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절 중앙집권적 귀족국가의 성장 ]

 

1. 고구려의 성장과 백제의 흥기

1) 고구려의 성장

태조왕(53146?) - 소노부에서 계루부 高氏로의 왕위계승 확립

고국천왕(179196) - 왕권강화, 통치체제의 중앙 집권화

- 55

- 형제상속 부자상속

- 연나부 명임씨 출신의 왕비

- 진대법 실시

미천왕 14- 낙랑군 축출 (대동강유역), 대방군 차지

2)백제의 흥기

고이왕(234286)

- 27(260) : 6좌평, 16관등의 관직·복색

- 뇌물, 도둑질 - 3배 벌금

근초고왕(346375)

- 24(369) : 마한 차지

- 26(371) : 고구려 평양성 공격 고국원왕 전사

- 부자상속, 眞氏 왕비

- 백제의 國史 書記편찬 (博士 고흥)

침류왕

- 원년(384) : 불교수용

 

2. 고구려의 융성

고국원왕(331371) - 전연과 백제에게 침입 당함

소수림왕(371384) - 국가 체제의 재정비

- 2(372) : 불교 수용, 태학 설립

- 3(373) : 율령 반포

광개토왕(391413) - 정복활동 추진

- 요동, 만주 차지 숙신(肅愼)복속

- 임진강, 한강까지 영토 확대

- 신라를 도와 왜 섬멸 (낙동강)

- ‘永樂연호 사용 중국과 대등한 입장 과시

장수왕(413491)

- 중국 남·북조 동시외교 견제

- 15(427) : 평양천도

나제동맹(433) - 눌지마립간

백제(개로왕 18,472)가 중국 북조 위에 고구려 남침 요청

- 63(475) : 백제 서울 한성 함락, 개로왕 처형

백제 웅진(공주) 천도

- 죽령남양만, 만주, 요동 점령

 

3. 신라의 흥기와 가야

내물마립간(356402) : 이사금 마립간 왕호 사용, 金氏 왕위 독점

법흥왕 19(532) : 본가야 점령

진흥왕 23(562) : 대가야 점령

본가야 (낙동강 하구) - 해상활동 (낙랑·대방, , 왜 등과 교류)

 

4. 신라의 융성과 백제의 중흥

1) 신라의 융성

눌지마립간(417458) : 부자상속제 확립

자비소지마립간 : 66

소지마립간 : 사방에 우역(郵驛) 설치, 서울에 시장 개설

지증왕(500524)

- ‘칭호, ‘新羅국호 사용

- 우경 시작, 수리사업 진행

- 朴氏 왕비족

- 우산국 정복

법흥왕(514540) : 중앙 집권적 통치체제 완성

- 7(520) : 율령반포

- 1422(527~535) : 불교 공인

- 19(532) : (금관)가야 점령

- 23(536) :‘建元연호 사용

- 병부와 상대등 설치

진흥왕(540576)

- 23(562) : 대가야 점령

- 한강점령, 함흥평야 진출

- 순수비 (창녕, 북한산, 황초령, 마운령)

2) 백제의 중흥

웅진(공주)시대

- 동성왕(479501) : 南濟와 외교, 소지왕과 결혼외교, 탐라 복속

- 무녕왕(501523) : 과 교류, 지방에 22담로 설치

사비(부여)천도 - 성왕(523554) : 국호를 남부여개칭

- 22부의 중앙관부, 5·5방의 지방제도

- 승려 겸익 등용 불교 진흥

- 중국 남조와 외교

- 진흥왕과 동맹 한강 진출

신라의 한강 독차지 신라공격, 관산성에서 전사

 

 

[ 2절 대외적인 정복활동과 한족과의 투쟁 ]

 

1. 대외 관계의 전개 - 영토확장 위한 항쟁, 중국 남·북조 대립 이용

북방유민·왜 이용, 중국 문화의 섭취

1) 고구려 : 북조와는 투쟁, 남조와는 교섭 (遠交近攻 정책)

동천왕(227248) - 압록강입구 서안평 공격

- 18(244) : 위 모구검의 침입 국내성 함락

- 19(245) : 왕기의 침입 동천왕 동해안 피난

미천왕14(313) : 낙랑군 축출, 요동 공격 위 멸망, 의 통일

고국원왕

- 12(342) : 모용휘의 침입 중국 516국 난립, 전연(선비족) 만주 진출

- 41(371) : 백제 근초고왕 평양 침입, 고국원왕 전사

소수림왕 - 국가 체제 재정비

2) 백제

·북조 모두 교류 고구려 견제

왜 이용 신라 공격 광개토왕의 왜 정벌 고구려의 압력 강화

나제동맹(눌지마립간 17,433)

 

2. 고구려의 ·과의 투쟁

6세기 후반 신라의 한강 진출 고구려·백제 동맹

중국과의 통로인 당항성(남양) 공격

중국 남·북조 수의 통일(589), 북방 돌궐 흥기

- 고구려 : 돌궐과 연결하여 수에 대항

- 백제 : 왜와 교섭

- 신라 : 수와 연결

영양왕 9(598) - 요서 공격 수문제 고구려 침략 실패

영양왕 23(612) - 수양제 요동성,평양 공격 을지문덕 활약

수 멸망, 당 설립 고구려 천리장성 축조

- 연개소문의 독재정치, 김춘추의 외교 거절(보장왕 원년,642)

보장왕 4(645) - 당 태종 침략 안시성 전투

 

 

[ 3절 정치와 사회 ]

 

1. 중앙 귀족의 탄생 - 중앙 집권적인 귀족국가

1) 고구려 : 왕족 계루부 고씨, 옛 왕족 소노부, 왕비족 절노부(명임씨)

- 대대로(大對盧) 취임, 선거 권리

2) 백제 : 왕족 부여씨, 왕비족 진씨, 석씨 - 주요 관직 독점

- 16관등을 3구분하는 색복제도

3) 신라 : 골품제 (성골, 진골, 육두품~일두품)

- 육두품(득난),오두품,사두품 : 일반 귀족

삼두품,이두품,일두품 : 일반 평민층 후에 소멸

- 골품에 따라 가옥규모, 복색, 車騎, 器用 제한

- 갈문왕(고구려의 古雛加)에 왕족과 왕비족만 임명

진골 : 17관등 모두 승진 가능

- 이벌찬까지, 군부대(6) 최고 지위관 장군(급벌찬이벌찬) 가능

육두품 : 6관등인 아찬(阿湌)까지

오두품 : 10관등은 대내마(大奈麻)까지

사두품 : 12관등 대사(大舍)까지

 

2. 정치조직 - 국왕을 중심으로한 일원화 된 관등체제

1) 관등체제

고구려 - 14등급

- 수상 : 대대로(莫離支)

- (족장), 使者(가신) 존재

백제 - 3구분 16등급

- 紫服 : 좌평(佐平), ()

緋服 : ()

靑服 : 문독(文督) 이하

신라 - 17관등

- 紫服 : 이벌찬(伊伐湌) 대아찬(大伐湌)

緋服 : 아찬(伐湌) 급아찬(級伐湌)

靑服 : 대내마(大奈麻) 내마(奈麻)

黃服 : 大舍() 조위(造位)

2) 관부

백제

- 한성시대 : 6좌평

- 사비시대 : 내관 12, 외관 10(22)

3) 회의제도

고구려 : 귀족들의 선거에 의한 대대로 임명

조의두대형(皂衣頭大兄) 이상 - 국가 정사를 담당

백제 : 정사암회의(政事巖會議) - 재상선출

신라 : 화백제도 (상대등이 의장) - 진골출신(대등) 참여

4) 행정구획

- 城主 : 고구려 - 처여근지(處閭近支) (都使)

백제 - 郡將

신라 - 郡太守

고구려 : 5(,,,,)

백제 : 5(,,,,)

신라 : 단위

왕경 - 중앙귀족의 근거지

- 백제, 고구려 : 5

신라 : 6

 

3. 군사조직

신라 - 왕경의 6, 지방의 52성에 법당(法幢) 설치

단위로 설치된 6이 중요한 구실

- 6: 명망군(名望軍), 진골출신 장군

서당 : 모병(募兵)

지방행정조직 군사조직

고구려의 경당(扃堂) - 지방군의 보충

 

4. 촌주와 농민

良人인 자영 농민들이 큰 비중

신라의 村主 - 오두품, 사두품에 해당하는 특권

- 眞村主, 次村主

 

 

[ 4절 귀족문화의 발전 ]

 

1. 문자의 보급

한자를 우리말 순서대로 배열 - 壬申誓石記 吏讀 (釋讀 보충)

향찰 - 실질적 의미(語幹)는 석독으로 표기, 문법적 요소(접미사)는 음독으로 표기

순수한 한문식 문장 - 광개토왕릉비(고구려), 사택지적비(백제)

 

2. 史學과 유교

1) 史學

고구려 : 國初 유기(留記)” 100

영양왕 11(600) 이문진에 의해 新集” 5권으로 改修

백제 : 근초고왕(346375)때 고흥이 書記편찬

신라 : 진흥왕 6(545)에 이사부에 의해 國史편찬

2) 유교

고구려 : 소수림왕 2(372) 太學 설립 - 유교 교육

지방 扃堂 - 독서, 활쏘기

백제 : 博士 제도

신라 : 원광의 세속오계, 임신서석기

 

3. 불교의 수용 - 왕실에서 주도

고구려 : 소수림왕 2(372) 前秦에서 順道가 불상과 불경 전래

백제 : 침류왕 원년(384) 東晋에서 摩羅難陀가 불교전래

신라

- 눌지마립간(417458)때 고구려를 거쳐온 阿道(黑胡子)에 의해 지방 전래 실패

- 의 사신인 승려 元表에 의해 왕실에 보급 귀족 반대로 실패

- 법흥왕 14(527)에 이차돈 순교 법흥왕 22(535) 공인

호국적 성격이 강함 (인왕경 존중)

- 백좌강회(인왕회) : 국가의 평안을 비는 의식

- 팔관회

계율종(戒律宗) 주류

- 백제의 겸익(謙益), 신자의 자장(慈藏) : 大國統으로 불교 총관

고구려, 백제 말기에 변화

- 普德의 열반종(涅槃宗) : 금강석 같은 불성을 모든 중생이 가지고 있음

도교의 불로장생 사상에 대항

 

4. 詩歌와 음악 - 종교적인 성격이 강함

가야 - 구지가, 신라 - 會蘇曲,혜성가

악기 : ··타악기 등 수십종, 서역에서 받아 들인것도 있음

- 고구려 왕산악이 의 칠현금 개량하여 현학금 만듬

가야의 가야금은 우륵을 통해서 신라 전래

 

5. 미술 - 소박하고 사실적 (건강미)

1) 건축

고구려 - 현존 지상 건축물은 없음

- 석총(石塚) : 피라밋 식으로 석재를 쌓아 올림 - 태왕릉, 장군총

- 토총(土塚) : 석재로 널방(玄室)을 만든후에 흙으로 봉분 - 쌍영총

백제

- 초기 귀족 무덤은 고구려와 비슷 (피라밋식 석총) - 서울 석촌동

- 내부를 전() 또는 석재로 쌓은 횡혈식 토총 벽화

- 현존 석탑 : 부여 정림사지탑

익산 미륵사지탑 (목조탑형식)

신라

- 황룡사 9층 목탑 몽고 침입때 소실

- 분황사 모전탑(模塼塔)

- 첨성대

사원 : ‘一塔三金堂式一塔一金堂式

2) 조각 - 불상이 (석가상이나 미륵반가상을 많이 조각)

고구려 : 금동미륵반가상

백제 : 서산 마애석불

낮고 간소한 四花冠을 쓴 금동미륵반가상

신라 : 답형이 새겨진 높은 寶冠을 쓴 금동미륵반가상

3) 회화

고구려 : 고분의 벽화 - 토총의 널방(玄室) 사면벽, 말각조정(抹角藻井)의 천장

- 四神, 角抵, 무용총, 수렵총

백제 : 고구려의 것보다 우아함

- 공주 宋山里 전축분, 부여 陵山里 석실분

신라 : 수혈식(竪穴式) 적석총에는 고분 벽화는 없음

- 馬具의 다래(障泥)에 그린 천마도

 

'한국사 > 고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신라하대 및 고려초기  (0) 2019.04.06
4. 전제왕권의 성립  (0) 2019.04.06
발해, 고구려사 핵심 표 정리  (0) 2019.04.06
고대 사회문화사 요약  (0) 2019.03.17
남북국시대 요약  (0) 2019.03.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