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관적 측면
개념 : 과거에 있었던 사실
개념 : 사실로서의 역사
성격 : 바닷가의 모래알과 같이 수많은 과거 사건들의 집합체
랑케(L.Ranke) : 오직 역사적 사실로 하여금 이야기하게 해야 한다
주관적 측면
개념 : 조사되어 기록된 과거, 기록으로서의 역사
특징 : 우리가 역사를 배운다는 것
카(E. H. Carr) : 역사는 역사가와 사실이 상호작용하는 끊임없는 대화이다.
선사시대의 문화 (P10~
우리 민족의 형성
: 신석기에서 청동기시대를 거치면서
동방문화권의 형성
신석기 ~ 청동기의 과도기 : 민족의 형성
※ 몽고족, 여진족, 부여족, 에스키모, 예맥족, 일본은 우리민족의 계통이다.
(한족(韓族)은 우리민족의 계통이지만, 한족(漢族)은 우리민족과 다른 민족이다)
일반적으로 시험에 문제가 나오면 한자까지 나오면 좋지만, 한족이라고 그냥 나오는데... 우리 계통이
아닌 것을 고르면 한족이 답이 된다.)
구석기 시대 (P12~
전기
특징 : 큰 석기 한 개를 가지고 여러 가지 용도로 사용하였다
대표적 유적
(평남) 상원 검은모루 동굴
(경기) 연천 전곡리
(충남) 공주 석장리
- 전기 구석기에서 후기 구석기까지 계속되었다
- 주먹도끼, 주먹괭이, 불땐자리, 막집 등을 발굴되었다.
중기
특징 : 큰 몸돌에서 떼어 낸 격자모양
후기
특징 : 쐐기 같은 것을 대고 형태가 같은 여러 개의 돌날격지를 만들었음
◉ 생활
경제생활
사냥, 채집, 고기잡이 : 농경법을 알지 못하였기 때문에, 이동생활
사용도구 : 뗀석기, 뼈도구
주거생활
위치 : 동굴, 바위그늘, 막집 (동물의 습격이나 추위를 막기 위해)
주거지
특징 : 후기의 막집터에는 기둥자리, 담자리 및 불 땐 자리
(담자리 : 항상 이동 생활이 아니라 몇 달 동안 있을 수도 있으니까)
유적 : 상원의 검은모루 동굴, 제천 창내, 공주 석장리
※ 동굴이 나오면 무조건 구석기 시대와 관계
사회생활 : 가족단위의 무리사회 ⇨ 지도자는 있으나 지배자가 없는 평등상회
예술활동
- 주술적 의미의 예술활동
의의 : 예술과 종교의 밀접
유적지 : 공주 석장리, 단양 수양개
결과 : 시체의 매장
중석기 시대
사용도구
- 잔석기 : 이음도구 (톱, 활, 창, 작살 등)
유적
- 남한 : 통영 상노대도, 홍천 하화계리
신석기 시대
- 기원전 8000년경부터 (B.C 8000)
경제 채집
자연경제의 발달
사냥, 채집, 고기잡이(어로) - “그물의 이용”
[전(구석기) 시대보다는 비중이 낮음]
직조기술의 시작(발달)
유물 : 가락바퀴, 뼈바늘
가축의 사육(목축) → 청동기(증대) → 철기(삼한) : 가축을 농경에 이용 (우경의 실시)
농경의 시작 (말기)
재배작물 : 조, 수수, 피
유적지 : 봉산지탑리, 평양남경
농기구
간석기 - 돌보습, 돌괭이, 돌삽
- 갈돌, 갈판
→ 농기구가 아니라 단지 간석기라서
목기
토기의 제작
이른 민무늬 토기 : 최초 → 청동기 : 민무늬 토기
덧무늬 토기 → 철기 : 덧띠 토기
눌러 찍기문 토기 (압인문 토기)
빗살무늬 토기
- 대표적
- 북방계통
정착생활 : 바닷가, 강가의 움집 → 청동기 : 구릉, 산간의 움집, 지상가옥
↓ ↓
① 원형, 모서리가 둥근 네모꼴 ① 직사각형
② 화덕이 중앙에 위치 ② 화덕이 한쪽벽에 위치
③ 주축돌의 사용
종교(신앙생활) : 삼국시대 불교수용된 이후에도 계속됨
애니미즘 : 태양, 물
샤머니즘 : 단군, 천군, 차차웅으로 계승
조개더미
의의 : 해안지대의 조개무지로 당시의 생활상을 살펴볼수 있다.
시기별
신석기 시대
웅기 서포항
난방시설
태양숭배, 사후세계
정착생활
청동기시대 : 극히 일부 (대량발견, 발견되지 않는다라는 말이 나오면 틀림)
철기시대 : 많이 발견
성산 : 철이 수출 (변한 : 철의 수출)
김해 : 중국과의 교류, 벼농사의 발달
혈연을 바탕으로 하는 씨족 중심의 부족사회 → 청동기 : 지연중심의 읍락사회
↓
씨족사회 (신석기)의 성격, 전통 → 계승, 발전 (확대×)
1)족외혼(족내혼×) → 동예 : 족외혼
2)폐쇄적 독립사회 → 동예 : 책화(침범하면 경제적으로 배상)
(사회적 교류는 있으나, 경제적 교류는 없다)
3)모계사회 → 고구려 : 서옥제(데릴사위제)
(고구려는 부계사회인데 데릴사위제만 모계사회의 성격을 띰)
※골품제도(×)
4)평등사회 → 신라 : 화랑도(진골~평민)
5)중대한 사건의 회의에서 결정 → 신라 : 화백회의
→ 씨족장은 절대권이 없음
6)공동생산, 공동분배 → 삼한 : 두레
(삼한은 사유재산이 있지만, 두레만 공동의 성격)
국가의 형성 (P26~
※ 1.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 (올해 법원직에 나왔음! 알아둬!)
고인돌 유적지(강화, 고창, 화순)
불국사와 석굴암
경주 역사 유적 지구
해인사의 팔만대장경(재조대장경)과 장경판전
창덕궁
종묘
수원 화성
2.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기록유산
① 직지심체요절
② 승정원일기
③ 조선왕조실록
④ 훈민정음
청동기시대와 철기시대의 비교
|
청동기(B.C 15c ~ 10c) |
→ |
철기(B.C 4c) : 청동기 문화와 함께 발전 |
|
1. |
계통 |
북방계통(시베리아, 몽고), 자생설 |
|
중국계통(중국과 교류가 활발), 자생설 |
|
|
① 아연의 합금(중국계통은 주석의 합금) ② 거친무늬거울, 동물 문양의 장식 ③ 비파형동검 -고인돌(북방식)과 함께 고조선의 영역과 일치 -미송리식토기와 함께 한반도와 만주가 같은 문화권 -비파형동검, 미송리식토기, 고인돌, 거친무늬거울 이 4가지는 고조선(거의일치)의 유물로서 봄 |
|
① 널무덤 - 철기 문화의 시작을 알수 있음 - 청동기와 철기의 복합 ② 붓 : 한반도 남부에서도 한문의 사용 ③ 명도전, 반량전, 오수전, 왕망전등 (김해 조개더미도 됨) |
|
|
|
|
|
2. |
청동의 사용 |
무기, 제기, 장신구 (지배층이 사용) |
|
의식용 도구 (의기화) |
|
|
※ 청동제품은 보편화되지 않음 (일상생활에서는 목기, 석기의 사용) |
→ |
〃 |
|
|
|
|
|
3. |
무기 |
비파형동검 (중국요령지방 ~ 한반도 전역) |
→ |
세형동검 (한국식 동검) |
|
|
유물(틀) : 거푸집 (청동제품을 직접제작) |
|
유물(틀) : 거푸집 |
|
|
|
|
|
4. |
장신구 |
거친무늬거울 |
→ |
잔무늬거울 |
|
|
|
|
|
5. |
경제 |
① 가축의 사유증대 |
|
① 철의 수출 (변한) - 성산 조개더미 |
|
|
② 농업의 발달 (전업화) ㉠ 재배작물 ⓐ 조, 피, 수수 (처음으로 신석기이며 계속되어오고있음) ⓑ 보리, 콩, 벼(시작) - 일부 저습지 - 여주 흔암리, 부여 송국리 ㉡ 청동제(금속제) 농기구가 없음 (왜냐? 지배계층이 썼음) ⓐ 간석기의 다양화 - 반달돌칼 (무기×, 추수용) - 홍자귀, 바퀴날도끼 ⓑ 목기 ㉢ 토기의 제작 ⓐ 민무늬토기 : 대표적 ⓑ 미송리식토기 : 양쪽에 손잡이가 있음 ⓒ 붉은 간토기 ㉣ 집단적 취락의 형성(읍락사회) : 구릉이나 산간의 움집, 지상가옥
|
|
② 농업의 발달 ㉠ 가축을 밭갈이(농경)에 이용 - 우경의 실시 ㉡ 벼농사의 발달 (수전농업의 시작) - 밭농사 × ※ 저수지의 축조 (삼한) - 벽골제 - 의림지 - 수산제 ㉢ 청동제 농기구가 없음 (왜냐? 지배층이 썼음) ⓐ 철제(금속제) 농기구의 사용 → 농업 생산량의 증가 (지배, 피지배층이 같이 사용) ⓑ 간석기, 목기의 사용 ㉣ 토기의 제작 ⓐ 민무늬토기 : 청동기에서 철기까지 이어짐 ⓑ 붉은 간토기 ⓒ 검은 간토기 ⓓ 덧띠 토기 |
|
|
|
|
|
6. |
정치 |
계층의 발생 |
|
무덤 ① 고인돌 ② 널무덤, 독무덤
국가 ① 군장국가 ② 연맹왕국 |
|
|
① 원인 : 농경의 발달에 의한 잉여 생산물의 발생, 분배 → 빈부의 차이 (사유재산의 발생) ② 구분 ㉠ 지배층 : 선민사상의 대두 거석문화 - 선돌 : 거석 숭배를 알수 있음 - 고인돌 : 계급발생과 경제력의 성장을 알수 있음 ㉡ 피지배층 ③ 결과 ㉠ 정복전쟁의 전개 → 군장국가의 출현 ㉡ 전문장인의 등장 ㉢ 남녀 분업의 발생 |
|
|
|
|
|
|
|
7. |
예술 |
① 의의 : 예술과 종교의 밀접 |
|
|
|
|
② 대표적 - 바위그림 : 태양숭배 - 토제품 - 청동제품 |
|
|
'한국사 > 선사~초기국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조선, 삼국 초기 (0) | 2019.04.09 |
---|---|
구석기, 신석기, 청동기, 고조선, 군장국가, 연맹왕국 / 부여, 고구려, 옥저, 동예, 삼한 (0) | 2018.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