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분제 마련

고대사회의 신분제도

부여, 삼한, 초기 고구려: 호민 - 하호 - 노비

부여와 초기 고구려: , 대가가 귀족이 되면서 신분구조 형성.

이러한 신분구조를 기반으로 다시 지배층 내에서 분화.

 

신분구조(귀족평민천민)

천민

노비의 종류: 대개 전쟁 포로로 노비가 되거나, 죄를 짓거나, 귀족에게 진 빚을 갚지 못하여 노비 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전쟁 노비의 감소: 통일 신라 이후 소멸.

 

2. 삼국의 사회상

고구려 사회모습: 전 왕족인 소노부, 왕비족인 절노부, 일반 귀족, 평민, 노비

귀족: 고씨+5(소노, 계루, 절노, 관노, 순노) 연합정치. 왕은 소노부 계루부. ‘고추가절노부는 사 자, 조의 선인을 거느림. 족장성주들은 사병이 있었고 대모달, 말객으로 국가 동원.

평민: 자영농민, 몰락한 농민. 진대법(고국천왕때 을파소의 건의) 실시.

천민과 노비: 피정복민이거나 몰락한 평민. 한편 남의 우마를 죽인 자를 노비로 삼거나, 빚을 갚지 못 한 자가 그 자식을 노비로 만들어 변상하기도.

조세: (곡식), 인두세(, 곡식),

율령(++격식): 반역은 화형참형, 재산 몰수 가족 노비, 살인패전은 사형, 112, 감옥은 없고 제가회의 즉결.

혼인 풍습

귀족은 형사취수, 서옥제(데릴사위)

평민은 자유교제로 결혼. 남자 집에서 돼지고기와 술을 보낼 뿐 다른 예물은 주지 않았다. 만약 신 부 집에서 재물을 받을 경우 부끄럽게 생각하였다.

10월에는 동맹.

 

백제 사회

귀족: 부여씨(왕족), 8(사연해협진국묘목)

살인반역패전은 사형, 간통은 남편의 노비로, 절도는 유형+2배상, 수뢰횡령은 3배상종신금고형.

생활 풍습: 투호와 바둑 및 장기를 백제 지배층이 즐김.

 

 

 

신라의 생활상: 골품제(골품+두품), 중위제(세부관등제)로 보완하기도 하였음.

 

중앙관직

지방관직

골품

복색

 

侍郞

大舍

舍知

都督

仕臣

郡太守

縣令

眞骨

6頭品

5頭品

4頭品

1. 이벌찬

 

 

 

 

 

 

 

 

 

 

 

 

 

 

자색

2. 이찬

 

 

 

 

 

 

 

 

 

 

 

 

 

 

3. 잡찬

 

 

 

 

 

 

 

 

 

 

 

 

 

 

4. 파진찬

 

 

 

 

 

 

 

 

 

 

 

 

 

 

5. 대아찬

 

 

 

 

 

 

 

 

 

 

 

 

 

6. 아찬

 

 

 

 

 

 

 

 

 

 

 

 

 

비색

7. 일길찬

1

 

 

 

 

 

 

 

 

 

 

 

 

 

8. 사찬

2

 

 

 

 

 

 

 

 

 

 

 

 

 

9. 급벌찬

3

 

 

 

 

 

 

 

 

 

 

 

 

 

10. 대나마

4

 

 

 

 

 

 

 

 

 

 

 

 

 

청색

11. 나마

5

 

 

 

 

 

 

 

 

 

 

 

 

 

12. 대사

6

 

 

 

 

 

 

 

 

 

 

 

 

 

황색

13. 사지

7

 

 

 

 

 

 

 

 

 

 

 

 

 

14. 길사

8

 

 

 

 

 

 

 

 

 

 

 

 

 

15. 대오

9

 

 

 

 

 

 

 

 

 

 

 

 

 

16. 조오

10

 

 

 

 

 

 

 

 

 

 

 

 

 

17. 조위

11

 

 

 

 

 

 

 

 

 

 

 

 

 




화백회의: 만장일치로 국가 중대사 결정.

성골

김씨 왕족 중 왕이 될 자격을 가진 최고의 신분. 족내혼에 의해 후에 소멸.

진골

성골 소멸 후 왕위에 오름. 왕비족 박씨와 본가야 출신 신김씨도 포함. 중대에는 무열계가 하대에는 원성계가 왕위에 올라 왕위쟁탈전의 원인을 제공. 잘못을 저지르면 6두품 강등.

6두품

득난 신분. 군단장, 부의 장관도 될 수 없어 학문이나 종교 방면으로 진출.

4-5두품

실무진. 외위제에 의해 편제된 지방민 촌주는 4-5골품.

1-3두품

율령 반포 초기에 평민을 3등분하였으나 후에 소멸. 노비는 골품에 포함않음.

성립: 사로 6촌의 부족 회의인 남당에서 유래하여, 귀족(대등)과 의장(상대등)으로 구성.

장소: 4영지(청송산, 피전, 우지산, 금강산)

사례: 진지왕(576579)을 화백 회의를 통하여 폐위.

화랑: 진골 출신 화랑 1, 지도승려 낭도 1, 수많은 낭도로 구성

성격

계급간 갈등을 조절, 사회 중견인 양성 기능이 있었으나 통일후 약화

정신

최치원의 난랑비문(현묘한 도 화랑도), 세속오계(원광법사가 유불도를 수용하여 사군이충, 사친이효, 교우이신, 임전무퇴, 살생유택), 임신서기석(진평왕, 612)

 

3. 남북국의 사회상

통일신라의 사회 모습

민족 통합 노력

관직 지급: 통일 과정에서 백제와 고구려의 옛 지배층에게 신라 관등 부여.

사회의 변화

진덕 여왕 이후부터 진골이 왕위 독점. 김씨가 권력 독점.

6두품: 국왕의 정치적 조언자, 하대에 왕권이 붕괴하자 호족과 연결.

31두품의 구분이 사라짐.

귀족 일부 숙청: 신문왕 때 왕권 강화에 장애가 되는 진골 귀족 일부를 숙청.

호족: 선종풍수. 진골 귀족에 대항, 지방의 징세군사 장악. 새로운 관료제를 만들고 지방에 학교.

 

발해의 사회

지 배 층

왕족과 고씨를 비롯한 고구려계 사람들과 말갈족의 일부

피지배층

농민은 촌장이 다스리고 촌락구조는 고구려나 말갈족의 전통을 오랫동안 유지

 

통일 신라인의 사회: 수도 금성을 중심, 지방 문화의 중심지인 5소경에는 귀족이 거주.

귀족의 생활

주거 생활: 귀족들은 금입택에서 노비와 사병 다수를 거느림.

수입원: 지방의 대토지와 목장, 서민 상대의 고리대업.

사치품 선호

흥덕왕의 사치 금지령

배경: 사치 풍조가 신분 구분을 문란하게 할 상황에 이르렀다.

결과: 실효를 거두지는 못하였으며, 소박함과 강인함은 서서히 사라져 갔다.

평민의 생활

빈곤한 생활: 평민의 대부분은 자신의 토지를 경작하며 근근히 생활. 가난한 농민들은 귀족의 토지 를 빌려서 생활.

노비로 전락: 귀족에게 빌린 빚을 갚지 못하여 노비로 전락.

신라 말의 사회 문란: 호족의 등장, 원종과 애노의 난 죽주 기훤, 원주 양길, 전주 견훤의 봉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