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전기 - 행정적, 군사적 목적 / 백성 통치 방편으로 활용 / 중앙집권, 부국강병 강화되며 전국 각지 자연 및 인문지리에 대한 조사가 깊어짐

제목

완성

내용

혼일강리역대지도

태종

-세계지도

-아리비아지도학 + 원나라세계지도 + 한반도 지도 + 일본지도 참고

-불균형 : 중국과 우리나라 크게 그림, 아메리카는 빠져있음

-원본은 없고 모사본이 규장각에 있음

-진취적 세계관

팔도도

세종

정척에 의해 새로 편입된 북방영토 실측, 정밀제작

신찬팔도지리지

-조선왕조 최초 지리서

-세종실록지리지에 수록

세종실록지리지

단종

-신찬팔도지리지를 축소하여 세종실록 부록으로 삽입

-각지방 연혁, 인물, 고적, 토지, 호구, 성씨, 군사교통, 정치에 필요한 지식 수록

동국지도

세조

-정척~양성지에 의해 도,,,,현별로 실측지도 모아 제작(처음)

-만주를 미수복지구로 생각하던 국토관념 반영(만리의 나라)

-전국을 오방색으로 칠해 국토를 오행사상으로 바라봄

해동제국기

성종

일본, 유구지방 인문지리를 신숙주가 기행문형식으로 기록

팔도지리지, 부전

-실록 지리지 미비점 보완위해 왕명에 의해 작성

동국여지승람, 부전

-팔도지리지동문선에서 뽑은 시문을 합하여 간행

-신찬동국여지승람이 전함

-훈신들이 편찬하여 부국강병 추구, 우리나라를 만리대국으로 보는 시각이 담겨있음

->사림이 편찬한 시각(압록강 이남 영토관, 행정적 편의)과 다름

신증동국여지승람

중종

동국여지승람을 증보한 것으로 현존

조선방역지도

명종

동쪽 울릉도 모습은 보이지 않으나 만주와 대마도를 우리 영토로 표기

조선후기 - 경제적, 문화적 목적 / 농민 현실 개선 목적으로 보다 다양, 정밀 제작 /

왜란, 호란 이후 국방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국가사업으로 많은 국방지도가 제작, 비변사가 관리

동국지리지

한백겸

-고조선~고려까지의 역사지리서, 삼한 위치 고증

-고대 지명 새롭게 고증

-고구려 발상지가 평안도라는 통설을 깨고 만주지역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고증

강계고

신경준

(영조)

한백겸 역사지리연구 계승 발전시킨 역사지리 전문서, 각지 교통로 경계 규명

여지고

동국문헌비고에서 우리나라 지리를 정리

산수경

도로고

산경표

-우리나라 산, , 도로 등을 정리->국방, 경제, 행정상 큰 도움

-풍수지리에 입각하여 정리, 오늘날 산맥체계와 매우 다름,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한 정맥으로 산맥 표시

해동역사지리고

한진서

한치윤 해동역사속편으로 서술한 역사지리서

요계관방도

이이명

10폭의 병풍, 북방, 만주, 만리장성 등 중국 군사요새지가 자세히 그려짐

아방강역고

정약용

-지역별로 소개한 역사지리서, 발해 중심지가 백두산 동쪽에 있다는 것 입증, 백제 첫 도읍이 서울이라는 것 입증

지승

허목

-17세기 중엽 우리나라를 중국과 다른 인문지리적 특성 설명, 풍토가 인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독특한 관점 제시

동국여지지

유형원

반계수록에 반영된 개혁안 실천위한 보조자료로 군현 등 각 지방 인문지리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집

택리지(팔역지)

이중환

-영조때 사람이 살만한 곳의 정치, 경제, 풍속을 서술/ 각 지방 자연환경, 인물, 풍속, 인습, 고사 등 흥미있게 서술

-자연, 인간생활 관계를 인과적 이해 / 노론집권층에 대한 비판적 시각

여지도서

홍문관

처음으로 군현별로 채색 읍지도 첨부

동국지도

정상기

-백리척 축척법 사용, 백두산(머리)을 기점으로 백두대간(척추)을 강조, 국토를 인체로 인식하는 전통적 지리관

대동여지도

김정호

-전국을 답사하며 정밀(10리마다 눈금표시)하게 표시, 산업, 군사지도적 성격, 정상기 지도제작(축척법)에 영향 받음

-목판으로 대량 인쇄보급하여 지도 대중화에 성공

대동지지

-동국여지승람 차고 정정 보완위한 지지 / 청구도, 대동여지도 실제 답사&고증이 책으로 엮임

-단군, 기자, 위만조선, 한사군, 가야, 남북국, 후삼국 시대 등 기록

청구도

정상기 동국지도에 큰 영향 받음

대동운부군옥

권문해

선조. 역사적 사실을 문자순으로 배열 / 단군 이래 지리, 인물, 역사, 문학, 동식물 등 수록한 어휘백과사전

지봉유설

이수광

-대동운부군옥과 함께 유서(백과사전) 효시

-우리나라 전통문화수준이 중국과 대등함, 4군이 조선땅의 일부, 한반도 고대 지명이 만주에 조재함을 고증(만주지역에 대한 관심 환기)

-천문, 지리, 유교, 식물 등과 함께 한국 사회, 정치 등에 대한 역사의식 피력

유원총보

김육

인조. 중국서적 참고하여 편찬한 백과사전

성호사설

이익

영조. 지봉유설과 비슷하게 저술한 것, 삼한정통론등 높은 역사의식

동국문헌비고

홍봉한

영조. 최초의 한국학 백과전서(우리나라 관련된 것만) * 정조 : 증보문헌비고

청장관전서

이덕무

정조. 백과전서

오주연문장전산고

이규경

헌종. 학문 전분야에 걸치 사실들에 대해 변증설이라는 형식으로 고증학적 해설

동문휘고

정창순

정조. 조선시대 외교관계문헌 수집, 정리

만기요람

심상규

순조. 조선 후기 재용편(전제, 세제, 조운 등)과 군용편(5, 진법, 봉수 등)으로 만든 편람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