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절 신라의 반도 통일과 발해의 건국 ]

 

1. 신라의 반도 통일

1) 백제의 멸망

신라 김춘추 - 당과 연맹

소정방의 백제 공격 (의자왕 20,660), 김유신 공격

백제 멸망 (의자왕 20,660)

백제 부흥군

- 복신(왕족), 도침(승려)등이 주유성(한산)에서 부흥운동

내분으로 와해, 周留城 함락(663)

- 흑지상지 任存城(대흥)에서 부흥운동

임존성 함락(665)

2) 고구려의 멸망

보장왕 20(661) : 소정방 대동강 입구를 거쳐 평양공격

연개소문에 패해 퇴각(662)

보장왕 26(667) : 당의 李勣 재공격, 신라도 공격 가담

보장왕 27(668) 멸망 - 1년간 항쟁하였으나 멸망 (문무왕 8)

안승을 받든 검모잠의 2년간 부흥운동

안승이 신라에 망명하여 고구려왕(보덕왕)에 임명됨 (670)

 

2. 신라의 당 축출

당의 지배의도

- 옛 백제땅에 웅진도독부 설치, 의자왕의 아들 부여륭을 웅진도독에 임명

- 경주에 계림도독부 설치 (문무왕 3), 문무왕을 계림주 대도독에 임명

문무왕과 부여륭으로 하여금 웅진(공주) 취리산에서 화친케 함

- 고구려 멸망후 9도독부두고, 평양에 안동도호부를 둠 (668)

당 축출

- 검모장의 부흥운동 지원, 안승을 고구려왕에 임명 (670)

- 부여륭의 백제군과 당군 격파

사비성 함락 소부리주 설치 (문무왕 11,671) 옛 백제땅 지배권 장악

- 당은 김인문(문무왕 동생)을 일방적으로 신라왕에 임명하고 신라공격

매초성(의정부) 전투 (문무왕 15,675)

- 한강유역 전투에서 당군 축출 (문무왕 16,676)

안동도호부를 평양에서 요동성으로 옮김 (676)

- 대동강 원산만 이남의 땅 점유

 

3. 발해의 건국 (698)

1) 대조영의 발해 건국

- 동모산(길림성 돈화 부근)을 근거, 震國王이라 칭함

- 고구려 유민 + 말갈인

2) 대외 관계

초기 : 당과 신라에 적대적

- 무왕(719737)때 해군을 보내 登州(산동반도) 공격 (732)

- 신라는 북경에 장성을 축조 (721)

- 신라·당 연합세력 발해 협공 (733)

- 북쪽 돌궐, 남쪽 일본과 외교

후기 : 신라와도 교류

3) 영토 확장

무왕(719737) : 북만주 일대 차지

문왕(737794) : 당의 안녹산의 난을 계기로 요동반도 지배

- 소고구려국 흡수

선왕(818830) : 전성기를 이룸

-발해주, -開元, -함남, -흑룡강

 

4. 신라의 대외 정책의 전환

1) 당과의 교류

- 당의 침략 세력 후퇴 신라·발해 모두 당과 평화적 외교관계 유지

경제적인 교류 : 조공의 형식

- 수출품 : 원료적인 것 공예품, 수공업제품 (만불산,견직물)

- 수입품 : 의료·의류·공예품 - 귀족들의 사치품

흥덕왕 9(834) 사치를 금하는

문화의 수입

- 서적, 미술품 수입

- 유학 : 승려 유학자 주류

2) 일본, 아라비아 상인과 교류

 

 

[ 2專制主義下의 신라사회 ]

 

1. 전제왕권과 귀족

성골의 소멸 : 선덕여왕, 진덕여왕을 마지막으로 대가 끊김

진골 출신 태종무열왕(654661) 등극

- 상대등으로 대표되는 귀족세력을 누르고 왕위 차지

- 왕비족 : 박씨 김씨

- 갈문왕제도 사라짐

전제왕권의 성립 : 신문왕(681692)

- 귀족세력의 숙청 (김흠돌의 반란 계기)

- 정치,군사제도의 정비

전제 왕권의 안정 : 성덕왕(702737)

- 萬波息笛으로 상징됨

왕족인 김씨가 정치적 특권 독점 일반 진골 세력의 약화

- 육두품 세력의 상대적 부각 (왕권과 결합)

 

2. 정치 기구의 정비

집사부의 중요시 - 진덕여왕 5(651) 설치

- 집사부 中侍(侍中)의 부각 : 왕권의 지배

- 상대등의 약화 : 귀족의 대표자, 화백회의

지방 조직의 정비 (95小京)

- : 신문왕 5(685)9로 정비

의 장관은 문무왕때 軍主에서 總管으로 변함 원성왕때 都督으로 개칭

- 5소경 : 중원경(충주), 북원경(원주), 금관경(김해), 서원경(청주), 남원경(남원)

- (태수), (),

- ··부곡 설치 : 천민집단

신문왕 9(689)에 달구벌(대구)로 천도 계획 실패

총관(도독)현령은 중앙귀족 임명

촌주, ··현의 吏職에는 토착세력 임명

세력 견제위해 상수리제도, 사민정책 생겨남

 

3. 귀족 경제의 변화

국가에 공을 세운 귀족 : 食邑, 사전(賜田), 馬阹(牧馬場),(곡물)

일반 관료 : 祿邑 지급 (+勞役)

신문왕 7(687) : 관료전 지급 - 조의 수취만 허용

신문왕 9(689) : 녹읍의 폐지

歲租(녹봉제)의 지급

경덕왕 16(757) : 녹읍의 부활 관료전과 세조 폐지

귀족들의 전제주의의 지배를 벗어나려는 세력이 커짐

귀족들의 중심지 : 왕경인 金城(경주)

 

4. 군제의 개편

69誓幢(중앙), 10(지방)

- 9서당 : 왕의 직속부대, 고구려·백제·말갈인 포함

* 신라인 : 녹금서당, 자금서당, 비금서당

백제인 : 백금서당, 청금서당

고구려인 : 황금서당, 벽금서당(보덕국인)

말갈인 : 흑금서당

- 10: 국방 + 치안

 

5. 민중생활

: 10호 가량의 혈연집단 거주

촌주를 통하여 국가의 지배, 장적(帳籍) 작성

- 장적 : 연수(煙數)-戶數, 인구수, 牛馬, 토지면적

뽕나무, 잣나무(), 호두나무()

戶口·牛馬의 감소 기입됨

3년에 한번씩 조사

力役 징수 기준 : 연령에 의하여 6등급 분류

의 수에 의하여 9등급 분류

官謨畓(내시령답(內視令畓麻田 경작

- 촌주 : 국가로부터 촌주위답(村主位畓) 받음

- 촌민 : 연수유답(烟受有畓) 받음

 

 

[ 3절 전제주의하의 신라문화 ]

 

1. 불교의 발전

당 유학 : 자장, 의상, 원측

인도 유학 : 혜초 - 왕오천축국전

교종 5교 성립 : 열반종, 계율종, 법성종, 화엄종, 법상종

의상 : 화엄종 성립, 부석사 창건

중앙집권적 지배체제, 귀족사회에서 환영받음

원효 : 법성종이 이긴 하나, 불경 연구범위 매우 넓음

정토신앙 : 나무아미타불 극락왕생

- 원효에 의해 널리 전도됨

지방사회 : 법상종의 미륵신앙 크게 유행

- 진표 : 경덕왕때 금산사 중심활동 (백제유민 출신)

 

2. 유교의 대두

국학(國學) 설립 : 신문왕 2(682) 태학감(太學監)으로 개칭

- 3구분 : 논어·효경·禮記·周易

” · ” ·左傳·毛詩

” · ” ·尙書·文選

* 논어·효경 + 오경or문선

독서삼품과 설치 : 원성왕 4(788)

- 관리채용 위한 국가 시험제도

진골 중심의 골품제와 이를 옹호하는 불교에 대항하는 성격

 

3. 학문과 기술

史學

- 김대문 (성덕왕,진골출신) : “계림잡기”,“고승전”,“화랑세기”,“악본”,“한산기

不傳

- 김장청 : “김유신행록

천문학, 曆學

- 선덕여왕(632647)때 첨성대 건축 통일전

- 물시계(漏刻) 널리 사용 漏刻典 설치 (성덕왕 17,718)

- 김암 (혜공왕) : “둔갑입성법(遁甲立成法)” 저술

수학, 주조술, 목판 인쇄술 발달

- 銅佛, 銅鐘

- 석가탑 다라니경” : 현존 最古 목판인쇄물 (경덕왕 10,751 이전)

 

4. 향가와 한문학

향가 : 처음 4구체 10구체의 정형시

- 득오 : “모죽지랑가

월명사 : “두율가(兜率歌)”,“제망매가

충담사 : “찬기파랑가”,“안민가

- 진성여왕(887897)때 대구화상과 위홍에 의해서 삼대목으로 집대성

한문학

- 강수 : “청방인문서(請放仁問書)”

설총 : “풍왕서(諷王書)”,“甘山寺 造像記

- 김필오 : “聖德大王 神鐘銘碑文

 

5. 음악과 무용

악기의 다양화

- 3: 가야금, 거문고, 향비파

3: 대금, 중금, 소금

拍板, 大鼓 ..

향악(鄕樂)의 발전

- 향악에 맞춰 추는 무용 : 처용무, 상염무

당악 : 궁중의식, 불교의식

 

6. 미술 - 무르익은 기교로써 이상적인 조화미 강조

불국사, 석굴암

석가탑, 다보탑, 화엄사 사자탑

굴불사의 사면석불, 감산사의 아미타불상·미륵반가상

범종

- 상원사종 (성덕왕 24,725) : 현존 最古

성덕대왕 신종 (혜공왕 7,771) : 현존 最大

분묘

- 통일전 : 수혈식 적석총 (竪穴式 積石塚) 도굴 곤란

- 통일후 : 횡혈식 석실분 (橫穴式 石室墳) - 법흥왕무렵에 시작

* 김유신 괘릉 - 12지신상, 문무석, 석사자

서예

- 김인문 : 태종무열왕碑額, 화엄사의 화엄경 석경

김생 : 郎空大師碑

 

 

[ 4절 발해의 사회와 문화 ]

 

1. 정치와 사회

지배층 : 고구려 유민

피지배층 : 말갈인

36- 당의 제도 모방

- 3: 선조성(宣詔省,門下省), 中臺省(中書省), 政堂省(尙書省)

- 6: 忠部(吏部), 仁部(戶部), 義部(禮部), 智部(兵部), 禮部(刑部), 信部(工部)

- 정당성의 大內相이 행정기구의 해고위

515의 행정구획 - 고구려적 요소

 

2. 문화의 양상

당과 외교관계 수립후 많은 문화 수용

불교가 널리 행해지고, 지배층은 유교도 중요시

 

3. 발해의 역사적 위치

926년 거란에 의해 멸망

말간인 - 거란축출 (여진) 건국 (고려 예종 10,1115)

 

 

'한국사 > 고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신라하대 및 고려초기  (0) 2019.04.06
3. 중앙집권적 귀족국가의 발전  (0) 2019.04.06
발해, 고구려사 핵심 표 정리  (0) 2019.04.06
고대 사회문화사 요약  (0) 2019.03.17
남북국시대 요약  (0) 2019.03.1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