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전기
Ⅰ. 조선사회의 성격
◉ 양반관료사회 - 귀족 중심의 중세사회에서 문․무 양반 관료체제 성립.
◉ 과전법 체제 - 토지에 대한 사적 지배가 진전, 양인 자작농의 증가로 농민의 지위 상승.
◉ 특수 행정구역의 소멸 - 향․소․부곡의 소멸로 양인의 증가(천민의 양인화).
◉ 성리학의 정치이념화 - 억불숭유 정책과 성리학이 일반국민의 일상생활의 규범이 됨.
◉ 국민국가의 기반 마련 - 한글의 창제, 단군국조(檀君國祖)관념 등의 민족의식 고취, 우리 역사․지리에 대한 관심 고조, 대외적으로 국경선의 확장에 따른 국경의식의 성장.
Ⅱ. 양반관료사회의 성립
1. 조선의 건국 배경 → 위화도 회군(정치적, 군사적 권력 장악)
→ 사전개혁(경제적 권력 장악)
→ 조선 건국의 주체세력 - 정도전․조준 등의 강경파(역성혁명파)의 신흥사대부와 이성계 를 중심으로 하는 무인세력과 농민군사세력.
2. 조선의 중앙집권화 과정(왕권강화 과정)
태 조 | 태 종 | 세 종 | 세 조 | 성 종 |
* 기본 정책 - 농본억상 정책 - 억불숭유 정책 - 사대교린 정책 * 병제 - 의흥삼군부 * 억불책 - 도첩제 실시 * 관리임용제도 정비 - 문․무․의․역․ 음양․이과․문음 등 7과로 정비 | * 왕권강화책 - 사병혁파, 6조직계제 실시, 사원정리 * 주민통제 - 호패법 실시 - 호적정리(3년마다) * 양전사업(20년마다) * 지방제도 개편 - 8도체제 확립 | * 학문의 장려 - 집현전 설치 * 한글 창제 * 의정부 서사제 * 불교의 정리 - 교․선의 통합, 36개 로 정리. * 음악정리 - 관습도감(박연) * 활자개량(갑인자) * 화폐발행(조선통보) * 토지․세제개혁 - 전분6등, 연분9등법 * 과학기술의 발달 - 측우기, 대소간의, 자격루, 앙부일귀 등 - 칠정산 내․외(아라 비아의 영향)편 * 서적편찬 - 농사직설, 의방유취, 효행록, 삼강행실도, 용비어천가 등. * 영토확장․사민정책 - 서북4군, 동북6진 * 삼포개항과 계해약조 | * 계유정난으로 등극. - 이징옥, 이시애의 난 진압 * 왕권강화책 - 집현전 폐지, 6조직계제 부활 * 군제개편 - 중앙군(5위) - 지방군(진관체제) * 경국대전 편찬착수 - 호․형전 완성 * 직전법 실시 * 홍문관 설치 * 규형․인지의 제작 | * 중앙집권 완성 * 편찬 사업 - 동국통감 - 동국여지승람 - 삼국사절요 * 경국대전의 반포 * 도첩제의 폐지 - 승려의 출가 금지 * 관수관급제 실시 * 5가작통법제정 |
Ⅲ. 조선사회의 정치구조
1. 문․무 양반의 관등체계
(1). 조선 정치 체제의 특징 - 재상권과 합의제 발달, 광범위한 겸임제 발달(중요 관서의 책임자는 당상관 이상), 관계 안에 일정한 구분이 있음(당상관 정3품 이상, 참상관 종6품이상)
(2). 관등체계 - 문․무 18품계가 기본, 각품에 정․종 9품이 있고, 6품이상은 상․하로 구분이 되어 있어 총 30 등급.
2. 중앙 정치 기구
의정부 | 영의정(정1품) | 백관과 서무를 총괄하는 최고 회의 기관 |
6 조 | 판 서(정2품) | 이․호․예․병․형․공조 등 행정 실무관장 |
승정원 | 도승지(정3품) | 왕명출납 |
의금부 | 판 사(종1품) | 특별 사법기관 |
삼사 | 사헌부 | 대사헌(종2품) | 감찰기관 |
사간원 | 대사간(정3품) | 간쟁기관 |
홍문관 | 대제학(정2품) | 학술기관 |
한성부 | 판 윤(정2품) | 서울의 치안과 행정 담당 |
사 관 | 교서관 | 제 조(종1~2품) | 서적편찬 |
성균관 | 지 사(정2품) | 교육기관 |
예문관 | 대제학(정2품) | 교서제정 |
승문원 | 도제조(정1품) | 외교문서 작성 |
3. 지방제도
(1). 8도 체제(태종) - 전국을 8도로 나누고, 그 아래 부․목․군․현을 설치
- 도에는 관찰사를 파견(방백) : 행정권과 병권 관할, 임기는 360일, 상피제도 적용
- 군현의 수령(목민관) : 임기는 1800일, 상피제도 적용
(2). 지방관의 임무 - 農桑盛․戶口增․學校興․軍政修․賦役均․詞訟簡․奸猾息 등이고 조세와 공물의 징수가 가장 중요.
(3). 지방 통제기구(효율적인 지방통치를 통한 중앙집권 목적)
◉ 향청 - 유향소의 후신
- 조직 : 지방의 양반층으로 구성(향안이 지방 양반의 등재명부)
- 대표자 : 좌수와 2명의 별감
- 역할 : 수령의 감시 및 보좌, 향리규찰, 풍속교정, 민정대표, 정령의 시달.
◉ 경재소 - 서울에 설치
- 구성 : 각 지방 출신의 중앙관리로 구성
- 역할 : 해당 지방의 제반사 주관, 서울과 지방간의 연락담당.
◉ 경저리 - 지방 향리를 서울에 상주시킴.
- 해당지방의 공부를 수납.
4. 조선사회의 군사제도
(1). 조선전기의 군역제도 - 16세~60세의 丁男은 원칙적으로 군역의 의무가 있음.
- 양인개병제, 농병일치제
- 保法의 제정(세조) : 양인은 정병이 되거나, 保人(봉족)이 되어 비용을 부담.
- 법제적으로 양반도 군역의 의무가 있음, 향리와 노비는 원칙적으로 군역의 의무 면제.
- 군역의 변질 - 15세기 말에는 대립제, 16세기에는 방군수포현상이 성행
군적수포제로 법제화하여 전기의 의무병제에서 납포군화 현상 발생.
(2). 전기의 중앙군(5위) → 구성 - 의흥위(서울중부방비), 용양위(서울동부․경상도), 호분위(서울서부․평안도),
충좌위(서울남부․전라도), 충무위(서울북부․함경도)
→ 병종 - 전문적인 직업군인과 의무병(정병)으로 구성.
(3). 전기의 지방군(영진군) → 진관체제의 성립(세조) - 각도에 병영과 수영을 설치
- 군사 중요지점에 진을 설치(주진 : 병사가 있는 곳, 거 진 등) : 거진을 중심으로 여러진을 진관으로 편성.
- 병사와 수사가 파견 : 원칙적으로 관찰사가 병사나 수 사를 겸임하였으나, 병영이나 수영이 2개 이상 설치 된지역에는 전임 병사나 수사 를 파견함.
관찰사가 전임병사나 수사보다 권한이 큼.
(4). 전기의 특수군 - <잡색군> - 예비군적 성격
- 전직관료, 향리, 학생, 노비 등으로 구성(농민은 제외)
- 주로 내륙지방을 방비하기 위해 설치.
- 임진왜란 때 의병조직 하는 데 유리.
5. 조선사회의 교육과 과거제도
(1). 교육제도 → 유학교육 - 서당 : 양반자제의 초등교육 담당
- 향교 - 각 지방에 설치한 중등교육기관, 양반 뿐 아니라 양인의 입학도 허용
- 구조는 명륜당(강의실), 문묘, 양재(기숙사)와 기타건물로 구성(성균관과 동일).
- 4부학당 - 서울에 설치한 중등교육기관으로 향교와 달리 문묘가 없음.
- 성균관 - 국립대학으로 고등교육기관
- 15세 이상의 양반자제, 향교․4학의 졸업자 또는 생원과 진사가 입학
- 구조 : 명륜당, 문묘, 양재, 존경각(도서관), 비천당(과거시험보는 곳)
→ 기술교육 - 고려시대와 달리 모든 기술교육을 해당관청에서 담당.
의학 | 전의감 | 천문, 지리 | 관상감 |
역학 | 사역원 | 도교 | 소격서 |
산학 | 호조 | 회화 | 도화서 |
율학 | 형조 | | |
(2). 과거제도 → 문과 - 소과 : 생원과 진사 시험(급제자에게 백패지급)
- 대과 - 초시(100명), 복시(33명), 전시(순위만 결정) : 급제자에게 홍패 지급, 참상관(종6품)
- 응시자격 : 원칙적으로 양인이상이면 응시 가능(단, 상․공업자 서얼 등은 제한)
- 시기 : 3년마다 보는 정기시험
→ 무과 - 초시(200명), 복시(28), 전시(순위만 결정) : 장원제도가 없음
→ 잡과 - 기술관 등용시험, 전시가 없음
→ 승과 - 중종 대에 폐지
(3). 문음제도 : 2품이상의 관리 자손은 과거시험을 보지 않고 관직을 수여(고려 : 5품이상)
(4). 기타 특별시험 - 증광시(특별한 경사), 알성시(왕의 문묘 참배시), 별시(국가적인 경사), 백일장(시골유생의 학업장려),
도시(무관선발), 취재(특정직의 기술관임용), 유일(추천에 의한 시험 : 조광조의 현량과)
Ⅳ. 조선사회의 경제․사회구조
1. 조선전기의 신분구조
<조선 전기의 양․천제> - 조선전기에는 양인과 천인으로 신분이 구분, 16세기 이후에 양반, 중인, 상민, 노비 로 구분됨.
◉ 양인 → 양반 - 문․무관리, 관리로서의 과전을 지급받고 사유지인 공신전․별사전 등을 지급받음
- 양반도 원칙적으로 군역의 의무를 지나 현실적으로 불역.
→ 중인 - 하위 지배층, 기술관․서얼․향리 등이 중인층을 형성.
→ 상민 - 농민 - 원칙적으로 과거에 응시가능하고 조세, 공납, 역의 의무를 지는 계층
- 대부분의 농민들은 자영농민 이나 소작농의 지위에 있음.
- 상민 - 상인과 수공업자, 군역의 의무 대신 국역의 의무를 짐, 과거 응시가 제한됨.
◉ 천인 → 노비 - 최하위 계층, 매매․상속․증여의 대상, 원칙적으로 군역의 의무가 없음, 노비종모법에 따라 신분세습.
- 공노비 : 선상노비(직접 노동력 제공), 납공노비(일정한 신공만을 납부)
- 사노비 : 솔거노비(직접 노동력 제공),
외거노비(주인과 따로 거주, 경제적 독립 인정, 경제적 지위가 양인인 소작농 과 비슷한 계층)
→ 기타 천인 - 노비를 제외한 기타 천인은 법제적으로는 신분이 양인임.
- 백정(피혁, 유기제조업), 광대, 무당, 창기 등
- 신양역천 : 조예, 나장, 일수, 조군, 수군, 봉수군, 역졸
2. 조선시대의 경제구조
(1). 기본 정책 - 농본 억상 정책에 따라 농업을 중시, 상업과 수공업은 통제(관영으로 운영), 대외 무역의 부진
(2). 토지제도
◉ 과전법 제도(공양왕,1391) - 직역에 따라 국가에서 과전 지급
- 수조권에 따라 공전과 사전으로 분류
- 과전은 세습되지 않는 것이 원칙, 그러나 수신전, 휼양전의 명목으로 세습됨.
- 과전법 하에서는 병작반수가 금지, 농민의 경작권 보장(농민의 지위향상)
- 과전의 지급은 경기내의 사전에 한함.
- 전․현직 18등급으로 차등지급, 수확량의 10분의 1을 租로 전주에게 지급하 고 전주는 그 중에 15분의 1을 稅로 국가에 납부.
◉ 직전법(세조, 1466) - 현직자에게만 과전을 지급
◉ 관수관급제(성종, 1470) - 국가에서 조세를 직접 거두어 지급함, 조와 세의 구별이 없어짐.
◉ 직전제의 폐지(명종, 1556) - 관리에게 녹봉만을 지급, 양반의 병작반수제 성행, 농장 등의 사유지가 확대됨.
(3). 조선사회의 조세제도
◉ 전세제도 - 손실답험법 : 국초의 제도, 10분의 1세
- 공 법 : 세종대에 전분6등법과 연등9등법에 의해 최고20두에서 최저4두를 납부(15분의 1세)
- 영 정 법(1635) : 1결당 4두로 고정(자영농에 유리하고 병작농은 불리한 제도)
◉ 역의 의무 - 군역 : 병농일치제․양인개병제로 양인이상이면 원칙적으로 군역의 의무가 있음
- 요역
- 군역의 변질 : 15세기 말에는 대립제, 16세기에는 방군수포제, 군적수포제로 변질.(전기의 의무병제에서 2필의 군포를 납부하는 납포군화, 모병제의 성립)
◉ 공납의 의무 - 왕실과 관청의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현물로 징수하는 제도.
- 상공과 별공, 진상이 있음(상공보다 별공이나 진상이 농민에게 더 큰 부담)
(4). 조선전기의 상업과 수공업 → 수공업 - 조선 전기는 관영 수공업이 중심
- 관장 : 공장안에 등록되어 각 해당관청에 소속됨, 신분상으로는
대부분 공노비
- 사장 : 사영수공업자, 양반들의 주문품 생산과 농기구 등을 제작.
- 사원경제 : 제지․양조업에 진출
- 가내수공업 : 주로 면포․면직의 제작에 종사
→ 상 업 - 농본억상 정책에 따라 국가의 통제를 받음, 어용적, 관허상인 중심 으로 운영.
- 시전상인(관허상인) : 금난전권을 갖고, 국가에 세를 부담하는 어 용상인(특히6의전).
- 보부상(관허상인) : 주로 지방 장시를 중심으로 활동
- 경시서 설치 : 시전을 감독, 도량형의 검사, 물가의 조절 등 상업통제
- 지방장시의 발생 : 15세기 말부터 발생, 16세기 이후에는 전국적으 로 확산, 조선정부는 장시의 성행을 통제함.
3. 조선사회의 사회제도
(1). 조선전기의 신분제도 - 양․천제
(2). 가족제도 - 가부장적 가족제도 : 유교적 질서에 의해 통제, 강상죄(불효죄)를 반역죄와 더불어 중되로 처리.
(3). 법률
◉ 법전의 편찬 - 세조대에 착수하여(호전과 형전완성) 성종대에 완성
◉ 조선시대 법전의 변천
태조 | 태종 | 세종 | 성종 | 영조 | 정조 | 고종(대원군) |
* 조선경국전(정도전) * 경제문감(정도전) * 경제육전(조준) | * 원육전,속육전 | * 정전6권 * 육전등록 | * 경국대전 | * 속대전 | * 대전통편 | * 대전회통 |
◉ 법률 → 형법 - 가장 중요하게 취급, 주로 대명률에 의함, 반역죄와 강상죄가 중죄, 연좌법 적용
- 형벌은 태(곤장)․장(공장)․도(징역)․유(유배)․사(사형)
- 사법기관 : 3법사(사헌부, 형조, 한성부), 의금부(특별사법기관), 포도청(일반치안),
장예원(노비담당) 등.
→ 민법 - 주로 관습에 의해 처리
◉ 지방관의 권한 - 수령(목민관)은 민사, 경범, 태형의 사법권이 있고, 관찰사는 모든 범죄를 다루었으나, 중죄와 사형은 중앙에 보고하고 처리
Ⅴ. 조선전기의 사상과 문화
1. 억불숭유 정책
(1). 관학파의 형성과 성격(조선전기의 사회성격)
형 성 | * 고려말의 역성혁명파, 세조의 왕위찬탈에 동조한 세력 등 훈구파 |
성 격 | * 중앙집권과 부국강병을 추구 * 15세기 문화를 주도한 세력 - 사장을 중시, 각종 편찬사업 실시, 관학중심 * 공리주의를 중시 - 격물치지적 학풍․경험적 학풍 * 성리학 이외의 불교․도교․풍수지리설․민간신앙도 포용 * 과학과 기술, 문화와 예술에도 관심을 보임 |
(2). 불교정책 - 태조 : 도첩제의 실시(승려의 수를 제한하는 조치)
- 성종 : 도첩제를 폐지하여 출가를 일체 금지함.
- 중종 : 승과제도를 폐지
* 세조 : 간경도감을 설치하고 불경을 언해, 원각사 중건
(3). 도교와 민간신앙 - 국가에서 도교행사 주관 : 소격서를 설치하고 도교행사를 주관(삼청동에 제단을 세우고 초제를 지내고 마니산 초제를 지냄)
- 민간신앙을 국가신앙으로 흡수 : 무당을 국가에서 채용, 평양에 단군사당 건립 등.
2. 훈민정음의 창제 - 목적 : 대민교화의 필요성에 의함(세종,1443에 제작되어 1446년에 반포)
- 한글서적 보급 : <월인천강지곡>, <용비어천가>, <석보상절>, <동국정운>, 불경언해, 농서, 병서
- 사용계층 : 부녀자나 피지배계층이 사용, 식자층은 여전히 한자를 사용.
3. 편찬사업의 전개
(1). 조선전기 편찬사업의 성격 - 유교정치에 따른 통치를 위한 실용적인 성격의 서적이 편찬됨.
(2). 역사서
◈ 실록의 편찬 - 내용 : 태조에서부터 철종대까지의 실록을 제작
- 보관 : 춘추관․충주․성주․전주에 보관(이 중 임진왜란 시 전주사고본을 제외한 다른 사고본은 소실됨.)
- 편찬기관 : 춘추관 내에 임시로 실록청을 설치하고 왕의 사후에 편찬
- 참고자료 : 사초, 의정부 등록, 비변사 등록, 일성록, 승정원 일기, 시정기 등을 참고로 실록 편찬.
- 국조보감 : 실록내용을 압축하여 경연 참고서로 편찬
- 개수실록 : 선조, 현종, 경종의 개수실록이 편찬(당쟁과 관련되어 왜곡된 부분을 바로잡기 위해)
| 편찬자 | 시대(서술체제) | 내 용 |
고려국사 | 정도전 | 여말~태조(편년체) | 이제현의 고려국사 계승, 성리학적 사관 |
동국사략 | 권근, 하륜 | 태 종(편년체) | 단군조선에서 신라 말까지의 역사, 신라중심서술 |
고 려 사 | 김종서,정인지 | 세종~문종(기전체) | 자주적 입장에서 서술 |
고려사절요 | 김종서 | 문 종(편년체) | 자주적 입장에서 서술 |
동국통감 | 서거정 | 성 종(편년체) | 최초의 통사, 단군조선을 민족사의 시조로 정립 |
삼국사절요 | 서거정 | 성 종(편년체) | 삼국시대의 역사를 자주적으로 정리. |
(3). 지리서, 지도
서 적 명 | 편찬자 | 시대 | 내용 |
지 도 | 혼일강리도 | 이 회 | 태종 | * 현존하는 동양최고(最古)의 세계지도 - 중국중심적 사관 반영 |
팔도도 | 정척, 양성지 | 세종~세조 | * 인지의를 이용한 최초의 실측지도 - 북방에(압록강) 대한 관심을 반영. |
지리지 | 팔도지리지 | 윤회, 신색 | 세종 | * 최초의 인문지리서(경상도지리가 현존) |
세종실록지리지 | 정인지, 노사신 | 단종 | * 동국여지승람의 모범 - 특히 단군신화가 수록 |
동국여지승람 | 강희맹 | 성종 | * 조선전기 인문지리서의 완성본 |
신증동국여지승람 | 이 행 | 중종 | * 현재 전하는 인문지리서. |
(4). 윤리서 - 삼강행실도(설순)
- 국조오례의(신숙주) : 국가적 의례에 관한 정리서 ( 관․혼․상․제례 등의 서민의 예는 주자가례에 의함)
- 효행록(설순)
4. 과학의 발달
(1). 발달 배경 - 조선전기의 관학파의 성격과 관련됨.
- 조선전기는 부국강병과 중앙집권을 추구, 공리주의, 격물치지적 학풍으로 과학, 기술도 중시함.
- 따라서 조선전기는 농법․천문․의학․인쇄술․무기의 발달이 현저함.
※ 16세기의 사회성격과 구분되는 점(꼭, 이해필요)
(2). 농법의 발달 - 시비법 발달, 연작상경법, 남부 일부지방에 이앙법 보급, 수리시설의 신축․보수, 新田의 개발 등.
- <농사직설> : 세종대에 정초가 저술, 촌로들의 의견을 들어 우리 현실에 맞는 농법보급 목적,
이앙법을 소개(이앙법의 보급을 경계함)
- <금양잡록> : 성종대에 강희맹, 지방에서 직접 경험한 농법기록
(3). 천문기상학의 발달(서운관 후에 관상감) - 천체관측 : 혼천의, 간의(세종)
- 시간관측 : 앙부일귀(해시계), 자격루(물시계)
- 우량관측 : 측우기
- 토지측량 : 인지의, 규형(세조)
(4). 의학의 발달 - <향약집성방>, <의방유취>
(5). 인쇄술의 발달 - 태종대의 계미자, 세종대의 갑인자 등
(6). 무기의 발달 - 화포의 제작, 화차제작, 비격진천뢰 제작, 태종대에 거북선 제작
- <진도> : 태조대에 정도전이 저술, 전술과 부대편성방법에 관한 내용 수록
- <병장도설> : 세종대에 집현전, 군사훈련 교본, 화포제작과 방법 수록
- <동국병감> : 문종, 고려말까지의 전쟁사를 정리.
5. 문학과 음악
(1). 문학의 발달 - 한문학 : 조선시대 문학의 주류, 특히 관학파는 경학보다 사장을 중시, 양반들의 필수 교양.
서거정의 <동문선>, 서거정의 <필원잡기>, 성현의 <용재총화>, 김시습의 <금오신화>
- 국문학 : 훈민정음의 창제로 발전.
악장의 발달(용비어천가), 가사의 발달(정극인의 상춘곡, 정철), 단형시조의 발전.
(2). 음악의 발달 - 아악의 정리 : 세종대에 설치된 관습도감, 박연
- 성종대에 <악학궤범> 편찬
- 민간음악 과 특수 음악 : 농악, 가곡, 범패 등
6. 예술의 발달
(1). 서예의 발달 - 양반들의 필수 교양으로 발전.
- 조선전기의 4대가 : 안평대군(조맹부체), 김구(인수체), 한호(한석봉), 양사언(초서에 능함)
(2). 회화 - 15세기 회화의 특징 : 그림은 장인들이 하는 일이라 기피, 양반 중에는 취미 삼아 그림을 그림(강희안)
문인화(강의안), 산수화․초상화 발달(장인들이 그림), 관념적 산수화 유행.
전기의 그림은 중국의 화풍을 모방, 예술성보다는 기계적인 모사에 치중.
- 주요 화가 - 안견(장인, 도화서 소속) : <몽유도원도>, <적벽도>
- 강희안 : <고사관수도>, <산수인물도>
- 최경(장인) : 산수화 인물화의 대가, <채희귀한도>
- 이상좌(노비출신 장인) : <송하보월도>, <관음도>, <월광보살도>
- 일본 무로마치 시대의 미술에 영향을 미침.
(3). 공예 - 특색 : 생활필수품이나 사대부의 문방구 등과 관련하여 특색있는 발달, 실용적․서민적 성격
- 자기의 발달 : 분청사기와 백자의 발달.
(4). 건축 - 특색 : 고려시대에는 사원건축 중심, 조선시대에는 도시의 궁궐, 성곽․성문․학교 건축이 발달.
- 조선전기의 건축물 : 해인사 경판고, 창덕궁 돈화문(현존 서울시내 최고 목조건축물), 경복궁․창덕 궁․창경궁과 남대문 등 4대문, 신륵사 조사당, 원각사 10층석탑(고려 경천사 탑의 영향) 등.
Ⅵ. 조선전기의 대외관계
1. VS. 명관계
(1). 기본정책 - 친명 사대외교 : 단 건국 초에 정도전에 의해서 정명계획이 세워지기 함.
(2). 사신의 파견 - 1년에 정기적으로 3차례 파견이 원칙, 나중에 동지사가 추가됨, 그 외에 비정기사 파견
- 하정사(賀正使) 또는 정조사(연초에 파견), 성절사(명 황제의 생일), 천추사(황태자 생일),
동지사(연말)
(3). 대명무역 - 수출품 : 마필․인삼․화문석 등
- 수입품 : 견직물․서적․약재․문방구․도자기 등
2. VS. 여진관계
▣. 和戰 양면 정책 - 강경책 - 국방상의 국경선 확보와 농지 확보를 목적으로 북방지방 개척, 북방개척을 위해 조선 초에 사민정책을 실시.
- 두만강 유역 확보 : 세종, 김종서, 동북6진 설치(경성, 경원, 종성, 온성, 회령, 부령)
- 압록강 유역 확보 : 세종, 최윤덕․이천, 서북4군 설치(여연, 우예, 자성, 무창)
- 회유책 : 여진족의 귀순 장려, 관직․토지․주택 등 제공, 무역소 설치(경원, 경성),
북평관(사신숙소)설치
3. VS. 왜관계
▣. 和戰 양면 정책 - 강경책 : 세종대에 이종무가 쓰시마섬 토벌.
- 회유책 - 귀화장려, 동평관(사신숙소) 설치,
- 제한된 조공무역 허용(삼포개항 : 부산포, 제포, 염포), 도서(조선측의 무역허 가증)와 문인(대마도주가 발행)을 표시하고 교역을 허용.
- 계해약조(세종:1443) : 세견선 50척, 세사미두 200석, 3포에 거류할 왜인의 수를 제한.
- 신숙주의 <해동제국기> : 일본의 사정을 쓴 일본여행기.
- 무역품 : 수출(쌀, 무명, 삼베, 서적, 공예품), 수입(구리, 황, 향료, 약재)
4. 기타 동남아시아 - 조선 초기에 사이암(태국), 자바 등 동남아시아 각국과도 교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