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의 경제


1.삼국의 경제생활

(1) 특징

① 농업 중심의 경제 생활

② 왕토 사상에 의한 토지 국유제 원칙 자영농의 개인 토지 인정

③ 귀족 중심의 경제 녹읍식읍을 받음

④ 조세제도 마련되었고 귀족들의 고리대업이 성행함


(2) 고구려

① 토지제도

㉠ 토지의 국유제 원칙 ⇒ 자기의 토지를 경작한 자영농민 인정

㉡ 토지단위로 경무법 사용

② 조세제도

㉠ 자영농민에게 조세·공부·역역을 부과

㉡ 세는 사람을 기준으로 포5필과 곡5석으로 징수

㉢ 조는 호를 3등급으로 구분하여 1·7·5두로 징수

 

(3) 백제

① 토지제도

㉠ 토지 국유제 원칙

㉡ 토지 단위로 두락제 사용

② 조세제도

㉠ 농민을 수취대상으로 파악하여 조세·공부·요역을 부과

㉡ 조세와 공부는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포와 곡으로 차등 징

 

(4) 신라

① 토지제도

㉠ 국유제를 원칙으로 하고 자영농민 인정

㉡ 토지 측량 단위로 결부법 사용 → 고려·조선에 계승

② 조세제도

㉠ 진흥왕 때 품주라는 세를 관장하는 관부 설치

㉡ 진평왕 때 공부를 관장하는 조부 설치

㉢ 진덕여왕 때 품주가 집사부와 창부로 분화

㉣ 신라는 전국적 조세 행정이 체계화되어 있음.

③ 부역동원

㉠ 법흥왕 23(536)에 영천의 청제를 수리할 때

㉡ 진평왕 13(591)에 남산신성을 쌓을 때

(5) 고리대업 성행

삼국 모두 고리대업이 성행하였고 고구려는 진대법을 마련하여 농민 보호

 

보충학습】 고구려의 진대법

㉠ 고국천왕 때 을파소 건의(194)

㉡ 봄에 곡식을 빌려 가을에 갚는 빈민 구제 제도

㉢ 현재의 영농 자금 대출과 유사

 

(6) 도시의 발달

① 수도는 정치사회의 중심지로 관청이 집중되어 도시로 성장

② 수도를 방어하기 위하여 재성과 나성을 축조하고 신라는 재성 대신 산성을 축조

③ 수도는 사람이 많이 모여 살았기 때문에 시장 개설

 

(7) 대외 무역 발달

① 고구려 중국 남북조 및 북방 민족과도 교류하여 무역의 폭이 가장 넓음

② 백제 고대 해상 세력을 형성 삼국 중 가장 무역 활발

③ 신라 : 6세기 한강 유역 확보 이후 중국과 직접 교류

④ 교역품 󰠆󰠏 수출품 마직물·은세공품모피류인삼 등

󰠌󰠏 수입품 비단서적약재 등 귀족의 사치품

 

(8) 고대인의 식생활

① 쌀은 왕족이나 귀족이 먹는 곡물

② 일반 백성은 보리조 등을 주식으로 함

③ 곡물을 찧을 때 디딜방아절구 사용

④ 밥을 지을 때 솥시루 사용 → 안악 3호 고분 입증

⑤ 고조선 이래 아욱배추무 등을 채소로 이용한 김치를 담그고 소금젓갈 도 사용

☞ 오늘날과 같이 고추를 이용한 김치는 임난 이후(17c) 가능

 



2. 통일신라의 경제

(1) 특징

① 귀족 중심의 경제

② 귀족의 녹읍을 폐지하고 관료전 지급 -> 경덕왕 때 다시 녹읍 부활

③ 국가가 농민을 직접 지배하기 위하여 정전 지급(성덕왕21, 722)

④ 귀족 중심의 사치와 향락 생활 금입택사절유택안압지포석정

⑤ 통일전 동시 외에 서시남시 설치

⑥ ·은 세공기술 및 나전칠기의 공예기술 발달

⑦ 흥덕왕때 김대렴이 당에서 차 전래하여 재배

☞ 차가 최초의 전래로 전래된 것은 삼국시대 선덕여왕 때로 봄

 

(2) 신라장적(=민정문서)

① 발견

㉠ 1933년 일본 동대사의 정창원에서 발견

㉡ 8세기 중엽 경덕왕 때 작성

㉢ 서원경(=청주중심의 4개 촌락 문서 현존

② 3년마다 촌주가 작성

③ 국가의 부역과 조세 기준의 근거 마련이 목적

④ 면적호수인구전답가축마전백자상전 등 철저히 파악

⑤ 호를 기준으로 인정의 다과에 따라 9등급

⑥ 인정을 기준으로 연령별남녀별 6등급으로 구별

⑦ 민정문서상에 보이는 토지

㉠ 촌주에게 지급되는 촌주위답

㉡ 농민에게 정전으로 지급되는 연수유답

㉢ 내시령이라는 관료에게 지급되는 내시령답

㉣ 왕실과 관청에 지급되는 관모답

⑧ 평민 이외에 향·부곡민 및 노비의 노동력도 철저히 동원

 

(3) 발해의 산업

① 농업

㉠ 논농사보다는 밭농사를 주로 하여 콩·조 등 곡물이 많이 재배

㉡ 철제 농기구가 사용되고 수리 시설이 확충됨으로써 점차로 재배하는 곡 물의 수도 많아졌고 벼농사도 이루어짐

② 수공업

㉠ 제철업이 발달하여 금속 가공업이 성행

㉡ 방직업이나 목재피혁의 가공업도 발전

③ 목축·수렵

㉠ 솔빈부에서 명마가 많이 생산

㉡ 돼지나 소 사육

㉢ 모피녹용사향 등 생산

㉣ 옷감으로는 짐승의 털가죽이나 베비단이 사용

④ 어업

㉠ 고기잡이 도구가 개량되어 그물 사용

㉡ 먼 바다에 나아가 고래를 잡기도 함

 

(4) 통일신라의 무역

① 무역항

㉠ 영암에서 상하이 방면

㉡ 남양만(=당항성)에서 산둥 방면

㉢ 울산항이 가장 발달하고 아라비아 상인까지 왕래

② 교역품 󰠆󰠏 수출품 어아주조아주고운베인삼·은세공품해표피

󰠌󰠏 수입품 비단약재 등 귀족의 사치품이 주류

③ 신라 중대 공무역 발달신라 하대 사무역 발달

 

(5) 신라인의 대당 활동

① 신라방 산둥강소성에 있는 신라인의 집단 거류지

② 신라소 신라방에 설치된 자치적 행정 기관

③ 신라관 신라방에 설치된 신라인의 유숙소

④ 신라원 신라인이 신라방 안에 설치한 사원

⑤ 법화원 장보고가 신라방 안에 설치한 절

 

(6) 일본과의 무역

① 통일 초기에 일본이 신라를 경계함으로써 경제 교류가 그전처럼 자유롭지 못함

② 8세기에 이르러 정치가 안정되면서 두 나라의 교류가 다시 활발해짐

 

(7) 장보고의 활약

① 흥덕왕 3(828)에 활약

②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여 활약 문성왕 13년 폐지

③ 해적 소탕 및 중개무역 독점

④ 견당매물사 및 회역사를 파견하고 무역선인 교관선 파견

⑤ 신무왕의 왕위 쟁탈전에 참여 → 민애왕 축출

⑥ 염장에게 피살됨

 

(8) 발해의 상업

발해는 상업이 크게 흥한 것은 아니지만 곳곳에 시장이 개설됨

 

(9) 발해의 무역

① 당과 평화관계가 성립되면서 무역이 활발히 전개

② 당의 덩조우에 발해관 설치

③ 발해의 교관선이 자주 왕래함

④ 왕실이나 귀족의 공무역이 행해졌으나 민간 무역도 이루어짐

⑤ 수출품은 모피인삼·은 등의 토산품이 주류

⑥ 그 밖의 불상유리잔 등의 공예도 유명

⑦ 발해와 일본의 무역 규모는 매우 컸음 => 한번에 수백명이 일본에 가서 교역 활동을 전개함

⑧ 신라도 통일신라와 발해의 무역로

⑨ 일본도 발해와 일본의 무역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