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우리 역사의 시작
1. 다른 나라의 선사시대
⑴ 최초의 인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 300~350만년전 | 최초의 인류, 간단하고 조잡한 도구 사용 |
|
호모 하빌리스 | 200만년전 | 도구의 인간 | 전기 구석기 |
호모 에렉투스 | 70만년전 | 곧선사람(언인), 불과 언어사용, 베이징인․자바 인․하이델베르크 인 등 | |
호모 사피엔스 | 20만년전 | 슬기사람(고인), 시체매장, 네안데르탈인 등 | 중기 구석기 |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 4만년전 | 슬기슬기사람(신인), 현생인류 조상, 크로마뇽인 등 | 후기 구석기 |
⑵ 신석기→청동기
① BC 8000년 경에 신석기 시작. 신석기 혁명 발생- 중동 지방의 비옥한 초승달 지대․중국․동남아 등 지에서 농경과 목축의 시작.
② BC 3000년 경에 4대문명 형성: 벼농사(관개농업) 발달, 문자 사용, 청동기 보급, 국가의 형성, 역사시대 의 도래.
2. 우리나라의 선사시대
⑴ 우리 민족의 최초 조상
① 한민족의 분포: 중국 요령․지린성 지방, 만주와 한반도 일대에 분포하여 독자적인 동이 문화권 형성.
구석기인 | 한반도에 최초로 살기 시작하였으나 우리 민족의 조상은 아님 |
신석기인 | 고아시아족(빗살토기인)=근간 |
청동기인 | 알타이어계의 예맥족=주류 |
신석기+청동기인 | 우리민족의 기틀 형성: 동이족, 맥족, 예맥족, 한족(韓族) |
⑵ 구석기인의 발자취(~ BC 10000)
① 구석기의 특징
㉠ 전기: 한 개의 큰 석기를 다양한 용도로 이용.
㉡ 중기: 격지들을 가지고 잔손질을 하여, 크기는 작아지고 한 개의 석기가 하나의 쓰임새를 가지게 됨.
㉢ 후기: 같은 형태로 여러 개의 돌날격지를 제작, 사용.
② 구석기의 종류와 용도
㉠ 사냥용: 양면핵석기(주먹도끼), 타제석기(찍개), 첨두기(찌르개), 팔매돌, 슴베찌르개
㉡ 요리용: 긁개, 밀개, 자르개
㉢ 공구용: 새기개 등이 수양개 유적에서 발견.
③ 구석기 유적지
㉠ 화석
ⓐ 창원 두루봉 동굴, 평양 만달리 유적: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의 두골 발견.
ⓑ 덕천 승리산 동굴: 덕천인(중기 구석기, 호모 사피엔스)의 견골 발견
ⓒ 단양 상시리 금굴: 最古 구석기 유적지, 머리뼈(호모 사피엔스), 70~60만년 전의 유적. 포유 동물 화석 등 발견.
시기 | 유적지 | 유물 |
전기 | 충북 단양 금굴 | 最古 구석기 유적지, 머리뼈(호모 사피엔스), 70~60만년 전의 유적 포유 동물 화석 등 발견 |
경기 연천 전곡리 | 유럽식 아슐라인계 양면핵석기, 동아시아식 찍개 문화 한탄강에서 동시 발견 | |
평남 상원 검은모루 동굴 | 1966년 발견. 60~40만년 전의 동물 화석과 뗀석기. | |
중기 | 웅기 굴포리 | 덕천인(중기 구석기, 호모 사피엔스): 견골 승리산인(후기 구석기,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 인골 |
제원 점말 동굴 | 1973년 발견. 사람의 얼굴을 새긴 코뿔소 뼈 출토 | |
강원 양구 상무룡리 |
| |
후기 | 충북 단양 수양개 | 몸돌․돌망치가 발견되어 후기 구석기 시대의 석기 제작소임이 판명 |
공주 석장리 | 구석기 전 시대 출토, 찍개문화, 선각화, 후기 집터(평지 거주지, 불 땐 자리) | |
제주 빌레못 유적 | 1973년 발견. 혈거 유적지, 동물 화석 발견 | |
황해 평산 해상리 | 곰뼈 화석 발견 | |
함북 종성 동관진 | 최초로 1933년 발견 한반도의 구석기 존재를 최초확인 골각기, 석기, 매머드․들소․털코뿌이 화석 ⇨ 홍적세 제4빙기 (신석기인 - 충적세) |
⑶ 구석기인의 생활상
① 구석기인은 곧선사람(호모 에렉투스)로서 불과 언어 사용.
② 주거: 바위그늘, 동굴 → 후기에 강가 의 평지에 막집(3~10명). 막집에서 기둥, 담, 불땐자리 발견.
㉠ 막집 유적: 상원 검은모루, 제천 창내, 공주 석장리
③ 채집, 수렵, 어로 생활을 하는 평등사회
④ 예술: 석회암․동의 뼈와 뿔 조각품, 공주 석장리․단양 수양개에서 고래와 물고기 그림․조각 발견(주 술적).
⑷ 중석기(BC 10000~8000)
① 유물: 세석기(톱, 낫, 활, 작살) → 복합연장(이음도구)
② 유적: 통영 상노대도(패총), 거창 임불리, 홍천 하화계리, 북한에는 웅기 부포리와 평양 만달리.
⑸ 신석기인의 발자취(BC 8000~1000)
시기 | 토기 | 톡징 | 유적지 |
전기 (BC 8000 ~4000) | 이른민무늬, 덧무늬토기의 선즐문 | ∙굵은 태토로 만든 작고 소박한 토기로 동해안을 따라 일부 지역에 존재
| 양양 오산리, 웅기 굴포리 서포항, 고성 문암리, 동삼동, 제주 고산리, 만포진, 조도 |
중기 (BC 4000 ~2000) | 빗살무늬(기하문) | ∙어골문이 새겨진 타원형의 회색토기로 스칸디나비아에서 내몽고․시 베리아․연해주․한반도 → 죠몬 토기 ∙어로민이나 수렵민이 제작 ∙굵직한 강들에 집중 ∙V자형의 회색 사토질 토기
| 평남 청호리, 평양 남경, 서울 암사동, 경기 미사리, 웅기 굴포리, 부산 동삼동, 김해 수가리 |
후기 (BC 1800) | 번개무늬, 물결무늬, 평저 빗살 | ∙중국 채도문화, 평평한 밑바닥의 U형 ∙BC 10C에 나타난 무문토기인에 흡수 ∙황해도 봉산 지탑리 에서는 탄화된 조․피․수수가 출토되어 농경생 활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 암사동, 궁산리, 황해도 지탑리, 부산 다대동, 부천 시도, 춘천 교동 |
① 신석기시대의 특징
② 신석기시대의 토기(간석기)
㉠ 종류: 돌낫(추수용), 돌화살촉, 돌도끼, 그물돌추, 맷돌, 돌괭이, 갈돌과 갈판(곡식을 갈아서 요리)
㉡ 영향: 신석기 시대 사람들은 부러지거나 무디어진 도구를 다시 갈아 손쉽게 사용, 단단한 돌․무른 돌 모두 이용.
⑹ 신석기인의 생활상
① 농경 시작, 채집도 중요.
㉠ 사냥: 활이나 창으로 사삼류와 멧돼지 사냥.
② 고기잡이, 조개류(굴, 홍합류를 먹고, 때로는 깊은 곳에 사는 조개류를 따서 장식으로)
② 직조문화: 가락바퀴, 뼈바늘, 그물돌추.
③ 잡곡경작: 봉산 지탑리, 남경에서 탄화된 조․피․수수 등 발견.
④ 석제 농기구를(돌괭이, 돌낫, 돌보습, 돌낫, 맷돌) 사용하였고, 목제 농기구의 사용 가능성도 있음. 산돼 지 이빨로 만든 낫도 출토. 전북 진안 정천면 모정리에서는 농경 굴지구 발견.
⑤ 주거: 원형이나 사각형 평면의 움집(4~5명), 남쪽 출입문, 화덕, 경사, 저장시설(문․화덕 옆).
⑥ 족외혼을 하는 폐쇄적인 독립사회의 씨족사회, 평등한 모계사회, 자연숭배, 영혼 숭배, 조상 숭배, 샤머 니즘, 애니미즘, 토테미즘.
⑦ 매장: 토장묘(=토묘, 웅기 유적에서는 머리를 동쪽으로 향하게 하고 화살촉 등 발견), 세골장(울진 후포 의 경우로 자연적인 구덩이 이용)
⑧ 후기의 유물: 암각화- 울주, 패면- 인천 옹진 소야도, 토면- 동물 조각, 치레걸이
신석기 | 부평 시도, 청진 농포동, 웅기 굴포리, 동삼동, 온천 궁산리 등 |
청동기 | 안면도, 몽금포, 양산, 김해 등 유적이 거의 없음. |
(초기)철기 | 삼천포, 고성, 웅기, 양산, 웅천, 김해 등 남동해안에 집중 출토되는데 특히 김해 패총에서는 탄화된 쌀알과 왕망전(신나라 화폐) 출토. |
⑨ 신석기인은 예맥족의 바탕.
구분 | 대표적 유적지 |
북한 | 평북 강계 공귀리, 의주 미송리, 함북 회령 오동리, 나진 초도, 평양시 사동 구역, 금탄리와 남경 등 |
남한 | 충남 부여 송국리, 경기도 여주 흔암리, 파주 덕은리, 충북 제천 황석리, 전남 순천 대곡리 등 |
Ⅳ. 국가의 태동
1. 청동기 시대에서 국가형성: 청동기를 무기, 장식품, 사치품으로.
⑴ 청동기 시대(만주 BC 15~13C, 한반도 BC 10C~)
① 유물: 반달돌칼, 바퀴날 도끼, 홈자귀/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② 토기: 미송리식 토기(청천강 이북, 길림, 요령), 가락리식 토기, 민무늬 토기(화분형, 팽이형의 적갈색), 붉은 간토기.
③ 무덤: 고인돌널무지무덤
④ 특징: 사유재산, 계급발생, 선민사상, 군장국가
⑤ 분포: 비파형 동검․미송리식 토기가 만주~한반도 전역에서 출토되어 이 지역이 동일 문화권임을 설명. 비파형 동검․고인돌로는 고조선 세력범위 유추 가능.
시기 | 영향 | 생활 내용 | 사용된 토기 | 사용한 청동기 | 묘제 |
청동기 전기 (BC 900 ~ 300) | 북방 계통의 영향 | 농경 발달, 청동 문화, 한국의 청동기문화 모체 | 무문토기, 채문토기, 붉은 간토기 | 비파형(요령식) 동검, 거친무늬 거울, 아연 합금, 동물 장식(虎․馬) | 지석묘, 석상분, 적석분 |
청동기 후기 =초기 철기 (BC 300 ~ AD 100) | 독자적 발전 | 청동기문화 생활 향유와 일본 전파, 철기문화, 거푸집(용범) | 무문토기, 검은 간토기 | 세형동검, 잔무늬 거울 | 널무덤(토광묘), 독무덤(옹관묘) |
⑵ 철기문화(BC 400~)
① 전래: 중국의 전국 시대 혼란기에 유이민들이 전래하면서 사용(근거: 널무덤)
② 특징: 청동기의 의식용화, 철기의 농기구화.
③ 화폐: 명도전(연, 제), 오수전, 반량전(진)
④ 붓: 창원 다호리
⑤ 세형 동검, 잔무늬 거울, 거푸집
⑥ 토기: 민무늬 토기 다양화, 검은 간토기, 덧띠 토기, 가지무늬 토기.
⑶ 청동기와 초기 철기인의 생활
① 본격적 농경 시작: 돌도끼, 홈자귀, 괭이, 반달돌칼
② 저습지의 벼와 잡곡 밭농사(조․피․수수․보리․콩), 가축 사육
③ 주거: 지상 가옥. 배산임수의 집단 취락과 다양한 용도의 건물, 주춧돌, 벽면 화덕 보통의 주거는 4~8 명의 한 가족용. 저장 구덩도 따로 설치하거나 한쪽 벽면을 밖으로 돌출시켜 만듦. 제주시 삼양동에서 초기 철기 계급사회 집터 발견.
④ 가부장제, 계급분화(부장), 선민사상, 족장 또는 군장이 북부 지역에부터 등장.
⑤ 고인, 돌널무덤 → 널, 독무덤
㉠ 고인돌: 북방식(황해 안악), 남방식(전북 고창), 개석식(남방식과 같으나 받침돌이 없다)
⑥ 거석 숭배: 신성 지역이나 부족의 경계를 표시하는 선돌(立石) 숭배.
⑦ 우리나라는 철기 시대부터 문자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
고령 양전동 알터 | 원․삼각형 등의 기하학적 무늬가 태양숭배(애니미즘) |
울주 반구대 | 1971년 경북 울주에서 발견. 신석기 후기~청동기 시대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사냥 장면과 고기잡이 장면. 사냥감의 풍성함과 번식 기원. |
천전리 | 경북 울주군 천전리의 그림은 기하학적 무늬와 동식물 그림. 청동기에서 삼국시대로 진행되면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 |
칠포 | 국내 최대 규모. |
⑷ 청동기와 초기철기인의 예술활동
⑸ 고조선
① 형성
㉠ BC 2333년 아사달에서 청동기 문화를 기반으로 건국. 비파형 동검, 고인돌 등 독자적 문화.
㉡ BC 200년 경 부왕, 준왕: 부자상속, 상, 대부, 대신, 장군 등 관직, 지방관 도위 등 제도 정비.
② 발전: 요령 지방과 대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발전.
③ 대외 관계: 연나라와 대립, 주나라와 교섭.
⑹ 단군신화
① 사유재산, 계급사회, 농경생활을 바탕으로 하는 청동기 시대의 배경을 반영
② 단군신화를 전하는 고서: 「삼국유사」(13C 충렬왕), 「제왕운기」(13C 충렬왕), 「세종실록지리지」(15C 단 종), 「응제시주」(15C 세조), 「동국여지승람」(15C 성종, 부전), 「신증동국여지승람」(16C 중종) 등.
⑺ 기자조선
① 형성: 고조선 내부의 새로운 지배 세력으로 한씨 조선이라는 견해, 동이족의 이동 과정에서 기자로 상 징되는 어떤 부족이 중심이 되어 형성되었다는 견해가 있다.
② 「제왕운기」에는 기자 조선을 후조선이라 하고 준왕 때 망했다는 기록이 있다.
⑻ 위만조선
① 유이민의 이동
㉠ 1차 이동: 중국이 전국 시대 이후 혼란에 휩싸이자 유이민들이 대거 고조선으로 넘어왔다. 고조선 은 그들을 서쪽 지역에 살게 함.
㉡ 2차 이동: 진한 교체기에 또 이주. 위만은 1천여명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으로 들어옴.
① 형성: 준왕이 신임하여 위만에게 서방 수비를 맡겼더니 왕검성에 쳐들어가 준왕 축출하고 위만이 왕이 됨(BC 194).
② 성격: 단군의 고조선을 계승(위만은 입국할 때 상투와 조선인 옷․나라 이름을 그대로/그의 정권에는 토착민 출신의 고관이 다수)
③ 성장: 활발한 정복. 철제 수공업이 발달하고 예․진-한의 중계무역으로 성장.
③ 멸망: 고조선은 1차 접전(패수)에서 대승, 이후 약 1년간 한과 저항. 그러나 장기간의 전쟁으로 지배층 에 내분이 일어나 왕검성 함락(BC 108), 한 4군 설치(AD 313 소멸).
⑻ 고조선의 사회상과 문화
① 8조 금법: 사유재산, 화폐존재, 계급사회 → 한군현 설치 이후 60조로 증가, 풍속 각박
㉠ 8조 금법의 내용: 살인 → 사형, 상해 → 곡물, 절도 → 노비 또는 50만전
② 여옥이 지은 공후인(최표의 고금주), 공후
③ 말과 호랑이 조각품(영천 어은동)
2. 한 4군과 다양한 국가들의 성장
⑴ 한 4군의 설치
임둔군 | 함남 남부~강원 북부의 원산만 일대 → 대방군 (BC 82 폐지) |
진번군 | 자비령 이남~한강 이북의 황해도(BC 82 폐지) |
현도군 | 압록 중류~동가강 유역의 예백지방(BC 75 홍경․노성으로) |
낙랑군 | 구 고조선(AD 313 미천왕이 격파) |
① 한 4군
② 특징: 고대국가의 성립 지연, 철기문화, 한문문화.
③ 영향: 중국의 풍속이 유행, 법이 60개조로 증가, 농업생산력 급증, 민족의식과 함께 정치적으로도 자각.
④ 유적
㉠ 평양 토성리, 당토성에서 가옥․도로․구지 등이 발견
㉡ 돔․아치형의 목곽분과 전곽분, 最古 비석 용강군의 점제현신사비(5곡 풍성을 토속 산신에게 기원, AD 85)
㉢ 고분: 중국식 분묘인 목곽분과 전축분이 있다.
⑤ 유물
㉠ 와당: 문자, 봉니: 봉할때 쓰는 진흙(문자)
㉡ 박산로: 산악숭배사상의 봉황 구리 황로
㉢ 동경(용호 무늬), 채화칠협(충효의열 그림), 기타 전화, 오수전(왕망전), 화천(한 동전)
⑵ 부여(BC 100~AD 200 말)
① 형성: 만주 송화강 유역의 평야지대를 거점으로 성장, 1세기 초에 왕호 사용․중국과 외교.
② 정치: 중앙(왕)-4출도(마가․저가․우가․구가)의 5부 연맹체, 대사, 대사자, 사자 등의 관리. 왕이 나온 대표 부족의 세력은 매우 강해서 여러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③ 사회: 부장과 순장, 4대금법, 반농반목, 뇌옥, 친중, 하호는 양인농민
㉠ 4대금법(4조목): 살인 → 사형․사형자 가족은 노비, 절도 → 1책 12법, 간음․투기 부인 → 사형.
④ 문화: 흰옷숭상, 형사취수(일부다처제), 우제 점법, 명마, 제사에 조두, 은력사용, 12월의 영고, 금와전설.
⑤ 멸망: 3세기 말 북접하고 있던 선비족의 침략으로 문자왕(494)에게 복속.
⑶ 고구려(BC 37 졸본 → 압록강 가의 국내성(통구)로 옮겨 5부족 연맹 토대로 발전)
① 발달: 동으로는 옥저 정복, 한의 군현을 공략하였으며 요동까지 진출.
② 정치:
㉠ 5부: 5부(소노․계루․전로․순노․관노) → 고추가 → 가신(사자․조의․선인)
㉡ 왕: 왕 → 수상(상가, 대로, 패자) → 관리(주부․우태․승)
㉢ 제가 회의를 통해 사형과 노비 판결, 감옥은 없음.
③ 경제: 맥궁, 목축업
④ 사회: 가들은 책, 소가들은 소골, 귀족은 허리에 숫돌과 칼.
⑤ 문화: 부경, 후장, 귀족은 데릴사위(=예서=서옥)․형사취수/평민은 자유 교제로 결혼, 10월의 동맹(왕과 신하들이 국동대혈에 모여 제사).
⑷ 옥저
① 위치: 함경도 변방에 위치, 고구려에 복속.
② 정치: 왕은 없고 거수․후․읍군․삼로.
③ 경제: 오곡, 맥포, 소금, 해산물 공납, 凸자형․呂자형 집터.
④ 문화: 고구려와 같이 부여족의 한 갈래. 민며느리제(=예부), 가족공동묘(세골장), 쌀항아리 매달기
⑤ 멸망: 태조왕에게 복속.
⑸ 동예
① 위치: 강원도 북부의 동해안.
② 정치: 왕은 없고 거수․후․읍군․삼로
③ 경제: 농수산업, 방직(산누에) 발달, 단궁, 과하마, 반어피
④ 사회: 책화, 동성불혼, 씨족적 성격이 강함.
⑤ 문화: 호랑이신, 10월의 무천.
⑥ 멸망: 태조왕에게 복속.
⑹ 삼한(고조선 남방 지역에 있던 진국이 분화․발전)
① 삼한의 구성
㉠ 마한(54개국, 대전․익산(경기․충청․전라)): 중심국가 목지국⇨백제국. 백제로 발전. 수천~1만 호.
㉡ 변한(12개국, 김해․마산): 중심국가 구야국. 가야 연맹으로 발전. 6․700호~4․5천 호.
㉢ 진한(12개국, 대구․경주): 중심국가 사로국. 신라로 발전. 6․700호~4․5천 호.
② 정치: 제정분리(천군이 소도를 관장/신지․견지(大)-읍차․부례(小)), 삼한 중 마한이 가장 강성, 마한 중 목지국의 지배자가 마한왕 또는 진왕이 되어 삼한을 주도. 소도는 신구충돌․갈등 완화.
③ 경제: 변한에는 철이 많았다(성산동), 철제농기구 농경이 발달, 벼농사(벽골지, 의림지, 대제지, 공검지, 수산제).
④ 사회: 토실(마한), (반)움집․귀틀집․초가집.
⑤ 문화: 두레, 상투, 문신, 장례시 우마․새깃(천계 승천), 5월 수릿날과 10월의 상달제, 국중대회.
'한국사 > 고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의 사회 간단 요약 (0) | 2018.12.13 |
---|---|
고대의 경제 간단 요약 (0) | 2018.12.13 |
고대의 정치 2 - 대외항쟁, 삼국통일 과정, 부흥운동, 남북국시대, 통치체제, 신라하대, 호족, 후삼국시대 (0) | 2018.12.02 |
고대의 정치 1 - 삼국시대, 가야연맹(금관가야, 대가야), 통치체제, 중앙관제, 외교 (1) | 2018.12.01 |
고대의 경제 1 - 농기구, 수공업, 수취체제, 조세, 대외무역, 농업정책, 상업, 생활상, 농축산업, 어업 (0) | 2018.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