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경제사 간단요약 표>
1950년 | 농지 개혁 실시 |
1953년 | 제1차 화폐 개혁 |
1962년 | 제2차 화폐 개혁, 제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시작(SOC 시작) |
1965년 | 한․일 협정 조인 |
1970년 | 경부 고속 국도 개통, 새마을 운동 시작 |
1973년 | 제1차 석유 파동(아랍 산유 6개국 원유가 인상) |
1977년 | 수출 100억 달러 달성 |
1979년 | 제2차 석유 파동(석유 수출 기구 원유가 평균 59% 인상) |
1993년 | 금융 실명제 실시(김영삼 정부), 쌀 개방 관련 담화 |
1995년 | WTO 체제 출범, 수출 1,000억 달러 돌파 |
1996년 | OECD 가입 |
1997년 | IMF 구제금융 신청 |
2001년 | IMF 위기 탈피, WTO 뉴라운드 출범 |
Ⅷ. 경제 발전을 위한 노력
1. 광복 직후의 경제 혼란
⑴ 일제하의 경제
⑵ 광복 후 경제 혼란
① 미군정기의 경제적 어려움: 높은 인플레이션, 원자재와 소비재 부족, 식량 부족 등.
② 미군정과의 갈등
㉠ 소작료 인하 요구:
미군정은 일본이 가지고 있던 토지를 비롯한 재산을 인수하여 산하 기관인 신한 공사에서 관리.
소작료를 1/3로 낮추고, 지주가 일방적으로 소작 계약을 깨뜨리지 못하게 하는 등 부분적으로 농민의 요구 수용.
그러나 소작료의 추가 인하와 금납제를 요구하는 농민들과 갈등이 커져 갔다.
㉡ 10․1 대구 봉기: 1946년 9월에는 철도 노동자들의 총파업이 대구 등 여러 곳의 민중 봉기로 이어 졌다.
③ 자원과 시설 부족
⑶ 경제 회복을 위한 노력
① 제1공화국의 경제 정책 기본 방향: 농공 균형 발전, 소작제 철폐, 기업활동 자유, 사회 보장 제조, 인플레이션 극복 등.
② 경제 안정 시책 추진: 일본인들이 소유했던 공장을 민간인에게 불하(46년 2월부터)하여 산업 자본의 형성이나 신흥 재벌 형성의 계기가 되었다.
③ 농지 개혁법(1949. 6)
㉠ 목적: 농민생활의 향상과 국민경제의 균형 발전을 위해 경자유전의 원칙 하에 실시.
㉡ 방법: 이 법은 이듬해에 일부 수정되어 실시되었는데, 산림과 임야를 제외한 3정보 이상의 농지를 가진 부재지주의 농지를 국가에서 유상 매입하고 영세 농민에게 3정보를 한도로 유상 분배 하여 5년간 수확량의 30%씩을 상환토록 하였다.
㉢ 결과: 소작농이었던 농민들이 자기 농토를 가질 수 있게 되었고, 산업자본주의 형성에 기여하였다. 또한 지주계급은 소멸되고, 농업은 자본주의 경제체제 안에 포섭되었다.
㉣ 의의: 6․25 전쟁이 일어나기 직전에 농지개혁이 이루어져 남한의 공산화 방지에 일조.
㉤ 한계
ⓐ 소작농의 부담 가중: 개혁 이전에 지주계층은 소작인에게 자기들의 토지를 강매.
ⓑ 농지개혁 기간의 연장: 한국전쟁 발발로 기간의 연장이 불가피.
- 연장이 왜 한계냐면, 이렇게 시간을 질질 끌게 되면 지주들이 법의 변화로 인해 불리한 점들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있게 되므로, 사실상 그 부담이 소작인들에게 전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개혁 이전에 소작인에게 강매했다는 그런 점 등)
ⓒ 신흥지주계층과 소작제의 부활 현상: 지주계층의 사전 강매에 따른 경제적 부담과 유상분배에 따른 빈농의 곤란으로 자기소유 농지를 되팔게 되었고 부농이 이를 겸병하는 현상 발생.
ⓓ 산림과 임야의 제외: 농지만을 대상.
ⓔ 지주의 개혁대상 제외: 3정보 이상의 땅도 지주들이 매각하여서 개혁 대상에서 제외.
| 남한 | 북한 |
개혁안 | 농지 개혁법(산림, 임야 제외) | 토지 개혁법(전 토지) |
법령 공포 | 1949년 6월(1950년 3월 개정) - 기출: 신한공사랑 아무런 관련 없다. 신한공사는 46.2~48.3까지 존속했다. | 1946년 3월 - 기출: 우리보다 먼저니까, 우리가 이에 영향을 미쳤다고 하면 틀린다. |
원칙 | 유상 매입, 유상 분배 - 기출: 좌우합작 7원칙(46.10) 때 보면 "몰수, 유조건 몰수" 이런 문구가 있는데, 이거랑 헷갈리면 안 된다. | 무상 몰수, 무상 분배 |
토지 상한선 | 3정보 | 5정보 |
2. 경제 발전
⑴ 한국 전쟁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
① 생산 시설의 파괴: 남한은 생산 시설의 42%가 파괴. 특히 경인 지방에 밀집되어 있던 섬유 공업과 인 쇄 공업 분야가 격심.
② 물가 폭등과 물자 부족
⑵ 1950년대 후반 경제 복구 사업
① 경제 복구 사업의 본격화
㉠ 삼백 산업: 1950년대(이승만 정권)에 제분(밀가루), 제당(설탕), 섬유 공업(면방직)이 성장한다.
- 기출: 52년~58년(이승만 정권)에는 미국이 "무상 원조"를 했고, 60년대 박정희 정권 때부터는 "유상 차관"을 들여오게 된다.
- 기출: 면방직, 설탕, 밀가루 등의 "3개의 하얀색" 소비재 산업을 "삼백"산업이라 한다.
② 취약한 경제 구조
㉠ 수입에 의존: 소비재 산업은 성장, 생산재 산업은 발전하지 못함. 생산재에서 원료까지 수입에 의존.
㉡ 미복구와 원조 감소: 농업 분야의 복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원조가 줄어들면서 어려움을 겪음.
⑶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의 추진
① 경제 개발 계획의 수립 과정
㉠ 최초 계획: 제1공화국 하에서 작성된 7개년 계획.
㉡ 수정: 제2공화국에 의해 5개년 계획안으로 수정.
- 기출: "5개년" 계획의 최초 "제안"은 2공화국 장면내각이다.
- 기출: 5개년 계획의 "실시(62년~66년)"는 박정희 정권 때이고, 그 중에서도 군정(61.5~63.10) 때 시작됐다.
㉢ 본격적 실시: 5․16 군사 정변 후 군사 정부에 의해 재수정되어 1962년부터 실천.
② 경제 개발 계획의 추진 과정
㉠ 1960년대: 제 1․2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에서는 기간 산업의 육성과 경공업 신장에 주력.
㉡ 1970년대: 제 3․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에서는 중화학 공업의 육성과 광공업 비중이 증가.
제1차 | 1962~1966 | 경제 자립 달성을 위한 공업화 기반 구축 군정~제3공화국 |
제2차 | 1967~1971 | SOC를 시작하긴 했는데, 아직 경공업이 대세이다. 중화학 공업은 아직 시작 안 했다. 제3공화국 시절 때의 일이다. |
제3차 | 1972~1976 | 중화학 공업 중점 개발 10월 유신 직전이라 볼 수 있다. 72년 1월에 실시했으니. |
제4차 | 1977~1981 | 국민 경제의 균형과 조화, 복지 사회 건설 제4공화국 때의 일이다. |
제5차 | 1982~1986 | 경제 안정 기반 정착, 국민 복지 증진 |
제6차 | 1987~1991 | 능률과 형평을 토대로 한 경제 선진화 달성 |
제7차 | 1992~1996 | 경제의 선진화와 통일에 대비한 경제의 내실화 및 효율화 추구 |
③ 성과
㉠ 사회 간접 시설의 확충.
㉡ 간척 사업이 진행되고 작물의 품종 개량이 이루어져 식량 생산도 증대.
㉢ 1962~1981년 사이에 수출이 비약적으로 증가.
- 기출: 77년에 100억달러 달성한다.
㉣ 국내 자본의 축적이 이루어져 외국 자본에 의존하던 자본 구조가 어느 정도 개선.
④ 폐단: 소수의 재벌. 산읍의 수출 의존도 심화.
⑤ 1980년대 중반 이후(전두환 정권): 3저 호황으로 물가가 안정되고 수출이 크게 늘어나 무역 수지가 흑자로 돌아섰으나, 전체 경제의 외국 의존도는 더욱 증가.
⑥ 경제 개발 계획의 문제점: 국민 간의 소득 격차, 정부 주도형의 경제 체제 등.
Ⅸ. 현대 사회의 변화
2. 산업화와 도시화
⑵ 농촌 문제
② 새마을 운동: 1970년대에 제창되어 근면, 자조, 협동을 기본 정신으로 삼음.
4. 노동 운동
⑶ 정부의 통제와 노동 운동의 활성화
① 정부의 통제: 1980년대 중반기 이전만 해도 노동자의 단체 교섭권과 단체 행동권을 크게 재한.
② 노동 운동의 활성화: 1987년 이후 정치적인 민주화와 함께 노동 운동도 활성화. (87년 6.29 민주화 선언 이후)
국민 연금법 | 1986년 | 국민의 노령 또는 폐질, 사망에 대하여 연금 급여를 실시. |
의료 보험 제도 확대 | 1989년 | 전 국민을 대상으로 국민 의료 보험 제도 실시. |
고용 보험 제도 | 1995년 | 실직자가 다시 취업할 때까지 생계를 보장. |
국민 연금 제도 | 1998년 |
|
국민 건강 보험법 | 1999년 | 국민의 질병, 부상에 대한 예방, 진단, 치료 재활과 출산, 사망 및 건강 증진에 대하여 보험 급여 실시 |
남녀 차별 금지 및 구제에 관한 법률 | 1999년 |
|
국민 기초 생활 보장법 | 1999년 | 최소한의 기초 생활 보장 |
'한국사 > 현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대사 정권별 연표 요약 (0) | 2019.03.17 |
---|---|
현대사 연표 핵심 흐름만 간단 요약 (0) | 2018.12.23 |
현대사 13 - 통일정책: 7.4남북공동성명, 남북기본합의서, 남북공동선언 등 (0) | 2018.11.11 |
현대사 12 - 우리나라의 국제 외교, 북한의 전반적 변화 요약 (0) | 2018.11.11 |
현대사 11 - 제5공화국, 노태우 정부, 문민정부, 국민의 정부 요약 (0) | 2018.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