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시대 |
정 치 |
||
정 치 제 도 |
지 방 행 정 |
군 사 제 도 |
|
연맹 왕국 이 전 |
☞ 군장 중에서 왕이 추대됨 → 왕의 권력 취약
|
☞ 군장세력이 각기 자기 부족 통치 - 군장의 관료 명칭이 왕의 관료와 동일한 명칭으로 사용됨(고구려)→왕의 권위 약함. |
☞ 군장세력이 독자적으로 지휘
|
삼 국 1C~668 |
※ 왕권 강화와 중앙집권화 왕위세습, 율령반포, 관등제 귀족합의제: 제가회의, 정사암회의, 화백회의 → 왕권중심의 귀족국가정치 |
※ 군사적 성격을 함께 지님, 부족적 전통 고구려: 5부(욕살) 백 제: 5방(방령) 신 라: 5주(군주) |
☞ 군사조직은 지방제도와 관련, 국왕이 직접 군사를 지휘함.
|
남 북 국 (발해와 통일신라) 8C~926 |
※ 왕권의 전제화(신라중대) 집사부 시중의 권한강화, 14개 관부 설치 국학설치: 유교정치이념 수용 6두품의 정치적 조언자 역할 증대 ※ 발해: 왕위의 장자상속, 독자연호 사용
|
※ 지방 제도 정비 신라: 9주(도독)-행정중심, 5소경 5소경-① 지방세력통제, ② 수도의 편재성 보완 ③ 지방에 신라문화 보급, 통치수월 발해: 5경 15부 62주 |
※ 군사제도 정비 신라: 중앙군-9서당(왕권강화,민족융합) 지방군-10정 발해: 8위
|
고 려 918 ~ 1392 |
※ 유교 정치 이념 채택 최승로의 시무28조: 중앙집권적 귀족정치, 유교정치이념 채택 귀족제: 공음전과 음서제 합좌기구:도병마사(전기)→도평의사사(후기) (귀족연합체제) 지배계급변천: 호족→문벌귀족→무신→권문세족 →신진사대부 서경제: 관리임면, 법률개폐 동의(왕권견제) |
※ 지방 행정 제도의 특성 지방제도의 불완전성(5도양계:행정의 이원화) 중앙집권의 취약성(속군,속현의 존재) 중간행정기구의 미숙성 (안찰사기능의 감찰치중, 장관품계의 모순) 지방의 향리세력이 강함 ☞ 속군과 속현: 지방관이 파견안된 곳으로 향리가 실제 행정을 담당함. 이들 향리가 후에 신진사대부로 성장 |
중앙: 2군 6위(직업군인) 지방: 주현군, 주진군(국방담당) 특수군: 광군, 별무반, 삼별초 합의기구: 중방
|
조선전기 15C ~ 16C |
※ 왕권과 신권의 균형 (성리학을 바탕으로 한 왕도정치) 왕권강화 기구: 의정부, 의금부, 승정원 왕권견제 기구: 사산원, 사헌부 ☞ 15세기: 훈구파가 주도 ☞ 16세기: 사림파의 성장과 주도
|
※ 중앙집권과 지방자치의 조화 8도(일원화): 부,목,군,현, 면,리,통 모든 군현에 지방관파견 향리의 지위 격화 향․소․부곡 소멸: 양인수 증가 유향소․경재소 운영: 향촌자치를 인정하면서도 중앙집권강화 ☞ 사림은 향약과 서원을 통해 향촌지배 |
※ 양인개병제, 병농일치제 중앙: 5위 지방: 영진군 특수군: 잡색군 정군-번상병(보법)
|
조선후기 17C ~ 1876 |
임란을 계기로 비변사 강화 → 왕권의 약화 (상설기구 전환) 정쟁의 심화→서인의 일당 독재화 영.정조의 탕평책과 실패→세도정치→대원군의 개혁(왕권강화, 농민 안정책)
|
|
중앙: 5군영(용병제): 임란과 병란으로 부역제 의 해이로 실시 지방: 속오군(향촌자체방어, 모든계층) 조선초(진관체제)→임란(제승방략체제 →조선후기(진관체제, 속오군편성) |
근 대 1876년 후 |
※ 근대화 과정: 강화도조약(1876)→임오군란(1882)→갑신정변(1884)→동학농민운동, 갑오개혁, 청일전쟁(1894)→을미사변, 을미개혁(1895) →아관파천(1896)→독립협회(1896-98)→대한제국(1897)→러일전쟁(1904)→을사조약, 을사의병, 애국계몽운동(1905) →고종강제퇴위, 군대해산, 정미의병(1907)→신민회(1907-11:비밀결사,모든계층,공화정,독립운동기지건설 추진)→국권피탈(1910) ※ 애국 계몽 운동: 을사조약(1905)이후 근대화보다는 국권의 회복, 실력양성을 위해 교육, 민족산업 진흥 ▶ 예외: 신민회:독립운동기지건설 추진 ☞ 근대 국가 수립 운동: 갑신 정변, 갑오 개혁, 독립 협회 활동, 애국 계몽 운동, ☞ 반제국주의 운동: 위정 척사 운동, 항일 의병 전쟁, 동학 농민 운동, |
내용
시대 |
사 상 |
||
불 교 |
유 교 |
전통사상 및 도교 |
|
연맹 왕국 이 전 |
☞ 신석기시대: 애니미즘, 샤머니즘, 토테미즘, 영혼숭배와 조상숭배(원시 신앙). ☞ 청동기시대: 선민사상(정치이념) |
||
삼 국 1C~668 |
수용:중앙집권국가체제 정비기(4-5C) 발전: 왕실불교, 국가불교, 호국불교 (국사제도, 세속오계) →왕권강화와 중앙집권화를 뒷받침. |
고구려: 태학, 경당(모든 계층 망라) 백제: 5경박사 신라: 임신서기석
|
시조신 숭배: 지배층 샤머니즘, 점술: 민중 도교: 사신도, 산수문전, 산택지적비, 백제 금동 대향로 |
남 북 국 8C~926 |
원효의 정토종: 불교의 대중화(정토종) 불교 통합(화쟁사상) 의상의 화엄종: 전제 왕권 지지 교종: 경전, 귀족 - 신라중대 선종: 참선, 호족 - 신라하대(반신라적) 개인의 정신 중시→신라 중대에 탄압 발해: 고구려 불교 계승 |
유교이념수용: 국학, 독서삼품과(귀족 반대로 실패) 강수: 외교문서 설총: 이두 정리 김대문: ‘화랑세기’ 주체적 최치원: 사회개혁, 유.불.선 융합 |
도교: 최치원의 난랑비, 정효 공주 묘비 풍수지리설: 신라말 도선이 중국서 전래 국토 재편론 → 신라정부 권위 약화
|
고 려 918 ~ 1392 |
숭불정책 연등회, 팔관회: 왕실권위 높임 불교의 통합운동(원효 화쟁론의 영향) ․의천의 천태종:교종중심,귀족적(중기) 교관 겸수 - 교종의 입장서 선종통합 ․지눌의 조계종: 선종중심, 비밀결사운동, 무신정권의 지지 돈오점수, 정혜쌍수 - 선종 중심 통합 ․혜심의 유불 일치설 |
유교정치이념 채택 (최승로의 시무28조) 유학: 자주적(최승로)→보수적(김부식)→쇠퇴(무신) 성리학의 수용(몽고간섭기): 사대부의 정치사상으로 수용, 사회개혁촉구 이제현의 사략(성리학적 사관) |
도교행사 빈번(초제): 장례 풍수지리설 : 서경길지설 (북진정책 기반: 묘청의 서경천도)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 귀족사회의 구조적 모순에서 비롯됨. |
조선전기 15C ~ 16C |
불교의 정비: 유교주의의 구현 재정확보책: 도첩제, 사원전 몰수, 종파 통합 고대 : 불교 중세 : 유, 불교 근세 : 유교 |
훈구파(15C): 중앙집권, 부국강병, 사장중시, 과학기술 수용, 단군 숭배 사림파(16C): 향촌자치, 왕도정치, 경학중시, 과학기술 천시, 기자 숭배
주리론: 이황(영남학파,남인,도덕중시) 주기론: 이이(기호학파,서인,현실중시) |
도교 행사 정비: 소격서(중종때 조광조에 의해 폐지) 풍수지리설: 한양 천도(왕권강화) 풍수,도참사상 관상감에서 관리 민간 신앙의 국가 신앙화 ※ 기타 종교와 사상에 대한 국가 관리는 유교사회를 확립하려는 의도임. |
조선후기 17C ~ 1876 |
불교의 민간 신앙화 |
양명학의 수용: 정제두의 강화학파 ※실학: 통치질서의 붕괴와 성리학의 한계, 서학의 전래, 고증학의 영향으로 등장 중농학파─토지제도 개혁 중상학파─상공업 진흥책, 박제가-소비론 박지원-화폐유통론 국학: 동사강목 - 한국사의 정통론 해동역사 - 다양한 자료 이용 동사, 발해고 - 반도 사관 극복 연려실기술 - 실증적 연구 |
※ 19세기 사상의 변화 (조선 후기 사회의 동요) 천주교 수용, 동학의 발전, 정감록 등 비기도참 사상,미륵신앙 유행 → 현실비판: 서민 문화의 발달 ☞ 이 경향은 성리학적 명분질서와 양반지 배 체제가 붕괴되어 가고 있음을 가리키는 것이며 동시에 봉건적인 틀에서 탈피하여 평등을 지향하고 대중적인 근대사회로 나아 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
근 대 1876년 후 |
☞ 동도서기: 우리의 정신문화는 지키고 서양의 과학 기술을 받아들이자는 주장 = 구본신참(대한제국) = 중체서용(양무운동) ☞ 불교 유신론(한용운): 미신적 요소를 배격하고 불교의 쇄신을 주장. ☞ 민족사학의 발전: 신채호, 박은식, 최남선 ☞ 기독교계는 애국 계몽 운동에 힘씀 |
내용
시대 |
사 회 |
|
신 분 제 |
사 회 조 직 |
|
연맹 왕국 이 전 |
구석기: 무리생활, 평등사회(이동 생활) 신석기: 부족사회, 평등사회(정착 생활 시작) 청동기: 사유재산제, 계급발생, 군장국가(농경 보편화) 초기 철기: 연맹 왕국 형성 |
구석기: 가족단위의 무리생활 신석기: 씨족이 족외혼을 통해 부족형성 청동기: 부족간의 정복활동, 군장사회 초기 철기: 군장이 부족을 지배하면서 국왕 선출 |
고 대 (삼국시대 남북국 시대) 1C~936 |
※ 신분제도 성립 지배층 특권을 유지하기 위해 율령제도, 신분제도 마련 신분은 친족의 사회적 위치에 따라 결정됨 ․귀족: 권력과 경제력 독점 ․평민: 생산활동에 참여, 조세 부담 ․천민: 노비, 부곡민 신라 골품제: 고대국가성립과정(중앙집권화) 중에 형성-정기간- ․골품은 개인의 신분과 정치활동 제한 ․관등조직은 골품제와 연계 편성, 복색은 관등에 따라 제정 |
골품 제도: 중앙집권국가 성립시기에 군장세력 재편 귀족 합의 기구: 화백, 정사암, 제가회의→왕권 견제 화랑 제도: 교육의 기능, 계급 갈등을 조절 (고구려의 경당) ※ 신라 하대에 골품제도의 모순 노출(9C~935) 진골 귀족의 왕위쟁탈전 반신라 세력: 호족, 6두품, 도당유학생, 선종, 풍수지리설 농민의 반란(초적) |
고 려 936 ~ 1392 |
※ 신분 제도의 재편성 골품제도의 붕괴: 호족 중심의 중세 사회 형성 호족의 문벌 귀족화 중간계층의 대두 ․귀족: 왕족, 문무고위 관리 ․중간계층: 남반, 서리, 향리, 군인 ․양인: 농,상,공─조세부담 ․천민: 노비, 향․소․부곡민 여성의 지위가 조선시대보다 높았음. |
법률: 대가족 제도를 운영하는 관습법 중심 지배층의 성격비교 ․문벌귀족(고려중기): 과거나 음서로 통해 권력 장악 ․권문세족(몽고간섭기): 친원파로 권력 독점, 농장소유 ․사대부(무신집권기부터): 성리학자, 지방향리출신, 중소지주 사회시설 ․제위보: 빈민 구제 ․의창: 빈민구제, 상평창: 물가 조절 |
조선전기 15C~16C |
※ 양반 관료제 사회
양인수 증가: 향․소․부곡의 해체, 다수의 노비 해방 양천제 실시(양인과 천인 두 계급) 과거를 통한 능력중심의 관료 선발 16C 이후 양반, 중인, 상민, 천민으로 구별(양반지배체제강화) |
법률: 경국대전 체제(성리학적 명분질서의 법전화) 종법적 가족제도 발달 ․유교적 가족제도로 가부장의 권한 강화, 적서차별 사회시설 ․환곡: 의창→상평창(1/10) ․사창: 양반지주층 중심의 자치적인 구제기구 사회통제책: 오가작통법, 호패법 |
조선후기 17C ~ 1876 |
※ 신분 제도의 동요 양반수의 증가: 납속책, 공명첩, 족보 위조, 양반의 분화 중인층의 지위 향상: 서얼의 규장각등용, 역관 평민의 분화: 농민(경영형부농, 임노동자) 상인(도고상인, 영세상인) 노비수의 감소: 공노비 해방(1801:순조)─양인 확보 |
※ 사회 불안의 고조 신분제 동요: 몰락양반의 사회개혁요구, 동학등 종교 삼정(전정, 군정, 환곡)의 문란: 서민의식의 향상(비판 의식) 위기 의식의 고조: 정감록 유행, 도적의 횡행, 이양선의 출몰 |
근 대 1876년 후 |
※ 평등 사회로의 이행 갑신정변(1884): 문벌폐지, 인민평등권 동학농민운동(1894): 노비제 폐지, 여성지위 향상 갑오개혁(1894): 신분제 폐지, 봉건폐습 타파 독립협회(1896): 민중의식 변화, 민중과 연대 애국계몽운동(1905): 민족교육운동, 실력양성 |
※ 사회 세력의 성격 개혁 세력: 민권사상을 바탕으로 평등사회 추구 위정척사파: 양반중심의 봉건적 신분질서 유지 동학 농민 운동: 반봉건, 반제국주의의 개혁 요구 독립 협회: 자주, 자유, 자강 개혁 요구, 입헌 군주제, 의회제(정당제) 광무 개혁: 전제 군주제를 강화하기 위한 개혁 의병 활동: 반제국주의의 구국 항전 애국 계몽 단체: 자주독립의 기반 구축 운동 |
내용
시대 |
경 제 |
||
토지 제도 |
조세 제도 |
산 업 |
|
연맹왕국 이 전 |
|
|
|
고 대 (삼국시대 남북국 시대) 1C~936 |
왕토사상: 토지 공유 통일신라의 토지분급 ․녹읍(귀족의 농민 징발도 가능) → 관료전 지급 (신문왕, 왕권강화) → 녹읍의 부활 (신라하대, 왕권약화) 농민에게 정전 지급 |
조(토지세) 용(부역, 인두세) 조(공납, 토산물세) |
신석기: 농경시작 청동기: 벼농사 시작, 농경의 보편화 철기: 철제농기구 사용→경작지 확대 지증왕: 우경시작 통일신라: 상업발달, 아라비아 상인출입 (울산항) |
고 려 936~1392 |
※ 전시과 체제 정비 역분전(공신) 전시과 제도: 수조권만 지급, 18등급 시정전시과→개정전시과→경정전시과(현직만) 고려전기 문벌귀족 경제 기반: 공음전 고려후기 권문세족 경제기반: 농장(토지겸병) |
전세: 민전은 1/10세 공납: 상공, 별공 역: 정남(16-60세) 강제노동 잡세: 어세, 염세, 상세 |
농업중심의 자급자족사회: 유통경제부진 농업: 심경법, 2년3작, 시비법, 목화 상업: 화폐주조 무역발달(송, 여진, 거란, 일본, 아랍) 예성강 입구의 벽란도 |
조선전기 15C~16C |
※ 과전법 체제(1391) 과전법: 사대부의 경제기반 마련 ․직전법(세조, 직관): 농장의 출현 ․관수관급제(성종): 국가의 토지 지배 강화, But 양반의 농장 보편화 촉진 ․녹봉제(명종): 과전법 체제의 붕괴, 지주 전호제 강화, 농민 토지 이탈 → 부역제와 수취제제의 붕괴 (임란과 병란이 이를 촉진 시킴) |
전세: 수확의 1/10세, 영정법(4두) 공납: 호구세, 상공과 별공 군역: 양인 개병제, 농병일치 |
※ 중농억상 정책으로 상공업 부진 농업: 이앙법 시작, 이모작 보급 상업: 시전중심, 지방중시, 화폐유통부진 수공업: 장인은 관청에 부역 무역: 조공무역 중심 |
조선후기 17C~1876 |
※ 실학자의 토지제도 개혁론 “농민의 토지 이탈과 부역제의 붕괴를 막는 것은 체제의 안정을 유지하는 것” 유형원: 균전제(계급 차등 분배)→농병일치론 이 익: 한전제(영업전 지급) 정약용: 여전제(급진적, 공동생산과 공동분배) |
※ 농민의 불만 해소와 재정 확보를 위해, 궁극적으로는 양반지배체제의 유지를 위하여 수취체제를 개편 - 영정법(전세): 1결 4두→지주 유리 - 대동법(공납): 1)공납의 전세화 2)토지 결수로 징수 - 균역법: 1) 2필→1필. 2) 선무군관포, 결작 ☞ 조세의 전세화, 금납화→화폐경제,도시와 시장 발달→수요 증대→상품 경제와 상공업 발달(선대제) ⇒ 자본주의 맹아 |
※ 서민경제의 성장⇒서민 의식의 향상 농업: 이앙법,견종법의 보급→광작→농촌사회의 계층 분화 상업: 사상, 도고의 성장→상인의 계층 분화, 장시의 발달→도시의 발달 민영 수공업 발달: 납포장, 선대제 광업: 17세기 은점 발달⇒16세기 서유럽의 신항로 개척에 따른 중남미의 막대한 은이 중국으로 들어와 명과 청은 은본위제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대외 교역을 위해서 은이 필요했고, 또 수출하기도 했다. |
근 대 1876년후 |
동학 농민 운동에서만 토지의 평균 분작 요구 (태평천국운동의 천조전무제와 비슷: 농민운동) 대한제국: 지계발급 일제: ․ 토지조사사업(1912-1918):소유권만 인정 ․ 산미증식 계획(1920-35년) ․ 병참 기지화 정책1930년대-45년) |
갑신정변: 지조법 개정 동학농민운동: 무명 잡세 폐지 갑오,을미개혁: 조세 금납화 독립협회: 예산공표 요구 |
※ 근대적 자본의 성장 일제시대: 물산장려운동 |
'한국사 > 분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전체 빈출내용 올인원 표 요약 정리 (0) | 2019.04.06 |
---|---|
한국사 시대별 핵심만 요약 정리 (0) | 2019.04.06 |
빈출 지문 정리 4 - 근현대사 (0) | 2019.03.17 |
빈출 지문 정리 1 - 선사시대~고대국가 (0) | 2019.03.17 |
우리나라 역사 편찬 과정 요약 (0) | 2019.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