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왕

정치

경제/사회

문화

인조

(1623~1649)

1. 이괄의난(1624)

2. 정묘호란(1627)-정봉수(의병)

강화도로 피신

정봉수의 용골산성전투

3. 병자호란(1636)

남한산성으로 피신

청과 군신관계 수립

4. 총융청, 수어청 설치

5. 서인집권, 남인참여

(당파연립, 비판적 공존체제)

1. 조선통보를 새로 주조하여 개경에서 통용

2. 영정법실시

3. 중강, 회령, 경원 개시

1. 벨테브레이 표류(박연)

효종

(1649~1659)

1. 북벌운동

(충청지역산림중용)

2. 서인집권, 남인참여

3. 나선정벌(흑룡강)

4. 어영청확대(2만명)

1. 대동법확대(충청, 전라)

2. 설점수세제(호조별장제)

3. 조선통보를 널리 유통

1. 시헌력채용(김육의주장)

시헌력 : 서양인 선교사 아담 샬이 만든 역법

2. 하멜의 표류(하멜표류기)

현종

(1659~1674)

1. 기해예송(서인우세)

2. 갑인예송(남인우세)

3. 서인집권, 남인참여

 

 

숙종

(1674~1720)

1. 2차 북벌론(윤휴 제기)

청의 정세변화 이용

2. 경신환국(1680)

남인제거, 서인집권

서인분열(노론, 소론)

3. 기사환국(1689)

서인제거, 남인집권

4. 갑술환국(1694)

남인제거, 서인집권

5. 무고의옥(1701)

희빈장씨 사사

6. 일당전제화대두

왕권 불안정, 정치불안

7. 백두산정계비건립

8. 안용복의 활동

(독도, 울릉도 귀속문제확인)

9. 금위영 설치(궁궐수비)

10. 탕평론 제기(인사관리)

1. 상평통보 상용화

2. 장길산의 활동

(황해도 구월산)

3. 대동법 전국실시

1. 윤휴와 박세당(사문난적)

윤휴 : 유교경전에 대한 독자적해석시도 (원시 6경 중시)

박세당 : 양명학과 노장사상의 영향으로 주자의 학설 비판 (사변록 저술)

경종

(1720~1724)

1. 신임사화(1721~1722)

노론 약화, 소론 정국주도

 

 

영조

(1724~1776)

1. 이인좌의 난(1728)

2. 완론탕평(탕평파 육성)

3. 군영정비(수성윤음 반포)

4. 산림을 정치권에서 배제

5. 서원 200여개 소 정리

6. 이조 전랑의 권한 축소

(자청권, 3사 선발권 혁파)

7. 청계천 준설사업 실시

1. 사법제도 개혁

무원록(형벌제도 개선)

사형수 3심제 적용

2. 균역법실시

3. 노비종모법 법제화

(양인 증가책의 일환)

4. 신문고 제도 부활

5. 격쟁, 상언제도 활성화

1. 속대전 편찬(법전)

2. 동국문헌비고 편찬

(한국학 백과사전)

3. 속오례의 편찬

4. 성균관에 탕평비 건립

5. 이중환-택리지 편찬

정조

(1776~1800)

1. 준론탕평(적극적 탕평)

2. 장용영설치

3. 규장각설치

4. 시파(남인, 소론계열)정국 주도

5. 초계문신제도

6. 수령의 권한강화(향약주관)

7. 화성능행

백성과의 소통

8. 자청권 완전 혁파

1. 신해통공(금난전권혁파)

육의전은 제외

2. 신해박해(윤지충처형)

천주교 전례문제

3. 장인등록제폐지

민간수공업 발달

공장안 폐지

4. 상언, 격쟁 활발

5. 이덕무, 박제가, 서이수, 유득공이 규장각 검서관으로 등용되었음 (서얼출신)

6. 서얼, 노비차별 완화

7. 제언절목 반포

1. 수원 화성(거중기)

대유둔전, 만석거, 만년제

2. 대전통편(법전)

3. 탁지지(호조기능 정리)

4. 무예도보통치(병법서)

5. 동문휘고(외교문서 정리)

6. 추관지(형사법, 재판제도 정리)

7. 일성록(세계기록문화유산)

8. 정약용(한강주교설계, 거중기)

9. 만천명월주인옹(초월적군주)

10. 문체반정(박지원-패관소품체 비판)

11. 고금도서집성 5,000권 수입()

순조

(1800~1834)

1. 노론 벽파 정국주도

(정순왕후 김씨)

훈련도감 정상화

장용영 혁파

2. 안동김씨세도(김조순)

3. 홍경래의 난(1811)

청천강 이북

1. 신유박해(1801)

천주교 신자 대탄압

2. 중앙 관서 공노비 66,000명 해방(1801)

3. 쌀 폭동(1833)

경강상인+싸전

 

헌종

(1834~1849)

1. 풍양조씨세도(조만형)

1. 기해박해

2. 병오박해(김대건 순교)

 

철종

(1849~1863)

1. 안동김씨세도(김좌근)

2. 임술농민봉기(1862)

단성, 진주 민란이 계기

함흥~제주까지 전국적 민란

삼정이정청 설치

1. 중인층의 소청운동(실패)

2. 신해허통(1851)

서얼의 청요직 허통

3. 동학창시(최제우, 1860)

1. 대동여지도(김정호, 186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