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중,후기
Ⅰ. 귀족 사회의 동요
1. 귀족사회의 전개( 문종 ~ 의종 )
2. 귀족사회의 동요( 개경 문벌귀족 vs 지방신진세력 )
(1). 이자겸의 난(1126)
1). 배경 → 전기의 대표적 문벌귀족 출신의 인주 이씨
→ 예종․인종과 중복된 외척관계 형성
→ 지방출신의 신진관료와 대립
2). 경과 → 척준경과 함께 국왕측근세력 제거
→ 척준경에 의해 제거당함(전기 귀족사회의 붕괴 발단)
3). 결과 → 인주이씨의 몰락, 왕권의 약화, 귀족간의 대립(서경파 등장), 도참설과 서경천도설 대두
금과 유약한 사대주의 결정
(2). 묘청의 난(1135)
1). 배경 → 개경파와 서경파의 대립
2). 경과 → 서경천도운동의 실패, 국호를 대위, 연호를 천개, 군대를 천견충의군이라함.
3). 결과 → 서경세력의 몰락, 분사제도․삼경제 폐지
4). 역사적 의의 → 북진이념의 계승 : 금의 압력에 저항, 금국정벌론
→ 신채호의 평가 : < 조선사 연구초 >에서 “조선역사상 일천년에 1대사건”이라고 높이평가.
낭가․불교세력 vs 유학, 국풍파 vs 한학파,
독립당 vs 사대당, 진취사상 vs 보수사상의 대결이라 칭함.
Ⅱ. 무신란과 무신정권( 귀족사회의 붕괴 )
1. 무신란의 발생
(1). 원인 → 귀족사회 내부의 모순 : 특권적 지위를 누리던 문벌귀족들의 자기항쟁(이자겸의난, 묘청의 난)
기성문벌귀족에 대한 신진관료의 도전.
→ 對 무신정책의 모순 : 문반에 비해 무반의 차별정책, 정치권력․군대권을 모두 문반이 장악.
→ 군인들의 불만 : 농장확대와 농민의 몰락, 잡역에 혹사당함.
2.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화
(1). 형성기 ( 1170 ~ 1196 )
1). 특징 → 무인들의 연합정권, 무인정권의 불안정, 무인의 문반관직 독점
2). 전개 → 정중부, 이의방, 이고 : 중방정치
→ 경대승 : 도방정치
→ 이의민 : 천민출신, 중방정치
(2)확립기 ( 1196 ~ 1258 ) : 최씨 집권기
1). 특징 → 자체적인 권력기반 확립(교정도감, 정방, 서방)
→ 무신과 정방을 억압하고, 문신보호의 역현상 발생( 문인들의 행정능력 이용 )
→ 민란의 진압과 교종세력의 억압 : 선종세력과 연결 도모.
2). 전개 → 최충헌 : 시무 10조, 도방부활, 교정도감, 농장의 확대로 경제적 기반확립.
→ 최 우 : 정방, 서방설치, 삼별초 조직, 대몽항쟁
→ 최항, 최의
(3). 붕괴기 ( 1258 ~ 1270 ) → 김준, 유경, 임연, 임유무, 문신의 대몽강화시도, 삼별초의 저항
3. 反 무신란의 전개 ◈ 김보당의 난(1173) : 동북면 병마사 김보당의 난, 의종복위운동, 최초의 반무신란
◈ 조위총의 난(1174) : 서경유수 조위총의 난, 최대의 난
◈ 귀법사의 난(1175) : 왕․귀족의 비호를 받고 있던 교종계열 승려의 난
◈ 공주 명학소의 난(1176) :망이․망소이의 난,회유책으로 충순현으로 승격, 신분해방운동
◈ 전주 관노의 난(1182)
◈ 김사미, 효심(울산)의 난(1193)
◈ 만적의 난(1198) : 최충헌의 노비출신, 신분해방운동.
※ 민란의 발생과 성격 → 명종․신종대의 30여년간 집중적으로 발생.
→ 최충헌의 집권후 기세약화(무신정권이 안정기에 접어들었기 때문)
→ 정부의 대응 : 진압과 함께 권농책실시, 조세감면등 농민안정정책.
→ 무신집권기의 민란은 귀족중심의 엄격한 신분사회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사회체제 로 넘어가는 원동력이 되었다.
4.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1). 형성기의 지배기구 → 정권의 불안정기로 기존의 관부를 존치해 둔 채, 중방을 중심으로한 연합정치.
(2). 확립기의 지배기구
1). 최충헌 집권기 → 교정도감(인사․조세․감찰) : 최고의 관부
→ 도방의 강화
→ 천민의 난 진압, 흥녕부(경제적기반), 최충헌의 시무10조건의.
2). 최 우 집권기 → 정방(문무관 인사권)
→ 서방(문신의 자문기구) : 문신을 등용, 최자․이규보․이인로등용
→ 삼별초조직 : 경찰․전투등 공적임무를 띤 사병집단, 대몽항쟁에 참가
야별초(좌별초, 우별초), 신의군(몽고에 포로로 갔다가 돌아온자)
→ 강화천도(1232 ~ 1270) : 1차침입후 강화천도, 대몽항쟁.
※ 최씨 정권의 성격 → 문무 합작 정권
→ 항 몽 정 권
→ 막대한 농장의 소유 : 전시과 체제의 붕괴, 본격적으로 농장이 확대되어 이 시기의 농 장은 산․천을 경계로 할 만큼 확대.
5. 무신정권의 대몽항쟁
(1). 시대적 배경 → 몽고 제국의 성립(1206), 대요수국(거란, 1216), 동진국(여진, 1217)
→ 강동의 역(1219) : 고려, 몽고의 첫 접촉, 연합작전으로 거란 격퇴.
(2). 대몽 항쟁
1). 1차침입( 고종, 1231 ) → 원인 : 몽고사신 저고여의 피살사건
→ 결과 : 박서의 분전(귀주), 고려의 강화요청으로 강화성립.
다루가치 설치( 국사전반을 관장하여 내정간섭기구, 충렬왕때 폐지)
2). 2차침입( 1232 ) → 원인 : 최우의 강화천도와 함께 대몽정책의 강경화
→ 결과 : 처인성 전투(김윤후)
3). 3차침입( 1235 ) → 부인사 대장경 소실, 황룡사 9층탑 소실
4). 이후 6차침입까지 있었음.
※ 삼별초의 대몽항쟁 → 설치 : 최우때 야별초와 신의군을 합하여 설치
→ 원종때 개경출륙반대 : 무신정권의 붕괴와 함께 대몽항쟁을 고수
→ 대몽항쟁 : 배중손(진도, 용장성), 김통정(제주도)
→ 결과 : 여․몽진압군에 의해 진압, 제주도에 탐라총관부 설치
Ⅲ. 고려후기사회의 변동
1. 원간섭기의 고려
(1). 영토의 상실 ◉ 쌍성총관부 설치(1258 ~ 1356) → 철령 이북의 땅, 공민왕때 수복.
◉ 동녕부 설치(1270 ~ 1290) → 자비령 이북의 땅(서경), 충렬왕때 수복.
◉ 탐라총관부 설치(1273 ~ 1301) → 삼별초의난 진압 후 제주도에 설치.
(2). 일본정벌에의 동원
1). 1차정벌( 충렬왕, 1274 ) → 강화후 첫 시련, < 둔전경략사 >설치
→ 홍다구, 김방경, 합포(마산)을 출발, 실패
2). 2차정벌( 충렬왕, 1281 ) → < 정동행성 >설치
※ 관부의 설치순서 : 다루가치(1231) → 쌍성총관부(1258) → 동녕부(1270) → 탐라총관부(1273)
→ 둔전경략사(1274) → 정동행성(1280)
(3). 관제의 변화
1). 왕칭호의 변화 → 충자가 붙음, 폐하 : 전하, 태자 : 세자, 짐 : 고
2). 도병마사 확대․개편 → 도평의사사(도당)로 개칭, 권문세족의 최고정치기구로 국정전반을 관장하는 합 좌기구
3). 병제개편 → 순마소 설치(경찰, 감찰임무)
4). 관제 격하 및 변화(보충프린트 참조)
(4). 입성책동(1308)
(5). 내정 간섭 기구 및 기타 → 다루가치(1231)
→ 정동행성(1280) : 장관인 승상은 고려왕이 겸임, 관원도 고려인
중심기구로는 정동행성 이문소가 있음.
→ 응방 : 해동청(매)의 사육
→ 독로화 : 원에 인질로 끌려간 왕자의 별칭
→ 심양왕 : 원의 분열정책의 소산
→ 반전도감 : 공물수탈기구
(6). 원지배하의 영향 → 공녀요구(결혼도감) , 농촌의 파탄 , 인종․언어교류
→ 풍속교류 : 몽고풍, 고려양의 유행
→ 만권당 설치 : 충선왕이 연경에 설치
→ 주자학의 전래 : 충렬왕때 안향이 소개
→ 사라센문화의 영향 : 천문, 역법, 수학의 전래
2. 권문세족의 등장
(1). 권문세족의 형성 → 무신집권기를 거쳐 대원관계가 진전되면서 형성.
(2). 권문세족의 성분 → 무신세력 : 언양 김씨(김취려), 평강 채씨(채송년)
→ 부원세력 : 평양 조씨(조인규), 안동 김씨(김방경)
→ 전기문벌귀족 세력 : 인주 이씨, 경주 김씨, 파평 윤씨
→ 충선왕 즉위년에 발표한 < 재상지종 >이 고려후기의 권문세족.
(3). 권문세족의 성격 → 고려후기의 정치권력 장악 : 재추직 장악, 도평의사사 장악, 왕권의 약화
→ 대토지 소유자 : 녹과전이나 녹봉보다는 불법적 토지집적을 통한 농장경영.
농장은 면세․면역의 특권, 산천을 경계로 하는 광대한 농장소유.
→ 문화적 소양과는 거리가 멀다
→ 친원적 성향․보수적 성향 : 원의 세력을 이용하여 기득권을 지키려는 반개혁적 성향.
→ 관료적 성향(전기 문벌귀족에 비해서)
※ 고려권력층의 변화 : 호족 → 문벌귀족 → 무신 → 권문세족 → 신흥사대부
※ 문벌귀족과 권문세족의 비교(보충프린트 참조)
3. 전시과 체제의 붕괴와 농장의 확대
(1). 전시과 체제의 붕괴 → 귀족정치기인 12세기초부터 동요시작 : 문벌귀족들의 토지겸병(이자겸)
→ 무신집권기의 최충헌
→ 몽고간섭기에 본격적으로 농장이 확대됨(권문세족)
(2). 농장의 확대 → 권문세족, 왕실, 사원이 주체
→ 확대방식은 불법적임 : 약탈, 강점등
(3). 농장의 성격 → 면세․면역의 특권 ( 사적 지배력이 농후함 )
→ 고려후기의 농장은 산천을 경계로 하는 광대한 영역(주․군에 걸침, 하나의 행정구역구성)
→ 국왕의 농장( 장․처 ), 사원세력은 왕또는 권문세족의 기탁으로 농장형성.
(4). 농장확대의 영향 → 국가수입의 감소(녹과전 제도의 실패)
→ 국가 인적자원의 감소
→ 왕권의 약화(고려후기 개혁정치의 동기)
→ 신․구세력의 갈등 : 신흥사대부와의 갈등원인
4. 원간섭하의 개혁정치(권문세족 억압목적과 원세력 약화목적)
(1). 충렬왕 → < 전민변정도감 >설치, 홍자번의 < 편민 18사 >
(2). 충선왕 → < 사림원 >설치, 소금․철의 전매사업 실시
(3). 충숙왕 → < 찰리변우도감 >설치
(4). 충목왕 → < 정치도감 >설치
(5). 공민왕의 개혁정치
1). 반원정책 → 원명교체기를 이용하여 친명정책 천명
→ 친원파 숙청, 몽고풍 폐지, 정동행성 이문소 혁파
2). 영토회복정책 → 쌍성총관부 탈환, 동녕부 공격
3). 왕권강화정책 → 정방을 폐지 : 인사권을 장악
→ 신진사대부와 가문이 없는 신돈의 등용
→ 권문세족억압정책 : <전민변정도감>을 설치, 실패
4). 개혁실패요인 → 권문세족의 압력, 상대적으로 개혁주체세력(신흥사대부)의 미약,
홍건적․왜구침입, 원의 압력, 신돈의 횡포, 자제위의 변태적 운용.
5. 신흥사대부의 대두
(1). 시대적 배경 → 권문세족의 정치권력 독점과 농장확대에 따른 정치,경제,사회적 혼란을 시정하기 위한 개혁 이 필요한 시대.
(2). 형성 → 최씨정권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여 무신정권 붕괴후 더욱 활발히 중앙정계에 진출.
(3). 개혁에 참가( vs 권문세족) → 충선왕의 개혁정치에 참가
→ 공민왕의 개혁정치에 참가
(4). 위화도 회군으로 신흥무장세력과 결탁
(5). 사대부의 성격 및 권문세족과의 비교( 보충프린트 참조 )
6. 국제정세 변화와 위화도 회군
(1). 왜구의 침입
1). 왜구의 침입 → 대마도등 일본의 해적상인을 말함. 고종때부터 출몰하기 시작.
→ 충정왕때부터 극심, 강화도까지 약탈, 개경에 게엄령선포.
2). 일본정부와의 교섭 → 김일(공민왕), 정몽주(우왕)을 파견.
→ 일본정부의 통제력 약화로 효과를 보지못함.
3). 왜구 토벌 ◈ 홍산대첩(우왕, 1376) → 최영, 부여
◈ 화통도감 설치(우왕, 1377) → 최무선
◈ 진포대첩(우왕, 1380) → 나세․최무선, 서천, 화포사용
◈ 황산대첩(우왕, 1380) → 이성계
◈ 관음포대첩(우왕, 1383) → 정지, 남해
◈ 대마도정벌(창왕, 1389) → 정지의 건의, 박위파견
4). 영향 → 고려재정의 파탄 : 농민의 유망, 조세감소, 조운의 곤란
→ 수군의 창설, 사수서(해안경비 담당), 무기발달(화포의 제작)
(2). 홍건적의 침입
1). 1차침입(공민왕, 1359) → 이방실
2). 2차침입(공민왕, 1361) → 복주(안동)으로 피난, 정세운․이방실․최영․이성계
(3). 위화도 회군
1). 시대적 배경 → 원․명의 교체기(공민왕, 1368)
2). 고려의 대응 → 공민왕의 친명정책
→ 친명파(공민왕, 신흥사대부)와 친원파(권문세족)의 대립심화.
→ 우왕의 즉위(1374) : 이인임의 추대, 원․명에 대한 양면외교 추구
→ 명의 철령위 설치(1388) : 쌍성총관부 관할, 최영의 요동정벌 결정
7. 이성계의 집권 → 전제개혁의 단행(공양왕, 1391) : <급전도감>을 설치하고 도평의사사에서 공직적으로 과전법 공포
→ 권문세족의 경제적 기반 몰락, 재정확보, 농민의 지위향상
→ 강경파(역성혁명파: 정도전, 조준)와 온건파(다수, 정몽주, 이색)의 대립.
보충자료
1. 서경파 vs 개경파
서경파 | 묘청․백수한․정지상 | 풍수지리설 | 북진주의 | 금국정벌 (자립국가) | 신진관료 | 진 보 | 불교․낭가 | 고구려유민 | 독립당 |
개경파 | 김부식 | 유 학 | 사대주의 | 금정벌불능 (송이용우 려) | 문벌귀족 | 보 수 | 유 교 | 신라유민 | 사대당 |
2. 관제의 격하 및 변화
중서문하성, 상서성 | 첨의부 |
중추원 | 밀직사 |
도병마사 | 도평의사사 |
이부,예부 | 전리사 |
병부 | 군부사 |
호부 | 판도사 |
형부 | 전법사 |
공부 | 폐지 |
안찰사 | 안렴사 |
어사대 | 감찰사 |
한림원 | 문한서 |
문하시중 | 첨의중찬 |
상서 | 판서 |
시랑 | 총랑 |
3. 문벌귀족과 권문세족의 비교
문벌귀족 | 권문세족 |
호족출신 | 무신집권 이후 성장 |
왕실과 통혼 | 원과 결탁 |
과거, 음서 | 음서 |
공음전 | 농장세습 |
관직에 집착않음(귀족적) | 관직에 참여(관료적) → 도평의사사 장악 |
고려전기의 지배층 | 고려후기(원간섭기)의 지배층 |
4. 권문세족과 사대부의 비교
권문세족 | 사대부(신진세력) |
중앙고관(음서로 진출) | 지방의 향리(과거로 진출) |
재경 부재지주, 농장소유 | 재향 중소 지주 |
유학적 소양이 적음 | 성리학자 |
불교를 옹호 | 철저한 불교비판(정도전의 불씨잡변) |
친원 외교 전개 | 친명외교 전개 |
귀족 연합 정치 운영 | 왕도정치(민본주의) |
주체의식이 미약 | 주체의식이 강함 |
'한국사 > 고려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고려 문벌귀족기 (0) | 2019.04.07 |
---|---|
고려의 토지, 무역, 종교, 개혁기구, 역사, 문화, 농업, 화폐, 군역 등 요약 (0) | 2019.04.06 |
고려 전기 역사 요약 (0) | 2019.03.17 |
고려의 집권세력 흐름 정리 (0) | 2018.12.14 |
고려 정치사 2 - 거란침입, 여진정벌, 문벌귀족, 무신정변, 대몽항쟁, 원간섭기, 왜구격퇴, 신진사대부, 위화도회군 (0) | 2018.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