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정책결정모형

 

헨리(N.Henry)의 의사결정모형 유형론

 

1) 신제도모형은 정책유형과 조직 내외의 상황적 조건을 결부시켜 정부개입의 성격을 규명하려는 의사결정모형

혼합모형

(A.Etzioni)

근본적 결정(): 합리모형에 따라 포괄적 대안 탐색 개괄적 예측

 

세부적 결정(나무): 점증모형에 따라 소수의 대안탐색 세밀히 예측

정책오류

1종 오류: 옳은 귀무가설 기각, 틀린 대립가설 채택 틀린 정책 채택

 

2종 오류: 틀린 귀무가설 채택, 옳은 대립가설 기각 옳은 정책 채택×

 

3종 오류: 정책문제 자체를 잘못 정의(근원적 오류) - 수단적 기획관이라는 비판을 받음

 

귀무가설(null hypothesis, 영가설)

: 설정한 기술이 진실일 확률이 극히 적어 처음부터 버릴 것이 예상되는 가설

대립가설(alternative hypothesis, 대체가설)

: 귀무가설이 기각될 때 받아들여지는 가설

이미 검증된 귀무가설과는 달리 대립가설을 실제로 검증된 것이 아닌 단순히 귀무가설이 기각될 때

대체되는 가설

정책결정요인론

정치학자들의 재연구

Dawson&Robinson의 경제적 자원모형: 허위관계모형

 

CnuddeMcCone의 연구: 혼란관계모형

 

정책결정 시, 관료의 우월적 위치를 결정짓는 요인

: 관료의 전략적 지위, 관료의 전문성, 중요한 정보의 통제, 고객집단의 지지

최적모형 초정책결정단계

(Y.Dror)

1. 의의

점증모형의 보수성과 합리모형의 비현실성을 비판한 모형으로 이스라엘의 정치학자 드로르가 제시하였다.

최적모형은 기본적으로는 경제적 합리성을 중시하는 합리모형에 가까우나 경제적 합리성뿐만 아니라

초합리성(직관, 판단, 창의 등)도 중시한다. 또한 결정능력의 향상을 위해 정책평가의 평가, 환류 등을

강조하는 모형이다.

앨리슨(G.T.Allison)이 제시한 두 번째의 모델인 조직과정모형(organizational process model)이 이 모형에

속한다.

 

2, 정책결정단계

(1) 초정책결정단계(metapolicymaking stage)

: 정책결정에 대한 정책결정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대해 결정하는 것(가장 중시)

결정참여자가 시기결정을 위한 조직과 비용결정 방식들을 미리 결정하는 것

(2) 정책결정단계(policymaking stage)

: 실질적인 문제를 다룸

(3) 후정잭결정단계(post-policymaking stage)

: 정책결정 후 수정하는 과정

회사모형

(H.A.Simon)

1. 의의

회사와 같은 형태의 조직에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을 단순히 이윤극대화라는 경제적 측면에서만이 아니라

조직의 구조와 목표의 변동, 기대의 형성과 선택 등의 여러 측면에서 파악하는 이론 모형이다.

사이어트(R.Cyert)와 마치(J.March)가 개인적 차원에 역점을 두고 있는 만족모형(satisfying model)

조직의 차원으로 발전시킨 정책결정의 이론모형

회사와 같은 형태의 조직은 대체로 각 단위 조직이 사업 부서별로 준 독립적인 운영을 하는 연합체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에 이를 한편 연합모형(coalition model)'이라고도 한다.

 

2. 특징

(1) 표준운영절차(장기적(일반적) SOP / 단기적(구체적) SOP)

(2) 갈등의 준해결(국지적 합리성, 받아들일 만한 수준의 의사결정 목표에 관한 순차적 관심)

(3) 조직의 학습(도구적 학습)

(4) 불확실성의 회피(단기적 피드백에 의한 단기적 반응, 환경과의 타협으로 불확실성 통제)

(5) 문제중심의 탐색(문제발생 대안탐색)

 

환경과의 타협: 거래 관행의 형성, 장기계약, 카르텔 등

Allison의 정책결정모형

 

집단의 특성(응집성, 권력성)에 따라 의사결정 모형이 달라짐

사이버네틱스모형

(Cybernetics model)

1. 의의

합리모형과 가장 극단적으로 대립하는 것으로, 분석적 합리성이 완전히 존재하지 않는 습관적 의사결정을

설명한다.

자동온도조절장치와 같이 일정한 중요변수의 유지를 위한 끊임없는 적응에 초점을 두며 대안의 결과예측에

있어서도 새로운 정보 통해 추가된 대안의 결과예측을 수정해 나감으로써 불확실성을 감소시켜 나간다.

 

2. 특징

불확실성의 통제(시행착오적인 적응) 하위단위 맥락과 순차적 결정 제한된 합리성

도구적 학습(시행착오적 학습) 집단적 의사결정

적응적 의사결정(비목적적 적응모형) 휴리스틱(귀납적 방식) 문제해결

쓰레기모형

(garbage can model)

1. 의의

1970년대 코헨(Michael D.Cohen), 마이치(James.G.March), 올센(Johan P.Olsen) 등이 제창한 것으로,

의사결정의 합리적 형태보다는 실제 조직의 의사결정 양상을 드러내고자 한 모형이라고 볼 수 있으며,

주로 대학조직에 대한 연구를 통해 발전해왔다.

쓰레기통 모형에서는 조직 자체의 문제,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 참여자 등이 엉켜진 채로 버려져 있는

쓰레기통으로 상정하며 자연히 의사결정도 정연한 분석과 평가과정의 산물이 아니라 여러 가지 상호

독립적인 요인의 흐름 속에서 빚어진 결과 혹은 해석이라고 본다.

 

2. 정책결정의 네 가지 요인

문제(problem)의 흐름

: 문제는 대안의 선택이나 문제의 해결책과는 무관하게 흘러 다님

해결책(solutions)의 흐름

: 해결책도 문제와 상관없이 흘러 다니다가 문제 발생 이전에 해결책이 착상되기도 함

참여자(participants)의 흐름

: 조직 참여자들이 조직 내외에 걸친 유동성은 높아 참여들은 어떤 하나의 문제 또는 해결책의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지 못함

의사결정(선택)의 기회(choice opportunity)의 흐름

: 의사결정의 기회란 개인의 경우 결정을 하거나 집단의 정책결정을 하기 위해 회의 가지는 것

 

Kingdon의 정책의 창(policy window, 정책흐름)모형

: 정책의 흐름 속에는 만은 대안이나 제안들이 정치적 계기를 기다리며 떠돌고 있는데, 이 정책흐름이

문제의 흐름, 정치적 흐름과 함께 적절히 결합되었을 때 정책의 창이 열리게 됨

이들 세 가지 흐름이 서로 다른 경로로 흐르며 어느 정도 상호 독립적인 경로를 따라 진행되다가

어떤 특정 시점인 정책의 창에 이르러 그들의 경로가 교차될 때 정책형성이 이루어짐

 

Hall의 패러다임 변동모형(PCF, paradigm change framework)

: 1970년부터 1989년까지의 영국 경제정책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여 정책변동의 원인 파악했는데, 여기에는

정책목표, 정책산출물, 기술정책환경 등 세 가지 변수가 작용하여 패러다임이 변화하면 정책변동이

가능하다고 봄

패러다임변동이 한 번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일정 단계(패러다임 안정기, 변이의 축적기, 실험기,

권위의 손상기, 새로운 패러다임의 정착기)로 이행한다고 주장

이익집단위상

변동모형

1. 의의

: 정책변동에 따라 이익집단의 위상이 어떻게 부침을 거듭하는가를 연구한 정책변동모형

 

2. 변동 요인

제도적 맥락(institutional context)

: 국회의결, 법원판결 등 제도적 참여자가 이익집단에 영향을 주는 것(상대적으로 중요)

이슈맥락(issue context)

: 아직 공식화되지 않은 정책의 유지 또는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망라한 것으로, 주로 정치체제의

외부의 상황적 요소들이 이익집단에 영향을 미치는 것

 

3. 평가

정책공간에 있어 복잡한 이익집단의 행태를 논리적으로 제시하여 그 정체성을 높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만, 이익집단에 있어서 위상에 따른 변동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점(지엽적), 처방적 접근방식과는

동떨어져 있다.

의사결정환경에 따른

의사결정의 유형

(Thompson)

 

정책결정 상황의 분류

 

1) 목표에 대한 합의가 존재하나 수단에 대한 합의가 부재하므로 불확실성에 대비한 사이버네틱스 모형이 적용

집단의사결정모형

브레밍스토밍(Brain storming)

: 일정한 주제에 관하여 회의형식으로 구성원 간의 자유발언을 등을 아이디어의 제시를 통하여 창의적인

해결방안을 찾아내는 방법

 

델파이기법(Delphi techique)

: 고대 그리스 신화 중 아폴로 신이 미래를 통할하고 신탁하였다는 델파인 신전에서 따온 말로, 다수의 전문가

들로부터 그 시스템에 관해 문의를 하고 그 집계 결과를 각 회답자에게 되돌려주어 이것을 참고로 하여

회답자는 다시 의견을 보내게 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시스템에 관한 평가를 다듬어 가는 방법

전통적 델파이 기법과 정책델파이의 비교

 

명목집단 기법(nomial grouping)

: 구성원들 간의 소통을 차단한 채로 각 구성원들에게 문제를 제시하고 될 수 있는 한 각자의 해결안들이

가능한 많이 제출하게끔 하여 차례로 그 의견을 다른 구성원들에게 설명하고, 이를 진행자가 정리하는

방식으로 모든 설명이 끝나면 비밀투표를 통해 우선순위를 정하여 해결책을 정하는 방법

불확실성하의 의사결정 기준

 

불확실성의 대처방안

 

 

일반적인 대처방안

문제를 의도적으로 탐색

표준화공식화를 추구

환경에 조직적 대응(분권화 및 권한위임)

 

1) 보수적 결정(conservative decision)

: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적의 상황을 전제하고 정책대안의 결과를 예측하는 분석기법

 

2) 민감도 분석(sensitivity analysis)

: 한 모형에서 파리미터(parameter)가 불확실한 때, 이 파라미터가 취할 수 있는 가능한 값들을 모두 대입해

파라미터의 변화에 따라 결과가 어떻게 되는가를 분석하는 것

내생변수: 통제 가능한 변수 예유류세, 난방비

외생변수: 통제 불가능한 변수 예기름값, 기후변화

 

3) 악조건 분석(a fortioriti analysis)

: 예비분석 등을 통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 정책대안에 대해서는 파라미터 및 외생변수가 최악의

상태로 발전할 것으로 가정하고 나머지 대안에 대해서는 최선의 상태가 발생하리라고 가정해 각 대안의

선택여부를 판단하고자 하는 분석방법

 

4) 분기점분석(break-even analysis)

: 최선 및 차선으로 예상되는 몇몇 대안들이 동등한 결과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모형의 파라미터 및 외생변수

간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를 가정해 보고, 이중 가장 발생가능성이 높은 대안을 최선의 정책대안으로

선택하는 분석기법

 

정책딜레마모형

1. 의의

: 상호갈등적인 정책대안들이 구체적이고 명료하지만 대안들이 서로 상충적이고 단절적이어서 절충이

불가능하고 갈등을 빚는 대안들을 함께 선택할 수 없는 그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압박을 받고 있는

정책상황(상충성분절성균등성선택불가피성)

 

2. 해결방안

적극적 방안 - 정책문제의 재구성

소극적 방안 - 상황의 호도, 정책결정의 회피와 지연

정책분석

1. 의의

정책을 결정하기 위하여 이에 앞서 여러 가지 정책대안(政策代案)을 체계적으로 연구하여 그 각각의

정책대안에 대한 장단점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제기된 문제의 해결방법, 정보의 수집과 해석 그리고 정책집행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현상에

대한 예견까지 모두 포함하다.

정책대안을 선택하는 정책결정자가 합리적으로 정책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사전평가(事前評價)

* 정책평가는 결정된 정책을 정책집행자가 집행하는 과정이나 그 결과를 본 후 그 정책의 효과 또는 잘잘못을

따져보는 사후평가(事後評價)

 

2. 절차

해결해야 할 문제를 인지(認知)한 후 목표를 설정하는 단계

목표 달성을 기할 수 있다고 모든 여러 가지 대안을 탐색하고 그 결과를 예측하는 단계

탐색한 대안들을 놓고 어느 것이 가장 실현 가능하고 효과적인 것인가를 비교평가하는 단계

비교평가한 몇 개의 대안을 최고 정책결정자에게 제시하여 검토선택하게 하는 단계

 

체제분석(system anlaysis)

의사결정자로 하여금 최적 대안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관련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수집조작

평가하는 분석방법인데. 이는 의사결정 이론 중에서 규범적 접근방법에 속한다.

체제분석은 운영연구(OR: operation reserch)와 유사하나 계량분석에만 의존하지 않고, 전체로서의 체제의

구조기능행태의 경험을 기본 지식으로 삼는다는 점에서 운영연구와 다르다.

 

공통점

문제와 대안을 체제의 관점에서 고찰한다.

여러 대안 중에서 가장 훌륭한 대안을 탐색한다.

목표에 비추어 기대 결과를 비교하고 합리적인 대안을 선택한다.

정책대안의

평가기준()

소망성: 공평성(형평성), 대응성(부응성), 적합성, 적정성(충분성), 효과성 , 능률성

실현가능성: 정치적윤리적행정적법적경제적기술적가능성

정책대안 선정에 일차적 고려 기준

 

소망성(desirability)의 평가 기준(R.Nakamura&F.Smallwood)

노력(effort): 사업 활동에 투자될 질적양적 투입이나 에너지

능률성(efficiency): 투입과 산출의 비율

효과성(effectiveness): 목표의 달성도

대응성(responsiveness): 정책 결과가 외부의 특정 집단의 욕구선호 등을 만족시키는 정도

형평성(equity): 비용과 편익이 여러 집단 사이에서 동등하게 배분되는 정도

정책대안의

평가기준()

순현재가치(NPV, net present value)

: 특정 투자안에 대한 편익을 최소한도의 보수율(報酬率)을 할인해 현재가치화하고, 비용도 할인해

현재가치화하여 편익의 현재가치에서 비용의 현재가치를 차감한 순액

 

편익-비용비(B/C ratio, benefit-cost ratio)

: 비용의 현재가치에 대한 편익의 현재가치의 비율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경제적 능률성의 척도

편익-비용비>1 투자안 채택

 

내부수익률(IRR, internal rate of return)

: 비용편익분석에서 편익의 현재가치와 비용의 현재가치가 동일하게 되도록 하는 할인율을 말하는데,

순현재가치가 영()이 되도록 하는 할인율

사업평가에 적용할 적절한 할인율이 알려져 있지 않은 경우에 매우 유용한 평가 기준

내부수익률>기준할인율, 높을수록 사업의 경제성이 타당

 

비용편익분석의 절차

: 대안의 식별 사업의 수명 결정 편익비용의 추정할인율 결정 사업의 비교평가

민감도 분석 사업의 선택

미래예측의 유형

(W.Dunn)

PERT/CPM

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 공사를 진행하기 위한 계획을 작성할 때, 어떠한 방법과 어떠한 공정의 진전 방법을 이용해야 인원이나

자재의 낭비를 막고 공정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지를 밝히는 공정관리기법

CPM(critical path method)

: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하는 논리 구성으로 프로젝트를 일정 기간 내에 완성시키고 해당 계획이 원가의

최솟값에 의해 보증되는 최적 스케줄을 구하는 관리 기법

엘리트이론

(19c )

 

1. 의의

: 한 사회는 지배계급인 엘리트와 피지배계급인 대중으로 구분되며, 소수의 엘리트가 한 사회를 지배하고

다수 대중은 엘리트 의사를 따르게 됨

엘리트 가치관, 이해관계 등이 동질적이고 폐쇄적인 집단으로서, 중요한 정책문제는 사회 전체의 이익과

상관없이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고려하여 결정

 

 

 

 

 

2 모형

 

무의사결정론 신엘리트주의

권력은 정책을 결정하는 권력과 정책의제가 채택되지 않도록 하는 권력의 양면이 있으며, Dahl의 다원적

권력이론은 권력적 뒷면에 관심을 가지지 않았음을 비판하였다.

엘리트의 가치와 이익에 대한 잠재적이고 현재적인 도전을 억압하거나 방해하는 결정으로서 결정자 자신의

이익과 상충되는 도전과 주장을 적극적으로 좌절시키는 의도적 무결정 현상이다.

정책의제 설정단계에서 주로 나타나지만, 넓은 의미의 무의사결정은 정책의 전 과정에서 나타난다.

무의사결정의 수단으로는 폭력, 적응적 흡수, 지배적인 가치 및 신념 및 편견의 동원, 현존 규칙 및 절차의

재편성 등이 있다.

다원주의

1. 의의

정책권력이 소속의 지배집단이 아닌 다수의 이해집단에 분산되어 있으며, 이해집단의 영향력은 서로

견제하고 경쟁할 수 있는 정도로 균형을 유지하고 있다고 인식한다.

투표과정을 통해 국민 스스로 공직자를 선택하며 어떤 사회문제든지 정책의제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정책의제는 여러 집단 간 협상과 타협을 반영한 결과물이며, 국가는 이러한 과정에서 소극적중립적

심판관의 역할에 국한된다.

 

2. 모형

 

신다원주의론

: 고전적 다원주의 대한 엘리트 이론의 비판을 수용하면서도 새로운 다원적인 관점을 제시한 이론

기업집단에 대한 특권이 실제 정책과정에서 나타나고 있음을 인정

정부는 중립적 조정자가 아닐 수 있으며, 전문화된 체제를 갖춘 능동적 기능을 하는 정부관을 전제

이익집단을 통해 정치적 이익의 균형과 조정이 민주주의 핵심동력으로 작용한다고 봄

조합주의

(corporatism)

1. 의의

조합주의적 관점은 특정 상황에서 국가는 정책결정과정 주도권을 행사하는 실체로서 작용하며, 해당 정책

영역의 주요 이익집단을 단일적이면서 위계적인 전국 규모의 이익대표체계를 구성하며 일정한 범위 내에서

정부의 통제를 수용하고 정부 정책에 협조하는 대가로 해당 영역에서의 이익대표권을 독점한다고 가정한다.

 

2. 종류

신중상주의(neo-mercantilism)

: 산업자본주의가 등장하기 이전에 외국 무역을 통해 부국가병 정책을 추구한 과거의 중상주의와 대비는데,

1930년대의 장기적 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각국이 자유경제에 의한 경제적 국제주의를 지양하고

경제에 대한 국가의 간섭을 강화하는 것

특히 동아시아 발전 전략을 설명하는 데 유용

기타 정책과정의

권력 모형

1. 베버주의

- 국가를 공동체의 이상을 실현하는 이념체로 인식하여 국가를 법과 합리성에 정당성의 근거로 수립된

관료제를 중심으로 이해

- 정부관료제는 국익의 관점에서 국가권력은 합리적으로 행사하여 여러 집단들의 이익을 권위적으로

조정하는 실체적 주체라고 봄

국가의 절대적 자율성과 지도적개입적 역할을 강조

 

신베버주의

- 국가는 다원주의에서 인식하는 수동적인 심판관이나 마르크주의에서 인식하는 자본가계급의 대변자가 아닌

자율성을 가진 실체로 봄

- 국가는 다른 나라의 관계에서 정책을 결정할 때 국가의 이익을 옹호하는 결정을 내리고 있음을 강조

 

2. 마르크스주의

- 경제를 지배하고 있는 자본가 계급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국가를 장악한다고 인식

국가는 노동자 계급에 대한 억압 도구이거나 자본가계급을 위한 봉사의 도구라고 전제

 

신마르크스주의

- 국가가 어느 정도 자율성을 가지고 있으며 자본주의 체제를 유지하기 위하여 조세를 징수하고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자본가계급으로부터 어느 정도 자율성을 유지하는 측면은 인정하되 자본가계급이

실질적 결정권이 있음을 강조

정책네트워크

1. 의의

- 특정한 정책과정에 참여하는 개인이나 조직 등 행정주체들이 형성하는 상호의존적 연계망

- 정책문제별 형성, 다양한 참여자, 참여자들 간의 연계 형성, 참여자와 비참여자를 구분하는 경계가 존재,

공식적 및 비공식적 규칙의 총제,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변동이 가능

 

2. 모형

(1) 하위정부모형(철의 삼각)

- 이익집단, 입법부의 상임위원회, 행정기관 관료 등 소수 엘리트들이 연대를 형성하고 특정 영역의

정책결정을 배타적으로 지배하는 3자간 동맹이 형성되고 있는 양태를 설명

- 지속적 상호작용을 통한 협력관계를 형성, 참여자 간 관계의 안정성과 하위정부 내 자율성이 높음

- 정책분야별로 다양한 하위정부모형이 형성되며, 분배정책 분야에서 주로 형성

- 현대사회에서의 시민운동의 확산, 이익집단의 증가와 경쟁의 심화 등의 조건들은 하위정부모형의

적실성을 크게 약화시킴

 

(2) 이슈네트워크(이슈연결망, 정책문제망)

- 정부부처의 관료, 의원, 기업가, 학자, 언론인 등을 포함하는 특정 영역에 이해관계자들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의사소통 네트워크로서 경계가 모호하며 개방성이 높은 네트워크

- 다양한 행위자들이 참여하며 개방적이지만, 참여자들 간의 권력배분이 불균등

- 참여자들 간의 공동체의식이 약하며 접촉빈도가 유동적이며, 안정성 및 결과에 대한 예측가능성이

낮음

- 경쟁적갈등적이며 승패를 추구하는 zero-sum / negative-sum 게임

 

(3) 정책공동체(정책커뮤니티)

- 특정 정책문제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이 상호 이해를 공유하고 나아가 생산적이고 협력적인

파트너 관계를 유도하는 장으로서의 공동체

- 참여자들은 공통된 관심과 상대방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자원을 갖고 교호작용하는 과정에서

문제와 해결대안에 관한 공통된 이해를 형성하고 노력함

- 상호 의존적협력적이며 공동의 이익을 추구하는 non-zero-sum / positive-sum 게임

정책유형 분류

Almond&Powell: 추출정책, 규제정책, 분배정책, 상징정책

 

Lowi: 배분정책(1)포크배럴, 2)로그롤링), 규제정책(다원주의적 정치-3)포획4)지대추구),

재배분정책(엘리트 이론), 구성정책(게임의 법칙)

정책유형에 따라 정책결정과정이 달라진다고 주장

 

1) 포크배럴(pork-barrel)

: 이권법안(利權法案) 또는 이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정치게임을 마치 농장에서 고기 한 조각에 모여들은 노예에

비유한 말

 

2) 로그롤링(log-rolling)

: 이권(利權)이 결부된 몇 개 법안을 의원들이 서로 협력해서 통과시키는 형태를, 벌채한 통나무를 운반하기 위해

서로 협력해 굴리는 데서 유래

 

3) 포획모형(capture model)

: 정부규제에서, 규제기관이 규제 대상 사업을 지배하기보다 오히려 그들에 의해 지배되어 포로가 되는 상황

 

4) 지대추구(rent seeking)

: 경제 주체들이 자신의 이익을 위해 비생산적인 활동에 경쟁적으로 자원을 낭비하는 현상으로, 즉 로비약탈

방어 등 경제적 낭비현상을 지칭

 

Ripley&Franklin: 분배정책, 경쟁적 규제정책, 보호적 규제정책, 재분배정책

경쟁적 규제정책(competitive regulatory policy

: 정부가 특정한 재화나 용역(서비스)을 공급할 수 있는 유자격자들 중에서 경쟁을 통해 특정한 개인이나

단체를 선정하여 그 권리를 부여하는 한편 공익을 위해 그 공급권자의 활동을 규제하는 정책

> 한국이동통신 사업자 선정, TV채널의 허가, 특정 버스노선의 인가 등

보호적 규제정책(protective regulatory policy)

: 일부의 개인이나 집단의 특정한 활동에 대하여 규제함으로써 다수의 일반 국민을 보호하려는 정책

Lowi의 규제정책

> 공해업소를 규제하는 정책을 통해 생활환경과 국민보건을 보호, 허위 또는 과장광고를 금지함으로써

일반 소비자들을 보호하는 정책

정책유형에 따라 정책집행과정이 달라진다고 주장

 

규제정책의 유형()

 

규제정책의 유형()

Salamon의 정책수단유형 - 직접성의 정도에 따른 정책수단의 효과

 

분배정책과 재분배정책의 비교

 

규제영향분석

: 규제를 둘러싼 정치적 이해관계의 작용을 최소화하고 규제가 초래하는 영향을 좀 더 과학적·객관적으로 측정

(ex> 규제 외의 대체수단 존재여부, 규제의 사회적 편익과 비용을 점검 등)하고자 하는 기법

규제의 경제·사회적 영향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그 타당성을 평가

 

규제 대상별 규제의 유형

수단규제: 정부가 목표달성을 위하여 필요한 기술이나 행위 등 수단을 사전적으로 규제

성과규제: 특정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목표달성 수준을 정하고 피규제자에게 이를 달성할 것을 요구하는 규제

관리규제: 수단과 성과가 아닌 규제과정(규제절차)를 규제

정책문제의 특성

(W.Dunn)

주관성, 인공성, 역사성, 정치성, 동태성(복잡다양성, 상호의존성), 공공성

 

정책문제 정의 시, 고려요소

: 관련 요소 파악, 가치 판단, 인과 관계 파악, 역사적 맥락 인식

정책문제의

구조화 방안

(W.Dunn)

 

분류분석: 문제의 구성요소별 식별

 

유추분석: 다루어 본적 있는 유사한 문제에 대한 분석(개인적직접적상징적가상적 유추)

 

가정분석: 상충적 전제들의 창조적 통합

 

계층분석: 가깝고 먼 다양한 원인 식별

 

경계분석: 문제의 위치 및 범위 파악(문제군)

 

주관적직관적 방법: 브레인스토밍, 정책델파이

 

조사연구방법 활용

 

유추분석의 종류

1. 직접적 유추

: 두 개 이상의 문제 상황 사이의 유사한 관계를 탐색

알코올 중독의 문제를 구조화하는 데 있어서 전염병 통제경험으로부터 유추하는 것

 

 

2. 개인적 유추

: 분석가가 마치 정책결정자 또는 고객집단처럼 그 문제에 대해 빗대어 경험하는 것처럼 상상

문제 상황의 정치적 차원을 파헤치는 데 중점

 

3. 환상적 유추

: 문제 상황과 어떤 상상적인 상태 사이의 유사성을 탐험하는 데 있어 완전히 자유로운 유추

핵공격에 대한 방어문제를 구조화하여 유추하는 것

 

4. 상징적 유추

: 여러 종류의 자동제어장치와 정책과정 사이에서 유사한 관계를 분석하고 발견하는 것

정책의제의 유형

공중의제(public agenda)=환경의제=토의의제=체제적 의제

: 사회문제가 확대되어 많은 사람의 관심이 집중되고 정부가 문제해결을 위해 노력한 것이 정당한 것으로 인정되는

사회문제

 

정부의제(government agenda)=행동의제=제도적 의제=공식의제

: 정부의 공식적인 의사결정에 의해 진지하게 해결책을 모색할 방침을 밝힌 사회문제

 

정책의제 설정과정

Cobb&Elder의 모형: 사회문제 사회적 이슈 체제의제 제도의제

 

Cobb&Ross의 모형: 이슈(문제)의 제기 구체화 확장 진입

주도집단에 따른

정책의제설정모형

(Cobb&Ross)

외부주도형(outside-initiative model)

: 이익집단이 발달하고 정부가 외부의 요구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다원화민주화된 선진국에서 많이

나타나는 유형으로, 외부집단이 주도하여 정책의제의 채택을 정부에 강요하는 경우(강요된 정책문제)

외부집단과의 경쟁(진흙탕 싸움)으로 인하여 점진적인 해결로 종결되는 경우가 많음

 

사회문제 사회적 이슈 공중의제 정부의제

 

동원형(mobilization model)

: 정부의 힘이 강하고 민간부문의 이익집단이 취약한 후진국에서 나타나는 유형으로, 정책담당자들이 일반

대중이나 관련 집단에게 정보를 확산(정부 PR)하고 그들이 지원을 유도하기 위한 노력을 수행하고 난

뒤에 의제 채택을 하는 경우(채택된 정책문제)

외부주도형과는 정반대로 정부 내의 정책결정자들이 주도

 

사회문제 정부의제 공중의제

 

내부접근형(inside access model)

: 부와 권력이 집중된 나라 또는 관료들이 주도하는 개발도상국에서 흔히 나타나는 유형으로, 정부기관 내의

관료집단이 주도하고 이들이 최고 결정 정책결정자들에게 접근하여 정책의제로 채택하는 경우(음모형)

동원형에 비해 낮은 지위의 관료들이 주도

 

사회문제 정부의제

 

동원형의 사례

: 국민연금제도, 가족계획사업, 의료보험제도, 의약분업정책, 전자주민카드, 월드컵의 유치, 새마을사업

정책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Cobb&Elder)

시기적 적합성, 선례의 유무, 복잡성-단순성, 사회적 유의성, 일반성-구체성

 

2절 지방자치

01 지방자치의 본질과 가치

의의

2.지방자치의 기본요소

지방자치의 본질 및 유형

 

국가

 

자치단체

 

주민

 

 

 

 

단체자치

 

주민자치

 

1단체자치

2주민자치

주민자치와 단체자치

구 분

주 민 자 치

단 체 자 치

의미

국가

자치권의 인식

자치의 중점

사무의구분

권한부여방식

중앙통제

조세제도

민주주의와 관계

지방정부형태

정치적 의미

영국미국

자연적천부적권리(고유권설)

지방정부와 주민과의 관계(주민에 의한 행정)

고유사무(위임사무 없음)

개별적수권(지정)주의

약함(입법적사법적통제 위주)

독립세(자치단체가 과세주체)

상관관계 인정

기관통합형(의원내각제식)

법률적 의미

독일프랑스일본

국가에서 전래된 권리(전래권설)

중앙과 지방과의 관계 (자치단체에 의한 행정)

고유사무와 위임사무 병존

포괄적수권(예시)주의

엄함(행정적 통제)

부가세(국가가 과세주체)

상관성 부정

기관대립형(대통령중심제식)

 

지방자치의 가치와 필요성

1.지방자치와 민주주의와의 관계

(1)상관관계 인정설: 19C 의회민주의나 영미의 주민자치의 입장

민주주의의 보호수단이자 전제조건: 민주주의의 이념적 실천원리

Tocqueville: 미국민주주의론에서 지방자치에 대한 자유의 관계는 초등학교의 학문에 대한 관계와 같다고 보고 지 방자치 없이 국가는 자유로운 정부를 수립할 수 있을지는 모르나 자유정신을 가질수 는 없다고 역설

J.Bryce: 지방자치는 민주주의의 최량의 학교이자 그 성공을 위한 가장 확실한 보증이요 훈련동장이다

H.Laski: 민주적 지방저부는 민주적 중앙정부의 꼭 필요한 동반자이다

중앙의 전제: 독재에 대한 방파제 역할

(2)상관관계부정설: 대륙형 단체자치나 20C 현대행정의 입장

G.Langord: 지방자치는 비민주적 제도이며 사이비 민주적 제도하에서 성행

H.Kelsen: 지방자치는 사실상 민주주의에 공헌하지 못하다

G.S.Benson: 행정능률의 입장에서 지방자치는 민주주의의 장애가 되고 집앙집권이 유리

2.지방자치의 필요성

(1)정치적 필요성: 주민자치, 영미

다수에 의한 지배라는 민주적 행정이념을 구현하는 불가결한 수당

민주주의의 학교이자 훈련도장이자 주민 정치교육에 기여

중앙의 독재정치에 의한 방파제가 되며 혁명이나 쿠테타 방지

중앙의 정국혼란 지방확산 방지: 지방행정의 안정성 확보

향토애와 공동체 의식, 자유에의 증진

 

 

(2)행정적. 기술적 필요성: 단체자치, 대륙

지방의 특성이나 실정에 맞는 행정 구현: 현지성 제고

중앙과 지방간의 능률적 업무 분담: 중앙정부는 결정, 지방정부는 집행

주민참여의 강화로 행정의 민주성 제고 정책의 지역적 실험 용이, 시행착오 감소

자원의 효율적 배분에 기여

자치권 ----------- C

2 자치권의 존질

(1)고유권설(영미): 자치단체가 그 지역의 사무를 자주적으로 처리할수 있는 권리는 민주정치원리상 당연한 권리이며 그 것은 국가이전에 지역공동체사회에 기초를 두고 지역주민이 인정한 고유한 권리(주민으로부터 나온 권리)

(2)전래권설(대륙): 자치권은 국가의 필요에 따라 국가가 인정한 권리라는 견해(국가로부터 전래된 권리)

3.자치권의 내용

(1)자주입법권

조례: 지방의회가 헌법과 법률의 범위내에사 제정한 자치법규

규칙: 자치단체의 장이 법령과 조례의 범위내에서 제정하는 자치법규

양자의 관계: 주민의 권리. 의무와 관련된 사항은 조례로만, 기관위임사무는 규칙으로만 각각 정할 수 있다. 또한 하급자치단체의 조례나 규칙은 상위자치단체의 자치규약에 위배되어서는 안된다

(2)자주행정권 (3)자주재정권 (4)자주조직권

* 아무리 지방자치가 발달하여도 외교, 사법, 국방은 국가의 권한임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역사와 현실

지방자치제도의 현실과 방향

(1)지금껏 우리의 지방자치가 악순환을 겪었던 이유

남북분단의 위기상황이 장애요인으로 작용

민주정치 발전수준의 저급으로 지방자치 수용을 위한 제도적. 국민적 역량 부족

지방재정능력의 부족과 지역간 불균형

국가주도의 경제사회발전으로 민간부문 취약

가장 중요한것은 위정자들의 전근대적 사고방식에 기인한 것임 - 가장 중요한 이유

 

 

 

 

 

 

 

 

 

 

 

02 지방자치단체의 구성과 조직 ------------- B

자치단체의 종류

(1)보통자치단체

광역자치단체: 특별시. 광역시,

기초자치단체: , , 자치구

*자치구란: 특별시와 광역시에 설치된 를 말하며 인구 50만 이상의 에 설치된 (일반구)는 자치구가 아닌 행정

자치구청장은 선거에 의하여 취임하므로 그 신분이 자방자치단체장으로서 지방정무직인데 반하여 일반구의 구청장 은 일반직( 방직)공무원이다. . 면 동장도 일반직 공무원으로서 시장. 군수. 구청장이 임명한다

*광역자치단체간의 경계변경은 법률로, 지초자치단체간 경계변경은 대통령령으로, . 면 동간 경계변경은 조례로 정함

 

 

 

(2)특별자치단체

지방자치단체의 종류와 지위에 관한 법적규정

(지방자치법)

지방자치단체는 법인으로 한다

특별시와 광역시 및 도는 직할하에 두거, 시는 도의 관할구역인데, 군은 광역시 또는 도의 관할구역인데, 자치구는 특 별시와 광역시의 관할구역안에 둔다.

<서울특별시행정특례에관한법률> 4조에 의하면

행자부장관이 지방자치법 제115조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서울특별시의 지방채발행의 승인여부를 결정하고자 할 때에는 국무총리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행자부장관이 지방자치법 제158조의 규정에 의하여 서울특별시의 자치사무에 관한 감사를 하고자 할 때에는 국무총리의 조정을 거쳐야 한다. 서울특별시장의 처분 또는 부작위에 대한 행정심판청구사건의 심리의결은 행정심판법 제6조제1항 본문의 규정에 불구하고 국무총리소속하의 행정심판위원회에서 행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자치단체의 계층구조

(1)계층구조의 유형

 

(2)우리나라

광역자치단체: 특별시. 광역시,

기초자치단체: , ,

의결기관(지방의회)과 집행기관(자치단체의 장)

1. 지방의회

(1)지방의회의 지위: 주민이 선출한 의원들로 구성된 의결기관으로서 지방적 사무를 위한 중요정책을 결정하고 자치단체 (집행기관)의 활동을 감시. 통제하는 기관이며, 지방의회의원(영리행위 허용)은 주민이 선출하고 임기 4년이며 무보수 이지만 의정활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실비(의정활동비, 회의수당, 교통비)는 지급된다.

(2)지방의회의 기능

1)의결권

조례의 제정 및 개폐 예산 및 결산의 승인

법령에 규정된 것을 w[외한 사용료, 수수료, 부담금. 지방세 또는 가입금의 부과와 징수

기금의 설치. 운용 중요재산의 취득. 처분

청원의 수리와 처리 기타 법령에 의하여 그 권한에 속한 사항

지방의회의 청원에 관한 법적규정<지방자치법>

65(청원서의 제출)

지방의회에 청원을 하고자 하는 지방의회의원의 소개를 얻어 청원서를 제출해야 한다

청원서에는 청원자의 성명 및 주소를 기재하고 서명, 날인. 해야 한다

66(청원의 불수리):재판에 간섭하거나 법령에 위배되는 내용의 청원은 이를 수리하지 아니한다.

3)행정사무 감사 및 조사권

행정사무감사권: 지방의회는 매년 1회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사무에 대하여 시. 동에 있어서는 10, . 군 및 자치구에 있어서는 7일 범위내에서 감사를 실시하게 할 수 있다.

행정사무조사권: 특정사안에 관하여 본회의 의결로 본회의 또는 위원회로 하여금 조사하게 할 수 있다.

 

 

 

2.집행기관(자치단체의 장)

(1)집행기관의 지위

국가기관의 지위

지방자치단체의 기관으로서의 지위

(2)집행기관의 구성

1)자치단체장: 특별시에는 특별시장, 광역시에는 광역시장, 도에는 도지사를 두고 시에는 시장, 군에는 군수, 자치구에 는 구청장

2)부단체장: 단체장을 보좌하기 위하여

단체장에 대한 부단체장의 보좌권한은 권한대행과 직무대리 2가지가 있다.

권한대행: 단체장의 권한을 부단체장이 유효하게 행사하는것

부단체장이 자치단체장의 권한대행을 하게 된 때에는 즉시 이를 지방의회에 통보하여야 하며 권한대행 시유는 다음과 같다.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궐위 또는 공소제기후 구금상태에 있거나

)의료기관에 60일 이상 입원한 경우

)금고이상의 형을 선고받고 형이 확장될 때까지

)자치단체장이 당해자치단체의 장 선거에 입후보한 경우 일정기간 권한을 대행

직무대리: 자치단체의 장이 출장, 휴가. 등 일시적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부단체장이 그 직무를 대 리한다.

3)기타 합부조직: , , cf)(X)

(3)자치단체장의 지위와 신분

1)임기: 4년이며, 계속재임(연임)3에 한한다, 신분은 정무직 공무원

(4)자치단체장의 권한

1)통할대표권 2)사무의 권리집행권 3)지휘감독권

4)규칙제정권 5)기관시설의 설치권 6)임면

7)선결처분권

자치단체장은 지방의회가 성립되지 아니한 때와 의회를 소집할 시간적 여유가 없거나 의회에서의 의결이 지체될 때에는 일정한 사항에 대하여 선결처분을 할수 있다.

일정한 사항(선결처분대상)이란 재해복구, 전염병의 예방 등 주민의 생명과 재산보호를 위하여 긴급하게 필요한 경우나 국가안보상 긴급한 지원이 필요한 사항

선결처분은 지방의회에 지체없이 보고하여 승인을 얻어야 하며 승인을 얻기못한 때에는 그때부터 효력이 상실된 = 긴급명령권

8)재의요구권

재의요구사유

)조례안에 이의가 있는 경우

)지방의회의 의결이 월권 또는 법령에 위반되거나 공익을 현저히 해한다고 인정되는 때

)지방의회의 의결에 예산상 집행할수 없는 경비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의무적 경비나 재해복구비를 삭감한 경

)지방의회의 의결이 법력에 위반되거나 공익을 현저히 해한다고 판단되어 행자부장관 또는 시. 도지사가 재의 요구를 지시한 경우

부결시 대응(대법원에의 제소권): 위의 재의요구사항에 대하여 지방의회가 재직의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의원의 2/3이상의 찬성으로 전과 같은 의결을 하면 그 의결사항은 화장되는데 이 경우 지자체장은 대법원에 제소할 수 있

9)기타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의 지위>

구 분

임기

연임제한

보수

영리행위제한

겸직금지규정

정당참여

자치단체장

4

있음(3)

유급직

있음

있음

인정

지방의원

4

없음

무급직

없음

있음

광역:인정, 기초: 불인정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 상호간의 권한

지방자치단체장이 지방의회에 대하여 갖는 권한

지방의회가 자방자치단체장에 대해 갖는 권한

(1)지방의회 의결에 대한 재의요구 및 제소권

(2)지방자치단체장의 선결처분권

(3)의안발의권

(4)임의회 소집요구권

*의회해산권은 없음

(1)서류제출 요구권

(2)행정사무 감사 및 조사권

(3)행정사무처리상황의 보고와 질문, 응답권

(4)예산, 결산 승인권

*단체장에 대한 불신임결의권은 없음

, 지방의회 의장에 대한 불신임의결권은 인정

3.의결기관과 집행기관의 관계M

(1)기관대립형: 의결기관과 집행기관이 분리된 채 엄격한 견제와 균형을 유지하는 집행기관 중심의 대통령중심제방식(집행기관중심)으로 대륙계 일부 국가(한국, 이탈리아)가 채택

집행기관 직선형: 미국의 시장, 시의회제, 한국

집행기관 간선형: 미국의 시지배인형

집행기관 임명형: 과거의 한국과 프랑스

 

(2)기관통합형

<정리> 기관통합형의 장단점

장 점

단 점

1) 권한과 책임이 의회에 집중되어 민주정치와 책임

행정 구현 용이

2) 의회중심의 운영으로 의결과 집행기관간 갈등과 대립소지 없어 지 방행정의 안정성능률성 확보

3) 다수의원의 의사에 따라 결정과 집행이 이루어지므로 신중하고 공 정한 자치행정 가능

4) 소규모의 기초자치단체에 적합

5) 예산절감 및 탄력적인 행정집행 가능

1) 견제와 균형의 상실로 권력남용 우려

2)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집행기구의 부재로(민선의원

이 행정을 맡게 되어) 행정의 전문화 저해

3) 의원간 업무분담으로 행정의 종합성과 통일성 저해

4) 지방행정에 정치적 요인 개입 우려

5) 위원회형의 경우 대도시의 다양한 이익집단과 계층의 이익대표에 부적합

 

03 지방자치단체의 사무 --------------- C

사무배분의 방식

(1)개별적 지정방식(개별적 열기주의)

(2)포괄적 수권방식(포괄적 예시주의)

사무배분의 원칙

(1)책임명확화의 원칙 (2)능률성(경제성)의 원칙 (3)기초자치단체우선의 원칙

(4)현지성의 원칙 (5)계획. 집행 분리의 원칙 (6)이해관계범위의 원칙

(7)경비부담능력의 원칙 (8)종합성의 원칙 (9)기타:상호협력의 원칙

중앙행정권한의 지방이양원칙(중앙행정권한지방이양촉진등에관한법률)

(1)지방자치단체의 능력, 여건, 의사존중의 원칙 (2)관련사무 일체이양의 원칙

(3)주민의 복리. 생활편의 관련사무는 기초자치단체에 우선적으로 배분할 것

(4)기초자치단체의 능력을 초월하는 사무는 광역자치단체에 이양할 것

(5)행정적. 재정적 지원 병행의 원칙

(6)지방자치단체의 능력과 규모 및 사무의 특성에 따라 자치단체별로 차등 이양할 수 있음

사무배분의 기준

(1)국가가 처리해야 할 사무(자치단체의 국가사무 처리제한)

국가의 존립, 유지에 직접 필요한 사무, 외교, 국방, 병무 국가의 조직 및 재정, 대통령 및 국회의원 선거 및 행정, 국가경찰 등

사회정책적 사무: 전국적 균질화가 요청되는 실업. 공적부조 등 사회보장적 성격을 띠는 사무

(2)중간자치단체(광역시, )가 처리해야 할 사무

(3)기초자치단체(, , )가 처리해야 할 사무

시장, 도서관, 상하수도, 생활환경의 경비, 불량주택의 정리, 오물처리 청소, 공원. 녹지,. 오락시설의 제공, 식품검사, 가로조명, 주차장 및 버스대기소의 설치, 관리, 공적 부조사업, 재해보상 및 실업보상에 관련된 업무에 이르기까지 실로 다양한 업무를 다루지 않으면 안 된다.

주민등록 및 호적사무도 실정법상으로는 기초자치단체 사무로 예시되어 있다.

사무의 종류

1.고유사무

지역주민의 공공복리를 위해 자치단체가 자기의사와 책임하에 처리하는 사무

지방자치단체의 존립, 내부조직, 재산관리 등에 직접 필요한 사무

2.위임사무

(1)기관위임사무(국가사무)

국가의 사정에 따라 집행기관인 자치단체의 장에게 위임한 사무

*개별법에 법적 근거없는 직권위임사무로서 우리나라 위임사무의 대부분이 이에 해당

국가적 이해관계만을 가진 사무로서 국가가 경비전액 부담

지방의회가 간여할 수 없음

중앙정부의 합법성(위법). 합목적성(부당)차원의 소극적인 사후적. 교정적 감독은 물론, 더 나아가 적극적인 감독(사전적. 예방적 감독) 까지 수반

(2)단체위임사무

지역적 이해관계와 국가적 이해관계가 공존하고 있는 사무

법정조치에 의해 자치단체의 장(집행기관)과 지방의회(의결기관)에 공동으로 위임한 사무

사후적. 교정적 감독

국가와 지방이 비용분담(부담금)

기관위임사무과 단체위임사무의 비교

구분

중앙의 감독

지방의회의 간여

경비부담

이해관계

법정조치

기관위임

단체위임

적극적(교정+예방)

소극적(교정)

불가

가능

국가

지방 및 국가

국가

국가 및 지방

불요

필요

 

 

 

지방자치단체의 사무구분※※

구분

개념

특징

고유사무

전국적 이해관계가 없는 지방의 고유사무

- 자치단체 존립. 유지사무(조례. 규칙 제정 등)

- 주민복지사무(상수도, 소방, 시장, 도서관, 학교(.중학교),병원, 도로, 주택, 쓰레기, 교통, 도시계획)

자주성

강함

위임사무

기관위임

사무

직접적으로 지방적 이해관계가 없는 국가사무를 자치단체의 장에 위임(결정은 중앙, 집행은 지방)

경찰, 국회의원 선거, 근로기준설정, 의약사 면허,

도량형, 주민등록 및 호적사무

*호적사무: 자방자치법과 대법원판례상으로는 자치사무나, 강학상으로는 기관위임사무로 봄

*병사사무: 기관위임에서 국가사무로 환원되었음

중앙의

통제 강함

단체위임

사무

부분적으로 지방적 이해관계가 있는 사무를 자치단체와 지방의회에 위임

(의회가 결정, 집행은 자치단체장)

보건소, 생활보호, 예방접종, 재해구호, 도세징수, 공과금징수, 직할하천 점용료 징수 등

 

중앙의

통제 약함

지방사무별 국가의 감독방식

자치사무

합법성차원의 교정적 감독(위법), 사후통제

단체위임사무

합법성 및 합목적성 차원의 교정적 감독(위법. 부당), 사후통제

기관위임사무

교정적 감독(위법. 부당) 및 예방적 감독 사전 + 사후통제

 

쟁점 호적사무의 성질

 

(1) 실정법(지방자치법 제9조 제2)상으로는 자치사무로 예시

(2) 대법원판례(1995)상으로는 자치사무로 판시

* 호적법 및 지방자치법의 제규정에 비추어 보면 호적사무는 국가의 기관위임에 의하여 수행되는 국가사무가 아니라 지방자치법 제9조가 정하는 지방자치단체의 사무라 할 것이고, 단지 일반행정사무와는 달리 사법적 성질이 강하여 법원의 감독을 받게 하는데 지나지 아니한다.

(3) 일반적(강학상)으로는 기관위임사무로 보고 있음.

* 대법원판례와 실정법(자치법)상 규정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지방행정학자들은 아직 주민등록과 호적사무를 과거처럼 기관위임사무로 보고 있음. 대법원판결이 호적사무 처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부담하지 않으려는 왜곡된 판결이라는 주장

(4) 정부실무입장 : 최근(2001.5) ‘중앙행정권한지방이양추진위원회에서 호적사무를 다시 지방사무에서 기관위임사무로 환원하는 결정을 내린 바 있음.

 

결론 : 강학상(일반적)으로는 기관위임사무, 지방자치법과 대법원 판례상으로는 자치사무

 

04지방자치단체의 재정 ------------------ A

의의

(2)지방재정의 특성

응익성: 수익자가 명확하고 한정적이므로 이익의 대가만큼 비용을 부담할 수 있는 수익자 부담주의가 적용된다. 이에 반하여

응능성은 소득이나 능력의 크기에 따라 재정부담을 하는 것임

타율성: 기채승인 등 국가로부터의 제한. 감독을 받으며, 자주재원 외에 국가로부터 지원을 받는 의존재원(보조금)등이 있고, 양출제입 적 성격이 강한 국가에 비하여 지방재정은 양입제출적 성격이 강하다

다양성: 재정규모나 세입과 세출의 비중, 재정능력과 자립도 등 자치단체마다 그 특성이 다양하다

 

 

 

 

 

 

 

 

 

 

< 정리> 국가재정과 지방재정의 차이

󰠏󰠏󰠏󰠏󰠏󰠏󰠏󰠏󰠏󰠏󰠏󰠏󰠏󰠏󰠏󰠏󰠏󰠏󰠏󰠏󰠏󰠏󰠏󰠏󰠏󰠏󰠏󰠏󰠏󰠏󰠏󰠏󰠏󰠏󰠏󰠏󰠏󰠏󰠏󰠏󰠏󰠏󰠏󰠏󰠏󰠏󰠏󰠏󰠏󰠏󰠏󰠏󰠏󰠏󰠏󰠏󰠏󰠏󰠏󰠏󰠏󰠏

국가재정 지방재정

󰠏󰠏󰠏󰠏󰠏󰠏󰠏󰠏󰠏󰠏󰠏󰠏󰠏󰠏󰠏󰠏󰠏󰠏󰠏󰠏󰠏󰠏󰠏󰠏󰠏󰠏󰠏󰠏󰠏󰠏󰠏󰠏󰠏󰠏󰠏󰠏󰠏󰠏󰠏󰠏󰠏󰠏󰠏󰠏󰠏󰠏󰠏󰠏󰠏󰠏󰠏󰠏󰠏󰠏󰠏󰠏󰠏󰠏󰠏󰠏󰠏󰠏

순수공공재 공급 준공공재의 공급

(외교, 치안, 국방, 사법 등) (도로, 교량 등 SOC)

포괄적 기능 수행 자원배분기능 수행

응능주의 응익주의

가격원리 적용 곤란 가격원리 적용 용이

기업형 정부 적용 곤란 기업형 정부 적용 용이

전략적 정책기능 전술적 집행기능

형평성 효율성

비경쟁성 경쟁성(지방정부간)

조세에 의존 세외수입에 의존

지역간 이동성 없음 이동성 높음(티부가설)

󰠏󰠏󰠏󰠏󰠏󰠏󰠏󰠏󰠏󰠏󰠏󰠏󰠏󰠏󰠏󰠏󰠏󰠏󰠏󰠏󰠏󰠏󰠏󰠏󰠏󰠏󰠏󰠏󰠏󰠏󰠏󰠏󰠏󰠏󰠏󰠏󰠏󰠏󰠏󰠏󰠏󰠏󰠏󰠏󰠏󰠏󰠏󰠏󰠏󰠏󰠏󰠏󰠏󰠏󰠏󰠏󰠏󰠏󰠏󰠏󰠏󰠏

지방자치단체의 재건전성

(1)지방재정력(총재정규모)

(2)지방재정자립도

재정자립도 산정방식

 

(3)재정의존도: 총재원(자주+의존)중에 의존재원(국가의 보조금 등이 차지하는 비중)

(4)재정건전도

<지방재정력의 주요변수>

- 주민1인당 지방세부담능력 - 재정규모

- 자주재원 비율 - 세출규모 중 투자비 총액의 비중

- 잠재적 재원능력 : 자치단체 소유재산 등 - 개발재정수요 : 작을수록 재정력 강화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간 기능배분과 재원배분 관계 : 일치할수록 재정력 강화

세입구조

1.자주재원

(1)지방세

1)개념: 지방자치단체가 반대급부 없이 주민들로부터 받아들이는 자주재원

<정리> 우리나라의 지방재정 구조

󰠆󰠏󰠏 자주재원 󰠆󰠏󰠏 세수입 󰠆󰠏󰠏 보통세 : 등록세, 취득세, 면허세, 주민세, 재산세, 자동차세 등

󰠐 󰠐 󰠌󰠏󰠏 목적세 : 사업소세, 도시계획세, 공동시설세 등

󰠐 󰠌󰠏󰠏 세외수입 : 수수료, 사용료, 지방채 발행

󰠌󰠏󰠏 의존재원 󰠏󰠏 교부세 󰠏󰠏󰠏 보통교부세

(지방재정 󰠏󰠏󰠏 특별교부세

조정제도) 󰠉󰠏󰠏 협의의 보조금 : 지방사업에 대한 순수한 재정지원 또는 국가사무에 대한 비용부담

󰠉󰠏󰠏 부담금 : 국가의 단체위임사무에 대한 비용부담

󰠌󰠏󰠏 양여금 : 지역개발사업을 위한 국가의 재정지원(1991.1 도입) 폐지

자치단체의 4대재원: 지방세, 지방공채, 지방교부세, 국고보조금

2)지방세의 원칙: 충분성과 보편성의 원칙 안정성의 원칙(세수의 안정적 확보) 신장성의 원칙 부담분임의 원 (가급적 모든 주민이 경비 부담) 국지성의 원칙(과세객체가 관할구역내라야 함) 응익성의 원칙(이익의 크기에 비 ) 평등성의 원칙(평등하고 동등한 과세) 탄력성의 원칙 자주성의 원칙 강제성의 원칙 계획성의 원칙

3)우리나라의 지방세 종류

용도에 따라

)보통세: 전체 세입으로 세출을 충당키 위해 용도의 구분없이 징수

주민세, 재산세, 등록세, 취득세, 자동차세, 면허세, 종합토지세, 담배소비세, 레저세, 농업소득세, 주행세

)목적세: 특정한 세출에 충당하기 위해서 특별히 부과하는 조세

과세 주체에 따라: 특별시세, 광역시세, 도세 및 시. . 자치구세

4)우리나라 지방세제의 문제점

세원의 빈약 소득과세나 소비과세가 적고 자산과세가 많아 재정운영의 신축성 저하

세수의 신장성 저조(국세에 비하여) 세원의 지역적 편차가 심함

독자적인 과세주권의 결여: 지방양여금 제도 등 지방세 보다는 국세의 비중이 크고 지방세의 종목과 세율이 국가 에 의하여 법률로 규정

지역적 특성 고려없이 획일적인 지방세제 운영

)탄력세율제도: 일부인정(주민세, 재산세, 공동시설세)

)법정외조세: 아직 불인정

우리나라 지방세 체계

 

도 세

시 군 세

특별시광역시세

구 세

보통세

취득세

등록세

면허세

레저세

 

주민세, 재산세

종합토지세, 자동차세

농업소득세, 도축세

담배소비세, 주행세

 

취득세, 등록세

주민세, 자동차세

농업소득세, 도축세

담배소비세, 주행세

레저세

면허세

재산세

종합토지세

 

 

목적세

공동시설세

지역개발세

지방교육세

 

도시계획세

사업소세

 

 

도시계획세

공동시설세

지역개발세

지방교육세

사업소세

 

 

 

지방세는 모두 17종의 세목이 있는데 반하여 국세(내국세)에는 13종이 있다.: 직접세(소득세, 법인세, 상속. 증여세, 재평가세, 부당이득세), 간접세(부가가치세, 특별소비세, 주세, 인지세, 증권거래세), 목적세(교통세, 교육세, 농어촌특별세)

(2)세외수입

명목적 세외수입

)임시세입: 기부금, 부담금, 잡수입, 재산매각수입, 이월금, 전입금, 지방공채수입

)사업외 수입: 이월금, 융자금, 잡수입, 과년도수입(일반회계)

지방채의 효용과 기능

(1)지방채 대상사업

(2)지방채의 순기능

(3)역기능

(4)통제

2.의존재원(지방재정조정제도)

(1)국고보조금

장려적 보조금: 원래 자자체가 스스로의 재원으로 충당하여야 할 사무나 사업이지만 국가적 차원에서 시책상 이를 장려할 필요기 있어서 지원 하는 재원

위탁금: 국가가무(기관위임사무)를 지방에 위임할 경우 그 경비의 전부를 지급

부담금: 단체위임사무를 지방에 위임할 경우 그 경비의 일부를 국가가 지급하는 경우

(2)지방교부세: 국가가 재정적 결함이 있는 자치단체에 교부하는 금전으로 지방재정력의 불균형(격차)시정이 목적

보조금이 국가와 지방간의 수직적 재정조정제도라면 교부세는 수평적 재조정제도에 해당

지방교부세법에 의하면 내국세 총액의 15%가 지방교부세의 재원

1)보통교부세

용도가 제한하지 않고 일반재원(교부세 총액의 10/11)

기준재정수입액의 기준재정수요액(인구기준으로 산정)에 미달될 경우 부족분을 지급

행자부장관이 분기별로 교부

2)특별교부세

특정재원으로 용도가 지정되며 교부세총액의 1/11이내가 한도

행자부장관이 사유발생시 일정기준에 의하여 지급

 

 

쟁점 지방재정조정제도

 

구 분

광의의 국고 보조금

지방교부세

양여금

(1991.1.1신설)

협의의 보조금(장려)

위탁금

부담금

지급사유

국가시책상 장려가

필요한 지방사무

국가사무위탁시

(기관위임사무)

국가적 이해관계

발생(단체위임사무)

재정적 결함

(지방사무)

지역간 균형이 필요한 지역개발사업

(지방도로 등)

지급액

필요상당액

사업비전부

사업비의 일부

기준재정수요액-

기준재정수입액

일정기준

용도

특정용도

특정용도

특정용도

일반용도

포괄적 특정용도

재원

국가(특정부처)예산

 

국가 (특정부처)

예산

국가(특정부처)예산

 

내국세 총액의

15%

교통세, 농특세의

일정 비율과 주세 의 전액

자주성

약함

아주 약함

약함

비교적 강함

비교적 약함

주의 1 위 위탁금을 지방재정법에서는 교부금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지방교부세와는 다름.

주의 2 분담금은 부담금과는 다르다. 부담금은 상급자치단체나 국가가 사무의 성격으로 보아 일부를 지급하는 것 이지만, 분담금은 자치단체의 시설로부터 현저히 이익을 받은 주민으로부터 징수하는 금전이다.

주의 3 보조금은 수직적 조정이며, 지방교부세는 수평적 조정이다.

주의 4 재정보전금은 시도가 관내 시군에 대하여 재정을 보전해 주는 제도이며(지방재정법 개정, 2000.1), ‘재정조정교부금은 광역시나 특별시가 관내 자치구에 대하여 행하는 재정조정제도이다. 이들 제도는 모두 광역자치단체가 기초자치단체의 재정을 조정해 주는 시도차원의 재정조정제도

기초자치단체에 대한 광역자치단체의 재정조정제도

(1)징수교부금(지방세법):특별시. 광역시, 도는 시. . 구에서 특별시세. 광역시세. 도세를 징수하여 납입한 때에는 징수 금의 3/100에 해당하는 징수교부금을 해당 시. . 구에 교부해야한다

(2)재정보전금(지방재정법)P. 도가 관내 시. 군에 대하여 재정을 보전해 주는 제도

(3)재정조정교부금: 광역시나 특별시가 관애 자치구에 대하여 해와는 재정조정제도

 

우리나라 지방재정의 문제점과 방향

(1)재정지위

지방재정보다는 국가재정의 위주로 되어 있고, 지방재정의 국민총생산 및 정부총지출에 대한 낮은 비율과 국가와 지방간의 사무분 담과 경비분담이 일치하지 않고 있으며 소득과 소비에 따른 과세는 국세로 하고 재산에 관련된 지방세로 하는 체계하에서 지방재 정은 본질적으로 취약하다

(2)지방세제

지방재정의 세외수입에의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다 법정외조세 인정 또는 탄력세율제도를 더욱 확대하여 과세자주권을 강화시키 는 방안 필요

(3)지방교부세

경상비 지출의 절감과 징세 노력에 따른 유인이 없어 지방예산이 낭비되고 있다. 지방교부세율의 현실화와 지방교부세의 유인 지향적 배분이 필요(지방세징수율, 경상비절감을 통해 따른 차등 교부)

(4)국고보조금

지나치게 세분화된 조건부 보조금이나 국고보조사업에 따른 지방자치단체의 높은 재정부담. 낮은 국고보조율과 보조금 결정의 객관적 기준의 미흡, 지역불균형의 심화 등으로 보조금이 또 다른 지방통제수단이 되고 있다. 고보조사업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재량권 대폭 확 대(개괄적 통제로의 전환)

쟁점 재정진단제도

 

(1) 의의 : 재정진단제도는 재정운영의 사후적 평가를 통해 재정운영의 책임성과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한 제도이다. 199412월 지방재정법에 지방재정분석 및 진단제도의 실시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1998년부터 본격적으로 재정분석을 실시하였다. 현행의 재정운영진단의 절차는 재정보고서 작성지침의 시달단계 재정보고서 분석단계 재정진단 실시단체의 선정단계 재정진단 실시단계 재정진단결과의 조치단계로 나누어진다.

(2) 대상자치단체 : 행정자치부장관 또는 시도지사가 재정진단을 실시할 지방자치단체는 다음과 같다.

1) 세입예산 중 채무비율이 세입예산의 일정비율을 초과하거나 채무잔액이 과다한 지방자치단체

2) 결산상 세입실적이 예산액보다 현저히 감소하였거나 조상충용을 한 지방자치단체

3) 인건비 등 경상비 성격의 예산비율이 높아 재정운영의 건전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지방자치단체

4) 행정자치부장관이 재정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재정진단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지방자치단체

(3) 결과조치 : 평가결과 행정자치부장관 및 시도지사는 당해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조직개편, 채무상환, 세입의 증대 및 신규사업의 제한 등을 내용으로 하는 지방재정건전화계획을 수립하여 시행할 수 있다.

경영수익사업

(1)의의: 지방자치단체가 주체가 되어 공공시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경제활동

(2)경영수익사업의 필요성

수익자 부담의 원칙에 따라 재원부담의 공평성을 높이고 서비스 질을 향상시키며 정부예산 절감에 기여

 

05 지방자치의 과제-------- C

지방자치와 직접민주주의

1,직접민주제방식의 종류

(1)주민발안 (2)주민투표 (3)주민소환

주민투표제도

(1)주민투표제도의 장점:자치단체의 중요한 결정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의회에서 의결된 사항을 주민투표로 부결하는 등 집행기관 뿐만 아니라 의회까지도 견제할 수 있게 되며 불만해소나 소수자권익보호기능을 수행 간접참정정치에 대한 보완이 되며 주민의 참여요구 충족 지역 및 집단이기주의로 인해 정책의결이나 집행이 어려울 때, 주민참여를 통해 해결할 수 있으며 지방자치단체장과 지방의회가 대립되었을때 중간적 입장에서 주민투표를 실시하며 객관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치가 된다.

2.우리의 관련제도

(1)주민조례개폐청구제도

직접민주주의 방식인 주민발안제도(간접발안)의 일환

대통령령이 정하는 주민 수 이상의 연서로 당해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조례의 제정 및 개폐를 청구할 수 있는 제도

(2)주민감사청구제도

조례로 정하는 주민 수 이상의 연서로 당해 지방자치단체와 그 장의 권한에 속하는 사무의 처리가 법령에 위반되거나 공익을 현저히 해한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감사를 청구 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서, 다만 수사. 재판, 감사, Privacy 에 관한 사항은 감사청구대상에서 제외

 

쟁점 주민투표법 (2004.1 제정, 2004.7.29 시행)

 

지방자치행정의 민주성과 책임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주요결정사항에 대하여 주민투표를 실시할 수 있도록 주민투표의 대상. 요건 및 절차 등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려는 것임.

(1) 주민투표공보의 발행, 개표관리 등 주민투표사무의 효율적 처리와 객관성공정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주민투표에 관한 사무는 관할 선거관리위원회가 담당하도록 함

(2) 공직선거및선거부정방지법상의 선거권 연령과 일치시키기 위하여 주민투표권자는 20세 이상의 주민으로 하고, 외국인도 일정한 자격을 갖춘 때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조례가 정하는 바에 따라 주민투표권을 부여하도록 함

(3) 주민투표의 대상은 주민에게 과도한 부담을 주거나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지방자치단체의 주요결정사항중에서 조례로 정하도록 하되, 예산 및 재산관리에 관한 사항, 조세에 관한 사항, 행정기구의 설치. 변경에 관한 사항 등 주민투표에 부치기에 부적합한 사항은 이를 대상에서 제외함(법 제7).

(4)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지방자치단체의 폐치. 분합, 주요시설의 설치 등 국가정책의 수립에 대한 주민의 의견을 듣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에게 주민투표의 실시를 요구할 수 있도록 함(법 제8).

(5) 주민은 주민투표청구권자 총수의 20분의 1 이상 5분의 1 이하의 범위 안에서 조례로 정하는 수 이상의 서명으로 주민투표의 실시를 청구할 수 있도록 하고, 지방의회는 재적의원 과반수 출석과 출석의원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주민토표의 실시를 청구할 수 있도록 하며,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주민투표를 실시하고자 하는 때에는 미리 지방의회의 동의를 얻도록 함(법 제9).

(6) 지역현안에 대한 정책의 선택이라는 주민투표의 특성을 감안하여 주민투표운동에 관한 제한을 최소화하는 한편, 주민투표운동의 명목으로 사실상 선거운동을 하는 등의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직선거일 전 60일부터 선거일까지는 주민투표를 발의할 수 없도록 함(법 제13).

(7) 주민투표는 지방자치단체의 관할구역 전체를 대상으로 실시 하도록 하되, 특정지역 또는 특정주민에게만 이해관계가 있는 사항인 때에는 지방자치단체의 장이 지방의회의 동의를 얻어 관계 시. . 구 또는 읍. . 동을 대상으로 주민투표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함(법 제16).

(8) 주민투표에 부쳐진 사항은 주민투표권자 3분의 1 이상의 투표와 유효투표수 과반수의 득표로 확정하며, 지방자치단체는 확정된 내용에 따라 행정. 재정상의 조치를 하도록 함(법 제24).

지방자치와 정당참여

우리의 경우

기초의회를 제외하고 모든 지방자치에 정당참여 인정(기초자치단체의 의회의원 입후보시 정당공천 불인정)

교육자치

2.우리의 교육자치

(1)분리형: 교육자치를 일반행정으로부터 분리하고 있으므로 분리형 자치 또는 기능적 자치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초중등교육(고등학교 이하)은 시. 도단위의 지방교육자치를 실시하고 있다.(지방교육치에관한법률), 다만 교육행정에 대 한 중앙정부의 지도. 감독은 교육인적자원부가 한다

경찰제도

1.경찰제도의 유형

(1)국가경찰: 대륙계(프랑스, 독일), 주로 전국적 소요진압 등 시국치안에 중점

(2)자치경찰: 영미계국가의 제도, 민생치안이나 생활치안에 주력

2.우리의 경찰제도

지방경찰청장의 소속은 yl. 도지사 소속으로 되어 있지만 경찰사무의 처리는 중앙의 경찰청장 지휘. 감독을 받는다

 

1절 지방행정

01 지방행정의 개념과 특징 

지방행정의 개념

지방행정방식

방식

처리기구

처리사무

특징

직접방식

국가의 일선기관에 의한 행정

국가의 위임사무 처리

관치행정(중앙집권)

간접방식

독립된 지방자치 단체에 의한 행정

고유사무+위임사무 처리(기관위임사무와 단체위임사무)

*자치단체와 일선기관의 이중적 지위

위임행정(단체자치)

*, 독 등 대륙계

고유사무만 처리

*위임사무 거부(가장 고유한 지방자치)

자치행정(주민자치)

* 영미계

지방행정방식

1)완전관치형: 직접행정(일선기관) 2)반자치형: 자치단체가 기관위임사무 처리

3)완전자치형: 자치단체가 고유사무 + 단체위임사무 처리

 

02 집권과 분권(중앙집권과 지방분권)

의의

(1)집권: 행정상의 결정권 및 지휘. 감독권이 중앙정부. 상급 기관. 상위계층에 비교적 집중된 현상

(2)분권: 행정상의 결정권 및 지휘. 감독권이 지방정부. 하급기관. 하위계층에 비교적 집중된 현상

집권과 분권의 유형

1.행정상의 집권. 분권: 정치상 개념인 지방자치와는 무관

2.정치상 집권.분권(중앙집권과 지방분권): 민주주의의 상징인 지방자치제도와 관련됨

집권과 분권의 촉진요인(장점)★★★※

1.집권화의 촉진요인: 능률성 확보

소규모 조직이거나 신설조직인 경우 하부기관의 지리적 집중이 있는 경우

위기를 극복하려는 경우: 조직이나 국가전체에 위협을 주는 난국이나 사건(사고)

개인적 리더십이 강한 경우와 하위층의 능력이 부족한 경우

강력한 행정력이 필요한 경우

특정활동의 전문화: 특정활동을 분산. 처리할 경우 인력과 장비. 기술의 분산으로 전문화 곤란

규모의 경제나 외부효과에 대처 용이

기타L 국론통일, 복지행정, 국민적 최저(National Minimum)구현 용이

*국민적 최저: 국가구성원으로서 향유해야 할 최소한도의 복지수준

2.분권화의 촉진요인: 민주성 확보

오래된 조직이나 대규모 조직의 경우

하위층에 적응하는 관리를 하려는 경우(대내적 민주화): 부하의 사기앙양, 관리자 양성, 하위층의 책임감을 강화하려는 경우, 하위층의 능력발전을 도모하려는 경우

신속한 업무처리를 하려는 경우: 일선지역에서의 신속한 행정처리

현지성(근린행정)구현: 주민과 가까이서 지역설정에 적응하려는 경우

정책의 지역적 실험 용이: 특정지역에서의 문제점을 미리 점검. 개선한 후 국가전체에 적용

다양한 촉진 및 시민적 최저(Civil Minimum)구현용이

* 시민적 최저: 자기 지역의 업무는 주민 스스로 처리해야한다는 최소한의 시민정신

힘실어주기(분권의 재해석)

(3) 힘 실어주기의 효용

힘실어주기는 관료제의 병폐를 제거하는 여러 가지 효능을 지녔다고 한다. 그것은 권력관을 바꿈으로써 모든 사람이 더 많은 권력을 얻는 길을 열어 준다고 한다. 권력관을 바꾼다는 것은 권력을 사람에 대한 지배력이 아니라 일을 성취하는 힘이라고 생각하게 한다는 것이다.

권력의 버림으로써 관리자들의 권력은 오히려 늘어나게 된다

중앙집권과 지방분권의 측정지표

(1)특별지방행정관서의 종류와 수: 그 수가 많으면 중앙집권적이다

(2)국가공무원과 지방공무원의 수: 국가공무원의 수가 많으면 중앙집권적이다

(3)국가재정의 총규모와 지방재정의 총규모: 국가재정의 비중이 더 크거나 지방세보다 국세의 비중이 크면 중앙집권적

(4)고유사무, 단체위임사무 및 기관위임사무의 구성비율: 위임사무의 비중이 많거나 위임사무 중에서도 기관위임사무의 비중이 많으면 중앙집권적이다

권한의 위임(분권화의 수단) ---------- D

3. 유사개념과 구별

(1)이관.이양: 권한의 책임소관을 근본적으로 변경시키는 것(일체이양에 의하여 감독책임이 남아있지 않음)

(2)위임: 하급기관 또는 소속기관에 대한 하향적 위임(일부위임에 의하여 감독책임 발생)

(3)위탁: 동일수준의 행정기관 또는 민간단체에 대한 수평적 위임(일부위탁으로 감독책임 발생)

* 우리의 경우 지금껏 중앙정부가 지방에 권한을 이양하기 보다는 위임에 의존해 온 결과 지방정부의 자주성이 저해 되고 통제가 확대되어 왔음

4.권한위임의 원칙

계선인 단일한 구조에 따라 위임해야 하므로 이중위임이 없게 할 것

권한과 책임은 동등할 것과 상급자(위임자)의 감독책임(2차적 책임)까지 위임되는 것은 아님

쇄신적 판단을 요하는 비정형적 결정업무는 위임하지 말 것

권한의 전부가 아닌 일부만 위임할 것

지방분권특별법

 

2. 주요내용

. 국가는 지역주민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사무는 시군 및 자치구의 사무로, 군 및 자치구가 처리하기 어려운 사무는 특별시와 광역시 및 도의 사무로, 특별시와 광역시 및 도가 처리하기 어려운 사무는 국가의 사무로 각각 배분하도록 함(법 제6).: 보충성의 원리

. 국가는 특별지방행정기관이 수행하고 있는 사무 중 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사무는 지방자치단체가 담당하도록 하고, 새로운 특별지방행정기관을 설치하는 때에는 그 기능이 지방자치단체가 수행하고 있는 기능과 유사하거나 중복되지 아니하도록 함(법 제10조제1).

. 국가는 지방교육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의 권한과 책임을 강화하고 주민참여를 확대하는 등 교육자치제도를 개선하도록 함(법 제10조제2).

. 국가는 지방행정과 치안행정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지역특성에 적합한 치안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자치경찰제도를 도입하도록 함(법 제10조제3).

. 국가는 국세와 지방세의 세원을 합리적으로 조정하고, 지방교부세의 법정률을 단계적으로 상향조정하며, 국고보조금제도를 개선하는 등 지방재정의 발전방안을 마련하도록 함(법 제11).

.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는 국민투표제도, 주민소환제도, 주민소송제도의 도입방안을 강구하는 등 주민직접참여제도를 강화하도록 함(법 제14).

. 이 법의 유효기간을 시행일(2004.1.16)로부터 5년간으로 함(법 부칙 제2).

 

 

 

 

 

 

 

 

03 신중앙집권화와 신지방분권화

의의

지방자치의 변천(신중앙집권과 신지방분권의 전개)

14 - 18C

절대군주국가

중앙집권

19C

근대입법국가

지방분권

1930

경제대공황(행정국가

신중앙집권

1980

신자유주의

신지방분권

영미계 국가는 ①→②→③→④순으로, 대륙계 국가는 ①→④순으로 변천

신중앙집권화의 성격 및 이념

1.성격

권력은 분산하되 기술은 집중: 비권력적, 기능적, 협력적 집권

행정의 능률성과 민주화를 조화시키지 위한 신중앙집권화에 바탕을 둔 집권

전통적 집권과 성격이 다름

과거의 전통적 집권: 권력적, 수직적, 관료적. 지배적. 강압적. 윤리적. 후견적. 부자간의 집권

신중앙집권: 비권력적. 사회적. 지도적. 협동적. 기술적. 수평적. 병렬적, 형제간 집권

*후견적 집권이란 부모가 자식을 돌보는 것 같은 수직적. 예속적. 부자관계라면 신중앙집권은 형제관계(병렬적 관 )

2. 이념: 집권화에 의한 능률성과 자방자치에 의한 민주성의 조화

신중앙집권화의 주요형태

지방사무의 중앙에로의 이관 중앙통제의 강화 중앙재정에의 의존도 강화(보조금 등 확대)

광역행정 일선기관 증설 위임사무의 증대 국가차원의 기획 확대

신지방분권화의 대두

(1)신지방분권화의 의의

1980년대 이후 세계화나 신자유주의 물결을 타고 프랑스. 일본 등 전통적으로 중앙집권적 풍토를 가지고 있던 대륙계 국가는 물론, 최근까지 신중앙집권경향을 보여온 영미계 국가에서도 신지방분권의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2)신지방분권화의 촉진요인

중앙집권의 폐해:그동안 중아집권화의 폐해로 인하여 지방정부는 자주성과 창의성을 잃게되고, 특정지역에는 편중되 는 국가의 개발정책으로 지역간 불균형과 개발격차 심화

도시화: 도시화의 진전이 지역분산이 가속화

정보화: 정보화의 확산으로 지방정부의 정보처리능력 향상이 지방분권화를 요구

국제화 및 세계화: 세계화에 의하여 국가 경쟁력이 강조되면서 국가의 활동영역이 지방으로까지 확대되면서 지방정 부의 자주성이 넓어지지 않을 수 없게 된 점

신자유주의: 최근 진행되고 있는 신자유주의하에서는 중앙정부 보다는 지역사회중심의 정부가 강조

신중앙집권과 신지방분권의 비교

구분

신중앙집권화(행정국가)

신지방분권화(신자유주의)

개념

지방자치를 발전시켜 온 영미 등에서 행정국가화, 광역화, 국제화 등으로 중앙집권이 새로이 일어나는 현상

중앙집권적 성향이 강했던 대륙계 국가와 신중아집권화를 걸어오던 영미계 국가에서 아래 이유로 인하여 1980년대 이후 나타난 지방분권화 경향

촉진

요인

-행정사무의 양적 증가과 질적변화(행정국가)

-과학기술과 교통통신의 발달

-중앙재정에의 의존

-국민생활권의 확대와 경제규제의 필요성

-국민적 최저수준 유지 필요성(복지국가)

-중앙집권화의 폐해로 인한 지역적 개발격차 시정

-도시화의 진전

-국제화, 세계화의 추세로 활동영역 확대(신자유주의)

-대중문명에 대한 염증

-정보화의 확산

특징과

이념

-능률성과 민주성의 조화

-비권력적 집권(권력은 분산, 지식은 집중:J.S.Mill)

협력적 집권, 수평적 집권, 기능적 집권

-능률성과 민주성의 조화

-국가와 자치단체와의 관계가 병렬적 관계

-상대적. 참여적. 협조적, 적극적 분권

-국가는 기본정책결정, 지방은 집행

-국가의 사전적, 권력적 관여 배제, 지식적. 사후적 관여만 함

* 신중앙집권화와 신지방분권화는 배경은 상이하나 지향정신과 본질은 능률과 민주의 조화라는 점에서 동일

 

04 일선기관 - 자치단체X, 국가기관0, 특별지방행정

의의

1.일선기관의 개념

2.지방자치단체와의 차이

일선기관은 자치단체와는 달리 책임과 권한이 중앙기관에 있고 중앙의 엄격한 통제를 받으므로 관치행정의 경향이 다

일선기관과 중앙기관과의 관계는 중앙집권. 지방분권(정치상의 집권. 분권)문제가 아니라 행정상의 집권. 분권문제임

일선기관은 고유사무가 아닌 국가의 사무를 지역에서 대신 처리하는 것에 불과

일선기관은 중앙정부로부터 독립된 법인격을 갖지못함

일선기관의 장단점

1.장점

중앙행정기관의 업무부담 경감 중앙행정기관은 정책을 수립. 조정하는 기능에 전념

지역별 특성에 따라 구체적 타당성을 확보하는 정책집행

주민과 직접 접촉하여 지역주민의 의사를 행정에 반영: 행정의 대외적 민주화(근린행정) 구현

신속한 업무처리 가능 중앙 또는 인접지역과의 협력가능

통일적 기술, 절차. 장비의 전국적 활용

2.단점

지방장치의 저해용인으로 작용 주민참여 곤란 및 자치의식 저해

경비증가 및 중앙과의 마찰 초래 남설될 경우 역할갈등과 중복

일선기관의 유형

1.영미형과 대륙형

(1)영미형: 주민자치의 영국과 미국에서는 자치단체가 일선기관의 성격을 가지고 있지 않음

별도의 지방일선기관을 설치. 운영(특별일선기관 즉 분리형 일선기관이 대부분임

(2)대륙형: 자치단체가 국가의 위임사무를 처리하므로 일선기관으로서의 성격을 가짐(이중적 지위)

우리나라의 보통지방행정관청

2. 보통일선기관과 특별일선기관

(1)보통지방행정관서(보통일선기관): 대륙형

(2)특별지방행정관서(특별일선기관): 영미형

우리의 경우 고도의 전문성과 특수성을 요하는 사무로서 지방자치단체가 처리하기에는 부적합 경우에 설치할수 있음

우리나라 일선기관의 문제점

(1)특별일선기관의 남설로 인력낭비 및 자치단체와의 중복. 갈등 초래

(2)단체자치의 전통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주민자치국가의 특별일선기관을 다수 설치. 운영하고 있음 대표적인 통합. 정비가 요구됨

일선관료제론 

1.의의

Lipsky에 의하면 일선관료는 상당한 재량권을 가지고 매우 복잡한 업무를 수행하는 것

고객과 접촉하는 일선관료가 실질적으로 공공정책을 결정한다는 상향적 정책집행접근법

복지행정에서는 일선관료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나 지금껏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다고 비판

2.일선관료제의 특성과 현실

(1)일선관료제의 중요성

1)일선관료는 고객접점으로서, 서민층일수록 일선관료들의 공공 복지행정의 중요성이 증대

2)일선관료는 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이유로 상당한 재량권을 보유

일선행정관료들이 처한 업무상황들은 일률적으로 정형화시키기에는 너무 다양, 복잡

일선행정관료들의 업무는 인간적인 차원에서 대처해야 할 상황이 많다

재량권은 일선행정관료들이 고객들의 복지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믿게 하고 싶은 그들의 욕망을 충 족시켜 줌으로써 그들의 자부심을 높여준다

3)일선관료들의 전문지식 독점은 중앙관료에 대항할 수 있는 무기

(2)일선관료제의 작업환경: 아래와 같은 현실로 인하여 무리한 정형화 시도 비효율성 초래

1)일선관료는 그들의 과중한 업무량에 지하여 제공되는 인적. 물적자원은 만성적으로 부족

2)의사결정에 필요한 준비시간의 절대부족 3)일선 행정수요가 공급능력을 앞서감: 사기저하

4)부서의 목표가 애매하거나 이율배반적인 경우 허다

5)업무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기준 결여 6)효과적인 통제의 부재

 

05중앙통제 

의의

중앙통제의 방법

입법통제: 국회가 법률의 제정 등 입법권이나 국정감사 등에 의한 통제 - 영미

*우리의 경우 광역자치단체의 국가위임사무 및 국가보조사업에 한하여 국정감사가능

사법통제: 사법부의 법의 해석을 통한 통제 - 영미

행정통제: 행정부에 의한 직접적인 통제로서 가장 일반적 실효성 있는 통제 - 대륙

우리나라의 중앙통제(지방자치법 중심)

1. 행정상 통제

지방자치단체의 사무에 대한 지도 및 지원 국가사무처리의 지도. 감독

위법.부당한 명령. 처분의 시정: 지방자치단체의 사무에 관한 그 장의 명령이나 처분이 법령에 위반되거나 현저히 부 당하며 공익을 해한다고 인정될 때에는 주무부장관이 기간을 정하여 시정을 명하고 그 기간내에 이행하지 아니할 E 에는 이를 취소하거나 정지 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장에 대한 직무이행명령

자치사무에 대한 감사: 행자부장관은 자방자치단체의 자치사무에 관하여 보고를 받거나 서류, 장부 또는 회계를 감사할 수 있다.

지방의회 의결의 재의요구 지시와 제소

지방의회의 의결이 법령에 위반하거나 공익을 현저히 해한다고 판단될 때에는 행자부장관이 당해 자치단체의 장에게 재의를 요구할 수 있고 이 경우 지자체의 장은 지방의회에 재의를 요구하여야 한다.

감사원의 회계감사와 직무감찰 각종 유권해석 및 지침의 제공

2.인사상 통제

지자체에 두는 국가공무원의 임용 및 감독: 지자체에는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가공무원을 둘수 있다

3.재정상 통제

예산편성기본지침의 작성. 시달: 행자부장관은 전년도 731일까지 지자체의 장에게 예산편성기본지침을 작성. 시달

예산 및 결산 보고

지방행 발행(기채)의 승인: 지자체의 장은 항구적 이익이 되거나 비상재해복구 등의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행자부장관 의 승인을 얻은 범위 안에서 지방의회의 의결을 거쳐 지방채를 발행 할 수 있다.

보조금 사용에 관한 감독

 

 

06 광역행정 --------- C

의의

(1)개념

광역행정이란 기전의 행정구역 또는 지자체의 구역을 초월해서 발생되는 여러 가지 광역적 행정수요를 종합적이고 현지성에 맞게 계획적으로 처리함으로써 행정의 능률성. 경제성. 합목적성을 확보하기 위한 현대행정국가하의 지방행 정 방식

주민자치가 활성된 영.미에서의 리저널이즘이 시초

(3)본질

광역행정은 자방자치의 불신에서 나온것이 아니며 단지 행정구역이 새로운 사회환경에 적합할 경우 더 넓게 처리하 자는 것

지방자치의 고유한 틀을 강화하자는 것은 아니지만 거시적인 행정처리로 행정의 말단침투가 이루어지기는 힘들다

토지의 이용을 용도별로 지정하는 경직된 지역지구제는 광역행정을 제약

분쟁가능성, 규모의 경제, 외부효과가 클 경우 광역행정이 요구된다

광역행정의 필요성과 한계

1. 필요성(존재가치 및 유용성)

규모의 경제의 의한 경비절약(능률화 및 경제화) 교통통신의 발달에 따른 생활권과 행정권의 불일치

도시화. 산업화의 급속한 촉진 외부효과에의 대처

복지국가의 요청에 따른 행정서비스의 균질화 및 주민복지의 평균화

지방분권(민주성)과 중앙집권(능률성)의 조화

광역행정의 방식

1.특별구역방식

특정한 행정업무만을 광역적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기존의 일선행정구역 또는 자치구역과는 별도로 특별구역을 설정하여 처리하는 방식(우리나라의 교육구나 관광특구)

2.특별기관방식

3.공동처리방식

2개이상의 자방자치단체가 행정협의회 등을 구성하여 계획과 결정업무를 담당하게 하고, 집행은 관련자치단체가 개별적 으로 담당하는 방법으로 )사무조합방식(특별자치단체) )행정협의회 )기관의 공동조직 )사무의 위탁 )연락회의 )직원파견 )행정협정

* 행정협의회 등 공동처리방식이 자치법상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광역행정방식

4.연합방식

2개이상의 지자체가 독립된 법인격을 유지하면서 별도의 광역행정기관을 설치하고 이 기구로 하여금 광역행정에 대한 일체의 업무를 담당하게 하는 것

의결권, 과세권, 명령권, 집행권을 가지고 연합체 자체가 주체가 되어 각종 권한과 집행능력을 가지므로 연합정부를 구 성하는 경우

5.합병방식

2개이상의 지자체가 종래의 법인격을 통폐합시켜 광역을 단위로 하는 새로운 법인격을 가지는 간체를 상설하는 것

6. 권한과 지위 흡수방식

상급단체가 하급단체의 권한(일부)과 지위(전부)를 흡수하거나 상급자치단체가 수행하는 것(기초자치단체사무였던 소방사 무를 시.도가 흡수)

우리나라의 광역행정

1.현황

(1)행정협의회

2이상의 자치단체가 광역적 업무의 공동처리 및 상호연락. 조정, 협의. 계획 작성을 위하여 협의회를 구성하는 방식

협의회는 법인체가 아니고 과세권이나 집행권이 업으며, 우리나라는 1973년 이후부터 시작해서 현재 57개의 조시권 행정협의회가 구성, 운영되어왔다. 가장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대표적 방식이나, 그 운영의 실적은 그렇게 많지 않다

 

 

(2)자치단체조합

2개 이상의 지자체가 사무의 일부나 여러개의 사무를 공동으로 처리하기 위해 합의에 의해 규약을 정하고 설치하는 법인체, 법인격을 지닌 공공기관

이는 각 나라에서 가장 일반화된 광역처리방식이다

우리의 일부사무조합은 특별지방자치단체로서 조합의 명의로 공동사무를 처리할 수 있으며 법인격을 가지고 있고 규약을 제정할 수 있다.

주민이 구성원이 아니고 자치단체가 구성원이기 때문에 주민의 청구권이나 주민에 대한 과세권은 없다

2.문제점 및 특성

전통적으로 중앙집권체제가 발달되어 온 데다 국토면적이 협소하고 지방자치가 활성화되지 못하여 광역행정의 필요성 이 그다지 크지 않음

 

07 지방자치와 분쟁조정 ----------------- C

분쟁의 원인으로서의 지역이기주의

기피갈등(NIMBY): 위험시설(핵발전소)이나 혐오시설(쓰레기 소각장, 화장터)을 기피하는 현상

유치갈등(PIMFY): 지역발전에 유리한 시설(공원, EXPO)을 적극 유치하려는 현상

시각

1)긍정론

오늘날의 지배적인 입장으로 지역이기주의는 지방자치 정착을 위해 필수적으로 거쳐야 할 학습과정으로 이해하고 소수의 정당한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는 정의론에 기초하거나 건설적인 대안 마련과 신중한 결정에 기여한다는 입장

의사결정에의 주민참여나 피해의 최소화 및 적절한 보상책(우발피해보증금, 지역발전기금)을 강구해야 한다는 현대 적 입장

2)부정론

최대다수의 최대행복이라는 공리주의에 기초를 두고 있다. 지역보호주의와 협소한 국지적 합리성의 주장의 결과로 서 지역의 탈을 쓴 개인적 이기주의로 치부하는 것

분쟁조정

지방자치단체 상호간 또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간 권한쟁의 심판은 헌재의 권한이며(헌법),

행정적 차원의 분쟁조정체계

(1)지방자치단체의 상호간 분쟁조정

행자부장관 또는 시.도지사가 당사자의 신청에 의하여 이를 조정할 수 있다. 다만, 분쟁이 공익을 현저히 저해하여 조속한 조정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당사자의 신청이 없는 때에도 직권으로 조정 가능

지방자치단체중앙분쟁조정위원회(행자부에 설치) 또는 지방자치단체지방분쟁조정위원회(.도에 설치)의 결의에 따 라 조정

지방자치단체가 이를 이행하지 않을 때에는 직무상이행명령을 발휘할 수 있고, 이에 응하지 않으면 행정대집행도 가능

(2)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간의 분쟁조정

국무총리실에 행정협의조정위원회를 설치, 신청에 의하여 조정하며, 실질적인 구속력은 없음

 

08 정부간 관계론(IGR) ----------- B

의의

개별정부의 이익만 고려해서는 안되며 정부상호간 원만한 협력관계를 유지

P. Dunleavy의 중앙과 지방간 기능분배이론

1.다원주의

중앙과 지방간 기능배분은 역사적으로 오랜 시일 진화과정을 거치면서 점진적으로 제도화되어 온것이라고 보는 전통적 인 행정학 관점

(1)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간 기능배분은 역사적 진화 및 제도화의 산물

(2)행정적합리성의 강조: 중복배제, 책임성의 증진,. 최적규모단위, 시민참여의 촉진 및 분권화, 중앙정부의 과부하방지, 중앙정부에 의한 통제가능성 고려

2,신우파론

합리적 인가관과 방법론적 개체주의 입장을 취하고 있는 공공선택론은 중앙과 지방정부간의 기능배분문제도 개인후생 을 극대화하고자 하는 시민과 공직자 개인들의 합리적 선택행동에서 비롯된 것

비용은 극속화, 효용은 극대화하기 위한 연역적 추론이 동원되고 이 기준에 의하면 지방정부의 활동을 재배분정책, 당정책, 개발정책의 3가지 유형으로 특유의 중앙, 지방간 기능배분 양식이 도출

타 정부관계M

 

 

3절 미래의 바람직한 정부모습

미래의 바람직한 정부상

(1)작고 강한 정부 (2)시장지향적 정부 (3)고객지행적인 정부

(4)기업가형 정부 (5)정보화된 전자정부 (6)결과(성과)중심의 정부

01기업형 정부

의의

정부부문에 기업가적 마인드를 도입함으로써 능률적이고 효과적인 운영방법을 모색하여 관료의 기업가적 행동을 유도 할 수 있는 정부

새로운 기업형 경쟁패러다임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대두

미국 클린턴 행정부하에서 오스본과 개블러가 정부재창조라는 책에서 미래형 정부조직으로 기업가형정부 제시

주요특징

(1)촉매적정부 (2)지역사회 소유 정부

(3)경쟁적 정부 (4)임무위주의 정부

(5)결과지향적 정부 (6)고객위주 정부

(7)예견적 정부 + (8)시장지향석 정부

기업형 정부의 구현전략

(1) 핵심전략 (Core Strategy) : 정부가 꼭 수행해야 할 핵심기능만 수행

(2) 결과전략 (Consequence Strategy) : 결과중심의 행정

(3) 고객전략 (Customer Strategy) : 고객중심, 품질중심의 행정

(4) 통제전략 (Control Strategy) : 중앙의 통제를 줄이고 분권화 구현

(5) 문화전략 (Culture Strategy) : 기업가적 조직문화 창출

기업형 정부에 대한 평가

(1)기업과 정부의 관리철학의 상이함으로 인한 문제

(2)민주주의 또는 형평성과의 문제

(3)행정책임 확보문제

(4)정부의 성과측정의 어려움

 

02 고객지향적 정부 -------------------------------------------------- C

고객지향적 행정구현방안

1.고객지향적 정부조직체계의 마련

(1)사업적 성격의 기능 분리. 이관: 책임운영기관 확대

(2)일선창구로의 권한위임 (3)행정정보화

2.고객만족 행정관리 구축

(1)고객접점 최우선

(2)정기적. 정량적 측정

(3)시민헌장 또는 서비스기준제도의 도입

선진국의 서비스기준제도를 도입하여 시민의 만족도 조사 및 제공자간의 경쟁촉진으로 시민의 선택권을 확대하고, 잘못된 서비스에 대한 불만제기권 부여 및 시정 또는 보상장치를 마련하여야 한다. (영국:시민헌장제도, 미국과캐나 :서비스기준제도, 한국: 행정서비스헌장제도)

(4)관리자 주도

(5)고객지향적 관리전략 도입: TQM

3.고객만족 행정관리를 위한 행정쇄신 추진전략

(1)1단계: 공공고객만족도 조사를 통해 업무의 처리방식을 바꾸는 절차혁신 Re-engineering 적용

(2)2단계: 사람의 마음과 행동을 바꾸는 고객만족 마인드 혁신 TQM적용

(3)3단계: 행정서비스를 바꾸는 질적 서비스의 혁신 시민헌장 및 행정서비스헌장제도 실시

고객중심적 마케팅관리

(1) 고객중심적이다 : 고객의 욕구는 무엇인가? 등 모든 마케팅 분석과 기획은 늘 고객으로부터 시작하여 고객으로 끝난다.

(2) 기획(연구)에 의존한다. : 고객의 욕구를 능동적으로 예측할 수 있도록 전략적 기획과 이를 위한 연구(상상력)가 필요하다. 단순한 상식이나 직관 등은 버려야 한다.

(3) 세분화(다양화)를 지향한다. : 시장을 세분화하고 다양한 고객층을 겨냥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일화나 표준화는 이러한 점에서 의미가 없다.

(4) 경쟁을 포괄적으로(폭 넓게) 정의한다. : 고객의 선택을 확보하기 위한 경쟁의식이 필요하다.

(5) 마케팅믹스의 모든 요소를 충분히 활용한다. : 마케팅은 일방적으로 고객을 설득하는 것이 아니라 마케팅 목표를 고객의 욕구에 반응하는 다양한 기능으로 보고 예산이나 법률, 조직 등도 고객의 요구에 적합하도록 바뀔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03.총체적품질관리(TQM) ------------------------------ A

의의

1.개념

총체적품질관리로서 고객만족을 서비스 질의 1차적 목표로 삼고 구성원의 광범위한 참여하에 조직의 과정. 절차. 태도 를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나가려는 고객지향적 품질관리철학

대두배경

데밍에 의해 개발

1960-70년대 일본에서 성공적 적용이후 1980년대 미국등으로 역수입되어 유행

미국 정부의 경우 대통령직속 중앙예산기관인 관리예산처가 국가품질상 제도를 제정하여 운영 중

우리의 경우 한국생산성본부 등이 이와 유사한 국가고객만족지수(NCSI)를 통해 매년 곡객만족도를 조사 발표 자치단 체별로는 시민평가 실시 중

기본원칙

(1)고객이 품질의 최종결정자: 소수 전문가나 관리자가 아닌 고객이 직접 평가

(2)선출과정이 초기에 질이 정착: 예방적관리, 무결점 운동

(3)서비스의 변이성 방지

(4)전체구성원에 의한 질의 결정: TQM에서는 MBO등에 의한 개인별 성과 측정과 보상체제는 적절하지 않은 경우가 있

(5)투입과 과정의 계속적인 개선: 투입과 과정의 계속적인 환류와 개선에 주력애야 한다

(6)구성원의 참여 강화

(7)조직의 총체적 헌신의 요구

<정리> MBOTQM의 비교

󰠏󰠏󰠏󰠏󰠏󰠏󰠏󰠏󰠏󰠏󰠏󰠏󰠏󰠏󰠏󰠏󰠏󰠏󰠏󰠏󰠏󰠏󰠏󰠏󰠏󰠏󰠏󰠏󰠏󰠏󰠏󰠏󰠏󰠏󰠏󰠏󰠏󰠏󰠏󰠏󰠏󰠏󰠏󰠏󰠏󰠏󰠏󰠏󰠏󰠏󰠏󰠏󰠏󰠏󰠏󰠏󰠏󰠏󰠏󰠏󰠏󰠏

MBO TQM

󰠏󰠏󰠏󰠏󰠏󰠏󰠏󰠏󰠏󰠏󰠏󰠏󰠏󰠏󰠏󰠏󰠏󰠏󰠏󰠏󰠏󰠏󰠏󰠏󰠏󰠏󰠏󰠏󰠏󰠏󰠏󰠏󰠏󰠏󰠏󰠏󰠏󰠏󰠏󰠏󰠏󰠏󰠏󰠏󰠏󰠏󰠏󰠏󰠏󰠏󰠏󰠏󰠏󰠏󰠏󰠏󰠏󰠏󰠏󰠏󰠏󰠏

본질 관리전략 관리철학

지향 목표지향() 고객지향()

초점 결과지향 과정지향

안목 폐쇄적 개방적

보상 개인별보상 총체적헌신

중점 사후관리(평가 및 환류) 예방적 관리

󰠏󰠏󰠏󰠏󰠏󰠏󰠏󰠏󰠏󰠏󰠏󰠏󰠏󰠏󰠏󰠏󰠏󰠏󰠏󰠏󰠏󰠏󰠏󰠏󰠏󰠏󰠏󰠏󰠏󰠏󰠏󰠏󰠏󰠏󰠏󰠏󰠏󰠏󰠏󰠏󰠏󰠏󰠏󰠏󰠏󰠏󰠏󰠏󰠏󰠏󰠏󰠏󰠏󰠏󰠏󰠏󰠏󰠏󰠏󰠏󰠏󰠏

전통적 관리와의 비교(TQM의 관리철학)

(1)고객요구 측정: TQM은 고객에 초점을 두어 규명

(2)자원통제: TQM은 무가치한 업무, 과오, 낭비 불허

(3)품질관리: TQM은 문제점에 대한 예방적(사전적)관리 중시

(4)의사결정: TQM은 통계적 자료와 과학적 절차에 근거

(5)조직구조: TQM은 수행적 구조를 중시

(6)기타: 고객중심, 서비스의 질 중시, 거시적 안목과 장기적 전략, 직원에의 권한위임, 개인보다는 팀웍중시, 결과보다 는 절차의 지속선 개선

 

 

<정리> TQM의 특징

개 념

총체적품질관리로서 고객만족을 서비스 질의 1차적목표로 삼고 구성원의 광범한 참여하에 조직의 과정과 절차를 지속적으로 개선하여 나가려는 고객지향적 관리철학

- Total : 고객의 욕구측정에서부터 만족도 측정까지 전 과정에 걸쳐

- Quality : 양보다는 질 중심 (고객의 기대수준 이상의 품질 추구)

- Management : 품질향상을 위한 관리능력 향상

특 징

- 고객중심 (고객의 참여, 고객의 선택, 고객에의 책임 등 중시)

- 서비스의 질 중시 - 거시적 안목 - 직원에의 권한위임 - 개인보다는 팀웍중시

- 과정과 절차의 지속적 개선 - 장기적 전략

원 칙

- 고객이 품질의 최종결정자 - 산출과정 초기에 질이 정착 (사후치료가 아닌 예방적 관리)

- 구성원의 참여 중시 - 조직의 총체적 헌신 추구

- 서비스의 종류는 다양해야 하나 품질은 지나친 변이성 방지

ISO9000(품질경영시스템)

(1)의의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공인한 품질지침서로 각 분야의 품질의 개념, 용어, 설명 그리고 각 시리즈의 선택을 위한 지침서

이 중 정부부문에 되입되는 ISO 9001은 정부부문의 설계, 개발, 생산, 설치 및 에프터서비스 등에 관한 총괄적 개 념을 규정한 것

(2)효용(TQM과의 차이)

ISO 9000정형화된 매뉴얼과 객관적인 절차가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이를 TQM과 결합시켜 시용하게 되면 정부 부문의 품질관리 활동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공공부문에의 도입상 난점과 도입의 필요성

2.도입의 필요성

공공서비스의 고객에 대한 서비스의 질과 대응성의 문제가 보다 중요하다고 보며, 고객의 반응을 추적하여 의사결정에서 하나의 고려요소로서 이를 반영하는 총체적 질 관리의 원칙은 정부부문에서도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정부조직은 많은 예산을 가지고 있어서 TQM에 의한 극히 적은 생산성의 증가도 그로 인하여 많은 인력과 자금을 절감 하여 다른 곳에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조직내의 민주성이라는 측면에서 내부고객인 일선하위공무원들을 관리개선과정에 참여시킨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 를 갖는다

총체적 질 관리는 양적접근 뿐만 아니라 품질의 기사화와 참여라는 인간적인 측면을 모두 강조하기 때문에, 가시적인 양 과 수치에 의한 결과평가에 시달렸던 조직구성원들에게 보다 인간적이고 친밀한 관리체계가 될수 있을 것이다

리엔지어링

 

04.행정서비스헌장제도(시민헌장제도) -------------------------------------- B

의의

시민헌장제도는 각 공공기관에 대하여 의무조항을 명시하고 일반국민이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를 천명하여 제공될 서비스의 기준 을 설정하여 불이행시에는 일반국민들이 시정조치와 보상을 요구할수 있도록 한 고객중심적 관리제도이다

시민헌장은 종전에 국가와 국민간의 암묵적인 관계를 명시적이고도 강제적인 계약으로 전환하여 공공부문에 대한 근접통제의 물리 적 한계를 극복해 주는 계기가 되었다.

 

 

기본원칙

(1)서비스품질의 표준화

(2)정보와 공개

(3)선택과 상담

(4)정중함과 도움

(5)잘못된 서비스의 시정과 보상체계

(6)비용에 대한 인식

각국의 제도

(1)영국: 대표적인 시민헌장으로는 철도청의 승객헌장, 고육고용부의 학부모 헌장 및 구직자헌장, 국세청의 납세자 헌장, 보건부의 환자헌장

(2)미국: 서비스기제도

(3)우리나라: 행정서비스헌장제도

장단점

1.장점

(1)종전에 정부와 국민의 암묵적. 추상적관계를 구체적. 계약적 관계로 전환시켜 줌으로써 행정에 대한 주민들의 근접통제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해 주는 계기가 되었다.

(2)서비스제공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제고하고 공공서비스 품질의 표준화 구체화 및 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기대수준을 명확하게 함

(3)소비자의 이익이 공급자에 의하여 지배당하지 않도록 하는 소비자 주권주의 확립에 기여

2.단점

(1)공공서비스의 무형성으로 인하여 질을 구체화. 객관화 하기 어려움

(2)모든 행정오류를 금전으로 연계시켜 보상하려는 편협한 경제는 논리에 젖어 있다는 지적

(3)지나치게 서비스기준을 표준화. 구체화시킨 나머지 공무원의 창의성과 행정의 유연성을 저해한다는 비판이 따르고 있다.

우리나라의 행정서비스헌장제도

1997년 마련된 행정서비스헌장제정지침에 의거하여 정보통신부의 우편서비스헌장, 해양수산부의 항만서비스헌장 등을 위시하여 검찰헌장, 경찰헌장 등 대부분의 중앙부처나 자치단체, 공기업도 이와 유사한 제도를 도입

우리나라의 행정서비스헌장제도(행정서비스헌장제정지침 중심) --------------- D

적용대상

중앙행정기관 및 그 소속기관에 적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지방자치단체, 법령에 의하여 행정권한을 가지고 있거나 우임 또는 위탁받은 법인. 단체 및 그 기관은 이를 준용할 수 있다.

헌장의 제정 및 개선원칙

(1)서비스는 고객의 입장과 편의를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고객중심적 일것

(2)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내용은 고객이 쉽게 알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명확할 것

(3)행정기관이 제시할 수 있는 가장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것

(4)서비스와 관련된 정보와 자료를 쉽고 신속하게 얻을수 있도록 할 것

(5)서비스의 제공에 소요되는 비용과 고객의 편익이 합리적으로 고려된 서비스의 기준을 설정할 것

(6)잘못된 서비스에 대한 시정 및 보상조치를 명확히 할것

(7)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여론을 수렴하여 이를 서비스의 개선에 반영 할 것

 

 

 

 

 

 

 

05 성과(결과)(=생산성)중심의 정부 ---------------------------------------- B

의의

결과중심적 행정이란 기존의 투입요소의 통제방식에 따라 수동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던 태도에서 벗어나, 보다 명확한 업 무목표를 세우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추진전략을 마련함으로써 결과에 초점을 맞춘 능동적인 자세로 전환하고자 하는 것

성과란 산출 및 결과를 내포하는 포괄적 개념으로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

성과중심의 행정구현방안

성과관리는 조직. 인사. 예산. 환류 등 국정전반에 걸쳐 연계. 추진되는 것이 일반적

1.조직관리측면

(1)시장성테스트(CCT: 필수적 경쟁제도)에 의한 정부기능의 근본적 재검토

반드시 필요한 업무인가 필요없으면 폐지 반드시 정부가 책임을 맡아야 하는가 아니면 민영화

정부가 직접 수행해야 하는가? 아니면 민간위탁 정부와 민간 둘 다 할수 있으면? 상호경쟁입찰

정부가 직접 수행할 경우 효율성 증대방안은 무엇인가 등을 검토

(2)정부조직의 상업화

계약제

기업화

민영화

정책과 집행기능의 분리

(3)정부부처의 동.폐합을 통한 횡적인 조정

2.인사측면

(1)인사권의 각 부처 대폭 위임

(2)성과급제도 도입

(3)근평의 합리화와 강화

(4)성과협약제

3.예산측면

(1)예산운영의 신축성 및 효율성 제고: 총괄배정예산제도, 지출통제예산제도, 효율성배당, 불용액 이월제도, 산출물중심의 산출예산제도

(2)시장원리의 적용: 수익자부담원칙, 조달권의 분산, 내부경쟁체제(내부시장화)확립

(3)발생주의 회계제도 적용: 기업회계방식에 의한 경영성과의 명확화

3.환류적 측면: 심사분석기능의 강화와 효과성감사 강화

(1)심사분석기능의 강화: 각 부처사업계획에 대한 성과 Monitoring, , 심사분석기능의 내실화

(2)정책감사나 효과성(성과)감사의 강화: 절차나 법규에의 준수여부보다는 정책결정의 타당성이나 정책의 효과를 검증하는 회계검사로 전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