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삼국통일기
고구려 | 백제 | 신라 |
평원왕(559~590): 진․수․북제와 수교. 영양왕(590~618) 영류왕(618~641) 보장왕(642~668): 고구려 멸망.
| 위덕왕(554~598): 고구려의 침공을 막음. 중국과 외교. 신라를 자주 침. 혜왕(598~599) 법왕(599~600): 왕흥사 창건 착수. 무왕(600~641): 수․당과 화친. 일본에 관 륵 파견. 의자왕(641~660): 병사. | (태종)무열왕(654~661): 백제 멸망. 최초의 진골 왕. 시중으로 상대등 억제. 6두품을 끌여들여 진골 견제. 문무왕(661~681): 삼국통일.
|
여수전쟁 | |
원인 | 고구려는 수의 등장과 신라의 친수정책에 직면하자 백제․돌궐과 연결. 영양왕(598) 때 말갈군을 데리고 영주(요서)를 먼저 공격. 수문제의 30만 대군 침공. |
과정 | ∙제1차 침입(영양왕 598): 수 문제의 30만 대군 → 장마, 전염 실패 ∙제2차 침입(영양왕 612): 수 양제의 113만 군 → 요동성 점령 실패, 평양성으로 우회하였으나 퇴각하다가 을지문덕의 살수대첩(↔우중문) ∙제3차 침입(영양왕 613): 수 양제 침입 → 패하고 퇴각 ∙제4차 침입(영양왕 614): 수 양제 침입 → 패하고 퇴각 |
결과 | 수 멸망, 당이 등장. 고구려는 쇠약. |
여당전쟁 | |
원인 | ① 연개소문의 대당강경책: 천리장성 축조(부여성~비사성) ② 당의 화친권고를 물리치자 당의 정복야욕 발동 ③ 백제의 침공에 따른 신라의 친당정책 ④ 돌궐을 복속, 거란족을 꾀어 고구려를 베신케 함 |
과정 | 보장왕(645) 때에 당태종이 침략, 당의 군대는 요동성, 개모성, 비사성 등을 빼앗고 안시성(양만춘)에서 당 대패. 두 차례 더 패배. |
결과 | 고구려는 쇠약, 나․당의 결속은 더욱 공고 |
⑵ 삼국통일 과정
① 신라에서는 김춘추와 김유신이 삼국 간 항쟁을 주도.
② 백제와 고구려 결속, 신라는 당나라와 접촉(남북진영-동서진영).
③ 내부분열이 심화된 백제는 나당 연합군에 의해 사비성 함락(660).
④ 나․당 연합군은 연개소문의 저항과 추위로 고구려 정복 실패. 연개소문 사후 지배층의 권력 쟁탈전으 로 국론 분열. 이후 평양성 함락(668).
⑶ 백제․고구려의 부흥 운동
① 백제
㉠ 근거지: 복신과 도침, 흑치상지 등은 왕자 풍을 왕으로 추대하고 주류성과 임존성을 거점으로 군사 를일으켰다.
㉡ 경과: 이들은 200여 성을 회복하고 사비성과 웅진성의 당군을 공격하면서 4년간 저항.
㉢ 결과: 부흥 운동은 내분과 나․당 연합군에 의하여 진압. 왜의 수군이 지원하려 하였으나 쫓겨 감.
② 고구려
㉠ 근거지: 보장왕의 서자 안승을 받은 검모잠과 고연무 등은 한성(황해도 재령)과 오골성을 근거지로 부흥 운동 전개.
㉡ 경과: 이들은 한때 평양성을 탈환.
㉢ 결과: 뒤에는 신라의 도움을 받아 안승이 고구려 유민을 모아 금마저에 보덕국을 세웠지만 결국 실패.
㉣ 계승: 발해.
⑷ 삼국통일
① 백제 멸망 후 당은 웅진도독부․안동도호부․계림도독부 설치.
② 과정: 신라는 고구려 멸망과 당군 철수 이후 고구려 유민과 함께 당군 공격, 고구려 부흥 운동 세력 후 원, 백제 땅 지배권 장악.
㉠ 마전․적성 전투: 당․말갈․거란군의 연합군을 임진강 유역인 마전, 적성 등지에서 대파.
㉡ 매소성 전투: 이근행이 이끄는 당의 20만 대군을 매소성에서 격파하여 나․당 전쟁의 주도권 장악.
㉢ 기벌포 전투: 금강 하구의 기벌포에서 당의 수군을 섬멸하고, 평양에 있던 안동 도호부도 요동성으 로 밀어내는 데 성공.
③ 대동강~원산만 이남의 영토로 통일(676). 비독자적․영토의 한계.
4. 남북국시대의 정치
구분 | 박혁거세~지증왕 | 법흥왕~진덕 여왕 | 무열왕~혜공왕 | 선덕왕~경순왕 |
삼국유사 | 상고 | 중고(불교식 왕명기) | 하고 | |
삼국사기 | 상대 | 중대 | 하대 | |
혈 통 | 성골 | 진골 | 진골 | |
계 열 | 내물계 김씨 | 무열계 김씨 | 내물계 김씨 | |
왕 권 | 약함 | 강함 | 약함 | |
수 상 | 상대등 | 시중(중시) | 상대등 |
통일신라 | 발해(699~926) |
통일 이후 신라는 인구도 증가. 왕권이 전제화.
(태종)무열왕(654~661): 백제 멸망. 최초의 진골 왕. 시중 으로 상대등 억제. 6두품을 끌여들여 진골 견제.
문무왕(661~681): 삼국통일. 신문왕(681~691): 김흠돌 모역사건을 계기로 귀족 숙청. 9 서당․9주 5소경 정비. 국학 설립. 왕 7년에 녹읍 지급하다 9년에 문무관료전으로. 만파식적.
효소왕(692~702): 692년 설총이 이두를 정리. 성덕왕(702~737): 723년 혜초가 ‘왕오천축국전’ 저술. 효성왕(737~742) 경덕왕(742~765): 왕 16년 녹읍 부활. 사원 면세전 증가. 751 대상 김대성이 불국사 창건.
혜공왕(765~780): 대공․김지정의 난. 770년 에밀레종 주조. 선덕왕(780~785): 왕위 쟁탈전이 시작. 원성왕(785~798): 788 독서삼품과 설치하였으나 실패. 소성왕(798~800) 애장왕(800~809) 헌덕왕(809~826) 흥덕왕(826~836) 희강왕(836~838) 민애왕(838~839) 신무왕(839~839) 문성왕(839~857) 헌안왕(857~861) 경문왕(861~875) 헌강왕(875~886) 정강왕(886~887) 진성여왕(887~897) 효공왕(897~912) 신덕왕(913~917) 경애왕(924~927): 927년 연회 중 견훤의 습격을 받자 자살. 경순왕(927~935): 견훤에 의하여 즉위, 935년에 왕건에 항 복하여 경주 사심관으로 여생을 보냄. | ① 고왕(699~719): 689년 고구려 장군 출신인 대조영이 길 림성의 돈화시 동모산 부근에 고구려 유민과 말갈 집단을 데리고 진(震) 건국하고 연호를 ‘천통’이라고 하였음. 713년 고구려 영토를 거의 회복하고 국호를 발해로.
② 무왕(719~737): 대무예. 북만주 일대 장악. 흑수부 말갈도 당과 연결. 장문휴의 수군으로 당의 산둥 공략․요서지역 에서 당과 충돌. 돌궐․일본 등과 연결.
③ 문왕(737~793): 대흠무. 당과 친교하여 유학․불교 수용. 신라도. 상경 용천부 천도. 인안, 대흥 등 연호.
④ 대원의(793~794) ⑤ 성왕(794~795): “중흥” 상경 천도.
8세기 말엽에 지배층의 내분으로 국력 약화
⑥ 강왕(795~809): “정력” ⑦ 정왕(809~812): “영덕”. ⑧ 희왕(812~817): “주작” ⑨ 간왕(817~818): “태시” ⑩ 선왕(818~830): 해동성국. 말갈족을 대부분 흡수하여 요 동 진출. 고구려의 옛 땅을 대부분 회복하여 동쪽으로는 연해주, 서쪽으로는 카이위안, 남쪽으로는 함경남도 정평, 북쪽 으로는 헤이룽강에 이르렀음.
⑪ 대이진(830~858): “함화” ⑫ 대이진(858~871)
9세기 후반에 대규모 축성으로 민심을 잃고 내분으로 쇠락
⑬ 대현석(871~894) ⑭ 대위해(894~906) ⑮ 대인찬(906~926)
103개의 성이 모두 거란에 점령되어 발해 멸망. 발해 유민들은 부흥운동을 기도하였으나 실패. |
발해사 연구 |
이승휴 「제왕운기」, 유득공 「발해고」, 이종휘 「동사」, 정약용 「아방강역고」, 한치윤 「해동역사」, 신채호 「조선상고사」, 장지연 「백두산 정계비고」 |
⑶ 남북국 시대의 정치
① 통일신라의 정치제도
㉠ 왕권전제화: 집사부(시중의 지위 상승), 13부(위화부(이부), 조부․창부(호부), 예부, 병부, 좌․우 이방부(형부), 예작부(공부) 등 6전 제도와 비슷)
㉡ 사정부(감찰기구), 국학
㉢ 민족 융합 정책
구성인 | 명칭 |
고구려 | 황금서당 |
백제 | 백금서당 |
청금서당 | |
신라 | 녹금서당 |
자금서당 | |
비금서당 | |
보덕 | 적금서당 |
벽금서당 | |
말갈족 | 흑금서당 |
ⓐ 고구려․백제 관리 흡수: 고구려 왕족인 안승을 보덕왕으로, 보덕국계는 최고 진골, 고구려계는 최고 6두품, 백제계는 최고 5두품으로 편입.
ⓑ 9서당 편성.
관부 | 설치 시기 | 담당 업무 | 발해 | 고려 | 조선 |
집사부 | 진덕 여왕 | 국가 기밀 사무 | 정당성 | 중서문하성 | 의정부 |
병부 | 법흥왕 | 군사․국방 사무 | 지부 | 병부 | 병조 |
조부 | 진평왕 | 공물․부역 사무 | 인부 | 호부 | 호조 |
창부 | 진덕 여왕 | 재정․회계 사무 | 인부 | 호부 | 호조 |
위화부 | 진평왕 | 관리 임명 사무 | 충부 | 이부 | 이조 |
예부 | 진평왕 | 의례․교육 사무 | 의부 | 이부 | 예조 |
영객부 | 진평왕 | 외교․사신 접대 |
|
|
|
승부 | 진평왕 | 마정․육상 교통 사무 |
|
|
|
좌이방부 | 진덕 여왕 | 형률․노비 사무 | 예부 | 형부 | 형조 |
우이방부 | 문무왕 | 형벌․노비 사무 | 예부 | 형부 | 형조 |
선부 | 문무왕 | 선박․해상 교통 사무 |
|
|
|
공장부 | 신문왕 | 수공업 사무 | 신부 | 공부 | 공조 |
예작부 | 신문왕 | 토목․영선 사무 | 신부 | 공부 | 공조 |
사정부 | 무열왕 | 관리 감찰 사무 | 중정대 | 어사대 | 사헌부 |
㉣ 9주(총관 → 도독)․군(태수)․현(현령)․촌․향․부곡(촌주) 5소경, 향리를 서울 에 잡아두는 상수리.
㉤ 중앙군 9서당, 지방군 10정(한주에는 2정).
㉥ 중국식 명칭 사용: 8세기 후반 왕권이 안정되면서 집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관 청과 행정 구획의 이름을 중국식으로 개칭.
㉦ 요직은 진골이 독점.
② 발해의 정치제도
㉠ 발해의 중앙정치조직: 당의 3성 6부제를 모방(괄호는 당의 관제).
㉡ 지방행정(선종): 5경(상경, 중경, 동경, 서경, 남경)․15부(도독)․62주(자사)․현(현승)․촌락(촌장)
㉢ 군사제도: 중앙군(10위(8위)를 1위당 대장군과 장군 통솔), 지방군(촌락 단위의 농병 일치부대), 독 립부대(국경요충지)
⑷ 진골들의 왕위 쟁탈전
① 무열계의 몰락,
② 상대등 김양상이 선덕왕으로 즉위하면서 왕위 쟁탈전 시작- 상대등의 권력이 더 커짐.
③ 지방에 대한 통제 약화
㉠ 김헌창의 난(822)
ⓐ 원인: 웅천주 도독이 자신의 아버지 김주원이 원성왕에 밀려 왕위에 오르지 못한 것에 대해 원한 을 품었다.
ⓑ 경과․결과: 국호를 장안, 연호를 경운이라 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 김범문의 난(825): 김헌창의 아들로 고달산(여주)에서 난을 일으켰으나 실패하면서 무열계는 왕위 계승에서 밀려났다.
④ 귀족 연합 정치 운영: 왕권은 약화, 시중보다 상대등의 권력이 더 커졌다.
⑸ 호족의 성장
① 신라 하대 혼란기에 등장: 성주․장군으로 불림. 6두품․선종 승려와 결탁.
② 호족의 유형
㉠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지방에서 세력을 키운 몰락한 중앙 귀족.
㉡ 무역에 종사하면서 재력과 무력을 축적한 세력, 군진 세력.
㉢ 지방의 토착 세력인 촌주 출신.
⑹ 후삼국 시대
892 견훤이 무진주 점령
900 견훤이 후백제 건국
901 궁예가 후고구려 건국
904 후고구려, 마진으로 국호 변경
907 당 멸망
911 마진, 태봉으로 국호 변경
918 고려 건국
926 발해 멸망
935 신라 멸망
936 후백제 멸망
960 송 건국
1. 동양의 중세
⑴5대 10국 시대(907~960): 귀족 세력의 몰락, 신흥 지주층(형세호)의 대두
⑵송(960~1127)
① 중앙 집권적 문치주의: 황제 독재 체제 구축, 과거 제도 완성.
② 국방력 약화와 북방 민족의 침입: 거란, 탕구트, 여진족의 침입.
③ 경제와 문화: 장원과 전호제 발달, 강남 개발 확대, 성리학의 발달로 주변 국가에 영향.
④멸망: 여진족의 침입으로 북송 멸망(1127), 원에 의해 남송 멸망(1279)
⑶ 몽고 제국(원, 1206~1368): 유럽인과 이슬람 상인의 내왕으로 동․서 문화 교류에 공헌.
2. 후삼국의 성립
⑴ 후백제 성립(900~936)
① 건국: 견훤이 전라도 지방군의 군사력과 호족 세력을 토대로 완산주(전주)에 후백제 건국(900). 중국과 외교 관계도 성립.
② 세력 범위: 차령 산맥 이남의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
③ 한계: 견훤은 신라에 적대적이었고, 농민에게 지나치게 조세를 걷었으며, 호족 포섭에 실패.
국호 | 연호 | 수도 |
후고구려 |
| 송악 |
마진 | 무태, 성책 | 송악, 철원 |
태봉 | 수덕만세, 정개 | 철원 |
⑶ 후고구려(901~918)
① 건국 과정
㉠ 세력 확대: 궁예는 권력 투쟁에서 밀려난 신라 왕족의 후예로서, 처음에는 북원(원주)지방의 도적 집단인 양길의 아래에 들어가 세력이 커지자 양길을 몰아내었다.
㉡ 도읍지: 송악(개성)에 독립하여 후고구려 건국(901).
② 세력 범위: 강원도․경기도 일대의 중부 지방을 점령하고, 이어서 예성강 유역의 황해도 지역까지 확 장. 그 후 한강 유역을 차지한 다음 조령을 넘어 상주 일대로 세력을 넓혔으며, 영주를 차지하여 옛 신 라 땅의 절반 이상을 확보하였다.
③ 관제 정비
㉠ 영토가 확장되고 국가 기반을 다지자 철원으로 천도하며 국호를 마진으로 변경, 다시 태봉으로 바 꾸고 새로운 정치를 추구. 궁예는 새로운 관제를 마련하고 골품 제도를 대신한 새로운 신분제를 모색.
㉡ 국정을 총괄하는 광평성을 비롯한 여러 관서를 설치하고 9관등제 실시.
④ 한계: 계속되는 전쟁을 위하여 지나치게 조세 수취, 죄 없는 관료와 장군을 살해하였을 뿐만 아니라 미 륵 신앙을 이용하여 전제 정치를 도모하였다. 이 때문에 신망을 잃게 되어 신하들에 의하여 축출.
3. 중세 사회의 성립과 전개
⑴ 왕건의 등장과 고려의 성립: 궁예의 신하가 되어 한강 유역을 점령하기도 하고, 수군을 이끌어 금성(나 주)를 점령하여 광평성 시중의 지위까지 올랐다.
⑵ 왕건의 통일 정책
① 대외적: 중국의 5대 여러 나라들과 외교 관계를 맺기도 하고, 발해 유민을 포섭하였다.
② 대내적: 지방 세력을 흡수․통합, 신라에 대하여 우호 정책을 내세워 신라인들을 회유. 실제로 태조는 후백제가 신라를 공격하자 신라를 도와 후백제를 막아 내었다.
4. 민족의 재통일
⑴ 후삼국 시대의 국제 정세
① 중국의 정세: 5대 10국의 분열기였고, 만주 서부에서는 거란이 발해를 멸망시키고 흥기하였다(926).
② 후삼국의 대외 관계: 북중국(5대)․고려․발해․신라 ↔ 남중국(오월)․후백제․거란․왜
⑵ 후삼국의 통일
① 신라의 병합(935)
㉠ 경순왕의 투항: 신라는 중앙 정치 문란과 지방 통제 기능의 상실, 후백제의 잦은 침략 등으로 항복.
㉡ 정통성 확보: 고려는 신라의 전통과 권위를 계승함으로써 정토성 확보.
② 후백제의 멸망(936)
㉠고려와 후백제의 대립: 처음에는 고려군이 수세에 몰렸으나, 안동(고창) 전투에서 후백제군을 격파 한 것을 계기로 고려는 통일의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
㉡ 후백제 병합
ⓐ 내분: 신검․금강 두 아들 간의 정권 다툼으로 견훤이 금산사에 유폐되는 내분이 일어난 후 고려 에 투항.
ⓑ 전쟁 패배: 왕건은 후백제군을 선산 지방에서 격파하고, 후백제는 멸망.
⑶ 발해 유민의 포섭
① 동족 의식 표현: 발해가 거란에 멸망당했을 때 고려는 발해 유민을 우대.
'한국사 > 고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의 경제 간단 요약 (0) | 2018.12.13 |
---|---|
선사시대,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철기, 고조선, 부여, 옥저, 삼한 (0) | 2018.12.02 |
고대의 정치 1 - 삼국시대, 가야연맹(금관가야, 대가야), 통치체제, 중앙관제, 외교 (1) | 2018.12.01 |
고대의 경제 1 - 농기구, 수공업, 수취체제, 조세, 대외무역, 농업정책, 상업, 생활상, 농축산업, 어업 (0) | 2018.12.01 |
고대의 사회 1 - 신분제, 생활상, 골품제, 남북국, 발해 등 (0) | 2018.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