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대 국가


고대국가의 특징: 중앙집권국가, 율령, 신분제, 불교, 영토확장 등.



삼국시대의 태동

고구려 (BC 37AD 668)

백제 (BC 18AD 660)

신라 (BC.57AD 935)

삼국 중 가장 먼저 고대국가의 기틀 마련

 

동명성왕(BC 3719): 건국

유리왕(BC 19AD 18): 22년에 국내 성 천도, 33년에 고구려현 정복.

 

대무신왕(AD 1844): 개마국 병합. 국 토를 살수 이북까지. 낙랑군.

 

민중왕(4448)

모본왕(4853)

국조왕(53146): 태조왕. 중앙집권국 가의 기틀을 마련. 대외팽창정책. 지 방부족을 5부로.

 

차대왕(146165)

신대왕(165179)

고국천왕(179197): 5부를 중앙행정 으로. 부자상속. 진대법 실시. 국양왕.

 

산상왕(197229)

동천왕(227247): 248년에 신라와 화친. 서안평 공격- 위의 침입을 받아 실패하 고 한때 위축.

 

중천왕(247270)

서천왕(270292)

봉상왕(292300): 2, 5년에 연나라 의 침입을 격퇴. 사치와 방탕에 빠져 국상 창조리에게 폐위되자 자살.

 

 

 

 

 

유이민의 지배층과 한강 토착세력 기반

 

온조왕(BC 18AD 29): 위례성 건국. BC 5년 한산 천도. AD 8년 마한 병합.

 

다루왕(AD 2877): 말갈족 격퇴, 37년 낙랑군 멸망.

 

기루왕(77128)

개루왕(128166): 132년에 북한산성 건설.

초고왕(166214): 신라 다회 침공. 210 년 적현성, 사도성 축조.

 

구수왕(214234): 제방과 농업장려. 귀수왕.

사반왕(234): 사비왕

고이왕(234286): 3C 중엽에 한강유 역통합. 중국문물 수입. 관등관복제.

 

책계왕(286298)

분서왕(298304): 낙랑군 서현 점령, 낙 랑군측 자객에게 피살.

 

비류왕(304344)

설왕(344346)

 

 

 

 

 

 

 

 

 

 

 

경주 토착민+유이민, 사로국에서 발전

 

박혁거세거서간(BC 57AD 4): 서라벌 건국. 21년에 수도를 금성이라 하고 축성. 거서간=군장

 

남해차차웅(AD 424): 병선 100여척으 로 왜구 격퇴. 차차웅=제사장, 무당

 

유리이사금(2457): 6부를 개칭. 하 사. 도솔가 지음. 이사금=연장자, 계승자

 

탈해이사금(5780): 석탈해. 65년 국호 를 계림이라 함. 박석김 교대 집권.

 

파사이사금(80112): 여러 나라를 병합.

 

지마이사금(112134): 백제의 협조로 말 갈 격퇴. 지미왕.

 

일성이사금(134154): 경지 개간. 사치 금함.

아달라이사금(154184): 설치, 도로개통.

 

벌휴이사금(184196)

나해이사금(196230)

조분이사금(230247)

첨해이사금(247261): 고구려와 통교.

미추이사금(262284): 김씨 왕가의 시초.

유례이사금(284298): 백제와 수교.

기림이사금(298310)

흘해이사금(310356)

내물마립간(356402): 김씨만의 왕위 세습권. 왜의 침략을 물리치자 고구려 의 내정간섭. 중국 문물 흡수.마립간= 대수장, 통치자.



가야 연맹(AD 42532)


성립: 변한 1212가야에서 철기문화와 농업생산력을 바탕으로 성장.


금관 가야(전기 가야 연맹): 3세기 경 김수로의 금관가야를 중심으로 6가 야 연맹왕국 성립. 벼농사 발달. 철의 낙랑, 왜 중계무역.


대가야의 발전(후기 가야 연맹)

5세기 초: 전기 가야 연맹이 해체되면서 김해, 창원 중심의 동남부 세력이 약화. 고령, 합천, 거창, 함양 등지는 세력 유지.

5세기 후반: 고구려의 낙동강 진출과 신라의 압력으로 주도권이 대 가야로 이동. 경상도 내륙 산간 지역 대규모의 고분이 이를 반영. 고 대국가로는 발전 못함.


가야의 대외 관계

5세기 후반: 중국 남조에 사신 파견, 백제신라와 동맹하여 고구려에 대항.

6세기 초: 백제, 신라와 대등한 세력. 신라와 결혼 동맹을 맺어 고립에서 벗어나려 함.


가야의 경제

농경 문화: 벼농사가 발달, 토기 기술 보급, 수공업도 번성.

중계 무역: 풍부한 철과 해상 교통을 바탕으로 낙랑-규슈 중계무역.


가야의 문화

유적: 고령 지산동 고분, 부산 복천동 고분, 함안 말이산 고분, 창녕 계남리 고분.

유물: 고분에서 금동관, 철제 무기와 갑옷, 토기 등 발굴.

가야 문화의 영향: 스에키 토기에 직접 영향. 신라 문화에도 영향.

 




2. 삼국의 통치체제

고구려

백제

신라

전성기 5C(소수림왕문자왕): 광개토왕에서 장수왕까지 요동만주죽령이북 점령.

 

미천왕(300330): 서안평을 점령(311) 하여 교통의 요지 확보. 현도군 공격. 대방낙랑군 완전격퇴(313). 전연요 동 격전 중 수도 함락.

 

고국원왕(331371): 전연의 침입- 선 비족인 모용씨 침입. 근초고왕과 평 양에서 싸우다 전사.

 

소수림왕(371384): 전진과 수교. 율 령불교태학.

 

고국양왕(384391): 요동백제 정벌.

 

 

 

 

 

 

전성기 4C: 마한대방 점령. 요서규슈 진출(근초고왕근구수왕).

 

근초고왕(346375): 마한과 대방 병 합(369). 가야 지배. 고국원왕 패사. 요 서산둥규슈 진출. 부자상속제. 아 직기 일본 파견. 사서 서기 저술.

 

근구수왕(375384): 일본과 국교 체결. 왕인 파견.

침류왕(384385): 불교 공인.

진사왕(385392): 광개토대왕이 빼앗은 한강 이북을 회복하려다 병사.

 

아신왕(392405): 고구려와의 전쟁에서 모두 패함. 일본과 화친하여 태자 볼모.

 

전지왕(405420)

구이산왕(420427)

비유왕(427454): 신라와 친선.

개로왕(455475): 위에 국서 보냄. 장수 왕에게 패사.

비약기 6C: 한강낙동함흥 점령(법흥왕진흥왕)

 

내물마립간(356402): 김씨만의 왕위 세습권. 왜의 침략을 물리치자 고구려 의 내정간섭. 중국 문물 흡수.마립간= 대수장, 통치자.

 

실성마립간(402417)

눌지마립간(417458): 나제동맹. 66. 우차법 제정(438). 묵호자로부터의 불교 전파.

 

자비마립간(458479)

소지마립간(497500)

지증왕(500514): 국호를 신라로, 왕 호를 왕으로. 지방의 주군 정비. 이 사부의 우산국 정벌. 동시전 설치.

 

법흥왕(514540): 불교, 골품제. 병부 와 상대등. 공복, 율령. 금관가야 정 복. 소경 설치(514). 연호 建元(536).

 


고구려

백제

신라

광개토대왕(391413): 만주한강 이 북 차지. 신라가야왜의 경쟁에 영 향. 불교 신봉. 호태왕, 영락대왕. 연 호 영락

장수왕(413490): 흥안령 진출. 중국 남북조의 대립 이용. 평양성 천도 (427). 죽령남양 국경선. 중국과 대등한 지위. 한성 함락개로왕 패 사(63). 신라 7개성 함락(68).

 

문자명왕(491519): 부여 섬멸(3),  백제를 다회 침공. 문자왕, 명치호왕.

 

안장왕(519531): 백제와 2회 전투.

안원왕(531545): , 동위와 수교.

 양원왕(545559): 돌궐 격퇴. 신라    제로부터 공격받음

문주왕(475477): 웅진 천도(475).

삼근왕(477479): 해구의 반란 진압.

동성왕(479501): 신라와 결혼동맹 (493)하여 고구려에 대항. 탐라 복속 (498).

 

무령왕(501523): 지방 22담로에 왕   족파견. 쌍현성 건설.

 

성왕(523554): 사비 천도(538).    호를 남부여로. 22, 55. 승려   등용. 남조와 교류. 노리사치계의 불교 일본전파. 진흥왕의 배신으로 관산성 에서 전사.

진흥왕(540576): 화랑도. 불교 정비. 백제와 연맹하여 고구려의 적성 점    , 한강 상류로 진출하여 단양 적성    (551) 건립. 함경도 정복. 황룡사 건    립 시작.

백제가 차지했던 한강 상류 정복, 북 한산 순수비 건립(555). 대가야 정복 후 창녕(561). 원산만 정복 후 황초 령마운령(568) 순수비 건립.

대가야 멸먕시킴(562). 연호 개국

 

진지왕(576579)

진평왕(579632)

선덕여왕(632647): 첨성대(614)

진덕여왕(647654)

(태종)무열왕(654661): 백제 멸망.

 


삼국의 통치체제

삼국 초기에는 고구려백제의 5부나 신라의 6부가 귀족을 통해 어느 정도 독자적으로 통치.

국가의 중요사무는 제가회의정사암회의화백회의 등 회의를 통함 사회 발전에 따라 중앙 집권 체제로 변화.

삼국의 관등제와 관직체계의 운영은 신분의 제약을 받음(중위제등의 보완책이 있었음).


지방 통치

초기

촌 단위 개편: 정복 지역을 세력의 크기에 따라 성이나 촌의 단위로 개편하고 지방관을 파견 하여 지방민을 직접 지배.

한계: 원래의 지방 세력가의 자치가 오랫동안 유지.

후기

주 단위 개편: 최상급 지방 행정 단위로 부와 방 또는 주를 두고 지방 장관을 파견. 그 아래의 성이나 군에도 지방관을 파견.

촌주: 촌의 토착 세력을 촌주로 임명. 삼국은 외형상 중국의 군현 제도와 유사하게 지방 조직을 설치하였지만, 실제로는 지방관의 수가 많지 않아서 주요 거점만을 지배하는 데 그쳤고, 나머지 지역은 자치를 허용하여 간접적으로 주민을 지배하였다.

지방 행정조직은 그대로 군사조직의 성격을 가지기도 하였음.

 


고구려


중앙 관제

10여 관등 편제: 4세기경에 각 부의 관료 조직을 흡수하여 대대로, 태대형, 태대사자, 대사자 등 10 여 관등(- 연장자, 사자- 조세 수취).

수상: 대대로는 원칙상 3년에 한 번씩 선거.


지방 조직: 5부 이하의 성()은 처려근지 또는 도사가 통치. 특별행정구역인 3경제로 국내성, 평양성, 항성(재령) 있음.

 

백제

중앙 관제

초기: 수상 상좌평 이하 6좌평 16관등. 행정 업무는 6좌평에 의해 업무가 6개 부서로 분할.

내신 좌평

왕명 출납

내법 좌평

의례 담당

조정 좌평

형벌 담당

내두 좌평

재정 담당

병관 좌평

국방 담당

위사 좌평

숙위 담당

사비 천도 이후: 새로이 22부의 중앙 관서를 내관 12(왕실 사무), 외관 10(중앙 정무)로 분할. 각 관청의 장은 3년마다 교대.


군사 제도: 중앙의 각 부에 500명의 군대 배치, 지방의 각 방에는 7001200명 배 치하고 방령이 지휘.

 


신라


중앙 관제

법흥왕: 17관등제 완비. 신라는 국가 발전에 따라 기구를 설치해 나갔는데, 병부가 최초.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라

발해

관등

14관등(, 사자)

16관등(, )

17관등(, 나마)

13(, 나마)

 

중앙 관제

내평, 외평, 주부

6좌평, 22

병부 등 10

집사부 등 14

36

지방조직

553

5522담로

652소경

95소경

51562

수상

대대로(대막리지)

상좌평

상대등

시중

대내상

지방수령

욕살

방령 > 군장()

군주

총관 도독

도독

특수 구역

3경제

(국내성, 평양성, 한성)

22담로

(웅진 시대)

2소경

(동원경중원경)

5소경

(사신)

5경제

 

군대

대모달, 말객

방령, 군장

서당, 6

9서당, 10

10, 대장군

귀족회의체

제가회의

정사암회의

화백회의

화백회의

정당성

진평왕: 위화부예부조부 설치.

진덕 여왕: 집사부 설치.


지방 조직

수도와 지방: 6, 5(군주), (태수), (현령), 촌락(촌주)

2소경(사신)

 

왕호

사용 시기

의미

거서간

박혁거세

대인, 군장

차차웅

남해

제주, 무당

이사금

유리흘해

계승자, 연장자

마립간

내물소지

대군장, 우두머리

지증왕

한자식 왕호

법흥왕

불교식 왕명

무열왕

중국식 시호

1. 영일 냉수리비(눌지왕, 433년 또는 지증왕, 503): 현존 최고의 신라 비로 영일 지방 재산 분쟁을 판결이 내용. 신라를 사로로 기록, 6부의 유 력자들이 왕으로 표기. 촌주가 간지라는 관등 소유.

2. 울진 봉평 신라비(법흥왕, 524): 법흥왕 때 율령 반포 사실을 알 수 있다.

3. 영천 청제비(법흥왕, 536): 제방 축조 사실 입증하며, 부역 동원 사실을 알 수 있다.

4. 단양 적성비(진흥왕, 551): 신라가 소백 산맥 이북 전초 기지 확보와 당시 관직명율령 정비 내용.

5. 북한산비(진흥왕, 555): 신라의 한강 하류 진출을 밝혀 주며, 추사 김정 희가 고증.

6. 창녕비(진흥왕, 561): 신라의 대가야 복속이 내용.

7. 황초령비마운령비(진흥왕, 568): 신라의 함흥 진출을 밝혀 준다.

8. 남산 신성비(진평왕, 591): 신성 축조에 부역을 동원한 사실 기록.

왕호

사용 시기

의미

거서간

박혁거세

대인, 군장

차차웅

남해

제주, 무당

이사금

유리흘해

계승자, 연장자

마립간

내물소지

대군장, 우두머리

지증왕

한자식 왕호

법흥왕

불교식 왕명

무열왕

중국식 시호

1. 영일 냉수리비(눌지왕, 433년 또는 지증왕, 503): 현존 최고의 신라 비로 영일 지방 재산 분쟁을 판결이 내용. 신라를 사로로 기록, 6부의 유 력자들이 왕으로 표기. 촌주가 간지라는 관등 소유.

2. 울진 봉평 신라비(법흥왕, 524): 법흥왕 때 율령 반포 사실을 알 수 있다.

3. 영천 청제비(법흥왕, 536): 제방 축조 사실 입증하며, 부역 동원 사실을 알 수 있다.

4. 단양 적성비(진흥왕, 551): 신라가 소백 산맥 이북 전초 기지 확보와 당시 관직명율령 정비 내용.

5. 북한산비(진흥왕, 555): 신라의 한강 하류 진출을 밝혀 주며, 추사 김정 희가 고증.

6. 창녕비(진흥왕, 561): 신라의 대가야 복속이 내용.

7. 황초령비마운령비(진흥왕, 568): 신라의 함흥 진출을 밝혀 준다.

8. 남산 신성비(진평왕, 591): 신성 축조에 부역을 동원한 사실 기록.

 

국가

성립기

완성기

율령 반포

한강 유역 차지

불교 수용

부자 세습

최대 영토

고구려

태조왕(2세기)

소수림왕(4세기)

소수림왕(4세기)

장수왕(5세기)

소수림왕(4세기)

고국천왕(2세기)

문자왕(5세기)

백 제

고이왕(3세기)

근초고왕(4세기)

고이왕(3세기)

고이왕(3세기)

침류왕(4세기)

근초고왕(4세기)

근초고왕(4세기)

신 라

내물왕(4세기)

법흥왕(6세기)

법흥왕(6세기)

진흥왕(6세기)

눌지왕(5세기)

눌지왕(5세기)

진흥왕(6세기)

 


삼국의 외교


삼국 시대의 중국 왕조


고이왕- 서진

근초고왕- 동진

비유왕-

개로왕- 북위

동성왕- (남제)

무령왕-

위덕왕-


삼국의 대외 관계

4세기(백제 전성기)

5세기(고구려 전성기)

6세기(신라 전성기)

7세기(삼국 통일기)

전진=고구려=신라

동진=백제=

고구려=남북조=유연

신라=백제=남조=

고구려=돌궐=백제==

신라=

고구려=돌궐=백제=

신라=


백제의 대외 관계

중국과의 관계

4세기 중엽에 요서 지방을 점령하고, 산둥 지방, (일본)까지 진출.

남조와 교류: 웅진 천도 이후에는 남조와 긴밀한 관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