실패

- 법흥왕 14(527)에 이차돈 순교 법흥왕 22(535) 공인

호국적 성격이 강함 (인왕경 존중)

- 백좌강회(인왕회) : 국가의 평안을 비는 의식

- 팔관회

계율종(戒律宗) 주류

- 백제의 겸익(謙益), 신자의 자장(慈藏) : 大國統으로 불교 총관

고구려, 백제 말기에 변화

- 普德의 열반종(涅槃宗) : 금강석 같은 불성을 모든 중생이 가지고 있음

도교의 불로장생 사상에 대항

 

4. 詩歌와 음악 - 종교적인 성격이 강함

가야 - 구지가, 신라 - 會蘇曲,혜성가

악기 : ··타악기 등 수십종, 서역에서 받아 들인것도 있음

- 고구려 왕산악이 의 칠현금 개량하여 현학금 만듬

가야의 가야금은 우륵을 통해서 신라 전래

 

5. 미술 - 소박하고 사실적 (건강미)

1) 건축

고구려 - 현존 지상 건축물은 없음

- 석총(石塚) : 피라밋 식으로 석재를 쌓아 올림 - 태왕릉, 장군총

- 토총(土塚) : 석재로 널방(玄室)을 만든후에 흙으로 봉분 - 쌍영총

백제

- 초기 귀족 무덤은 고구려와 비슷 (피라밋식 석총) - 서울 석촌동

- 내부를 전() 또는 석재로 쌓은 횡혈식 토총 벽화

- 현존 석탑 : 부여 정림사지탑

익산 미륵사지탑 (목조탑형식)

신라

- 황룡사 9층 목탑 몽고 침입때 소실

- 분황사 모전탑(模塼塔)

- 첨성대

사원 : ‘一塔三金堂式一塔一金堂式

2) 조각 - 불상이 (석가상이나 미륵반가상을 많이 조각)

고구려 : 금동미륵반가상

백제 : 서산 마애석불

낮고 간소한 四花冠을 쓴 금동미륵반가상

신라 : 답형이 새겨진 높은 寶冠을 쓴 금동미륵반가상

3) 회화

고구려 : 고분의 벽화 - 토총의 널방(玄室) 사면벽, 말각조정(抹角藻井)의 천장

- 四神, 角抵, 무용총, 수렵총

백제 : 고구려의 것보다 우아함

- 공주 宋山里 전축분, 부여 陵山里 석실분

신라 : 수혈식(竪穴式) 적석총에는 고분 벽화는 없음

- 馬具의 다래(障泥)에 그린 천마도

 

'한국사 > 고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신라하대 및 고려초기  (0) 2019.04.06
4. 전제왕권의 성립  (0) 2019.04.06
발해, 고구려사 핵심 표 정리  (0) 2019.04.06
고대 사회문화사 요약  (0) 2019.03.17
남북국시대 요약  (0) 2019.03.17

왕조

국왕

정치

경제/사회

문화

발해

무왕(719-737)

인안, 북만주지배,
일본수교(727), 당의덩조우공격

 

 

문왕(737-793)

대흥, 주자감설치,당과친교,
신라도개설, 상경천도

 

 

선왕(818-831)

요동진출, 건흥, 5 15 62

 

해동성국

고구려

태조(918-943)

서경 분사제도, 북진정책,
기인제도, 사심관제도

역분전, 흑창

 

정종(945-949)

광군사설치

 

 

광종(949-975)

과거제실시, 공복제도,
칭제건원(광덕,준풍), 송과수교

노비안검법,
주현공부법

왕사,국사제도,
승과제도, 균여활약

경종(975-981)

 

시정전시과

 

성종(981-997)

36, 12목설치,
문신월과법, 거란의1차침입

노비환천법,
의창.상평창,
건원중보제작

국자감설치,
12
목에박사파견

목종

 

개정전시과

 

현종(1009-1031)

거란의 2-3차침입, 나성축조,
경기와5도양계

연등회부활

초조대장경조판
(
대구부인사)
<7
대실록>편찬

문종(1046-1083)

남경설치

경정전시과

사학12
(
최충의문헌공도)

선종(1083-1094)

 

 

교장조판(의천)
-
흥왕사

숙종(1095-1105)

별무반조직

은병(활구),
해동통보주조

천태종 창시(의천)
서적포설치

예종(1105-1122)

윤관의 동북9성설치

 

7, 양현고
도교사원건립

인종(1122-1146)

이자겸의난1126
묘청의난1135

 

<삼국사기>편찬(1145)
경사6학정비

명종(1170-1197)

무신정변(1170)

김보당의 난,
조위총의 난

수선사(지눌)
<
동명왕편>편찬

고종(1213-1259)

정방과 서방설치
몽고 침입

처인성,충주성

8만대장경 조판
(
합천해인사보관)
상정고금예문(1234)

충렬왕(1274-1308)

일본원정,
동녕부와 탐라총관부폐지

녹과전지급

<삼국유사>, <제왕운기>,
성리학 도입(안향)

충선왕(1308-1313)

 

소금전매제

만권당(이제현), 수시력

공민왕(1351-1374)

관제복구, 정동행성폐지,
쌍성총관부 탈환, 홍건적의 침입

전민변정도감

성균관정비(이색), 목화전래,
대통력사용, 화통도감설치,

우왕(1374-1388)

왜구 토벌(최영, 이성계)
위화도회군(1388)

 

직지심경간행(1377)

공양왕(1389-1392)

과전법개혁(1391)

저화발행

 

 

'한국사 > 고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4. 전제왕권의 성립  (0) 2019.04.06
3. 중앙집권적 귀족국가의 발전  (0) 2019.04.06
고대 사회문화사 요약  (0) 2019.03.17
남북국시대 요약  (0) 2019.03.17
고대의 사회 간단 요약  (0) 2018.12.13

 

고 대 사

 

고대국가의 성립(왕권강화와 국가조직의 정비시기)과 발전

 

1. 고대국가의 성격(초기국가와 비교)

 

왕권의 강화 : 왕위의 세습, 부자상속

중앙집권화 : 군장세력의 중앙관료화(군장세력의 독립성 상실, 외관의 파견, 불교의수용, 율령의 반포)

정복사업의 전개 : 광대한 영토국가의 형성

2. 고구려

 

(1). 성립

태조왕(53146) 옥저복속, 현도군 축출(B.C.75), 계루부 고씨의 왕위계승

고국천왕(179197) 5부의 행정개편, 부자상속, 진대법(춘대추납, 빈민구제책, 의창의 기원)

동천왕(227248) 와 친교(중국은 위오의 삼국시대), 서안평 공격

미천왕(300331) 낙랑축출(313, 한군현의 마지막 축출), 서안평점렴(중국은 516국의 혼란기)

고국원왕(331371) 백제 근초고왕(백제의 전성기)의 침공으로 전사

 

(2). 완성

소수림왕(371384) 고대국가의 완성, 불교수용(전진:순도), 태학설치, 율령반포,

 

(3). 전성기

광개토대왕(391413) 요동진출, 만주확보(숙신정복), 한강상류확보, 영락, 신라가야에 침입한 왜구격퇴 (내물왕)

장수왕(413491) 평양천도(427), 중국 남북조와 통교, 백제공략(개로왕 전사 웅진천도)

문자명왕(491519) 고구려 최대의 영토확보

 

3. 백제

 

(1). 성립과 완성

고이왕(234286) 고대국가성립과 완성, 낙랑대방공격(한군현과 대립), 율령반포, 관제정비(6좌평, 16관 등, 관리복색제정), 서진에 사신파견

근초고왕(346375) 백제의 전성기, 마한병합, 고구려 공략(고국원왕전사), 부자상속,

국사편찬(서기:고흥), 동진왜와 통교,

해외진출(요서진출, 고대상업세력 형성), 부여씨의 왕위세습

침류왕(384385) 불교수용(동진:마라난타)

 

(2). 침체기

비유왕(427455) 제동맹 결성(433: 비유눌지)

개로왕(455475) 북위에 국서보냄, 장수왕 침공으로 전사

문주왕(475477) 웅진천도(475)

동성왕(479501) 결혼동맹(485: 동성소지)

무녕왕(501523) 22담로 설치(중앙에서 왕족파견 : 지방통제 강화), 중국 남조()와 교류

 

(3). 중흥기

성왕(523554) 사비천도, 국호를 남부여로 개칭(538), 중앙관제 22설치, 불교장려,

일본에 불교전파(노리사치계), 중국 남조와 교류, 신라와 공동으로 한강유역 회복,

신라의 배신으로 나제동맹 결렬(554)

 

3. 신라

 

(1). 성립과 발전

내물왕(356402) 고대국가의 성립기, 김씨의 왕위세습, 마립간(대군장)사용, 왜구축출(광개토왕의 도움), 북중국과 교류(고구려의 영향)

눌지왕(417458) 제동맹 결성(433: 비유눌지), 부자상속

소지왕(479500) 우역설치, 시장개설, 결혼동맹(485: 동성소지)

지증왕(500514) 한화정책(국호: 신라, 왕호: ), 군현제 실시, 우경실시, 수리사업, 순장금지, 우산국복 속

법흥왕(514540) 율령반포, 백관공복제정, 연호사용(건원), 불교공인, 병부상대등 설치, 금관가야 정복

진흥왕(540576) 영토확장( 단양적성비, 순수비: 창녕비, 북한산비, 황초령비, 마운령비),

품주 설치, 가야병합, 화랑도 공인, 국사편찬(거칠부:국사), 백좌강회,

팔관회, 황룡사건립, 국통주통제도(고려광종 : 왕사국사제도)

 

 

. 고대국가의 대외관계

 

1. 대외관계의 성격 형식적으로는 조공의 형식으로 대함.

실질적으로는 중국세력의 적절한 이용, 선진문화 수용, 정치문화적 이익을 취함.

 

2. 고구려 vs (수의 건국 : 589)

(1). 원인 : 고구려의 요서지방 선제공격, 돌궐과 연합하여 수를 자극.

(2). 결과 : 살수대첩(612)

 

3. 고구려 vs

(1). 당건국 초기 : 고구려와 사신교환, 포로교환등 친선관계 유지

(2). 당태종의 압력 : 고구려의 천리장성 축조, 연개소문의 정변과 대외정책의 강경화

(3). 결과 : 안시성 싸움(645)

 

 

. 신라의 통일전쟁기

 

1. 당 동맹의 결성 당동맹의 결성(진덕여왕, 648), 당에 <태평송>을 바치고 속히 출병요청(진덕)

2. 백제의 멸망(660)과 부흥운동 웅진도독부 설치(유인원), 복신도침왕자풍(주류성:한산),

흑치상지(임존성:대흥)

3. 고구려의 멸망(668)과 부흥운동 안동도호부 설치(설인귀): 백제와 신라의 모든 도독부 총관

검모잠안승(한성:재령)

4. 당 전쟁 계림도독부 설치(663), 부여융을 웅진도독으로 임명(664)

고구려 부흥군 이용 : 안승을 보덕국왕에 임명(670), 안승은 통일후 진골귀족으로 편입.

백제구토회복(소부리주 설치)

당전쟁 ; 매소성전투, 기벌포 전투에서 승리

안동도호부를 평양에서 요동으로 이동시킴(676. 통일을 위한 최후의 조치)

 

 

 

. 고대국가의 정치구조와 사회

 

1. 고구려의 정치구조와 사회

 

(1). 특징

1). 삼국 중 가장 먼저 관등조직 성립(대대로 이하 10여 관등)

2). 使者계열로 분리 (연장자 또는 가부장적 족장으로 종래의 군장, 사자는 조세를 거두는 사람으로 행정관리)

3). 중앙정치조직(귀족합좌제도가 존재) 귀족연합정치로 수상인 대대로제가회의에서 선출.

4). 지방행정조직 지방관 파견, 행정과 군사의 일치, 중앙집권적이고 군사적 조직

5). 3(국내성, 평양성, 한성) 정치적문화적 중심지로 주,군 감시기능도 겸함

 

(2). 사회구조

 

1). 지배층 왕을 비롯하여 5부출신의 귀족들이 정치적,군사적 실권장악(귀족연합정치)

고추가 : 전왕족 또는 왕비족의 대인에게 주는 존칭(신라의 갈문왕제도와 유사)

2). 피지배층 농민 : 일반적으로 자영농민, 조세공납力役부담(인두세가 세에 비해 무거움: 고대사회의 일면)

노비

 

(3). 율령 : 반역자패군자살인자는 사형, 절도죄는 12배 배상, 牛馬를 죽인자는 노비화

 

2. 백제의 정치조직과 사회구조

 

(1). 특징

1). 토착적 세력기반이 약하고 중국의 영향으로 가장 먼저 정치조직 정비(고이왕 : 6좌평, 16관등, 관리 복색)

2). 佐平 , 계열, 무명계열의 3단계로 구성(, , )

3). 일찍부터 중국의 영향을 받음 : 중국의 6전제 모방(6좌평제)

4). 중앙정치조직 귀족연합정치로 수상인 상좌평을 선출(정사암회의)

5). 지방행정조직 군사적행정적 조직으로 구성

 

(2). 사회구조 : 고구려와 비슷, 왕족인 부여씨와 8성의 귀족이 지배층을 이룬다.

 

3. 신라의 정치구조와 사회구조

 

(1). 특색

1). 법흥왕때 이벌찬 이하 17관등으로 정비

2). 관등제도가 신분제도(골품제도)와 연관( 진골:이벌찬, 6두품:아찬, 5두품:대나마, 4두품:대사승진의 상한)

3). 중위제도( 5, 6두품에 존재 )

4).중앙정치제도 법흥왕 : 병부, 상대등( 귀족회의 주관대변, 신라 중대에 세력약화)

진흥왕 : 품주( 총괄기관 : 기밀재정 )

진평왕 : 위화부(인사), 조부(공납), 예부(교육의식), 영객부(외교), 승부(육상교통)

진덕여왕 : 집사부(기밀), 창부(회계), 좌이방부(형벌)

5). 지방제도

 

(2). 사회구조

골품제도

화백회의 : 진골귀족들의 합좌제도로 만장일치로 중대한 사항을 결정하며, 귀족사회의 대표적인 특징.

이 제도는 각 집단의 부정을 막고 단결을 강화하는 구실을 하였으며, 귀족세력과 왕권 사이의 권 력을 조절하는 기능도 가졌다. 고구려의 제가회의, 백제의 정사암회의 등도 같은 성격의 제도.

화랑도 : 진흥왕때 공인되었으며, 옛 씨족사회의 청소년 집단에서 기원하였다. 국선과 화랑은 진골귀족출신 에서 나오고 낭도는 6두품에서 평민으로 구성되어, 대립된 계급간의 갈등을 조절완화하는 구 실을 함.

 

(3). 농민의 부역사실 입증 : 영천 청제비(법흥왕), 남산 신성비(진평왕)

 



 

. 고대국가의 문화

 

1. 불교의 수용

 

(1). 배경 : 삼국초기에는 민간신앙(천신,일월신,지신등 잡신을 모시는 샤머니즘)과 새로이 시조신(주몽, 동명,혁 거세)을 모시는 신앙이 지배적이었으나, 고대국가로 발전하는 가운데 초부족적인 사상으로 국민을 단합하는 데 필요한 고등종교(불교)의 탄생이 필요하게 되었다.

(2). 삼국불교의 특징

1). 왕실을 통한 불교수용 : , 신라는 구족세력의 반대로 100여년간 박해를 받다가 법흥왕때 공인.

2). 호국불교의 성격 : 인왕경, 인왕회(백좌강회)

3). 현세구복적 성격 : 왕권강화, 신분제를 합리화하기 위한 용도로 이용

(3). 불교의 역할 : 중앙집권화에 기여, 고대문화발전(중국문화 수입), 갈등이나 모순의 극복, 불교미술발달.

 

2. 한학유학의 발전

 

3. 도교의 전래 삼국시대 말기에 중국에서 전래, 귀족사회에 보급, 연개소문의 장려(불교세력억압목적)

강서대묘의 사신도, 산경문전, 사택지적비, 무녕왕릉지석(매지권),

세속오계(,,선 혼합), 화랑의 명칭(국선), 최치원의 사산비문

 

4. 예술의 발달

 

(1). 고구려

1). 고분 석총(장군총) : 벽화가 없다. 광개토왕릉으로 추정

토총 : 쌍영총(서방계통의 영향, 귀족의 가옥양식을 알 수 있음), 강서대묘(도교의 영향,사신도)

2). 불상 연가 7연명 금동여래 입상

(2). 백제

1). 고분 한성시대 : 고구려의 영향으로 계단식 석총(적석총)이 유행

웅진시대 : 중국 남조의 영향으로 전축분(벽돌무덤)이 유행, 소박하고 고졸한 것이 특징

공주 송산리 고분(무녕왕릉) : 사신도, 지석(매지권), 금관식

사비시대 규모는 작지만 세력(횡혈식 석실고분)

부여 능산리 고분 : 사신도

2). 불상 : 서산마애 삼존 석불, 금동보살 입상

3). 석탑 : 익산미륵사지 석탑(목조탑형식), 부여정림사지 5층석탑

 

(3). 신라

1). 고분 적석목곽분 : 벽화없음. 공예품의 보고(부장품 다수), 금관총, 천마총(벽화가 아님)

횡혈식 석실분

於宿墓 : 최근 발견된 유적으로 벽화 발견

2). 건축물 : 분황사 모전탑, 첨성대, 황룡사, 황룡사 9층 목탑

 

5. 삼국문화의 일본전파( 가장 주도적 역할을 한 나라는 백제이다.)

 

(1). 고구려 담징 : 호류사 금당벽화, 맷돌 전래

도현 : <일본세기>저술

 

(2). 백제 아직기왕인(근초고왕) : 논어천자문 전래

단양이고안무(무녕왕) : 오경박사, 유학전래

유귀노리사치계(성왕) : 오경박사유학, 불상경론전래

혜총(위덕왕) : 계율종전래

관륵(무왕) : 천문지리둔갑방술전래

 

(3). 신라( 군사적 대립이 잦아 문화전수 미약) 조선술인쇄술 전래

 

 

고대국가의 형성과 완성

 

고구려

백 제

신 라

국가기틀

태조왕(2)

고이왕(3)

내물왕(4)

부자상속

고국천왕(3)

근초고왕(4)

눌지왕(5)

확립완성

소수림왕(4)

근초고왕(4)

법흥왕(6)

불교공인

소수림왕(4)

침류왕(4)

법흥왕(6)

영토확장

광개토왕장수왕(5)

근초고왕(4)

진흥왕(6)

율령반포

소수림왕(4)

고이왕(3)

법흥왕(6)

한강확보

장수왕(5)

고이왕(3)

진흥왕(6)

 

 

세기별로 본 삼국의 발전

 

고구려

백 제

신 라

외 교

2세기

*태조왕(현도축출,옥 저동예점령)

*고국천왕

위례 지방

사로 연맹

 

3세기

*동천왕(오와 연결)

*고이왕

(한강유역점령)

 

4세기

(백제전성기)

*미천왕(낙랑축출),

*소수림왕

*근초고왕(마한점령,

고대상업세력형성)

*내물왕(왜구격퇴,고 구려전진과 교섭)

 

5세기

(고구려전성기)

*광개토왕, *장수왕(평양천도:남 하정책)

웅진천도(475)

*눌지나제동맹, 부자상속

*소지왕결혼동맹

*제동맹(433)

*결혼동맹(483)

6세기

(신라전성기)

한강상실

*무령왕(남조와통교)

*성왕(사비천도)

*지증왕

*법흥왕

*진흥왕의 정복사업

(적성비, 순수비)

*제동맹

*십자형외교(고구려백제돌궐vs 신라)

7세기

당과 전쟁

멸망(668)

멸망(660)

신라의 삼국통일기

 

 

 

 

 

삼국의 중앙관제와 지방행정조직

 

고구려

백 제

신 라

관등

대대로이하 10여 관등

좌평 이하 16관등

이벌찬 이하 17관등

수상

대대로

상좌평(내신좌평)

상대등집사부 시중

수도

5

5

6

지방

5(욕살)(처려근지)

3(국내성평양성한성)

5(방령)(군장)

22담로(왕족파견)

5(군주)

2소경(사신: 동원경, 중원경)

 

골품제도

 

1. 성립 : 중앙집권국가 성립시기, 각 지방의 족장세력들을 통합,편제하는 과정속에 왕경인 중심

2. 구분 : 진골성골(왕족), 대족장에게는 6두품(득난), 작은 족장에게 45두품

3. 역할 : 개인신분만이 아니라, 친족의 등급도 표시, 정치적 진출범위에서부터 사소한 의식주 생활양식

까지 규제

4. 6두품 : 아찬까지 승진할 수 있으며, 중대에는 왕권을 보좌하며 학문, 종교계에서 활약했으나 하대는

선종과 노장사상에 심취하여 반신라적 세력으로 변신

5. 13두품은 평민계층으로 보며, 노비는 탈락계급으로 두품이 없음.

 

 

삼국시대 예술의 특징

 

고구려

백 제

신 라

성 격

힘과 정열, 사실적 표현

우아함미의식의 세력

소박한 전통엄격조화미

건 축

석총(장군총: 벽화없음)

토총(중국의 영향, 벽화있 음)

: 강서대묘의 사신도(도교의 영향), 쌍영총의 기사도(서방계통), 무용총의 수렵도와 무용도, 각저총의 씨름도

 

 

 

한성시대(적석총) : 고구려 계통

웅진시대 : 공주송산리무덤 (무녕왕릉: 전축분), 중국남조의 영향을 받음

사비시대(횡혈식석실고분):

부여능산리무덤

미륵사지 석탑(목탑형식)

정림사지 5층석탑

 

적석목곽분(부장품다수, 벽화가 없음) : 천마총

於宿墓(벽화발견)

 

황룡사9층목탑(몽고침입 때 소실)

분황사 모전탑

첨성대

 

불 상

연가 7년명 금동여래 입상

서산 마애 삼존불상

금동 미륵보살 반가상

글 씨

광개토 대왕릉비문

사택 지적비문

무녕왕릉의 지석

단양적성비, 임신서기석,

진흥왕 순수비

공통점

2원성(민간예술의 전통적 소박성 + 지배층의 불교적귀족적세련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은 삼국이 공통적으로 제작

 

 

 

 

 

 

 

 

 

 

 

 

 

통일신라의 중앙관제

관 부 명

기 능

고 려

발 해

조 선

집사부()

군국기무

중서문하성

정당성

의정부

위 화 부

인사공훈

이 부

충 부

이 조

조 부

공납부역

호 부

삼 사

인 부

호 조

창 부

회 계

예 부

교육의식

예 부

의 부

예 조

영 객 부

외 교

병 부

국방군사

병 부

지 부

병 조

좌이방부

법률형벌

형 부

예 부

형 조

우이방부

 

예 작 부

토목영선

공 부

신 부

공 조

공 장 부

수 공 업

사 정 부

감찰풍기

어사대

중정대

사헌부

승 부

육상교통

 

 

 

선 부

해상교통

 

 

 

 

 

비석의 내용

1. 광개토왕비(장수왕:414) 3부로 구성(건국내력, 대왕의 영토확장, 묘지기인), 특히 신라가야 지방

에 침입한 왜구 격퇴사실이 기록되어 있음. 일본의 임나경영설의 근거로 사용.

2. 중원고구려비 신라를 東夷로 지칭, 신라에 고구려군이 주둔했음을 알수 있는 비석(한강상류)

3. 영일냉수리비(지증왕) 갈문왕기록, 재산권분쟁내용수록(최고의 비석)

4. 울진봉평비(법흥왕) 영토확장 및 율령반포 입증, 신라관등기록, 법흥왕을 寐錦왕으로 호칭

5. 영천청제비(법흥왕) 저수지 축조에 부역 동원 사실 입증

6. 단양적성비,순수비(진흥왕) 영토확장과정을 보여줌. 단양적성비(한강상류),창녕비(대가야지역),

북한산비(한강하류), 황초령비마운령비(강원북부함경도지방)

7. 남산신성비(진평왕) 신성축조에 부역동원사실 입증

 

'한국사 > 고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 중앙집권적 귀족국가의 발전  (0) 2019.04.06
발해, 고구려사 핵심 표 정리  (0) 2019.04.06
남북국시대 요약  (0) 2019.03.17
고대의 사회 간단 요약  (0) 2018.12.13
고대의 경제 간단 요약  (0) 2018.12.13

 

남북국시대

 

 

. 남북국가의 성립

1. 신라의 삼국통일(676)

2. 발해의 건국(698)

(1). ()국의 성립 : 고구려 장인 대조영이 동모산(길림성 돈화)에서 건국

(2). 발해의 사회구조 : 지배층은 고구려인, 피지배층은 말갈족

(3). 발해의 고구려 계승의식 : 발해 무왕때 일본에 보낸 국서에서 復高麗之舊居有扶餘之遺俗 이라고 한 것이 나 스스로 高麗國으로 칭한사실

3. 남북국가의 관계 ( 국제적 세력관계 및 국내사정에 따라 친선과 대립을 교차적으로 행하였다. )

(1). 대립 - 신라군의 발해공격( 무왕 : 732 ) : 발해 전쟁시 당의 요청으로 신라가 발해의 남쪽경계공격

- 쟁장사건(897), 등제서열사건(906)

(2). 친선 - 건국직후 : 신라에 사신파견(700), 대조영에게 대아찬(5)수여

- 원성왕(790), 헌덕왕(812)에 북국에 사신파견

- 신라에 결원 요청( 911) : 거란 공격시 신라에 결원요청, 신라수락

- 신라도(신당서), 39개의 역(고금군국지)이 존재하여 교류사실 입증(그러나 활발한 교류는 아님)

. 통일신라의 발전과 정치경제문화

 

1. 통일신라의 발전( 신라중대사회 : 무열왕 혜공왕 )

(1). 중대사회의 성격 - 신라의 전성기, 왕권의 전제화, 정치문화의 황금기

(2). 왕권의 전제화의 성격 - 진골왕위의 세습(무열왕계) : 태종무열왕, 김유신계 등장

- 진골귀족의 세력약화 : 상대등 권한 약화 (상대적으로 왕권이 강화되고 시중의 권 한이 강화됨), 갈문왕제 폐지, 화백회의 약화

(3). 왕권의 전제화 과정

신문왕( 681692 ) - 전제왕권의 확립, 김흠돌의 난을 진압하고 각종제도의 정비

- 정치제도 : 집사부 및 6전체제 정비(보충자료 참조)

- 지방제도 : 95소경

- 군사제도 : 9서당 10

- 경제제도 : 녹읍을 폐지하고 관료전 지급(진골귀족의 세력약화)

- 교육제도 : 국학 설치

성덕왕( 702737 ), 경덕왕( 742765 ) : 통일신라의 극성기

- 성덕대왕 신종, 관부와 지명의 한식화, 석굴암불국사 창건

혜공왕( 765780 ) - 5묘제(미추왕, 무열왕, 문무왕, 성덕왕, 경덕왕) : 중대에 있어서의 直祖관념 표출

2. 통일신라의 정치경제

(1). 중앙관제( 신문왕때 완성 ) - 상대 중대에 걸쳐 점진적으로 설치됨.

- 당제 6전조직의 모방(형식적)

- 독자적 운영 : 단일성(집사성)중심으로 운영

(2). 지방관제( 신문왕 : 95소경 )

1). 9(군주총관도독) 주장관의 명칭변화 : 군사적 성격에서 행정적 성격으로의 변화(민정장관)

외관의 파견 : 중앙에서 파견

외사정 설치(,) : 감찰임무

2).

3). 5소경(사신) 중원경(충주), 북원경(원주), 금관경(김해), 서원경(청주), 남원경(남원)

방향에 맞추어 설치, 수도편제 극복, 지방세력 감시견제목적

정복한 국가의 귀족을 강제 이주시킴 : 중원경(가야), 남원경(고구려)

중앙의 귀족 파견

행정적 의미보다 정치적문화적인 필요에 의해 설치

4). - 몇 개의 자연촌이 합쳐진 행정적 지역촌 (민정문서 또는 신라장적 : 보충프린트 참조)

- 토착적 유력자인 촌주가 통제 ( 현령을 통한 간접통제)

5). 부곡(특수행정조직) - 피정복자 집단, 전쟁포로의 집단 거주지

- 천민집단

토착세력에 대한 - 우대 : 촌주, 군현의 관리로 임명, 외관보좌

- 통제 : 상수리 제도 ( 고려 기인제, 조선 영저리경저리제도의 기원)

 

(3). 통일신라의 군사제도 : 전제왕권의 밑받침이 되는 중앙군의 강화가 특색.

1). 중앙군 : 9서당(신문왕) - 통일전 서당의 확대개편

- 왕경에 주둔, 국왕직속의 특수부대( 왕권강화 )

- 고구려, 백제 말갈등 피정복민을 흡수포함(깃의 색깔로 구분)

- 신라(), 백제(), 고구려(황금), 말갈(흑금), 보덕국(적벽)

2). 지방군 : 10 - 각주에 하나씩(단 한주만 2) 설치(신라 지방제도가 군사적 조직과 결합)

5주서 - 강주전주한주삭주명주

3변수당 - 국경지대

 

(4). 토지제도 : 통일전 귀족은 식읍(공훈), 녹읍(관직기준)을 받았으며, 녹읍은 백성들의 노동력도 징발

- 관료전 지급 ( 신문왕: 687 ) : 왕권강화책의 일환으로 녹읍을 폐지하고 관료전 지급.

- 정전 지급 ( 성덕왕: 722 ) : 신라장적의 연수유답

- 녹읍의 부활 ( 경덕왕: 757 ) ; 귀족들의 반발로 녹읍부활, 귀족의 경제적 기반이 됨.

 

3, 통일신라의 문화

(1). 유학의 발달 : 전제왕권 확립의 필요성에서 유교정치 이념 도입

국학 (신문왕 682) - 교과를 3과로 나누고 박사조교 설치

- 공통과목(논어, 효경), 예기주역, 좌전모시, 상서문선

- 명칭변경 : 국학(신문왕) 태학감(경덕왕) 국학(혜공왕)

독서 삼품과 (원성왕 788) - 국학에 설치한 관리 채용 시험제도

- 목적 : 골품위주 관리등용 지양, 능력위주 지향(왕권강화)

- 결과 : 실패( 골품제의 견고성, 진골귀족의 반대 )

(2), 한학의 발달 강수(6두품) - 외교문서 작성

설총(6두품) - 이두, <화왕계>: 군주의 도덕정치 요구

김대문(진골) - <계림잡전>, <고승전>, <화랑세기>, <악본>, <한산기>

- 부전함, 문화주체의식(모방단계극복)

김운경, 김가기, 최치원( 시무책 10, 계원필경, 제왕연대력 )

(3). 향가문학의 발달 - 특징 : 일반민간에도 널리퍼짐, 통일후 더욱발전, 승려와 화랑작품 다수.

- 작품 : <삼대목 : 부전 >, <삼국유사 : 14>, 서동요, 혜성가는 통일전 작품.

(4). 불교의 발달

1). 특징 : 대중불교화(정토신앙), 교학적 측면 발달(5성립)

2). 5교의 성립 화엄종(의상, 영풍부석사) 圓融調和의 사상, 계층간귀족간 갈등 해소

지배층인 진골귀족의지지( 귀족불교 )

통일후 전제왕권 강화의 이념적 도구 (一卽多 多卽一 사상)

고려초 균여(광종)로 이어짐.

 

 

법상종(진표, 금산사) 원측의 유식학, 티벳불교에 영향

경덕왕때 화엄종과 대립할 정도로 성장

고려중기(인종대, 특히 이자겸) 귀족불교로 부흥

열반종(통일전: 보덕, 전주 경복사)

계율종(통일전: 자장, 양산 통도사)

법성종(원효, 경주 분황사)

원효의 <통불교 사상>, <화쟁사상> - 최고의 경전을 <화엄경>으로 삼음.

- 불교의 종합화대중화에 기여

- 민중불교의 성격

<정토 사상> - 통일전 발생하여 통일후 발전

- 민중불교의 성격, 염불만으로 극락왕생

- 전불교적 현상: 왕실노비까지 모두지지, 생활의 일부

- *대승기신론소, *십문화쟁론 *금강삼매경론

(5). 예술의 발달

1). 특징 - 불교미술중심으로 발달, 사실적인 기법에 생동감조화미

2). 건축 불국사(경덕왕, 김대성) - 임진왜란때 소실

- 석가탑(간소장중), 다보탑(복잡화려한 형식미, 균형미

석굴암(경덕왕, 김대성) - 화강암, 인조석굴

석등 : 법주사 쌍사자 석등, 불굴사 석등

범종 : 상원사종(最古의 종), 성덕대왕 신종(봉덕사종)

석탑 통일기 : 3층석탑 양식 유행 ( 고려 : 다층양식 유행 )

감은사지3층석탑, 불국사 3층석탑(석가탑), 다보탑, 화엄사 4사자 3층석탑

3). 고분 통일후 횡혈식 석실분 유행 ( 분묘제작이 세련 )

12지신상 조각유행( 김유신묘, 성덕왕릉, 괘릉: 원성왕릉 추정 )

4). 서화 김생(왕희지체, 원화첩:부전), 요극일(구양순체)

(6). 일본문화에의 영향 : 하쿠오(백봉) 문화에 영향을 줌

 



. 발해의 발전과 사회문화

 

1. 발해의 발전 무왕(719737) 일본에 사신파견, 고구려 계승의식

당과의 전쟁 : 산둥지방(덩저우) 공격(732)

신라와 대립 : 당 연합군 침

문왕(737793) 당과 화친 ( 제도문화 수입

선왕(818830) 전성기, <해동성국>이라고 불림.

 

2. 발해의 정치와 사회

(1). 중앙정치조직 형식적 당제모방 : 36

운영상 독자성 - 6부의 명칭이 유교적

- 6부의 운영이 이원적

- 정당성 중심운영

1). (가독부)

2). 3- 정당성(정당 : 대내상) : 귀족합좌기관 , ,

- 선조성(좌상) , ,

- 중대성(우상)

3). 기타 중정대 : 감찰기관

문적원 : 도서기관

주자감 : 국립대학. 사빈사 : 외빈접대

 

(2). 지방행정조직 5: 상경(수도), 중경, 동경, 남경, 서경, 수도의 편재성 극복

15(도독) : 지방행정의 중심지

62(자사)

, 촌락( 토착 유력자인 수령이 통치 )

(3). 발해의 사회구조 지배층 : 왕족인 大氏, 귀족인 高氏(고구려귀족)

피지배층 : 말갈( 농업에 종사 )

 

3. 발해의 문화

(1). 특색 : 고구려문화의 바탕위에 당의 선진문화 흡수

(2). 고구려 문화 영향 불교유물( 불상: 이불병좌상, 석등, 연화문 와당 ), 온돌장치

고분 : 육정산 고분군(정혜공주묘 : 횡혈식 석실분, 두팔천정구조)

용두산 고분군(정효공주묘 : 도교, )

(3). 당문화의 영향 상경의 주작대로, 36부제도

 

. 신라하대의 상황과 후삼국( 선덕왕: 780 경순왕: 935 )

 

1. 귀족사회의 동요

(1). 진골귀족의 왕위쟁탈전 大恭의 난(혜공왕: 768)발생 : 진골귀족들간의 상쟁

내물왕계 등장(선덕왕) : 이후 왕위쟁탈전이 격화되어 155년간 20여명이교체

( 시중세력이 약화되고 상대등 권력이 강화됨 )

(2). 김헌창의 난(822) 무열왕의 후손으로 웅천주(공주) 도독, 국호를 長安, 연호를 慶雲

(3). 김범문의 난(825)

(4). 장보고의 난(846) 청해진(완도)설치, 김우징을 도와 신무왕으로 옹립

 

2. 사회 동요

(1). 골품제 붕괴 통일기에 성골이 사라짐(무열왕), 통일후에는 1,2,3두품은 사라지고 4두품은 평민화.

(2). 농장의 확대농민몰락 9세기말 진성여왕 이후 농민봉기 극성

(3). 6두품 세력의 대두 학문적 식견을 가진 유학자로 중대에는 왕권과 결합

행정적 실무를 담당하며, 하대에는 반신라적 세력으로 호족과 연결(최언위, 최승우)

숙위학생, 고려건국의 사상적 배경

(4). 지방세력의 대두 호족세력 유형 - 토착적 지방세력 : 지방촌주출신으로 촌락민을 통제한 유력자

- 중앙귀족출신 : 진골이나 6두품의 중앙귀족들 또는 외관으로 파견 되었다가 호족화

군진세력 호족의 두 유형 가운데 후자에 속함.

국경지대에 설치된 패강진과 청해진

그리고 혈구진(왕건과 연결)이 대표적

사원세력 선종9산의 사원세력(주로 6두품출신이 많음)

농 민 군 진성여왕 이후 극성

원종애노(상주), 양길(북원:원주), 견훤(완산주), 궁예(철원), 기훤(죽주)

 

 

지방세력(특히 호족)의 성격 중앙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 자립하고 그 지방의 백성들을 지배

스스로 將軍 또는 城主라고 칭하고, 군사력을 가지고 그 지방의 행정을 장 악하고 조세역역을 징수

지방의 막대한 農莊私兵을 배경으로함.

지방행정에 참여한 경험을 살려 신라 중앙제도를 모방하여 관반제 이룩.

 

. 신라하대의 사상변화

1. 선종의 대두

(1). 전래 통일전 전래 ( 선덕여왕 : 법랑 ) , 통일후 : 북종선(혜공왕:신행), 남종선(헌덕왕:도의)

(2). 성격 不立文字, 見性悟道 주장

민중적, 혁신적으로 귀족불교인 교종과 대조 : 신라사회에 대한 개혁 주장

산중불교, 지방호족과 연결 ( 반신라적 세력으로 등장)

(3). 9산의 성립 도의의 가지산파로부터 시작하여 이엄의 수미산파로 9산성립

선종의 승려로는 진골귀족의 몰락자(무염, 범일), 6두품, 지방호족출신(도윤,혜철)이 있다.

(4). 선종의 영향 중국문화에 대한 이해

고려 한문학 발달에 기여

반신라적 움직임(호족, 6두품)과 연결되어 고려건국의 사상적 기반

조형미술의 쇠퇴

(5). 선종과 교종의 비교

 

2. 유교의 정치이념화와 사상의 복합

(1). 유교정치이념의 등장 신라하대에는 최치원(시무 10)을 비롯한 도당유학생 출신의 유학자가 배출되어 골품제도를 비판하고 유교정치 실현 주장.

(2). 영향 지방호족과 결합 : 지방호족의 학문적 소양 증진. 최승우(견훤), 최언위(왕건)

지방문화의 발전 : 이 시대의 호족은 선종을 후원함과 동시에 유학을 정치이념으로 삼음.

불의 결합 - 당대의 지식인들은 선종을 이해하고 포용

- 선승들도 유교사상에도 상당한 이해를 갖고 있었음

- 호족들도 유교와 선종을 장려

(3). 도교와 노장사상 : 귀족들의 사치향락에 반발하는 은둔사상.

(4). 풍수지리사상 <도선비기>, 예언적 도참신앙

지방호족과 연결

예언사상으로 신라정부의 권위 약화. 고려건국의 사상적 배경

고려태조도 훈요10에서 풍수지리 강조

 

남북국시대 보충자료

 

1. 민정문서(신라장적) 서원경 부근 4개촌의 민정문서로 일본 東大寺 正倉院에서 발견(경덕왕 : 755)

장적에는 村役, 烟數(호수), 인구수(노비포함), 牛馬, 토지면적, 과수(뽕나무, 잣나무, 호 두나무)등이 기록되어 있음. ( 촌주가 3마다 작성 - 촌주가 지배)

9等戶制 : 호의 등급을 人丁多寡에 따라 9개로 편성.

人丁은 성별연령별로 6등급으로 나눔. (여자, 노비도 포함하여 노동력 수취의 대상)

지급된 토지의 내용

麻田 : 촌민의 공동경작지

烟受有沓 : 호별로 농민들이 경작하는 토지로써, 성덕왕(722)때에 지급된 정전이으로 추정됨.

官謨畓 : 소출이 국가에 들어가는 官有地

內視令畓 : 내시령이라는 관리에게 할당된 관료전

村主位畓 : 촌주에게 할당된 토지(고려시대에는 외역전)

: 통일신라시대의 농민들은 자영농민으로서 독립적으로 연수유답을 소유경작하는 동시에, 촌에 할당된 공유지를 공동경작하는 力役을 부담.

 

2. 신라시대 의 성격과 村主

촌은 가장 말단 행정구역으로 중앙에서 외관이 파견된 것이 아니라. 몇 개의 촌락을 관할하

토착적 지배세력인 촌주의 지배를 받음.

촌의 생뢀상은 신라장적참조( 자연촌락을 기준으로 편성된 지역적 행정촌 )

국가의 관리대상은 농민과 노비이고, 농민은 연령성별로 6등급으로 구분

촌주는 王京人이 아님. 고려 향리의 기원으로 보며 토착세력으로 촌주위답을 받았고, 5두품4두 품에 대당하는 신분적 특권을 누림

 

3. 발해와 관련된 문헌 : 발해사의 연구는 조선시대 호란 이후 반청감정이 고조되면서 시작.

발해고(유득공) : 남북국 시대를 처음으로 다루고, 반도 중심의 협소한 사관 극복.

동사강목(삼국사기의 북국을 발해로 명명)

삼국유사(말갈건국으로 기록)

제왕운기(고구려 구장인 대조영 건국)

 

4. 인쇄물

(1). 무구정광 다라니경(751) : 현존 최고목판인쇄본, 석가탑에서 발견.

(2). 고려대장경(초조대장경 : 1012) : 현종대에 거란의 침입을 막기위해 기록시작

(3). 속장경(1096) : 의천이 송일본 등지에서 수집한 불경을 종합하여 신편제종교장총록을 만들고 이에 따라 흥왕사에 교장도감을 설치하고 조판함.

고대의 사회


1. 삼국시대 사회

(1) 삼국시대 사회 성격

계층상의 차이가 분명한 계급사회

귀족, 평민, 노비 등 엄격한 신분제도 마련 - 중인층은 별도로 없음

법률이 엄격한 율령사회로 사형제도 존재

개인의 능력보다 친족의 신분을 중시한 신분중심 사회 - 골품제 사회

 

(2) 고구려 사회

지배계층 

󰠆󰠏 왕족 : 계루부 고씨 왕위 세습

󰠌󰠏 귀족 : 5부족 출신 -> 사병 소유 가능

피지배층 - 농민이 중심이고 농민을 보호하기 위해 진대법 마련

법률

반역자나 패군자·살인자는 사형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12배로 배상

우마를 죽인 자는 노비로 삼음

 

(3) 백제 사회

지배계층 󰠆󰠏 왕족 : 부여씨 왕족

󰠌󰠏 귀족 : 8대 성씨를 중심으로 한 연합정치

피지배층 - 대다수 농민이 중심이고 천민과 노비 존재

법률

살인자, 패전자는 모두 사형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2배로 배상

간음한 자를 노비로 삼음

 

(4) 신라 사회

씨족사회의 전통을 계승한 화백과 화랑도

골품제를 중심으로 한 폐쇄적 신분사회

 

(5) 골품제도

성립 배경

지방의 족장 세력을 중앙의 관리로 통합 편제하는 과정

내용

성골

부부가 모두 왕족으로 왕이 될 수 있는 최고의 신분

진덕여왕 이후 소멸하고 진골 귀족이 왕위 계승

갈문왕 제도 마련

 

심화학습갈문왕 제도

의미 : 국왕의 생부, 장인, 형제와 여왕의 남편에 부여하는 특별 존칭

유사제도 : 고구려 - 고추가, 백제 - 길사, 조선 - 대원군 제도

上代 - 성골이 왕위를 계승할 때 갈문왕 제도 존재

中代 - 무열왕계가 왕위를 계승하면서 소멸

下代 - 왕위쟁탈전으로 왕권이 약화되어 다시 부활

 



진골

5관등인 대아찬 이상의 관직을 독점

17관등의 관직을 모두 할 수 있음

무열왕 이후 왕위계승

모든 관직의 장관을 독점하고 화랑과 장군이 될 수 있음

집의 규모를 24척으로 규정

다른 나라 왕족도 편입 가능 - 김유신, 안승

6두품

지방의 대족장 출신 - 주로 경주 지방 사로 6촌이 중심

관직 진출의 한계성 때문에 6관등인 아찬까지 승진

학문과 종교 활동에 전념 - 원효, 설총, 최치원

도당 유학생 다수 배출

신라하대 반신라 세력으로 성장

각부 차관인 시랑과 경을 역임

집의 규모는 21척으로 규정

5두품

10관등인 대나마까지 승진 가능

4두품

12관등인 대사까지 승진 가능

특징

개인의 신분뿐 아니라 친족의 등급 표시

사회활동과 정치활동의 범위 결정

관등과 밀접한 관계

골품의 한계를 극복할 수 없음

중위제 마련 - 골품의 한계를 넘지 않고 승진 가능한 제도

붕괴

신라하대 중앙 정치의 문란으로 붕괴

중세 능력 중심의 사회로 발전하는 계기

 

(6) 화백제도

씨족사회에서 유래된 만장일치 제도

집단의 부정 방지와 결속 강화가 목적

귀족 세력과 왕 사이의 권력을 조절 - 귀족 연합 정치 성격

법흥왕 때 마련된 제도로 의장을 상대등, 구성원을 대등이라 함

4영지를 중심으로 회의(-청송산, -피전, -오지산, -금강산)

 

(7) 화랑도

옛 씨족 사회의 청소년 집단에서 유래

진흥왕 때 공인

계급간의 갈등을 조절·완화시키는 기능

유교 경전과 무예를 교육하는 전사단체

화랑은 진골귀족이고 낭도는 다수의 6두품 이하(서민도 가능)로 구성

원광법사의 세속오계 기본정신

사회 중견 인물을 양성하는 교육단체

임신서기석(진평왕, 612) - 신라 화랑의 유교 경전 학습 사실 입증

 



2. 남북국가의 사회

(1) 통일신라 사회의 특성

우리 민족이 하나의 통일된 정부 수립

영역 확대와 인구 증가로 국가 경제력 증대

단일한 민족 문화와 사회를 이룸 => 이유 : 삼국 사회가 혈연적 동질성과 문화적 공통점을 많이 지녔기 때문

 

(2) 신라 중대 사회

왕권이 전제화되었으며 성골 왕위가 진골 왕위로 변화

국왕의 정치적 조언자로서 6두품 세력의 부각

6두품이 집사부 시랑직에 임명

 

(3) 신라 하대 사회

6두품 세력

중앙 권력에서 점차 배제

유교 이념을 내세워 국가 체제 내에서 개혁을 시도했으나 거부함

반신라화로 호족과 연결

교종의 권위에 도전하는 선종의 등장에 주도적 역할 수행

호족 세력

풍수지리설 수용에 적극적임

방대한 토지를 소유하고 백성을 지배함

지방의 징세권과 군사권까지 장악함으로써 지방 분권 현상 초래

새로운 관료제를 만들어 백성들을 통치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공고히 함

지방에 학교를 설치하여 학문을 지방으로 확산시킴

고려의 왕조의 건설에 주동적 역할 담당

 

(4) 발해의 사회

지배층은 왕족인 대씨와 귀족인 고씨 등 고구려인 계통으로 구성

대다수 말갈족은 촌락에 거주하며 농경에 종사

촌락은 촌장을 통하여 국가의 지배를 받음

말갈족 사회의 내부 조직은 그대로 보존

고대의 경제


1.삼국의 경제생활

(1) 특징

① 농업 중심의 경제 생활

② 왕토 사상에 의한 토지 국유제 원칙 자영농의 개인 토지 인정

③ 귀족 중심의 경제 녹읍식읍을 받음

④ 조세제도 마련되었고 귀족들의 고리대업이 성행함


(2) 고구려

① 토지제도

㉠ 토지의 국유제 원칙 ⇒ 자기의 토지를 경작한 자영농민 인정

㉡ 토지단위로 경무법 사용

② 조세제도

㉠ 자영농민에게 조세·공부·역역을 부과

㉡ 세는 사람을 기준으로 포5필과 곡5석으로 징수

㉢ 조는 호를 3등급으로 구분하여 1·7·5두로 징수

 

(3) 백제

① 토지제도

㉠ 토지 국유제 원칙

㉡ 토지 단위로 두락제 사용

② 조세제도

㉠ 농민을 수취대상으로 파악하여 조세·공부·요역을 부과

㉡ 조세와 공부는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포와 곡으로 차등 징

 

(4) 신라

① 토지제도

㉠ 국유제를 원칙으로 하고 자영농민 인정

㉡ 토지 측량 단위로 결부법 사용 → 고려·조선에 계승

② 조세제도

㉠ 진흥왕 때 품주라는 세를 관장하는 관부 설치

㉡ 진평왕 때 공부를 관장하는 조부 설치

㉢ 진덕여왕 때 품주가 집사부와 창부로 분화

㉣ 신라는 전국적 조세 행정이 체계화되어 있음.

③ 부역동원

㉠ 법흥왕 23(536)에 영천의 청제를 수리할 때

㉡ 진평왕 13(591)에 남산신성을 쌓을 때

(5) 고리대업 성행

삼국 모두 고리대업이 성행하였고 고구려는 진대법을 마련하여 농민 보호

 

보충학습】 고구려의 진대법

㉠ 고국천왕 때 을파소 건의(194)

㉡ 봄에 곡식을 빌려 가을에 갚는 빈민 구제 제도

㉢ 현재의 영농 자금 대출과 유사

 

(6) 도시의 발달

① 수도는 정치사회의 중심지로 관청이 집중되어 도시로 성장

② 수도를 방어하기 위하여 재성과 나성을 축조하고 신라는 재성 대신 산성을 축조

③ 수도는 사람이 많이 모여 살았기 때문에 시장 개설

 

(7) 대외 무역 발달

① 고구려 중국 남북조 및 북방 민족과도 교류하여 무역의 폭이 가장 넓음

② 백제 고대 해상 세력을 형성 삼국 중 가장 무역 활발

③ 신라 : 6세기 한강 유역 확보 이후 중국과 직접 교류

④ 교역품 󰠆󰠏 수출품 마직물·은세공품모피류인삼 등

󰠌󰠏 수입품 비단서적약재 등 귀족의 사치품

 

(8) 고대인의 식생활

① 쌀은 왕족이나 귀족이 먹는 곡물

② 일반 백성은 보리조 등을 주식으로 함

③ 곡물을 찧을 때 디딜방아절구 사용

④ 밥을 지을 때 솥시루 사용 → 안악 3호 고분 입증

⑤ 고조선 이래 아욱배추무 등을 채소로 이용한 김치를 담그고 소금젓갈 도 사용

☞ 오늘날과 같이 고추를 이용한 김치는 임난 이후(17c) 가능

 



2. 통일신라의 경제

(1) 특징

① 귀족 중심의 경제

② 귀족의 녹읍을 폐지하고 관료전 지급 -> 경덕왕 때 다시 녹읍 부활

③ 국가가 농민을 직접 지배하기 위하여 정전 지급(성덕왕21, 722)

④ 귀족 중심의 사치와 향락 생활 금입택사절유택안압지포석정

⑤ 통일전 동시 외에 서시남시 설치

⑥ ·은 세공기술 및 나전칠기의 공예기술 발달

⑦ 흥덕왕때 김대렴이 당에서 차 전래하여 재배

☞ 차가 최초의 전래로 전래된 것은 삼국시대 선덕여왕 때로 봄

 

(2) 신라장적(=민정문서)

① 발견

㉠ 1933년 일본 동대사의 정창원에서 발견

㉡ 8세기 중엽 경덕왕 때 작성

㉢ 서원경(=청주중심의 4개 촌락 문서 현존

② 3년마다 촌주가 작성

③ 국가의 부역과 조세 기준의 근거 마련이 목적

④ 면적호수인구전답가축마전백자상전 등 철저히 파악

⑤ 호를 기준으로 인정의 다과에 따라 9등급

⑥ 인정을 기준으로 연령별남녀별 6등급으로 구별

⑦ 민정문서상에 보이는 토지

㉠ 촌주에게 지급되는 촌주위답

㉡ 농민에게 정전으로 지급되는 연수유답

㉢ 내시령이라는 관료에게 지급되는 내시령답

㉣ 왕실과 관청에 지급되는 관모답

⑧ 평민 이외에 향·부곡민 및 노비의 노동력도 철저히 동원

 

(3) 발해의 산업

① 농업

㉠ 논농사보다는 밭농사를 주로 하여 콩·조 등 곡물이 많이 재배

㉡ 철제 농기구가 사용되고 수리 시설이 확충됨으로써 점차로 재배하는 곡 물의 수도 많아졌고 벼농사도 이루어짐

② 수공업

㉠ 제철업이 발달하여 금속 가공업이 성행

㉡ 방직업이나 목재피혁의 가공업도 발전

③ 목축·수렵

㉠ 솔빈부에서 명마가 많이 생산

㉡ 돼지나 소 사육

㉢ 모피녹용사향 등 생산

㉣ 옷감으로는 짐승의 털가죽이나 베비단이 사용

④ 어업

㉠ 고기잡이 도구가 개량되어 그물 사용

㉡ 먼 바다에 나아가 고래를 잡기도 함

 

(4) 통일신라의 무역

① 무역항

㉠ 영암에서 상하이 방면

㉡ 남양만(=당항성)에서 산둥 방면

㉢ 울산항이 가장 발달하고 아라비아 상인까지 왕래

② 교역품 󰠆󰠏 수출품 어아주조아주고운베인삼·은세공품해표피

󰠌󰠏 수입품 비단약재 등 귀족의 사치품이 주류

③ 신라 중대 공무역 발달신라 하대 사무역 발달

 

(5) 신라인의 대당 활동

① 신라방 산둥강소성에 있는 신라인의 집단 거류지

② 신라소 신라방에 설치된 자치적 행정 기관

③ 신라관 신라방에 설치된 신라인의 유숙소

④ 신라원 신라인이 신라방 안에 설치한 사원

⑤ 법화원 장보고가 신라방 안에 설치한 절

 

(6) 일본과의 무역

① 통일 초기에 일본이 신라를 경계함으로써 경제 교류가 그전처럼 자유롭지 못함

② 8세기에 이르러 정치가 안정되면서 두 나라의 교류가 다시 활발해짐

 

(7) 장보고의 활약

① 흥덕왕 3(828)에 활약

②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여 활약 문성왕 13년 폐지

③ 해적 소탕 및 중개무역 독점

④ 견당매물사 및 회역사를 파견하고 무역선인 교관선 파견

⑤ 신무왕의 왕위 쟁탈전에 참여 → 민애왕 축출

⑥ 염장에게 피살됨

 

(8) 발해의 상업

발해는 상업이 크게 흥한 것은 아니지만 곳곳에 시장이 개설됨

 

(9) 발해의 무역

① 당과 평화관계가 성립되면서 무역이 활발히 전개

② 당의 덩조우에 발해관 설치

③ 발해의 교관선이 자주 왕래함

④ 왕실이나 귀족의 공무역이 행해졌으나 민간 무역도 이루어짐

⑤ 수출품은 모피인삼·은 등의 토산품이 주류

⑥ 그 밖의 불상유리잔 등의 공예도 유명

⑦ 발해와 일본의 무역 규모는 매우 컸음 => 한번에 수백명이 일본에 가서 교역 활동을 전개함

⑧ 신라도 통일신라와 발해의 무역로

⑨ 일본도 발해와 일본의 무역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