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삼국통일기


고구려

백제

신라

평원왕(559590): 북제와 수교.

영양왕(590618)

영류왕(618641)

보장왕(642668): 고구려 멸망.

 

 

위덕왕(554598): 

고구려의 침공을 막음.    

중국과 외교. 신라를 자주 침.

혜왕(598599)

법왕(599600): 왕흥사 창건 착수.

무왕(600641): 당과 화친. 일본에 관   륵 파견.

의자왕(641660): 병사.

(태종)무열왕(654661): 백제 멸망.    

최초의 진골 왕

시중으로 상대등 억

6두품을 끌여들여 진골 견제.

문무왕(661681): 삼국통일.

 

 

여수전쟁

원인

고구려는 수의 등장과 신라의 친수정책에 직면하자 백제돌궐과 연결. 영양왕(598) 때 말갈군을 데리고 영주(요서)를 먼저 공격. 수문제의 30만 대군 침공.

과정

1차 침입(영양왕 598): 수 문제의 30만 대군 장마, 전염 실패

2차 침입(영양왕 612): 수 양제의 113만 군 요동성 점령 실패, 평양성으로 우회하였으나 퇴각하다가 을지문덕의 살수대첩(우중문)

3차 침입(영양왕 613): 수 양제 침입 패하고 퇴각

4차 침입(영양왕 614): 수 양제 침입 패하고 퇴각

결과

수 멸망, 당이 등장. 고구려는 쇠약.

여당전쟁

원인

연개소문의 대당강경책: 천리장성 축조(부여성비사성)

당의 화친권고를 물리치자 당의 정복야욕 발동

백제의 침공에 따른 신라의 친당정책

돌궐을 복속, 거란족을 꾀어 고구려를 베신케 함

과정

보장왕(645) 때에 당태종이 침략, 당의 군대는 요동성, 개모성, 비사성 등을 빼앗고 안시성(양만춘)에서 당 대패. 두 차례 더 패배.

결과

고구려는 쇠약, 당의 결속은 더욱 공고

 


삼국통일 과정

신라에서는 김춘추와 김유신이 삼국 간 항쟁을 주도.

백제와 고구려 결속, 신라는 당나라와 접촉(남북진영-동서진영).

내부분열이 심화된 백제는 나당 연합군에 의해 사비성 함락(660).

당 연합군은 연개소문의 저항과 추위로 고구려 정복 실패. 연개소문 사후 지배층의 권력 쟁탈전으 로 국론 분열. 이후 평양성 함락(668).

 


백제고구려의 부흥 운동

백제

근거지: 복신과 도침, 흑치상지 등은 왕자 풍을 왕으로 추대하고 주류성과 임존성을 거점으로 군사 를일으켰다.

경과: 이들은 200여 성을 회복하고 사비성과 웅진성의 당군을 공격하면서 4년간 저항.

결과: 부흥 운동은 내분과 나당 연합군에 의하여 진압. 왜의 수군이 지원하려 하였으나 쫓겨 감.

고구려

근거지: 보장왕의 서자 안승을 받은 검모잠과 고연무 등은 한성(황해도 재령)과 오골성을 근거지로 부흥 운동 전개.

경과: 이들은 한때 평양성을 탈환.

결과: 뒤에는 신라의 도움을 받아 안승이 고구려 유민을 모아 금마저에 보덕국을 세웠지만 결국 실패.

계승: 발해.


 

삼국통일

백제 멸망 후 당은 웅진도독부안동도호부계림도독부 설치.

과정: 신라는 고구려 멸망과 당군 철수 이후 고구려 유민과 함께 당군 공격, 고구려 부흥 운동 세력 후 원, 백제 땅 지배권 장악.

마전적성 전투: 말갈거란군의 연합군을 임진강 유역인 마전, 적성 등지에서 대파.

매소성 전투: 이근행이 이끄는 당의 20만 대군을 매소성에서 격파하여 나당 전쟁의 주도권 장악.

기벌포 전투: 금강 하구의 기벌포에서 당의 수군을 섬멸하고, 평양에 있던 안동 도호부도 요동성으 로 밀어내는 데 성공.

대동강원산만 이남의 영토로 통일(676). 비독자적영토의 한계.

 



4. 남북국시대의 정치


구분

박혁거세지증왕

법흥왕진덕 여왕

무열왕혜공왕

선덕왕경순왕

삼국유사

상고

중고(불교식 왕명기)

하고

삼국사기

상대

중대

하대

혈 통

성골

진골

진골

계 열

내물계 김씨

무열계 김씨

내물계 김씨

왕 권

약함

강함

약함

수 상

상대등

시중(중시)

상대등

통일신라

발해(699926)

통일 이후 신라는 인구도 증가. 왕권이 전제화.

 

(태종)무열왕(654661): 백제 멸망. 최초의 진골 왕. 시중    으로 상대등 억제. 6두품을 끌여들여 진골 견제.

 

문무왕(661681): 삼국통일.

신문왕(681691): 김흠돌 모역사건을 계기로 귀족 숙청. 9  서당95소경 정비. 국학 설립. 7년에 녹읍 지급하다  9년에 문무관료전으로. 만파식적.

 

효소왕(692702): 692년 설총이 이두를 정리.

성덕왕(702737): 723년 혜초가 왕오천축국전저술.

효성왕(737742)

경덕왕(742765): 16년 녹읍 부활. 사원 면세전 증가. 751 대상 김대성이 불국사 창건.

 

혜공왕(765780): 대공김지정의 난. 770년 에밀레종 주조.

선덕왕(780785): 왕위 쟁탈전이 시작.

원성왕(785798): 788 독서삼품과 설치하였으나 실패.

소성왕(798800)  애장왕(800809)  헌덕왕(809826)

흥덕왕(826836)  희강왕(836838)   민애왕(838839)

신무왕(839839)  문성왕(839857)   헌안왕(857861)

경문왕(861875)  헌강왕(875886)   정강왕(886887)

진성여왕(887897) 효공왕(897912)  신덕왕(913917)

경애왕(924927): 927년 연회 중 견훤의 습격을 받자 자살.

경순왕(927935): 견훤에 의하여 즉위, 935년에 왕건에 항  복하여 경주 사심관으로 여생을 보냄.

고왕(699719): 689년 고구려 장군 출신인 대조영이 길   림성의 돈화시 동모산 부근에 고구려 유민과 말갈 집단을   데리고 진() 건국하고 연호를 천통이라고 하였음. 713  고구려 영토를 거의 회복하고 국호를 발해로.

 

무왕(719737): 대무예. 북만주 일대 장악. 흑수부 말갈도 당과 연결. 장문휴의 수군으로 당의 산둥 공략요서지역    에서 당과 충돌. 돌궐일본 등과 연결.

 

문왕(737793): 대흠무. 당과 친교하여 유학불교 수용.   신라도. 상경 용천부 천도. 인안, 대흥 등 연호.

 

대원의(793794) 성왕(794795): “중흥상경 천도.

 

8세기 말엽에 지배층의 내분으로 국력 약화

 

강왕(795809): “정력정왕(809812): “영덕”.

희왕(812817): “주작간왕(817818): “태시

선왕(818830): 해동성국. 말갈족을 대부분 흡수하여 요    진출. 고구려의 옛 땅을 대부분 회복하여 동쪽으로는   연해주, 서쪽으로는 카이위안, 남쪽으로는 함경남도 정평,   북쪽 으로는 헤이룽강에 이르렀음.

 

대이진(830858): “함화대이진(858871)

 

9세기 후반에 대규모 축성으로 민심을 잃고 내분으로 쇠락

 

대현석(871894) 대위해(894906) 대인찬(906926)

 

103개의 성이 모두 거란에 점령되어 발해 멸망. 발해 유민들은 부흥운동을 기도하였으나 실패.

발해사 연구

이승휴 제왕운기, 유득공 발해고, 이종휘 동사, 정약용 아방강역고, 한치윤 해동역사, 신채호 조선상고사, 장지연 백두산 정계비고

 


남북국 시대의 정치


통일신라의 정치제도

왕권전제화: 집사부(시중의 지위 상승), 13(위화부(이부), 조부창부(호부), 예부, 병부, 우 이방부(형부), 예작부(공부) 6전 제도와 비슷)

사정부(감찰기구), 국학

민족 융합 정책

구성인

명칭

고구려

황금서당

백제

백금서당

청금서당

신라

녹금서당

자금서당

비금서당

보덕

적금서당

벽금서당

말갈족

흑금서당

고구려백제 관리 흡수: 고구려 왕족인 안승을 보덕왕으로, 보덕국계는 최고 진골, 고구려계는 최고 6두품, 백제계는 최고 5두품으로 편입.

9서당 편성.

관부

설치 시기

담당 업무

발해

고려

조선

집사부

진덕 여왕

국가 기밀 사무

정당성

중서문하성

의정부

병부

법흥왕

군사국방 사무

지부

병부

병조

조부

진평왕

공물부역 사무

인부

호부

호조

창부

진덕 여왕

재정회계 사무

인부

호부

호조

위화부

진평왕

관리 임명 사무

충부

이부

이조

예부

진평왕

의례교육 사무

의부

이부

예조

영객부

진평왕

외교사신 접대

 

 

 

승부

진평왕

마정육상 교통 사무

 

 

 

좌이방부

진덕 여왕

형률노비 사무

예부

형부

형조

우이방부

문무왕

형벌노비 사무

예부

형부

형조

선부

문무왕

선박해상 교통 사무

 

 

 

공장부

신문왕

수공업 사무

신부

공부

공조

예작부

신문왕

토목영선 사무

신부

공부

공조

사정부

무열왕

관리 감찰 사무

중정대

어사대

사헌부

9(총관 도독)(태수)(현령)부곡(촌주) 5소경, 향리를 서울 에 잡아두는 상수리.

중앙군 9서당, 지방군 10(한주에는 2).

중국식 명칭 사용: 8세기 후반 왕권이 안정되면서 집권력을 강화하기 위해, 관 청과 행정 구획의 이름을 중국식으로 개칭.

요직은 진골이 독점.

 


발해의 정치제도

발해의 중앙정치조직: 당의 36부제를 모방(괄호는 당의 관제).

지방행정(선종): 5(상경, 중경, 동경, 서경, 남경)15(도독)62(자사)(현승)촌락(촌장)

군사제도: 중앙군(10(8)1위당 대장군과 장군 통솔), 지방군(촌락 단위의 농병 일치부대), 독 립부대(국경요충지)

 


진골들의 왕위 쟁탈전

무열계의 몰락,

상대등 김양상이 선덕왕으로 즉위하면서 왕위 쟁탈전 시작- 상대등의 권력이 더 커짐.

지방에 대한 통제 약화

김헌창의 난(822)

원인: 웅천주 도독이 자신의 아버지 김주원이 원성왕에 밀려 왕위에 오르지 못한 것에 대해 원한 을 품었다.

경과결과: 국호를 장안, 연호를 경운이라 하고 반란을 일으켰다.

김범문의 난(825): 김헌창의 아들로 고달산(여주)에서 난을 일으켰으나 실패하면서 무열계는 왕위 계승에서 밀려났다.

귀족 연합 정치 운영: 왕권은 약화, 시중보다 상대등의 권력이 더 커졌다.

 


호족의 성장

신라 하대 혼란기에 등장: 성주장군으로 불림. 6두품선종 승려와 결탁.

호족의 유형

권력 투쟁에서 밀려나 지방에서 세력을 키운 몰락한 중앙 귀족.

무역에 종사하면서 재력과 무력을 축적한 세력, 군진 세력.

지방의 토착 세력인 촌주 출신.

 


후삼국 시대

892 견훤이 무진주 점령

900 견훤이 후백제 건국

901 궁예가 후고구려 건국

904 후고구려, 마진으로 국호 변경

907 당 멸망

911 마진, 태봉으로 국호 변경

918 고려 건국

926 발해 멸망

935 신라 멸망

936 후백제 멸망

960 송 건국

 




1. 동양의 중세


510국 시대(907960): 귀족 세력의 몰락, 신흥 지주층(형세호)의 대두

 

(9601127)

중앙 집권적 문치주의: 황제 독재 체제 구축, 과거 제도 완성.

국방력 약화와 북방 민족의 침입: 거란, 탕구트, 여진족의 침입.

경제와 문화: 장원과 전호제 발달, 강남 개발 확대, 성리학의 발달로 주변 국가에 영향.

멸망: 여진족의 침입으로 북송 멸망(1127), 원에 의해 남송 멸망(1279)

 

몽고 제국(, 12061368): 유럽인과 이슬람 상인의 내왕으로 동서 문화 교류에 공헌.

 



2. 후삼국의 성립


후백제 성립(900936)

건국: 견훤이 전라도 지방군의 군사력과 호족 세력을 토대로 완산주(전주)에 후백제 건국(900). 중국과 외교 관계도 성립.

세력 범위: 차령 산맥 이남의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

한계: 견훤은 신라에 적대적이었고, 농민에게 지나치게 조세를 걷었으며, 호족 포섭에 실패.

 

국호

연호

수도

후고구려

 

송악

마진

무태, 성책

송악, 철원

태봉

수덕만세, 정개

철원


후고구려(901918)

건국 과정

세력 확대: 궁예는 권력 투쟁에서 밀려난 신라 왕족의 후예로서, 처음에는 북원(원주)지방의 도적 집단인 양길의 아래에 들어가 세력이 커지자 양길을 몰아내었다.

도읍지: 송악(개성)에 독립하여 후고구려 건국(901).

세력 범위: 강원도경기도 일대의 중부 지방을 점령하고, 이어서 예성강 유역의 황해도 지역까지 확 장. 그 후 한강 유역을 차지한 다음 조령을 넘어 상주 일대로 세력을 넓혔으며, 영주를 차지하여 옛 신 라 땅의 절반 이상을 확보하였다.

관제 정비

영토가 확장되고 국가 기반을 다지자 철원으로 천도하며 국호를 마진으로 변경, 다시 태봉으로 바 꾸고 새로운 정치를 추구. 궁예는 새로운 관제를 마련하고 골품 제도를 대신한 새로운 신분제를 모색.

국정을 총괄하는 광평성을 비롯한 여러 관서를 설치하고 9관등제 실시.

한계: 계속되는 전쟁을 위하여 지나치게 조세 수취, 죄 없는 관료와 장군을 살해하였을 뿐만 아니라 미 륵 신앙을 이용하여 전제 정치를 도모하였다. 이 때문에 신망을 잃게 되어 신하들에 의하여 축출.

 



3. 중세 사회의 성립과 전개

왕건의 등장과 고려의 성립: 궁예의 신하가 되어 한강 유역을 점령하기도 하고, 수군을 이끌어 금성(나 주)를 점령하여 광평성 시중의 지위까지 올랐다.

왕건의 통일 정책

대외적: 중국의 5대 여러 나라들과 외교 관계를 맺기도 하고, 발해 유민을 포섭하였다.

대내적: 지방 세력을 흡수통합, 신라에 대하여 우호 정책을 내세워 신라인들을 회유. 실제로 태조는 후백제가 신라를 공격하자 신라를 도와 후백제를 막아 내었다.

 

 

4. 민족의 재통일


후삼국 시대의 국제 정세

중국의 정세: 510국의 분열기였고, 만주 서부에서는 거란이 발해를 멸망시키고 흥기하였다(926).

후삼국의 대외 관계: 북중국(5)고려발해신라 남중국(오월)후백제거란

 

후삼국의 통일

신라의 병합(935)

경순왕의 투항: 신라는 중앙 정치 문란과 지방 통제 기능의 상실, 후백제의 잦은 침략 등으로 항복.

정통성 확보: 고려는 신라의 전통과 권위를 계승함으로써 정토성 확보.

후백제의 멸망(936)

고려와 후백제의 대립: 처음에는 고려군이 수세에 몰렸으나, 안동(고창) 전투에서 후백제군을 격파 한 것을 계기로 고려는 통일의 주도권을 잡게 되었다.

후백제 병합

내분: 신검금강 두 아들 간의 정권 다툼으로 견훤이 금산사에 유폐되는 내분이 일어난 후 고려 에 투항.

전쟁 패배: 왕건은 후백제군을 선산 지방에서 격파하고, 후백제는 멸망.

 

발해 유민의 포섭

동족 의식 표현: 발해가 거란에 멸망당했을 때 고려는 발해 유민을 우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