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절 세도정치 ]

 

1. 세도정치

순조 (18001834)

- 11세의 어린 나이로 즉위 외척세력이 왕권 압도

- 안동김씨 집권 : 김조순 등

헌종 (18341849)

- 풍양조씨 집권 : 조만영,조인영 등

철종 (18491863)

- 안동김씨 재집권 : 김문근,김흥근,김좌근 등

과거의 문란 세도정치의 영향

 

2. 三政의 문란

세도정치로 인하여 정치의 문란 田政·軍政·還穀의 문란으로 농민들이 피해

田政의 문란

- 전정 : 토지를 결수를 기준으로 하여 받는 각종의 세

- 실제 토지세는 20에 못미침 (총 수확량의 1/10 안됨)

- 지방의 관례에 따른 부가세와 수수료가 높음 (총 수확고의 1/2 되는 경우도 있음)

- 백지징세 : 황폐한 진전(陳田)에서도 세를 징수

도결(都結) : 사적으로 소비한 공금을 보충하기 위한 세

軍政의 문란

- 군정 : 1인에 대하여 군포 1필씩을 징수

- 1필은 6에 해당 (전세 4보다 많은 양)

- 황구첨정,백골징포,족징,인징 등 폐해

- 전정보다 군정의 피해가 더 컸음

還穀의 문란

- 환곡 : 춘궁기에 미곡을 빌려준 후, 추수기에 1/10의 모곡(耗穀)을 가산하여 되받음

- 일종의 고리대로 변하여 삼정중에서 가장 큰 폐해

- 강제로 륵대(勒貸), 허위보고(反作), 허위장부(虛留), 겨를 섞음(半白,分白)

지방관,향리들의 부정 국가 재정 위협

 

 

[ 2절 신분체제의 변화 ]

 

1. 잔반과 중인층

잔반의 증가 벌열정치,세도정치

서얼의 차별 타파

中人들의 사회적 지위 향상

지역차별 감소 추세

 

2. 농민의 변화와 노비의 해방

양인 농민의 변화

- 부농으로 성장하여 양반 신분까지 상승

- 영세 소작농으로 전락하거나, 토지를 잃고 임노동자로 전락 광작의 영향

- 농번기에 농촌에서 임노동하거나, 수공업이나 광산채굴에서 임노동 함

- 양인 농민이 노비로 전락하는 경우는 없었음

노비의 해방

- 임진왜란 때 奴婢案이 불타버림

- 양역인 군역에 종사하여 신분상승

- 몰락 양반들이 사노비 유지 어려워짐

- 순조 원년(1801)에 노비안을 국가 스스로 불살라 버림

󰀲 노비가 완전히 없어진 것은 아님

 

 

[ 3절 농민의 항거 ]

 

1. ()의 유행

: 현실적인 이익을 목적으로 하고 자발적으로 이루어짐

- 향약이 양반사회의 붕괴현상과 함께 그 의의를 잃은데 반하여 계는 성행함

친목과 공제를 목적 (초기)

- 宗契·同甲契·洞契

- 양반들이 많이 관여함

경제적 곤란을 공동으로 타개하려는 계가 주류를 이룸

- 제언계·군포계·牛契·농구계

구황식물에 관심

- 고구마 : 영조 39(1763)에 일본에 통신사로 갔다오던 조엄이 종자를 가져옴

- 감 자 : 헌종(18341849)때 청으로부터 전래, 널리 보급됨

 

2. 유민과 도적

유민의 증가

- 화전민의 증가 세를 받아감 간도·연해주 등으로 이민 증가

괘서(掛書방서(榜書) 사건 증가 - 정부·조정 비방

도적의 빈발

- 서울의 서강단, 평양의 폐사군단, 才人들의 채단, 유민들의 유단 등

 

3. 민란의 빈발

몰락한 잔반들에 의하여 지도되어 대규모적인 반란으로 확대되는 경우가 많음

홍경래의 난

- 순조 11(1811)

- 평안도 지방의 몰락한 양반 출신

진주민란

- 철종 13(1862)

- 兵使 백낙신의 악행 잔반 출신 농민인 유계춘 중심

포악한 관리의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자연 발생적인 성격

벌열정치·세도정치에 의해 병든 양반사회 자체에 대한 반항으로 진전

 

 

 

[ 4절 중인층 및 평민의 문화 ]

 

1. 학문과 사상 (순조 이후)

학문의 종합적 정리에 대한 노력이 두드러짐

- 서유구 임원십육지” : 일상생활·산업·예술 등 사회생활 전반

- 이규경 오주연문장전산고” : 천문·지리·정치·사회·경제·역사 등 전 분야에 대한 변증

- “대전회통” : 고종 2(1865)에 조두순 등

- “증보문헌비고” : 융희 2(1908)에 박용대 등

고증학적 방법

- 김정희 : 청의 고증학을 받아들여 특히 금석문을 깊이 연구

금석과안록” - ‘진흥왕 순수비에 대한 연구

- 김정호 : 철종 12(1861) “대동여지도

고종 원년(1864) “대동지지” - 지리서

몰락한 양반이나 중인출신 학자들의 진출

- 최한기 (몰락 양반 출신)

人政” : 철종 11(1860), 사농공상 구별없이 인재 등용·교육, 문호개방

- 최성환 (중인 출신)

고문비략(顧問備略)” : 행정 실무를 합리적으로 개혁

서얼 출신들이 서얼의 역사인 규사(葵史)” (철종 10,1859) 편찬 - 차별대우 철폐

향리 출신인 이진흥은 향리의 역사인 연조귀감” (헌종 12,1846)

중인 출신 조희용 호산외기” (헌종 10,1844) - 향리의 지위향상 주장

서리 출신 유재건 이향견문록” (철종 13,1862)

중인 출신 이경민 희조질사” (고종 3,1866)

미천한 신분이여서 正史에 오르지 못한 인물들의 전기

 

2. 천주교의 전파

순조(18001834) ; 안동김씨 (김조순이 時派)

- 천주교에 대한 탄압이 심하지 않음

- 조선교구 독립 (순조 31,1831)

- 서양인 신부 입국 ; 모방(헌종 2,1836), 샤스탕, 앙베르 등

풍양조씨 (辟派)

- 기해사옥 ; 헌종 5(1839) 세 신부와 많은 신도 순교

- 김대건의 귀국활동 ; 헌종 11,1845 순교

철종(18491863) ; 안동김씨 재집권

- 많은 선교사 입국, 신도가 2만명에 이름

- 여러 가지 천주교 서적 출판

19세기에 이르러 신분이 낮은 사람들이 많이 믿음

서울과 그 부근에 신자 집중 도시 중심의 종교

 

3. 東學의 발생

동학 농촌 중심의 종교

최제우 (철종때)

- ··+ 천주교 + 무속신앙 (표면적으론 천주교에 대항)

- “동경대전”,“용담유사

- 인내천 사상

- 현실을 개혁하려는 사회운동 부국안민, 정치개혁

- 철종 14(1863)에 최제우 체포되어 다음해에 사형

최시형

- “동경대전”,“용담유사등을 편찬하여 교리정리

- ·접 이라는 조직망 설치

 

4. 문예의 양상

한문학 - 서얼·중인·서리들의 문학이 크게 일어남

- 서리 출신 유재건 풍요삼선” : 철종 8(1857)

- 풍자시인 : 정수동(정지윤), 김립(김병연)

국문학

- 박효관,안민영 가곡원류” : 고종 13(1876) 시조의 집대성

- 판소리의 성행

- 신재효 : 판소리 사설의 정리

탈춤의 성행

- 남사당...

 

5. 미술계의 변화

회화 - 문인화의 유행

- 김정희 : “세한도” - 고차원적 이념의 세계

- 흥선대원군(이하응) : 난초..

- 장승업 : “홍백매병

서예

- 김정희 : 추사체

- 신위,조광진

목공예·죽공품·화각공예품·나전칠기 발달

 

 

[ 5절 대원군의 개혁과 쇄국정책 ]

 

1. 대원군의 개혁

대원군의 실권장악 - 고종의 12세 즉위 (1863)

- 왕권강화 노력 (안동김씨 축출, 사색 고루등용, 지방·신분차별 배제)

- 군포를 호포라 개칭하여 양반에게도 부과

- 환곡제도를 사창제도로 개선

- 경복궁 재건 ; 고종 2(1865) 고종 4(1867)

󰠆 농민에게 1결에 1백문의 결두전 부과

󰠐 도성문을 통과하는 물품에서 문세 징수

󰠐 원납전 강제 징수

󰠌 당백전 발행 경제에 혼란

서원의 철폐

- 서원 : 막대한 농장과 노비 소유, 면세·면역 특권, 국가 통제에서 벗어남

- 고종 2(1865) : 만동묘 철폐

” 5(1868) : 서원에도 납세 의무

” 8(1871) : 47개소 이외의 모든 서원은 철폐

- 유학자들의 맹렬한 반대 대원군 하야의 한 원인

 

2. 쇄국정책

이양선의 출몰

- 순조 32(1832) : 영국 상선 1척이 충청도 해안에서 무역 요청

- 헌종 11(1845) : 영국 군함 1척이 다도해 수역을 측량, 통상요구

- ” 12(1846) : 프랑스 군함 3척이 충청도 해안에 출현

- 철종 5(1854) : 러시아 군함 2척이 함경도 해안 측량

- 고종 3(1866) : 독일 상인 오페르트 두차례 통상요구

고종 5(1868)에 남연군 무덤 도굴

- ” :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호, 대동강에서 통상 요구하다 화공 당함

대원군의 천주교 박해

- 초기에는 천주교에 비교적 관대

- 러시아 남하 움직임에 천주교 신자 남종삼의 건의에 의하여 프랑스 끌어들일 계획 실패

- 조두순등의 배외정책 천주교 대탄압

- 고종 3(1866)9명의 프랑스 선교사, 남종삼등 수천명의 신도 처형

 

3. 양요(洋擾)

서양이 무력적인 위협에 의해서라도 통상 관계를 맺으려고 함 양요 발생

병인양요 (고종 3,1866)

- 고종 3(1866)에 천주교 박해, 프랑스 선교사 순교

- 프랑스 군함 (Roze) 7, 한강 입구 봉쇄하고 강화읍 점령, 군기·서적 약탈

- 문수산성에서 한성근, 정족산성에서 양헌수가 프랑스 군대 격퇴

신미양요 (고종 8,1871)

- 고종 3(1866)에 미국상선 제너럴 셔먼호 소각

- LowRodgers가 미국군함 5척 거느리고 침략, 초지진·광성진 점령

- 광성진 전투에서 어재연이 거느린 수비병의 완강한 저항

- 갑관(甲串)에 상륙한 미국 군대도 강화 수비병의 공격으로 패퇴

 

서울과 지방 각처에 척화비세움

조선은 서양·일본 배척, 청과 외교

일본 󰠆 철종 5(1854)에 미국과 화친 조약

󰠌 고종 4(1867)明治政府 성립

11 장 광작농민과 도고상인의 성장

 

[ 1절 벌열정치 ]

 

1. 벌열정치

인조반정(1623)이후 서인의 집권

- 효종(16491659)때 송시열 등용

남인의 등용

- 예송논쟁 (숙종 즉위년,1674), 세자책봉 문제 (숙종 15,1689)

숙종 20(1694)이후 서인 장기 집권 (갑술환국)

- 노론 : 송시열 계열

- 소론 : 윤극 중심

벌열의 성립 : 노론을 중심으로 한 장기집권

- 소수 가문에 의한 정권 독차지

- 많은 사림학자들의 지방 낙향 서원 설립 (숙종때 300여개)

- 농업에 종사하는 잔반 생김 오랜기간 관직 못나감

 

2. 탕평책

노론의 벌열정치에 대한 반발 성리학 지상주의 비판

- 실학사상, 양명학, “정감록”, 서학(천주교) 추구

탕평책 왕권의 권위회복

- 영조(17241776) 정조(17761800)

- 붕당간의 대립완화 왕권신장

시파(時派)와 벽파(辟派)의 대립 노론의 분열

- 시파 : 사도세자의 죽음을 동정

- 벽파 : 죽음의 정당성 주장

이인좌의 난 (영조 4,1728) 노론의 우세

정당주의·무사안일주의 세도정치로 발전

 

 

[ 2절 수취제도의 변화 ]

 

1. 대동법의 실시

재정의 궁핍

- 전란에 의해 농토 황폐

- 양안에서 빠진 음결의 증가

(임진왜란 전 170만결 광해군때 54만결)

- 토지개간 장려, 양전 실시 숙종때 140만결

- 면세지 (궁방전, 관청·군영 소속의 둔전 등) 증가 󰠏󰠈

중앙권신, 지방 세력가들의 토지점유 확대 󰠏󰠍󰠏 조세액의 감소

대동법의 실시 : 공물을 미곡으로 대신내는 수미법

- 조세의 감소와 방납의 폐해로 실시

- 광해군 즉위년(1608) : 이원직의 주장으로 경기도 시행

- 인조 원년(1623) : 강원도 실시

- 효종 (16491659) : 김육의 주장으로 충청도,전라도 시행

- 숙종 34(1708) : 전국실시

112징수

- 선혜청 담당

- 쌀대신 으로 납부가능

- 공납제도의 폐지 농민들의 경제적 부담 가벼워짐

- 상업자본 발전 (貢人 중심) 독립적인 수공업 발전

 

2. 役法의 변화와 균역법

임진왜란시 5위의 사실상 유명무실

임진왜란 중 훈련도감설치하여 군사양성

5군영 성립 : 중심부대

- 모병제의 실시

- 군역대신 1년에 2필의 군포 바침 (황구첨정,백골징포,인징,족징 등 폐단)

균역법의 실시 (영조 26,1750)

- 군포를 1필로 감함

- 왕실소속 어세·염세·선세를 정부 수입으로

- 양반소유 토지포함 모든 田結 (평안도·함경도 제외) 1결당 2두의 결작 징수

- 한유자등에게도 선무군관포 징수

균역법 실시에도 불구하고 농민들의 군포부담 여전

 

 

[ 3절 경제적 성장 ]

 

1. 광작농민과 농촌분화

1) 광작의 보급

이앙법의 발달 이모작 가능

우경의 보편화, 볏을 가진 쟁기 사용 소요 노동력 감소로 廣作의 보급

저수지 시설

- 현종 3(1662)에 제언사(堤堰司) 설치

- 정조 2(1778)제언절목반포

부농의 광작 확대 빈농의 이농 가속화

- 두레 조직, 임노동자 이용

소작농들의 임대 광작

- 打租法(1/2 상납) 賭租法(정해진 양) 자유로운 농업경영

특수 재배물에 대한 상업적 생산 발달

- 인삼·담배·목면

* 담 배 : 광해군때(1600) 전래

고구마 : 1763(영조 39) 조엄이 대마도에서 가져옴

감 자 : 1800년대 전래

2) 신분질서 변화

농업 기술향상, 농업 경영방식 발전, 상업적 농업생산 발달 평민지주 탄생

부농들의 신분상승, 빈농들의 유민화

소작농으로 전락하는 잔반 생김

 

2. 도고상업의 발달

1) 도고상인 : 수공업을 지배하여 상품을 독점 판매

貢人의 활동

- 대동법 실시로 공납제도의 폐지, 관부에서 필요한 물품조달

- 공인자본의 성장 독점적 도매상인 도고로 성장

사상들의 활동

- 서울 江商 : 한강을 따라 경기·충청 일대에서 미곡·소금·어물 판매, 조선업 지배

- 개성 松商 : 경기를 중심으로 육로를 따라 황해·평안지방, 충청·경상지방에서 인삼 판매

시전상인

- 금난전권 이용하여 수공업 지배

2) 국제무역

의주의 만상 : 의주의 중강·봉황시의 책문에서 무역

동래의 내상 : 일본과 사무역

송상이 만상과 내상을 끼고 인삼과 은을 매개로 중개무역 전개

3) 場市의 발달

신해통공 (정조 15,1791) : 육의전 제외한 시전들의 금난전권 페지

일반 장시의 발달

- 보부상을 상대로하는 도고인 객주나 여각이 발달 (은행업 겸함)

운수업 발달

- 私船 이용, 선박·항로 개척

상인 단체들의 조직

- 공인들의 공인계

- 육의전을 중심으로 한 都中이라는 조합조직

- 보부상들의 보부상단

4) 금속화폐의 사용 상업의 발달

숙종 4(1678)에 상평통보 주조

17세기 말에는 화폐가 전국적 유통

부를 축적하는데 사용 전황(전귀) 발생

소작료를 화폐로 지불하는 도전법(賭錢法)’ 발생

 

3. 수공업과 광업의 새양상

1) 수공업

관영 수공업의 쇠퇴 : 공장안(工匠案) 페지 - 정조(17761800)

수공업의 성장 대동법의 실시

- 상인들이 주로 수공업 지배 (17·18세기)

- 철기·유기 제조업자들은 자립화하는 경우도 있음

2) 광업

광업의 민영화 경향 (17세기)

- 設店收稅法 실시 別將에 의해 대행

別將制 폐지 守令收稅制 실시 (18세기)

- 상업 자본가인 物主에 의해 광산운영이 크게 발달

 

 

[ 4절 실학의 발달 ]

 

1. 실학의 발생

실학 : 사회적 모순에 대응하기 위한 학문

- 17·18세기 벌열정치에 따른 몰락 양반 발생

- 광작에 의한 영세민들의 유민화

- 도고 상인들의 상공업 지배에 따른 영세 상인 몰락, 물가 폭등

오랫동안 정권에서 벗어나 있던 남인 출신 실학자가 많음

현실 개혁위한 정권 담당자들에 대한 비판

연구 대상은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있었음 - 현실적·실증적·민족적 성격

 

2. 농업중심의 이상국가론

經世致用의 학문 : 토지제도·행정기구·군사조직 같은 제도상의 개혁에 치중

유형원 (효종,현종)

- 현종 11(1670) “반계수록” - 전제·敎選·임관·職官·祿制·병제 검토·비판

- 공전제 주장 : 국가에서 토지를 공유하여 농민에게 일정한 면적의 토지를 나누어 줌

이익 (숙종영조)

- “성호사설” : 천지·만물·인사·經史시문의 5개부문, 백과사전적 저술

- “곽우록(藿憂錄)” : 국가제도 전반에 관한 의견 (개혁사상)

- 균전제 주장 : 농가의 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도의 영업전의 소유를 확보

정약용 (정조,순조)

- 순조 원년(1801) ‘신유사옥으로 18년간 강진에서 유배 생활

- “경세유표” : 중앙의 정치조직에 관한 의견

- “목민심서” : 지방 행정에 관한 개혁

- “흠흠신서” : 형정에 관한 의견

- “탕론”,“전론등 사회개혁사상 발표

- 여전제 : 한마을()을 단위로 토지를 공동 경작하여 노동량을 기준으로 수확 분배

- 정전제 : 가족의 노동력을 기준으로 농업 종사자에게 로 구분한 토지의 8구를 분배,

1구의 수확을 세금에 충당

농업을 중심으로 한 이상국가 구상

- 士農一致의 원칙에서 신분적인 차별 폐지

- 교육의 기회균등, 능력위주로 관리 등용

- 상공업의 발전이나 화폐의 유통에 의한 농촌 경제의 침식 방지

 

3. 상공업 중심의 부국안민론

이용후생의 학문 : 상공업 발전을 통하여 사회의 번영 이룩 北學이라 부름

유수원 (영조)

- “우서” : 영조 5(1729)13(1737)

문답형식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 대한 개혁안 제시

박지원 (영조,정조)

- “열하일기” : 정조 4(1780), 청의 문물소개 및 자기의견 제시

홍대용 (영조,정조)

- “燕記” : 청에 갔던 기행문

- “의산문답” : 實翁虛字의 문답형식, 우주와 인간의 문제를 논함

박제가

- “북학의” : 청에 갔던때의 견문기, 항목별로 그 시대 제반 문제에 대한 개혁 언급

이덕무

- “연기” : 청에 갔던 견문기

청의 문화 배우고, 현실개혁 의지

- 무위도식하는 양반유학자 비판

- 상공업·농업을 높이 평가

- 상공업 발전에 큰 관심

- 기술적인 발전으로 생산촉진·교통수단 발전으로 국가 경제력 증강 주장

- 신분제 폐지, 균등한 교육에 의한 직업적 관리 양성 주장

 

4. 國學의 발전

1) 한국의 역사에 관한 연구

이수광

- “지봉유설” (광해군 6,1614)

천문·지리·유교·식물, 한국의 옛 사회나 정치에 대한 견해

이익

- “성호사설” (1740년경 정리), 백과사전적 저술

동국문헌비고” (영조 46,1770)

- 지리·정치·경제·문화 등에 관한 한국학 백과사전

안정복

- “동사통목” : 정조 2(1778), 단군조선고려말

- “열조통기” : 조선시대 역사

한치윤

- “海東繹史” : 정조때, 외국 사서에서 한국의 역사 발췌, 기전체

이긍익

- “연려실기술” : 영조때, 기사본말체(紀事本末體)

2) 만주사에 대한 관심

이종휘 : “東史” - 고구려에 큰 비중

유득공 : “발해고” - 정조 8(1784), 신라통일의 불완전성 강조

홍양호 : “해동명장전” - 정조 18(1794)

3) 역사지리서

한백겸 : “동국지리지” - 선조때

신경준 : “강계고(疆界考)” - 영조때

한진서 : “해동역사지리고” - 순조때

정약용 : “강역고”,“대동수경” - 순조때

4) 인문지리서

이중환 : “택리지” - 영조때

신경준 : “도로고”,“산수고” - 영조때

5) 지도

정상기 : “동국지도” - 영조때

6) 國語에 대한 연구

신경준 : “훈민정음운해󰠏󰠈

유 희 : “언문지” - 순조때 󰠏󰠍󰠏 한글에 대한 음운 연구서

* 영조

속대전” : “경국대전이후의 교령을 편찬

속오례의” : “오례의수정

속병장도설” : “병장도설개편

동국문헌비고” : 한국의 문물제도를 분류·정리한 백과사전적 저술

* 정조

대전통편” : “경국대전”,“속대전및 그후의 교령을 합쳐서 편찬

문원보불(文苑黼黻)” : ‘반교문’,‘위유문’,‘제문’,‘교서’,‘國書

관각(館閣) 제신(諸臣)들의 문장수록

추관지” : 형법에 관한 역사와 내용 기록

도지지” : 戶曹의 사례 편집

무예도보통지” : 무예에 관한 그림과 설명

* 관찬 사업의 성행에 따라 韓構字’,‘整理字등 활자 주조

 

5. 西學의 전파

1) 서학에 대한 관심

광해군때 이수광이 지봉유설에서 마테오리치의 천주실의소개

이익·안정복 등 실학자들 서학에 관심 사상적으로는 비판적

2) 신앙운동 - 정조때 남인학자들을 중심

정조 7(1783)에 이승훈이 북경에서 세례를 받고 귀국

이승훈·이벽·이가환·정약전·정약종·정약용·권철신·권일신 등 남인 (이익의 문인들)

김범우(조선 최초의 천주교 순례자) 등의 中人

서양 선교사의 전도보다는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천주교 서적들을 읽고 깊은 관심

3) 典禮문제로 사회적 논란

정조 9(1785) : 서학을 사교로 규정하고 금지령

․ ″ 10(1786) : 북경으로부터 서적 수입금지

․ ″ 15(1791) : 전북 진산에서 神主를 없앤 윤지충을 사형 신해사옥

․ ″ 19(1795) : 중국인 신부 주문모 입국,활약 교세확장,4천여명의 신자

4) 서학에 대한 박해

정조때는 서학을 묵인하는 방향, 영의정 - 남인 채제공

순조(18001834) 즉위하면서 서학에 대한 혹독한 박해

- 신유사옥 (순조 원년,1801) 대왕대비 김씨와 연결되는 노론벽파가 남인시파를 타도

󰀲 이승훈·이가환·정약종 등과 주문모 사형, 정약전·정약용은 유배

황사영이 몰래 북경에 帛書를 보내려다 발각당해 사형 당함 탄압정책 심해짐

 

6. 과학과 기술

1) 농서 : 17·18세기에는 농업기술 향상에 대한 관심이 커짐

신 속 농가집성” : 효종 6(1665), “농사직설”·“금양잡록합하고, 자신의 의견 추가

박세당 색경(穡經)” : 숙종(16741720), 과수·축산·원예·수리·기후 등에 중점

홍만선 산림경제” : 숙종때, 농업·임업·축산·양잠·식품가공·저장 등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일상 생활에서 알아두어야 할 사항

서호수 해동농서” : 정조(17761800)때 왕명, 한국의 농학을 종합

고구마 재배법 구황식물로서 고구마에 대한 관심

- 강필리 감저보” : 영조때

- 김장순 감저신보” : 영조때

- 서유구 종저보” : 순조 34(1834)

정약전 자산어보” : 순조 15(1815), 물고기에 대한 책

2) 의학서

정약용 마과회통” : 정조 22(1798), 종두법 처음 소개

3) 서양의 새로운 과학과 기술의 도입

선조(15671608) 말년에 명에 갔던 사신이 유럽지도 가져옴

인조 9(1631)에 정두원이 명에 사신으로 갔다오는 길에 천주교 서적과 함께

화포·천리경·자명종·만국지도·천문서·서양풍속기 가져옴

소현세자 귀국시 과학서적 가져옴 (동생 봉림대군 효종)

인조 6(1628), 네덜란드인 웰테브레(박연) 표착 훈련도감에서 대포 만듬

효종 4(1653), 네덜란드인 하멜 표착 탈출하여 표류기저술

김육의 노력에 의해 새로운 역법 연구 개량시행

정약용 - 기중기를 고안해서 화성(수원성) 축조에 이용

지동설 - 김석문,이익,홍대용

 

7. 성리학에 대한 비판

독자적인 견해 (주자의 설에 만족하지 않음) - 실증적인 태도로 유교의 경전들에 접근

- 윤휴 중용주해󰠏󰠈

- 박세당 사변록” : 도가사상에 접근 󰠏󰠍󰠏 사문난적으로 몰림

- 정약용

양명학의 수용

- 남인과 소론 계통의 학자들, 정치적 진출에 제약을 받는 종실이나 서얼출신이 많음

- 정제두 존언

 

 

[ 5절 예술의 새 양상 ]

 

1. 한문학의 변화

실학의 정신 반영됨

- 박지원 열하일기속에 실린 허생전”,“호질(虎叱)”

방경각외전에 실린 양반전”,“민옹전

민간 설화의 소설화 (한문)

- “동패낙송(東稗洛誦)”,“청구야담

서얼·중인·서리 출신의 문인

- 홍세태 해동유주” : 숙종(16741720) , 시 모음

- 고시언 소대풍요” : 영조 13(1737) 󰠏󰠈

- 천수경 풍요속선” : 정조 21(1797) 󰠉󰠏 60년마다 시집 간행

- 유재건 풍요삼선” : 철종 8(1857) 󰠏󰠎

 

2. 古小說과 사설시조

한글소설 (17·18세기)

- 허균 홍길동전” : 광해군(16081623)

- 김만중 구운몽” : 숙종 15(1689)

- “장화홍련전”,“창선감의록”,“심청전”,“흥부전권선징악

임진록”,“임경업전군담소설

옥루몽”,“숙향전”,“춘향전애정소설

시조

- 長詩, 사실성, 소재의 다양화 사설시조의 출현

- 김천택 청구영언” : 영조 4(1728)

김수장 해동가요” : ” 39(1763)

 

3. 미술의 새풍조

1) 회화

진경산수화 출현

- 정 선 (숙종영조,18세기) : ‘인왕제색도’,‘금강전도

- 김홍도 (영조,정조,18세기) : ‘총석정도(叢石亭圖)’

속화의 유행

- 김홍도,신윤복,김득신 등

2) 자기

청화백자 발달 - 정조(17761800)때 국산 안료 사용하면서 크게 발달

 

 

 

[ 1절 훈구세력 지배하의 사회적 변화 ]

 

1. 훈구세력의 지배

훈구세력

- 개국공신 : 정도전,조준, ···

- 세조 추대 : 정인지,최항,양성지,신숙주,서거정, ···

- 높은관직, 많은토지(농장), 노비 소유한 집권세력

- 실용적 학문에 능하여 많은 관선사업에 참여한 관학자

- 주로 경기도 지방에 거주, 近畿派

반 훈구세력

- 생육신 : 김시습,원호,이맹전,조려,성담수,남효온 세조 찬탈 비판

- 죽림칠현 : 남효온, ··· 출세 제약 (종실,향리 출신)

 

2. 농장의 확대와 貢賦의 증가

농장의 확대 : 과전(사실상 세습), 공신전, 별사전, 매입·겸병·개간 등 소유지 확대

국가의 공적인 수입 감소, 농민생활 곤궁 (병작제 등..)

공납의 폐해 : 방납제도 농민 부담 가중

󰀲 폐단 개혁위해 이이는 수미법 주장

군역의 요역화 : 보법의 성립으로 군사의 수가 늘어나자 요역담당자 감소

군사들을 요역에 동원 이중부담

환곡제도의 폐해 : 의창의 기능 상실 상평창에서 대신 맡음 (‘모곡이라하여 1할이자)

많은 농민들의 유민화, 도적의 무리 빈발

- 명종 14(1559)17(1562) : 황해도 일대의 임꺽정

 

 

[ 2절 사림세력의 등장 ]

 

1. 사림의 진출

사림세력

- 지방거주 재야의 讀書人群

- ·소 지주층

- 향촌에서 유향소나 향청을 통하여 영향력을 행사하던 세력

- 詞章보다 經學 중시, 도덕적 수양 중요시

- 길재의 학통을 이은 김종직 김굉필,정여창,김일손 등

- 성종의 훈구세력 견제위해 중앙진출

3사 계통에 자리, 언론문필 담당

무오사화 (연산군 4,1498)

- 김일손이 김종직이 지은 조의제문을 사초에 올린 것이 발단

- “성종실록편찬시 발견 사화 발생

갑자사화 (연산군 10,1504)

- 연산군의 방탕한 생활 훈구세력 반발

- 연산군 생모 윤씨의 폐출 사사사건 계기

- 훈구 및 잔존 사림세력 제거

을묘사화 (중종 14,1519)

- 중종의 조광조 등용

- 조광조의 개혁 󰠆󰠏 향약 실시 (미신타파,권선징악,상호부조)

󰠌󰠏 현량과 설치 (인물천거 관직등용) 훈구세력 반발

- 위훈삭제 사건 발단으로 조광조 세력 제거

을사사화 (명종 즉위년,1545)

- 명종의 외척세력이 반대파(인종 추대) 제거

 

2. 서원과 향약

사림세력의 토대 : 서원·향약·농장 선조(15671608)때 정계 지배

서원 : 교육 + 선현을 봉사하는 祠廟 사림의 성장터전 마련

- 중종 38(1543)에 풍기군수 주세붕의 백운동서원 소수서원’, 사액서원의 시초

- 사액서원 : 국가에서 서적·토지·노비 수여

향약 : 사림의 지위를 굳게 함

- “소학의 정신 실현

- 선조(15671608)때 전국적으로 널리 시행

- 향약의 간부인 約正등에는 지방의 유력한 사림이 임명, 일반 농민은 자동적으로 포함

- 농민에 대한 강한 지배력 가짐

농장 : 사림의 경제적 기반

 

3. 사림정치

3의 정치적 입지 확대

3의 의견 조정 이조전랑

사림의 의견이 정치에 그대로 반영

 

4. 붕당의 발생

·서의 붕당 (선조 8,1575)

- 동인 : 김효원 등 신진관료 (강경파) 이황,조식 (主理派)

- 서인 : 심의겸을 중심으로 한 기성관료 (온건파) 이이,성운 (主氣派)

붕당 초기 : 동인의 득세

- 정여립의 모반사건 (선조 22,1589) 동인세력 일부 제거

동인의 남·북 붕당

- (서인) 정철의 건저의사건을 계기

- 남인 (온건파) : 이황의 문인

북인 (강경파) : 조식의 문인

북인의 광해군(16081623) 추대

서인의 인조 옹립 (인조반정,1623)

 

 

[ 3·와의 항쟁 ]

 

1. 임진왜란

왜의 간헐적 침략으로 비변사설치

왜군의 부산상륙 (선조 25,1592)

이순신 활약 : 옥포·당포·당항포·한산도·부산

의병들의 봉기 : 조헌 (충청도 옥천), 곽재우 (경상도 선녕), 고경명 (전라도 장흥)

김천일 (수원), 정문부 (함경도), 휴정 (묘향산), 유정 (금강산)

명의 육군, 권율의 행주대첩

정유재란 (선조 30,1597) 경상도 지역

- 이순신 : 명랑·노량 대첩

 

2. 병자호란

광해군 (16081623)

- 史庫의 정비, 서적의 간행, 호패의 실시

- 뛰어난 외교정책 (강홍립의 후금투항)

인조 (인조반정,1623)

- 서인 집권, 向明排金

- 이괄의 난 (인조반정에 대한 공신책정에 불만) 후금의 침략 종용

- 정유호란 (인조 5,1627) 형제관계 수립

병자호란

- 후금의 개국 (인조 14,1636) 조선에게 군신관계 요구 병자호란 발발

- 인조의 남한산성 피난 삼전도에서 항복

- 소현세자, 봉림대군 볼모

척화파인 3학사(홍익한,윤집,오달제) 죽음, 김상헌 옥고

효종

- 북벌계획, 북한산성·남한산성 수리

 

 

[ 4절 사림의 문화 ]

 

1. 성리학의 융성

지방의 사림학자들은 서원을 중심으로 학문연구, 후진교육

성리학의 융성 형이상학적 추구

- 주리파 : 이언적 이황 유성룡,김성일 ; 영남학파(동인) 일본에 영향

- 주기파 : 서경덕 기대승 이이,성운 김장생 ; 기호학파(서인)

 

2. 譜學禮學

족보 : 사림중심 양반사회에서 가계는 중요한 사회적 세력 단위

예학 : 상장제례에 관한 지식

- “주자가례에 의해 행하여짐

- 김장생 가례집람아들 김집에게 계승

 

3. 가사와 시조

가사 : 조선 중기에 크게 발달, 4·4조의 산문

- 정철 관동별곡”,“사미인곡”,“속미인곡

시조 : 고려말 발생

- 박인로 신흠 윤선도 산중별곡(오우가)”

 

 

 

[ 1절 조선 양반사회의 성립 ]

 

1. 사대부와 왕권

건국초기 : 태조 (13921398)

- 도평의사사 : 개국 공신들의 회의기관

- 유교적 이상정치를 표방한 법전 편찬

정도전 조선경국전”, 정도전·조준 경제육전개국 공신들의 이익위해

태종 (14001418)

- 정도전등 개국공신 숙청후 왕위 등극 (1400)

- 사병혁파 병권집중

- 도평의사사를 의정부로 고침 권한 축소

- 6조직계제 실시

- “원육전”, “속육전편찬 왕권강화 위해

세종 (14181450)

- 집현전 확대(1420) 집현전 학자들의 영향력 커짐

- “정전” 6권 편찬

* 집현전에서 편찬된 책 : 고려사,농사직설,오례의,팔도지리지,삼강행실,치평요람,

동국정운,용비어천가,석보상절,월인천강지곡,의방유취

세조 (14551468)

- “경국대전착수 성종 16(1485) 반포 시행

- 집현전 폐지

 

2. 양반사회

과거의 중요성 증대

양반 : 의 의무(力役,軍役) 면제

- 배타적, 밖의 촌락에서 거주

- 하급 관리인 서리(아전), 군교(군관,교졸)등은 하지 않음

- 서얼의 자손은 文科에 응시 못함

- 재삼가녀의 자손은 벼슬 못함

- 평안도·함경도 출신 차별

 

 

[ 2절 양반관료 국가의 통치기구 ]

 

1. 정치기구

1) 중앙

의정부 : 최고기관 - 고려 도평의사사보다는 권한축소

6: ·····

승정원 : 왕명출납, 비서기관

홍문관·사헌부·사간원 - 견제기구

- 홍문관 : 집현전 후신, 국왕의 고문 역할

- 사헌부 : 감찰기관, 정치득실 논하고 관리잘못 규찰, 풍기·풍속 교정

- 사간원 : 국왕의 잘못 논하고, 관리 임명 논박·시정 기구

* 사헌부+사간원 = 대간(臺諫), 관리는 言官

서경 권한 : 임명 관리의 신분·경력 조사하여 가부승인

2) 지방

8: 관찰사(監司), 方伯 (임기 1)

(부윤, 부사), (목사), (군수), (현령,현감) (임기 53)

향청(,) : 지방 양반들로 조직(좌수,별감), 수령보좌·풍속기강·향리규찰

경재소 : 서울에 위치, 그 지방출실 중앙관리를 좌수·별감으로 임명하여 향청장악

6: ·····(지방의 각 행정단위에 설치)

- 지방 토착의 향리 담당

- 향역이라하여 세습

- 사무연락 위하여 서울에 京邸吏(경주인), 감영(도청소재지)에는 營邸吏(영주인)

- 수령(왕권을 대행)과 향청(지방 양반세력)간의 교량적 구실 담당

- 양반으로의 신분상승은 제약됨 (* 고려 향리는 중앙 귀족으로 상승하는 세력가)

- 평안·함경·제주에는 토관 임명 (향리보다는 지위가 높음)

 

2. 군사조직

1) 중앙군

의흥삼군부 (태조) 사병으로 인해 병권 집중은 안됨

태종의 사병혁파 (정종 2,1400) 삼군부에 귀속

오위도총부 (세조 10,1464)로 개편 5위 지휘

5(세조 3,1457)

- 의흥위(중위), 용양위(좌위), 호분위(우위), 충좌위(전위), 충무위(후위)

- 각기 통할하는 지방이 지정됨

- 각 위는 5로 나뉘고, 각 부는 4으로 구성

- 甲士와 같이 시험을 거쳐 편입되는 전문적인 군인이 중심 병력을 이룸

2) 지방군

영진군(남방), 익군(북방)의 이원체제 익군체제로 일원화

진관체제 (세조 3,1457)

- 도에 兵營水營이 하나씩

(경상·함경도에는 여진과 왜의 침입에 대비하여 병영·수영이 둘씩,

전라도에는 수영이 2)

- 진수군 (영진에 소속된 군인) : 영진군(정수부대),수성군(노동부대),선군(해군)

* 영진군 - 병농일치의 군대,良人

3) 중앙군과 지방군의 일원화 (진관체제의 성립)

평상시 농업에 종사, 징발되면 서울이나 지방의 요새지에 가서 군복무 (正兵)

봉족제도 : 21로 삼아 1정에 1보 배당, 정병에게 면포제공

봉수제, 역마제의 시행

 

3. 과거와 교육

음서의 제한 : 공신 및 3품이상 관리의 자손 南行

문관 채용 시험 : 생진과(小科), 문과(大科)

- 생진과 : 사서·오경을 시험하는 生員科

···책 등 문장으로 시험하는 進士科

지방의 초시에 합격하면, 서울에서 복시를 치러 생원과 진사를 뽑음 司馬

- 문과 : 생원과 진사가 되면 성균관에 진학

초시·복시를 거쳐 33명의 합격자 결정

궁궐안에서 殿試시행하여 갑··3로 등급 결정

(갑과 1: 장원급제자 6품이상의 참상관으로 임명)

관학인 四學이나 향교보다 사학인 書齋가 더 환영

3년마다 정기적인 실시 式年科擧 나중엔 부정기의 과거가 증설되어 해이해짐

- 증광시(국가 경사), 별시(보통 경사), 알성시(국왕이 성균관에 가서 시행)

무과 : 초시·복시·전시의 3단계 (문과와 동일)

28명의 합격자 (先達)

잡과 : 기술관 채용

- 역과·의과·음양과·율과

- 보통 中人의 자제가 이를 세습하여 응시

 

 

[ 3절 양반 관료국가의 사회·경제적 구조 ]

 

1. 양반의 토지소유 형태

고려말 : 과전법

- 모든 관리는 18로 구분하여 科田 지급, 柴地는 포함되지 않음

- 경기도 지방의 토지에 한함 양반 관리들의 지방세력 성장방지

- 一代에 한하는 것이 원칙이나 실질적으로는 세습 경향

* 사망후 아내가 수절하면 守信田

부모가 사망한 어린 자녀에게 휼양전

공신전의 증가

- 경기도 지방에 한함

- 세습허용

세조 12(1466) : 과전법 폐지하고 직전법 실시

- 현직 관리에게만 수여

- 명종 11(1556)에 폐지 녹봉만 지급

군전 : 지방 유력자인 한량에게 지급, 세습 - 고려 군인전과는 다름

내수사전 : 왕궁소유 (고려 내장전과 같음)

중앙관부의 비용을 위해 지급된 공해전은 곧 없어짐 조세와 공물로 충당

지방 관아에는 늠전(廩田), 外役을 담당하는 자에게 구분전 지급

학전(성균관·四學·향교), 사원전(사찰), 관둔전(지방 관아)

국둔전(진술군으로 경작케하여 軍資 충당)

 

2. 농민의 생활

농업기술의 향상 농민의 사회적 지위 향상

- 비료의 사용 連作가능

- 보통 직파법, 이앙법도 실시

- 가뭄 대비하여 많은 저수지 만듬

- 견종법(畎種法) 보급 - 밭고랑에 씨를 뿌림

호패법 토지의 경작, 의 징발

- 농민은 이주의 자유 없었음

- 호패 : 성명,출생,신분,거주지 등을 기록

- 이징옥의 난 (단종 원년,1453), 이시애의 난 (세조 13,1467) 이후 강화

󰀲 농민들의 뒷받침 받음

- 오가작통법 실시 이탈 감시

田租

- 과전법 : 수확량의 1/10, 세종 26(1444) : 수확량의 1/20

- 답험손실법(踏驗損實法)의 폐단 (가을 수확기에 실제 수확량 조사)

전분6, 연분9등법으로 고침 (정액수조법)

- 농민과 田主 사이의 병작제가 일반적 - 수확량의 1/2 부담

공납 : 각지의 토산물을 바치는 것

의 의무

- 교대로 번상하는 군역

- 1년에 일정기간 노동에 종사하는 요역

(적전의 경작, 궁궐·산릉·성곽 등의 토목공사, 광산노동)

- 경작하는 토지 8결마다 1차출, 1년에 6일 이내 실제는 관아 임의대로 징발

 

3. 수공업과 공장

면직업의 성행 목면의 재배

- 로서 면포를 대신 납부하기도 함

관영수공업 : 고려때와 마찬가지로 가장 큰 비중

- 군기감(무기), 상의원(의류), 사옹원(자기), 조지서(종이)

순수 사영수공업자도 등장함

 

4. 상업과 화폐

1) 상업

서울 : 종로를 중심으로 한 시전 - 관설 점포를 상인들에게 임대한 것

- 육의전 : 선전(비단), 면포전(무명), 면주전(명주)

저포전(모시), 지전(종이), 어물전(어물)

지방 : 場門이라 부르는 상설시 발달

- 보부상들의 활동 : 합법적 단체권을 가진 부상청 조직

- 수로의 행상인 船商의 활동은 활발하지 못함

2) 화폐 - 를 거두는데 이용하려는 목적 널리 유통되지 못함

태종 원년(1401) : 저화(楮貨)

세종 5(1423) : 조선통보(朝鮮通寶) - 銅錢

세조 10(1464) : 전폐(箭幣)

물품거래의 매개물은 포백(布帛) : 정포(麻布) 면포

 

5. 천민의 상태

공노비

- 입역노비 : 일정기간 관부의 노역에 종사

- 납공노비 : 일정한 身貢을 바칠 의무

사노비

- 솔거노비 : 주인집의 잡역이나 농경을 하는 입역노비

- 외거노비 : 일정한 신공을 바치는 납공노비

자신은 종모법에 따라 어머니편에 소속

공노비와 외거노비는 독립된 세대를 이루고, 독립된 가계를 이룸 - 평상시 농업에 종사

백정 : 도살,제혁,유기제조 법제상으론 양인 대우

광대,사당

··부곡의 소멸 천민 신분이 양인 신분으로 향상하는 경향

 

 

[ 4절 조선초의 대외정책 ]

 

1. 對明外交

수출 : ,인삼,모피,모시,화문석

수입 : 견직물,약재,서적,도자기

여진인 송환문제 등으로 분규가 있기도 함

 

2. 북방개척과 野人

태조 : 두만강까지 영토편입 야인(여진)의 침입으로 경성까지 후퇴

세종 (14181450)

- 두만강 유역에 6설치 (김종서) : 종성,온성,회령,경원,경흥,부령

- 압록강 방면에 4설치 (최윤덕,이천) : 어연,자성,무창,우예

세조때 4군은 철폐된 적도 있으나, 여전히 압록강 국경 유지

 

3. 대왜정책

세종 원년(1419) : 이종무의 대마도 정벌

” 8(1426) : 삼포에 왜관을 두어 교역 - 내이포(웅천),부산포(동래),염포(울산)

” 25(1443) : 계해약조 - 왜의 교역제한

1년에 세견선 50, 세사미두 200

중종 5(1510) : 3포에서 왜의 소란 3포 폐쇄

중종 7(1512) : 임신약조

세견선 25, 세사미두 100섬으로 반감

* 수출품 : 미곡·면포·마포·저포 등 생활필수품

나전·도자기·화문석 등 공예품

대장경·유교서적·범종·불상 등 문화재

* 수입품 : ·주석·유황 등 광산물

약재·향료 등 사치품

 

[ 5절 양반관료의 문화 ]

 

1. 한글의 창제

한글의 반포 (세종 28,1446) 훈민정음 창제 (세종 25,1443)

정음청(언문청) 설치

- 용비어천가 : 왕실 조상의 덕 찬양

- 월인석보 (월인천강지곡,석보상절) : 부처님의 덕 찬양

- 동국정운 : 한자음 연구

* 정인지,성삼문,최항,신숙주,박팽년,강희안,이개

* 세조때 내경청으로 개편 중종 1(1506)에 폐지

간경도감 (세조 3,1457)) : 불교경전 번역 출판

- 불경언해

- 삼강행실도 : 유교도덕 강조

* 성종 2(1471)에 폐지

 

2. 실용적 학문 유교적 입장에서 실제 사회에 유용하다 생각되는 실용적인 성격의 것들

1) 史書

조선왕조실록

- 태종 13(1413)태조실록편찬

- 춘추관에서 사관들이 편찬 (춘추관 관원이 예문관 겸직)

* 예문관 사관이 역사 자료 기록 : 봉교(奉敎대교(待敎검열(檢閱)

- 서울(춘추관),성주,전주,충주 등 4곳의 史庫에 보관

- 실록에서 국왕의 훌륭한 언행 발췌하여 국조보감발행 : 세조 4(1458)에 처음 간행

고려사

- 세종때 시작 문종 원년(1451) 완성

- 고려의 역사를 정리하여 새 왕조 건설의 정당성 위해

- 기전체

고려사절요

- 문종 2(1452)

- 편년체

동국통감

- 성종 16(1485)

- 단군조선부터 고려말까지 역사를 적은 최초의 사서

- 편년체

2) 지리서

팔도지리지

- 세종 14(1432), “세종실록에 수록

- 각 지방의 연혁·산천·관방·산성·토지·호구·토산·교통·영진·군정·봉수·능묘·土姓·인물

동국여지승람

- 성종 12(1481), 중종 26(1531)에 증보되어 신증동국여지승람편찬 현존

- 樓停·학교·佛宇·사묘(祠廟고분·명환(名宦인물·제영(題詠)

인문에 관한 항목이 늘어나고, 관련있는 시문 첨가

3) 정치서

치평요람

- 세종 23(1441), 과거의 정치적 사적과 성쇠

국조오례의

- 세종때 착수, 성종 5(1474)에 완성

- ··((五禮에 관한 기록 국가 의식의 기준

삼강행실

- 세종 14(1432)

- 충신·효자·열녀들의 행실을 그림으로 그리고, 설명을 붙임

- 유교 도덕 강조하여 양반 사회의 질서를 옹호

- 한글로 번역 출판

 

3. 과학과 기술

1) 농업

농사직설

- 세종 12(1430), 정초에 의해 편찬

- 한국의 지리조건에 맞는 농사법

금양잡록

- 성종(14691494)때 강희맹에 의해 편찬

2) 천문기상학

측우기 : 세종 24(1442)

풍기죽(風旗竹) : 풍향관측기

세종 16(1434)에 경복궁에 간의대 축조하고, 대간의 설치하여 천문관측

혼천의(전구의), 앙부일구(해시계), 자격루(물시계)

역법 발달 : 이순지의 칠정산 ·外篇저술 (세종 2426)

세조때 규형(窺衡인지의(印地儀) 제작하여 양전사업에 이용

3) 의학

향약집성방

- 세종 15(1433), 한국인의 경험기초

의방유취

- 세종 27(1445), 중국의 역대 의서를 수집 편찬한 의약백과서

4) 인쇄술

금속활자가 서적 간행에 널리 이용

태종 3(1403) 주자소 설치, 동활자 사용 계미자

세종 16(1434) 갑인자

5) 군사기술

화포 : 방어용에서 공격용으로 발전 북방개척에 따른 야인과의 전투

태종 13(1413)龜船 제조

세종 30(1448)총통등록편찬 : 화포의 제작법과 사용법

문종 원년(1451)火車 제조

 

4. 미술

회화에서 문인화라 불리는 수묵화 유행

- 세종때 강희안,안견,최경

- 중종때 이상좌

서예

- 고려말부터 송설체(조맹부체) 유행, 안평대군(세종 셋째아들)

- 초서에 능한 양사언, ‘해서(楷書)’로 유명한 한호

자기

- 초기의 분청자기 백자 : 실용적

 

5. 문학과 음악

1) 음악

음악의 정리 : 세종때 박연

성종 24(1493)악학궤범” - 아악·당악·향악의 3부로 나누어 정리

樂章 : 정도전 신도가”, 정인지 용비어천가

권근 상대별곡” (경기체가)

2) 문학

동문선” - 성종 9(1478)에 서거정이 우리나라 시문을 뽑아 한국의 한문학 정리

설화문학 유행 - 서거정 필원잡기”, 성현 용재총화”, 어숙권 패관잡기

금오신화” - 김시습, 소설의 선구

 

6. 불교의 후퇴

태조 : 도첩제 실시

태종 6(1406) : 242개를 제외한 사원 폐지, 토지와 노비 몰수

세종 : 궁성안에 내불당 설치

세조 : 원각사, 간경도감을 두어 불경의 언해 간행

성종 : 도첩제 전폐, 출가 금함

중종 2(1507) : 승과 폐지

명종 : 문정왕후 섭정때 보우 중용, 승과 재설치 (명종 7,1552)

봉은사 (선종), 봉선사 (교종)

 

 

 

 

<영조와 정조의 치적>

 

영조는 노론을 우대, 정조는 남인을 우대

영조는 늙은 사람, 정조는 젊은사람 초계를 우대

 

영조~3대유폐(붕당, 사치, 음주), 신문고, 속대전, 무원록(법의학서), 기로과설치(60세이상의 과거), 권농정책, 노비공감법, 탕평책, 균역법

정조~제언절목, 추관지, 장용영, 신해통공, 정리자, 홍재전서(자선전), 일성록(일기), 한구자, 대전통편, 생생자, 탁지지, 규장각, 서얼발탁

 

문체반정운동~정조에 의해 주도된 문풍쇄신정책의 일환

노론벽파를 견제키 위함박지원(패관소품체)양반전

초계문신제도~당하관 이하 관리를 재교육에 의해 시럼을 거쳐 승진시킴

 

조선후기의 학자 채제공’~상업에 있어서 신해통공 실시, 정조때 문신으로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이름, 재임 중 천주교 문제에 대해 온건한 정책을 유지

 

<탕평책의 실시>

 

탕평책의 실시원인~붕당정치의 문제점(극단적 정쟁, 집권욕으로 공론보다 사리에 집착, 사회분열, 왕권의 약화)

숙종때 처음으로 실시(노론 중심의 일당 전제화로 실패)

조제보합론을 실시 하려 하였음

영조의 완론탕평~온건론자를 등용, 이조낭관이 행사하던 낭천권과 천거권을 박탈

정조의 준론탕평

 

탕평책은 붕당간의 세력을 균형화하여 왕권의 강화를 도모하고, 정국을 안정시키려고 한 것이지 근본적인 해결책이 못된 미봉책에 불과

 

<실학의 발생>

 

실사구시와 이용후생을 표방하는 비판적, 실천적 학문사상이지만 유학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수광~지봉유설을 저술하여 천주실의를 소개함으로써 서양 문물을 소개

한백겸~동국지리지를 쓴 역사, 지리 연구의 선구자

김육~대동법 실시와 주전의 필요성 강조

윤휴~주자학 비판, 송시열의 예론을 비판하다 사형당맣

윤증~민본사상에 입각한 인간평등론 주장

 

중농학파~유형원, 이익, 정약용

중상학파~유수원, 홍대용, 박지원, 박제가

 

정인홍이언적과 이황 비판

정여립군주세습제를 부인하고 천하는 공물이라 함

 

성리학을 비판한 실학자

16C 정인홍, 정여립17C 윤휴, 박세당18C 정약용19C 최한기

 

김석문의 역학도해와 홍대용의 의산문답은 지전설을 주장하여 성리학적 세계관을 비판함

 

<중농학파와 중상학파>

 

중농학파~경세치용의 학풍, 남인학자 중심, 지주제 철폐, 농촌을 배경

 

유형원~반계수록, 자영농을 바탕으로 병농일치의 군사제도와 사농일치의 교육제도

사상의 한계:적서차별과 군내의 양천구별, 문음제도, 노비제도 인정

이익~성호사설, 6좀론(노비제도, 과거제도, 양반문벌제도, 기교, 승려, 게으름), 화폐 폐단 지적

정약용~여유당전서:3부작(목민심서, 경세유표, 흠흠신서)

3논설(탕론(왕조교체의 가능성제시), 원목(정치의 근본과 목민관 강조), 전론(공동소유, 공동생산, 공동분배))

박세당~색경, 윤휴와 함께 사변록을 지어 성리학을 비판하다가 사문난적으로 몰림

홍만선~산림경제

서유구~임원경제지, 종저보

 

중상학파~이용후생의 학풍, 노론중심, 지주제 인정, 서울을 배경

 

유수원~우서, 대상인의 지역사회개발 참여

홍대용~임하경륜, 의산문답, 균전제 주장, 신분제도의 철폐, 의산문답에서 지전설 주장

박지원~열하일기, 과농소초, 양반전, 화폐유통의 필요성, 수레와 선박의 이용, 양반문벌제도의 모순 지적

박제가~북학의, 청과의 통상강화, 수레와 배의 이용을 늘릴 것, 절약보다 소비촉진

 

<조선후기 실학자(중농학자)의 토지개혁안>

 

토지제도는 앞에 있는 토지제를 비판하면서 성장

유형원의 균전론~토지국유제원칙, 토지매매금지, 대토지 소유 방지

이익의 한전론~유형원의 균전론 비판, 영업전(소유·세습가능)은 팔지 못하게 하고 매매전은 팔 수 있게

정약용의 여전제~산천과 계곡을 경계로 30호를 1, 공동경작, 공동소유

정약용의 정전제~여전제는 이상적인 형태라고 스스로 비판하고 차선책 제시

 

이런 실학자의 개혁론이 나오게 된 배경은 지주제의 확산이다.

대토지 소유를 방지하고자 함

 

<양명학에 대하여>

 

양명학은 성리학을 비판

양명학이란 주관적·실천적인 유학체계로서 주기론적입장

전습록을 이황이 전습록변에서 비판하고 정제두가 변퇴계전습록변에서 전습록변을 비판

 

성리학의 사상적 한계로서 비판, 16C 중엽~17C 에 이르러 일부학자 관심(남언경, 이요, 자유, 최명길, 이수광, 허요)

18C최 정제두에 의해 학파 형성

강화 중심의 강화학파(성호학파가 아님)

남인, 소론학자+불우한 종친출신 학자

양명학의 교지는 선행후지, 지행합일, 치양지이기이원론 부인

이건창·박은식 등에 의해 계승·연구됨

일제 식민치하에서 박은식의 유교구신론으로 계승되었다.

 

<천주교 박해>

 

17C 에는 학문적 대상으로 들어옴. 18C 에는 종교적 입장으로.

조선인 스스로 포교되고 연구 되었다. 이수광의 지봉유설에서 첫 소개

추조적발사건, 반회사건

 

사옥명

내용

처형자

3대 사옥

신해박해

진산사건, 윤지충의 모친상을 천주교식으로 하다 발각

윤지충(최초의 순교자)

신유박해

집권 벽파가 시파인 남인계를 축출하고자 탄압(정치적인 색채가 짙음)

정양용(강진유배), 황사영백서사건

기해박해

안동김씨와 풍양조씨의 세도권쟁탈전 상재벽서 남김

오가작통법·척사윤음 발표

병인박해

대원군은 9명의 프랑스 신부 학살, 병인양요의 원인이 됨

대왕대비교령으로 천주교 금압령 이후 3년간 8000명 처형

 

대부분의 민중들은 천주교의 전파에 회의적이었다.

대원군은 처음부터 천주교를 박해한 것은 아니었다.

천주교의 최초의 전래자~이수광

최초의 신자~허균

최초의 세례자~이승훈

최초의 조선인 신부~김대건

 

<조선시대 종교 민간신앙>

 

태조~억불, 도첩제, 무학(한양천도의 주역)

태종~억불, 철저한 억불책, 도첩제 강화

세종~불교종파 정리, 사원전·노비제한, 궁중 내불당 짓고 신봉, 기화

세조~불교숭상, 원각사 건립, 신미(간경도감에서 불경간행)

성종~불교 억압, 출가 금지시킴

 

불교는 왕실이나 민간부녀자 중심으로 민간신앙의 하나로서의 역할을 수행

 

도교는 중국중심의 세계관이 없다

도교는 국가의 권위를 높이고 상무정신을 기르며 유교의 문약에 빠지고 사대에 치우치는 약점을 보완

 

 

<조선의 화가들>

 

조선전기(15C~16C) 특징~인물산수화·진취직·씩씩하고 낭만, 사군자의 발달(16C)

안견의 몽유도원도, 최경의 채희귀한도, 이상좌의 송하보월도, 강희안의 고사관수도

 

17C~18C ~진경산수화 발달, 바위산이 많은 우리 자연을 묘사

18C 정선은 우리나라의 산수를 사실적으로 그림

금강전도, 인왕제색도, 금강산도, 여산초당도, 입암도진경산수화

 

18C 후반~실학적 화풍, 서양화법영향, 풍속화, 민화발달

김홍도는 촉석정도, 씨름, 서당 등 배경 없는 농촌의 생활상 묘사

신윤복은 주유도, 주막도, 선유도, 여인도 등 주로 도시의 여인 묘사, 배경이 있음

강세황은 영통골 입구도, 표암유고

김수철은 산사 만종도

 

19C 특징~실학적 화풍 쇠퇴, 복고적 화풍

 

조선시대의 3대 화가는 안견, 김홍도, 장승업

 

순수청자음각청자상감청자분청사기순수백자·청화백자철사·진사백자

상감청자까지가 고려시대(청자는 귀족적임), 조선의 백자는 실용적

·····

 

<조선시대 과학기술>

 

조선후기에 서양과학 기술문화의 전래 조선전기에는 외래과학기술의 접목이다.

조선전기~앙부일구, 측우기, 규형, 혼천의, 간의

무기제조 기술의 발달~철갑선, 비거도선, 화포, 화차, 비격진천뢰,

수학과 역법의 발달~사라센

조선후기~서양문물의 전래(곤여만국전도), 천문학 연구(김석문, 횽대용, 이익, 정약용, 일식·월식·조수간만에 관한 연구가 행해짐, 지봉유설)

동식물에 관한 연구(색경, 산림경제), 정약전이 흑산도 부근의 어류와 해산물등 155종을 연구하여 저술(자산어보)

정약용의 서양과학 기술 응용

서양의 과학문명 수용은 조선후기 이고, 서역·중국의 과학문명 수용은 조선전기 이다.

 

<건축과 석탑>

 

백제~익산미륵사지 탑, 정림사지 5층석탑

신라~적석목곽분, 황룡사 9층목탑, 분황사 모전 석탑, 첨성대

통일신라~횡혈식 석실분, 해중릉(문무왕릉), 높은 기단위에 3층탑(불국사 석가탑, 감은사지3층석탑, 다보탑, 석굴암, 화엄사 4사자 3층석탑)

 

고려~외관이 높고 웅장함(주심포다포), 봉정사 극락전(최고의 목조건축물), 부석사 무량수전, 부석사 조사당, 수덕사 대웅전, 석왕사 응진전(원의 영향을 받은 다포양식, 심원사 보광전(다포양식)

흥국사지 석탑(신라계통의 양식을 계승), 현화사 7층 석탑, 월정사 89층 석탑, 경천사10층 석탑(목조건축양식을 본뜸, 훵에 영향 받음)

 

조선시대~15C:궁궐·성곽·성문·학교 건축 중심

16C:서원건축 중심

17C:사원건축 중심

18C:수원성, 평양 대동문, 불국사 대웅전

19C:경복궁 근정전·경회루

원각사 10층 석탑(경천사 10층탑의 영향을 받음, 원에 영향 받음), 법주사 팔상전(현존하는 국내 최고의 목탑)

대한제국~독립문(프랑스의 개선문 모방), 덕수궁 석조전(르네상스 양식). 명동성당(중세의 고딕양식)

 

<조각·공예품의 역사>

 

신라의 금동미륵반가상은 일본에 영향을 줌

백제는 서산마애삼존불상

통일신라시대~석굴암, 만불산, 불상, 무열왕릉비, 상원사종(현존 범종 가운데 가장 오래됨), 봉덕사종

 

고려(타시대에 비해 공예가 특히 발달), 조각은 신라에 비해 뒤떨어짐, 불상에 있어서 철불 주조가 유행함, 범종, 나전칠기, 은입사

조선시대~생활필수품 중심, 값싼 재료 이용, 소박하고 견고

15C 고려자기를 계승한 분청사기가 등장하고 16C 청화백자, 칠사백자, 진사백자 등이 발달

 

<조선시대 의학서적 및 각종 서적>

 

세종(향약채집월렴, 향약집성방, 태산요록(산부인과의서), 신주무원록(법의학서))

서거정의 동국여지승람은 전하지 않음, 역대제왕혼일강리도(태종, 세계지도)

신숙주이 해동지리지는 우리나라 사람이 쓴 것임

 

역사지리지~정약용의 아방강역고

인문지리서~이중환의 택리지(팔역지 라고도 함), 각지방의 것을 훙미있게 서술

지도 제작~정상기의 동국지도(백리척의 축척법을 사용)

언해가 들어간 것은 한글서적임

 

<조선왕조 실록 및 기타 사서>

 

현존하는 실록은 조선왕조 실록 밖에 없음

선조·현종·경종 은 수정 실록을 함께 갖고 있다.

사초와 시정기는 일급문서로 사관이외에는 어떠한 사람도 열람 불가

사초는 사관이 국왕 옆에서 기록한 것이고, 시정기는 각 관청의 문서를 종합하여 춘추관서 작성

선원록~조선왕실의 족보, 숙종때

폐위된 임금은 일기라 했다. 실록이 편찬 완료된 뒤에 수정·개수 하는 경우도 있었다.

 

<조선의 역사서>

 

성리학적 사관(고려국사, 동국사략)자주적 사관(15C,고려사 절요, 동국통감)존화주의 사관(16~17C, 기자실기, 동사찬요)민족주의 사관(18C~, 동사강목, 해동역사)

동국통감은 사대주의적이기는 하나 단군을 민족시조로 설정

한치윤의 해동역사~중국등 외국의 사서를 인용하여 기전체적 분류사

대동야승~17C 중엽까지의 야사, 야담을 모은 야사집, 용재총화, 필원잡기, 패관잡기

 

신채호의 독사신론, 박은식, 정인보 등 민족주의 사학자들은 한국사를 체계화하고 민족주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글씨의 역사>

 

구양순체, 왕희지체는 고려전기에 발달, 고려 후기는 조맹부체가 발달

최우, 유신, 탄연은 구양순체. 최우, 유신, 탄연은 고려시대 김생은 신라 사람

훈련도감자와 생생자는 목판, 춘추강자는 철판

 

<음악의 역사>

 

향가는 삼국유사에 14, 균여전에 11수가 전함.

보현십원가는 고려시대 만들어짐.

향가는 승려와 화랑이 지었기 때문에 불교적 색체를 띰

한말에 최초의 서양식 극장인 원각사에서 상영

 

<삼정의 문란>

 

전정~은결, 진결, 도결, 백지

군정~족징, 인징, 강년채, 백골징포, 황구첨정, 마감채

환곡~늑대, 탄정, 반작, 가분, 허류

16C 전정문란, 17C 공납문란, 18C 군역문란, 19C 환곡문란 극심

 

<홍경래의 난과 진주민란>

 

홍경래의 난은 민란의 선구적 역할, 다양한 계층, 평안도 가산에서 일으켜서 정주성에 웅거

난은 처음에는 광산노동자가 주였으나 후에 농민이 주력이 됨

진주민란~진주목사 홍병원의 가혹한 탐학이 원인, 농민 반란의 전국적 확대를 일으킴

암행어사를 파견하고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여 바로 잡고자 했으나 실패

·구향의 향전에서 신향이 승리

 

 

<태조 이성계의 치적>

 

역대 중국왕조에서 이웃나라 왕이 즉위하면 이를 승인하는 절차인 <금인·고명문제>로 정도전을 불벌을 계획하기도 함

3대정책(사대교린, 억불숭유, 농본민생), 국호제정, 국도의 천도, 재상주도의 관료제 확립 (도평의사사중심), 의흥삼군부, 정도전의 보필(경제문감, 고려국사, 불씨잡변, 조선경국전, 심기이편)-경고불조심 , 고려의 구질서 유지

 

<태종의 치적>

 

고명, 금인의 문제가 해결됨, 1차왕자의 난(정종즉위), 2차왕자의 난(태종즉위), 왕권강화(사병혁파, 6조직계제실시), 양전사업, 공도정책(섬주민을 본토로 옮겨 살게 하는 정책), 사민정책, 호패법실시, ,,부곡을 제도상 폐지, 주자소 설치-계미자, 사섬서설치-저화발행, 한양재천도, 억불숭유책, 5부학당, 신문고, 악법(서얼차대법, 재가금지법)제정, 실록편찬, 속육전·원육전편찬, 무역소 설치, 거북선 건조, 사서편찬, 아악서 설치

 

<세조의 치적>

 

계유정란으로 집권, 사육신(성삼문, 이개, 박평년, 하위지, 유성원, 유응보)를 제거하면서 즉위, 이시애의 난(유향소 폐지, 중앙집권제 강화), 상평창부활, 과전법 폐지(직전법 실시), 팔방통보 발행, 불교장려, 양잠장려, 호적사업, 호패법, 인지의 발명, 경국대전 착수, 활자(을해자, 을유자), 5위도총부 설립하고 진관체제를 확립하여 군사제도 정비

유향소는 수령을 보좌 감시하며, 6방을 감찰하고 농민을 교화, 통제

향청은 수령이 임명, 농민을 통제, 수탈

유향소와 향청을 혼용하여 씀

경저리는 중앙과 지방의 연락, 영저리는 지방과 지방의 연락

 

<조선의 중앙관제와 관품>

 

이조-문관의 인사와 공훈·고과·공문

호조-호구·조세, 어염·광산·조운

예조-과거·제사·인사·학교

병조-무관의 인사·국방·우역

형조-법률·소송·노비·형옥

공조-파발·토목·건축·개간

 

삼관~예문관, 교서관, 홍문관

사관~예문관, 교서관, 승문원, 성균관

경연청(왕 강의), 서연청(세자 강의), 상서원(옥쇄관리)

 

업무분담기구~속사, 업무 지휘감독~속아문

이조의 속사-문선사, 고훈사, 고공사

이조의 속아문-상서원, 종부시, 사옹원, 내시부, 내수사

 

삼법사~한성부, 형조, 사헌부(업무지역에 제한 없음)

 

지방행정조직중 4부는 개성, 강화, 수원, 광주 이들은 비변사에 참석가능

개성, 강화는 종2품이고 수원, 강화는 정2

 

향도는 신라시대에는 불교적 신앙단체였으나 고려 전기는 대규모, 고려 후기는 소규모 모임이고 조선 전기는 향촌공동체, 후기는 신분제적 강제성을 약화하는 경향이됨

대가제는 정 3품 당하관이상, 서경권의 대상은 정5품 당하관이상인자

6품부터 수령

 

<조선의 과거제도>

 

수공업자, 상인, 무당, 노비, 서얼을 제외하고 양인이상이면 응시가능

고려 시대보다 좁음

식년시(3), 증광시(나라에 큰 경사), 별시(나라에 특별한 행사), 알성시(왕이 성균관의 문묘를 참배한 후에 실시), 백년시(시골 유학생의 학업권장)

부정기 시험이 더 많아서 인플레가 일어남

문관시험~생진과(소과)-백패를 줌, 초시에는 생원시, 진사시에서 각각700명을 선발하고, 복시에서 각각 100명씩을 선발, 200명이 선발됨

문과(대과)-홍패를 줌, 초시(100), 복시(33), 전시에는 등급만을 나눔

무관시험은 장원이 없고, 소과 대과의 구분이 없음, 초시(200), 복시(28), 병조에서 관장, 무과합격자를 선달이라 함

잡과는 양반의 서자와 중인계급의 자제가 응시

문음(2품이상의 자제), 하급관리 선발시험에 취과, 서리선발 시험에 이과 등

현량과는 초야에 은둔하고 있는 인재를 추천에 의함

과거제 폐지~1894년 갑오경장에 폐지

 

행수제~관직겸직시의 칭호 (어떤 사람이 자기 보다 낮은 관직을 받았을때 행을 붙이고, 자기보다 높은 관직의 일을 얻게되면 수를 붙임)

한품서용~기술관·서얼은 정 3품까지, 토관·향리는 정5품까지, 서리·기타는 정7품까지만 승진할 수 있는 것

 

<법률의 정비>

 

고조선의 8조법금 중 3조목만 전함(사형, 상해, 절도, 간음(추측))

부여는 4대금법, 고조선과 사형과 절도만 공통됨, 감옥이 있음

고구려는 감옥이 없음, 부여와 공통점은 절도(일책십이법)

백제는 고이왕때 율령제정, 신라는 법흥왕때 율령정비

고려때 일상생활과 관계되는 것은 대개 관습법을 따름, 형벌은 태, , , , 사 가 있고 강상죄는 연좌제, 형법은 당률을 참조하여 71개 조항으로 만듦

법전~조선경국전(태조)경제육전(태조)속육전(태종)정전(세종)경국대전(성종)속대전(영조)대전통편(정조)육전조례(고종)대전회통(고종)

 

조선의 담당관청은 삼법사(한성부-토지·가옥에 대한 소송, 형조, 사헌부)

노비는 장예원에서 담당

형법은 경국대전의 형정과 명의 대명률에 따르고 민법은 관습과 주자가례에 따름

경국대전은 행정법이 중심

 

<조선시대 세법의 변천>

 

손실답험법(태종 1401)~관리가 직접, 답사하여 측정, 공정을 잃기 쉬움

공법(세종 1430)~수년간의 수확고를 평균하여 부과, 답험손실법과 병용

전분6등법(수등이척법 세종 1444)~연분9등법, 전분6등법을 함께 시행, 전제상정소

영정법(인조 1635)~양척동일법시행, 1결당 4두씩

 

과전법(태조 전·현직관리, 1대원칙, 계구수전(1/10))직전법(세조)관수관급제(성종)직전법폐지녹봉제

고려시대에는 조·세가 구별이 없었고 조선시대에 조·세가 나타남

조는 농민이 관리에게 주는 것이고 세는 관리가 국가에게 바치는 것

 

 

 

 

<대동법>

 

상공과 별공, 진상이 있었으나 상공만이 대동법으로 변함

대동법의 실시 목적은 대납과 방납의 비리, 전후의 재정궁핍, 공물의 납부와 수송의 불편, 개선필요, 경저리등 지방관리의 방납의 폐시정 필요, 국가 수요품과 공물의 불일치

현물의 수급단위는 호 단위 였으나 토지 단위로 바뀜

대동법의 가장 큰 의의는 호단위에서 토지 단위로 바뀌었다는 것임

 

조광조의 주장이이의 대공수미법광해군때 이원익의 건의에 따라 경기도에서 처음 시행인조 강원도 시행효종 김육건의로 충청도·전라도 시행숙종 허적건의로 전국적 실시, 잉류(함경도·평안도 제외)

국가수입증대, 무전농민의 부담감소, 공인으로 인한 폐해커짐, 현물징수 사라지지 않음

 

<조선시대 수공업과 광업의 발달>

 

15C 관영수공업은 부역제를 토대로 운영

16C 전후 장인들의 등록 기피와 정부의 재정 악화 및 사장의 대두

18C말 정부의 장인등록제 폐지, 심지의 관영 수공업장에도 사장 고용, 수공업자들은 장인세를 부담하는 납포장으로 자유 생산 활동

 

광산의 개발~ 국가운영사채허용설점수체, 사채금지수령수세제와 덕대제

 

<조선후기 상업과 무역활동>

 

국가가 경시서를 두어 시전상인을 감독하고 시전상인은 도중이라는 조합을 두어 사상들을 감독함, 도중이 금난전권을 가지고 있음

육의전(관허상인)~어물, 저포, 면포, 종이, 비단, 명주

대청무역에서 은은 수출품이나 대일 무역에서 은은 수입품

 

시전상인은 황국중앙총상회를 결성하여 독립협회와 함께 이권수호 운동을 함

 

어용상인~공인, 시전상인, 육의전, 보부상

사상~객주, 여각, 경강상인, 송상, 만상, 내상, 종루·이현·칠패 등에 근거지 마련하고 시전과 대립

 

<조선시대 과전법의 특징>

 

현직·구직(·산관)관리에게 지급, 사대부에 유리한 개혁, 농민보호정책

전호는 경작권을 매매·양도할 수 없었고, 노비와 승려는 수전대상에서 제외

공전~내수사전(왕실경비충당), 학전(성균관, 4부학당, 향교), 둔전(군대,관청의 경비), 공해전(중앙관청의 경비), 늠전(지방관서의 비용충당)

사전~과전, 공신전, 별사전(준공신에게 지급, 3대까지 세습, 경기 외에도 지급), 군전(부경시위 조건으로 지방의 한량에게 지급), 사원전

전시과는 전지와 시지(임야)지급, 전국대상, 과전의 국가 수조, 수주권적 지배가 소유권적 지배보다 강함, 5품 이상에 공음전, 외역전·군인전 지급 , 전조와 전세가 구별 안됨

과전법은 전지만 지급, 경기지방내에 지급이 원칙, 과전의 직접수조, 수조권적 지배가 현저히 약화, 공로자에 공신전과 별사전 지급, 외역전 폐지, 군전 지급, 국가의 전세 징수

 

전시과와 과전법의 공통점은 왕토사상으로 원칙적인 소유권은 국가에, 수조권의 귀속여부에 따라 공전과 사전 분급, 과전은 18등급에 따라 구분하여 지급, 현직·구직 관리에게 모두 지급하였으며 1대에 한하는 수조권 위임

조선초기 과전법의 지목중 경기 외 토지에도 지급된 것은 ~ 별사전

 

<중세의 토지제도>

 

고려는 조세의 구별이 없고 국가가 수조를 해서 관리에게 녹봉을 줌

조선은 조세의 구별이 있고 관리가 직접 수조, 조는 1/10, 세는 조*1/15

수조권에 기초한 것이 전주전객제 이것은 임진왜란때 폐지되고, 소유권에 기초한 병작반수제(지주전호제)가 생김

신라의 녹읍은 사림에 농민에 대한 지배력을 가장 강력하게 행사 할 수 있었다. 노동력 까지 가능

공전이란 경기도를 제외한 토지로서 국가가 직접 조를 받는 토지, 수조권이 국가에 귀속된 토지이며 대부분의 일반농민이 소유하고 있던 미전을 국가가 징세대상으로 파악한 개념이다 사전이란 경기도에 한한 토지로 수조권이 개인이나 관청에 속한 것이다.

농민의 사유지인 민전은 소유권상으로는 사전이지만 수조권상으로는 공전. 공전이라 칭함

 

<사림파의 계보와 붕당>

 

훈구파~중앙집권과 부국강병, 막대한 토지 소유, 왕도+패도주의, 민간신앙을 포용, 군사학, 기술학중시, 사장 중시, 격물치지, 경험적 학풍, 치인지학의 추구, 자주민족의식(단군신앙)

사림파~향촌의 건설과 교육, 향촌자치강조, 양약실시 주장, 중소지주층, 왕도정치 강조, 이단배격, 기술천시, 경학중시, 인간의 심성연구, 서변주의 관념적 학풍, 수기지학 추구, 중국중심의 화이사상

영남학파(동인)-주리파

기호학파(서인)-주기파

 

붕당정치란 성리학적 정치운영의 한 형태로 상호 비판체제의 사림정치이다

붕당의 장점~책임정치, 비판세력 공존(부패감소), 산림의 의견반영, 일당독주 견제

 

당쟁의 시작은 이조전랑직을 둘러싼 김효원(신세력), 심의겸(구세력)의 대립~이이의 조정책실패

당쟁의 격화

1차 복제문제(예송논쟁)~서인집권, 2차 복제문제(예송논쟁)~남인집권,

경신대출척~서인집권, 기사환국~남인집권, 갑술옥사~소론득세, 신임사화~소론집권,

이인좌의 난~노론집권

<<12경기갑신이-서남서남소소노>>

경신대출척이란 서인이 남인을 숙청한 사건이다.

붕당정치의 원칙이 깨어지고 일당전제로 흐른 계기가 된 것은 경신환국...

 

<4대사화 사림파 대 훈구파>

 

명칭

발생연대

원인

발단

가해자

무오사화

연산군4

훈구파대 사림파

조의제문·

사초문제

이국돈·유자광

갑자사화

연산군10

궁정세력 대 정부세력

윤씨패출사건

임사홍

기묘사화

중종14

조광조등 신진사람파 대 훈구파

위운삭제·

모반음모의 모략

남곤·심정

을사사화

명종원년

왕실외척인 대윤 대 소윤

왕위계승문제

윤원형

 

~~

~~

~~

~~

 

조광조의 개혁정치~현량과 실시(사림들을 무시험 추천에 의해 관리등용), 위훈삭탈, 균전론(토지소유 조정), 한전론, 불교·도교행사 금지(승과제도, 소격서 폐지), 공납제도 폐단 시정 주장, 유향소 철폐, 향약의 전국적 시행으로 향촌자치제 강화, 사마소 설치, 이조·병조의 전랑에게 인사권 처리와 낭천권(후임자 추천권)을 가제게 하였다. 언문청(한글보급)

 

<이황과 이이>

 

이황~ 주리파, 이기이원론, 예안향약, 백운동 서원, 도산서원, 상학십도, 주자서절요, 일본성리학에 영향, 유성룡·김성일·정구, 장수()와 졸병()동인

이이~ 주기파, 이기일원적이원론, 해주향약, 서원향약, 소현서원, 만언봉사, 10만양병설, 동호문답, 대동법주장, 성학집요, 경연일기, 격몽요결, 사창계약속(사창제도+향약), 정엽·김장생·성혼·조헌·송시열, 탕평일임자서인

 

성리철학의 공통점

이와 기에 있어서 이를 일차적으로 중시하는 주리적 이기론이라는것

우주자연의 질서와 인간사회의 질서를 통일적으로 설명하는 천인합일론

인간의 본성은 착하나 수양에 의해서만 달성된다는 것

모든 사물을 대립·투쟁으로 보지 않고 조화와 통일관계로 생각하는 것

 

절대적 관념(정신)

객관적 경험(현실)

만물생성의 근원

만물 구성요소

태양

태양의 에너지

보편성

차별성

불교 화엄종의 영향

도교의 영향

 

<사단칠정논쟁과 호락논쟁>

 

47정논쟁은 이황과 기대승간의 논쟁

이황은 4단은 리로 되어있고, 7정은 기로 이로어져 있다고 주장

 

호락논쟁은 노론내부에서 생긴것

인물성동론~서울노론(낙론), 리의 중요성 강조(주리론)

인물성이론~충청도노론(호론), 기의 중요성 강조(주기론)

 

사단칠정은 조선의 성리학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다.

이 논쟁을 계기로 성리학파가 형성되었다.

율곡이이는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에서 발한 것이라고 하였다.

사단과 칠정은 모두 마음의 작용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임진왜란(1592~1598) 당시의 의병의 항쟁>

 

의병의 조직~사림과 승려 cf> 한말의병장은 유생, 평민

의병의 전술은 유격전술

대표적 의병장

곽재우~의령(홍의장군, 최초의 의병장), 정인홍~합천, 조헌~옥천, 고경명~장흥, 김천일~나주, 홍언수·홍수남~수원, 정문부~경성에서 기병하여 길주 수복, 김덕령~담양, 김면~고령, 서산대사~묘향산, 사명당~금강산

 

임진왜란의 영향~훈련도감 설치(명나라 척계광의 기유신서에 영향받음), 속오군 창설 (양반·농민·노비 등으로 편성), 무기발명(거북선, 비격진천뢰, 화차), 4대사고 중 전주사고를 제외하고 손실, 불국사·경복궁 소실, 동의보감, 징비록, 난중일기, 납속법의 실시가 그 원인이 됨, 이몽학의 난 발생, 삼수미세 징수, 대동법 실시의 동기 제공, 대륙에서는 명이 멸망하고 청이 일어났다. 사대사상의 고조, 정부에 대한 불신

 

최초승리~옥포해전, 최초거북선~사천해전, 최대승리~한산도 대첩

정유재란(1597)~명량대첩, 이순신 최후~노량대첩

3대 대첩~한산, 진주, 행주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광해군의 실리적 중립외교서인의 인조반정(친명배금정책, 1623)이괄의 난(잔당의 조선정벌요구, 1624)정묘호란(형제관제, 1627)금의 강화, 청건국, 군신관계요구척화파의 거절병자호란(1636)

정묘호란은 금과 관계, 병자호란은 청과 관계

 

정묘호란의 결과 강홍립의 중재로 후금은 조선과 정묘조약을 맺고 철군

조선은 후금과 형제관계를 맺으며, 조공의 약속, 명과 후금에 대해 조선은 중립을 지키며, 중강개시와 회령개시를 열 것 등이다.

 

병자호란 척화파는 청을 응징하자고 강조, 이러한 주장은 성리학자들이 중시.

주화파는 청의 침략을 저지한 다음에 국력을 강화 시키자는 주장, 최명길등 양명학자들이 가담

북벌계획을 당당한 기구는 어영청이다. 어영청은 효종이 자신의 정권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도 유지했다.

 

<조선의 성립배경>

우왕의 즉위(1327);살해된공민왕의 아들-친원정책추진(이인임등권문세족 우왕옹립)/ 토지탈점재개-신돈의개혁부정/ 왜구의침략-극심함/ 왜구격퇴-최영,이성계등이 격회; 신흥무인세력성장/이인임일파 숙청(우왕14,1388)

이성계가 최영에게 협력/위화도회군-명의철령위설치 통보해옴, 이성계4불가론제시/ 신진사대부의 분화

(출제가능)

위화도 회군 이후, 고려의구제 유지하고자한 온건개혁파/ 신법으로개혁추진하고자한 급진개혁파

혁명파사대부; 정도전,조준(소수)->(유학)주례강조(주나라의법제도바꾸겠다) 역성혁명주장/형벌통한질서확립강조/

과거제,군공등주장/과전법통한전면적개혁주장/신흥무장세력/배불론(배척불교),불교비판/관학파(15세기);훈구파

 

vs

 

온건파사대부;정몽주,이색,길재(다수)->(유학)소학,가례(수신,제가강조) 고려왕조유지,점진.온건적/도덕강조를통한

사회질서확립강조/강조전면적전제개혁비판/음서,좌주문생제(과거)/권문세족가문/유불동도론,불교개선론,불교인정

/사림파(16세기)

폐가진입;우창비왕설로 창왕폐위/공양왕즉위/

이성계-군사권장악(삼군도총제부),급전도감설치,과전법제정/ 정몽주암살-이방원의사주를받은조영규에의해죽음

이성계의 국왕즉위 -도평의사사의 추대를 받는형식 감록국사 이성계 개경수창궁에서 즉위

 

태조

(1392

-1398)

조선국호제정(1939)단군조선에서 기자조선반영 / 한양천도(1394)/ 중앙집권관료체제확립/왕도정치구현/

모든현에 지방관파견/ 양인수증가/과전법통해 농민의경작권보장/ 과거제정비-신분보다능력존중/

양천제(모든백성 양인과 천민으로 구분) 실시-특권계급소멸; 신분에따른사회진출한계감소/성리학자리매김/

사농일치 교육제도/과학기술발달

 

*정도전 p266 사료

-저술; 조선경국전 ( 주례를인용한 최초사찬법전)/ 경제문감(재상중심중앙집권체제)/ 불씨잡변( 유교입장에서

불교비판 승유억불의 국가정책 계기)/ 심기리편(성리학의 우위성간결서술)/진법서

-의흥삼군부설지(1392,태조원년);병권일원화/ 재상중심체제확립(도평의사사에서결정-왕권약화)/

명에대하여 사대하였음. ‘권지고려국사칭호사용 (고려,조선때왕즉위시 중국에보고해 승인받은후 왕호사용할시

즉시 승인못받으면 이칭호사용)

-1차왕자의난(1398)이방원에의해 숙청됨.(재상중심불만의 이방원)

 

 

정종

(1399

-1400)

태조이성계의둘째아들

-2차왕자의난(방간의난1400); 4째아들방간이 5째아들인 동생 방원에게 도전- 실패; 이방원이더셈

이후 이방원 세제로 책봉됨.

관제개혁;의정부신설(재상권한축소위해 도평의사사혁파)/삼군부로 개칭(중추원을,군사관련사항만으로국한)/승정원

 

태종

(1400

-1418)

이방원즉위

;왕권강화를목적

사간원(중서문하성의 낭사가 독립); 최초간쟁기구 설치/ 6조직계제-왕권강화 목적/ 의금부-국왕직속사법기관설치/

불교사찰정리(전국242개제외하고)/호패법실시(전국가호파악하여 16세이상남자에게 발급;양반,노비모두,중앙-한성부, 지방-관찰사,수령이관할)/ 8도제확립(지방제도)/신문고 설치;백성위해(의금부주관)/서얼금고법;(서얼에게현직금함-성문화1415; 서얼은관직에 나갈 경우,잡직에 한정,한품서용규정)/ 자녀안(3번시집간여자 자녀안에기록)/

주자소/5부학당(서울을 동서중남북 5부로나누고 학교하나씩설치)---->세종때 4부학당됨/ 사섬서-저화(고려시대

때지폐)발행보급당담 ,(노비에게서)공납되는면포관리시킴.

 


조선 전기

 

. 조선사회의 성격

양반관료사회 - 귀족 중심의 중세사회에서 문무 양반 관료체제 성립.

과전법 체제 - 토지에 대한 사적 지배가 진전, 양인 자작농의 증가로 농민의 지위 상승.

특수 행정구역의 소멸 - 부곡의 소멸로 양인의 증가(천민의 양인화).

성리학의 정치이념화 - 억불숭유 정책과 성리학이 일반국민의 일상생활의 규범이 됨.

국민국가의 기반 마련 - 한글의 창제, 단군국조(檀君國祖)관념 등의 민족의식 고취, 우리 역사지리에 대한 관심 고조, 대외적으로 국경선의 확장에 따른 국경의식의 성장.

 

. 양반관료사회의 성립

1. 조선의 건국 배경 위화도 회군(정치적, 군사적 권력 장악)

사전개혁(경제적 권력 장악)

조선 건국의 주체세력 - 정도전조준 등의 강경파(역성혁명파)의 신흥사대부와 이성계 를 중심으로 하는 무인세력농민군사세력.

 

 

2. 조선의 중앙집권화 과정(왕권강화 과정)

태 조

태 종

세 종

세 조

성 종

* 기본 정책

- 농본억상 정책

- 억불숭유 정책

- 사대교린 정책

* 병제 - 의흥삼군부

* 억불책 - 도첩제 실시

* 관리임용제도 정비

-

음양이과문음 등 7과로 정비

 

* 왕권강화책

- 사병혁파, 6조직계제 실시, 사원정리

* 주민통제

- 호패법 실시

- 호적정리(3년마다)

* 양전사업(20년마다)

* 지방제도 개편

- 8도체제 확립

* 학문의 장려

- 집현전 설치

* 한글 창제

* 의정부 서사제

* 불교의 정리

- 선의 통합, 36개 로 정리.

* 음악정리

- 관습도감(박연)

* 활자개량(갑인자)

* 화폐발행(조선통보)

* 토지세제개혁

- 전분6, 연분9등법

* 과학기술의 발달

- 측우기, 대소간의,

자격루, 앙부일귀 등

- 칠정산 내(아라 비아의 영향)

* 서적편찬

- 농사직설, 의방유취,

효행록, 삼강행실도,

용비어천가 등.

* 영토확장사민정책

- 서북4, 동북6

* 삼포개항과 계해약조

* 계유정난으로 등극.

- 이징옥, 이시애의 난 진압

* 왕권강화책

- 집현전 폐지,

6조직계제 부활

* 군제개편

- 중앙군(5)

- 지방군(진관체제)

* 경국대전 편찬착수

- 형전 완성

* 직전법 실시

* 홍문관 설치

* 규형인지의 제작

 

* 중앙집권 완성

 

* 편찬 사업

- 동국통감

- 동국여지승람

- 삼국사절요

 

* 경국대전의 반포

 

* 도첩제의 폐지

- 승려의 출가 금지

 

* 관수관급제 실시

 

* 5가작통법제정

 

. 조선사회의 정치구조

 

1. 무 양반의 관등체계

(1). 조선 정치 체제의 특징 - 재상권과 합의제 발달, 광범위한 겸임제 발달(중요 관서의 책임자는 당상관 이상), 관계 안에 일정한 구분이 있음(당상관 정3품 이상, 참상관 종6품이상)

(2). 관등체계 - 18품계가 기본, 각품에 정9품이 있고, 6품이상은 상하로 구분이 되어 있어 총 30 등급.

2. 중앙 정치 기구

의정부

영의정(1)

백관과 서무를 총괄하는 최고 회의 기관

6

판 서(2)

공조 등 행정 실무관장

승정원

도승지(3)

왕명출납

의금부

판 사(1)

특별 사법기관

삼사

사헌부

대사헌(2)

감찰기관

사간원

대사간(3)

간쟁기관

홍문관

대제학(2)

학술기관

한성부

판 윤(2)

서울의 치안과 행정 담당

사 관

교서관

제 조(12)

서적편찬

성균관

지 사(2)

교육기관

예문관

대제학(2)

교서제정

승문원

도제조(1)

외교문서 작성

 

3. 지방제도

(1). 8도 체제(태종) - 전국을 8도로 나누고, 그 아래 부현을 설치

- 도에는 관찰사를 파견(방백) : 행정권과 병권 관할, 임기는 360, 상피제도 적용

- 군현의 수령(목민관) : 임기는 1800, 상피제도 적용

 

(2). 지방관의 임무 - 農桑盛戶口增學校興軍政修賦役均詞訟簡奸猾息 등이고 조세와 공물의 징수가 가장 중요.

 

(3). 지방 통제기구(효율적인 지방통치를 통한 중앙집권 목적)

향청 - 유향소의 후신

- 조직 : 지방의 양반층으로 구성(향안이 지방 양반의 등재명부)

- 대표자 : 좌수와 2명의 별감

- 역할 : 수령의 감시 및 보좌, 향리규찰, 풍속교정, 민정대표, 정령의 시달.

 

경재소 - 서울에 설치

- 구성 : 각 지방 출신의 중앙관리로 구성

- 역할 : 해당 지방의 제반사 주관, 서울과 지방간의 연락담당.

경저리 - 지방 향리를 서울에 상주시킴.

- 해당지방의 공부를 수납.

 

4. 조선사회의 군사제도

(1). 조선전기의 군역제도 - 1660세의 丁男은 원칙적으로 군역의 의무가 있음.

- 양인개병제, 농병일치제

- 保法의 제정(세조) : 양인은 정병이 되거나, 保人(봉족)이 되어 비용을 부담.

- 법제적으로 양반도 군역의 의무가 있음, 향리와 노비는 원칙적으로 군역의 의무 면제.

- 군역의 변질 - 15세기 말에는 대립제, 16세기에는 방군수포현상이 성행

군적수포제로 법제화하여 전기의 의무병제에서 납포군화 현상 발생.

 

(2). 전기의 중앙군(5) 구성 - 의흥위(서울중부방비), 용양위(서울동부경상도), 호분위(서울서부평안도),

충좌위(서울남부전라도), 충무위(서울북부함경도)

병종 - 전문적인 직업군인과 의무병(정병)으로 구성.

 

(3). 전기의 지방군(영진군) 진관체제의 성립(세조) - 각도에 병영과 수영을 설치

- 군사 중요지점에 진을 설치(주진 : 병사가 있는 곳, 거 진 등) : 거진을 중심으로 여러진을 진관으로 편성.

- 병사와 수사가 파견 : 원칙적으로 관찰사가 병사나 수 사를 겸임하였으나, 병영이나 수영이 2개 이상 설치 된지역에는 전임 병사나 수사 를 파견.

관찰사가 전임병사나 수사보다 권한이 큼.

 

(4). 전기의 특수군 - <잡색군> - 예비군적 성격

- 전직관료, 향리, 학생, 노비 등으로 구성(농민은 제외)

- 주로 내륙지방을 방비하기 위해 설치.

- 임진왜란 때 의병조직 하는 데 유리.

 

5. 조선사회의 교육과 과거제도

(1). 교육제도 유학교육 - 서당 : 양반자제의 초등교육 담당

- 향교 - 각 지방에 설치한 중등교육기관, 양반 뿐 아니라 양인의 입학도 허용

- 구조는 명륜당(강의실), 문묘, 양재(기숙사)와 기타건물로 구성(성균관과 동일).

- 4부학당 - 서울에 설치한 중등교육기관으로 향교와 달리 문묘가 없음.

- 성균관 - 국립대학으로 고등교육기관

- 15세 이상의 양반자제, 향교4학의 졸업자 또는 생원과 진사가 입학

- 구조 : 명륜당, 문묘, 양재, 존경각(도서관), 비천당(과거시험보는 곳)

기술교육 - 고려시대와 달리 모든 기술교육을 해당관청에서 담당.

의학

전의감

천문, 지리

관상감

역학

사역원

도교

소격서

산학

호조

회화

도화서

율학

형조

 

 

(2). 과거제도 문과 - 소과 : 생원과 진사 시험(급제자에게 백패지급)

- 대과 - 초시(100), 복시(33), 전시(순위만 결정) : 급제자에게 홍패 지급, 참상관(6)

- 응시자격 : 원칙적으로 양인이상이면 응시 가능(, 공업자 서얼 등은 제한)

- 시기 : 3년마다 보는 정기시험

무과 - 초시(200), 복시(28), 전시(순위만 결정) : 장원제도가 없음

잡과 - 기술관 등용시험, 전시가 없음

승과 - 중종 대에 폐지

(3). 문음제도 : 2품이상의 관리 자손은 과거시험을 보지 않고 관직을 수여(고려 : 5품이상)

(4). 기타 특별시험 - 증광시(특별한 경사), 알성시(왕의 문묘 참배시), 별시(국가적인 경사), 백일장(시골유생의 학업장려),

도시(무관선발), 취재(특정직의 기술관임용), 유일(추천에 의한 시험 : 조광조의 현량과)

 

. 조선사회의 경제사회구조

 

1. 조선전기의 신분구조

 

<조선 전기의 양천제> - 조선전기에는 양인과 천인으로 신분이 구분, 16세기 이후에 양반, 중인, 상민, 노비 로 구분됨.

양인 양반 - 무관리, 관리로서의 과전을 지급받고 사유지인 공신전별사전 등을 지급받음

- 양반도 원칙적으로 군역의 의무를 지나 현실적으로 불역.

중인 - 하위 지배층, 기술관서얼향리 등이 중인층을 형성.

상민 - 농민 - 원칙적으로 과거에 응시가능하고 조세, 공납, 역의 의무를 지는 계층

- 대부분의 농민들은 자영농민 이나 소작농의 지위에 있음.

- 상민 - 상인과 수공업자, 군역의 의무 대신 국역의 의무를 짐, 과거 응시가 제한됨.

천인 노비 - 최하위 계층, 매매상속증여의 대상, 원칙적으로 군역의 의무가 없음, 노비종모법에 따라 신분세습.

- 공노비 : 선상노비(직접 노동력 제공), 납공노비(일정한 신공만을 납부)

- 사노비 : 솔거노비(직접 노동력 제공),

외거노비(주인과 따로 거주, 경제적 독립 인정, 경제적 지위가 양인인 소작농 과 비슷한 계층)

기타 천인 - 노비를 제외한 기타 천인은 법제적으로는 신분이 양인임.

- 백정(피혁, 유기제조업), 광대, 무당, 창기 등

- 신양역천 : 조예, 나장, 일수, 조군, 수군, 봉수군, 역졸

 

2. 조선시대의 경제구조

(1). 기본 정책 - 농본 억상 정책에 따라 농업을 중시, 상업과 수공업은 통제(관영으로 운영), 대외 무역의 부진

 

(2). 토지제도

과전법 제도(공양왕,1391) - 직역에 따라 국가에서 과전 지급

- 수조권에 따라 공전과 사전으로 분류

- 과전은 세습되지 않는 것이 원칙, 그러나 수신전, 휼양전의 명목으로 세습됨.

- 과전법 하에서는 병작반수가 금지, 농민의 경작권 보장(농민의 지위향상)

- 과전의 지급은 경기내의 사전에 한함.

- 현직 18등급으로 차등지급, 수확량의 10분의 1로 전주에게 지급하 고 전주는 그 중에 15분의 1로 국가에 납부.

직전법(세조, 1466) - 현직자에게만 과전을 지급

관수관급제(성종, 1470) - 국가에서 조세를 직접 거두어 지급함, 조와 세의 구별이 없어짐.

직전제의 폐지(명종, 1556) - 관리에게 녹봉만을 지급, 양반의 병작반수제 성행, 농장 등의 사유지가 확대됨.

 

(3). 조선사회의 조세제도

전세제도 - 손실답험법 : 국초의 제도, 10분의 1

- 공 법 : 세종대에 전분6등법과 연등9등법에 의해 최고20두에서 최저4두를 납부(15분의 1)

- 영 정 법(1635) : 1결당 4두로 고정(자영농에 유리하고 병작농은 불리한 제도)

 

의 의무 - 군역 : 병농일치제양인개병제로 양인이상이면 원칙적으로 군역의 의무가 있음

- 요역

- 군역의 변질 : 15세기 말에는 대립제, 16세기에는 방군수포제, 군적수포제로 변질.(전기의 의무병제에서 2필의 군포를 납부하는 납포군화, 모병제의 성립)

 

공납의 의무 - 왕실과 관청의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현물로 징수하는 제도.

- 상공과 별공, 진상이 있음(상공보다 별공이나 진상이 농민에게 더 큰 부담)

 

(4). 조선전기의 상업과 수공업 수공업 - 조선 전기는 관영 수공업이 중심

- 관장 : 공장안에 등록되어 각 해당관청에 소속됨, 신분상으로는

대부분 공노비

- 사장 : 사영수공업자, 양반들의 주문품 생산과 농기구 등을 제작.

- 사원경제 : 제지양조업에 진출

- 가내수공업 : 주로 면포면직의 제작에 종사

상 업 - 농본억상 정책에 따라 국가의 통제를 받음, 어용적, 관허상인 중심 으로 운영.

- 시전상인(관허상인) : 금난전권을 갖고, 국가에 세를 부담하는 어 용상인(특히6의전).

- 보부상(관허상인) : 주로 지방 장시를 중심으로 활동

- 경시서 설치 : 시전을 감독, 도량형의 검사, 물가의 조절 등 상업통제

- 지방장시의 발생 : 15세기 말부터 발생, 16세기 이후에는 전국적으 로 확산, 조선정부는 장시의 성행을 통제함.

 



3. 조선사회의 사회제도

(1). 조선전기의 신분제도 - 천제

 

(2). 가족제도 - 가부장적 가족제도 : 유교적 질서에 의해 통제, 강상죄(불효죄)를 반역죄와 더불어 중되로 처리.

 

(3). 법률

법전의 편찬 - 세조대에 착수하여(호전과 형전완성) 성종대에 완성

조선시대 법전의 변천

태조

태종

세종

성종

영조

정조

고종(대원군)

* 조선경국전(정도전)

* 경제문감(정도전)

* 경제육전(조준)

* 원육전,속육전

* 정전6

* 육전등록

* 경국대전

* 속대전

* 대전통편

* 대전회통

 

법률 형법 - 가장 중요하게 취급, 주로 대명률에 의함, 반역죄와 강상죄가 중죄, 연좌법 적용

- 형벌은 태(곤장)(공장)(징역)(유배)(사형)

- 사법기관 : 3법사(사헌부, 형조, 한성부), 의금부(특별사법기관), 포도청(일반치안),

장예원(노비담당) .

민법 - 주로 관습에 의해 처리

지방관의 권한 - 수령(목민관)은 민사, 경범, 태형의 사법권이 있고, 관찰사는 모든 범죄를 다루었으나, 중죄와 사형은 중앙에 보고하고 처리

 

. 조선전기의 사상과 문화

 

1. 억불숭유 정책

(1). 관학파의 형성과 성격(조선전기의 사회성격)

형 성

* 고려말의 역성혁명파, 세조의 왕위찬탈에 동조한 세력 등 훈구파

성 격

* 중앙집권과 부국강병을 추구

* 15세기 문화를 주도한 세력 - 사장을 중시, 각종 편찬사업 실시, 관학중심

* 공리주의를 중시 - 격물치지적 학풍경험적 학풍

* 성리학 이외의 불교도교풍수지리설민간신앙도 포용

* 과학과 기술, 문화와 예술에도 관심을 보임

 

(2). 불교정책 - 태조 : 도첩제의 실시(승려의 수를 제한하는 조치)

- 성종 : 도첩제를 폐지하여 출가를 일체 금지함.

- 중종 : 승과제도를 폐지

* 세조 : 간경도감을 설치하고 불경을 언해, 원각사 중건

 

(3). 도교와 민간신앙 - 국가에서 도교행사 주관 : 소격서를 설치하고 도교행사를 주관(삼청동에 제단을 세우고 초제를 지내고 마니산 초제를 지냄)

- 민간신앙을 국가신앙으로 흡수 : 무당을 국가에서 채용, 평양에 단군사당 건립 등.

 

2. 훈민정음의 창제 - 목적 : 대민교화의 필요성에 의함(세종,1443에 제작되어 1446년에 반포)

- 한글서적 보급 : <월인천강지곡>, <용비어천가>, <석보상절>, <동국정운>, 불경언해, 농서, 병서

- 사용계층 : 부녀자나 피지배계층이 사용, 식자층은 여전히 한자를 사용.

 

3. 편찬사업의 전개

 

(1). 조선전기 편찬사업의 성격 - 유교정치에 따른 통치를 위한 실용적인 성격의 서적이 편찬됨.

 

(2). 역사서

실록의 편찬 - 내용 : 태조에서부터 철종대까지의 실록을 제작

- 보관 : 춘추관충주성주전주에 보관(이 중 임진왜란 시 전주사고본을 제외한 다른 사고본은 소실됨.)

- 편찬기관 : 춘추관 내에 임시로 실록청을 설치하고 왕의 사후에 편찬

- 참고자료 : 사초, 의정부 등록, 비변사 등록, 일성록, 승정원 일기, 시정기 등을 참고로 실록 편찬.

- 국조보감 : 실록내용을 압축하여 경연 참고서로 편찬

- 개수실록 : 선조, 현종, 경종의 개수실록이 편찬(당쟁과 관련되어 왜곡된 부분을 바로잡기 위해)

 

편찬자

시대(서술체제)

내 용

고려국사

정도전

여말태조(편년체)

이제현의 고려국사 계승, 성리학적 사관

동국사략

권근, 하륜

태 종(편년체)

단군조선에서 신라 말까지의 역사, 신라중심서술

고 려 사

김종서,정인지

세종문종(기전체)

자주적 입장에서 서술

고려사절요

김종서

문 종(편년체)

자주적 입장에서 서술

동국통감

서거정

성 종(편년체)

최초의 통사, 단군조선을 민족사의 시조로 정립

삼국사절요

서거정

성 종(편년체)

삼국시대의 역사를 자주적으로 정리.

(3). 지리서, 지도

서 적 명

편찬자

시대

내용

지 도

혼일강리도

이 회

태종

* 현존하는 동양최고(最古)의 세계지도

- 중국중심적 사관 반영

팔도도

정척, 양성지

세종세조

* 인지의를 이용한 최초의 실측지도

- 북방에(압록강) 대한 관심을 반영.

지리지

팔도지리지

윤회, 신색

세종

* 최초의 인문지리서(경상도지리가 현존)

세종실록지리지

정인지, 노사신

단종

* 동국여지승람의 모범

- 히 단군신화가 수록

동국여지승람

강희맹

성종

* 조선전기 인문지리서의 완성본

신증동국여지승람

이 행

중종

* 현재 전하는 인문지리서.

 

(4). 윤리서 - 삼강행실도(설순)

- 국조오례의(신숙주) : 국가적 의례에 관한 정리서 ( 제례 등의 서민의 예는 주자가례에 의함)

- 효행록(설순)

 

4. 과학의 발달

 

(1). 발달 배경 - 조선전기의 관학파의 성격과 관련됨.

- 조선전기는 부국강병과 중앙집권을 추구, 공리주의, 격물치지적 학풍으로 과학, 기술도 중시함.

- 따라서 조선전기는 농법천문의학인쇄술무기의 발달이 현저함.

16세기의 사회성격과 구분되는 점(, 이해필요)

 

(2). 농법의 발달 - 시비법 발달, 연작상경법, 부 일부지방에 이앙법 보급, 수리시설의 신축보수, 新田의 개발 등.

- <농사직설> : 세종대에 정초가 저술, 촌로들의 의견을 들어 우리 현실에 맞는 농법보급 목적,

이앙법을 소개(이앙법의 보급을 경계함)

- <금양잡록> : 성종대에 강희맹, 지방에서 직접 경험한 농법기록

 

(3). 천문기상학의 발달(서운관 후에 관상감) - 천체관측 : 혼천의, 간의(세종)

- 시간관측 : 앙부일귀(해시계), 자격루(물시계)

- 우량관측 : 측우기

- 토지측량 : 인지의, 규형(세조)

 

(4). 의학의 발달 - <향약집성방>, <의방유취>

 

(5). 인쇄술의 발달 - 태종대의 계미자, 세종대의 갑인자 등

 

(6). 무기의 발달 - 화포의 제작, 화차제작, 비격진천뢰 제작, 태종대에 거북선 제작

- <진도> : 태조대에 정도전이 저술, 전술과 부대편성방법에 관한 내용 수록

- <병장도설> : 세종대에 집현전, 군사훈련 교본, 화포제작과 방법 수록

- <동국병감> : 문종, 고려말까지의 전쟁사를 정리.

 

5. 문학과 음악

 

(1). 문학의 발달 - 한문학 : 조선시대 문학의 주류, 특히 관학파는 경학보다 사장을 중시, 양반들의 필수 교양.

서거정의 <동문선>, 서거정의 <필원잡기>, 성현의 <용재총화>, 김시습의 <금오신화>

- 국문학 : 훈민정음의 창제로 발전.

악장의 발달(용비어천가), 가사의 발달(정극인의 상춘곡, 정철), 단형시조의 발전.

 

(2). 음악의 발달 - 아악의 정리 : 세종대에 설치된 관습도감, 박연

- 성종대에 <악학궤범> 편찬

- 민간음악 과 특수 음악 : 농악, 가곡, 범패 등

 

6. 예술의 발달

 

(1). 서예의 발달 - 양반들의 필수 교양으로 발전.

- 조선전기의 4대가 : 안평대군(조맹부체), 김구(인수체), 한호(한석봉), 양사언(초서에 능함)

 

(2). 회화 - 15세기 회화의 특징 : 그림은 장인들이 하는 일이라 기피, 양반 중에는 취미 삼아 그림을 그림(강희안)

문인화(강의안), 산수화초상화 발달(장인들이 그림), 관념적 산수화 유행.

전기의 그림은 중국의 화풍을 모방, 예술성보다는 기계적인 모사에 치중.

- 주요 화가 - 안견(장인, 도화서 소속) : <몽유도원도>, <적벽도>

- 강희안 : <고사관수도>, <산수인물도>

- 최경(장인) : 산수화 인물화의 대가, <채희귀한도>

- 이상좌(노비출신 장인) : <송하보월도>, <관음도>, <월광보살도>

- 일본 무로마치 시대의 미술에 영향을 미침.

 

(3). 공예 - 특색 : 생활필수품이나 사대부의 문방구 등과 관련하여 특색있는 발달, 실용적서민적 성격

- 자기의 발달 : 분청사기와 백자의 발달.

 

(4). 건축 - 특색 : 고려시대에는 사원건축 중심, 조선시대에는 도시의 궁궐, 성곽성문학교 건축이 발달.

- 조선전기의 건축물 : 해인사 경판고, 창덕궁 돈화문(현존 서울시내 최고 목조건축물), 경복궁창덕 궁창경궁과 남대문 등 4대문, 신륵사 조사당, 원각사 10층석탑(고려 경천사 탑의 영향) .

 

 

. 조선전기의 대외관계

 

1. VS. 명관계

 

(1). 기본정책 - 친명 사대외교 : 단 건국 초에 정도전에 의해서 정명계획이 세워지기 함.

 

(2). 사신의 파견 - 1년에 정기적으로 3차례 파견이 원칙, 나중에 동지사가 추가됨, 그 외에 비정기사 파견

- 하정사(賀正使) 또는 정조사(연초에 파견), 성절사(명 황제의 생일), 천추사(황태자 생일),

동지사(연말)

 

(3). 대명무역 - 수출품 : 마필인삼화문석 등

- 수입품 : 견직물서적약재문방구도자기 등

 

2. VS. 여진관계

 

. 和戰 양면 정책 - 강경책 - 국방상의 국경선 확보와 농지 확보를 목적으로 북방지방 개척, 북방개척을 위해 조선 초에 사민정책을 실시.

- 두만강 유역 확보 : 세종, 김종서, 동북6 설치(경성, 경원, 종성, 온성, 회령, 부령)

- 압록강 유역 확보 : 세종, 최윤덕이천, 서북4 설치(여연, 우예, 자성, 무창)

- 회유책 : 여진족의 귀순 장려, 관직토지주택 등 제공, 무역소 설치(경원, 경성),

북평관(사신숙소)설치

 

3. VS. 왜관계

 

. 和戰 양면 정책 - 강경책 : 세종대에 이종무가 쓰시마섬 토벌.

- 회유책 - 귀화장려, 동평관(사신숙소) 설치,

- 제한된 조공무역 허용(삼포개항 : 부산포, 제포, 염포), 도서(조선측의 무역허 가증)문인(대마도주가 발행)을 표시하고 교역을 허용.

- 계해약조(세종:1443) : 세견선 50, 세사미두 200, 3포에 거류할 왜인의 수를 제한.

- 신숙주의 <해동제국기> : 일본의 사정을 쓴 일본여행기.

- 무역품 : 수출(, 무명, 삼베, 서적, 공예품), 수입(구리, , 향료, 약재)

 

4. 기타 동남아시아 - 조선 초기에 사이암(태국), 자바 등 동남아시아 각국과도 교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