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절 개화정책과 그에 대한 반발 ]

 

1. 통상 개화론의 대두

초기 통상론

- 박제가 (북학파) : ,일본,서양과 통상해야 국가 부강 주장

- 이규경 : 순조 32(1832), 영국상선 통상 요구때 허락 주장

- 최한기 : “지구전요저술, 무호개방 주장

박규수·오경석·유홍기 등에 의한 통상론 추진

- 박규수 : 박지원의 손자

- 오경석 : 중인 출신의 역관, 청 왕래하면 해국도지등 수입

- 유홍긱 : 중인 출신 종사

대원군의 정권 하야 (고종 10,1873)

 

2. 開港

운양호 사건 : 고종 12(1875)

- 대원군의 정권 하야를 통상조약 강요의 기회로 삼음

- 譯官 오경석이 우의정 박규수를 움직여 통상 수교 방침을 결정

- 신헌(申櫶)을 파견하여 구로다와 협상

朝日修好條規 (병자수호조약, 강화도조약) : 고종 13(1876)

- 12조로 구성

󰠆 조선이 자주의 국가로서 일본과 평등한 권리를 갖는다 청의 종주권 배격

󰠐 20개월을 기하여 부산과 그 밖의 2개의 항구를 개항 - 원산만,인천

󰠐 일본은 수시로 조선의 해안을 측량

󰠌 개항장에는 일본인의 조차지(租借地)를 설정, 일본인의 치외법권 규정

- 원산만 : 러시아의 남하에 대비

인 천 : 정치적 이용 - 인천으로부터 쌀의 수출은 금지됨

 

3. 개화정책의 추진

1) 개화정책에 따른 문화 도입

김기수를 수신사로 임명하여 일본에 파견

- 고종 13(1876) ; 강화도 조약이 성립된 해

- “일동기유를 저술, 고종에게 바침 신문명에 대한 조심스런 비판

일본은 하나우사를 公使로 파견, 서대문밖의 청수관(청연정)공사관으로 삼음

김홍집(김굉집)이 수신사로 방일

- 고종 17(1880)

- 청의 황준헌 조선책략”, 정관응 이언(易言)”을 가져옴

* 조선책략 : 나라가 부강하려면 서양의 제도와 기술을 배우고,

러시아 남침을 막으려면 친중국·결일본·연미방하여 자강을 꾀하여야 함

* 이언 : 국가를 부강하게 하려면 기술뿐만 아니라 정치제도도 받아들여야 함

조사시찰단(신사유람단)을 일본에 파견

- 고종 18(1881), 조준영·박정양·어윤중·홍영식 등

- 각종 시설을 시찰하기 위한 전문 위원의 파견

청의 권고에 따라 김윤식을 영선사로 삼아 청의 천진기기국 파견

- 양반 출신의 학도, 공장(工匠) 수십명

- 신식무기 제조법, 군사관계의 기초과학을 배움

2) 개화 정책에 따른 정치개혁

군사제도의 개편 (고종 18,1881) 왕권 강화를 위한 군대 개혁

- 5군영 양영(무위영,장어영) : ‘大將에 국왕의 친근자 임명

- 별기군 신설 : 일본인 장교초빙, 국왕의 근위병 성격

- 사관생도 교육 : 양반의 자제 100여명

행정기구의 개혁

- 대체로 청의 제도를 참작

-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을 설치,

그 밑에 12(사대·교린·군무·변정·통상·군물·기계·함선·어학·典選·理用) 설치

 

4. 위정척사 운동

위정척사 사상 : 개화의 조류에 반대하는 유학자들의 사상

- 성리학에 근본을 두고, 그 밖의 다른 이질적 문화를 배척

- 양요와 강화도 조약의 영향으로 척화론의 형태를 띰

- 이항노 󰠆 고종 3(1866;병인양요가 있던 해)에 상소 주전론 주장

󰠐 고종 4(1867) 언행록인 화서아언” - 침략 배격

󰠐 內修가 있은 연후에 外攘이 가능

󰠐 의병을 조직하여 관군과 호응하여 외적과 싸울 것 주장 의병운동에 영향

󰠌 경제적 침략에 대한 경고 서양 물품을 사용하지 말 것을 주장

- 강화도조약 이후 왜양일체론대두 최익현의 五不可疏고종 13(1876)

김홍집(김굉집)이 가져온 조선책략에 대한 유학자들의 반발

- 영남 유학자들이 이만손을 疏頭로 하고 낸 영남만인 축출되었던 대원군 추앙받음

 

5. 임오군란

대원군의 정권 복귀 노력

- 고종 18(1881), 이재선을 국왕추대 실패

임오군란 (고종 19,1882)

- 개화와 수구 세력의 대결로 정계혼란, 일본 세력 침투에 대한 민족적 반항심

- 별기군 창설후 구식 군대에 대한 차별대우 등에 의해 발발

- 별기군을 훈련하던 일본인 장교 살해, 일본 공사관 습격

대원군의 재집권

- 양영과 별기군 폐지 5군영 부활

- 통리기무아문 폐지

 

6. ·일의 침략행위와 열강과의 통상

일본의 출병소동 청의 군대파견 (영선사 김윤식의 의견)

- 일본에게 빼앗긴 조선에 대한 우월적 지위 회복 목적

- 대원군을 납치하여 텐진(天津)으로 호송 군란의 책임자라는 이유

제물포조약 (조선,일본) : 고종 19(1882)

- 군란의 주모자 처단, 일본인 피살자 유족에게 위문금 지불,

일본 정부에 손해 배상금 50만원 지불, 일본 공사관에 경비병 주둔

제물포조약이 체결되긴 했지만, 청이 주도권 계속 유지

- 정권을 담당한 명성황후는 청에 의존

- 조선의 요청으로 청은 묄렌도르프와 馬建常을 외교고문으로 파견

- 고종 19(1882)통리교보통상사무아문(외아문)’통리군국사무아문(내아문)’ 설치

󰀲 외교와 통상 󰀲 군국의 기무와 내정의 일체

- 군사제도 : 친군영을 세우고 그 밑에 4(···), 청국식으로 훈련

- ‘상민수륙무역장정체결 : 청국인의 조선안에서의 거주·영업·여행의 자유 인정

청국 상인의 수 급증하여 조선 상인에게 타격 반청감정

열강과의 통상 일본의 진출을 막으려는 청의 의도

- 고종 19(1882)에 미국과 통상조약, 그 다음해(1883)에 비준

- 영국·독일과도 고종 19년에 의정되었다가, 익년에 작성, 그 다음해(1884)에 비준

- 이탈리아·러시아 : 고종 21(1884)에 조인

- 프랑스 : 고종 23(1886)에 조약

- 오스트리아·벨기에·덴마크 등과 통상조약 체결

 

 

[ 2절 개화당의 개혁운동 ]

 

1. 개화당의 탄생

개화당(독립당)의 탄생 : 급진적 개화정책 주장

- 김옥균·박영효·박영교·서광범·홍영식 등 (민비에게 압박받는 양반층) 유홍기의 영향

- 이동인(승려), 변수(중인), 유상오 부자(무인), 이창규(상인) 등 참여

- 신분차별 폐지, 일본의 메이지유신을 본떠 정치쇄신, 청의 간섭배격 등

󰀲 일본에게 원조받기를 희망

개화당의 활동

- 임오군란 이후 박영효가 수신사로 일본에 갔을 때 (고종 19,1882)부터 활발

김옥균·서광범 등이 동행

- “한성순보간행, 일본에 유학생 파견

우정국(우편), 전환국(화폐주조), 기기국(무기제작) 설치

- 경기도 광주에서 신식군대 양성 민비세력의 반대로 곧 중지

- 열강의 외교사절과 빈번히 접촉 외교 활동의 중요성 인식

민비 세력의 반발과 일본의 지원 미비로 활동에 한계

 

2. 갑신정변

정변의 준비

- 김옥균이 일본으로부터 300만원의 차관 계획 (고종 20,1883) 실패

- 고종 21(1884)청불사변발생 청의 간섭을 배격할 기회로 생각

- 서재필 등 합류, 일본(다케소에)의 지원 약속

갑신정변 단행 (고종 21,1884)

- 홍영식이 총판(總辦)으로 있는 우정국 개국 축하연 이용

- 대원군의 귀국 요청 민비세력 압도위해

문벌 폐지하여 인민 평등의 권리를 제정

국가에 해를 끼친자 처벌 민씨 일파의 척족세력 제거

- 재정을 호조로 단일화

타조법 개혁하여 국가 수입 확대

관제를 개혁하여 회의로써 정책 결정

갑신정변의 실패

- 청군의 출동으로 실패 (서울주둔군 - :1500, :200)

- 일본군 물러나자 김옥균·박영효 등 일본으로 망명

- 다케소에 공사는 공사관에 방화한 뒤에 일본으로 귀국

- 일본 경비대 본부, 일본인 거류지 등이 군중의 습격 받음

 

3. 열강세력의 침투

한성조약 (고종 21,1884)

- 이노우에가 대표로 갑신정변의 책임문제보다는 선후책의 강구를 위주로 하는 해결 꾀함

- 일본인 피살자에 대한 위휼금 지불, 공사관 건축비 배상 등...

天津條約 (고종 22,1885) : -

- 일본은 갑신정변을 계기로 청의 주도권을 약화시키려 함

- ·일 양군의 철병

- 교련을 위한 인원 파견 금지, 파병시 사전 통고

- 청의 원세개는 서울에 남아 심한 간섭 청 상인들의 집단거주

러시아 세력의 등장

- 러시아와 통상조약 : 고종 21(1884)

- 러시아 대표 웨베르의 외교활동 정부(고종,민비)의 친러적 성향

- 청의 러시아에 대한 경계 󰠆 대원군 귀국, 뭴렌도르프대신 Denny를 외교 고문으로 추천

󰠌 뭴렌도르프에 의해 개선된 조선해관의 사무를 청에 예속

- ‘조로육로통상약정체결 󰠆 경흥이 러시아와의 무역에 개방

󰠐 러시아인 조차지 허용

󰠌 러시아인의 두만강 항행 인정

- 원산과 절영도에 저탄소(貯炭所) 설치 시도 청의 간섭으로 실패

영국의 러시아에 대한 견제

- 청의 양해하에 전라도 거문도를 불법으로 점령 (고종 22,1885)

- 러시아의 반발로, 청의 중재하에 영국함대 철수 (고종 24,1887)

조선의 열강 침투에 대한 반발

- 유길준 중립론” : 고종 22,1885 발표도 못됨

- 박정양을 주미 전권공사로 미국에 파견 (고종 24,1887)

- 독일 영사 부들러의 영세국외 중립국 제안 묵살

 

 

[ 3절 동학 농민군의 항쟁 ]

 

1. 농민의 동요

정부의 재정 궁핍 농민에게 전가

일본의 경제적 침투

- 일본의 곡물 수입(침탈) 증가

방곡령

- 고종 26(1889) : 함경도

- ” 27(1890) : 황해도

- 일본의 항의로 효과를 거두지 못함

 

2. 동학 농민군의 봉기

교조신원 운동 (고종 29,1892)

- 전라도 삼례에서 충청·전라 감사에게 교조의 누명 풀것과 교도에 대한 탄압금지 요구

- 교조신원은 기각되었으나 교도탄압 금지 약속

- 고종 30(1893)에 박광호를 소두로 복합상소 실패

- 충청도 보은에 2만여명 집결 척왜양창의(斥倭洋倡義)’의 구호

- 정부는 탐학한 향리를 징벌할 것을 약속하여 해산시킴

군사행동 (고종 31,1894)

- 고부군수 조병갑의 횡포 만석보 水稅의 강제 징수

- 전봉준의 지휘 아래 고부군청 점령 무기탈취, 곡식 빈민들에게 분배, 만석보 파괴

- 전부는 안핵사 파견 조사 전기 민란의 책임을 동학 교도에게 떠 넘김

- 전봉준·김개남·손화중 등을 중심으로 재 봉기

󰀲 倡義文 산포, 보국안민을 위해 궐기 호소

은 국가의 근본이다...’

- 고부를 점령한 뒤에 白山에 진을 옮겨 대오정비

 

3. 집강소의 설치와 항일전

1) 관군의 격파

전주에서 출동한 관군을 황토현의 싸움에서 격파 정읍·고창을 거쳐 무장 점령

영광을 거쳐 함평에 도달

정부에서는 홍계훈을 양호초토사에 임명 토벌 장성에서 패배 동학 농민군 전주 점령

2) 휴전의 성립

독학 농민군이 전주 점령 즈음, 청군·일본군 출동 정부의 휴전제의

폐정 개혁을 조건으로 휴전 성립

- 양반들의 부당한 가렴주구 배격

- 외국상인의 침투 반대

동학 농민군의 해산

- 각 촌마다 를 설치 (村村設包)

- 전라도 53군에는 집강소(일종의 민정기관) 설치 폐정개혁에 착수

- 전주에 집강소의 총본부인 大都所를 두어 전봉준이 총지휘

- 요직에는 행정에 대한 지식이 있는 잔반이나 향리들이 임명

개혁의 요강

- 탐관오리, 횡포한 부호, 불량한 유림과 양반의 무리 징벌

- 노비문서 불태울 것

- 천인의 대우 개선, 제한적인 과부 개가 허락

- 인재등용, 명분없는 잡세 폐지

- 公私債의 무효화

- 토지를 평균으로 나누어 경작하게 할 것

- 일본의 침략에 내통하는자를 엄벌

동학 세력은 三南 지방을 비롯하여 평안도·함경도까지 미침

3) 동학 농민의 재 봉기

청군·일본군의 출동으로 정세 혼미 斥倭를 구호삼아 북진

공주에서 일본군과 합세한 관군에게 패하고, 태인에서 패배

전봉준이하 많은 지도자들이 체포 혹은 피살 해산

4) 동학 운동의 의미

양반 사회에 항거하여 일어난 대규모적인 농민들의 반항운동

외국의 자본주의 침략에 대항

 

4. ·일의 침략경쟁

동학운동 ·일은 조선에 있어서의 세력확장의 기회로 보고 군사 출동

청의 공동 철병 제안 일본의 거부, 공동으로 내정개혁 추진 제의

청일전쟁 발발 일본의 승리

하관조약(시노모세키 조약) 체결 (-)

- 조선은 완전한 자주 독립국가로 확인 청의 종주권 부인

- 청이 요동반도와 대만을 일본에게 할양

 

 

[ 4절 갑오경장 ]

 

1. 개혁의 실시

1) 일본의 내정 개혁 요구 정부의 거절 군대 출동하여 경복궁 점령,

대원군 집정, 김홍집을 수반으로 한 친일·중립계 정부 구성

2) 갑오경장 (고종 31,1894)

군국기무처의 설치

- 김홍집을 총재관으로 17명의 회의원으로 구성

- 초정부적 존재 국왕·왕비·대원군 무시

- 세력 제거되자 군국기무처 폐지시키고 개혁 진행

정치상의 개혁

- 開國紀元 사용 청과의 종속관계 벗어남을 나타냄

- 의정부와 궁내부를 구별

󰠆 궁내부 : 과거의 왕실 관계 여러 관부를 정리하고 간소화

󰠌 의정부 : 총리 대신을 최고로 하여 8개 아문 (6+외무,농상)

- 의정부를 내각으로 고치고 7(외부·내부·탁지부·법부·학부·농공상부·군부)

- 관리의 品級을 개정하고, 에 따르는 월봉제도 수립

- 과거제도 폐지, 새로운 관리 임용법 시행 양반·상민이나 문반·무반의 차별 없앰

- 지방관제 개혁 󰠆 82313개편

󰠌 지방관으로부터 사법권·군사권 박탈

- 사법권을 행정기구에서 분리 독립 재판소 구성법 공포

󰠆 1심 재판관 : 지방 재판소, 개항장 재판소

󰠌 2” : 고등 재판소, 순회 재판소

- 경찰권 일원화

󰠆 서울 : 경무청

󰠌 지방 : 관찰사 지휘하에 경무관 둠

경제적 개혁

- 재정의 일원화 󰠆 탁지부(度支部)에서 재정에 관한 사무 담당

󰠌 탁지부 관하에 220개 처의 徵稅署, 9개처의 管稅司 설치

- 화폐제도 정리 : 신식화폐장정에 의하여 은본위제 채택, 수종의 동화로써 보조화폐

조세의 금납제

- 도량형 개정 통일

사회적 개혁

- 신분제도 철폐

- 고문이나 연좌법 폐지

- 남녀의 조혼은 금함 (남자20, 여자16)

- 모든 과부의 재가 허용, 관직에서 물러난 후 상업 종사 가능

- 양자 제도의 개정, 의복 제도의 간소화

 

2. 개혁의 파문

일본의 자본주의가 침투할 수 있는 바탕을 마련

- 일본 화폐 혼용 가능

- 군사제도의 개혁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

조세의 금납제

- 농촌에까지 화폐가 널리 유통되지 않아서 농민들에게 부담

대원군의 불만 일본은 공사를 오오도리에서 이노우에로 교체하여 대원군 축출

- 김홍집·박영효 연립 내각 성립

- 홍범 14(한국 최초의 헌법)

러시아·독일·프랑스가 요동반도를 청에게 다시 반환시킴

배일·친러 세력 형성 : 민씨세력

박영효 등 친일세력 축출 이범진·이완용 등 친러파 기용

을미사변 (고종 32,1895)

- 일본의 친러세력 축출, 친일세력 부활 의도

- 이노우에의 뒤를 이은 미우라가 주도

- 김홍집을 수반으로한 새 내각 조직

급진적 개혁의 추진 (을미개혁)

- 태양력 채용

- 어린애에 대한 종두규칙 발표

- 서울에 소학교 설치

- 충주·안동·대구·동래에서 우체 사무개시

- 一世一元의 연호 사용, 이듬해부터 건양(建陽)

- 군제 변경 : 중앙에 친위대, 지방에 진위대

- 단발령

을미사변, 단발령 등으로 반일 분위기 고조

의병 (유인석·이소응·이춘영 등) 봉기

 

 

[ 5절 개화기의 상공업과 사회사상 ]

 

1. 개항후 상공업의 변화

1) 개항초기 : 외국 상인의 활동범위 제한

객주·여각(도고상인)은 보부상을 통하여 수입품 판매나 수출품 매입으로 재부 축적

2) 외국 상인의 내륙에서의 상업활동 개시

객주·여각 및 보부상에게 큰 타격

객주·여각의 진취적 상인들은 상사회사를 조직

- 평안도이 처음 평야에 설립한 대동상회 등...

- 서적출판 목적의 廣印社 󰠏󰠈

- 술을 양조 판매한 長春社 󰠏󰠍󰠏 민간의 합자회사

- 농민들의 稅穀 환금 담당한 米商會社 - 관설회사

관설회사의 수가 더 많았음, 정부로부터 특권

3) 상인단체 조직

고종 20(1883)에 보부상 보호 목적으로 혜상공국 설치

- 보부상단은 특권의식 때문에 근대적 상인단체로 성장하지는 못함

개항장의 객주들이 객주상회 조직

- 고종 20(1883) : 원산의 상회소

- ” 22(1885) : 부산 상법회사, 인천 객주상회(紳商協會)

4) 공업

고종 20(1883) 󰠆 근대적인 무기 제조하는 기기국(機器局)

󰠐 화폐 주조하는 전환국(典圜局)

󰠌 출판물 인쇄하는 박문국(博文局)

고종 22(1885) - 방직을 위한 직조국(織造局)

고종 24(1887) 󰠆 제지를 위한 조지국(造紙局)

󰠌 근대식 채광법에 의한 광산 개발을 위한 광무국(鑛務局)

개항 초기의 근대식 공장은 정부에 의해서 운영됨

5) 해운

고종 23(1886) - 轉運局 설치하여 근대식 汽船을 구입하여 해운업 경영을 담당

” 29(1892) - 官民합판회사인 利運社 설립하여 세곡 운반등에 종사

 

2. 개화사상의 전개

개화사상 :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여 상공업을 발전시킴으로써 부국강병의 실을 거두려 함

초기에는 무기와 농업기술의 도입에 큰 관심

- “해국도지의 설명에 따라 신식전함 제조 시험, 대포 제작하여 강화도에 배치

- 최경석은 농무목축시험장에서 미국에서 도입한 종자 재배, 가축 기름

- 새로 설치된 잠상공사에서는 독일인 초빙하여 새 양잠법 시도

- 안종수는 고종 18(1881)농정신편저술 󰠏󰠈

- 정병하는 ” 23(1886)농정촬요저술 󰠏󰠍󰠏 서양의 근대 농법 소개

정치와 사회의 개혁을 중요시하는 급진적인 개화사상으로 발전

- 김옥균 󰠆 전제군주제를 입헌군주제로 개혁

󰠐 서구식 무기로 무장한 신식군대 양성

󰠐 자본주의적 경제 조직과 근대적인 산업을 건설

󰠐 양반 중심의 신분제도 폐지, 만민의 평등권 확립하여 근대적인 시민사회 추구

󰠌 학교의 설립, 종교의 자유

- 유길준 󰠆 고종 26(1889) “서유견문에서 서양의 근대문명을 모범으로하여 개화에 노력

󰠐 허명개화, 실상개화 언급

󰠐 법치주의적 민주주의, 자유주의적 자본주의 수립 목표

󰠌 당시의 한국에서는 군민이 함께 다스리는 정치체제가 적절한 것이라 함

- 고종 20(1883) “한성순보에 발표된 회사설

상업하는 방법으로서 여러사람이 자본을 모아 서양회사를 설립하는 것이 필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