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삼국 문화의 성격
⑴ 삼국 문화의 특징
① 고구려: 중국과 대결하는 동안 중국 문화를 비판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었기 때문에 개성 있고 패기와 정열이 넘쳤다.
② 백제: 중국 문화의 수입과 전달에 활약하면서 우아하고 세련된 문화를 이루었으나, 지방의 토착 문화 를 충분히 육성하지 못하였다.
③ 신라: 초기에는 소박한 옛 전통이 남아 있었으나, 후기에는 고구려와 백제의 영향으로 패기를 담을 수 있었다.
⑵ 통일 신라 문화의 성격
① 민족 문화의 토대 확립: 고구려와 백제의 문화를 융합.
② 국제 문화 조류에 참여: 당 문화를 중심으로 한 국제 문화 조류에 참여.
③ 조형 미술의 발달(중대): 조형 미술 중심이었으나, 종교의 영향으로 불교 미술과 고분 중심 발달.
④ 불교 중심․귀족 중심의 문화: 이상과 현실이 조화를 이루고 통일과 균형의 미를 통해 불국토의 이상 을 실현하려는 의도를 보여 준다. 예술 분야에서는 진골뿐만 아니라 6두품도 부각.
⑤ 민간 문화의 수준 향상: 불교가 민간에까지 널리 퍼져 민간 문화 수준이 한층 높아졌다.
⑶ 발해 문화의 성격
① 발해 문화의 기반
㉠ 귀족 문화의 발달: 수도 상경은 만주 지역의 문화적 중심지.
㉡ 당의 문화 수용: 문왕 때 당과 외교 관계를 맺은 후 당의 문화 수입.
㉢ 고구려 문화의 토대: 발해는 고구려 문화의 토대 위에 당의 문화를 흡수하여 재구성.
ⓐ 고구려의 영향: 온돌 또는 와당, 석등 등 미술 양식이나 굴식 돌방무덤의 구조.
ⓑ 당의 영향: 상경의 주작 대로, 벽돌무덤, 3성 6부, 한학의 발달 등.
② 발해 문화의 한계성: 저변에 소박한 말갈 문화가 광범위하게 깔려 있어서 문화 전반을 보다 높은 수준 으로 끌어올리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2. 학문․사상․종교
⑴ 고대 문화의 이해: 철기시대부터 한자를 사용
고구려 | 귀족중심 교육 문무일치 교육 수도중심 교육 | ∙태학(국립대학, 소수림왕, 372) - 유교경전, 역사 ∙경당(지방사립, 장수왕, 472) - 평민 입학 가능, 한학과 무술 ∙한학: 광개토 대왕비, 중원 고구려비에서 한학의 발달을 엿볼 수 있다 | ||||||||||||||||||||||||||
백제 | ∙북위에 보낸 국서(개로왕) - 세련된 한문 ∙사택 지적비 - 한자로 불당 건립의 내역 기록 ∙5경(시경․서경․역경․예기․춘추)박사, 의박사, 역박사 - 유교경전과 기술학 교육 | |||||||||||||||||||||||||||
신라 | ∙임신서기석, 화랑도, 한자와 이두 | |||||||||||||||||||||||||||
통일신라 |
∙ 독서삼품과(원성왕, 788)
의의: 학문과 유학을 널리 보급시키는데 이바지. 한계: 골품 제도 때문에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함. | |||||||||||||||||||||||||||
발해 | 주자감(국립 대학, 문왕) - 귀족자제에 유교경전 교육 발해문자: 그러나 외교문서나 공식기록에서는 한자 |
⑵ 역사편찬
고구려 | 백제 | 신라 |
?, ?, 유기 영양왕(7C), 이문진, 신집5권 | 근초고왕(4C), 고흥 서기 | 진흥왕(6C), 거칠부 국사 |
② 통일 신라
㉠ 역사가: 진골 출신의 김대문이 있다.
㉡ 작품: 화랑들의 전기를 모은 「화랑세기」, 유명한 승려들의 전기를 모은 「고승전」, 한산주 지방의 지리지인 「한산기」, 신라에 관한 「계림잡전」 등이 전하지 않는다.
⑶ 유학의 보급
① 중대: 6두품 출신이 다수. 강수와 설총.
② 하대
㉠ 도당유학생(숙위학생): 김운경, 최치원 등이 유명. 발해에서도 신라보다는 적지만 빈공과 합격자 배출.
㉡ 최치원
ⓐ시무 10조 건의: 당에서 빈공과에 급제하고 이름을 떨친 후 귀국하여 시무 10조를 진성 여왕에게 건의하였으나 수용되지 않음. 그 후 은둔 생활을 하며 저술.
ⓑ 경향: 유학자이면서 불교와 도교에도 조예가 깊었다.
저자 | 저서 | 의의 |
김대문 | 악본, 고승전, 한산기, 계림잡전, 화랑세기 | 우리문화를 주체적으로 인식 |
최치원 | 계원필경(토황소격문) 일부 전함, 사산비문 | 유교정치이념, 중국문화를 모방하는 단계 |
설 총 | 화왕계(풍왕서), 이두 | 유교정치이념, 중국문화의 폭넓은 이해 |
강 수 | 답설인귀서, 청방인문서 | 외교문서의 대가, 유교 강조 |
김 암 | 둔갑입성법 | 김유신의 손자로 음양가법의 대가 |
김 생 | ① 신품사현(왕희지채) ② ‘해동서성’, ‘해동필명’ ③ 「원화첩」 - 통일신라시대 글씨집(부전) ④ 「집자비문」 - 고려시대 쓴 글씨집(현전) ⑤ 낭공대사비 |
③ 신라의 학자
④ 발해
㉠ 당의 빈공과 급제: 유학생 중 급제자가 나왔고, 이거정 등은 귀국하여 유교 지식인으로 활동.
㉡ 문자: 동경성(상경)에서 발견된 압자와를 통하여 독자적 문자 확인 가능. 외교 문서나 공식 기록에 는 한문 사용.
⑷ 원시 종교
① 삼국의 민간 신앙: 천신, 일월신, 산신, 해신 등.
② 삼국 지배층의 시조 신앙
㉠ 고구려: 주몽을 모신 고등신, 주몽의 어머니를 모신 부여신
㉡ 백제: 동명신, 온조신, 고이왕을 모신 구이신
㉢ 신라: 박혁겨세신, 김씨의 시조를 모신 신궁 건립
⑸ 불교의 수용(삼국시대)
① 불교
| 고구려 | 백제 | 신라 |
전래 과정 | 소수림왕(372)때 전진의 순도 | 침류왕(384)때 동진의 마라난타 | 눌지왕(5C)때 고구려의 묵호자가 전래 → 법흥왕(535)때 이차돈의 순교(527)로 공인. |
특징 | 북위 불교의 영향, 삼론종 | 남조 불교의 영향, 왕실보다 귀족층에서 환영, 계율종 | 법흥왕~진덕여왕: 불교식 왕명 (왕즉불사상) 진종설, 미륵불 신앙과 업설, 세속5계 진흥왕때 교단정비(국통주통군통) |
② 도교: 고구려만 정책으로써 성행(연개소문의 귀족억제첵 ↔ 불로장생에 대항키 위해 보덕, 열반종 개창)
| 유물․내용 |
고구려 | 강서고분의 사신도, 을지문덕의 5언시(도덕경의 내용이 반영) |
백 제 | 산경문전, 사신도, 사택지적비, 무령왕릉 지석, 산수무늬 벽돌, 금동대향로 |
신 라 | 화랑도를 국선도․풍류도라 지칭하여 도교의 전래를 알 수 있다, 세속 5계 |
통일신라 | 신라 중대에는 귀족 문화의 발달로 지배층은 사치. 말기에는 향략적인 것에 반발하는 은둔적인 경향이 생겨 노장 사상이 널리 퍼짐. 최치원의 4산 비명이나 12지 신상. |
발 해 | 정효 공주 묘지의 불로장생 사상 |
③ 삼국 불교의 특징
㉠ 왕실․귀족 불교, 호국 불교, 샤머니즘적 성격, 현세 구복적 성격.
㉡ 사상적 통일 곤란: 우리나라에는 대승 불교와 소승 불교가 뒤섞여 들어왓고, 대승 불교도 여러 종 파도 나뉘었기 때문이다.
④ 불교의 발전
㉡ 백제 성왕의 불교 장려: 겸익은 인도에서 율종 관계의 불경을 가지고 돌아와서 번역. 한편 일본에 불교를 전해 주었으면 많은 승려를 보내어 일본 불교의 기초를 닦아 주었다.
⑹ 불교 사상의 발달(통일신라와 발해)
① 통일신라의 명승
승려 | 업 적 |
원효 | ∙무열왕․문무왕 때의 명승으로 법성종(해동종) 개창. ∙「금강삼매경론」, 「대승기신론소」, 「화엄경소」, 「십문화쟁론」 ∙정토교를 보급하여 불교 대중화에 기여. → 화쟁사상+통불교사상 ∙「화엄경」을 최고로 보아 화엄승으로 간주 ∙화엄사상 = 대승기신론소+십문화쟁론 → 불교의 종합화&민중화: 고려 전기 의천의 통합사장(천태종)에 영향 ∙정토신앙 → 염불만으로 극락에 갈 수있다 ∙고려시대에 화정국사로 추앙(진흥왕 때 주통․승통․군통제도 有) ․ 비유학파 ∙원효의 아들 설총 |
의상 | ∙「화엄일승법계도」로 화엄사상 정립, 해동 화엄종의 시조(아미타 신앙, 관음신앙) 이 시기부터 불 교는 대중화. ∙부석사 등 여러 사원 건립 |
원측 | ∙도당하여 유식불교 연구, 당의 수도에 있는 서명사에서 자신의 학설을 강의. 현장의 사상을 계승 한 규기와 논쟁하면서 교리 이해의 우위성 나타냄. |
혜초 | ∙왕오천축국전(1908년 프랑스의 펠리오가 돈황석굴에서 일부 발견하여 파리에 소장중) |
② 발해의 불교: 수도 상경에서 10여 개 웅장한 절터와 불상 발굴. 대표적 승려는 정소.
⑺ 선종(하대)과 풍수지리설
구분 | 개창자 | 중심 사찰 | 구분 | 개창자 | 중심 사찰 | 비고 |
열반종 | 보덕 | 경복사(전주) | 가지산 | 도의 | 보림사(장흥) | 최초 개창 |
계율종 | 자장 | 통도사(양산) | ||||
실상산 | 홍척 | 실상사(남원) |
| |||
법성종 | 원효 | 분황사(경주) | ||||
동리산 | 혜철 | 태안사(곡성) | 호족 | |||
화엄종 | 의상 | 부석사(영풍) | ||||
봉림산 | 현욱 | 봉림사(창원) |
| |||
법상종 | 진표 | 금산사(김제) | ||||
사자산 | 도윤 | 흥녕사(영월) | 호족 | |||
* 열반종, 계율종은 통일 전 에 개창
| ||||||
사굴산 | 범일 | 굴산사(강릉) | 진골 출신 6두품 | |||
성주산 | 무염 | 성주사(보령) | 진골 출신 6두품 | |||
희양산 | 도헌 | 봉암사(문경) |
| |||
수미산 | 이엄 | 광조사(해주) | 마지막 개창 |
① 선종의 전래
㉠ 선종의 성격: 실천적.
㉡ 성립: 최초의 본산은 도의가 개창한 가지산파, 그 후 이엄 의 수미산파까지 각지에 9산 문 성립.
② 선종 발달의 영향
㉠ 신라 말기 조형 미술의 쇠퇴: 선종은 불교 의식과 권위를 배 격하였기 때문에 조형 미술의 쇠태를 초래.
㉡ 지방 문화 역량의 중대
㉢고려 왕조 개창의 사상적 기반.
③ 풍수지리설: 선종승려 도선이 전래.
3. 과학기술
⑴ 천문학(농경)과 수학(건축)
① 천문학
㉠ 고구려: 고구려의 천문도와 고분벽화의 별자리
㉡ 신라: 선덕여왕 때의 첨성대(7C)
㉢ 통일 신라: 김암이 병학과 천문학에 조예가 깊었다.
㉣ 기록: 「삼국사기」에는 일․월식․혜성의 출현, 기상 이변 등의 기록이 매우 정확함.
㉤천문학 관측 목적: 천문 현상이 농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인식하였고, 아울러 왕의 권위를 하 늘과 연결시키려고 하였기 때문이다.
② 수학
㉠ 삼국 시대: 고구려 고분의 석실, 천장의 구조, 백제의 정림사지 5층 석탑, 신라의 황룡사 9층 목탑 등에 수학 지식이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 통일 신라 시대: 석굴암의 석굴 구조나 불국사 3층 석탑(석가탑)과 다보탑 등의 건축에는 정밀한 수학적 지식이 이용.
⑵ 목판인쇄술(불경 인쇄)과 제지술(닥나무)의 발달
① 무구정광대다라니경(8세기 초): 불국사 3층 석탑에서 발견된 世界最古 목판인쇄물.
② 구례 화엄사의 석탑에서 발견된 두루마리 불경에 쓰인 종이도 통일 신라 시대에 만들어진 것인데, 얇 고 질기며 아름다운 백색을 그대로 간직한 닥나무 종이이다.
⑶ 금속기술: 고구려(철 기술자 벽화), 백제(칠지도, 백제 금동대향로), 신라(금 세공), 통일신라(아연이 함유 된 청동 12만근 구리종 에밀레종)
⑷ 농업기술의 혁신(철제 농기구의 보급): 고(쟁기갈이, 4C부터 보습), 백(수리시설, 철농기구, 논농사), 신(지 증왕때 우경)
4. 유적․공예․작품
⑴ 고분(무덤)과 고분 벽화
국가 | 특 징 | ||
고구려 | 고분 | ┏ 초기(평양천도 전)에 돌무지무덤(석총) → 천도 후 굴식 돌방무덤(토총) ┓ ┗ 만주 집안의 장군총(7층) 만주 집안(12,000 여기), 평안도 용강, 황해도 안악 ┛ | |
벽화 | 무덤 주인의 생활 → 추상화되어 사신도. 쌍영총(여인도․무사도․우차도, 서역계통 전실, 모줄임 천장), 무용총(무용도, 수렵도), 각저총(씨름도), 강서대묘(사신도), 삼실총(만주 통구지방, 무사․역사) | ||
백 제 | 고분 | 한성시대 | 계단식 돌무지 무덤(석촌동 고분, 고구려와 같은 계통) |
웅진시대 | 굴식 돌방무덤(송산리 고분), 벽돌무덤(남조의 영향, 무령왕릉) | ||
사비시대 | 굴식 돌방무덤(능산리 고분) | ||
벽화 | 돌방무덤과 벽돌무덤의 벽과 천장에 부드럽고 온화한 사신도와 벽화 | ||
신 라 | 고분 | 거대한 돌무지 덧널무덤, 통일 직전에는 굴식 돌방무덤도 | |
벽화 | 돌무지 덧널무덤에는 벽화가 없다. 고구려 경계지역의 굴식 돌방 무덤에서는 어쩌다 나옴 | ||
통 일 신 라 | 고분 | 불교식 화장, 작은 굴식 돌방무덤(둘레돌에 12지 신상), 풍수지리 영향으로 왕릉은 외딴곳 | |
벽화 | 6세기 전반 이후로 경주에서는 굴식돌방무덤, 지방에서는 고분이 소멸. 벽화는 거의 없음. | ||
발 해 | 고분 | 정혜공주묘는 굴식 돌방무덤(모줄임 천장구조) | |
벽화 | 정효공주묘(벽돌무덤)에서 묘지와 벽화 |
구분 | 고분 양식 | 대표적 고분 | 벽화 | 특징 | |
고구려 | 초기 | 돌무지무덤 | 장군총 | × |
|
후기 | 굴식 돌방무덤 | 강서대묘, 쌍영총 | ● | 도교적 성격, 서역 계통 영향 | |
백제 | 한성 | 돌무지무덤 | 석촌동 고분 | × | 고구려 초기 고분과 유사 |
웅진 | 굴식 돌방무덤 | 송산리 고분 | ● | 규모가 큼, 고졸(古拙) | |
벽돌무덤 | 무령왕릉 | × | 남조의 영향, 지석 출토, 오수전 출토 | ||
사비 | 굴식 돌방무덤 | 능산리 고분 | ● | 규모가 작음, 세련 | |
신라 | 일반적 | 돌무지덧널무덤 | 천마총, 호우총 | × | 부장품 보존 |
통일 직전 | 굴식 돌방무덤 | 어숙묘 | ● | 고구려․백제의 영향 | |
통일 신라 | 굴식 돌방무덤 | 김유신묘, 성덕대왕릉, 괘릉 | × | 12지 신상 조각, 둘레돌 | |
화장법 | 문무왕릉 | × | 호국적 성격 | ||
발해 | 굴식 돌방무덤 | 정혜 공주 묘(육정산 고분) | × | 고구려 영향, 돌사자 출토 | |
벽돌무덤 | 정효 공주 묘(용두산 고분) | ● | 당의 영향, 도교적 |
궁전건축 | 고구려 | 장수왕이 평양에 세운 안학궁에 남진 정책의 기상이 엿보인다 |
사원건축 | 백 제 | 미륵사는 무왕(7세기)이 추진한 부흥을 반영 |
신 라 | 진흥왕(6C)에 세운 황룡사 | |
탑 | 고구려 | 목탑이 부전 |
백 제 | 미륵사지 석탑(7층) → 정림사지 5층석탑 | |
신 라 | 황룡사 9층목탑, 분황사 모전석탑, 첨성대, 천마총 | |
가옥건축 | 고구려 | 고구려 고분 벽화에 그 구조가 일부 보인다. |
통일 신라 | 사원건축 | 불국사, 석굴암 |
조경술 | 안압지 | |
탑 | ∙감은사지 3층석탑: 통일 신라 초기의 대표적인 장중하고 웅대한 탑. ∙석가탑(불국사 3층 석탑), 다보탑, 화엄사 4사자 3층석탑 ∙양양 진전사지 3층석탑: 기단과 탑신의 부조 불상. | |
승탑․탑비 | 팔각원당형의 승탑, 탑비 - 호족들의 역량 | |
발해 | 궁궐터 | 상경은 당의 장안을 본떴음 - 외성, 주작대로 안에 궁궐과 사원 |
절터 | 단위에 금당을 짓고 좌우에 건물을 배치, 회랑으로 건물연결 |
⑶ 불상과 공예
조각 | 고구려 | 금동미륵반가상, 연가칠년명금동여래입상 |
백 제 | 금동미륵반가상, 서산 마애삼존불상, 조각가 아비지(황룡사 9층탑) 유명 | |
신 라 | 금동미륵반가상, 경주 배리 석불입상, 조각가 양지(승려) 유명 |
통일 신라 | 조각 | 석굴암 | 김대성이 불국사와 함께 완성 |
만불상 | 경덕왕때 목과 옥으로 만든 인조산 | ||
불상 | 석굴암 석가본존여래상, 불국사 비로자나불좌상, 백률사 약사여래상 | ||
무령왕릉비 받침 | 귀부(받침)와 이수(용튼머리)가 남아있음 | ||
기타 | 성덕 대왕릉 둘레돌 조각, 불국사 석등․법주사의 쌍사자 석등 | ||
공예 | 상원사종 | 현존 最古 신라범종(성덕왕) | |
봉덕사종 | 혜공왕때 김필혜 제작. 성덕대왕신종, 에밀레종. | ||
발해 | 조각 | 석등, 상경․동경의 절터에서 발견된 흙을 구워 만든 이불병좌상, 소박하고 힘찬 기와․벽돌 | |
공예 | 발해의 자기는 가볍고 광택이 있음 |
⑷ 글씨(서체)․그림과 음악
① 삼국시대의 글씨
㉠ 고구려: 광개토대왕 비문(웅건한 서체)
㉡ 통일 신라: 김생(질박하면서도 굳센 독자적 서체), 김인문(무열왕릉비문, 화엄경 석경- 왕희지체), 요극일(구양순체)
② 신라의 회화: 솔거(황룡사 벽의 소나무), 천마도(신라의 힘찬 화풍), 화엄경 변상도(섬세, 유려)
③ 통일 신라의 회화: 김충의가 당에서 이름을 날림. 하대에는 불화뿐만 아니라 귀족이나 승려의 초상화 도 그려졌다.
③ 삼국의 음악․음악가
㉠ 고구려: 관현타악기 17종이 있었고, 왕산악이 진의 칠현금을 개량하여 거문고를 만들고 작곡.
㉡ 백제: 일본에 악공․악기․악사 전파
㉢ 신라: 옥보고가 신라 음악에 맞는 30여곡 작곡․거문고 연주, 우륵은 가야금을 만들고 12악곡 작 곡, 백결의 방아타령.
㉣발해: 발해악은 일본에 전파, 발해의 악기는 뒷날 송의 악기 제작에 영향.
㉤ 특징: 음악과 무용은 종교 및 노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고구려 고분 벽화에는 춤추는 장면이 있 으며 화랑들도 가무를 즐겼다고 한다.
⑸ 한문학과 향가의 발달
① 발해의 한문학은 4․6 변려체로 쓰인 정혜공주와 정효공주의 묘, 시인 양태사가 유명.
5. 일본에의 문화 전파
⑴ 삼국문화의 일본전파(아스카 문화의 형성에 영향)
우리나라의 시대 | 형성된 일본 문화 |
신석기 시대 | 조몬토기 문화 |
청동기 시대 | 야요이 문화 |
가야 토기 | 스에키 문화 |
삼국 시대 | 아스카 문화 |
통일 신라 시대 | 하쿠호 문화 |
삼 국
시 대 | 백 제 | 전파자 | 전파 시기 | 전파 내용 | 야 마 토 정 권 |
아직기 | 근초고왕 | 일본 왕자(菟道太子)의 스승으로 한문 교육. | |||
왕인 | 근구수왕 | 논어, 천자문을 전함. | |||
단양이 | 무령왕 | 5경 박사로 유학을 전함. | |||
고안무 | 무령왕 | 5경 박사로 유학을 전함. | |||
노리사치계 | 성왕 | 불상과 불경을 전함. | |||
혜총 | 위덕왕 | 계율종을 전함. | |||
관륵 | 무왕 | 천문, 지리, 둔갑술 등을 전함. | |||
∙아직기, 왕인 → 아스카 문화형성에 영향 ∙불경, 불상, 오경박사, 의박사, 역박사, 화가, 공예기술자 파견 → 삼국중 최대영향 ∙일본에서 5층탑 많이 건축, <백제가람>이라는 건축양식 유행 | |||||
고구려 | 혜자 | 영양왕 | 쇼토쿠 타이시의 스승. | ||
담징 | 영양왕 | 호류지 금당 벽화를 그렸고, 종이․먹․붓․맷돌 전함. | |||
혜관 | 영류왕 | 삼론종의 개조 | |||
도현 | 보장왕 | 「일본서기」 저술 | |||
∙혜자: 쇼토쿠타이시의 스승 ∙담징: 5경, 호류지 금당벽화, 종이․먹 제조법 ∙강서고분: 타카마스 고분벽화(사신도) → 고구려계통의 기마민족 문화 영향 입증 | |||||
| 신 라 | ∙조선술, 축제술(한인의 연못) ∙일본의 미륵보살반가사유상은 신라의 것과 거의 흡사 |
우리나라의 시대 | 형성된 일본 문화 |
신석기 시대 | 조몬토기 문화 |
청동기 시대 | 야요이 문화 |
가야 토기 | 스에키 문화 |
삼국 시대 | 아스카 문화 |
통일 신라 시대 | 하쿠호 문화 |
삼 국
시 대 | 백 제 | 전파자 | 전파 시기 | 전파 내용 | 야 마 토 정 권 |
아직기 | 근초고왕 | 일본 왕자(菟道太子)의 스승으로 한문 교육. | |||
왕인 | 근구수왕 | 논어, 천자문을 전함. | |||
단양이 | 무령왕 | 5경 박사로 유학을 전함. | |||
고안무 | 무령왕 | 5경 박사로 유학을 전함. | |||
노리사치계 | 성왕 | 불상과 불경을 전함. | |||
혜총 | 위덕왕 | 계율종을 전함. | |||
관륵 | 무왕 | 천문, 지리, 둔갑술 등을 전함. | |||
∙아직기, 왕인 → 아스카 문화형성에 영향 ∙불경, 불상, 오경박사, 의박사, 역박사, 화가, 공예기술자 파견 → 삼국중 최대영향 ∙일본에서 5층탑 많이 건축, <백제가람>이라는 건축양식 유행 | |||||
고구려 | 혜자 | 영양왕 | 쇼토쿠 타이시의 스승. | ||
담징 | 영양왕 | 호류지 금당 벽화를 그렸고, 종이․먹․붓․맷돌 전함. | |||
혜관 | 영류왕 | 삼론종의 개조 | |||
도현 | 보장왕 | 「일본서기」 저술 | |||
∙혜자: 쇼토쿠타이시의 스승 ∙담징: 5경, 호류지 금당벽화, 종이․먹 제조법 ∙강서고분: 타카마스 고분벽화(사신도) → 고구려계통의 기마민족 문화 영향 입증 | |||||
| 신 라 | ∙조선술, 축제술(한인의 연못) ∙일본의 미륵보살반가사유상은 신라의 것과 거의 흡사 |
⑵ 통일 신라 문화의 일본 전파(하쿠호 문화의 성립에 기여)
① 견당사와 함께 견신라사를 자주 보내어 신라문화수입에 노력
② 원효, 강수, 설총 등은 불교․유교문화 전파 → 하쿠호 문화 성립
③ 심상의 화엄종(의상) 전파 → 일본 화엄종 성황
⑶ 헤이안 시대: 8세기 말에 이르러 일본이 수도를 헤이안으로 옮긴 뒤부터는 외국 문화의 영향에서 벗어 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한국사 > 고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사시대,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철기, 고조선, 부여, 옥저, 삼한 (0) | 2018.12.02 |
---|---|
고대의 정치 2 - 대외항쟁, 삼국통일 과정, 부흥운동, 남북국시대, 통치체제, 신라하대, 호족, 후삼국시대 (0) | 2018.12.02 |
고대의 정치 1 - 삼국시대, 가야연맹(금관가야, 대가야), 통치체제, 중앙관제, 외교 (1) | 2018.12.01 |
고대의 경제 1 - 농기구, 수공업, 수취체제, 조세, 대외무역, 농업정책, 상업, 생활상, 농축산업, 어업 (0) | 2018.12.01 |
고대의 사회 1 - 신분제, 생활상, 골품제, 남북국, 발해 등 (0) | 2018.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