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장 광작농민과 도고상인의 성장

 

[ 1절 벌열정치 ]

 

1. 벌열정치

인조반정(1623)이후 서인의 집권

- 효종(16491659)때 송시열 등용

남인의 등용

- 예송논쟁 (숙종 즉위년,1674), 세자책봉 문제 (숙종 15,1689)

숙종 20(1694)이후 서인 장기 집권 (갑술환국)

- 노론 : 송시열 계열

- 소론 : 윤극 중심

벌열의 성립 : 노론을 중심으로 한 장기집권

- 소수 가문에 의한 정권 독차지

- 많은 사림학자들의 지방 낙향 서원 설립 (숙종때 300여개)

- 농업에 종사하는 잔반 생김 오랜기간 관직 못나감

 

2. 탕평책

노론의 벌열정치에 대한 반발 성리학 지상주의 비판

- 실학사상, 양명학, “정감록”, 서학(천주교) 추구

탕평책 왕권의 권위회복

- 영조(17241776) 정조(17761800)

- 붕당간의 대립완화 왕권신장

시파(時派)와 벽파(辟派)의 대립 노론의 분열

- 시파 : 사도세자의 죽음을 동정

- 벽파 : 죽음의 정당성 주장

이인좌의 난 (영조 4,1728) 노론의 우세

정당주의·무사안일주의 세도정치로 발전

 

 

[ 2절 수취제도의 변화 ]

 

1. 대동법의 실시

재정의 궁핍

- 전란에 의해 농토 황폐

- 양안에서 빠진 음결의 증가

(임진왜란 전 170만결 광해군때 54만결)

- 토지개간 장려, 양전 실시 숙종때 140만결

- 면세지 (궁방전, 관청·군영 소속의 둔전 등) 증가 󰠏󰠈

중앙권신, 지방 세력가들의 토지점유 확대 󰠏󰠍󰠏 조세액의 감소

대동법의 실시 : 공물을 미곡으로 대신내는 수미법

- 조세의 감소와 방납의 폐해로 실시

- 광해군 즉위년(1608) : 이원직의 주장으로 경기도 시행

- 인조 원년(1623) : 강원도 실시

- 효종 (16491659) : 김육의 주장으로 충청도,전라도 시행

- 숙종 34(1708) : 전국실시

112징수

- 선혜청 담당

- 쌀대신 으로 납부가능

- 공납제도의 폐지 농민들의 경제적 부담 가벼워짐

- 상업자본 발전 (貢人 중심) 독립적인 수공업 발전

 

2. 役法의 변화와 균역법

임진왜란시 5위의 사실상 유명무실

임진왜란 중 훈련도감설치하여 군사양성

5군영 성립 : 중심부대

- 모병제의 실시

- 군역대신 1년에 2필의 군포 바침 (황구첨정,백골징포,인징,족징 등 폐단)

균역법의 실시 (영조 26,1750)

- 군포를 1필로 감함

- 왕실소속 어세·염세·선세를 정부 수입으로

- 양반소유 토지포함 모든 田結 (평안도·함경도 제외) 1결당 2두의 결작 징수

- 한유자등에게도 선무군관포 징수

균역법 실시에도 불구하고 농민들의 군포부담 여전

 

 

[ 3절 경제적 성장 ]

 

1. 광작농민과 농촌분화

1) 광작의 보급

이앙법의 발달 이모작 가능

우경의 보편화, 볏을 가진 쟁기 사용 소요 노동력 감소로 廣作의 보급

저수지 시설

- 현종 3(1662)에 제언사(堤堰司) 설치

- 정조 2(1778)제언절목반포

부농의 광작 확대 빈농의 이농 가속화

- 두레 조직, 임노동자 이용

소작농들의 임대 광작

- 打租法(1/2 상납) 賭租法(정해진 양) 자유로운 농업경영

특수 재배물에 대한 상업적 생산 발달

- 인삼·담배·목면

* 담 배 : 광해군때(1600) 전래

고구마 : 1763(영조 39) 조엄이 대마도에서 가져옴

감 자 : 1800년대 전래

2) 신분질서 변화

농업 기술향상, 농업 경영방식 발전, 상업적 농업생산 발달 평민지주 탄생

부농들의 신분상승, 빈농들의 유민화

소작농으로 전락하는 잔반 생김

 

2. 도고상업의 발달

1) 도고상인 : 수공업을 지배하여 상품을 독점 판매

貢人의 활동

- 대동법 실시로 공납제도의 폐지, 관부에서 필요한 물품조달

- 공인자본의 성장 독점적 도매상인 도고로 성장

사상들의 활동

- 서울 江商 : 한강을 따라 경기·충청 일대에서 미곡·소금·어물 판매, 조선업 지배

- 개성 松商 : 경기를 중심으로 육로를 따라 황해·평안지방, 충청·경상지방에서 인삼 판매

시전상인

- 금난전권 이용하여 수공업 지배

2) 국제무역

의주의 만상 : 의주의 중강·봉황시의 책문에서 무역

동래의 내상 : 일본과 사무역

송상이 만상과 내상을 끼고 인삼과 은을 매개로 중개무역 전개

3) 場市의 발달

신해통공 (정조 15,1791) : 육의전 제외한 시전들의 금난전권 페지

일반 장시의 발달

- 보부상을 상대로하는 도고인 객주나 여각이 발달 (은행업 겸함)

운수업 발달

- 私船 이용, 선박·항로 개척

상인 단체들의 조직

- 공인들의 공인계

- 육의전을 중심으로 한 都中이라는 조합조직

- 보부상들의 보부상단

4) 금속화폐의 사용 상업의 발달

숙종 4(1678)에 상평통보 주조

17세기 말에는 화폐가 전국적 유통

부를 축적하는데 사용 전황(전귀) 발생

소작료를 화폐로 지불하는 도전법(賭錢法)’ 발생

 

3. 수공업과 광업의 새양상

1) 수공업

관영 수공업의 쇠퇴 : 공장안(工匠案) 페지 - 정조(17761800)

수공업의 성장 대동법의 실시

- 상인들이 주로 수공업 지배 (17·18세기)

- 철기·유기 제조업자들은 자립화하는 경우도 있음

2) 광업

광업의 민영화 경향 (17세기)

- 設店收稅法 실시 別將에 의해 대행

別將制 폐지 守令收稅制 실시 (18세기)

- 상업 자본가인 物主에 의해 광산운영이 크게 발달

 

 

[ 4절 실학의 발달 ]

 

1. 실학의 발생

실학 : 사회적 모순에 대응하기 위한 학문

- 17·18세기 벌열정치에 따른 몰락 양반 발생

- 광작에 의한 영세민들의 유민화

- 도고 상인들의 상공업 지배에 따른 영세 상인 몰락, 물가 폭등

오랫동안 정권에서 벗어나 있던 남인 출신 실학자가 많음

현실 개혁위한 정권 담당자들에 대한 비판

연구 대상은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있었음 - 현실적·실증적·민족적 성격

 

2. 농업중심의 이상국가론

經世致用의 학문 : 토지제도·행정기구·군사조직 같은 제도상의 개혁에 치중

유형원 (효종,현종)

- 현종 11(1670) “반계수록” - 전제·敎選·임관·職官·祿制·병제 검토·비판

- 공전제 주장 : 국가에서 토지를 공유하여 농민에게 일정한 면적의 토지를 나누어 줌

이익 (숙종영조)

- “성호사설” : 천지·만물·인사·經史시문의 5개부문, 백과사전적 저술

- “곽우록(藿憂錄)” : 국가제도 전반에 관한 의견 (개혁사상)

- 균전제 주장 : 농가의 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최소한도의 영업전의 소유를 확보

정약용 (정조,순조)

- 순조 원년(1801) ‘신유사옥으로 18년간 강진에서 유배 생활

- “경세유표” : 중앙의 정치조직에 관한 의견

- “목민심서” : 지방 행정에 관한 개혁

- “흠흠신서” : 형정에 관한 의견

- “탕론”,“전론등 사회개혁사상 발표

- 여전제 : 한마을()을 단위로 토지를 공동 경작하여 노동량을 기준으로 수확 분배

- 정전제 : 가족의 노동력을 기준으로 농업 종사자에게 로 구분한 토지의 8구를 분배,

1구의 수확을 세금에 충당

농업을 중심으로 한 이상국가 구상

- 士農一致의 원칙에서 신분적인 차별 폐지

- 교육의 기회균등, 능력위주로 관리 등용

- 상공업의 발전이나 화폐의 유통에 의한 농촌 경제의 침식 방지

 

3. 상공업 중심의 부국안민론

이용후생의 학문 : 상공업 발전을 통하여 사회의 번영 이룩 北學이라 부름

유수원 (영조)

- “우서” : 영조 5(1729)13(1737)

문답형식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 전반에 대한 개혁안 제시

박지원 (영조,정조)

- “열하일기” : 정조 4(1780), 청의 문물소개 및 자기의견 제시

홍대용 (영조,정조)

- “燕記” : 청에 갔던 기행문

- “의산문답” : 實翁虛字의 문답형식, 우주와 인간의 문제를 논함

박제가

- “북학의” : 청에 갔던때의 견문기, 항목별로 그 시대 제반 문제에 대한 개혁 언급

이덕무

- “연기” : 청에 갔던 견문기

청의 문화 배우고, 현실개혁 의지

- 무위도식하는 양반유학자 비판

- 상공업·농업을 높이 평가

- 상공업 발전에 큰 관심

- 기술적인 발전으로 생산촉진·교통수단 발전으로 국가 경제력 증강 주장

- 신분제 폐지, 균등한 교육에 의한 직업적 관리 양성 주장

 

4. 國學의 발전

1) 한국의 역사에 관한 연구

이수광

- “지봉유설” (광해군 6,1614)

천문·지리·유교·식물, 한국의 옛 사회나 정치에 대한 견해

이익

- “성호사설” (1740년경 정리), 백과사전적 저술

동국문헌비고” (영조 46,1770)

- 지리·정치·경제·문화 등에 관한 한국학 백과사전

안정복

- “동사통목” : 정조 2(1778), 단군조선고려말

- “열조통기” : 조선시대 역사

한치윤

- “海東繹史” : 정조때, 외국 사서에서 한국의 역사 발췌, 기전체

이긍익

- “연려실기술” : 영조때, 기사본말체(紀事本末體)

2) 만주사에 대한 관심

이종휘 : “東史” - 고구려에 큰 비중

유득공 : “발해고” - 정조 8(1784), 신라통일의 불완전성 강조

홍양호 : “해동명장전” - 정조 18(1794)

3) 역사지리서

한백겸 : “동국지리지” - 선조때

신경준 : “강계고(疆界考)” - 영조때

한진서 : “해동역사지리고” - 순조때

정약용 : “강역고”,“대동수경” - 순조때

4) 인문지리서

이중환 : “택리지” - 영조때

신경준 : “도로고”,“산수고” - 영조때

5) 지도

정상기 : “동국지도” - 영조때

6) 國語에 대한 연구

신경준 : “훈민정음운해󰠏󰠈

유 희 : “언문지” - 순조때 󰠏󰠍󰠏 한글에 대한 음운 연구서

* 영조

속대전” : “경국대전이후의 교령을 편찬

속오례의” : “오례의수정

속병장도설” : “병장도설개편

동국문헌비고” : 한국의 문물제도를 분류·정리한 백과사전적 저술

* 정조

대전통편” : “경국대전”,“속대전및 그후의 교령을 합쳐서 편찬

문원보불(文苑黼黻)” : ‘반교문’,‘위유문’,‘제문’,‘교서’,‘國書

관각(館閣) 제신(諸臣)들의 문장수록

추관지” : 형법에 관한 역사와 내용 기록

도지지” : 戶曹의 사례 편집

무예도보통지” : 무예에 관한 그림과 설명

* 관찬 사업의 성행에 따라 韓構字’,‘整理字등 활자 주조

 

5. 西學의 전파

1) 서학에 대한 관심

광해군때 이수광이 지봉유설에서 마테오리치의 천주실의소개

이익·안정복 등 실학자들 서학에 관심 사상적으로는 비판적

2) 신앙운동 - 정조때 남인학자들을 중심

정조 7(1783)에 이승훈이 북경에서 세례를 받고 귀국

이승훈·이벽·이가환·정약전·정약종·정약용·권철신·권일신 등 남인 (이익의 문인들)

김범우(조선 최초의 천주교 순례자) 등의 中人

서양 선교사의 전도보다는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천주교 서적들을 읽고 깊은 관심

3) 典禮문제로 사회적 논란

정조 9(1785) : 서학을 사교로 규정하고 금지령

․ ″ 10(1786) : 북경으로부터 서적 수입금지

․ ″ 15(1791) : 전북 진산에서 神主를 없앤 윤지충을 사형 신해사옥

․ ″ 19(1795) : 중국인 신부 주문모 입국,활약 교세확장,4천여명의 신자

4) 서학에 대한 박해

정조때는 서학을 묵인하는 방향, 영의정 - 남인 채제공

순조(18001834) 즉위하면서 서학에 대한 혹독한 박해

- 신유사옥 (순조 원년,1801) 대왕대비 김씨와 연결되는 노론벽파가 남인시파를 타도

󰀲 이승훈·이가환·정약종 등과 주문모 사형, 정약전·정약용은 유배

황사영이 몰래 북경에 帛書를 보내려다 발각당해 사형 당함 탄압정책 심해짐

 

6. 과학과 기술

1) 농서 : 17·18세기에는 농업기술 향상에 대한 관심이 커짐

신 속 농가집성” : 효종 6(1665), “농사직설”·“금양잡록합하고, 자신의 의견 추가

박세당 색경(穡經)” : 숙종(16741720), 과수·축산·원예·수리·기후 등에 중점

홍만선 산림경제” : 숙종때, 농업·임업·축산·양잠·식품가공·저장 등

농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일상 생활에서 알아두어야 할 사항

서호수 해동농서” : 정조(17761800)때 왕명, 한국의 농학을 종합

고구마 재배법 구황식물로서 고구마에 대한 관심

- 강필리 감저보” : 영조때

- 김장순 감저신보” : 영조때

- 서유구 종저보” : 순조 34(1834)

정약전 자산어보” : 순조 15(1815), 물고기에 대한 책

2) 의학서

정약용 마과회통” : 정조 22(1798), 종두법 처음 소개

3) 서양의 새로운 과학과 기술의 도입

선조(15671608) 말년에 명에 갔던 사신이 유럽지도 가져옴

인조 9(1631)에 정두원이 명에 사신으로 갔다오는 길에 천주교 서적과 함께

화포·천리경·자명종·만국지도·천문서·서양풍속기 가져옴

소현세자 귀국시 과학서적 가져옴 (동생 봉림대군 효종)

인조 6(1628), 네덜란드인 웰테브레(박연) 표착 훈련도감에서 대포 만듬

효종 4(1653), 네덜란드인 하멜 표착 탈출하여 표류기저술

김육의 노력에 의해 새로운 역법 연구 개량시행

정약용 - 기중기를 고안해서 화성(수원성) 축조에 이용

지동설 - 김석문,이익,홍대용

 

7. 성리학에 대한 비판

독자적인 견해 (주자의 설에 만족하지 않음) - 실증적인 태도로 유교의 경전들에 접근

- 윤휴 중용주해󰠏󰠈

- 박세당 사변록” : 도가사상에 접근 󰠏󰠍󰠏 사문난적으로 몰림

- 정약용

양명학의 수용

- 남인과 소론 계통의 학자들, 정치적 진출에 제약을 받는 종실이나 서얼출신이 많음

- 정제두 존언

 

 

[ 5절 예술의 새 양상 ]

 

1. 한문학의 변화

실학의 정신 반영됨

- 박지원 열하일기속에 실린 허생전”,“호질(虎叱)”

방경각외전에 실린 양반전”,“민옹전

민간 설화의 소설화 (한문)

- “동패낙송(東稗洛誦)”,“청구야담

서얼·중인·서리 출신의 문인

- 홍세태 해동유주” : 숙종(16741720) , 시 모음

- 고시언 소대풍요” : 영조 13(1737) 󰠏󰠈

- 천수경 풍요속선” : 정조 21(1797) 󰠉󰠏 60년마다 시집 간행

- 유재건 풍요삼선” : 철종 8(1857) 󰠏󰠎

 

2. 古小說과 사설시조

한글소설 (17·18세기)

- 허균 홍길동전” : 광해군(16081623)

- 김만중 구운몽” : 숙종 15(1689)

- “장화홍련전”,“창선감의록”,“심청전”,“흥부전권선징악

임진록”,“임경업전군담소설

옥루몽”,“숙향전”,“춘향전애정소설

시조

- 長詩, 사실성, 소재의 다양화 사설시조의 출현

- 김천택 청구영언” : 영조 4(1728)

김수장 해동가요” : ” 39(1763)

 

3. 미술의 새풍조

1) 회화

진경산수화 출현

- 정 선 (숙종영조,18세기) : ‘인왕제색도’,‘금강전도

- 김홍도 (영조,정조,18세기) : ‘총석정도(叢石亭圖)’

속화의 유행

- 김홍도,신윤복,김득신 등

2) 자기

청화백자 발달 - 정조(17761800)때 국산 안료 사용하면서 크게 발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