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요약 표>

 

시기

중요 사건

1940년대

평남 건준위 결성(45. 8)

신의주 반공 학생 의거(45. 11)

북조선 임시 인민 위원회 발족(46. 2)

남녀평등법(46. 7)

북한 노동당 창당(46. 8)

인민군 창군(48. 2)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수립(48. 9)

소련군 평양 사령부 설치(45. 8)

소련파 숙청(45. 11)

토지 개혁(46. 3): 우리(49.6)보다 빠르다는 점 주의

중요 산업 국유화(46. 8)

북한 화폐 개혁(47. 12)

김구의 남북 협상안 수락(48. 3)

소련군 철수(48. 9)

1950년대

한국 전쟁(50. 6)

박헌영 숙청(52. 12 ⇨ 사형 판결 55. 12)

8월 종파 사건(56. 8)

천리마 운동(58. 3)

남한에 대한 토지 개혁(50. 7)

주체사상 최초로 제기(55. 12)

김두봉 축출(57. 5)

노동 적위대 창설(59. 1)

1960년대

정당/사회 단체 연석회의 구성 제의(60. 4)

북한/소련 간 우호협력 및 상호원조 조약 체결(61. 7)

4대 군사 노선 채택(62. 12)

남로당갑산파 숙청(67. 3)

미정보함 플르 나포(68. 1)

주체사상의 유일 사상화(69)

∙「조선말 사전출간(60. 8)

소련 비판(현대 수정주의, 62. 10)

이라크와 수교(67. 1)

김일성 10대 정강 발표(67. 12)

통혁당 창설(69. 8)

 

1970년대

남북 공동 성명(72. 4)

북한 사회주의 헌법 국가 주석제 신설(72. 12)

유네스코 가입(74. 10)

이후락 정보부장 김일성 면담(72. 5)

평양 지하철 개통(73. 9)

200해리 경제 수역 선포(77. 7)

1980년대

온 사회의 주체사상화(80. 10)
주체사상탑 개막(82. 4)

합영법(84)

서울 올림픽 불참 발표(88. 1)

김일성문익환 목사 면담(89. 3)

김정일 후계자 공인(80. 10)

부주석 김일 사망(84. 3)

핵 확산 금지조약(NPT) 가입(85)

남북 국회 연석회의 제의(88. 7)

 

1990년대

청년 학생 축전(91. 8)

IAEA 핵 안전 협정 서명(92. 1)

NPT 탈퇴(93. 3)

김일성 사망(94. 7)

미국과 직통 전화 개통(95. 4)

한반도 비핵화에 관한 공동 선언(91)

합작법(92)

김정일을 국방 위원장에 추대(93. 4)

단군릉 준공(94. 10)

김정일의 승계 공식 선언(97. 10)

 



. 통일을 위한 노력



1. 적극 외교의 추진


1960년대


일 협정(일 국교 정상화, 한일기본조약, 65.6)

㉠ 평가

가. 긍정: 한일 관계에 새로운 협력 체제를 이룩하였다.

나. 부정: 그러나 배상금을 경제 개발 자금으로 활용하기 위해 체결한 굴욕 외교라 하여 반대(63 사건)도 있었다.

4개의 부속 협정: 어업 협정, 제일 교포의 법적 지위 및 대우 협정, 재산 및 청구권 문제 해결과 경제 협력 협정, 문화재 및 문화 협력 협정.


베트남 파병(1965): 

ㄱ. 미군은 한국군의 추가 파병에 대한 보상 조치로 브라운 각서(66) 마련.

ㄴ. 브라운 각서는 국군의 장비 현대화와 물자 수출 요구 등을 내용으로 한다.


미 행정 협정 체결(1966): SOFA.

 

1970년대: 비동맹 국가들과의 교섭

1980년대

● 88년 이후 노태우 정권 때 많은 외교적 노력이 있었다. 

● 예를 들어 올림픽 개최(88), 북방 정책을 추진하여 헝가리, 폴란드 등 동유럽 공산권 국가들과도 수교(1989) 등이 있다.

1990년대

● 90년대 초 역시 노태우 정권 때 외교 관계가 많이 맺어짐

● 1990년에는 소련과 국교, 1991년에는 남북한이 유엔에 동시 가입, 1992년에는 중국과 국교

 





2. 북한의 변화


1950년대 상황

정치

독재 기반 강화: 김일성은 그에 따르지 않는 세력등을 숙청하여 1인 독재의 기반을 강화.

내용

남로당 제거: 김일성은 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패전의 책임을 물어 남로당을 비롯한 국내파 공산 주의자들을 제거

연안파 제거: 19568월 노동당 중앙 전원 회의에서 독재 체제를 비판(8월 종파 사건)연안파 공산주의자들도 숙청


한국전쟁 중

19531955

19551958

1967

무정허가이 숙청

남로당계 숙청

(박헌영, 이승엽)

연안파 제거

(최창익, 김두봉 등)

소련파 제거

(박창옥, 이상조 등)

갑산계 숙청

(박금철, 이효순)


경제

목표: 북한은 전후 복구와 자립적 민족 경제 확립을 목표로 하였다.

정책: 소련과 중국의 원조를 받아 중공업과 경공업의 병진 정책을 추진.

천리마 운동: 참여를 독려하기 위하여 전개, 중공업 우선시 하였다. 또한 농업과 상업 분야에서도 협동화를 통하 여 한동안 생산력의 증대를 가져왔다.

3대 혁명 운동: 새로운 사상기술문화를 창조하자는 운동.

 


1960년대 상황

정치: 김일성 유일 지배 체제가 구축, 김일성을 추종하는 강경파가 권력을 독점.

군사: 4대 노선

ㄱ. 배경: 한일 안보 체제 구축과 국제 정세의 악화로 위기에 놓인 북한

ㄴ. 행동: 국방 건설을 위하여 이른바 4대 노선을 채택(전 인민의 무장화, 전 국토의 요새화, 전군의 간부화, 전군의 현대화)

주체 노선 강조

목적: 김일성과 노동당의 독재 강화.

내용: 정치의 자주, 경제의 자립, 국방의 자위.

대남 정책

표면적: 평화적인 남북 연방제 통일 방안.

내면적: 남한에 통일 혁명당을 조직하여 내부 혁명을 부추겼으며, 무장 군인을 남파하여 무력 도발.

 


1970년대 전후 상황

실무형 관료혁명 2세대 등장

ㄱ. 노선 완화: 강경 노선이 완화되고, 실무형 관료와 혁명 2세대가 등장

ㄴ. 친인척 장악: 김정일을 비롯한 김일성의 친인척이 권력의 핵심 장악.

주석제 신설과 후계자 공인

74 남북 공동 성명을 계기로 권력을 주석에게 몰아 주는 사회주의 헌법으로 개정(1972. 12)하여 국가 주석이라는 새 지위를 차지하고, 김정일을 김일성의 후계자로 공인.

 


1980~1990년대

정치

후계 체제 확립

권력 승계

김정일은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에 취임(1990), 조선인민군 사령관에 추대(1991), 국방위원회 위원장에 취임하였고(1993), 김일성이 사망한 뒤 권력 승계.

제네바 기본 합의서(1994): 미 관계 정상화 추진을 위해 스위스 제네바에서 한반도 핵문제의 전반적 해결을 위하여 이루어진 합의서.

경제

경제의 침체: 1970년대에 전반적으로 침체.

경제 특구

김일성은 중국의 경제 특구 전략을 부분적으로 모방하였다. 제한적 경제 개방 정책으로 나진/선봉 자유 무역 지대 설치를 공포하였다(1991).

합영법과 합작법 제정

배경

가. 계획경제: 북한은 철저한 계획 경제와 지나친 자립 경제 정책으로 경제 발전이 둔화

나. 국방비: 또한 과다한 국방비 지출로 투자 자본의 확보가 어려웠다.

내용

중국의 개방 정책을 부분적으로 원용하여 외국인 투자 유치를 위한 합영법과 합작법을 제정하였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한 편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