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의 사회


1. 삼국시대 사회

(1) 삼국시대 사회 성격

계층상의 차이가 분명한 계급사회

귀족, 평민, 노비 등 엄격한 신분제도 마련 - 중인층은 별도로 없음

법률이 엄격한 율령사회로 사형제도 존재

개인의 능력보다 친족의 신분을 중시한 신분중심 사회 - 골품제 사회

 

(2) 고구려 사회

지배계층 

󰠆󰠏 왕족 : 계루부 고씨 왕위 세습

󰠌󰠏 귀족 : 5부족 출신 -> 사병 소유 가능

피지배층 - 농민이 중심이고 농민을 보호하기 위해 진대법 마련

법률

반역자나 패군자·살인자는 사형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12배로 배상

우마를 죽인 자는 노비로 삼음

 

(3) 백제 사회

지배계층 󰠆󰠏 왕족 : 부여씨 왕족

󰠌󰠏 귀족 : 8대 성씨를 중심으로 한 연합정치

피지배층 - 대다수 농민이 중심이고 천민과 노비 존재

법률

살인자, 패전자는 모두 사형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2배로 배상

간음한 자를 노비로 삼음

 

(4) 신라 사회

씨족사회의 전통을 계승한 화백과 화랑도

골품제를 중심으로 한 폐쇄적 신분사회

 

(5) 골품제도

성립 배경

지방의 족장 세력을 중앙의 관리로 통합 편제하는 과정

내용

성골

부부가 모두 왕족으로 왕이 될 수 있는 최고의 신분

진덕여왕 이후 소멸하고 진골 귀족이 왕위 계승

갈문왕 제도 마련

 

심화학습갈문왕 제도

의미 : 국왕의 생부, 장인, 형제와 여왕의 남편에 부여하는 특별 존칭

유사제도 : 고구려 - 고추가, 백제 - 길사, 조선 - 대원군 제도

上代 - 성골이 왕위를 계승할 때 갈문왕 제도 존재

中代 - 무열왕계가 왕위를 계승하면서 소멸

下代 - 왕위쟁탈전으로 왕권이 약화되어 다시 부활

 



진골

5관등인 대아찬 이상의 관직을 독점

17관등의 관직을 모두 할 수 있음

무열왕 이후 왕위계승

모든 관직의 장관을 독점하고 화랑과 장군이 될 수 있음

집의 규모를 24척으로 규정

다른 나라 왕족도 편입 가능 - 김유신, 안승

6두품

지방의 대족장 출신 - 주로 경주 지방 사로 6촌이 중심

관직 진출의 한계성 때문에 6관등인 아찬까지 승진

학문과 종교 활동에 전념 - 원효, 설총, 최치원

도당 유학생 다수 배출

신라하대 반신라 세력으로 성장

각부 차관인 시랑과 경을 역임

집의 규모는 21척으로 규정

5두품

10관등인 대나마까지 승진 가능

4두품

12관등인 대사까지 승진 가능

특징

개인의 신분뿐 아니라 친족의 등급 표시

사회활동과 정치활동의 범위 결정

관등과 밀접한 관계

골품의 한계를 극복할 수 없음

중위제 마련 - 골품의 한계를 넘지 않고 승진 가능한 제도

붕괴

신라하대 중앙 정치의 문란으로 붕괴

중세 능력 중심의 사회로 발전하는 계기

 

(6) 화백제도

씨족사회에서 유래된 만장일치 제도

집단의 부정 방지와 결속 강화가 목적

귀족 세력과 왕 사이의 권력을 조절 - 귀족 연합 정치 성격

법흥왕 때 마련된 제도로 의장을 상대등, 구성원을 대등이라 함

4영지를 중심으로 회의(-청송산, -피전, -오지산, -금강산)

 

(7) 화랑도

옛 씨족 사회의 청소년 집단에서 유래

진흥왕 때 공인

계급간의 갈등을 조절·완화시키는 기능

유교 경전과 무예를 교육하는 전사단체

화랑은 진골귀족이고 낭도는 다수의 6두품 이하(서민도 가능)로 구성

원광법사의 세속오계 기본정신

사회 중견 인물을 양성하는 교육단체

임신서기석(진평왕, 612) - 신라 화랑의 유교 경전 학습 사실 입증

 



2. 남북국가의 사회

(1) 통일신라 사회의 특성

우리 민족이 하나의 통일된 정부 수립

영역 확대와 인구 증가로 국가 경제력 증대

단일한 민족 문화와 사회를 이룸 => 이유 : 삼국 사회가 혈연적 동질성과 문화적 공통점을 많이 지녔기 때문

 

(2) 신라 중대 사회

왕권이 전제화되었으며 성골 왕위가 진골 왕위로 변화

국왕의 정치적 조언자로서 6두품 세력의 부각

6두품이 집사부 시랑직에 임명

 

(3) 신라 하대 사회

6두품 세력

중앙 권력에서 점차 배제

유교 이념을 내세워 국가 체제 내에서 개혁을 시도했으나 거부함

반신라화로 호족과 연결

교종의 권위에 도전하는 선종의 등장에 주도적 역할 수행

호족 세력

풍수지리설 수용에 적극적임

방대한 토지를 소유하고 백성을 지배함

지방의 징세권과 군사권까지 장악함으로써 지방 분권 현상 초래

새로운 관료제를 만들어 백성들을 통치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공고히 함

지방에 학교를 설치하여 학문을 지방으로 확산시킴

고려의 왕조의 건설에 주동적 역할 담당

 

(4) 발해의 사회

지배층은 왕족인 대씨와 귀족인 고씨 등 고구려인 계통으로 구성

대다수 말갈족은 촌락에 거주하며 농경에 종사

촌락은 촌장을 통하여 국가의 지배를 받음

말갈족 사회의 내부 조직은 그대로 보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