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절 조선 양반사회의 성립 ]

 

1. 사대부와 왕권

건국초기 : 태조 (13921398)

- 도평의사사 : 개국 공신들의 회의기관

- 유교적 이상정치를 표방한 법전 편찬

정도전 조선경국전”, 정도전·조준 경제육전개국 공신들의 이익위해

태종 (14001418)

- 정도전등 개국공신 숙청후 왕위 등극 (1400)

- 사병혁파 병권집중

- 도평의사사를 의정부로 고침 권한 축소

- 6조직계제 실시

- “원육전”, “속육전편찬 왕권강화 위해

세종 (14181450)

- 집현전 확대(1420) 집현전 학자들의 영향력 커짐

- “정전” 6권 편찬

* 집현전에서 편찬된 책 : 고려사,농사직설,오례의,팔도지리지,삼강행실,치평요람,

동국정운,용비어천가,석보상절,월인천강지곡,의방유취

세조 (14551468)

- “경국대전착수 성종 16(1485) 반포 시행

- 집현전 폐지

 

2. 양반사회

과거의 중요성 증대

양반 : 의 의무(力役,軍役) 면제

- 배타적, 밖의 촌락에서 거주

- 하급 관리인 서리(아전), 군교(군관,교졸)등은 하지 않음

- 서얼의 자손은 文科에 응시 못함

- 재삼가녀의 자손은 벼슬 못함

- 평안도·함경도 출신 차별

 

 

[ 2절 양반관료 국가의 통치기구 ]

 

1. 정치기구

1) 중앙

의정부 : 최고기관 - 고려 도평의사사보다는 권한축소

6: ·····

승정원 : 왕명출납, 비서기관

홍문관·사헌부·사간원 - 견제기구

- 홍문관 : 집현전 후신, 국왕의 고문 역할

- 사헌부 : 감찰기관, 정치득실 논하고 관리잘못 규찰, 풍기·풍속 교정

- 사간원 : 국왕의 잘못 논하고, 관리 임명 논박·시정 기구

* 사헌부+사간원 = 대간(臺諫), 관리는 言官

서경 권한 : 임명 관리의 신분·경력 조사하여 가부승인

2) 지방

8: 관찰사(監司), 方伯 (임기 1)

(부윤, 부사), (목사), (군수), (현령,현감) (임기 53)

향청(,) : 지방 양반들로 조직(좌수,별감), 수령보좌·풍속기강·향리규찰

경재소 : 서울에 위치, 그 지방출실 중앙관리를 좌수·별감으로 임명하여 향청장악

6: ·····(지방의 각 행정단위에 설치)

- 지방 토착의 향리 담당

- 향역이라하여 세습

- 사무연락 위하여 서울에 京邸吏(경주인), 감영(도청소재지)에는 營邸吏(영주인)

- 수령(왕권을 대행)과 향청(지방 양반세력)간의 교량적 구실 담당

- 양반으로의 신분상승은 제약됨 (* 고려 향리는 중앙 귀족으로 상승하는 세력가)

- 평안·함경·제주에는 토관 임명 (향리보다는 지위가 높음)

 

2. 군사조직

1) 중앙군

의흥삼군부 (태조) 사병으로 인해 병권 집중은 안됨

태종의 사병혁파 (정종 2,1400) 삼군부에 귀속

오위도총부 (세조 10,1464)로 개편 5위 지휘

5(세조 3,1457)

- 의흥위(중위), 용양위(좌위), 호분위(우위), 충좌위(전위), 충무위(후위)

- 각기 통할하는 지방이 지정됨

- 각 위는 5로 나뉘고, 각 부는 4으로 구성

- 甲士와 같이 시험을 거쳐 편입되는 전문적인 군인이 중심 병력을 이룸

2) 지방군

영진군(남방), 익군(북방)의 이원체제 익군체제로 일원화

진관체제 (세조 3,1457)

- 도에 兵營水營이 하나씩

(경상·함경도에는 여진과 왜의 침입에 대비하여 병영·수영이 둘씩,

전라도에는 수영이 2)

- 진수군 (영진에 소속된 군인) : 영진군(정수부대),수성군(노동부대),선군(해군)

* 영진군 - 병농일치의 군대,良人

3) 중앙군과 지방군의 일원화 (진관체제의 성립)

평상시 농업에 종사, 징발되면 서울이나 지방의 요새지에 가서 군복무 (正兵)

봉족제도 : 21로 삼아 1정에 1보 배당, 정병에게 면포제공

봉수제, 역마제의 시행

 

3. 과거와 교육

음서의 제한 : 공신 및 3품이상 관리의 자손 南行

문관 채용 시험 : 생진과(小科), 문과(大科)

- 생진과 : 사서·오경을 시험하는 生員科

···책 등 문장으로 시험하는 進士科

지방의 초시에 합격하면, 서울에서 복시를 치러 생원과 진사를 뽑음 司馬

- 문과 : 생원과 진사가 되면 성균관에 진학

초시·복시를 거쳐 33명의 합격자 결정

궁궐안에서 殿試시행하여 갑··3로 등급 결정

(갑과 1: 장원급제자 6품이상의 참상관으로 임명)

관학인 四學이나 향교보다 사학인 書齋가 더 환영

3년마다 정기적인 실시 式年科擧 나중엔 부정기의 과거가 증설되어 해이해짐

- 증광시(국가 경사), 별시(보통 경사), 알성시(국왕이 성균관에 가서 시행)

무과 : 초시·복시·전시의 3단계 (문과와 동일)

28명의 합격자 (先達)

잡과 : 기술관 채용

- 역과·의과·음양과·율과

- 보통 中人의 자제가 이를 세습하여 응시

 

 

[ 3절 양반 관료국가의 사회·경제적 구조 ]

 

1. 양반의 토지소유 형태

고려말 : 과전법

- 모든 관리는 18로 구분하여 科田 지급, 柴地는 포함되지 않음

- 경기도 지방의 토지에 한함 양반 관리들의 지방세력 성장방지

- 一代에 한하는 것이 원칙이나 실질적으로는 세습 경향

* 사망후 아내가 수절하면 守信田

부모가 사망한 어린 자녀에게 휼양전

공신전의 증가

- 경기도 지방에 한함

- 세습허용

세조 12(1466) : 과전법 폐지하고 직전법 실시

- 현직 관리에게만 수여

- 명종 11(1556)에 폐지 녹봉만 지급

군전 : 지방 유력자인 한량에게 지급, 세습 - 고려 군인전과는 다름

내수사전 : 왕궁소유 (고려 내장전과 같음)

중앙관부의 비용을 위해 지급된 공해전은 곧 없어짐 조세와 공물로 충당

지방 관아에는 늠전(廩田), 外役을 담당하는 자에게 구분전 지급

학전(성균관·四學·향교), 사원전(사찰), 관둔전(지방 관아)

국둔전(진술군으로 경작케하여 軍資 충당)

 

2. 농민의 생활

농업기술의 향상 농민의 사회적 지위 향상

- 비료의 사용 連作가능

- 보통 직파법, 이앙법도 실시

- 가뭄 대비하여 많은 저수지 만듬

- 견종법(畎種法) 보급 - 밭고랑에 씨를 뿌림

호패법 토지의 경작, 의 징발

- 농민은 이주의 자유 없었음

- 호패 : 성명,출생,신분,거주지 등을 기록

- 이징옥의 난 (단종 원년,1453), 이시애의 난 (세조 13,1467) 이후 강화

󰀲 농민들의 뒷받침 받음

- 오가작통법 실시 이탈 감시

田租

- 과전법 : 수확량의 1/10, 세종 26(1444) : 수확량의 1/20

- 답험손실법(踏驗損實法)의 폐단 (가을 수확기에 실제 수확량 조사)

전분6, 연분9등법으로 고침 (정액수조법)

- 농민과 田主 사이의 병작제가 일반적 - 수확량의 1/2 부담

공납 : 각지의 토산물을 바치는 것

의 의무

- 교대로 번상하는 군역

- 1년에 일정기간 노동에 종사하는 요역

(적전의 경작, 궁궐·산릉·성곽 등의 토목공사, 광산노동)

- 경작하는 토지 8결마다 1차출, 1년에 6일 이내 실제는 관아 임의대로 징발

 

3. 수공업과 공장

면직업의 성행 목면의 재배

- 로서 면포를 대신 납부하기도 함

관영수공업 : 고려때와 마찬가지로 가장 큰 비중

- 군기감(무기), 상의원(의류), 사옹원(자기), 조지서(종이)

순수 사영수공업자도 등장함

 

4. 상업과 화폐

1) 상업

서울 : 종로를 중심으로 한 시전 - 관설 점포를 상인들에게 임대한 것

- 육의전 : 선전(비단), 면포전(무명), 면주전(명주)

저포전(모시), 지전(종이), 어물전(어물)

지방 : 場門이라 부르는 상설시 발달

- 보부상들의 활동 : 합법적 단체권을 가진 부상청 조직

- 수로의 행상인 船商의 활동은 활발하지 못함

2) 화폐 - 를 거두는데 이용하려는 목적 널리 유통되지 못함

태종 원년(1401) : 저화(楮貨)

세종 5(1423) : 조선통보(朝鮮通寶) - 銅錢

세조 10(1464) : 전폐(箭幣)

물품거래의 매개물은 포백(布帛) : 정포(麻布) 면포

 

5. 천민의 상태

공노비

- 입역노비 : 일정기간 관부의 노역에 종사

- 납공노비 : 일정한 身貢을 바칠 의무

사노비

- 솔거노비 : 주인집의 잡역이나 농경을 하는 입역노비

- 외거노비 : 일정한 신공을 바치는 납공노비

자신은 종모법에 따라 어머니편에 소속

공노비와 외거노비는 독립된 세대를 이루고, 독립된 가계를 이룸 - 평상시 농업에 종사

백정 : 도살,제혁,유기제조 법제상으론 양인 대우

광대,사당

··부곡의 소멸 천민 신분이 양인 신분으로 향상하는 경향

 

 

[ 4절 조선초의 대외정책 ]

 

1. 對明外交

수출 : ,인삼,모피,모시,화문석

수입 : 견직물,약재,서적,도자기

여진인 송환문제 등으로 분규가 있기도 함

 

2. 북방개척과 野人

태조 : 두만강까지 영토편입 야인(여진)의 침입으로 경성까지 후퇴

세종 (14181450)

- 두만강 유역에 6설치 (김종서) : 종성,온성,회령,경원,경흥,부령

- 압록강 방면에 4설치 (최윤덕,이천) : 어연,자성,무창,우예

세조때 4군은 철폐된 적도 있으나, 여전히 압록강 국경 유지

 

3. 대왜정책

세종 원년(1419) : 이종무의 대마도 정벌

” 8(1426) : 삼포에 왜관을 두어 교역 - 내이포(웅천),부산포(동래),염포(울산)

” 25(1443) : 계해약조 - 왜의 교역제한

1년에 세견선 50, 세사미두 200

중종 5(1510) : 3포에서 왜의 소란 3포 폐쇄

중종 7(1512) : 임신약조

세견선 25, 세사미두 100섬으로 반감

* 수출품 : 미곡·면포·마포·저포 등 생활필수품

나전·도자기·화문석 등 공예품

대장경·유교서적·범종·불상 등 문화재

* 수입품 : ·주석·유황 등 광산물

약재·향료 등 사치품

 

[ 5절 양반관료의 문화 ]

 

1. 한글의 창제

한글의 반포 (세종 28,1446) 훈민정음 창제 (세종 25,1443)

정음청(언문청) 설치

- 용비어천가 : 왕실 조상의 덕 찬양

- 월인석보 (월인천강지곡,석보상절) : 부처님의 덕 찬양

- 동국정운 : 한자음 연구

* 정인지,성삼문,최항,신숙주,박팽년,강희안,이개

* 세조때 내경청으로 개편 중종 1(1506)에 폐지

간경도감 (세조 3,1457)) : 불교경전 번역 출판

- 불경언해

- 삼강행실도 : 유교도덕 강조

* 성종 2(1471)에 폐지

 

2. 실용적 학문 유교적 입장에서 실제 사회에 유용하다 생각되는 실용적인 성격의 것들

1) 史書

조선왕조실록

- 태종 13(1413)태조실록편찬

- 춘추관에서 사관들이 편찬 (춘추관 관원이 예문관 겸직)

* 예문관 사관이 역사 자료 기록 : 봉교(奉敎대교(待敎검열(檢閱)

- 서울(춘추관),성주,전주,충주 등 4곳의 史庫에 보관

- 실록에서 국왕의 훌륭한 언행 발췌하여 국조보감발행 : 세조 4(1458)에 처음 간행

고려사

- 세종때 시작 문종 원년(1451) 완성

- 고려의 역사를 정리하여 새 왕조 건설의 정당성 위해

- 기전체

고려사절요

- 문종 2(1452)

- 편년체

동국통감

- 성종 16(1485)

- 단군조선부터 고려말까지 역사를 적은 최초의 사서

- 편년체

2) 지리서

팔도지리지

- 세종 14(1432), “세종실록에 수록

- 각 지방의 연혁·산천·관방·산성·토지·호구·토산·교통·영진·군정·봉수·능묘·土姓·인물

동국여지승람

- 성종 12(1481), 중종 26(1531)에 증보되어 신증동국여지승람편찬 현존

- 樓停·학교·佛宇·사묘(祠廟고분·명환(名宦인물·제영(題詠)

인문에 관한 항목이 늘어나고, 관련있는 시문 첨가

3) 정치서

치평요람

- 세종 23(1441), 과거의 정치적 사적과 성쇠

국조오례의

- 세종때 착수, 성종 5(1474)에 완성

- ··((五禮에 관한 기록 국가 의식의 기준

삼강행실

- 세종 14(1432)

- 충신·효자·열녀들의 행실을 그림으로 그리고, 설명을 붙임

- 유교 도덕 강조하여 양반 사회의 질서를 옹호

- 한글로 번역 출판

 

3. 과학과 기술

1) 농업

농사직설

- 세종 12(1430), 정초에 의해 편찬

- 한국의 지리조건에 맞는 농사법

금양잡록

- 성종(14691494)때 강희맹에 의해 편찬

2) 천문기상학

측우기 : 세종 24(1442)

풍기죽(風旗竹) : 풍향관측기

세종 16(1434)에 경복궁에 간의대 축조하고, 대간의 설치하여 천문관측

혼천의(전구의), 앙부일구(해시계), 자격루(물시계)

역법 발달 : 이순지의 칠정산 ·外篇저술 (세종 2426)

세조때 규형(窺衡인지의(印地儀) 제작하여 양전사업에 이용

3) 의학

향약집성방

- 세종 15(1433), 한국인의 경험기초

의방유취

- 세종 27(1445), 중국의 역대 의서를 수집 편찬한 의약백과서

4) 인쇄술

금속활자가 서적 간행에 널리 이용

태종 3(1403) 주자소 설치, 동활자 사용 계미자

세종 16(1434) 갑인자

5) 군사기술

화포 : 방어용에서 공격용으로 발전 북방개척에 따른 야인과의 전투

태종 13(1413)龜船 제조

세종 30(1448)총통등록편찬 : 화포의 제작법과 사용법

문종 원년(1451)火車 제조

 

4. 미술

회화에서 문인화라 불리는 수묵화 유행

- 세종때 강희안,안견,최경

- 중종때 이상좌

서예

- 고려말부터 송설체(조맹부체) 유행, 안평대군(세종 셋째아들)

- 초서에 능한 양사언, ‘해서(楷書)’로 유명한 한호

자기

- 초기의 분청자기 백자 : 실용적

 

5. 문학과 음악

1) 음악

음악의 정리 : 세종때 박연

성종 24(1493)악학궤범” - 아악·당악·향악의 3부로 나누어 정리

樂章 : 정도전 신도가”, 정인지 용비어천가

권근 상대별곡” (경기체가)

2) 문학

동문선” - 성종 9(1478)에 서거정이 우리나라 시문을 뽑아 한국의 한문학 정리

설화문학 유행 - 서거정 필원잡기”, 성현 용재총화”, 어숙권 패관잡기

금오신화” - 김시습, 소설의 선구

 

6. 불교의 후퇴

태조 : 도첩제 실시

태종 6(1406) : 242개를 제외한 사원 폐지, 토지와 노비 몰수

세종 : 궁성안에 내불당 설치

세조 : 원각사, 간경도감을 두어 불경의 언해 간행

성종 : 도첩제 전폐, 출가 금함

중종 2(1507) : 승과 폐지

명종 : 문정왕후 섭정때 보우 중용, 승과 재설치 (명종 7,1552)

봉은사 (선종), 봉선사 (교종)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