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국시대

 

 

. 남북국가의 성립

1. 신라의 삼국통일(676)

2. 발해의 건국(698)

(1). ()국의 성립 : 고구려 장인 대조영이 동모산(길림성 돈화)에서 건국

(2). 발해의 사회구조 : 지배층은 고구려인, 피지배층은 말갈족

(3). 발해의 고구려 계승의식 : 발해 무왕때 일본에 보낸 국서에서 復高麗之舊居有扶餘之遺俗 이라고 한 것이 나 스스로 高麗國으로 칭한사실

3. 남북국가의 관계 ( 국제적 세력관계 및 국내사정에 따라 친선과 대립을 교차적으로 행하였다. )

(1). 대립 - 신라군의 발해공격( 무왕 : 732 ) : 발해 전쟁시 당의 요청으로 신라가 발해의 남쪽경계공격

- 쟁장사건(897), 등제서열사건(906)

(2). 친선 - 건국직후 : 신라에 사신파견(700), 대조영에게 대아찬(5)수여

- 원성왕(790), 헌덕왕(812)에 북국에 사신파견

- 신라에 결원 요청( 911) : 거란 공격시 신라에 결원요청, 신라수락

- 신라도(신당서), 39개의 역(고금군국지)이 존재하여 교류사실 입증(그러나 활발한 교류는 아님)

. 통일신라의 발전과 정치경제문화

 

1. 통일신라의 발전( 신라중대사회 : 무열왕 혜공왕 )

(1). 중대사회의 성격 - 신라의 전성기, 왕권의 전제화, 정치문화의 황금기

(2). 왕권의 전제화의 성격 - 진골왕위의 세습(무열왕계) : 태종무열왕, 김유신계 등장

- 진골귀족의 세력약화 : 상대등 권한 약화 (상대적으로 왕권이 강화되고 시중의 권 한이 강화됨), 갈문왕제 폐지, 화백회의 약화

(3). 왕권의 전제화 과정

신문왕( 681692 ) - 전제왕권의 확립, 김흠돌의 난을 진압하고 각종제도의 정비

- 정치제도 : 집사부 및 6전체제 정비(보충자료 참조)

- 지방제도 : 95소경

- 군사제도 : 9서당 10

- 경제제도 : 녹읍을 폐지하고 관료전 지급(진골귀족의 세력약화)

- 교육제도 : 국학 설치

성덕왕( 702737 ), 경덕왕( 742765 ) : 통일신라의 극성기

- 성덕대왕 신종, 관부와 지명의 한식화, 석굴암불국사 창건

혜공왕( 765780 ) - 5묘제(미추왕, 무열왕, 문무왕, 성덕왕, 경덕왕) : 중대에 있어서의 直祖관념 표출

2. 통일신라의 정치경제

(1). 중앙관제( 신문왕때 완성 ) - 상대 중대에 걸쳐 점진적으로 설치됨.

- 당제 6전조직의 모방(형식적)

- 독자적 운영 : 단일성(집사성)중심으로 운영

(2). 지방관제( 신문왕 : 95소경 )

1). 9(군주총관도독) 주장관의 명칭변화 : 군사적 성격에서 행정적 성격으로의 변화(민정장관)

외관의 파견 : 중앙에서 파견

외사정 설치(,) : 감찰임무

2).

3). 5소경(사신) 중원경(충주), 북원경(원주), 금관경(김해), 서원경(청주), 남원경(남원)

방향에 맞추어 설치, 수도편제 극복, 지방세력 감시견제목적

정복한 국가의 귀족을 강제 이주시킴 : 중원경(가야), 남원경(고구려)

중앙의 귀족 파견

행정적 의미보다 정치적문화적인 필요에 의해 설치

4). - 몇 개의 자연촌이 합쳐진 행정적 지역촌 (민정문서 또는 신라장적 : 보충프린트 참조)

- 토착적 유력자인 촌주가 통제 ( 현령을 통한 간접통제)

5). 부곡(특수행정조직) - 피정복자 집단, 전쟁포로의 집단 거주지

- 천민집단

토착세력에 대한 - 우대 : 촌주, 군현의 관리로 임명, 외관보좌

- 통제 : 상수리 제도 ( 고려 기인제, 조선 영저리경저리제도의 기원)

 

(3). 통일신라의 군사제도 : 전제왕권의 밑받침이 되는 중앙군의 강화가 특색.

1). 중앙군 : 9서당(신문왕) - 통일전 서당의 확대개편

- 왕경에 주둔, 국왕직속의 특수부대( 왕권강화 )

- 고구려, 백제 말갈등 피정복민을 흡수포함(깃의 색깔로 구분)

- 신라(), 백제(), 고구려(황금), 말갈(흑금), 보덕국(적벽)

2). 지방군 : 10 - 각주에 하나씩(단 한주만 2) 설치(신라 지방제도가 군사적 조직과 결합)

5주서 - 강주전주한주삭주명주

3변수당 - 국경지대

 

(4). 토지제도 : 통일전 귀족은 식읍(공훈), 녹읍(관직기준)을 받았으며, 녹읍은 백성들의 노동력도 징발

- 관료전 지급 ( 신문왕: 687 ) : 왕권강화책의 일환으로 녹읍을 폐지하고 관료전 지급.

- 정전 지급 ( 성덕왕: 722 ) : 신라장적의 연수유답

- 녹읍의 부활 ( 경덕왕: 757 ) ; 귀족들의 반발로 녹읍부활, 귀족의 경제적 기반이 됨.

 

3, 통일신라의 문화

(1). 유학의 발달 : 전제왕권 확립의 필요성에서 유교정치 이념 도입

국학 (신문왕 682) - 교과를 3과로 나누고 박사조교 설치

- 공통과목(논어, 효경), 예기주역, 좌전모시, 상서문선

- 명칭변경 : 국학(신문왕) 태학감(경덕왕) 국학(혜공왕)

독서 삼품과 (원성왕 788) - 국학에 설치한 관리 채용 시험제도

- 목적 : 골품위주 관리등용 지양, 능력위주 지향(왕권강화)

- 결과 : 실패( 골품제의 견고성, 진골귀족의 반대 )

(2), 한학의 발달 강수(6두품) - 외교문서 작성

설총(6두품) - 이두, <화왕계>: 군주의 도덕정치 요구

김대문(진골) - <계림잡전>, <고승전>, <화랑세기>, <악본>, <한산기>

- 부전함, 문화주체의식(모방단계극복)

김운경, 김가기, 최치원( 시무책 10, 계원필경, 제왕연대력 )

(3). 향가문학의 발달 - 특징 : 일반민간에도 널리퍼짐, 통일후 더욱발전, 승려와 화랑작품 다수.

- 작품 : <삼대목 : 부전 >, <삼국유사 : 14>, 서동요, 혜성가는 통일전 작품.

(4). 불교의 발달

1). 특징 : 대중불교화(정토신앙), 교학적 측면 발달(5성립)

2). 5교의 성립 화엄종(의상, 영풍부석사) 圓融調和의 사상, 계층간귀족간 갈등 해소

지배층인 진골귀족의지지( 귀족불교 )

통일후 전제왕권 강화의 이념적 도구 (一卽多 多卽一 사상)

고려초 균여(광종)로 이어짐.

 

 

법상종(진표, 금산사) 원측의 유식학, 티벳불교에 영향

경덕왕때 화엄종과 대립할 정도로 성장

고려중기(인종대, 특히 이자겸) 귀족불교로 부흥

열반종(통일전: 보덕, 전주 경복사)

계율종(통일전: 자장, 양산 통도사)

법성종(원효, 경주 분황사)

원효의 <통불교 사상>, <화쟁사상> - 최고의 경전을 <화엄경>으로 삼음.

- 불교의 종합화대중화에 기여

- 민중불교의 성격

<정토 사상> - 통일전 발생하여 통일후 발전

- 민중불교의 성격, 염불만으로 극락왕생

- 전불교적 현상: 왕실노비까지 모두지지, 생활의 일부

- *대승기신론소, *십문화쟁론 *금강삼매경론

(5). 예술의 발달

1). 특징 - 불교미술중심으로 발달, 사실적인 기법에 생동감조화미

2). 건축 불국사(경덕왕, 김대성) - 임진왜란때 소실

- 석가탑(간소장중), 다보탑(복잡화려한 형식미, 균형미

석굴암(경덕왕, 김대성) - 화강암, 인조석굴

석등 : 법주사 쌍사자 석등, 불굴사 석등

범종 : 상원사종(最古의 종), 성덕대왕 신종(봉덕사종)

석탑 통일기 : 3층석탑 양식 유행 ( 고려 : 다층양식 유행 )

감은사지3층석탑, 불국사 3층석탑(석가탑), 다보탑, 화엄사 4사자 3층석탑

3). 고분 통일후 횡혈식 석실분 유행 ( 분묘제작이 세련 )

12지신상 조각유행( 김유신묘, 성덕왕릉, 괘릉: 원성왕릉 추정 )

4). 서화 김생(왕희지체, 원화첩:부전), 요극일(구양순체)

(6). 일본문화에의 영향 : 하쿠오(백봉) 문화에 영향을 줌

 



. 발해의 발전과 사회문화

 

1. 발해의 발전 무왕(719737) 일본에 사신파견, 고구려 계승의식

당과의 전쟁 : 산둥지방(덩저우) 공격(732)

신라와 대립 : 당 연합군 침

문왕(737793) 당과 화친 ( 제도문화 수입

선왕(818830) 전성기, <해동성국>이라고 불림.

 

2. 발해의 정치와 사회

(1). 중앙정치조직 형식적 당제모방 : 36

운영상 독자성 - 6부의 명칭이 유교적

- 6부의 운영이 이원적

- 정당성 중심운영

1). (가독부)

2). 3- 정당성(정당 : 대내상) : 귀족합좌기관 , ,

- 선조성(좌상) , ,

- 중대성(우상)

3). 기타 중정대 : 감찰기관

문적원 : 도서기관

주자감 : 국립대학. 사빈사 : 외빈접대

 

(2). 지방행정조직 5: 상경(수도), 중경, 동경, 남경, 서경, 수도의 편재성 극복

15(도독) : 지방행정의 중심지

62(자사)

, 촌락( 토착 유력자인 수령이 통치 )

(3). 발해의 사회구조 지배층 : 왕족인 大氏, 귀족인 高氏(고구려귀족)

피지배층 : 말갈( 농업에 종사 )

 

3. 발해의 문화

(1). 특색 : 고구려문화의 바탕위에 당의 선진문화 흡수

(2). 고구려 문화 영향 불교유물( 불상: 이불병좌상, 석등, 연화문 와당 ), 온돌장치

고분 : 육정산 고분군(정혜공주묘 : 횡혈식 석실분, 두팔천정구조)

용두산 고분군(정효공주묘 : 도교, )

(3). 당문화의 영향 상경의 주작대로, 36부제도

 

. 신라하대의 상황과 후삼국( 선덕왕: 780 경순왕: 935 )

 

1. 귀족사회의 동요

(1). 진골귀족의 왕위쟁탈전 大恭의 난(혜공왕: 768)발생 : 진골귀족들간의 상쟁

내물왕계 등장(선덕왕) : 이후 왕위쟁탈전이 격화되어 155년간 20여명이교체

( 시중세력이 약화되고 상대등 권력이 강화됨 )

(2). 김헌창의 난(822) 무열왕의 후손으로 웅천주(공주) 도독, 국호를 長安, 연호를 慶雲

(3). 김범문의 난(825)

(4). 장보고의 난(846) 청해진(완도)설치, 김우징을 도와 신무왕으로 옹립

 

2. 사회 동요

(1). 골품제 붕괴 통일기에 성골이 사라짐(무열왕), 통일후에는 1,2,3두품은 사라지고 4두품은 평민화.

(2). 농장의 확대농민몰락 9세기말 진성여왕 이후 농민봉기 극성

(3). 6두품 세력의 대두 학문적 식견을 가진 유학자로 중대에는 왕권과 결합

행정적 실무를 담당하며, 하대에는 반신라적 세력으로 호족과 연결(최언위, 최승우)

숙위학생, 고려건국의 사상적 배경

(4). 지방세력의 대두 호족세력 유형 - 토착적 지방세력 : 지방촌주출신으로 촌락민을 통제한 유력자

- 중앙귀족출신 : 진골이나 6두품의 중앙귀족들 또는 외관으로 파견 되었다가 호족화

군진세력 호족의 두 유형 가운데 후자에 속함.

국경지대에 설치된 패강진과 청해진

그리고 혈구진(왕건과 연결)이 대표적

사원세력 선종9산의 사원세력(주로 6두품출신이 많음)

농 민 군 진성여왕 이후 극성

원종애노(상주), 양길(북원:원주), 견훤(완산주), 궁예(철원), 기훤(죽주)

 

 

지방세력(특히 호족)의 성격 중앙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 자립하고 그 지방의 백성들을 지배

스스로 將軍 또는 城主라고 칭하고, 군사력을 가지고 그 지방의 행정을 장 악하고 조세역역을 징수

지방의 막대한 農莊私兵을 배경으로함.

지방행정에 참여한 경험을 살려 신라 중앙제도를 모방하여 관반제 이룩.

 

. 신라하대의 사상변화

1. 선종의 대두

(1). 전래 통일전 전래 ( 선덕여왕 : 법랑 ) , 통일후 : 북종선(혜공왕:신행), 남종선(헌덕왕:도의)

(2). 성격 不立文字, 見性悟道 주장

민중적, 혁신적으로 귀족불교인 교종과 대조 : 신라사회에 대한 개혁 주장

산중불교, 지방호족과 연결 ( 반신라적 세력으로 등장)

(3). 9산의 성립 도의의 가지산파로부터 시작하여 이엄의 수미산파로 9산성립

선종의 승려로는 진골귀족의 몰락자(무염, 범일), 6두품, 지방호족출신(도윤,혜철)이 있다.

(4). 선종의 영향 중국문화에 대한 이해

고려 한문학 발달에 기여

반신라적 움직임(호족, 6두품)과 연결되어 고려건국의 사상적 기반

조형미술의 쇠퇴

(5). 선종과 교종의 비교

 

2. 유교의 정치이념화와 사상의 복합

(1). 유교정치이념의 등장 신라하대에는 최치원(시무 10)을 비롯한 도당유학생 출신의 유학자가 배출되어 골품제도를 비판하고 유교정치 실현 주장.

(2). 영향 지방호족과 결합 : 지방호족의 학문적 소양 증진. 최승우(견훤), 최언위(왕건)

지방문화의 발전 : 이 시대의 호족은 선종을 후원함과 동시에 유학을 정치이념으로 삼음.

불의 결합 - 당대의 지식인들은 선종을 이해하고 포용

- 선승들도 유교사상에도 상당한 이해를 갖고 있었음

- 호족들도 유교와 선종을 장려

(3). 도교와 노장사상 : 귀족들의 사치향락에 반발하는 은둔사상.

(4). 풍수지리사상 <도선비기>, 예언적 도참신앙

지방호족과 연결

예언사상으로 신라정부의 권위 약화. 고려건국의 사상적 배경

고려태조도 훈요10에서 풍수지리 강조

 

남북국시대 보충자료

 

1. 민정문서(신라장적) 서원경 부근 4개촌의 민정문서로 일본 東大寺 正倉院에서 발견(경덕왕 : 755)

장적에는 村役, 烟數(호수), 인구수(노비포함), 牛馬, 토지면적, 과수(뽕나무, 잣나무, 호 두나무)등이 기록되어 있음. ( 촌주가 3마다 작성 - 촌주가 지배)

9等戶制 : 호의 등급을 人丁多寡에 따라 9개로 편성.

人丁은 성별연령별로 6등급으로 나눔. (여자, 노비도 포함하여 노동력 수취의 대상)

지급된 토지의 내용

麻田 : 촌민의 공동경작지

烟受有沓 : 호별로 농민들이 경작하는 토지로써, 성덕왕(722)때에 지급된 정전이으로 추정됨.

官謨畓 : 소출이 국가에 들어가는 官有地

內視令畓 : 내시령이라는 관리에게 할당된 관료전

村主位畓 : 촌주에게 할당된 토지(고려시대에는 외역전)

: 통일신라시대의 농민들은 자영농민으로서 독립적으로 연수유답을 소유경작하는 동시에, 촌에 할당된 공유지를 공동경작하는 力役을 부담.

 

2. 신라시대 의 성격과 村主

촌은 가장 말단 행정구역으로 중앙에서 외관이 파견된 것이 아니라. 몇 개의 촌락을 관할하

토착적 지배세력인 촌주의 지배를 받음.

촌의 생뢀상은 신라장적참조( 자연촌락을 기준으로 편성된 지역적 행정촌 )

국가의 관리대상은 농민과 노비이고, 농민은 연령성별로 6등급으로 구분

촌주는 王京人이 아님. 고려 향리의 기원으로 보며 토착세력으로 촌주위답을 받았고, 5두품4두 품에 대당하는 신분적 특권을 누림

 

3. 발해와 관련된 문헌 : 발해사의 연구는 조선시대 호란 이후 반청감정이 고조되면서 시작.

발해고(유득공) : 남북국 시대를 처음으로 다루고, 반도 중심의 협소한 사관 극복.

동사강목(삼국사기의 북국을 발해로 명명)

삼국유사(말갈건국으로 기록)

제왕운기(고구려 구장인 대조영 건국)

 

4. 인쇄물

(1). 무구정광 다라니경(751) : 현존 최고목판인쇄본, 석가탑에서 발견.

(2). 고려대장경(초조대장경 : 1012) : 현종대에 거란의 침입을 막기위해 기록시작

(3). 속장경(1096) : 의천이 송일본 등지에서 수집한 불경을 종합하여 신편제종교장총록을 만들고 이에 따라 흥왕사에 교장도감을 설치하고 조판함.

근대사회

 

. 대원군의 집권과 개혁정치

 

1. 대원군의 집권(1863)

 

2. 대원군의 개혁정치 능력에 따른 인재등용(탕평책) - 안동김씨 세력의 견제목적.

정치와 군사의 분리 - 비변사5군영 폐지, 의정부삼군부 부활

법전 정비 - <대전회통>, <육전조례>

삼정문란의 시정 - 호포제 실시, 환곡대신 사창제 실시

서원의 정리(47개로 정리) - 유생들의 반발을 받음.

경복궁 중건 - 원납전(기부금), 4대문 통행세, 결두전 징수, 당백전 발행(물가앙등),

묘지림 벌채

 

3. 쇄국정책과 양요

 

(1). 배경 서양의 제국주의 침략시기, 중국의 문호개방(아편전쟁,1842), 일본의 문호개방(1854)

이양선 출몰 - 18세기에는 탐험, 측량목적

- 19세기에는 통상요구 : 최초의 통상요구(영국상선 암허스트 호, 순조, 1832)

 

(2). 병인양요(1866) 대원군의 천주교 박해가 원인(병인박해, 1866)

Roze제독의 프랑스 함대 침공

한성근의 활약(문수산성), 양헌수의 활약(정족산성)

 

(3). 신미양요(1871) 제너럴 셔먼호 침몰 사건이 계기

미국의 Rodgers 제독이 침공

어재연의 활약(광성진)

 

(4). 대원군의 쇄국정책의 강화 두차례의 양요, 옵페르트 도굴사건(1868), 유생들의 지지(이항로, 기정진)

두차례의 양요 후 척화교서를 발표하고 척화비 건립

척화비의 건립 대원군이 1871년에 서울 및 전국 요지에 세운 비석

임오군란 후 서울에 세웠던 것은 철거하였으나 지방의 것은 1920년까지 존속.

< 洋夷侵犯 非戰則和 主和賣國 >

 

. 조선의 개항

 

1. 통상개화론의 대두

 

(1). 배경 북학파의 영향, 박제가의 <북학의>

(2). 전개 18세기 북학파(박제가) - 19세기( 이규경, 최한기 ) - 박규수, 오경석(역관), 유홍기(개화당에 영향)

 

(3). 개화사상에 영향을 준 서적 <해국도지>, <영환지략>, <이언>, <만국공법>

 

(4). 주장내용 청과 서양의 문물을 수용하여 부국강병을 이룩하고자 함.

개화사상 형성과 개화정책 추진에 영향을 미침.

 

2. 강화도 조약(병자수호조규)의 체결

 

(1). 대원군의 실각 개혁정치에 따른 유생의 반발, 최익현의 상소

경복궁 중건에 따른 농민의 반발

세도가문의 반발과 민비세력의 형성

(2). 운양호 사건(1875)

(3). 강화도 조약의 체결(1876) 자주국의 명시, 부산 외 2항구 개항(원산, 인천), 일본인의 통상활동 허가

연해측량권, 치외법권(영사 재판권)

조약의 성격 - 조선이 외국과 체결한 최초의 근대적 조약, 치외법권조차지 설정 및 연해 측량권등을 규정한 불평등한 조약

 

3. 구미제국과의 수교 미국과의 수교(1882) - 의 주선, 황준헌의 <조선책략>의 영향

- 조약의 내용 : 거중조정(양국 중 한 나라가 어려울 때 돕는다),

치외법권, 조차지 설정, 최혜국 조관, 관세권 규정

영국과의 수교(1882) - 의 주선, 관세가 고율이고 아편수입의 금지 문제로 정식조인은 1883년에 이루어짐.

독일(1882) - 의 주선

러시아(1884) - 청의 중재없이 직접수교, 베베르의 활약.

 

. 개화운동과 위정척사 운동의 전개

 

1. 개화운동의 전개

 

(1). 개화사상의 발생 1860년대 통상개화론의 영향으로 개항전후에 형성

실학사상(특히 북학파)계승, 중국양무운동, 일본의 문명개화론의 영향.

 

(2). 개화사상의 내용 수신사인 젊은 관료층이 주도 -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서광범등

18801890년대 조선정부 정책추진의 방향으로 기능.

 

(3). 동도서기론의 대두 서양의 근대적 기술을 도입하여 부국강병책 제시.

천주교에 대해서는 반대 - 전통적 유교 윤리 고수.

 

(4). 개화정책의 추진 수신사 파견 - 1차수신사 : 김기수, <일동기유>

- 2차수신사 : 김홍집, <조선책략>

신사유람단 파견(1881) - 박정양, 조준영, 홍영식, 어윤중.

영선사 파견(1881) - 김윤식, 군기제조술 학습 목적, 기기창 설치.

행정기구 개편(1881) - 청제도 모방, 통리기무아문, 12 설치.

군제개편 - 2(무위영, 장어영)설치, 무위영 소속의 별기군 설치.

 

2. 위정척사운동의 전개

 

(1). 1860년대의 운동 1866년 병인양요 당시, 이항로기정진의 척화주전론, 쇄국정책의 사상적 기반제공.

(2). 1870년대의 운동 강화도조약 체결시, 왜양일체론 주장최익현의 <5불가소>, 개항불가론

 

(3). 1880년대의 운동 18812차 수신사인 김홍집이 <조선책략>을 소개가 원인.

이만손의 <영남만인소>, 홍재학의 <만언척사소>

 

(4). 1890년대의 운동 일제 침략기에 항일의병운동으로 전개.

조선책략 2차 수신사인 김홍집이 일본에서 전래.

일본주재 청의 외교관인 황존헌이 쓴 책

조선의 러시아 견제책으로 < 친중국, 결일본, 연미국 >의 외교책을 제시.

. 보수와 개혁의 갈등

 

1. 임오군란(고종, 1882)의 발생

 

(1). 배경 신식군대(별기군)과 구식군대의 차별대우, 밀린급료에 불만을 품은 구식군대가 일으킴.

 

(2). 대원군의 재집권 2영과 별기군 폐지, 5군영 부활, 통리기무아문 폐지

 

(3). 청의 개입과 대원군 압송 청의 신속한 개입, 청의 세력 강화(일본세력 약화)

고문의 파견 - 묄렌도르프(외교), 마건상(재정)

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1882) - 청상인의 내지통상 허용

정치개혁 -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 통리군국사무아문 설치

 

(4). 제물포 조약의 체결 일본공사관 경비병 주둔 허용(일본군대의 주둔을 허용한 최초의 조약), 피해배상,

군란주모자 처벌, 사죄사 파견(박영효 파견: 태극기 사용)

 

2. 개화당과 보수세력의 대립

 

(1). 임오군란 후 청의 내정간섭 심화 및 정부가 사대정책으로 청에 의존관계가 심화.

(2). 개화당의 형성 일본의 후원을 얻음 -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급진적인 개혁 주장

신식기관 설립 - 박문국, 전환국, 기기국, 우정국.

 

3. 갑신정변의 발생(1884)

 

(1). 배경 개화당이 재정타개책으로 제시한 일본으로부터의 차관도입실패로 입지약화.

정부의 청에 대한 사대정책의 반발이 원인.

 

(2). 혁신정강 14개조 발표 성격 - 입헌군주제, 문벌폐지와 능력에 따른 인재등용, 지주전호제를 인정하면서 지조법만의 개혁을 주장.

 

(3). 결과 청의 개입으로 3일 천하로 결말, 청의 지위가 한층 더 강화됨.

위로부터의 개혁으로 민중의 지지를 받지 못함.

 

(4). 한성조약 체결(조선 vs 일본)

 

(5). 텐진조약 체결(vs 일본) 일 양국의 공동철병, 어느 한 나라가 군대를 파견할 때에는 상대국에 사전통고하고 사건이 해결되면 즉시 철수한다.(갑오농민전쟁 당시 일본의 군대파견의 구실)





. 동학혁명의 발생

 

1. 갑신정변 후 조선의 상황(열강세력의 침투로 혼란)

 

(1). 청의 정치 간섭 강화로 반청감정의 고조.

(2). 러시아의 남하정책 1860년 뻬이징 조약 - 연해주 차지, 조선과 국경을 접하면서 남하정책 추진.

 

(3). 러 밀약설 유포 러시아 공사 베베르의 활약, 조선정부의 친러화 경향이 나타남(청세력 견제위해)

 

(4). 러시아 세력의 견제 청은 러시아 세력을 견제키 위해 대원군을 소환함.

영국은 거문도를 점령하고 러시아 세력 견제(거문도 사건, 1885)

 

(5). 중립론의 대두 독일 영사 부들러는 조선의 영세중립국을 정부에 건의

유길준, 김옥균도 중립론 논의.

 

2. 일본과 청의 경제적 침투

 

(1). 일본의 침투 개항 이후부터 1880년대 초반 - 조선과의 무역을 독점.

중계무역의 이익을 누림 - 영국산 면제품 vs

농촌경제의 파탄 - 입도선매 방식으로 농촌에 침투, 고리대의 수익을 차지.

 

(2). 청의 경제적 침투 임오군란 후 본격적인 침투가 시작됨(상민수륙무역장정 체결)

일본에 비해 대자본 소유, 대규모 영업, 정치적 후원을 얻음.

조선의 무역비중의 변화 - 1885(81 : 19)

- 1892(55 : 45)

아직도 일본의 무역비중이 가장 높으나 청에 의해서 그동안 누려왔던 일본의 조선에 서의 독점적 지위는 위협을 당함.

 

(3). 일본의 경제적 침탈에 대한 저항 방곡령 사건 - 18761904년 사이에 100건에 달하는 사건이 일어남.

- 조선에 흉년이 들면 지방관이 직권으로 곡물반출을 내 리는 조치.(조병식)

- 일본은 한일 통상장정규정 내용을 근거로 조선측에 강압을 가함.

3. 동학혁명의 발생과 전개

 

(1). 배경 무능부패한 정부에 대한 저항(반봉건), 일본의 경제적 침탈에 대한 저항(반외세)

 

(2). 교세의 확장 2대교주 최시형의 포교, 의 조직망

경전 - <동경대전>, <용담유사>

 

(3). 교조 신원 운동 1차 집회(삼례집회, 1892) - 교조신원운동.

2차 집회(서울, 1893)

3차 집회(보은, 1893) - 정치적 성격으로 변화 : 탐관오리 숙청과 척외양창의 주장.

 

(4). 동학운동의 전개

1차 농민 전쟁 고부군수 조병갑의 횡포(만석보 사건)

전봉준을 중심으로 <보국안민>, <제폭구민>을 주장하며 봉기.

백산전투 - 황토현전투(전라감영군 격파) - 장성전투(홍계훈의 경군격파)

- 전주 점령 - 전주화약

전주화약 - 집강소 설치(전라도에 설치, 민정기관), 대도소 설치(전주)

 

2차 농민 전쟁 1차때와 달리 항일 구국 운동의 성격을 갖음, 북접(최시형)의 가세.

공주 우금치 전투에서 일본과 관군의 연합군에게 패배.

 

(5). 폐정개혁안 12개조

 

(6). 동학혁명의 성격과 영향 반봉건반제국주의 민족주의적 성격, 아래로부터의 개혁

일군의 한반도 파견(텐진조약이 근거), 일전쟁의 계기

동학농민의 잔여세력이 의병전쟁에 가담.

 

. 근대적 개혁의 추진

 

1. 갑오개혁의 추진

 

(1). 배경 개화사상의 고조, 개혁의 필요성 인식(교정청 신설)

일본의 개혁 압력.

 

(2). 개혁 실시 1차 개혁(김홍집 내각) - 군국기무처 설치, 대원군의 참여

2차 개혁(2〃 〃 ) - 홍범 14조 선포, 군국기무처 폐지, 대원군을 배제.

- 홍범 14조는 근대적 성문헌법의 효시, 입헌군주제 지향, 자주독립을 내외에 선포한 최초의 선언.

 

(3). 개혁안의 내용 정치 - 개국연호 사용, 주상전하를 대군주폐하로 칭함, 입헌군주제 지향, 왕실과 정부의 분리로 군주권 약화, 관리임용법 제정, 사법권 독립(지방관 권한 제한)

지방제도를 8도에서 23부로 개편

경제 - 은본위제 채택(신식화폐발행장정), 조세의 금납화, 재정의 일원화, 도량형 통일

사회 - 신분제도 폐지, 인신매매 금지, 과부의 재가허용, 조혼금지, 적서차별의 철폐,

연좌법과 고문금지.

군사 - 일본의 의도대로 군사제도의 개편은 이루어지지 않은 불완전한 개혁.

교육 - 교육입국조서 발표 : 근대교육제도 마련

 

(4). 개혁의 성격 및 한계 법제상의 근대적 개혁

자주적이지 못한 개혁, 불완전한 개혁(타율성과 자율성의 공존)

 

2. 을미개혁의 추진

 

(1). 배경 일전쟁에서의 일본의 승리(시모노세키 조약 체결)

삼국간섭(1895)이후 러시아 세력의 대두

조선의 일본세력 견제를 위한 친러경향 강화 - 조선의 친러내각 수립(3차내각)

 

(2). 을미사변의 발생(1895) 조선에서의 지배권이 위축되자 이를 만회하기 위해 민비시해사건을 일으킴.

친일내각 성립(4차내각)

 

(3). 을미개혁의 실시(1895) 태양력 사용, 군제개편(서울:친위대, 지방:진위대), 연호사용(건양), 단발령 공포,

종두법 실시, 소학교 설치, 우편제도 실시.

 

3. 의병운동의 시작 을미사변단발령에 자극을 받아 기병(최익현)

지도자는 대개 유학자 출신

주리론적 입장, 위정척사사상의 영향을 받음.

문석봉(보은), 유인석(제천), 이소응(춘천), 박준영(여주,이천).

 

. 독립협회의 활동과 대한제국

 

1. 열강의 이권 침탈

(1). 배경 아관파천의 발생(1896), 친러내각의 성립

1차 러일 협상(웨베르고무라 각서, 1896,5) - 조선에서의 러시아의 우위 인정.

- 일본군의 계속주둔 인정

2차 러일 협상(로바노프야마가따 조약, 1896,6) - 완충지대 설치 합의

(2). 열강의 이권침탈( 러시아의 재정고문 알렉세예프에 의해 이권이 러시아에 넘어감 )

러시아 : 경원종성 광산 채굴권, 두만강압록강울릉도 삼림채벌권

미 국 : 경인선 철도부설권, 운산금광 채굴권, 서울시내 전차전기 부설권

프랑스 : 경의선 철도부설권

일 본 : 경부선경인선(미국으로부터 매입)철도 부설권, 직산광산 채굴권.

독 일 : 당현 금광 채굴권

 

2. 독립협회의 활동

 

(1). 배경 아관파천 후 열강의 이권침탈에 대한 분노

신지식인 성장 : 서구시민사상의 신지식인(서재필), 개신유학사상자(장지연, 남궁억)

 

(2). 조직 및 성격 회원가입의 개방, 전국에 지회 설치

초기에는 정부고위관리도 참여하였으나 후에는 탈퇴.

도시 상인농민, 광산부두 노동자, 백정출신도 참여.

 

(3). 활동 자주 독립 운동 - 독립문 건립, 독립신문 발행, 독립관, 고종의 환궁 요구

- 외국에 대한 이권할양 반대운동

 

자강 혁신 운동 - 입헌군주제 주장, 행정재정제도 개혁, 신교육 주장, 근대적 산업 개발

자유 민권 운동 - 생존권재산권참정권 운동 전개, 의회설립 주장.

 

(4). 만민공동회 개최(1898) 헌의 6

 

(5). 정부의 탄압 보부상으로 조직된 황국협회를 이용해 독립협회를 해산시킴.

 

3. 대한제국의 성립과 광무개혁

 

(1). 대한제국의 성립(1897.10) - 고종의 환궁(경운궁:지금의 덕수궁), 국호를 대한제국, 연호를 광무로 정함.

 

(2). 광무개혁의 실시 구본신참(舊本新參)이 개혁의 기본방향, 복고주의적 성격, 황제권 강화.

군제개편 - 서울에 친위대시위대 설치, 지방에 진위대 설치

관제개편 - 지방을 23(갑오개혁)에서 13도로 개편

외교정책 - 자립외교, 간도의 편입(간도관리사파견), 울릉도의 군승격(독도까지 관할)

경제정책 - 양전사업 실시, 지계발급

상공업 진흥 - 근대적 회사 설립, 실업교육 강조, 유학생 파견

사회 - 새 호적제도 제정, 교통통신등의 사회복지시설 확충

교육 - 신교육령 반포, 소학교, 중학교, 사범학교, 외국어학교 설립.

 

 

 

4. 근대문명의 수용

 

(1). 배경 개항 후 신사유람단 파견과 영선사의 파견이 근대적 기술도입에 중요한 계기.

박문국(신문발간), 기기창(무기제조), 전환국(화폐주조), 우정국(우편)등의 근대시설 설치.

 

(2). 통신시설 전신 - 청에 의해 1885년 처음 가설(서울-인천, 서울-의주)

전화 - 경복궁에 처음 가설(1896)

우편 - 갑신정변으로 중단, 을미개혁 후 다시 운영(우정국), 만국우편연합에 가입(1900)

 

(3). 교통시설 철도 - 경인선이 최초로 부설(미국일본), 경부선경의선 부설.

전차 - 한성전기회사 설립(왕실과 미국의 합자), 서대문청량리.

 

(4). 의료시설 지석영의 종두법 보급.

광혜원 - 최초의 근대식 병원(알렌), 후에 제중원으로 개칭.

광제원 - 종두법 보급

자혜의원 - 도립병원의 효시

세브란스 병원 - 미국인 선교사에 의해 건립.

 

(5). 근대건축 독립문(1896) - 프랑스의 개선문 모방

덕수궁 석조전(1910), 명동성당(1898)

 

. 독도와 간도문제

 

1. 간도문제

 

(1). 간도의 지역적 배경 간도는 초기국가때는 부여, 남북국 시대에는 발해에 속했던 땅으로 여진족의 거주지.

(2). 백두산 정계비(1712)의 설치(조선 vs )

(3). 관리사 파견 간도를 함경도에 편입(1902), 북간도 관리사(이범윤)파견

(4). 간도협약(1909) 을사조약 후 통감부가 관리하다가 청과 간도협약을 맺어 청의 영토로 인정해줌.

 

2. 독도문제

 

(1). 독도와 울릉도의 지역적 배경 지증왕(512)에 울릉도를 신라의 영토로 편입.

숙종(1696)안용복이 울릉도의 왜인을 축출.

 

(2). 울릉도의 관리 1901년에 울릉군으로 승격시켜 관청을 두고 독도까지 관리.

 

(3). 일본의 독도 강탈 일본은 일전쟁 중(혹은 을사조약 후) 독도를 불법적으로 일본영토에 편입.

 

근현대사

 

 

<민족운동의 새양상>

 

1. 31운동 후의 민족운동의 양상 러시아 혁명의 영향으로 사회주의 사상이 보급

민족운동의 분열 - 민족주의계와 사회주의 계열로 분열.

- 민족주의계열도 선실력양성 후독립을 주장하는

민족주의 우파와 선독립’, ‘절대독립을 주장하는

민족주의 좌파로 분열

민족주의 우파- 실력양성운동에 치중 : ‘선실력양성 후 독립

- 이광수의 민족개조론(1922), 민족적 경륜(1924)

- 민립대학설립운동, 물산장려운동, 타협적 자치운동론

민족주의 좌파 - 우파의 개량주의적 자치운동론 비판

- 사회주의자와 연대하여 신간회 결성(1927)

- 안재홍(신민족주의 주장)

2. 민족실력양성운동의 전개

 

(1). 배경 31운동의 실패로 새로운 독립운동 방향의 모색.

1920년대 문화정치로의 전환을 이용한 독립운동.

민족의 사회문화경제면의 실력을 양성하여 독립을 쟁취하려는 운동.

 

(2). 국민교육민중계몽운동 언론기관의 활동

조선일보(1926) - 문맹퇴치운동의 전개

동아일보(1931) - 브나로드 운동의 전개

 

(3). 민족교육운동

 

민립대학설립운동(1923) 조선교육회조직(1920) - 이상재

민립대학설립기성회(1923) - 전국적 모금운동 전개

일제의 방해, 대홍수 등의 재해 때문에 실패

일제는 경성제국대학(1924)을 설립하여 고등교육운동 억제.

 

노동야학운동 1920년대에 노동야학부녀야학농촌야학이 성행, 민중 문자보급운동.

 

(4). 종교계의 활동 천도교 - 2 31운동 계획, 192231에 자주독립선언 발표.

- 문화운동의 전개 : <개벽>등의 잡지 발간.

불교 - 일제의 회유와 통제로 일부의 친일화

- 만해 한용운의 개혁운동

기독교 - 민중교육운동, 각종 문화사업 전개

- 일제의 신사참배 거부사건(1935년 이후)

대종교 - 만주지방의 독립운동의 정신적 지주.

원불교 - 개간사업과 저축사업 전개

 

(5). 경제자립운동(물산장려운동,1923) 조선물산장려회 조직(1923) : 평양에서 조만식.

내 살림 내 것으로라는 구호.

자급자족, 국산품애용, 소비절약, 금주, 금연운동 전개

사회주의 자들은 이념상 반대.

 

2. 학생운동

 

(1). 배경 28독립선언, 31운동에 주도적으로 참여.

동맹휴학, 계몽운동, 비밀결사, 가두시위등 민족운동을 전개.

조선청년총동맹 결성(1924)

 

(2). 610만세운동(1926) 순종의 인산일

사회주의 계열의 계획 - 일제에 발각되어 실패.

전문학교중학교 학생의 독자적 계획이 진행됨.

 

(3). 광주학생운동(1929) 일제에 의한 한국학생의 차별대우에 대한 분노폭발, 기차에서 한일학생 충돌.

1930년까지 전국 194개학교, 54,000명 참가.

31운동 후 최대의 민족운동.

신간회에서 조사단을 파견하고 지원.

 

3. 사회주의 운동

 

(1). 배경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사회주의 사상이 도입되어 민족주의 운동과 대립.

한인사회당(1918, 이동휘),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1919, 김철훈), 상해파 고려공산당(1921,

이동휘), 조선공산당(1925.4)결성

(2). 조선공산당의 성립(1925.4)과 전개 1차 조선공산당(1925.4)

2차 조선공산당(1925.12) - 610만세운동으로 해체

3차 조선공산당(1926.9) - 일명 ML, 신간회 조직.

4차 조선공산당(1928.3)

(3). 신간회 조직(1927) 배경 - 사회주의 운동의 노선변화 : 민족협동전선으로 변화

- 민족주의 운동의 분열 : 우파의 자치론에 대한 좌파의 비판.

- 민족유일당운동의 전개

조직(1927) - 정우회 선언이 계기(1926)

- 민족주의 좌파와 사회주의 계열의 통합

- 총독부의 허가를 얻은 합법적 단체

활동 - 기회주의 규탄(자치론 배격), 한국인 착취기관의 철폐, 한국인에

대한 특수취재법 폐지, 교육차별 금지, 한국어 교육 실시, 과학사상연구 자유 주장.

- 광주학생운동에 조사단 파견

- 방계조직으로 근우회 조직

해체 - 일제의 방해

- 사회주의 계열의 탈퇴로 해산(1931)

 

(4). 소작쟁의 일제의 산미증산계획에 따른 수탈에 대한 농민의 저항.

소작권 이동 반대, 소작료 인하 주장

1930년대에 이르러 절정에 이름. 민족운동으로 전개

조선농민총동맹(1927), 불이농장의 소작쟁의

 

(5). 노동쟁의 일제의 산업침탈에 대한 노동자의 저항.

임금인상, 노동시간 단축, 노동조건 개선 주장

1930년대에 절정에 이름, 민족운동으로 전개

노동총동맹(1927), 부산 부두노동자파업(1921), 원산 총파업(1929)

 

형평운동 백정에 대한 신분개선운동

진주에서 백정 이학찬이 <조선형평사, 1923>조직

 

5. 무장운동의 전개

 

(1). 결사운동과 애국지사의 활동

 

결사운동 의열단(1919) - 김원봉이 조직, 신채호가 조선혁명선언을 기초,

- 조선민족 혁명당(1935), 조선의용대(1938)결성.

애국단(1926) - 김구가 상해에서 조직, 이봉창(1932), 윤봉길(1932)

 

애국지사의 활동 강우규(1919) - 사이토 총독 저격 실패

김익상(1921) - 조선 총독부 폭탄투척

김상옥(1923) - 종로경찰서에 폭탄투척

김지섭(1924) - 일본 황궁에 폭탄투척

나석주(19260 - 동양척식회사에 폭탄투척

조명하(1928) - 일본 육군 특명 검열사 척살(타이중 의거)

이봉창(1932) - 일본천황 저격미수

윤봉길(1932) - 홍커우 공원 의거 : 중국정부의 지원의 계기.

(2). 무장독립운동의 전개

 

봉오동전투(1920)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일본군 1개대대 격파.

 

청산리전투(1920) 김좌진의 북로군정서군

 

경신참변(1920) 간도참변이라고도 함, 일제의 만주거주 한민족 대량 학살.

 

자유시참변(1921) 대한독립군단의 조직과 연해주에서의 무장해제사건.

이르쿠츠크파 고려공산당과 상해파 고려공산당의 분열 계기.

 

미쓰야 협정(1925) 三矢협정

(2). 통합운동의 전개

 

3부시대 참의부(1924) - 압록강, 임정의 직할부대

정의부(1925, 이청천)

신민부(1925, 김좌진) - 자유시 참변 이후 소련영토에서 돌아온 독립군 중심.

 

국민부 시대(1928)

 

 

(4). 광복군의 활약 조직 - 중경에서 조직(1940), 1941년에 서안으로 이동.

활동 - 대일대독 선전포고, 연합군과 연합작전(인도버마전선투입)

국내 진입 작전 계획(지청천, 이범석)

 

해방전의 건국준비 한국독립당(1940,상해) - 임정의 김구가 조직.

조선독립동맹(1942) - 화북의 연안에서 김두봉이 조직

- 조선의용군이 북한군에 편입, 연안파 형성

조선민족 혁명당(1935) - 김원봉, 조선의용대가 광복군에 편입.

조선건국 동맹(1944) - 여운형이 국내에서 조직.

 




< 현대사회 >

 

. 대한민국의 성립

 

1. 민족의 광복

 

(1). 한국독립에 대한 국제회의

 

카이로 회담(1943.11) 이태리의 항복 후 미국(루즈벨트)영국(처칠)중국(장개석)이 모여 회의.

연합국은 영토확장의 야심은 없다.

일본은 침략전쟁에서 얻은 모든 영토를 포기할 것.

중 삼국은 한국의 노예상태에 유의하여 적당한 시기에 독립을 보장한다.

한국의 독립에 관해 언급한 최초의 회의.

 

포츠담 회담(1945.7.26) 독일 항복 후 미국(트루먼)영국(처칠)중국(장개석)소련(스탈린)이 모여회의.

카이로 회담의 내용을 재확인(한국 독립의 재확인)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요구.

 

(2). 한국민의 독립준비 한국 독립당 - 김구를 중심으로 한 상해임시정부.

조선독립동맹 - 사회주의 계열, 조선의용군

조선건국동맹 - 여운형이 조직

건국준비위원회 - 여운형이 일본의 행정권 교섭에 응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조직.

2. 미소의 군정과 남북분단

 

(1). 38선 설정의 원인

얄타회담(1945.2) 미국(루즈벨트)영국(처칠)소련(스탈린)의 삼국정상이 모여 회담.

소련의 대일참전, 38도선의 분활, 신탁통치의 잠정결정등.

(2). 미군정의 정책과 상황

 

미군정의 시책 남한내 유일한 행정부임을 강조 - 임시정부나 조선인민공화국등 일체의 조직의 정당성을

불인정

일제의 총독부 체제 이용 - 한국에 대한 정보부족, 친일파들이 미군정에 참여.

소작료의 개정(상한선 제정-총수확량의 3분의1), 신한공사 설립.

 

한국내의 상황 한국민주당(1945.9) - 송진우등의 민족주의 계열, 지주출신, 미군정과 친밀.

독립촉성중앙협의회 - 이승만

조선인민공화국- 여운형

 

3. 신탁통치안과 찬탁반탁운동의 전개

 

(1). 신탁통치의 문제

 

모스크바 3상회의(1945. 12) 미국영국소련의 외상회의.

한국에 민주주의 임시정부를 수립한다.

위의 사항을 논의하기 위해 소 공동위원회를 개최한다.

5년 이내를 기한으로 미국, 영국, 중국, 소련에 의한 신탁통치를 실시한다.

 

소 공동위원회 개최 1차 미소 공동 위원회(1946.3) - 신탁통치의 실행과 민주정부 수립의 원조를 위해 덕수궁에서 개최

- 협의에 참가할 단체문제로 결렬

2차 미소 공동 위원회(1947.5)

(2). 좌우익의 대립 심화 우익 계열 - 한국독립당, 한국민주당등은 반탁운동 전개

좌익 계열 - 처음에는 반탁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소련의 지시로 찬탁으로 선회

- 조선공산당(박헌영), 조선인민당(여운형)

 

(3). 우 합작운동의 전개 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된 후에 추진

우익의 김규식, 좌익의 여운형에 의해 추진

미군정의 지원을 받음.

 

.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1.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1). 한국문제의 유엔 상정 미소 공동위원회의 결렬후 미국은 한국문제를 유엔에 상정하고, 유엔 감시하의 총선거

안을 통과시키고, 유엔한국위원회 설치가 가결됨.

 

(2). 유엔 한국임시위원단의 활동 북한의 입국은 거부된 채 가능한 지역에서의 선거 실시 결정.

 

(3). 남북협상의 실패 이승만과 김성수의 한민당의 남한만의 선거지지에 반대한 김구, 김규식등이 협상시도.

 

(4). 총선거 실시(1948.5.10) 남북협상파를 제외한 우익진영이 참가, 198명의 의원선출, 이승만과 한민당계열이 압승 을 거두었으며, 당선자 소속은 무소속이 가장 많음.

(5). 정부수립(1948.8.15) 이승만을 초대대통령으로 하는 제 1 공화국의 성립, 3 차 유엔총회에서 한반도에 있어 서의 유일한 합법정부임을 공인받음.

2.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성립

 

(1). 해방 후 북한의 정치세력 조선민주당 - 조만식 등의 민족주의계

조선공산당(국내파) - 박헌영을 중심으로 하는 토착공산주의 세력

갑산파, 소련파 - 김일성 중심의 공산주의 세력

조선신민당 - 김두봉 중심의 연안파

 

(2).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1946) 조직

 

(3). 인민공화국(1948.9.9) 김일성은 국내파 공산당을 제거하고 연안파소련파와 연합하여 북조선 노동당을 결성하 고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창설.

 

한국전쟁의 발발

 

1. 전쟁전의 상황 국내정세 - 530 총선의 결과 : 남북협상파도 참여한 이 선거에서 반여당, 반이승만 성향의 무소 속후보가 대거 당선되어 국내 정세가 혼란.

국제정세 - 애치슨 선언(1950.1) : 한반도가 미국의 극동방위선에서 제외된다는 선언.

중국의 공산정권 수립과 소련의 지원.

2. 전쟁의 발발과 전개

 

3. 휴전협정의 성립과 복구

(1). 휴전성립의 전개과정 소련의 유엔대표인 말리크가 휴전을 제의(1951.6.23)

수차례의 결렬 후 휴전협정 성립(1953.7.27) - 유엔대표 해리슨 vs 북한대표 남일

휴전반대 운동 - 한국민의 휴전 협정 반대운동 전개, 이승만의 반공포로 석방(1953.6)

휴전협정의 가장 큰 걸림돌 - 포로 송환 문제

 

(2). 전후 복구 과정 미 상호 방위조약 체결(1953.10)

 

. 대한민국의 발전

 

1. 1 공화국의 성립과 전개

 

(1). 민주주의의 시련 발췌개헌(1952) - 대통령 직선제 개헌안

- 1950. 5.30 선거에서의 이승만의 참패, 5. 26 정치파동, 발췌개헌안 통과.

사사오입 개헌(1954) - 초대 대통령에 한해 중임제한조항을 철폐하려는 개헌안.

- 총의석 203석중 135(개헌선 3분의 2135.3...표에 미달)로 부결되 었으나 수학의 사사오입에 따라 2일만에 번복하여 통과시킴.

 

(2). 통일정책 북진통일 정책

 

(3). 경제정책 농지개혁법(1949) - 임야는 제외

- 3정보를 한도로 초과하는 지주의 토지를 국가에서 유상매수, 유상분배

- 매입,매수가는 총수확량의 150%를 한도로 5년에 걸쳐 매년 30%씩 보상,상환

- 결과 : 지주에게 유리한 개혁, 실시의 지연으로 개혁효과 감소.

- 북한의 토지개혁 : 5정보를 한도로 하며, 무상매수무상분배

 

(4). 419혁명의 발생 이승만의 장기집권 야욕

315 부정선거 - 419의 계기가 된 사건.

418 고려대생의 궐기, 425일 대학교수단의 시국선언으로 이승만이 하야.

 

2. 2 공화국의 성립

 

(1). 민주당 정권의 탄생 양원제와 의원내각제를 골자로 하는 민주당 정권 수립.

 

(2). 통일정책의 변화 통일 정책의 혼란, 남북회담을 제기하는 등의 급진적인 통일방안 등장.

 

(2). 민주주의의 혼란 민주당내의 구파와 신파의 대립으로 정치사회적 혼란.

 

3. 3 공화국의 성립과 전개

 

(1). 516혁명의 발생과 공화당 정부의 탄생 국가재건 최고회의 설치 - 모든 정당사회단체의 해산을 명하고 정 면정부의 지도자 체포, 2공화국 당시의 혁신계 정당들을 반국가 단 체로 몰아 중심인물을 체포하는 등 권력 장악.

3공화국 성립 - 정치활동정화법을 제정하여 정치할동 규제.

- 대통령직선제, 단원제를 중심으로한 3공화국 성립.

 

(2). 경제사회정책의 전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의 추진(1962) - 수출주도형 성장정책, 불균형 성장전략(공업중심)

정부주도형, 외자의 적극적인 도입 추진.

새마을 운동의 전개(1970) - 근면, 자조, 협동의 정신강조.

국민교육헌장 공포(1968)

 

(3). 외교와 통일정책 적극적인 외교정책 - 한일협정체결(1965), 월남파병(1965), 한미행정협정체결(1966)

통일정책

 

4. 삼선개현과 유신체제 10월 유신의 단행(1972.11) - 4 공화국의 성립

 

5. 5 공화국, 6 공화국의 성립과 전개

 

. 남북관계의 변화 및 통일 정책의 전개

 

1. 34공화국

 

(1). 815 선언(1970) 전쟁도발행위의 중지, 무력에 의한 적화통일 야욕의 포기 요구.

UN에서의 한국문제 토의에 북한이 참석하는 것을 반대하지 않음.

선의의 경제 개발 경쟁에 나설 것을 촉구.

 

(2). 남북적십자 회담(1971.8.12) 대한적십자사가 이산가족 찾기 운동을 제의, 1972년에 본 회담 개최.

 

(3). 74 남북 공동 성명(1972.7.4) 자주적 평화적 민족적 통일의 원칙에 합의.

상대방에 대한 비방, 무장도발 금지

서울과 평양사이에 직통전화 가설

남북조절위원회 구성, 운영 합의

 

(4). 623 특별선언(1973) 평화통일 외교정책에 관한 특별선언’, UN의 동시가입 제시.

(5). 남북 상호 불가침 협정 체결(1974.1.18)

(6). 평화통일 3대 기본원칙(1974.8.15)남북간 불가침협정 체결, 남북대화의 성실한 이행, 토착인구 비례에 의한 자 유총선거 실시.

(7). 대 북한 식량원조 제의(1977)

(8). 남북경제 협력협의기구 설치 제의(1978)

(9). 무조건의 대화 재개 제의(1979)

 

2. 5공화국의 정책

 

(1). 남북한 당국의 최고책임자 상호방문 제의(1981.1.12)

(2). 민족화합 민주 통일방안 제시(1982.1.22) 민족통일협의회의 구성, 통일헌법의 기초, 국민투표로 확정, 총선거 실시.

(3). 20개 시범 실천 사업 제의(1982)

(4). 남북한 고위대표 회담 제의(1982)

(5). 남북한 당국 및 정당사회단체 대표회의(1983)

(6). 남북한 경제회담 제의(1984)

(7). 남북 적십자회담의 재개(1985) 이산가족 고향방문단 및 예술공연단의 교환에 합의하고 실시.

 

3. 6공화국의 정책

 

(1). 한민족 공동체 통일방안 제의(1989.9.11)

 

4. 김대중 정부의 통일 정책과 615 공동 선언 남과 북은 통일문제를 자주적으로 해결한다.

남측의 연합제안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안이 서로 공통점이 있음을 인정하고 이 방향에서 통일을 지향시킨다.

가족,친척등의 방문단교환, 비전향장기수 문제등 인도적 문제를 조석 히 해결한다.

경제협력을 통하여 민족경제를 균형적으로 발전시키고, 사회 체육보건환경 등 제반 분야의 협력과 교류를 활성화하여 서로의 신뢰를 다진다.

남과북은 이상과 같은 합의사항을 조속히 실천에 옮기기 위해 빠른 시일 안에 당국 사이의 대화를 개최하기로 하였다.

고려 중,후기

 

. 귀족 사회의 동요

1. 귀족사회의 전개( 문종 의종 )

2. 귀족사회의 동요( 개경 문벌귀족 vs 지방신진세력 )

(1). 이자겸의 난(1126)

1). 배경 전기의 대표적 문벌귀족 출신의 인주 이씨

예종인종과 중복된 외척관계 형성

지방출신의 신진관료와 대립

2). 경과 척준경과 함께 국왕측근세력 제거

척준경에 의해 제거당함(전기 귀족사회의 붕괴 발단)

3). 결과 인주이씨의 몰락, 왕권의 약화, 귀족간의 대립(서경파 등장), 도참설과 서경천도설 대두

금과 유약한 사대주의 결정

 

(2). 묘청의 난(1135)

1). 배경 개경파와 서경파의 대립

2). 경과 서경천도운동의 실패, 국호를 대위, 연호를 천개, 군대를 천견충의군이라함.

3). 결과 서경세력의 몰락, 분사제도삼경제 폐지

4). 역사적 의의 북진이념의 계승 : 금의 압력에 저항, 금국정벌론

신채호의 평가 : < 조선사 연구초 >에서 조선역사상 일천년에 1대사건이라고 높이평가.

낭가불교세력 vs 유학, 국풍파 vs 한학파,

독립당 vs 사대당, 진취사상 vs 보수사상의 대결이라 칭함.

 

 

. 무신란과 무신정권( 귀족사회의 붕괴 )

 

1. 무신란의 발생

(1). 원인 귀족사회 내부의 모순 : 특권적 지위를 누리던 문벌귀족들의 자기항쟁(이자겸의난, 묘청의 난)

기성문벌귀족에 대한 신진관료의 도전.

무신정책의 모순 : 문반에 비해 무반의 차별정책, 정치권력군대권을 모두 문반이 장악.

군인들의 불만 : 농장확대와 농민의 몰락, 잡역에 혹사당함.

 

2.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화

(1). 형성기 ( 1170 1196 )

1). 특징 무인들의 연합정권, 무인정권의 불안정, 무인의 문반관직 독점

2). 전개 정중부, 이의방, 이고 : 중방정치

경대승 : 도방정치

이의민 : 천민출신, 중방정치

 

(2)확립기 ( 1196 1258 ) : 최씨 집권기

1). 특징 자체적인 권력기반 확립(교정도감, 정방, 서방)

무신과 정방을 억압하고, 문신보호의 역현상 발생( 문인들의 행정능력 이용 )

민란의 진압과 교종세력의 억압 : 선종세력과 연결 도모.

2). 전개 최충헌 : 시무 10, 도방부활, 교정도감, 농장의 확대로 경제적 기반확립.

최 우 : 정방, 서방설치, 삼별초 조직, 대몽항쟁

최항, 최의

(3). 붕괴기 ( 1258 1270 ) 김준, 유경, 임연, 임유무, 문신의 대몽강화시도, 삼별초의 저항

 

3. 무신란의 전개 김보당의 난(1173) : 동북면 병마사 김보당의 난, 의종복위운동, 최초의 반무신란

조위총의 난(1174) : 서경유수 조위총의 난, 최대의 난

귀법사의 난(1175) : 귀족의 비호를 받고 있던 교종계열 승려의 난

공주 명학소의 난(1176) :망이망소이의 난,회유책으로 충순현으로 승격, 신분해방운동

전주 관노의 난(1182)

김사미, 효심(울산)의 난(1193)

만적의 난(1198) : 최충헌의 노비출신, 신분해방운동.

민란의 발생과 성격 명종신종대의 30여년간 집중적으로 발생.

최충헌의 집권후 기세약화(무신정권이 안정기에 접어들었기 때문)

정부의 대응 : 진압과 함께 권농책실시, 조세감면등 농민안정정책.

무신집권기의 민란은 귀족중심의 엄격한 신분사회에서 탈피하여 새로운 사회체제 로 넘어가는 원동력이 되었다.

 

4.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1). 형성기의 지배기구 정권의 불안정기로 기존의 관부를 존치해 둔 채, 중방을 중심으로한 연합정치.

 

(2). 확립기의 지배기구

1). 최충헌 집권기 교정도감(인사조세감찰) : 최고의 관부

도방의 강화

천민의 난 진압, 흥녕부(경제적기반), 최충헌의 시무10조건의.

2). 최 우 집권기 정방(문무관 인사권)

서방(문신의 자문기구) : 문신을 등용, 최자이규보이인로등용

삼별초조직 : 경찰전투등 공적임무를 띤 사병집단, 대몽항쟁에 참가

야별초(좌별초, 우별초), 신의군(몽고에 포로로 갔다가 돌아온자)

강화천도(1232 1270) : 1차침입후 강화천도, 대몽항쟁.

최씨 정권의 성격 문무 합작 정권

항 몽 정 권

막대한 농장의 소유 : 전시과 체제의 붕괴, 본격적으로 농장이 확대되어 이 시기의 농 장은 산천을 경계로 할 만큼 확대.

 

5. 무신정권의 대몽항쟁

(1). 시대적 배경 몽고 제국의 성립(1206), 대요수국(거란, 1216), 동진국(여진, 1217)

강동의 역(1219) : 고려, 몽고의 첫 접촉, 연합작전으로 거란 격퇴.

 

(2). 대몽 항쟁

1). 1차침입( 고종, 1231 ) 원인 : 몽고사신 저고여의 피살사건

결과 : 박서의 분전(귀주), 고려의 강화요청으로 강화성립.

다루가치 설치( 국사전반을 관장하여 내정간섭기구, 충렬왕때 폐지)

2). 2차침입( 1232 ) 원인 : 최우의 강화천도와 함께 대몽정책의 강경화

결과 : 처인성 전투(김윤후)

3). 3차침입( 1235 ) 부인사 대장경 소실, 황룡사 9층탑 소실

4). 이후 6차침입까지 있었음.

 

삼별초의 대몽항쟁 설치 : 최우때 야별초와 신의군을 합하여 설치

원종때 개경출륙반대 : 무신정권의 붕괴와 함께 대몽항쟁을 고수

대몽항쟁 : 배중손(진도, 용장성), 김통정(제주도)

결과 : 몽진압군에 의해 진압, 제주도에 탐라총관부 설치

 

. 고려후기사회의 변동

 

1. 원간섭기의 고려

(1). 영토의 상실 쌍성총관부 설치(1258 1356) 철령 이북의 땅, 공민왕때 수복.

동녕부 설치(1270 1290) 자비령 이북의 땅(서경), 충렬왕때 수복.

탐라총관부 설치(1273 1301) 삼별초의난 진압 후 제주도에 설치.

 

(2). 일본정벌에의 동원

1). 1차정벌( 충렬왕, 1274 ) 강화후 첫 시련, < 둔전경략사 >설치

홍다구, 김방경, 합포(마산)을 출발, 실패

2). 2차정벌( 충렬왕, 1281 ) < 정동행성 >설치

관부의 설치순서 : 다루가치(1231) 쌍성총관부(1258) 동녕부(1270) 탐라총관부(1273)

둔전경략사(1274) 정동행성(1280)

 

(3). 관제의 변화

1). 왕칭호의 변화 충자가 붙음, 폐하 : 전하, 태자 : 세자, :

2). 도병마사 확대개편 도평의사사(도당)로 개칭, 권문세족의 최고정치기구로 국정전반을 관장하는 합 좌기구

3). 병제개편 순마소 설치(경찰, 감찰임무)

4). 관제 격하 및 변화(보충프린트 참조)

(4). 입성책동(1308)

(5). 내정 간섭 기구 및 기타 다루가치(1231)

정동행성(1280) : 장관인 승상은 고려왕이 겸임, 관원도 고려인

중심기구로는 정동행성 이문소가 있음.

응방 : 해동청()의 사육

독로화 : 원에 인질로 끌려간 왕자의 별칭

심양왕 : 원의 분열정책의 소산

반전도감 : 공물수탈기구

 

(6). 원지배하의 영향 공녀요구(결혼도감) , 농촌의 파탄 , 인종언어교류

풍속교류 : 몽고풍, 고려양의 유행

만권당 설치 : 왕이 연경에 설치

주자학의 전래 : 왕때 안향이 소개

사라센문화의 영향 : 천문, 역법, 수학의 전래

 



2. 권문세족의 등장

(1). 권문세족의 형성 무신집권기를 거쳐 대원관계가 진전되면서 형성.

(2). 권문세족의 성분 무신세력 : 언양 김씨(김취려), 평강 채씨(채송년)

부원세력 : 평양 조씨(조인규), 안동 김씨(김방경)

전기문벌귀족 세력 : 인주 이씨, 경주 김씨, 파평 윤씨

충선왕 즉위년에 발표한 < 재상지종 >이 고려후기의 권문세족.

 

(3). 권문세족의 성격 고려후기의 정치권력 장악 : 재추직 장악, 도평의사사 장악, 왕권의 약화

대토지 소유자 : 녹과전이나 녹봉보다는 불법적 토지집적을 통한 농장경영.

농장은 면세면역의 특권, 산천을 경계로 하는 광대한 농장소유.

문화적 소양과는 거리가 멀다

친원적 성향보수적 성향 : 원의 세력을 이용하여 기득권을 지키려는 반개혁적 성향.

관료적 성향(전기 문벌귀족에 비해서)

고려권력층의 변화 : 호족 문벌귀족 무신 권문세족 신흥사대부

문벌귀족과 권문세족의 비교(보충프린트 참조)

 

3. 전시과 체제의 붕괴와 농장의 확대

 

(1). 전시과 체제의 붕괴 귀족정치기인 12세기초부터 동요시작 : 문벌귀족들의 토지겸병(이자겸)

무신집권기의 최충헌

몽고간섭기에 본격적으로 농장이 확대(권문세족)

 

(2). 농장의 확대 권문세족, 왕실, 사원이 주체

확대방식은 불법적: 약탈, 강점등

 

(3). 농장의 성격 면세면역의 특권 ( 사적 지배력이 농후함 )

고려후기의 농장은 산천을 경계로 하는 광대한 영역(군에 걸침, 하나의 행정구역구성)

국왕의 농장( ), 사원세력은 왕또는 권문세족의 기탁으로 농장형성.

 

(4). 농장확대의 영향 국가수입의 감소(녹과전 제도의 실패)

국가 인적자원의 감소

왕권의 약화(고려후기 개혁정치의 동기)

구세력의 갈등 : 신흥사대부와의 갈등원인

 

4. 원간섭하의 개혁정치(권문세족 억압목적과 원세력 약화목적)

 

(1). 충렬왕 < 전민변정도감 >설치, 홍자번의 < 편민 18>

(2). 충선왕 < 사림원 >설치, 소금철의 전매사업 실시

(3). 충숙왕 < 찰리변우도감 >설치

(4). 충목왕 < 정치도감 >설치

(5). 공민왕의 개혁정치

1). 반원정책 원명교체기를 이용하여 친명정책 천명

친원파 숙청, 몽고풍 폐지, 정동행성 이문소 혁파

2). 영토회복정책 쌍성총관부 탈환, 동녕부 공격

3). 왕권강화정책 정방을 폐지 : 인사권을 장악

신진사대부와 가문이 없는 신돈의 등용

권문세족억압정책 : <전민변정도감>을 설치, 실패

4). 개혁실패요인 권문세족의 압력, 상대적으로 개혁주체세력(신흥사대부)의 미약,

홍건적왜구침입, 원의 압력, 신돈의 횡포, 자제위의 변태적 운용.

 

5. 신흥사대부의 대두

 

(1). 시대적 배경 권문세족의 정치권력 독점과 농장확대에 따른 정치,경제,사회적 혼란을 시정하기 위한 개혁 이 필요한 시대.

 

(2). 형성 최씨정권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여 무신정권 붕괴후 더욱 활발히 중앙정계에 진출.

 

(3). 개혁에 참가( vs 권문세족) 충선왕의 개혁정치에 참가

공민왕의 개혁정치에 참가

(4). 위화도 회군으로 신흥무장세력과 결탁

 

(5). 사대부의 성격 및 권문세족과의 비교( 보충프린트 참조 )

 

6. 국제정세 변화와 위화도 회군

 

(1). 왜구의 침입

1). 왜구의 침입 대마도등 일본의 해적상인을 말함. 고종때부터 출몰하기 시작.

충정왕때부터 극심, 강화도까지 약탈, 개경에 게엄령선포.

2). 일본정부와의 교섭 김일(공민왕), 정몽주(우왕)을 파견.

일본정부의 통제력 약화로 효과를 보지못함.

3). 왜구 토벌 홍산대첩(우왕, 1376) 최영, 부여

화통도감 설치(우왕, 1377) 최무선

진포대첩(우왕, 1380) 나세최무선, 서천, 화포사용

황산대첩(우왕, 1380) 이성계

관음포대첩(우왕, 1383) 정지, 남해

대마도정벌(창왕, 1389) 정지의 건의, 박위파견

4). 영향 고려재정의 파탄 : 농민의 유망, 조세감소, 조운의 곤란

수군의 창설, 사수서(해안경비 담당), 무기발달(화포의 제작)

 

(2). 홍건적의 침입

1). 1차침입(공민왕, 1359) 이방실

2). 2차침입(공민왕, 1361) 복주(안동)으로 피난, 정세운이방실최영이성계

 

(3). 위화도 회군

1). 시대적 배경 명의 교체기(공민왕, 1368)

2). 고려의 대응 공민왕의 친명정책

친명파(공민왕, 신흥사대부)와 친원파(권문세족)의 대립심화.

우왕의 즉위(1374) : 이인임의 추대, 명에 대한 양면외교 추구

명의 철령위 설치(1388) : 쌍성총관부 관할, 최영의 요동정벌 결정

 

 

7. 이성계의 집권 전제개혁의 단행(공양왕, 1391) : <급전도감>을 설치하고 도평의사사에서 공직적으로 과전법 공포

권문세족의 경제적 기반 몰락, 재정확보, 농민의 지위향상

강경파(역성혁명파: 정도전, 조준)와 온건파(다수, 정몽주, 이색)의 대립.

 

 

보충자료

 

1. 서경파 vs 개경파

서경파

묘청백수한정지상

풍수지리설

북진주의

금국정벌

(자립국가)

신진관료

진 보

불교낭가

고구려유민

독립당

개경

김부식

유 학

사대주의

금정벌불능

(송이용우 려)

문벌귀족

보 수

유 교

신라유민

사대당

 

 

2. 관제의 격하 및 변화

중서문하성, 상서성

첨의부

중추원

밀직사

도병마사

도평의사사

이부,예부

전리사

병부

군부사

호부

판도사

형부

전법사

공부

폐지

안찰사

안렴사

어사대

감찰사

한림원

문한서

문하시중

첨의중찬

상서

판서

시랑

총랑

 

3. 문벌귀족과 권문세족의 비교

문벌귀족

권문세족

호족출신

무신집권 이후 성장

왕실과 통혼

과 결탁

과거, 음서

음서

공음전

농장세습

관직에 집착않음(귀족적)

관직에 참여(관료적) 도평의사사 장악

고려전기의 지배층

고려후기(원간섭기)의 지배층

 

4. 권문세족과 사대부의 비교

권문세족

사대부(신진세력)

중앙고관(음서로 진출)

지방의 향리(과거로 진출)

재경 부재지주, 농장소유

재향 중소 지주

유학적 소양이 적음

성리학자

불교를 옹호

철저한 불교비판(정도전의 불씨잡변)

친원 외교 전개

친명외교 전개

귀족 연합 정치 운영

왕도정치(민본주의)

주체의식이 미약

주체의식이 강함


고 려 전 기

 

문벌귀족 사회의 형성(고려전기사회)

 

1. 고려의 집권화 과정

 

(1). 태조 (918 943)

1). 호족 연합 정책 혼인정책, 사성정책( 의제 가족적 관계 형성 )

2). 역분전 지급(940) 충성도를 기준으로 한 논공행상적 토지급여로서 개국공신, 중앙관료의 경제적 기반

3). 기인제도, 사심관 제도

4). 북진 정책 거란에 대한 강경책 ( 만부교 사건 : 942 ), 여진에 대한 강경회유 정책

5). 숭불 정책 연등회팔관회 중시 ( 진흥왕때 발생 ), 비보사찰의 건립

6). <정계>, <계백료서> 신하의 도리 제시

7). <훈요십조> 자손에게 남긴 정치지침서

 

(2). 정종(946 949) 왕규의난 (외척인 왕규가 왕위계승을 둘러싸고 일으킨 난으로 왕권약화)진압.

서경천도 계획의 추진 : 서경세력을 이용하여 외척공신세력 견제의도.

광군의 설치 : 거란의 침입에 대비

 

(3). 광종(949 975)

1). 독자적 연호 사용 ( 광덕, 준풍 )

2). 노비안검법 실시 호족의 경제적군사적 기반 약화목적 ( 왕권강화)

3). 과거제 실시 후주인인 쌍기의 건의, 개국공신의 권한약화 목적 ( 왕권강화책 )

4). 백관의 공복 제정( )

5). 불교의 통합정책 선 통합 정책, 화엄종장려, 법안종, 천태학 도입

광종대 개혁세력의 특징 : 개국공신계열에 대립된 중소호족, 과거를 통해 선발된 신진관리, 중국의 귀화인으 로 가문의 기반이 없는 사람들.

 

(4). 성종(981 997)

1). 유교 정치이념 채택 최승로<시무 28>

2). 관제정비 중앙관제 : 36(당제 채택)

지방관제 : 12목 설치( 최초로 지방관 파견 ), 향직개편(호장, 부호장 : 지방관의 보좌역)

3). 교육제도 국자감 설치, 12목에 경학의학 박사 파견, 문신월과법

4). 경제정책 건원중보(최초의 화폐), 상평창, 의창설치

5). 사회정책 팔관회연등회 행사 폐지, 노비환천법(불량한자의 노비화)

6). 분사제도 서경중시

 

(5). 현종(1010 1031)

1). 지방제도 완성 5도 양계, 4도호부, 8, <경기제 시작>

2). 초조대장경 조판(거란의 침입을 불력을 통해 물리치기 위함.)

3). 7대실록 편찬

4). 나성 축조(거란 대비)

 

(6). 문종(1047 1083) : 귀족정치의 극성기

1). 사학의 발전 최충의 9재학당, 12공도 성립

2). 불교장려 흥왕사 창건, 천태종도입, 연등회팔관회 공식부활

3). 공음전시과 실시

 

2. 고려전기의 지배체제

 

(1). 중앙정치제도( 국초에는 신라와 태봉의 제도를 원용하였으나, 성종대부터 시작하여 문종대에 이르러 완성)

1). 36중서성문하성상서성

2품이상의 재신3품이하의 낭사로 구성

중서문하성의 재신이 6부 관할(상서령은 실직이 아님)

형식적으로는 당제 모방, 운영은 독자적( 중서문하성, 최고 정무기관)

2). 도병마사 재신과 추신으로 구성, 합좌회의기관, 귀족적 성격을 대변하는 기관

국방문제등 국가중요정책의 협의

도평의사사로 확대 개편(충렬왕) : 상설기관화, 관료적 성격, 참가인원의 확대, 의제의 확대

3). 식목도감 도병마사와 같이 재추신이 구성원, 귀족적 성격, 합좌기관

중요 법령 제정(입법기관)

4). 중추원(추밀원) 2품이상의 추신(군기담당), 3품의 승선(왕명출납)

중서문하성(재부)와 더불어 추부라 하여 중요시함

5). 기타관청 삼사 재정기관으로 전곡출납과 회계( 조선의 삼사와 구별)

어사대 시정의 논의와 관리 규찰탄핵

중서문하성 낭사와 더불어 서경권 행사(조선시대 서경권과 비교)

보문각 경연과 서적

한림원 교서와 외교문서 작성

 

고려 정치 조직의 특성 당제 모방 : 36

송제 모방 : 중추원, 삼사

독자적 제도 : 도병마사, 식목도감

서경제도와 대간

 

(2). 지방행정 조직( 현제도 근간 ) : 경기제, 5도양계,

1). 고려초 : 지방에 외관이 파견되지 못하고 호족의 자치에 맡김.

2). 성종 12목 설치, 최초로 지방관 파견

그러나 외관이 파견되 주현보다 파견되지 못한 속현이 압도적으로 많음.

중앙정부와 주현과의 중간기구로 계수관 설치

3). 현종(지방제도의 완비) 5도 양계 : 안찰사와 병마사 파견

4도호부(군사적 요지에 설치), 8(도의 행정 중심지)

경기( 개성부에서 직접 통치 )

: 주현과 속현(주현이 압도적으로 많음), 주현과 속현에 향리 설치

: 가장 말단의 행정단위로 외관이 파견되지 못하고 촌장이 자치

 

특수행정조직인 부곡 천민의 집단거주지, 향리가 지배

국학, 과거응시 금지등 차별대우를 받음

부곡은 농민, 소는 수공업, 공장이 거주

군현에서 부곡으로 강등되거나 승격되는 사례가 있었음(무신란 이후)

소는 고려시대에서 새로이 발생

 

고려 향리의 성격 지방호족 출신

조세부역관리등 말단행정사무 담당, 수령의 보좌역

속현, , , , 부곡에서의 지배자

실권이 커서 백성침탈의 패해, 외역전 지급(조선시대에는 박탈)

향리 통제책 : 상수리제도(신라), 기인제도, 사심관제도

 

(3). 군사제도

1). 중앙군대( 국초 : 국왕의 군사력기구인 병부와 호족의 군사기반인 순군부 병존)

2(상장군) 응양군, 용호군(근장)

국왕의 친위부대로서 6위보다 우위.

6(상장군) 좌우위신호위흥위위 : 6위의 핵심부대로서 개경변방방어임무.

금오위(경찰), 천우위(의장), 감문위(궁성문 수비)

중방 : 26위의 대장인 상장군과 부대장인 대장군으로 구성된 합좌기관

장군방 : 각 령의 대장인 장군으로 구성된 합좌기관

 

2). 지방군

주현군 5도에 설치, 일반 농민들로 구성된 예비군

보승, 정용(국방치안), 일품(공역 : 향리가 지배)

주진군 양계에 설치, 상비군

초군, 좌군, 우군

3). 기타 특수부대 광군 : 정종대에 설치, 거란의 침입에 대비

별무반 : 속종대에 설치, 여진의 침입에 대비, 신기신보항마군으로 구성

연호군 : 농민, 노예로 구성된 부대

도방, 삼별초 : 최씨정권하의 부대, 특히 삼별초는 대몽항쟁에 참가.

 

(4). 교육과거제도

1). 교육제도 :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채택하여 육교교육을 받은 관리의 양성 필요.

태조 : 개경과 서경에 학교 설치

성종 국자감 설치(992), 문신월과법

지방교육 강화 : 12목에 경학박사의학박사 파견

예종 7설치, 사학 9재를 모방한 국학의 학과별 단과대학으로 ,무모두 겸비.

인종 경사 6학설치(신분별 학교로 개편), 향교설치

고려시대의 기술교육 : 산학 이외의 기술교육은 해당관서에서 취급.

( 천문,지리 : 사천대, 의학 : 태의감, 외국어 : 통문관 )

2). 과거제도

제도의 설치 광종대(958)에 후주인인 쌍기의 건의로 설치, 훈신억제왕권강화가 목적

제도의 종류 제술: 한문학으로 응시, 한문학 발달의 계기, 과거시험에서 가장중시됨.

명경: 유교경전으로 응시

: 기술관 등용 시험

제도의 특징 문과가 중시되고 (그 중에서도 제술업이 가장 중시), 무과가 없었음(공양왕때 생김)

좌주문생관계형성 : 지공거(과거시험관)와 급제자는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여 고려 문벌 귀족 사회를 형성하는 배경이 됨

음서제도의 존재(귀족사회의 특징) : 관직임명에 있어서 출신문벌이 가장 중요시 되었으

며 음서로 진출한 자가 오히려 최고직 까지 승진하는 등 고려사회가 문벌귀족사회임을

나타내는 증거.

 

시험방법 식년시원칙(3년마다 보는 정기시험),

삼장제( 향시 - 국자감시:사마시,진사시 - 동당감시:예부시 )

음서제도 5품이상 고관의 자손은 과거를 거치지 않고 관직진출 ( 조선은 2품이상 )

과거보다 음서제도가 일반화

관품이나 관직승진에 제한이 없었고, 오히려 고관으로 출세

공음전과 함께 고려문벌귀족 사회의 성격을 반영하는 대표적 제도.

 




3. 귀족사회의 경제제도

 

(1). 토지제도

1). 고려의 토지소유관계 국유제가 원칙

소유권과 수조권에 따라 공전사전으로 구분

2). 토지제도의 변천 역분전( 태조,940 ) 통일후 공훈,충성도,인품기준으로 지급한 논공행상적 토지제도

시정전시과(경종,976) 전지(토지)와 시지(임야)지급

현직 지급, 한외과 전 15결 지급

기준 : 광종의 사색공복과 인품을 기준으로 함

개정전시과(목종,998) 성종때 마련된 관직고하에 따라 1 18과 지급

현직의 비중강화( 현직주의 )

문관우위의 토지지급( 문신귀족주의 반영 )

한외과 17결 지급, 군인전 지급

경정전시과(문종,1076) 전시과 체제의 완성, 토지지급액수의 전체적 감소

현직자에게만 지급, 한외과 폐지

무관에 대한 대우 상승

공음전, 한인전, 별사전등

3). 토지제도의 성격 : 직역에 대한 반대급부로 지급, 토지에 대한 수조권을 지급한 것임,

원칙적으로는 세습불허(반납이 원칙)

4). 토집분급의 종류( 교재 96page 참고 )

5). 민전의 분포와 성격 일반농민(백정)이 조상 대대로 물려 받은 토지

소유권상으로는 사전, 수조권상으로는 공전 ( 수확량의 10분의 1 납세 )

매매가 가능한 토지

(2). 수취제도와 조운

1). 수취제도 조세 사유지인 민전의 조세율은 수확의 10분의 1

소작농의 경우 - 사전의 경우에는 수확량의 2분의 1

- 공전의 경우에는(궁방전,공해전,둔전) 수확량의 4분의 1

결부법적용 : 1결에 2(30)를 조세로 냈으므로 1결의 총수확량은 20(300)

,부곡민은 조세를 부담하고 소의 주민들은 공납을 부담

공납 상공 : 호별로 배분

별공 : 임시적 공납, 농민의 부담가중

부역 16 60세 남자는 이라하여 의무를 짐

주로 토목공사에 동원하였다.

2). 조운 육상교통로 미발달로 인해 역은 공문전달이나 관물수송, 출장관리의 숙박등에 이용

조운은 방대한 곡물수송에 이용되고

조창이라고 하여 한강이남에 설치하여 곡물수송, 양계지방에는 그대로 두고 필요한데 사용(잉류)

 

4. 귀족사회의 사회구조

 

(1). 귀족사회의 성격 문벌귀족사회. 추를 중심으로한 고위관직을 독차지하여 정치권력 장악.

과전공음전등 막대한 토지를 차지, 음서제도를 활용

사회적 제1신분으로 여러 가지 특권, 문화면의 주역 담당

문벌귀족 상호간의 폐쇄적인 혼인관계, 외척형성

고려전기의 대표적 문벌귀족가문으로는

안산김씨, 인주(경원)이씨, 해주최씨, 파평윤씨, 경주김씨등이 있다.

(2). 사회신분의 구성 ( 신분이 세습되고, 신분간 구별이 엄격 )

1). 귀족 왕실과 문벌이 좋은 일부 특권신분으로 고위관직을 독차지

음서제도공음전의 특권을 누림( 5품이상의 고위관리 )

무반보다는 문반이 중요시되고 이것은 중기 무신란의 원인이 됨

2). 하급관리 실무적 사무 담당, 문무반 6품이하의 관리

중앙관서의 서리, 궁중의 잡일을 맡은 남반, 무관 하급 장교등

3). 양 인 농민(백정)이 대다수로 조세공납부역의 의무 부담.

상인, 수공업자 : 농민보다 천시되었고, 공역을 부담

4). 천민계층

천민 부곡민, 화척, 진척, 재인등

노비 공노비 : 공역노비 - 궁중이나 관청에서 잡역

: 외거노비 - 농사에 종사

사노비 : 솔거노비

: 외거노비 - 농사에 종사하며 독립적인 가족생활 영위, 토지가옥을 소유함

- 전호(소작농)과 유사하고, 조를 바침

노비의 사회적 진출 제한 : 교육이나 과거응시가 제한되고, 관리임명의 자격이 없음, 동색혼만을 인정하는 것이 원칙이며, 일천즉천으로 신분이 세습됨

(3). 고려신분사회의 개방성 원칙 : 신분제도 엄격, 세습

개방성 - 부곡의 군현승격현상( 천민의 양인화 : 무신란이후 )

- 외거노비의 양인화 ( 재산축적 )

- 향리의 문무관리 진출 ( 과거응시 )

- 일반농민의 무반진출현상

 

5. 귀족사회의 대외정책

 

(1). 고려 대외정책의 특성

1). 친송정책 중국역대와조와 친선관계 유지

2). 북진정책 원칙 : 거란, 여진, 몽고등 북방민족에 대한 강경책

북방민족의 압력에 대한 대응 : 그때그때의 지배층의 체질에 따라 양상을 달리함.

건국초기( vs 거란 ) : 자주의식을 바탕으로 강경책(만부교사건,942), 발해유민 포섭흡수

고려중기( vs 여진 ) : 문벌귀족사회의 전성기, 유약한 사대주의

고려후기( vs 몽고 ) : 무신집정기로 강력한 항쟁.

 

(2). 거란과의 관계

1). 북진정책과 대거란 강경책 만부교 사건( 태조, 942 ), 발해유민 포섭

광군설치( 정종 )

2). 거란의 침입

1차침입( 성종, 993 ) 원인 : 고려의 북진정책과 대거란 강경책

침입 : 성종 12년 소손녕이 80만대군으로 침공

결과 ; 서희의 담판( 송과의 단교, 거란을 적대시 않는다는 조건),

강동6의 획득 국경이 압록강 유역까지 확대

2차침입( 현종, 1010 ) 원인 : 강조의 정변구실, 성종이 40만대군으로 침공

결과 : 현종의 나주피난, 현종의 입조조건으로 철군, 양규의 활약.

3차침입( 현종, 1018 ) 원인 : 현종의 입조불응, 강동6주의 반환거부, 소배압의 침입

결과 : 강감찬의 귀주대첩

3). 전란의 영향 현종 10(1019)에 거란과 강화체결, 평화관계유지

나성축조(개경, 강감찬 건의), 천리장성 축조(국경지방)

초조대장경 조판, 7대실록 편찬

 

(3). 여진과의 관계

1). 여진의 성격 발해의 일부를 이루던 말갈족의 후예, 문화적 수준이 낮고 고려를 부모의 나라로 섬기고 공물을 바침과 동시에 국경지대를 침범.

2). 고려의 여진 정책 회유정책 : 공물을 상납하는 여진인에게는 식량과 철제농구 제공

귀순하는 여진인에게는 일반민호로 편입

강경정책 : 침입하는 여진에게는 강경노선을 취함

3). 여진 정벌( 예종, 1107 ) 별무반조직(숙종, 1104) : 신기군, 신보군, 항마군

윤관의 동북 9(함경도 지방)

9성의 환부(1109) : 여진의 반환애원,

4). 금의 건국(1115)과 이자겸의 사대외교 ,금이 연합하여 요(거란)를 멸망시킴(1126)

금의 고려에 대한 사대요구

이자겸의 사대외교 결정

 

(4). 송과의 관계

1). 친송정책 고려는 기본적으로 송건국(960)부터 친선관계 유지

2). 양국의 교류목적 : 군사적 목적 ( 거란, 여진의 침입에 대비 )

고려 : 문화적, 경제적 목적 ( 선진문화의 수입 )

군사적으로는 중립적 태도 ( 송의 군사원조 요청 거절 )

3). 교역물품 수입품 : 서적, 비단, 자기, 약재, , 향료등 주로 귀족의 사치품

수출품 : ,,, 인삼, 나전칠기, 화문석

4). 송문화의 영향 송판본의 전래 ( 인쇄술 ), 송자기(고려자기: , 상감청자는 고려의 독자적 작품)

송의 대성악, 정치제도 ( 중추원, 삼사 )

4. 보충자료

고려시대 왕조 계보

태종(918-943) 혜종 정종(945-949) 광종(949-975) 경종(975-981) 성종(981-997) 목종(997-1009)

 

현종(1009-1031) 덕종 정종 문종(1046-1083) 순종 선종 헌종

 

숙종(1095-1105) 예종(1105-1122) 인종(1122-1146) 의종(1146-1170) 명종(1170-1197)

 

신종 희종 강종 고종(1213-1259) 원종(1259-1274)

 

충렬왕(1274-1308) 충선왕(1308-1313) 충숙왕(1313-1330) 충혜왕 충목왕(1344-1348) 충정왕

 

공민왕(1351-1374) 우왕(1374-1388) 창왕(1388-1389) 공양왕(1389-1392)

 

사심관 제도 그 지방출신의 高官에게 자기고장을 다스리도록 임명한 관직

경순왕인 김부에게 경주사심관으로 임명한 것이 최초

임무 : 신분의 구별, 부역의 조달, 풍속의 교정, 향리의 감독

조선의 유향소(향청)제도의 기원이 됨

 

기인제도 지방향리 자제를 상경시위케하는 일종의 인질제도로서 신라 상수리제도가 그 기원

향리세력을 통제하기 위한 수단

조선시대의 영저리, 경저리로 발전

 

도병마사의 변천 초기에는 임시회의 기구로서, 국방군사문제를 다룸.

고종(무신정변후) : 국정전반의 문제를 다룸.

충렬왕(원지배하) : 도평의사사로 개편되고, 상설기구화, 참여인원의 확대가 이루어짐.

도병마사는 귀족적 성격을 대변하지만, 도평의사사는 관료적 성격 대변

 

고려의 안찰사와 조선의 관찰사의 비교

1. 고려의 안찰사 중앙관의 신분, 임기는 6개월, 처음에는 상피제도가 적용되지 않았다.

신분은 56품의 낮은 신분

지방에 상주하는 것이 아니라, 지방을 순시 감찰하였다.

2. 조선의 관찰사 원칙적으로 상피제도가 적용되었고, 임기는 1년으로 외관(지방관)신분

지방에 상주

 

고려향리와 조선향리의 비교

1. 고려향리 촌의 평민, 부곡소의 천민의 조세, 공물의 징수와 부역 징발의 사무담당

외역전을 지급받음(세습), 과거에 응시가능, 후기에 사대부계층 형성

2. 조선향리 조세, 부역, 공물과 관련된 사무를 봄으로써 향리의 권한이 축소되어 수령밑에 예속.

토지나 보수를 받지 못함.

과거 응시가 제한되고 실무행정담당자로서 중인계층을 형성.

 

사학 12문존대에 문하시중이던 최충이 후진양성을 위해 세운 사학 9재가 기원(전문강좌)

이를 모방하여 개경에 사학이 11개가 더생겨 12공도 출현

설립자들은 대개 지공거출신이 많았음.

사학이 발달하여 숙종이후에 관학진흥책이 나오게 되는 계기

 

관학진흥책 왕권강화책의 일환으로 추진 : 서적포, 7양현고, 향교경사6, 섬학전등

관학 진흥책은 실패하여 사학의 발달이 촉진되고 문벌귀족사회가 강화됨

 

교육시설 성종: 비서원(개경에 세운 왕립도서관), 수서원(서경에 설치한 왕립도서관)

숙종 : 서적포(궁중에 설치한 출판소)

예종 : 청연각(경연처), 보문각(학문연구소)

 

교육재단 학 보 : 태조가 서경에 세운 육영재단

양현고 : 예종대에 국학에 설치한 육영재단

섬학전 : 국학생의 학비를 보조하기 위해 마련한 기금, 충렬왕대에 안향의 건의.

학 전 : 국자감, 향교에 지급한 토지

 

고려시대의 화폐 성 종 : 건원중보( 최초의 철전 )

숙 종 : 활구 ( 은병 ), 해동통보해동중보, 삼한통보삼한중보, 동국통보둥국중보

충렬왕 : 쇄은

충혜왕 : 소은병

공양왕 : 저화 ( 최초의 지폐 )

전시과와 과전법의 비교

 

전 시 과 ( 고 려 )

과 전 법 ( 조 선 )

차 이 점

* 전지와 시지의 지급

* 전국(특히 하삼도)이 지급대상

* 소유권과 수조권에 따라서 공사전 구분

* 별사전 - 승려, 풍수지리업자에게 지급

* 국가의 수조대행

* 유가족 - 과전환수, 구분전 지급

* 군인전 - 중앙군인인 2군에게 지급

* 구분전 - 하급관료, 군인의 유가족에게 지급

* 민전의 매매허용

* 전지만 지급

* 경기에 한하여 지급

* 수조권에 따라 공사전 구분

* 별사전 - 준공신에게 지급

* 관료의 직접수조

* 유가족 - 과전을 수신전,휼양전으로 지급

* 군전 - 한량에게 지급

* 구분전 - 읍리, 진척, 역자에게 지급

* 민전의 매매금지

공 통 점

* 왕토사상에 따라 토지국유제가 원칙이었으나 개인토지가 존재함.

* 퇴직에게 토지를 지급함(초기)

* 18품계에 따라 차등 지급함.

* 과전은 사후 반납이 원칙이나 점차 세습화됨.

* 국가가 관료들에게 수조권을 분급함(직접 토지를 나누어 준 것이 아님)

 

고대의 불교

1)수용

시기:중앙집권국가의 정비 과정

선도:왕실국민의 사상통일을 통한 왕권의 강화(중앙세력의 사상적 기반)

과정:중국전진고구려(372)신라,일본

동진백 제(384)일본

2)성격:현세구복적,초부족적,샤머니즘적,호국적(백좌강회,황룡사 9층 목탑)

3)삼국시대:교리보다는 계율의 중시

고구려:삼론종(대승불교,공사상의 이해 강조)

백제:율종

신라

불교식 왕명의 사용:법흥왕진덕여왕 교단의 성립:진흥왕, 혜량

사회윤리와 국가정신의 확립:진평왕 계율종의 개창:선덕여왕, 자장

전통신앙의 기능 강조

중심교리

구 분

내 용

공 통 점

업 설

전생의 행위에 의해 현재의 삶이 결정된다는 이론

왕의 권위를 높임

귀족들의 특권 인정

미륵불

신앙

미륵불이 나타나 이상적인 불국토를 건설한다는 신앙

화랑도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정착

4)통일신라

교 종 (5) <---------

---------> 선 종 (9)

발달시기:신라중대

대표적:화엄종(의상)

성격

교리(경전)의 연구이론불교

형식과 권위의 중시

지지기반:왕실, 중앙귀족

영향:조형미술의 발달

고승

원효

십문화쟁론:일심사상다른 종파와

사상적 대립 조화,분파의식의 극복

금강삼매경론,대승기신론소

불교의 이해 기준을 확립

아미타신앙의 전도(정토종의 보급)

불교의 민간화(대중화)에 기여

법성종의 창시

의상

화엄사상의 정립(화엄일승법계도)

전제정치의 뒷받침

아미타신앙과 함께 관음신앙의 주도

교단의 성립,불교문화의 폭 확대

원측:유식불교의 강조

혜초:왕오천축국전의 저술

신라하대(신라말기)

수미산파(이엄):고려 건국의 사상적 기반

개인의 정신수양을 강조

좌선(참선)의 중시

견성오도,즉시성불,불립문자의 표방

실천수행의 강조(산중불교)스스로 사색

혁신적,개혁요구와 일치

호족+6두품+풍수지리설+도교노장사상

:반신라적고려의 건국

지방세력

성주,장군이라 자칭(반독립적)

행정권, 군사권, 징세권의 장악

출신 성분

토착적인 지방세력(촌주)

몰각한 중앙귀족(진골, 6두품)

군진세력,해상세력,농민세력

승탑과 탑비의 유행(부도미술의 발달)

중국문화에 대한 이해 폭을 넓힘

한문학의 발달

지방문화의 역량 증대

 

 

 

'한국사 > 분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출 지문 정리 1 - 선사시대~고대국가  (0) 2019.03.17
우리나라 역사 편찬 과정 요약  (0) 2019.03.17
조선시대 농서  (0) 2019.01.01
조선시대 지리서, 백과사전  (0) 2019.01.01
조선시대 의학서적  (0) 2019.01.01

농사직설

세종

정초

-현존 최고 농서

-우리 실정에 맞게 수록하여 지방 권농관의 지침서

-모내기법(이앙법)이 소개되었지만 직파법 권장

사시찬요

세조

강희맹

계절에 따른 토지관리 및 농산물 파종법 기술

금양잡록

성종

 

-경기도 금양지방 농민 경험담 토대로 저술

-농시직설에 없는 내용만 수록함을 원칙

-강희맹이 직접 농사지은 경험을 토대로 작성

-경기도에서 21종의 벼품종 재배

양화소록

세조

강희안

원예 전문서적

농산축목서

신숙주

농산, 목축에 관한 농업 서적

농사언해

중종

김안국

농업서적을 한글로 정리한 것

잠서언해

 

 

잠서를 한글로 해석한 농사서

구황촬요

명종

이택 건의

-기근에 대비한 농업서적

-잡곡, 도토리, 나무껍질을 먹는 방법 제시

농가집성

인조~효종

신속

-농사직설 + 사시찬요 + 금양잡록 합쳐 간행(조선시대 농서 집대성)

-이앙법 보급에 기여

색경

숙종

박세당

-농가집성 비판

-과수, 축산, 원예, 수리, 기후 등에 중점을 둔 중농학자 농서

산림경제

 

홍만선

농업, 임업, 축산, 양잠 등에 관한 농업소백과사전

과농소초

정조

박지원

-한전법 제시

-농사직설, 금양잡록, 산리경제 등과 중국의 제민요술 등 농서를 당시 입장에서 종합 비판

증보산림경제

영조

유중림

산립경제 증보하여 간행산 농사요약서

임원경제지

순조

서유구

-임원십육지라고도 함

-농업기술과 산업전반에 관한 백과사전(농업대백과사전)

 

구분

농서

농업제도

조선전기 15세기

-정초 농사직설

-강희맹 사시찬요, 금양잡록

-농종법()

-직파법() : 물사리(수경법), 건사리(건경법)

-이앙법 등장

조선중기 16세기

-신속 농가집성

-박세당 색경

-이앙법 보급

조선후기

-18세기 홍만선 삼림경제, 박지원 과농소초

-19세기 서유구 임원경제지, 정병하 농정촬요

-견종법 발달

-이앙법 확대

=> 광작 유행(농민 계층 분화)


'한국사 > 분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나라 역사 편찬 과정 요약  (0) 2019.03.17
고대의 불교 - 교종, 선종  (0) 2019.03.17
조선시대 지리서, 백과사전  (0) 2019.01.01
조선시대 의학서적  (0) 2019.01.01
조선시대 역사서  (0) 2019.01.01

조선전기 - 행정적, 군사적 목적 / 백성 통치 방편으로 활용 / 중앙집권, 부국강병 강화되며 전국 각지 자연 및 인문지리에 대한 조사가 깊어짐

제목

완성

내용

혼일강리역대지도

태종

-세계지도

-아리비아지도학 + 원나라세계지도 + 한반도 지도 + 일본지도 참고

-불균형 : 중국과 우리나라 크게 그림, 아메리카는 빠져있음

-원본은 없고 모사본이 규장각에 있음

-진취적 세계관

팔도도

세종

정척에 의해 새로 편입된 북방영토 실측, 정밀제작

신찬팔도지리지

-조선왕조 최초 지리서

-세종실록지리지에 수록

세종실록지리지

단종

-신찬팔도지리지를 축소하여 세종실록 부록으로 삽입

-각지방 연혁, 인물, 고적, 토지, 호구, 성씨, 군사교통, 정치에 필요한 지식 수록

동국지도

세조

-정척~양성지에 의해 도,,,,현별로 실측지도 모아 제작(처음)

-만주를 미수복지구로 생각하던 국토관념 반영(만리의 나라)

-전국을 오방색으로 칠해 국토를 오행사상으로 바라봄

해동제국기

성종

일본, 유구지방 인문지리를 신숙주가 기행문형식으로 기록

팔도지리지, 부전

-실록 지리지 미비점 보완위해 왕명에 의해 작성

동국여지승람, 부전

-팔도지리지동문선에서 뽑은 시문을 합하여 간행

-신찬동국여지승람이 전함

-훈신들이 편찬하여 부국강병 추구, 우리나라를 만리대국으로 보는 시각이 담겨있음

->사림이 편찬한 시각(압록강 이남 영토관, 행정적 편의)과 다름

신증동국여지승람

중종

동국여지승람을 증보한 것으로 현존

조선방역지도

명종

동쪽 울릉도 모습은 보이지 않으나 만주와 대마도를 우리 영토로 표기

조선후기 - 경제적, 문화적 목적 / 농민 현실 개선 목적으로 보다 다양, 정밀 제작 /

왜란, 호란 이후 국방에 대한 관심이 커지며, 국가사업으로 많은 국방지도가 제작, 비변사가 관리

동국지리지

한백겸

-고조선~고려까지의 역사지리서, 삼한 위치 고증

-고대 지명 새롭게 고증

-고구려 발상지가 평안도라는 통설을 깨고 만주지역이라는 것을 처음으로 고증

강계고

신경준

(영조)

한백겸 역사지리연구 계승 발전시킨 역사지리 전문서, 각지 교통로 경계 규명

여지고

동국문헌비고에서 우리나라 지리를 정리

산수경

도로고

산경표

-우리나라 산, , 도로 등을 정리->국방, 경제, 행정상 큰 도움

-풍수지리에 입각하여 정리, 오늘날 산맥체계와 매우 다름,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한 정맥으로 산맥 표시

해동역사지리고

한진서

한치윤 해동역사속편으로 서술한 역사지리서

요계관방도

이이명

10폭의 병풍, 북방, 만주, 만리장성 등 중국 군사요새지가 자세히 그려짐

아방강역고

정약용

-지역별로 소개한 역사지리서, 발해 중심지가 백두산 동쪽에 있다는 것 입증, 백제 첫 도읍이 서울이라는 것 입증

지승

허목

-17세기 중엽 우리나라를 중국과 다른 인문지리적 특성 설명, 풍토가 인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독특한 관점 제시

동국여지지

유형원

반계수록에 반영된 개혁안 실천위한 보조자료로 군현 등 각 지방 인문지리를 총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자료집

택리지(팔역지)

이중환

-영조때 사람이 살만한 곳의 정치, 경제, 풍속을 서술/ 각 지방 자연환경, 인물, 풍속, 인습, 고사 등 흥미있게 서술

-자연, 인간생활 관계를 인과적 이해 / 노론집권층에 대한 비판적 시각

여지도서

홍문관

처음으로 군현별로 채색 읍지도 첨부

동국지도

정상기

-백리척 축척법 사용, 백두산(머리)을 기점으로 백두대간(척추)을 강조, 국토를 인체로 인식하는 전통적 지리관

대동여지도

김정호

-전국을 답사하며 정밀(10리마다 눈금표시)하게 표시, 산업, 군사지도적 성격, 정상기 지도제작(축척법)에 영향 받음

-목판으로 대량 인쇄보급하여 지도 대중화에 성공

대동지지

-동국여지승람 차고 정정 보완위한 지지 / 청구도, 대동여지도 실제 답사&고증이 책으로 엮임

-단군, 기자, 위만조선, 한사군, 가야, 남북국, 후삼국 시대 등 기록

청구도

정상기 동국지도에 큰 영향 받음

대동운부군옥

권문해

선조. 역사적 사실을 문자순으로 배열 / 단군 이래 지리, 인물, 역사, 문학, 동식물 등 수록한 어휘백과사전

지봉유설

이수광

-대동운부군옥과 함께 유서(백과사전) 효시

-우리나라 전통문화수준이 중국과 대등함, 4군이 조선땅의 일부, 한반도 고대 지명이 만주에 조재함을 고증(만주지역에 대한 관심 환기)

-천문, 지리, 유교, 식물 등과 함께 한국 사회, 정치 등에 대한 역사의식 피력

유원총보

김육

인조. 중국서적 참고하여 편찬한 백과사전

성호사설

이익

영조. 지봉유설과 비슷하게 저술한 것, 삼한정통론등 높은 역사의식

동국문헌비고

홍봉한

영조. 최초의 한국학 백과전서(우리나라 관련된 것만) * 정조 : 증보문헌비고

청장관전서

이덕무

정조. 백과전서

오주연문장전산고

이규경

헌종. 학문 전분야에 걸치 사실들에 대해 변증설이라는 형식으로 고증학적 해설

동문휘고

정창순

정조. 조선시대 외교관계문헌 수집, 정리

만기요람

심상규

순조. 조선 후기 재용편(전제, 세제, 조운 등)과 군용편(5, 진법, 봉수 등)으로 만든 편람용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