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절 친원정책과 권문세족 ]

 

1. 에의 굴복

일본원정 - 충렬왕 즉위년(1274), 7(1281)

원의 공주를 正妃로 맞음

3첨의부(僉議府), 중추원(추밀원) 밀직사(密直司)

이부+예부 전리사(典理司), 호부 판도사(版圖司)

병부 군부사(軍簿司), 형부 전법사(典法司)

 

2. 대원관계의 발전

정동행성 설치 (충렬왕 6,1280) 일본원정 목적, 원의 연락기구

- 좌승상에 고려국왕 임명 내정간섭

영토의 일부를 빼앗김

- 쌍성총관부 : 화주(영흥), 철령 이북 땅 공민왕이 무력으로 수복

- 동녕부 : 서경, 자비령 이북 󰠏󰠈

- 탐라 총관부 : 제주도 󰠏󰠍→ 곧 반환

 

3. 권문세족과 농장·노비

친원세력의 형성 권문세족으로 발전, 막대한 농장·노비 소유

권문세족들의 도평의사사 회의에 참석

전시과 붕괴후 녹과전 제정 (원종 12,1271) - 경기 8현의 토지를 현직자에게 분배

권문세족들의 관심을 끌지 못함

농장 : 귀족들의 사유지에서 발전 - 면세·면역의 특권

- 개경에 사는 不在地主, 토지겸병으로 전호들은 여러명에게 부담

 

 

[ 2절 신흥사대부 세력의 성장 ]

 

1. 신흥사대부의 진출

사대부 : 학자적 관료

- 과거를 통한 정치 진출

- 軍功등으로 신분상승 (閑良)

- 무인정권에 의해 귀족정치 붕괴후 등장, 무인정권 타도후 활발한 정치적 진출

 

2. 공민왕의 개혁

공민왕 (13511374) - ·명 교체기에 즉위

- 친명·반원 정책, 권문세족 억압

정동행성 폐지, 쌍성총관부 무력 탈환

정방 폐지 : 인사권 장악, 왕권견제, 신흥사대부 진출 억제 해소

전민변정도감 설치 (공민왕 15, 1366)

 

 

[ 3절 조선 왕조의 성립 ]

 

1. 이성계의 집권

홍건적의 침입 : 공민왕 8(1359), 10(1361)

- 개경 점령, 공민왕 안동으로 피난

왜구의 창궐 : 충정왕 2(1350) 이후 漕運 방해

무장세력 등장

- 최영, 이성계, 정지 왜구소탕

- 최무선 화포 사용 (화통도감)

- 박위 대마도 정벌 (창왕 원년,1389)

명의 철령위 설치 (옛 쌍성총관부) 요동정벌 위화도 회군

 

2. 전제 개혁

공양왕 옹립 (1389) - 이성계, 정도전, 조준

귄문세족, 불교의 사원세력 배척 막대한 농장 소유

새로운 양전 작업 (창왕 원년,1389), 종래의 公私田籍 불살라 버림 (공양왕 2,1390) 과전법 공포 : 공양왕 3(1391)

- 경기도에 한하여 관직에 따라 분배

- 경기도 이외의 지역은 公田으로 편입 농장 몰수

조선왕조의 경제적 기초

 

3. 조선왕조의 성립

이성계 왕위 등극 (공양왕 4,1392)

 

 

[ 4절 신흥사대부의 문화 ]

 

1. 성리학의 전파

경사교수도감 설치 (충렬왕) : 사장·훈고 경학·史學

성리학의 도입 : 안향

- 백이정, 이제현, 이숭인, 이색, 정몽주, 길재, 정도전, 권근

주자가례에 의하여 家廟 세움

 

2. 史學

고려실록 : 현종(10091301)때 태조목종까지 칠조실록 편찬··․ → 不傳

인종 23(1145) : 김부식 삼국사기

의종 (11461170) : 김관의 편년통록不傳

고종 (12131259) : 각훈 해동고승전” - 교종 입장에서 불교 정리

충렬왕 (12741308) : 원전 고금록”, 정가신 천추금경록不傳

일연 삼국유사”, 이승휴 제왕운기단군을 시조

충선왕 (13081313) : 민지 본국()편년강목不傳

공민왕 (13511374) : 이제현 史略不傳, 일부 史論만 현존

 

3. 景幾體歌長歌

경기체가, 어부가 : 무인정권기 사대부들의 귀족문학

- 제유 한림별곡”, 안축 관동별곡”,“죽계별곡

장가 : 작자 미상의 민중문학

- “청산별곡”,“서경별곡”,“가시리”,“정읍사”,“동동”,“쌍화점

 

4. 미술

현존 목조건물 : 고려 중기 이후, 주심포 양식

- 13세기 : 안동 봉정사 극락전 - 현존 最古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 14세기(고려말) : 영주 부석사 조사당

덕산 수덕사 대웅전

- 조선초기 : 서울 남대문

회화 : 문학화, 낭만적

- 흑죽, 은일도, 유연계회도, 사군자도 유행

- 이규보, 이제현 등 詩畫일치론주장

- 공민왕 천산수렵도”, 혜허 수원관음도(양류관음도)”

부석사 조사당 벽화 천왕상도”, 수덕사 벽화 수화도”, 신광사 오백나한도

석탑

- 개풍의 경천사탑 : 대리석 사용 원의 영향

石浮屠 : 石鐘 형식의 소박한 형태로 변함

- 여주 신륵사 보제사리석종

목조공예품

- 하회탈

서예 : 조맹부의 우아한 송설체 유행 조선시대 계승

- 충선왕때 이암

 

5. 과학과 기술

농업 기술의 발전

- 시비법, 수리시설(제방,) 休閑法 극복, 연작법 시행

- 중국 농업기술, 이암이 원의 농상집요간행

衣料의 발전

- 공민왕 (13511374)때 문익점 : 삼베·모시·명주 무명

의학의 발전

- 전통적인 향약 연구개발

- 고종 23(1236) “향약구급방현존 最古 의학서

- “삼화자향약방” - 임상서

화약의 제조

- 최무선 : 우왕 3(1377) 화통도감 설치 창왕(1389)때 폐지

인쇄술

- 활판인쇄 : 고종 21(1234) “상정고금예문” -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 不傳

-공양왕 4(1392)에 국가에서 서적원 설치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