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 역사 편찬 과정

 

1. 삼국시대

배경

한학의 발달

영토 확장과 중앙집권 국가 완성

역사서

고구려 - 영양왕(600) - 이문진 - 신집5

신집5권 이전에 유기100권이 있었음

백 제 - 근초고왕(4C) - 고 흥 - 서기

신 라 - 진흥왕(6C) - 거칠부 - 국사

고려시대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편찬할 때 참고했으나 현존하지는 않음

 

2. 고려시대

고려 초기

특징 - 독자적·자주적 사관의 역사서 편찬

사서 - 황주량7대실록, 김양감가락국기,구삼국사

☞『7대실록』→ 거란 침입으로 소실된 태조목종 실록

☞『가락국기』→ 김수로왕 설화가 담긴 가야 관련 내용

고려 중기

특징 - 보수적·사대적·유교적 사관의 역사서 편찬

사서 - 박인량고금록, 홍관속편년통제, 김부식삼국사기

내용

ⓐ『삼국사기』󰠆󰠏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이후 인종 때 편찬

중국 정사를 모방하여 유교적 입장에서 편찬

기전체 방식으로 신라의 정통성을 강조함

󰠌󰠏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서

무신정변기

특징 󰠆󰠏 새로운 역사 의식의 등장

󰠌󰠏 민족적 자주의식을 바탕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싹틈

사서 󰠆󰠏 각훈해동고승전, 이규보동국이상국집-동명왕편

󰠌󰠏 일연삼국유사,이승휴제왕운기

내용

ⓐ『동명왕편: 1193년 이규보가 민족적 자부심과 외세와의 저항정신을 일깨 우기 위해 동명왕의 건국 서사시 편찬

ⓑ『삼국유사』󰠆󰠏 1281년 충렬왕 때 일연이 편찬

고조선 계승의식에 의해 편찬

불교의 중심 설화와 야사를 많이 수록

󰠌󰠏 단군 신화의 내용을 최초로 수록

ⓒ『제왕운기』󰠆󰠏 충렬왕 때 이승휴가 편찬

중국(상권)과 우리(하권) 역사를 한시로 편찬

우리 역사를 단군부터 실어 민족의 기원으로 삼음

󰠌󰠏 발해사를 처음으로 연구

 

보충학습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비교

구 분

삼 국 사 기

삼국유사

편찬시기

인종 때 (1145)

묘청의 난 진압 후

충렬왕 때 (1281)

원의 간섭기

편 찬 자

김부식

일 연

체 제

기전체

야사체

내 용

왕조 중심의 정사체

삼국시대 역사 서술

설화 중심의 야사체

단군부터 고려까지 서술

특 징

신라 중심의 역사 서술

고구려 계승의식 부정

불교의 입장에서 서술

고조선 계승의식 강조

사 관

보수적 유교사관

자주적 사관

 

원의 간섭 이후의 사서

특징 󰠆󰠏 성리학적 사관의 등장

󰠌󰠏 정통과 대의명분 강조

사서 󰠆󰠏 이제현사략,고려국사, 원부고금록

󰠌󰠏 정가신천추금경록, 민지본조편년강목

내용

사략- 성리학적 춘추사관을 확립, 조선시대 역사학에 영향

※『삼국사기사략의 공통점 =>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

 

보충설명역사서를 묻는 방법

성격

자주적 사관󰠆󰠏고려 초, 무신정변기, 조선 15C, 조선 18C

(=독자적) 󰠌󰠏7대실록, 삼국유사, 동국통감, 동사강목 등

보수적 사관󰠆󰠏고려 중기, 성리학 수용 이후, 조선 1617C

(=사대적) 󰠌󰠏삼국사기, 사략, 기자실기, 여사제강 등

 

서술방식(=편찬방식)

기전체 󰠆󰠏 본기, 열전, , 연표 순으로 편찬

(=정사체)󰠌󰠏 삼국사기 등 대다수 역사서 서술 방식

편년체 󰠆󰠏 , , 일별로 서술(=날짜별 서술)

(=일기체)󰠌󰠏 ~절요, 통감, 실록, 편년

기사본말체󰠆󰠏 사건을 중심으로 서술

󰠌󰠏 연려실기술, 삼국유사도 포함 가능

야사체 󰠆󰠏 이야기 중심의 역사 서술

(=이야기체)󰠌󰠏 삼국유사

강목체 󰠆󰠏 (대의)와 목(세목)으로 나누어 서술

(=통사체)󰠌󰠏 동사강목 대표적

 

3. 조선시대

건국초

특징 - 왕조 개창 정당화하고 성리학적 통치규범을 정당화시키는 사서 편찬

사서 - 정도전고려국사, 권근동국사략

 

15C 중엽

특징 - 성리학적 대의명분보다 민족적 자각과 왕실의 위신을 높이는 사서 편 찬

사서 󰠆󰠏 김종서고려사,고려사절요

󰠌󰠏 서거정삼국사절요,동국통감

내용

ⓐ『동국통감』󰠆󰠏 성종 때(1484) 서거정이 편찬

고조선에서 고려 공양왕 때까지의 역사를 수록

우리 나라 최초의 편년체 통사

󰠌󰠏 단군을 민족의 시조로 하여 민족사의 새로운 개척을 제시

 

16C 사서

특징 󰠆󰠏 사림에 의한 존화주의왕도주의 사관

󰠌󰠏 단군 조선이 부정되고 기자를 더 높이 숭상

사서 󰠆󰠏『기자실기- 기자 중심

󰠌󰠏『동사찬요,표제음주동국사략- 중국 중심

내용

ⓐ『동사찬요-동국통감을 전면 부정하고 새롭게 편찬

영향

긍정적󰠆󰠏민족적 자부심에 의한 소중화 의식으로 왜와 여진 무시

󰠌󰠏애국심을 높여주는 역할로 왜란과 호란 때 의병을 조직

부정적 - 국제정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여 양난을 격음

 



18C 실학저 사서

특징 -- 실학적 사서 편찬

사서

안정복동사강목』󰠆󰠏 한국사의 독자적 정통론 체계화

한백겸 이후 삼한정통론 체계화

󰠌󰠏 고증사학의 토대 마련

삼한정통론=>단군-(기자조선)-삼한(마한)-삼국-통신으로 연결

이종휘동사』󰠆󰠏 만주 중심의 북방사 체계화

고대사의 시야를 만주까지 확대

󰠌󰠏 반도 중심의 협소한 사관 극복

유득공발해고』󰠆󰠏 발해사의 체계적 서술에 노력

󰠌󰠏 발해를 신라와 함께 남북국으로 규정

한치윤해동역사- 외국의 많은 자료를 이용 민족사 인식의 폭 확대

이긍익연려실기술- 실증적객관적 역사서술에 노력

 

보충학습조선왕조 실록

편찬임금 : 태조실록철종실록까지 25대 임금

편찬시기 : 태종 때 태조 실록이 처음 편찬

편 찬 처 : 춘추관 내의 임시관청인 실록청

편찬방식 : 그날 그날의 사건을 낱낱이 기록한 편년체

편찬사료󰠆󰠏 사관이 임금의 언행을 기록한 사초를 기본자료

󰠌󰠏 시정기, 의정부등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보조자료

특징 󰠆󰠏 왕 사후에 편찬

조선시대 연구의 가장 귀중한 자료

조선시대 문화 수준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

일단 편찬된 실록이라 할지라도 붕당 하에서 개수 가능

󰠌󰠏 연산군과 광해군은 일기로 표기했지만 실록으로 인정함

수정실록을 갖는 임금 : 선조, 현종, 경종

실록보존 󰠆󰠏 세종 때 4대사고 : 춘추관, 충주, 성주, 전주

임난 때 전주사고본만 묘향산으로 옮기고 나머지는 소실

광해군 때 5대사고로 정비

이괄의 난으로 춘추관사고본 소실

󰠌󰠏 현존실록은 태백산본과 정족산본만 현존

 

4. 개항기

근대 계몽 사학의 성립

박은식, 신채호, 장지연 등 활동

영웅들의 전기 편찬

외국 흥망사와 독립사 편찬

항일 저작물 간행 오수불망, 금수회의록

민족주의 사학의 방향 제시

민족 고전의 정리 및 간행 : 조선광문회 - 최남선, 박은식 중심

사학자

장지연 : 백두산 정계비고, 대한 최근세사, 대한 강역고

민족 주체성과 조국 정신 고취

신채호 : 독사신론, 을지문덕전, 이순신전, 강감찬전, 최도통전

민족 정신 고취

박은식 : 연개소문전, 안중근전, 이준전

현 채 : 동국사략, 유년필독(=근대학교의 대표적 역사 교과서)

정 교 : 대한계년사

황 현 : 매천야록

 

5. 일제시대

식민사관

특징

일제가 우리 역사의 부정적 측면을 강조한 사관

우리 민족의 뿌리와 근본을 무시한 사관

단군 조선을 부정하고 고대사 왜곡이 가장 심함

우리 역사를 왜곡날조한 사관

이론

만선사관 일선동조론

임나일본부설 내선일체론

당파성론 후진성론

정체성론 타율성론

연구단체

조선사 편수회 고적조사위원회

법전조사국 청구학회

 

민족주의 사관

특징

한민족의 기원을 밝힘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한국사의 주체적 발전을 강조

민족정신 강조

학자

박은식 󰠆󰠏 근대사 연구에 노력

역사는 신()이요, 나라는 형()이라고 강조

한국통사 - 근대 이후 일본의 조선 침략 과정 서술

한국독립운동지혈사 - 일제 침략에 대한 한민족의 독립운동 서술

󰠌󰠏 민족 혼강조

신채호 󰠆󰠏 고대사 연구에 노력

민족주의 역사학의 기반 확립

조선상고사 - 역사를 아()와 비아(非我)의 투쟁으로 인식

조선사연구초 -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극찬

독사신론 - 삼한정통론에서 벗어나 고대사의 체계를 정립

󰠌󰠏 낭가사상강조

정인보 󰠆󰠏 근대사 연구에 치중

신채호의 민족주의 사관 가장 잘 계승

조선사연구 - 실학 연구에 노력

󰠌󰠏 5천년간의 조선의 강조

문일평 󰠆󰠏 근대사 연구에 노력

50년사 - 개항 이후 역사 연구

󰠌󰠏 조선심강조

최남선 󰠆󰠏 조선역사, 고사통, 아시조선

󰠌󰠏 불함문화권 주장

 

실증주의 사학

특징

역사적 사실의 객관성 강조

사실 그대로의 역사 강조

문헌 고증을 통한 역사 연구

진단학회 결성

일제의 청구학회를 중심으로 한 왜곡돤 한국사 연구에 반발하여 조직

1934년 조직하여 1942년 일제에 의해 해체

학자 - 이병도, 김상기, 신석호, 이상백, 이윤재, 조윤제, 손진태 등

 

사회경제 사학

특징

일제의 경제학자들이 우리 역사의 후진성과 정체성을 강조한데 반발

유물론적 변증법에 의한 역사 연구 강조

세계사적 역사 발전 단계설을 우리 역사에 적용함

일제가 주장하는 한국사의 특수성론을 배척하고 보편사의 이론 적용

학자

백남운 󰠆󰠏 유물사관의 입장에서 한국사를 체계화함

󰠌󰠏 조선사회경제사, 조선봉건사회 경제사

기타 - 김석형, 이청원, 박극채

 

 

'한국사 > 분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출 지문 정리 4 - 근현대사  (0) 2019.03.17
빈출 지문 정리 1 - 선사시대~고대국가  (0) 2019.03.17
고대의 불교 - 교종, 선종  (0) 2019.03.17
조선시대 농서  (0) 2019.01.01
조선시대 지리서, 백과사전  (0) 2019.01.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