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왕 | 정치 | 경제/사회 | 문화 |
인조 (1623~1649) | 1. 이괄의난(1624) 2. 정묘호란(1627)-정봉수(의병) → 강화도로 피신 → 정봉수의 용골산성전투 3. 병자호란(1636) → 남한산성으로 피신 → 청과 군신관계 수립 4. 총융청, 수어청 설치 5. 서인집권, 남인참여 (당파연립, 비판적 공존체제) | 1. 조선통보를 새로 주조하여 개경에서 통용 2. 영정법실시 3. 중강, 회령, 경원 개시 | 1. 벨테브레이 표류(박연) |
효종 (1649~1659) | 1. 북벌운동 (충청지역산림중용) 2. 서인집권, 남인참여 3. 나선정벌(흑룡강) 4. 어영청확대(2만명) | 1. 대동법확대(충청, 전라) 2. 설점수세제(호조별장제) 3. 조선통보를 널리 유통 | 1. 시헌력채용(김육의주장) → 시헌력 : 서양인 선교사 아담 샬이 만든 역법 2. 하멜의 표류(하멜표류기) |
현종 (1659~1674) | 1. 기해예송(서인우세) 2. 갑인예송(남인우세) 3. 서인집권, 남인참여 |
|
|
숙종 (1674~1720) | 1. 2차 북벌론(윤휴 제기) → 청의 정세변화 이용 2. 경신환국(1680) → 남인제거, 서인집권 → 서인분열(노론, 소론) 3. 기사환국(1689) → 서인제거, 남인집권 4. 갑술환국(1694) → 남인제거, 서인집권 5. 무고의옥(1701) → 희빈장씨 사사 6. 일당전제화대두 → 왕권 불안정, 정치불안 7. 백두산정계비건립 8. 안용복의 활동 (독도, 울릉도 귀속문제확인) 9. 금위영 설치(궁궐수비) 10. 탕평론 제기(인사관리) | 1. 상평통보 상용화 2. 장길산의 활동 (황해도 구월산) 3. 대동법 전국실시 | 1. 윤휴와 박세당(사문난적) → 윤휴 : 유교경전에 대한 독자적해석시도 (원시 6경 중시) → 박세당 : 양명학과 노장사상의 영향으로 주자의 학설 비판 (사변록 저술) |
경종 (1720~1724) | 1. 신임사화(1721~1722) → 노론 약화, 소론 정국주도 |
|
|
영조 (1724~1776) | 1. 이인좌의 난(1728) 2. 완론탕평(탕평파 육성) 3. 군영정비(수성윤음 반포) 4. 산림을 정치권에서 배제 5. 서원 200여개 소 정리 6. 이조 전랑의 권한 축소 (자청권, 3사 선발권 혁파) 7. 청계천 준설사업 실시 | 1. 사법제도 개혁 → 무원록(형벌제도 개선) → 사형수 3심제 적용 2. 균역법실시 3. 노비종모법 법제화 (양인 증가책의 일환) 4. 신문고 제도 부활 5. 격쟁, 상언제도 활성화 | 1. 속대전 편찬(법전) 2. 동국문헌비고 편찬 (한국학 백과사전) 3. 속오례의 편찬 4. 성균관에 탕평비 건립 5. 이중환-택리지 편찬 |
정조 (1776~1800) | 1. 준론탕평(적극적 탕평) 2. 장용영설치 3. 규장각설치 4. 시파(남인, 소론계열)정국 주도 5. 초계문신제도 6. 수령의 권한강화(향약주관) 7. 화성능행 → 백성과의 소통 8. 자청권 완전 혁파 | 1. 신해통공(금난전권혁파) → 육의전은 제외 2. 신해박해(윤지충처형) → 천주교 전례문제 3. 장인등록제폐지 → 민간수공업 발달 → 공장안 폐지 4. 상언, 격쟁 활발 5. 이덕무, 박제가, 서이수, 유득공이 규장각 검서관으로 등용되었음 (서얼출신) 6. 서얼, 노비차별 완화 7. 제언절목 반포 | 1. 수원 화성(거중기) → 대유둔전, 만석거, 만년제 2. 대전통편(법전) 3. 탁지지(호조기능 정리) 4. 무예도보통치(병법서) 5. 동문휘고(외교문서 정리) 6. 추관지(형사법, 재판제도 정리) 7. 일성록(세계기록문화유산) 8. 정약용(한강주교설계, 거중기) 9. 만천명월주인옹(초월적군주) 10. 문체반정(박지원-패관소품체 비판) 11. 고금도서집성 5,000권 수입(청) |
순조 (1800~1834) | 1. 노론 벽파 정국주도 (정순왕후 김씨) → 훈련도감 정상화 → 장용영 혁파 2. 안동김씨세도(김조순) 3. 홍경래의 난(1811) → 청천강 이북 | 1. 신유박해(1801) → 천주교 신자 대탄압 2. 중앙 관서 공노비 66,000명 해방(1801) 3. 쌀 폭동(1833) → 경강상인+싸전 |
|
헌종 (1834~1849) | 1. 풍양조씨세도(조만형) | 1. 기해박해 2. 병오박해(김대건 순교) |
|
철종 (1849~1863) | 1. 안동김씨세도(김좌근) 2. 임술농민봉기(1862) → 단성, 진주 민란이 계기 → 함흥~제주까지 전국적 민란 → 삼정이정청 설치 | 1. 중인층의 소청운동(실패) 2. 신해허통(1851) → 서얼의 청요직 허통 3. 동학창시(최제우, 1860) | 1. 대동여지도(김정호, 186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