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역사의 시작


1. 다른 나라의 선사시대

최초의 인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300350만년전

최초의 인류, 간단하고 조잡한 도구 사용

 

호모 하빌리스

200만년전

도구의 인간

전기 구석기

호모 에렉투스

70만년전

곧선사람(언인), 불과 언어사용, 베이징인자바 인하이델베르크 인 등

호모 사피엔스

20만년전

슬기사람(고인), 시체매장, 네안데르탈인 등

중기 구석기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4만년전

슬기슬기사람(신인), 현생인류 조상, 크로마뇽인 등

후기 구석기

신석기청동기

BC 8000년 경에 신석기 시작. 신석기 혁명 발생- 중동 지방의 비옥한 초승달 지대중국동남아 등 지에서 농경과 목축의 시작.

BC 3000년 경에 4대문명 형성: 벼농사(관개농업) 발달, 문자 사용, 청동기 보급, 국가의 형성, 역사시대 의 도래.

 

2. 우리나라의 선사시대

우리 민족의 최초 조상

한민족의 분포: 중국 요령지린성 지방, 만주와 한반도 일대에 분포하여 독자적인 동이 문화권 형성.

구석기인

한반도에 최초로 살기 시작하였으나 우리 민족의 조상은 아님

신석기인

고아시아족(빗살토기인)=근간

청동기인

알타이어계의 예맥족=주류

신석기+청동기인

우리민족의 기틀 형성: 동이족, 맥족, 예맥족, 한족(韓族)

 

구석기인의 발자취(BC 10000)

구석기의 특징

전기: 한 개의 큰 석기를 다양한 용도로 이용.

중기: 격지들을 가지고 잔손질을 하여, 크기는 작아지고 한 개의 석기가 하나의 쓰임새를 가지게 됨.

후기: 같은 형태로 여러 개의 돌날격지를 제작, 사용.

구석기의 종류와 용도

사냥용: 양면핵석기(주먹도끼), 타제석기(찍개), 첨두기(찌르개), 팔매돌, 슴베찌르개

요리용: 긁개, 밀개, 자르개

공구용: 새기개 등이 수양개 유적에서 발견.

구석기 유적지

화석

창원 두루봉 동굴, 평양 만달리 유적: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의 두골 발견.

덕천 승리산 동굴: 덕천인(중기 구석기, 호모 사피엔스)의 견골 발견

단양 상시리 금굴: 最古 구석기 유적지, 머리뼈(호모 사피엔스), 7060만년 전의 유적. 포유 동물 화석 등 발견.

시기

유적지

유물

전기

충북 단양 금굴

最古 구석기 유적지, 머리뼈(호모 사피엔스), 7060만년 전의 유적

포유 동물 화석 등 발견

경기 연천 전곡리

유럽식 아슐라인계 양면핵석기, 동아시아식 찍개 문화 한탄강에서 동시 발견

평남 상원 검은모루 동굴

1966년 발견. 6040만년 전의 동물 화석과 뗀석기.

중기

웅기 굴포리

덕천인(중기 구석기, 호모 사피엔스): 견골

승리산인(후기 구석기,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인골

제원 점말 동굴

1973년 발견. 사람의 얼굴을 새긴 코뿔소 뼈 출토

강원 양구 상무룡리

 

후기

충북 단양 수양개

몸돌돌망치가 발견되어 후기 구석기 시대의 석기 제작소임이 판명

공주 석장리

구석기 전 시대 출토, 찍개문화, 선각화, 후기 집터(평지 거주지, 불 땐 자리)

제주 빌레못 유적

1973년 발견. 혈거 유적지, 동물 화석 발견

황해 평산 해상리

곰뼈 화석 발견

함북 종성 동관진

최초로 1933년 발견

한반도의 구석기 존재를 최초확인

골각기, 석기, 매머드들소털코뿌이 화석 홍적세 제4빙기 (신석기인 - 충적세)

 

구석기인의 생활상

구석기인은 곧선사람(호모 에렉투스)로서 불과 언어 사용.

주거: 바위그늘, 동굴 후기에 강가 의 평지에 막집(310). 막집에서 기둥, , 불땐자리 발견.

막집 유적: 상원 검은모루, 제천 창내, 공주 석장리

채집, 수렵, 어로 생활을 하는 평등사회

예술: 석회암동의 뼈와 뿔 조각품, 공주 석장리단양 수양개에서 고래와 물고기 그림조각 발견(주 술적).

 

중석기(BC 100008000)

유물: 세석기(, , , 작살) 복합연장(이음도구)

유적: 통영 상노대도(패총), 거창 임불리, 홍천 하화계리, 북한에는 웅기 부포리와 평양 만달리.

 

신석기인의 발자취(BC 80001000)

시기

토기

톡징

유적지

전기

(BC 8000

4000)

이른민무늬,

덧무늬토기의 선즐문

굵은 태토로 만든 작고 소박한 토기로 동해안을 따라 일부 지역에 존재

 

 

 

양양 오산리,

웅기 굴포리 서포항,

고성 문암리,

동삼동, 제주 고산리,

만포진, 조도

중기

(BC 4000

2000)

빗살무늬(기하문)

어골문이 새겨진 타원형의 회색토기로 스칸디나비아에서 내몽고시 베리아연해주한반도 죠몬 토기

어로민이나 수렵민이 제작

굵직한 강들에 집중

V자형의 회색 사토질 토기

 

평남 청호리,

평양 남경, 서울 암사동,

경기 미사리,

웅기 굴포리,

부산 동삼동,

김해 수가리

후기

(BC 1800)

번개무늬, 물결무늬,

평저 빗살

중국 채도문화, 평평한 밑바닥의 U

BC 10C에 나타난 무문토기인에 흡수

황해도 봉산 지탑리 에서는 탄화된 조수수가 출토되어 농경생 활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암사동, 궁산리,

황해도 지탑리,

부산 다대동,

부천 시도,

춘천 교동

신석기시대의 특징

신석기시대의 토기(간석기)

종류: 돌낫(추수용), 돌화살촉, 돌도끼, 그물돌추, 맷돌, 돌괭이, 갈돌과 갈판(곡식을 갈아서 요리)

영향: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부러지거나 무디어진 도구를 다시 갈아 손쉽게 사용, 단단한 돌무른 돌 모두 이용.

 

신석기인의 생활상

농경 시작, 채집도 중요.

사냥: 활이나 창으로 사삼류와 멧돼지 사냥.

고기잡이, 조개류(, 홍합류를 먹고, 때로는 깊은 곳에 사는 조개류를 따서 장식으로)

직조문화: 가락바퀴, 뼈바늘, 그물돌추.

잡곡경작: 봉산 지탑리, 남경에서 탄화된 조수수 등 발견.

석제 농기구를(돌괭이, 돌낫, 돌보습, 돌낫, 맷돌) 사용하였고, 목제 농기구의 사용 가능성도 있음. 산돼 지 이빨로 만든 낫도 출토. 전북 진안 정천면 모정리에서는 농경 굴지구 발견.

주거: 원형이나 사각형 평면의 움집(45), 남쪽 출입문, 화덕, 경사, 저장시설(화덕 옆).

족외혼을 하는 폐쇄적인 독립사회의 씨족사회, 평등한 모계사회, 자연숭배, 영혼 숭배, 조상 숭배, 샤머 니즘, 애니미즘, 토테미즘.

매장: 토장묘(=토묘, 웅기 유적에서는 머리를 동쪽으로 향하게 하고 화살촉 등 발견), 세골장(울진 후포 의 경우로 자연적인 구덩이 이용)

후기의 유물: 암각화- 울주, 패면- 인천 옹진 소야도, 토면- 동물 조각, 치레걸이

신석기

부평 시도, 청진 농포동, 웅기 굴포리, 동삼동, 온천 궁산리 등

청동기

안면도, 몽금포, 양산, 김해 등 유적이 거의 없음.

(초기)철기

삼천포, 고성, 웅기, 양산, 웅천, 김해 등 남동해안에 집중 출토되는데 특히 김해 패총에서는 탄화된 쌀알과 왕망전(신나라 화폐) 출토.

신석기인은 예맥족의 바탕.



 

구분

대표적 유적지

북한

평북 강계 공귀리, 의주 미송리, 함북 회령 오동리, 나진 초도, 평양시 사동 구역, 금탄리와 남경 등

남한

충남 부여 송국리, 경기도 여주 흔암리, 파주 덕은리, 충북 제천 황석리, 전남 순천 대곡리 등

. 국가의 태동

1. 청동기 시대에서 국가형성: 청동기를 무기, 장식품, 사치품으로.

청동기 시대(만주 BC 1513C, 한반도 BC 10C)

유물: 반달돌칼, 바퀴날 도끼, 홈자귀/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토기: 미송리식 토기(청천강 이북, 길림, 요령), 가락리식 토기, 민무늬 토기(화분형, 팽이형의 적갈색), 붉은 간토기.

무덤: 고인돌널무지무덤

특징: 사유재산, 계급발생, 선민사상, 군장국가

분포: 비파형 동검미송리식 토기가 만주한반도 전역에서 출토되어 이 지역이 동일 문화권임을 설명. 비파형 동검고인돌로는 고조선 세력범위 유추 가능.

시기

영향

생활 내용

사용된 토기

사용한 청동기

묘제

청동기 전기

(BC 900 300)

북방 계통의 영향

농경 발달, 청동 문화, 한국의 청동기문화 모체

무문토기, 채문토기, 붉은 간토기

비파형(요령식) 동검, 거친무늬 거울, 아연 합금, 동물 장식()

지석묘,

석상분,

적석분

청동기 후기

=초기 철기

(BC 300 AD 100)

독자적 발전

청동기문화 생활 향유와 일본 전파, 철기문화, 거푸집(용범)

무문토기,

검은 간토기

세형동검,

잔무늬 거울

널무덤(토광묘),

독무덤(옹관묘)

철기문화(BC 400)

전래: 중국의 전국 시대 혼란기에 유이민들이 전래하면서 사용(근거: 널무덤)

특징: 청동기의 의식용화, 철기의 농기구화.

화폐: 명도전(, ), 오수전, 반량전()

: 창원 다호리

세형 동검, 잔무늬 거울, 거푸집

토기: 민무늬 토기 다양화, 검은 간토기, 덧띠 토기, 가지무늬 토기.

청동기와 초기 철기인의 생활

본격적 농경 시작: 돌도끼, 홈자귀, 괭이, 반달돌칼

저습지의 벼와 잡곡 밭농사(수수보리), 가축 사육

주거: 지상 가옥. 배산임수의 집단 취락과 다양한 용도의 건물, 주춧돌, 벽면 화덕 보통의 주거는 48 명의 한 가족용. 저장 구덩도 따로 설치하거나 한쪽 벽면을 밖으로 돌출시켜 만듦. 제주시 삼양동에서 초기 철기 계급사회 집터 발견.

가부장제, 계급분화(부장), 선민사상, 족장 또는 군장이 북부 지역에부터 등장.

고인, 돌널무덤 , 독무덤

고인돌: 북방식(황해 안악), 남방식(전북 고창), 개석식(남방식과 같으나 받침돌이 없다)

거석 숭배: 신성 지역이나 부족의 경계를 표시하는 선돌(立石) 숭배.

우리나라는 철기 시대부터 문자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

 

고령 양전동 알터

삼각형 등의 기하학적 무늬가 태양숭배(애니미즘)

울주 반구대

1971년 경북 울주에서 발견. 신석기 후기청동기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사냥 장면과 고기잡이 장면. 사냥감의 풍성함과 번식 기원.

천전리

경북 울주군 천전리의 그림은 기하학적 무늬와 동식물 그림. 청동기에서 삼국시대로 진행되면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

칠포

국내 최대 규모.

청동기와 초기철기인의 예술활동

고조선

형성

BC 2333년 아사달에서 청동기 문화를 기반으로 건국. 비파형 동검, 고인돌 등 독자적 문화.

BC 200년 경 부왕, 준왕: 부자상속, , 대부, 대신, 장군 등 관직, 지방관 도위 등 제도 정비.

발전: 요령 지방과 대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발전.

대외 관계: 연나라와 대립, 주나라와 교섭.

 

단군신화

사유재산, 계급사회, 농경생활을 바탕으로 하는 청동기 시대의 배경을 반영

단군신화를 전하는 고서: 삼국유사(13C 충렬왕), 제왕운기(13C 충렬왕), 세종실록지리지(15C 단 종), 응제시주(15C 세조), 동국여지승람(15C 성종, 부전), 신증동국여지승람(16C 중종) .

 

기자조선

형성: 고조선 내부의 새로운 지배 세력으로 한씨 조선이라는 견해, 동이족의 이동 과정에서 기자로 상 징되는 어떤 부족이 중심이 되어 형성되었다는 견해가 있다.

② 「제왕운기에는 기자 조선을 후조선이라 하고 준왕 때 망했다는 기록이 있다.

 

위만조선

유이민의 이동

1차 이동: 중국이 전국 시대 이후 혼란에 휩싸이자 유이민들이 대거 고조선으로 넘어왔다. 고조선 은 그들을 서쪽 지역에 살게 함.

2차 이동: 진한 교체기에 또 이주. 위만은 1천여명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으로 들어옴.

형성: 준왕이 신임하여 위만에게 서방 수비를 맡겼더니 왕검성에 쳐들어가 준왕 축출하고 위만이 왕이 됨(BC 194).

성격: 단군의 고조선을 계승(위만은 입국할 때 상투와 조선인 옷나라 이름을 그대로/그의 정권에는 토착민 출신의 고관이 다수)

성장: 활발한 정복. 철제 수공업이 발달하고 예-한의 중계무역으로 성장.

멸망: 고조선은 1차 접전(패수)에서 대승, 이후 약 1년간 한과 저항. 그러나 장기간의 전쟁으로 지배층 에 내분이 일어나 왕검성 함락(BC 108), 4군 설치(AD 313 소멸).

고조선의 사회상과 문화

8조 금법: 사유재산, 화폐존재, 계급사회 한군현 설치 이후 60조로 증가, 풍속 각박

8조 금법의 내용: 살인 사형, 상해 곡물, 절도 노비 또는 50만전

여옥이 지은 공후인(최표의 고금주), 공후

말과 호랑이 조각품(영천 어은동)

 



2. 4군과 다양한 국가들의 성장

4군의 설치

임둔군

함남 남부강원 북부의 원산만 일대 대방군 (BC 82 폐지)

진번군

자비령 이남한강 이북의 황해도(BC 82 폐지)

현도군

압록 중류동가강 유역의 예백지방(BC 75 홍경노성으로)

낙랑군

구 고조선(AD 313 미천왕이 격파)

4

특징: 고대국가의 성립 지연, 철기문화, 한문문화.

영향: 중국의 풍속이 유행, 법이 60개조로 증가, 농업생산력 급증, 민족의식과 함께 정치적으로도 자각.

유적

평양 토성리, 당토성에서 가옥도로구지 등이 발견

아치형의 목곽분과 전곽분, 最古 비석 용강군의 점제현신사비(5곡 풍성을 토속 산신에게 기원, AD 85)

고분: 중국식 분묘인 목곽분과 전축분이 있다.

유물

와당: 문자, 봉니: 봉할때 쓰는 진흙(문자)

박산로: 산악숭배사상의 봉황 구리 황로

동경(용호 무늬), 채화칠협(충효의열 그림), 기타 전화, 오수전(왕망전), 화천(한 동전)

 

부여(BC 100AD 200 )

형성: 만주 송화강 유역의 평야지대를 거점으로 성장, 1세기 초에 왕호 사용중국과 외교.

정치: 중앙()-4출도(마가저가우가구가)5부 연맹체, 대사, 대사자, 사자 등의 관리. 왕이 나온 대표 부족의 세력은 매우 강해서 여러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사회: 부장과 순장, 4대금법, 반농반목, 뇌옥, 친중, 하호는 양인농민

4대금법(4조목): 살인 사형사형자 가족은 노비, 절도 112, 간음투기 부인 사형.

문화: 흰옷숭상, 형사취수(일부다처제), 우제 점법, 명마, 제사에 조두, 은력사용, 12월의 영고, 금와전설.

멸망: 3세기 말 북접하고 있던 선비족의 침략으로 문자왕(494)에게 복속.

고구려(BC 37 졸본 압록강 가의 국내성(통구)로 옮겨 5부족 연맹 토대로 발전)

발달: 동으로는 옥저 정복, 한의 군현을 공략하였으며 요동까지 진출.

정치:

5: 5(소노계루전로순노관노) 고추가 가신(사자조의선인)

: 수상(상가, 대로, 패자) 관리(주부우태)

제가 회의를 통해 사형과 노비 판결, 감옥은 없음.

경제: 맥궁, 목축업

사회: 가들은 책, 소가들은 소골, 귀족은 허리에 숫돌과 칼.

문화: 부경, 후장, 귀족은 데릴사위(=예서=서옥)형사취수/평민은 자유 교제로 결혼, 10월의 동맹(왕과 신하들이 국동대혈에 모여 제사).

 

옥저

위치: 함경도 변방에 위치, 고구려에 복속.

정치: 왕은 없고 거수읍군삼로.

경제: 오곡, 맥포, 소금, 해산물 공납, 자형자형 집터.

문화: 고구려와 같이 부여족의 한 갈래. 민며느리제(=예부), 가족공동묘(세골장), 쌀항아리 매달기

멸망: 태조왕에게 복속.

동예

위치: 강원도 북부의 동해안.

정치: 왕은 없고 거수읍군삼로

경제: 농수산업, 방직(산누에) 발달, 단궁, 과하마, 반어피

사회: 책화, 동성불혼, 씨족적 성격이 강함.

문화: 호랑이신, 10월의 무천.

멸망: 태조왕에게 복속.

 

삼한(고조선 남방 지역에 있던 진국이 분화발전)

삼한의 구성

마한(54개국, 대전익산(경기충청전라)): 중심국가 목지국백제국. 백제로 발전. 수천1만 호.

변한(12개국, 김해마산): 중심국가 구야국. 가야 연맹으로 발전. 670045천 호.

진한(12개국, 대구경주): 중심국가 사로국. 신라로 발전. 670045천 호.

정치: 제정분리(천군이 소도를 관장/신지견지()-읍차부례()), 삼한 중 마한이 가장 강성, 마한 중 목지국의 지배자가 마한왕 또는 진왕이 되어 삼한을 주도. 소도는 신구충돌갈등 완화.

경제: 변한에는 철이 많았다(성산동), 철제농기구 농경이 발달, 벼농사(벽골지, 의림지, 대제지, 공검지, 수산제).

사회: 토실(마한), ()움집귀틀집초가집.

문화: 두레, 상투, 문신, 장례시 우마새깃(천계 승천), 5월 수릿날과 10월의 상달제, 국중대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