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조 이성계의 치적>

 

역대 중국왕조에서 이웃나라 왕이 즉위하면 이를 승인하는 절차인 <금인·고명문제>로 정도전을 불벌을 계획하기도 함

3대정책(사대교린, 억불숭유, 농본민생), 국호제정, 국도의 천도, 재상주도의 관료제 확립 (도평의사사중심), 의흥삼군부, 정도전의 보필(경제문감, 고려국사, 불씨잡변, 조선경국전, 심기이편)-경고불조심 , 고려의 구질서 유지

 

<태종의 치적>

 

고명, 금인의 문제가 해결됨, 1차왕자의 난(정종즉위), 2차왕자의 난(태종즉위), 왕권강화(사병혁파, 6조직계제실시), 양전사업, 공도정책(섬주민을 본토로 옮겨 살게 하는 정책), 사민정책, 호패법실시, ,,부곡을 제도상 폐지, 주자소 설치-계미자, 사섬서설치-저화발행, 한양재천도, 억불숭유책, 5부학당, 신문고, 악법(서얼차대법, 재가금지법)제정, 실록편찬, 속육전·원육전편찬, 무역소 설치, 거북선 건조, 사서편찬, 아악서 설치

 

<세조의 치적>

 

계유정란으로 집권, 사육신(성삼문, 이개, 박평년, 하위지, 유성원, 유응보)를 제거하면서 즉위, 이시애의 난(유향소 폐지, 중앙집권제 강화), 상평창부활, 과전법 폐지(직전법 실시), 팔방통보 발행, 불교장려, 양잠장려, 호적사업, 호패법, 인지의 발명, 경국대전 착수, 활자(을해자, 을유자), 5위도총부 설립하고 진관체제를 확립하여 군사제도 정비

유향소는 수령을 보좌 감시하며, 6방을 감찰하고 농민을 교화, 통제

향청은 수령이 임명, 농민을 통제, 수탈

유향소와 향청을 혼용하여 씀

경저리는 중앙과 지방의 연락, 영저리는 지방과 지방의 연락

 

<조선의 중앙관제와 관품>

 

이조-문관의 인사와 공훈·고과·공문

호조-호구·조세, 어염·광산·조운

예조-과거·제사·인사·학교

병조-무관의 인사·국방·우역

형조-법률·소송·노비·형옥

공조-파발·토목·건축·개간

 

삼관~예문관, 교서관, 홍문관

사관~예문관, 교서관, 승문원, 성균관

경연청(왕 강의), 서연청(세자 강의), 상서원(옥쇄관리)

 

업무분담기구~속사, 업무 지휘감독~속아문

이조의 속사-문선사, 고훈사, 고공사

이조의 속아문-상서원, 종부시, 사옹원, 내시부, 내수사

 

삼법사~한성부, 형조, 사헌부(업무지역에 제한 없음)

 

지방행정조직중 4부는 개성, 강화, 수원, 광주 이들은 비변사에 참석가능

개성, 강화는 종2품이고 수원, 강화는 정2

 

향도는 신라시대에는 불교적 신앙단체였으나 고려 전기는 대규모, 고려 후기는 소규모 모임이고 조선 전기는 향촌공동체, 후기는 신분제적 강제성을 약화하는 경향이됨

대가제는 정 3품 당하관이상, 서경권의 대상은 정5품 당하관이상인자

6품부터 수령

 

<조선의 과거제도>

 

수공업자, 상인, 무당, 노비, 서얼을 제외하고 양인이상이면 응시가능

고려 시대보다 좁음

식년시(3), 증광시(나라에 큰 경사), 별시(나라에 특별한 행사), 알성시(왕이 성균관의 문묘를 참배한 후에 실시), 백년시(시골 유학생의 학업권장)

부정기 시험이 더 많아서 인플레가 일어남

문관시험~생진과(소과)-백패를 줌, 초시에는 생원시, 진사시에서 각각700명을 선발하고, 복시에서 각각 100명씩을 선발, 200명이 선발됨

문과(대과)-홍패를 줌, 초시(100), 복시(33), 전시에는 등급만을 나눔

무관시험은 장원이 없고, 소과 대과의 구분이 없음, 초시(200), 복시(28), 병조에서 관장, 무과합격자를 선달이라 함

잡과는 양반의 서자와 중인계급의 자제가 응시

문음(2품이상의 자제), 하급관리 선발시험에 취과, 서리선발 시험에 이과 등

현량과는 초야에 은둔하고 있는 인재를 추천에 의함

과거제 폐지~1894년 갑오경장에 폐지

 

행수제~관직겸직시의 칭호 (어떤 사람이 자기 보다 낮은 관직을 받았을때 행을 붙이고, 자기보다 높은 관직의 일을 얻게되면 수를 붙임)

한품서용~기술관·서얼은 정 3품까지, 토관·향리는 정5품까지, 서리·기타는 정7품까지만 승진할 수 있는 것

 

<법률의 정비>

 

고조선의 8조법금 중 3조목만 전함(사형, 상해, 절도, 간음(추측))

부여는 4대금법, 고조선과 사형과 절도만 공통됨, 감옥이 있음

고구려는 감옥이 없음, 부여와 공통점은 절도(일책십이법)

백제는 고이왕때 율령제정, 신라는 법흥왕때 율령정비

고려때 일상생활과 관계되는 것은 대개 관습법을 따름, 형벌은 태, , , , 사 가 있고 강상죄는 연좌제, 형법은 당률을 참조하여 71개 조항으로 만듦

법전~조선경국전(태조)경제육전(태조)속육전(태종)정전(세종)경국대전(성종)속대전(영조)대전통편(정조)육전조례(고종)대전회통(고종)

 

조선의 담당관청은 삼법사(한성부-토지·가옥에 대한 소송, 형조, 사헌부)

노비는 장예원에서 담당

형법은 경국대전의 형정과 명의 대명률에 따르고 민법은 관습과 주자가례에 따름

경국대전은 행정법이 중심

 

<조선시대 세법의 변천>

 

손실답험법(태종 1401)~관리가 직접, 답사하여 측정, 공정을 잃기 쉬움

공법(세종 1430)~수년간의 수확고를 평균하여 부과, 답험손실법과 병용

전분6등법(수등이척법 세종 1444)~연분9등법, 전분6등법을 함께 시행, 전제상정소

영정법(인조 1635)~양척동일법시행, 1결당 4두씩

 

과전법(태조 전·현직관리, 1대원칙, 계구수전(1/10))직전법(세조)관수관급제(성종)직전법폐지녹봉제

고려시대에는 조·세가 구별이 없었고 조선시대에 조·세가 나타남

조는 농민이 관리에게 주는 것이고 세는 관리가 국가에게 바치는 것

 

 

 

 

<대동법>

 

상공과 별공, 진상이 있었으나 상공만이 대동법으로 변함

대동법의 실시 목적은 대납과 방납의 비리, 전후의 재정궁핍, 공물의 납부와 수송의 불편, 개선필요, 경저리등 지방관리의 방납의 폐시정 필요, 국가 수요품과 공물의 불일치

현물의 수급단위는 호 단위 였으나 토지 단위로 바뀜

대동법의 가장 큰 의의는 호단위에서 토지 단위로 바뀌었다는 것임

 

조광조의 주장이이의 대공수미법광해군때 이원익의 건의에 따라 경기도에서 처음 시행인조 강원도 시행효종 김육건의로 충청도·전라도 시행숙종 허적건의로 전국적 실시, 잉류(함경도·평안도 제외)

국가수입증대, 무전농민의 부담감소, 공인으로 인한 폐해커짐, 현물징수 사라지지 않음

 

<조선시대 수공업과 광업의 발달>

 

15C 관영수공업은 부역제를 토대로 운영

16C 전후 장인들의 등록 기피와 정부의 재정 악화 및 사장의 대두

18C말 정부의 장인등록제 폐지, 심지의 관영 수공업장에도 사장 고용, 수공업자들은 장인세를 부담하는 납포장으로 자유 생산 활동

 

광산의 개발~ 국가운영사채허용설점수체, 사채금지수령수세제와 덕대제

 

<조선후기 상업과 무역활동>

 

국가가 경시서를 두어 시전상인을 감독하고 시전상인은 도중이라는 조합을 두어 사상들을 감독함, 도중이 금난전권을 가지고 있음

육의전(관허상인)~어물, 저포, 면포, 종이, 비단, 명주

대청무역에서 은은 수출품이나 대일 무역에서 은은 수입품

 

시전상인은 황국중앙총상회를 결성하여 독립협회와 함께 이권수호 운동을 함

 

어용상인~공인, 시전상인, 육의전, 보부상

사상~객주, 여각, 경강상인, 송상, 만상, 내상, 종루·이현·칠패 등에 근거지 마련하고 시전과 대립

 

<조선시대 과전법의 특징>

 

현직·구직(·산관)관리에게 지급, 사대부에 유리한 개혁, 농민보호정책

전호는 경작권을 매매·양도할 수 없었고, 노비와 승려는 수전대상에서 제외

공전~내수사전(왕실경비충당), 학전(성균관, 4부학당, 향교), 둔전(군대,관청의 경비), 공해전(중앙관청의 경비), 늠전(지방관서의 비용충당)

사전~과전, 공신전, 별사전(준공신에게 지급, 3대까지 세습, 경기 외에도 지급), 군전(부경시위 조건으로 지방의 한량에게 지급), 사원전

전시과는 전지와 시지(임야)지급, 전국대상, 과전의 국가 수조, 수주권적 지배가 소유권적 지배보다 강함, 5품 이상에 공음전, 외역전·군인전 지급 , 전조와 전세가 구별 안됨

과전법은 전지만 지급, 경기지방내에 지급이 원칙, 과전의 직접수조, 수조권적 지배가 현저히 약화, 공로자에 공신전과 별사전 지급, 외역전 폐지, 군전 지급, 국가의 전세 징수

 

전시과와 과전법의 공통점은 왕토사상으로 원칙적인 소유권은 국가에, 수조권의 귀속여부에 따라 공전과 사전 분급, 과전은 18등급에 따라 구분하여 지급, 현직·구직 관리에게 모두 지급하였으며 1대에 한하는 수조권 위임

조선초기 과전법의 지목중 경기 외 토지에도 지급된 것은 ~ 별사전

 

<중세의 토지제도>

 

고려는 조세의 구별이 없고 국가가 수조를 해서 관리에게 녹봉을 줌

조선은 조세의 구별이 있고 관리가 직접 수조, 조는 1/10, 세는 조*1/15

수조권에 기초한 것이 전주전객제 이것은 임진왜란때 폐지되고, 소유권에 기초한 병작반수제(지주전호제)가 생김

신라의 녹읍은 사림에 농민에 대한 지배력을 가장 강력하게 행사 할 수 있었다. 노동력 까지 가능

공전이란 경기도를 제외한 토지로서 국가가 직접 조를 받는 토지, 수조권이 국가에 귀속된 토지이며 대부분의 일반농민이 소유하고 있던 미전을 국가가 징세대상으로 파악한 개념이다 사전이란 경기도에 한한 토지로 수조권이 개인이나 관청에 속한 것이다.

농민의 사유지인 민전은 소유권상으로는 사전이지만 수조권상으로는 공전. 공전이라 칭함

 

<사림파의 계보와 붕당>

 

훈구파~중앙집권과 부국강병, 막대한 토지 소유, 왕도+패도주의, 민간신앙을 포용, 군사학, 기술학중시, 사장 중시, 격물치지, 경험적 학풍, 치인지학의 추구, 자주민족의식(단군신앙)

사림파~향촌의 건설과 교육, 향촌자치강조, 양약실시 주장, 중소지주층, 왕도정치 강조, 이단배격, 기술천시, 경학중시, 인간의 심성연구, 서변주의 관념적 학풍, 수기지학 추구, 중국중심의 화이사상

영남학파(동인)-주리파

기호학파(서인)-주기파

 

붕당정치란 성리학적 정치운영의 한 형태로 상호 비판체제의 사림정치이다

붕당의 장점~책임정치, 비판세력 공존(부패감소), 산림의 의견반영, 일당독주 견제

 

당쟁의 시작은 이조전랑직을 둘러싼 김효원(신세력), 심의겸(구세력)의 대립~이이의 조정책실패

당쟁의 격화

1차 복제문제(예송논쟁)~서인집권, 2차 복제문제(예송논쟁)~남인집권,

경신대출척~서인집권, 기사환국~남인집권, 갑술옥사~소론득세, 신임사화~소론집권,

이인좌의 난~노론집권

<<12경기갑신이-서남서남소소노>>

경신대출척이란 서인이 남인을 숙청한 사건이다.

붕당정치의 원칙이 깨어지고 일당전제로 흐른 계기가 된 것은 경신환국...

 

<4대사화 사림파 대 훈구파>

 

명칭

발생연대

원인

발단

가해자

무오사화

연산군4

훈구파대 사림파

조의제문·

사초문제

이국돈·유자광

갑자사화

연산군10

궁정세력 대 정부세력

윤씨패출사건

임사홍

기묘사화

중종14

조광조등 신진사람파 대 훈구파

위운삭제·

모반음모의 모략

남곤·심정

을사사화

명종원년

왕실외척인 대윤 대 소윤

왕위계승문제

윤원형

 

~~

~~

~~

~~

 

조광조의 개혁정치~현량과 실시(사림들을 무시험 추천에 의해 관리등용), 위훈삭탈, 균전론(토지소유 조정), 한전론, 불교·도교행사 금지(승과제도, 소격서 폐지), 공납제도 폐단 시정 주장, 유향소 철폐, 향약의 전국적 시행으로 향촌자치제 강화, 사마소 설치, 이조·병조의 전랑에게 인사권 처리와 낭천권(후임자 추천권)을 가제게 하였다. 언문청(한글보급)

 

<이황과 이이>

 

이황~ 주리파, 이기이원론, 예안향약, 백운동 서원, 도산서원, 상학십도, 주자서절요, 일본성리학에 영향, 유성룡·김성일·정구, 장수()와 졸병()동인

이이~ 주기파, 이기일원적이원론, 해주향약, 서원향약, 소현서원, 만언봉사, 10만양병설, 동호문답, 대동법주장, 성학집요, 경연일기, 격몽요결, 사창계약속(사창제도+향약), 정엽·김장생·성혼·조헌·송시열, 탕평일임자서인

 

성리철학의 공통점

이와 기에 있어서 이를 일차적으로 중시하는 주리적 이기론이라는것

우주자연의 질서와 인간사회의 질서를 통일적으로 설명하는 천인합일론

인간의 본성은 착하나 수양에 의해서만 달성된다는 것

모든 사물을 대립·투쟁으로 보지 않고 조화와 통일관계로 생각하는 것

 

절대적 관념(정신)

객관적 경험(현실)

만물생성의 근원

만물 구성요소

태양

태양의 에너지

보편성

차별성

불교 화엄종의 영향

도교의 영향

 

<사단칠정논쟁과 호락논쟁>

 

47정논쟁은 이황과 기대승간의 논쟁

이황은 4단은 리로 되어있고, 7정은 기로 이로어져 있다고 주장

 

호락논쟁은 노론내부에서 생긴것

인물성동론~서울노론(낙론), 리의 중요성 강조(주리론)

인물성이론~충청도노론(호론), 기의 중요성 강조(주기론)

 

사단칠정은 조선의 성리학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나온 것이다.

이 논쟁을 계기로 성리학파가 형성되었다.

율곡이이는 사단과 칠정은 모두 기에서 발한 것이라고 하였다.

사단과 칠정은 모두 마음의 작용을 설명하는 개념이다.

 

<임진왜란(1592~1598) 당시의 의병의 항쟁>

 

의병의 조직~사림과 승려 cf> 한말의병장은 유생, 평민

의병의 전술은 유격전술

대표적 의병장

곽재우~의령(홍의장군, 최초의 의병장), 정인홍~합천, 조헌~옥천, 고경명~장흥, 김천일~나주, 홍언수·홍수남~수원, 정문부~경성에서 기병하여 길주 수복, 김덕령~담양, 김면~고령, 서산대사~묘향산, 사명당~금강산

 

임진왜란의 영향~훈련도감 설치(명나라 척계광의 기유신서에 영향받음), 속오군 창설 (양반·농민·노비 등으로 편성), 무기발명(거북선, 비격진천뢰, 화차), 4대사고 중 전주사고를 제외하고 손실, 불국사·경복궁 소실, 동의보감, 징비록, 난중일기, 납속법의 실시가 그 원인이 됨, 이몽학의 난 발생, 삼수미세 징수, 대동법 실시의 동기 제공, 대륙에서는 명이 멸망하고 청이 일어났다. 사대사상의 고조, 정부에 대한 불신

 

최초승리~옥포해전, 최초거북선~사천해전, 최대승리~한산도 대첩

정유재란(1597)~명량대첩, 이순신 최후~노량대첩

3대 대첩~한산, 진주, 행주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광해군의 실리적 중립외교서인의 인조반정(친명배금정책, 1623)이괄의 난(잔당의 조선정벌요구, 1624)정묘호란(형제관제, 1627)금의 강화, 청건국, 군신관계요구척화파의 거절병자호란(1636)

정묘호란은 금과 관계, 병자호란은 청과 관계

 

정묘호란의 결과 강홍립의 중재로 후금은 조선과 정묘조약을 맺고 철군

조선은 후금과 형제관계를 맺으며, 조공의 약속, 명과 후금에 대해 조선은 중립을 지키며, 중강개시와 회령개시를 열 것 등이다.

 

병자호란 척화파는 청을 응징하자고 강조, 이러한 주장은 성리학자들이 중시.

주화파는 청의 침략을 저지한 다음에 국력을 강화 시키자는 주장, 최명길등 양명학자들이 가담

북벌계획을 당당한 기구는 어영청이다. 어영청은 효종이 자신의 정권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도 유지했다.

<고려시대의 토지제도>

 

문종 경정전시과 ~ 무관우대, 녹과전(전시과의 보완책), 한외과 폐지, 공음전 지급시작

국가·관청이 거둬 가면 공전, 양반·사원이 거둬 가면 사전.

군인전, 외역전, 공음전, 공신전, 내장전~ 영업전(면세+세습)

내장전과 공해전은 공전.

 

<고려시대의 대외무역>

 

조선의 대외정책이 새대교린정책인데 비하여 고려는 친송북진정책

고려는 문화적·경제적 이득을 위해, 송은 정치적·군사적 목적

송나라의 영향으로 인쇄술의 발달, 대성악의 전래, 도자기의 발달, 은입사 기술

송인은 월정대도

은은 대송무역에서는 수출품이나 거란에는 수입품

일본과는 활발한 무역을 하지 못함

 

<조계종과 천태종>

 

천태종

조계종

고려전기(숙종)

교관겸수

의천(원효의 화쟁사상을 계승)

지관(생각중단, 지혜로서 사물관조)

왕실, 귀족

안정기

화엄종으로 교선을 통합

신편제종교장총록

정화운동:백련사묘련사

중심사찰:국청사

고려후기

선중중심, 선교겸수

지눌

정혜쌍수, 돈오점수

무신

혼란기

조계종으로 교선을 통합

9산선문 통합

정화운동:수선사

중심사찰:송광사

 

초기~5·9산의 사상적 대립이 계속됨, 광종, 제관(천태사교의 저술), 의통

중기~의천(천태사교의주 저술), 교관겸수

 

불교 종파의 형성된 시기 시대순~정토종, 선종9, 천태종, 조계종

 

<고려시대 여성의 삶>

 

균분상속제도는 경국대전에도 명시되어 조선후기까지 이어졌으나 무시됨.

18세 전후하여 혼인이 가능했고 근친혼과 동성혼이 성행하였다.

일부일처제가 원칙이었으나 왕실을 중심으로 한 귀족은 일부다처제와 축첩이 폭넓게 허용.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난>

 

최질·김훈의 난(무신란 선구 1014)이자겸의난(십팔자위왕 도참설 1128)묘청의 난

(1135)무신의 난

11세기 거란, 12세기 여진, 13세기 몽고, 14세기 왜·홍건 이 괴롭힘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이 좌절된 직후 나타난 역사학의 경향은?? 유교사관에 입각한 신라 계승의식이 강한 사서가 편찬되었다. (사대화, 보수화경향)

고려의 분사제도란?? 묘청의 난이 일어나게 된 원인, 개경과 비슷한 기구를 두어 서경을 우대한제도, 정종대에는 중요성을 인정하여 천도계호기을 세우기도 하였다. 서경의 중시와 북진정책 때문이었다.

 

<무신의 정권 쟁탈전>

 

정중부(중방정치)경대승(도방설치)이의민(중방정치)최충헌(도방강화, 교정도감설치)

정방(인사권), 서방은 최우가 설치 문인등용.

최씨정권의 성격문무합작 정권, 항몽자주정권, 관료적 성격

 

<고려후기 사회의 동요>

 

무신의 난 1170

무신의 난 이후 난의 성격은 문신의난(김보당, 조위총), 하극상이다.

김보당·조위총의 난공주명학소의 난(··부곡의 폐지 현상이 대두)전주관조의 난김사미·효심의 난만적의난진주 노비의 난신라부흥운동(동경의 난)고구려 부흥운동(최광수의 난)백제부흥운동(이언년의 난)

무신난의 결과~민란의 발생, 전시과의 붕괴, 무인의 독재정치, 설화문학(패관문학)대두

 

소중화의식은 조선시대에 등장

왜구, 홍건족과의 싸움~홍산싸움-최영, 진포싸움-최무선, 황산싸움-이성계,

관음포싸움 - 정지, 대마도 정벌-박위

 

<신하들이 올린 문서>

 

신라~최치원 시무10신라개혁안

고려~왕건 정계1, 계료백서8신하의 도리

최승로 시무285조정적평 태조~경종까지의 치적을 평가

최충헌 봉사10조 고려명종

조선~이항로:척화주전론-병인양요

최익현:5불가소-강화도 조약시

창의투적소-을사조약시

홍재학:만언척사소-신미척왜운동

이만손:영남만인소-조선책략유포시

유인석:격고내외백관-을미사변

 

<최충헌에 대하여>

 

조위총의 난 토벌, 강동의 역(1219 몽고와 조공의 약속), 봉사10, 만적의난, 불교의 탄압(특히 교종), 교정도감(최고의 권력 기관)설치

최우~문신우대(이인로, 이규보), 정방설치(인사), 서방설치(숙위기구), 대몽항쟁 시작(8만대장경), 강화도로 천도

최우때부터 항몽정책 시작.

 

<원간섭기의 고려>

 

순마소~고려인의 항몽투쟁 감시, 개경의 치안담당

정동행성 설치, 부속기구로서 이문소가 불법적인 사법권행사로 작폐심함

쌍성총관부(철령공민왕때 탈환), 동녕부(자비령), 탐라총관부(목마장)충렬왕때 탈환

원간섭기의 관직 격하 : 이부,예부전리사, 호부판도사, 병부군부사, 형부전법사, 중추원밀직사, 3첨의부, 국자감성균관

 

<충선왕의 개혁정치>

 

정방폐지, 사림원설치, 의렴창설치(소금, 철 전매), 전농사를 설치하여 농무사파견,

만권당설치(이제현), 관제복구시도, 조세제도를 폐지하여 농장에 징세, 심양왕에 최초로임명

 

<공민왕의 개혁정치>

 

신진사대부의 정계진출 시작, 원명교체기를 이용한 친명외교정책, 권문세족 숙청

공민왕~ 자제위 설치, 신돈, 조종입법(고려전기체제로 복귀), 쌍성총관부 회복, 몽고풍일소, 정동행성폐지, 전민변정도감, 관제복구, 동녕부공격, 경학, 과거정비

자제위는 공민왕의 개혁정치와 역행함!!

 

<고려말 개혁기구>

 

충렬왕 : 전민변전도감

충선왕 : 사림원~인사행정 관할, 한림원의 기능, 정치고문 담당, 이승휴를 비롯 과거급제자 기용, 전농사농무사 파견~농장혁파, 노비감찰

충숙왕 : 찰리변위도감

충목왕 : 정치도감

공민왕 : 전민변전도감신돈기용, 토지와 노비정리

창왕 : 급전도감~조준의 사전 개혁안에 의거 전국 토지를 먼저 측량후 설치, 공사전적을 소각하여 구세력의 경제기반 박탈, 과전법 시행기구, 과전법 공포는 공양왕때

전민변전도감은 원래 고려 원종때 만들어진 기관이나 유명무실하다가 충렬왕때 재설치되었고 공민왕때 또다시 설치되어 활발한 개혁정치의 중심기구가 되었다. 한자의 상이는 동어반복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생각되며 보통 전민변정도감 이라 하면 공민왕의 개혁기구로 이해함이 무난. 그러나 처음 설치는 아니다

 

 

<고려의 유학과 역사학>

 

고려의 고구려 계승의식~ 서희의 거란과의 담판, 서긍의 고려도경, 공민왕의 북진정책, 이성계가 전주등에 붙힌 포고문

고려초기는 고구려 계승의식, 고려 중기는 신라 계승의식, 무신집권기는 고구려 계승의식, 대몽항쟁기와 고려말기는 고조선 계승의식

신흥사대부의 성라학적 관념, 원부·허공의 고금록, 민지의 본조편년강목,

정가신의 천추금경록, 이제현의 사략

고려시대 역사서적은 전기에 유학의 발달과 더불어 편년체, 기전체등의 유교적 역사서술체계가 확립되어 많은 역사서적이 편찬, 후기 무신난, 대몽항쟁이후 자주의식을 바탕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목적으로 편찬

고려 태조 왕건의 가계와 역사를 가장 상세하게 정리한 고려시대 역사서~편년통록

 

<고려의 문학>

 

소설의 형성과 발달 : 설화패관문학가전체고대소설신소설현대소설

고려시대는 국문학이 위축되고 한문학이 가장 융성하던 시대였다.

고려중기 사대적, 보수적...

경기체가(한림별곡, 죽계별곡, 관동별곡)는 사림의 문학.

청산별곡은 민중들의 고려가요

고려속요와 경기체가는 3음보, 분절체, 후렴구 발달이 공통점

 

김대문은 진골 출신으로 우리나라의 역사와 전통에 자부심을 갖고 우리문화를 주체적으로 인식, 화랑세기

최치원은 유교정치이념을 강조하였으며 중국문화를 모방하는 단계

김생은 신품사현(최우, 유신, 탄연, 김생)의 하나, 왕희지체, 해동서성, 해동필명으로 불림, 원화첩(통일신라시대 그의 글씨를 모은책, 부전), 집자비문

우리나라 최초의 설화는 박인량의 수이전

 

<문화와 예술의 흐름>

 

발해문화는 고구려보다 부드러우면서도 웅장하고 견실한 기풍

고려 지방문화~ 관촉사 석조미륵보살, 토기, 둔마리 고분벽화, 운주사 석불과 석탑

고려의 귀족문화와 지방문화의 공통점은 유교문화와 불교문화의 융합, 지방호족들이 문화의 주인공으로 등장, 문화의 폭이 넓어짐, 공예미술이 발달(나전칠기, 고려자기, 불교미술)

조선 15C 인물, 산수화유행

16C~17C 사군자, 초상화 유행, 서정적 산수화풍

18C~19C 진경산수화, 서양화법도입, 문인화 유행, 실학적 화풍발달

중국에서 전래되어 우리나라에서 더욱 발전된 문화나전칠기, 대성악

고려 (월화수목 아 임송경 농성)

화약, 수시력, 목화, 아라비아 문화, 임제종, 송설체, 경천사지 10층석탑, 농상집요, 성리학

고려시대의 건축, 예술 중 신라시대의 전형적 양식에서 그대로 계승한 것은~ 범종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의 구별>

 

삼국사기~김부식, 고려 인종의 명을 받고서, 기전체(50), 현존 최고의 사서, 삼국시대를 기록한 유일한 정서, 신라에 편중, 중국중심적, 구삼국사등을 참고, 북진정책을 좌절시킨 사관, 귀족사회 전성기에 저술, 사론 중심의 주관서술,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사

삼국유사~일연, 고려 충렬왕때 야사체(5), 기사본말체, 민간설화, 단국신화, 향가14, 불교입장, 민족의식 소생·자주사관, 원지배하에 저술, 고증 중심의 객관서술, 원시시대~고려시대

 

기전체(본기·세가··열전등으로 구분)~사마천의 사기, 삼국사기, 고려사, 해동역사

(본기~왕의 업적, 세가~중요 가계, ~모든제도, 열전~신하의 전기)

편년체(··일 등의 사실을 편술)~사마광의 자치통감, 삼국사 절요, 고려사 절요, 동국통감, 조선왕조 실록 실록·절요·통감은 모두 편년체

기사본말체(사건마다 발단과 결과를 실증사학적으로 기술)~통감기사본말, 삼국유사, 연려실기술

강목체(대의·세목으로 나누어 기술)~주자의 자치통감강목, 강목집요, 고려말 성리학 전래와 함께 유행

제왕운기~이승휴가 중국과 한국의 역대를 서사시, 단군의 역사와 발해의 역사가 있음

황룡사는 진흥왕때 세워졌으나 황룡사 9층탑은 선덕여왕(7C)때 건립

고로 황룡사 9층탑은 통일전에 세워짐.

 

<조선시대의 군역제도>

 

통일신라~중앙군:9서당, 지방군:10

고려~중앙군:26, 지방군:주현군

조선초~중앙군:5, 지방군:영진군

조선후기~중앙군:5군영, 지방군:속오군

개화기~중앙군:2, 지방군:속오군

 

5위는 녹봉과 품계를 같이 받음

호적을 토대로 군역대상자를 3년마다 조사하고 군역은 6년 마다 작성

 

양인개병제(15C)대립제(15C)방군수포제(18C)군적수포제균역법동포제

중앙군의 설립 순서~훈련도감(삼수미세)총융청(자비부담)수어청(자비부담)어영청금위영

체제~진관체제(세조, 군현단위 소규모 체제)제승방략체제(을묘왜변후, 도단위, 1인지휘, 총동원체제)속오군체제(임란후, 군현단위, 진관복구)영장체제(정묘호란후, 직업군인이 방위담당)

15C 의무병(부병제)에서 16C 모병제적(3수병)성격이 나타남

도시~매년 훈련도감과 병영에서 봄가을로 실시하는 무사시험

 

<농서의 변화>

 

고려말~이암의 농상집요, 독자성이 없음, 원의 것, 우경에 의한 심경법, 윤작법, 시비법발달, 일역전(1년휴한), 재역전(2년휴한) 사라짐

조선초~정초의 농사직설, 최초, 강희맹의 금양잡록, 강희맹의 시시찬요, 농종법(), 직파법(), 이앙법등장

조선중기~신속의 농가집성, 박세당의 색경, 이앙법 보급

조선후기~18C 홍만선의 산림경제, 박지원의 과농소초, 경종법등장, 이앙법 확대

19C 서유구의 임원경제지, 정병하의 농정촬요, 광작유행, 농민계층분화

 

<조선시대 농업제도>

 

현종때 제언사 설치, 정조때 제언절목 반포, 정조때 송금절록 반포하여 산림녹화 강화

담배, 고추, 호박은 일본에서 전래

지대의 변화~ 타조법도조법도전법

도지권은 매매가능

 

<고려와 조선의 화폐>

 

화폐는 널리 쓰이지 못함, 미나 포가 널리 쓰임

조선후기 숙종때 상평통보의 3차발행때 널리 쓰임

숙종때 의천의 건의로 주전도감 설치

화폐의 최초 발행시기~ 건원중보-성종, 은병-숙종, 저화-공양왕, 상평통보-인조

 

<고려와 조선의 신분제도>

 

고려의 노비는 호적에 등록하여 관리했으나 양수척, 진척, 재인, 기생은 국소수라 국역부담이 없을 뿐만 아니라 호적에 등록하지도 않았다.

노비는 원칙적으로 관직에 나갈 수 없음

국가에 대해 원칙적으로 국역 부담 없음

형부의 도관에서 노비 담당

 

조선의 노비~공노비는 순조때 해방, 사노비는 갑오개혁때 해방 결국 노비는 19세기에 모두 해방

조선의 노비는 장예원에서 노비 담당, 국초 사노비의 수가 궁노비 보다 많음, 모든 공노비는 60세가 되면 역이 면제

조선 중인의 문학작품~ 최성환의 고문비략, 이진택의 규사(서얼의 역사), 유재건의 이향견문록(서리의 저서), 이진흥의 연조귀감(향리의 역사), 조희룡의 호산외기(중인의 역사), 이경민의 희조일사(서민의 저서)

 

<신진사대부와 무인세력의 성장>

 

무인세력의 등장~홍산싸움(1376) 최영 외국침입격퇴, 진포싸움(1380) 최무선·나세 화통도감설치, 화포를 사용하여 승리, 황산싸움(1380) 이성계 왜구토벌, 관음포싸움(1383) 정지 왜구토벌, 대마도 정벌(1389) 박위 쓰시마섬 정벌

이종무도 대마도 정벌을 하지만 고려 시대가 아님.

위화도 회군(1388)과전법 공포(1391)조선건국(1392)조선 국호 사용(1394)

'한국사 > 고려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고려 무신정변과 무인정권  (0) 2019.04.07
6. 고려 문벌귀족기  (0) 2019.04.07
고려 중기, 후기 역사 요약  (0) 2019.03.17
고려 전기 역사 요약  (0) 2019.03.17
고려의 집권세력 흐름 정리  (0) 2018.12.14

 

<조선의 성립배경>

우왕의 즉위(1327);살해된공민왕의 아들-친원정책추진(이인임등권문세족 우왕옹립)/ 토지탈점재개-신돈의개혁부정/ 왜구의침략-극심함/ 왜구격퇴-최영,이성계등이 격회; 신흥무인세력성장/이인임일파 숙청(우왕14,1388)

이성계가 최영에게 협력/위화도회군-명의철령위설치 통보해옴, 이성계4불가론제시/ 신진사대부의 분화

(출제가능)

위화도 회군 이후, 고려의구제 유지하고자한 온건개혁파/ 신법으로개혁추진하고자한 급진개혁파

혁명파사대부; 정도전,조준(소수)->(유학)주례강조(주나라의법제도바꾸겠다) 역성혁명주장/형벌통한질서확립강조/

과거제,군공등주장/과전법통한전면적개혁주장/신흥무장세력/배불론(배척불교),불교비판/관학파(15세기);훈구파

 

vs

 

온건파사대부;정몽주,이색,길재(다수)->(유학)소학,가례(수신,제가강조) 고려왕조유지,점진.온건적/도덕강조를통한

사회질서확립강조/강조전면적전제개혁비판/음서,좌주문생제(과거)/권문세족가문/유불동도론,불교개선론,불교인정

/사림파(16세기)

폐가진입;우창비왕설로 창왕폐위/공양왕즉위/

이성계-군사권장악(삼군도총제부),급전도감설치,과전법제정/ 정몽주암살-이방원의사주를받은조영규에의해죽음

이성계의 국왕즉위 -도평의사사의 추대를 받는형식 감록국사 이성계 개경수창궁에서 즉위

 

태조

(1392

-1398)

조선국호제정(1939)단군조선에서 기자조선반영 / 한양천도(1394)/ 중앙집권관료체제확립/왕도정치구현/

모든현에 지방관파견/ 양인수증가/과전법통해 농민의경작권보장/ 과거제정비-신분보다능력존중/

양천제(모든백성 양인과 천민으로 구분) 실시-특권계급소멸; 신분에따른사회진출한계감소/성리학자리매김/

사농일치 교육제도/과학기술발달

 

*정도전 p266 사료

-저술; 조선경국전 ( 주례를인용한 최초사찬법전)/ 경제문감(재상중심중앙집권체제)/ 불씨잡변( 유교입장에서

불교비판 승유억불의 국가정책 계기)/ 심기리편(성리학의 우위성간결서술)/진법서

-의흥삼군부설지(1392,태조원년);병권일원화/ 재상중심체제확립(도평의사사에서결정-왕권약화)/

명에대하여 사대하였음. ‘권지고려국사칭호사용 (고려,조선때왕즉위시 중국에보고해 승인받은후 왕호사용할시

즉시 승인못받으면 이칭호사용)

-1차왕자의난(1398)이방원에의해 숙청됨.(재상중심불만의 이방원)

 

 

정종

(1399

-1400)

태조이성계의둘째아들

-2차왕자의난(방간의난1400); 4째아들방간이 5째아들인 동생 방원에게 도전- 실패; 이방원이더셈

이후 이방원 세제로 책봉됨.

관제개혁;의정부신설(재상권한축소위해 도평의사사혁파)/삼군부로 개칭(중추원을,군사관련사항만으로국한)/승정원

 

태종

(1400

-1418)

이방원즉위

;왕권강화를목적

사간원(중서문하성의 낭사가 독립); 최초간쟁기구 설치/ 6조직계제-왕권강화 목적/ 의금부-국왕직속사법기관설치/

불교사찰정리(전국242개제외하고)/호패법실시(전국가호파악하여 16세이상남자에게 발급;양반,노비모두,중앙-한성부, 지방-관찰사,수령이관할)/ 8도제확립(지방제도)/신문고 설치;백성위해(의금부주관)/서얼금고법;(서얼에게현직금함-성문화1415; 서얼은관직에 나갈 경우,잡직에 한정,한품서용규정)/ 자녀안(3번시집간여자 자녀안에기록)/

주자소/5부학당(서울을 동서중남북 5부로나누고 학교하나씩설치)---->세종때 4부학당됨/ 사섬서-저화(고려시대

때지폐)발행보급당담 ,(노비에게서)공납되는면포관리시킴.

 


이승만 정부(1공화국, 1948.8.15~1960.4.26)

 

정부 수립(1948.8.15) -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이시영 (간선제)

주한민군 철수(1948.9~1949.6)

반민족행위처벌법 제정(1948.9.22)

여수·순천 10·19사건(1948.10.19)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1948.10.23)

국가보안법 제정(1948.10.27)

학도호국단 창설(1948.11.10) - 이승만의 청년·학생들 단체

대한청년당 창설(1948.12.21) - 여순반란 이후, 여러 청년단들을 통폐합하여 창설

한국민주당은 민주국민당(민국당)’으로 개칭(1949.2.1) - 이승만과 한민당의 결별

국회프락치 사건(1949.5.18) - 국회 내 소장파 의원 3인을 남로당의 프락치로 활동했다는 혐의로 구속

국민보도연맹(1949.6.5) - ex)‘태극기 휘날리며이은주

경찰의 반민특위 습격 사건(1949.6.6)

김구 암살(1949.6.26)

반민특위 해체(1949.8.31)

중국의 공산화(1949.10.10)

신교육법(1949.12.31) - 민족주의와 반공교육 강화

에치슨 라인 선언(1950.1.12) - 미국 국무장관 애치슨은 태평양지역의 방위선에서 한국과 대만을 제외한다고 선언

농지개혁법(1950.3.10)

2대 총선(1950.5.30) - 5·10총선거에 불참하였던 중도파 민족주의자들이 대거 출마

6·25전쟁 발발(1950.6.25) - 북한의 남침

UN 안전보장이사회 소집(1950.6.26)

UN군 참전(1950.7)

국민보도연맹·형무소 재소자 학살(1950.7~)

미군에 의한 노근리 학살 사건(1950.7.26~7.29)

인천 상륙 작전(1950.9.15)

서울 수복(1950.9.28)

중공군의 참전(1950.10)

국민 방위군 사건(1950.12~1951.3)

거창 양민 학살 사건(1951.2.11)

서울 재수복(1951.3.14)

휴전협상 실시(1951.6.23)

이승만의 자유당 창당(1951.12)

부산 조선방직회사 파업(1952.3.12)

지방자치제 실시(1952.4~5) - 최초로 시··면의회 의원과 도의회 의원 선거

부산 계엄령 선포(1952.5.25)

부산 정치 파동(1952.5.26) - 개헌에 반대하는 야당 의원 47명을 국제 공산당의 자금을 받았다는 구실로 체포·구속

교육자치제 시행(1952.6)

1차 개헌(발췌개헌, 1952.7.7) - 이승만 재선을 위한 대통령·부통령 직선제 개헌안

2대 정·부통령 선거(1952.8.5)

노동관계 기본 4법의 제정(1953)

1차 화폐 개혁(1953.2)

이승만의 반공포로 석방(1953.6)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1953.10.1)

간통쌍벌죄 공포(1953.10.3) - 남편의 축첩과 부인의 외도 등 처벌

제네바회담(1954.4)

3대 총선(1954.5.20)

부산 미군부대 한국인 종업원 파업(1954.8)

2차 개헌(사사오입 개헌, 1954.11.29)

석탄 공사 산하 노동자 파업(1954.12)

부흥부(1955.2) - 산업경제의 부흥에 관한 종합적 계획과 그 실시의 관리와 조정에 관한 업무 담당

호헌동지회(1955) - ‘반 이승만 세력의 결집

호헌 동지회 분열 - 민주당(신익희, 1955.9) vs 진보당(조봉암, 1955.12)

PL480(미국 공법 480, 1956~1969) - 미국의 누적된 농산물 재고를 원조 형식으로 처리 농산물 가격 폭락

3대 정·부통령 선거(1956.5.15) - 대통령 이승만(자유당), 부통령 장면(민주당)

진보당 사건(1958.1.12)

4대 총선(1958.5.2)

경향신문 폐간(1959.4.30)

2·4 정치파동(1958.12.24) - 국가보안법 개정 + 지방자치법 개정

조봉암 처형(1959.7.31)

전국노동조합협의회(1959.10)

대구 2·28 학생 시위(1960.2.28)

3·15 4대 정·부통령 부정선거(1960.3.15)

마산 중학생 김주열의 사망(1960)

새 민법의 시행(1960.1.1)

3개년경제발전계획시안(1960.4.15)

4·19민주혁명(1960.4.19)

4·25 대학교수단 시위(1960.4.25)

이승만 하야(1960.4.26)

 

 

 

허정 과도 정부(1960.4.28~1960.8.22)

 

대한교원노동조합연합회 결성(1960.5.22)

3차 개헌(1960.6.15) - 내각책임제, 양원제 국회(민의원, 참의원), 정부의 정당 보호, 사법부 개혁, 국민의 기본권 향상

신생활 운동(1960.7~)

교원 노조 운동(1960.7.3)

은행 노조 운동(1960.7.23) - 전국은행노동조합연합회

5대 총선(1960.7.29)

피학살자유족회(1960.8) - 전쟁 중 있었던 양민학살 피해자들 유족회

북한 김일성의 남북연방제 창설 제안(1960.8.14) - 남북 정부 대표로 최고민족위원회구성 제의

 

 

 

 

장면 내각 (2공화국, 1960.8.23~1961.5.15)

 

전국대학생총연합회 결성(1960.9.12)

10·8 판결(1960.10.8) - 역사 바로 세우기에 소극적

지방자치법 5차 개정(1960.11.1)

민족통일연맹(1960.11.1)

한국노동조합총연맹(1960.11.25)

4차 개헌(1960.11.29) - 소급 특별법

지방 자치 선거 실시(1960.12)

4H 운동(1961~)

민족자주통일협의회(1961.2)

한미경제협정(1961.2.8)

2대 악법 반대 운동(1961.3~4)

국토개발사업(1961.3)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1.4)

 

 

박정희 군정 (1961.5.16~1963.10.14)

 

5·16 군사 쿠데타(1961.5.16)

군사혁명위원회(1961.5.16)

미국의 승인(1961.5.18)

국가재건최고회의(1961.5.19)

경제질서 회복에 관한 특별성명서(1961.5.19) - 모든 노동쟁의 일체 금지

사회정화사업(1961.5.21)

국가재건비상조치법(1961.6.6)

농어촌고리채정리법(1961.6.9)

중앙정보부 조직(1961.6.10)

재건 국민 운동(1961.6.10~)

경제기획원 신설(1961.7.22)

한국노동조합총연맹(1961.8.30)

민주공화당 사전 창당 작업 착수(1961.10~) 민간조직 창설, 4대 의혹 사건

부정축재처리법 개정(1961.10.26)

미국의 차관 도입(1962~)

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2~1966)

정치활동정화법(1962.3.16)

2차 화폐개혁(1962.6.10) - 긴급통화조치

() 민주당 사건(1962.7.27)

이주당 사건(1962.7.27)

서독의 차관 도입(1962.10)

김종필·오히라 비밀회담(1962.10~11)

5차 개헌(1962.12.17) - 강력한 대통령 중심제와 대통령 직선제

국회의원선거법(1963.1.12)

민주공화당 창당(1963.2.26)

5대 대통령 선거(1963.10.15)

6대 총선(1963.11.26)

 

 

 

 

 

 

박정희 정부 (3공화국, 1963.11~1972.10)

 

서독에 광부와 간호사 파견 시작(1963.12.1)

한일회담 반대 시위(1964.3.24~)

민족적 민주주의를 장례한다’(1964.5.20) - 김지하

6·3사태(1964.6.3)

무즙파동(1965.2)

한일협정(1965.6.22) 일본의 차관 도입(1965~)

인민혁명당사건(1964.8.15)

미국의 베트남 파병 요청 수락(1964.10.31)

베트남 전쟁 참전(1965~1973)

한국 과학 기술 연구소(KIST) 착공(1966) 설립(1969)

브라운각서(1966.3.4) - 미국의 한국군의 현대화 · 해외근무수당 부담 · AID차관 제공

한미행정협정(SOFA, 1966.7.9)

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7~1971)

6대 대통령 선거(1967.5.3)

7대 총선(1967.6.8)

동백림 사건(1967.7.8)

통일혁명당사건(1968.8.24)

국민교육헌장(1968.12.5) - ‘주체적 민족사관강조, 국사와 국민윤리 교육 강화

마산수출자유지역 설치(1969)

대학교 입학 예비고사제 실시(1969)

닉슨독트린(1969.7.25) - 냉전의 완화

6차 개헌(1969.9.14) - 3선 개헌 강행

‘40대 기수론의 대두(1969.11) - 김영삼, 김대중, 이철승 등

와우시민아파트 붕괴 사건(1970.4.8)

포항종합제철 기공식(1970.4) 준공(1973)

야스기 시안(1970.4.22) - 경공업에서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으로 전환

경부고속도로(1970.7)

전태일 분신(1970.11.13)

중국의 UN가입(1971)

새마을 운동(1971~)

1차 국토개발계획(1971) 부동산 투기 폐해

중학교 무시험 진학제 실시(1971)

7대 대통령 선거(1971.4.27)

8대 총선(1971.5.25)

사법부 파동(1971.7.28) - 박정희 정권의 사법부 길들이기

광주대단지(성남) 집단 폭력 사태(1971.8.10)

남북적십자 예비회담과 직통전화 개통(1971.9.20)

국가보위에 관한 특별조치법(1971.12.27) - 노동동자들의 단체교섭권과 단체행동권 제약

3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72~1976)

7·4 남북공동성명(1972.7.4) - 자주·평화·민족적 대단결, 남북조절위원회 구성

8·3 사채동결 조치(1972.8.3)

1차 평양 남북적십자 본회담(1972.8.29)

2차 서울 남북적십자 본회담(1972.9.12)

 

  

박정희 유신 정권 (4공화국, 1972.10~1979.11)

 

대통령 특별 선언(유신헌법 선포, 1972.10.17) - 비상계엄령 선포, 비상국무회의의 헌법 기능 수행

북한 김일성 정권의 사회주의 헌법 선포(1972.10.27)

남북조절위원회 구성 및 운영에 관한 합의서(1972.11.4)

국민투표(1972.11.21)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1972.12.15)

8대 대통령 선거(1972.12.23)

7차 개헌(1972.12.27) - 유신헌법

포항제철 준공(1973)

1차 석유파동(1973)

중화학공업화 선언(1973.1.12)

고등학교 입학 연합고사제 실시(1973.2)

9대 총선(1973.2.27)

6·23 선언(1973.6.23) - 남북한 동시 UN가입 제의, 공산권에 대한 문호 개방 선언

김대중 납치 사건(1973.8.8)

유신체제 반대 운동(1973.3~) - 박형규 목사, 각급 대학교 시위, 김재준·천관우, 장준하 등

북한의 조국통일 5대 강령(1973.6.23)

이리(익산)수출자유지역 설치(1974)

건설사의 준동 진출(1974~)

전자공업육성법 발효(1974) - 삼성 반도체 생산 시작

긴급조치 1(1974.1.8.오전)

긴급조치 2(1974.1.8.오후)

민주청년총연맹사건(민청학련, 1974)

긴급조치 4(1974.4.3)

8·15 평화통일 3원칙 선언(1974.8.15) - 상호불가침협정 남북대화 총선거

2(재건) 인민혁명당 사건(1975.4) - ‘사법사상 암흑의 날선포(1975.4.8)

육영수 여사 사살(1974.8.15)

언론 자유 수호 선언(1974.10.24)

2차 국민투표 실시(1975.2.12)

민주국민헌장(1975.3.1)

자유실천문인협의회 165인 선언(1975.3.15)

학도호국단 부활(1975.4)

긴급조치 9(1975.5.13)

사회-민방위대 창설(1975.9)

현대자동차 포니출고(1976)

3·1 민주 구국 선언(1976.3.1) - 명동성당에서 개최(천주교 신부, 문익환, 김대중 등)

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77~1981)

쌀의 자급자족 가능(1977~)

민주 교육 선언(1977.12.2) - 해직교수협의회에서 발표

고리원자력발전소 준공(1978)

동일방직 노조 운동(1978.2) - 민주노조의 씨앗을 뿌린 유신시대의 대표적인 노동 운동

함평 고구마사건투쟁(1978.4.24) - ‘썩은 고구마를 보상하라’(한국가톨릭농민회)

우리의 교육지표(1978.6.27) - 전남대학교 교수들이 발표

10대 총선(1978.12.12)

9대 대통령 취임(1978.12.21)

2차 석유파동(1979)

Y·H 무역사건(1979.8.11)

신민당 당수 김영삼 총재 제명(1979.10.4)

·마 항쟁(1979.10.18)

10·26사태(1979.10.26) - 영웅 김재규에 의해서 독재자 박정희 시대 종말

최규하의 제10대 대통령 당선(1979.12.6)

 

 

 

신군부쿠데타 집권(1979.12.12~1981.3.2)

 

12·12 쿠데타(1979.12.12)

서울의 봄(1980.3~5)

전두환의 중앙정보부장서리 겸임(1980.4.14)

5·18 광주 민주화 운동(1980.5.18)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설치(1980.5.31)

7·30 교육 개혁 조치(1980.7.30) - 대학 본고사 폐지, 학력고사제 시행, 졸업정원제(1981)

삼청교육대(1980.8.4)

미국의 전두환 장군 승인(1980.8.8)

전두환의 제11대 대통령 취임(1980.8.27) - 통일주체국민의회에서 선출

북한의 고려 민주 연방 공화국안’(1980.10.10) - 1연방국가 2체제, ‘최고민족연방회의구성

8차 개헌(1980.10.27) - 대통령 임기7(단임제), ‘대통령선거인단에서 선출

국가보위입법회의 발족(1980.10.27)

중앙정보부를 국가안전기획부로 개칭(1980.12)

민주정의당 창당(1981.1.15)

 

 

전두환 정부(5공화국, 1981.3.3~1987)

 

5공화국의 시작(1981.3.3) - ‘정의사회 구현과 민주복지국가의 건설

5차 경제사회개발 5개년 계획(1982~1986)

민족 화합 민주 통일 방안(1982.1.22) - ‘민족통일협의회구성, ‘통일헌법에 기초한 남북한 총선거 실시

미얀마 아웅산 묘소 폭발 사건(1983.10.9)

북한의 수재 물자 제공(1984.9.14)

12대 총선(1985.2.12)

남북 경제 회담·적십자 회담 개최(1985) 최초로 서울과 평양에서 남북한 이산가족 고향 방문(1985.9)

‘3저 호황’(1986~1989) - 저금리·저달러·저유가

6차 경제사회발전 5개년 계획(1987~1991)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1987.1.14) - “탁 치자 억 하고 죽었다

4·13 호헌조치(1987.4.13)

이한열 열사 최루탄에 맞아 사망(1987.6.9)

6월 대항쟁(1987.6)

6·10 국민대회 선언(1987.6.10)

6·29선언(1987.6.29)

7,8월 노동자대투쟁(1987.7~8) - 87.6월 민주항쟁 이후 최대 규모로 노동운동 전개

전국대학생대표자협의회(전대협, 1987.8.29)

9차 개헌(1987.10.12) - 대통령 직선제, 5년 단임제, 노동 3권 보장, 헌법재판소 재설치, 군의 정치적 중립 명문화

13대 대통령 선거(1987.12.16)

 

 

 

노태우 정부(6공화국, 1988~1992)

 

북한의 대화 제의(1988.1.1)

13대 총선(1988.4.26) - ‘여소야대정국 형성

7·7 선언 = 민족자존과 통일번영을 위한 대통령 특별 선언(1988.7.7)

5공 청문회 개최(1988.11)

경기 침체의 재개(1989~)

헝가리와 수교(1989.2.1)

전국교직원노동종합 결성(1989.5.29)

전대협 대표 임수경의 평양 방문(1989.6)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1989.9.11) - 자주·평화·민주, 2국가 2체제(과도기)1국가 1체제(통일), ‘남북각료회의남북평의회설치

폴란드와 수교(1989.11.1)

전국노동조합협의회 결성(1990.1)

3당 야합으로 민주자유당창당(1990.2.9)

소련과 수교(1990.9.30)

조국통일범민족연합 결성(1990.11.20)

국제노동기구 가입(ILO, 1991)

수서 사건(1991.2)

부분적인 지방자치제 실시 - 기초의원선거(1991.3), 광역의원선거(1991.6)

남북한 UN 동시 가입(1991.9.17)

독일 통일(1991.10)

남북기본합의서 = 남북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1991.12.31) - 남북한은 특수관계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 선언(1992.1.20)

14대 총선(1992.3.24)

중국과 수교(1992.8.24)

14대 대통령 선거(1992.12.19)



 

김영삼 정부(문민정부, 1993~1997)

 

3단계 3기조 통일 방안(1993)

비전향 장기수 이인모 북한 송환(1993.3.19)

공직자 재산등록 실시(1993.6.11)

3단계 3대 기조 통일방안(1993.7.16)

금융실명제·부동산실명제 실시(1993.8.12)

대전엑스포 개최(1993.8~11)

우루과이라운드 타결(1993.12.15)

하나회정리(1994.4.16)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의 북한 방문(1994.6)

카터와 김일성의 남북정상회담 개최 합의(1994.6.17)

김일성 사망(1994.7.8)

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1994.8.15) - 8·15 대통령 경축사

제네바 북·미 합의서(1994.10.21) 200210월 북한의 고농축 우라늄 프로그램에 대한 북미간의 논란 끝에 붕괴

국군 평시작전통제권 환수(1994.12.1)

세계무역기구 출범(WTO, 1995)

한반도에너지개발기구(KEDO) 설립(1995.3.9) 20061월 중단 선언

민자당정리와 자유민주연합조직(1995.3.30)

전면적인 지방자치제 실시(1995.6.27)

새정치국민회의 창당(김대중, 1995.9.5)

민자당의 신한국당으로 개칭(1996.2.6)

15대 총선(1996.4.11)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1996.9.12)

한보그룹 비리(1997.3.31)

김영삼 아들 김현설 구속(1997.5.31)

IMF 외환 위기(1997.11.21)

15대 대통령 선거(1997.12.18)




 

김대중 정부(국민의 정부, 1998~2002)

 

노사정위원회 설치(1998.2.6)

정주영 회장의 소떼 방북(1998.6.16)

금강산 관광 시작(1998.11.18)

국가안전기획부국가정보원으로 개칭(1999.1.21)

1차 연평해전(1999.6.7)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합법화(1999.7)

동티모르 파병(1999.9.28)

남북 정상 회담(2000.6.13~15)

6·15 남북 공동 선언(2000.6.15) - 남측의 연합제 안과 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안이 서로 공통성이 있다고 인정

2차 남북 이산가족 방문단 교환(2000.8.15)

비전향 장기수의 북송(2000.9.2)

남한만의 경의선·동해선 철도 연결 착공식(2000.9.18)

김대중 대통령 노벨평화상 수상(2000.10.13)

16대 총선(2000.4.13)

남북한의 경의선·동해선 철도 연결 착공식(2002.9.18)

개성공업지구 착공식(2003.6.30)

. 현대사



308. 정부의 지원으로 알렌이 설립한 최초의 근대식 병원은 광혜원이었다.

309. 최한기는 人政을 저술하였고 코페르니쿠스와 뉴톤을 소개하였다.

310. 유길준은 서유견문에서 개화의 의미를 체계적으로 제시했으며 제국주의

옹호이론인 <사회진화론>을 소개하였다.

311. 홍경래의 난은 민란의 선구이며 임술민란(진주민란)은 민란의 전국적 확대를 가져왔다.

312. 동학농민군은 일본군과 관군 그리고 민보군과 맞서 싸웠다.

313. 요호부민층 가운데 경제력을 배경으로 새로이 향안에 오른 자들을 신향(新鄕) 이라 불렀다.

314. 구향과 신향의 향전(鄕戰)에서 신향이 승리하여 향권을 주도하게 되었다.

315. 흥선대원군의 개혁정책에는 근검, 절약등 사회제도 개선도 포함되어 있다.

316. 동학사상은 민간신앙에 입각한 구제치료에 있어서 주술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317. 을미개혁은 단발령, 종두법 실시, 건양, 태양력, 우편제도, 소학교 설치 등으로 갑오개혁과는 구별되어야 한다..

318. 지구도경-박영교, 지구전요-최한기, 일동기유-김기수,조선교육론-서광범, 기화근사-김옥균등은 한국인의 작품이다.

319. 동학교단이 기포령을 내려 집결시킨 북접군은 전봉준의 남접 농민군과 합세 해서 공주전투에 참가하였다.

320. 독립협회는 1898년 만민공동회를 개최하면서 특히 러시아에 대한 경제군사적 침략을 격렬히 비판하였다.

321. 황준헌의 조선책략에 제시된 조선의 외교노선은 일본의 침략을 막기 위해 중국 및

미국과 동맹관계를 가진다는 내용이. 조선책략의 유포로 대미수교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322. 조미수호통상조약에는 치외법권과 최혜국조관, 조차지 설정에 관한 사항이 포함되었다..

323.갑신정변의 신정부강령에는 內侍府奎章閣惠上共局등의폐지가 담겨있다.

324. 1897년 대한제국의 개혁내용중 하나는 왕실재정을 담당하는 궁내부 내장원에 많은 재원을 집중시켰다는 점이다.

325. 독립협회의 개화운동이 실패한 이유는 친일친미적 성향과 상인지주학생 중심의 부르조아 개혁운동이었다는 점 그리고 농민군이나 의병에 대해 적대시했다는 점 등에 기인한다.

326. 최초의 외국인 고문이었던 묄렌도르프 대신 부임한 미국의 데니(Denny)마저 역시 위안스카이를 통한 청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해 러시아와 연결할 것을 주장하였다.

327. 동학농민군의 집강소에는 집강, 서기, 성찰, 집사, 동몽 등이 소속되었다.

328. 독립협회는 민주정치운동을 전개한 최초의 정치단체이나 황권을 옹호 하였다.

329. 유길준에 의하면 개화에는 허명개화(虛名開化)와 실상개화(實狀開化)가 있다고 하였다.

330. 오지영의 東學史에 나오는 12개조의 폐정개혁안 청상과부의 개가허용은 갑오개혁에 그대로 반영되었다.

331. 독립협회는 정동구락부를 근간으로 조직했으나 관민중심의 시민단체로 발전했다.

332. 대원군의 경복궁 중건을 위한 무리한 수취와 노역으로 인해 민원을 샀고 최익현의 탄핵을 받았다.

333. 개화파는 농공업을 육성하고 국력을 키워 자본주의 국가를 세우려 하였다.

334. 대원군은 두 차례의 양요를 거치는 동안 대포를 제작해 강화도에 배치 하였는데 이때 참고한 서적이 해국도지이다.

335. 대한제국의 개혁기에 북간도 관리를 파견했다.

336. 갑신정변, 동학농민전쟁, 갑오개혁에서 공통적으로 표방되고 실시되었던 것은 인재등용문벌타파이다.

337. 조선정부는 전주화약 이후 청군과 일본군의 철수를 요구하였으나 일본은 철수 를 거부하고 오히려 경복궁을 강점하였다.

338. 한말의 광무개혁에서는 서울의 친위대를 증강하고 시위대를 창설하는 등 제한 군주적 지위로 격하된 왕권을 절대적 왕권으로 강화시켰다.

339. 광무개혁은 양전사업이 전개되고 지계가 발급되어 근대적 토지 소유권 제도가 마련 되었던 것으로 산업자본의 형성계기가 되었다.

340. 일제의 토지조사사업은 한국의 전통적인 토지소유관계와 경영방식의 헛점을 이용한 것이다.

341. 대원군의 쇄국정책은 유교문화의 전통을 존중하는 문화적 자부심을 강화 시켰다.

342. 강화도조약의 체결로 일본인은 조선연해에 대해 자유롭게 측정할수있었다.

343. 조선이 최초로 수교한 서구의 국가는 미국이었다.(1882년 조미수호통상조약).

344. 만민 공동회는 정부 고관으로부터 상인백정들까지 모두 참석이 허용되었다.

345.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을 철회시킨 단체는 보안회(1904)였다.

346. 개항이후 일본상인들은 치외법권을 배경으로 약탈적인 무역을 자행하였다.

347. 개항이후 일본은 우리나라에 주로 영국산 면제품을 중계무역으로 수출하였다.

348. 일본상인들의 지나친 곡물반출을 저지하기 위하여 방곡령이 시행되었다.

349. 울릉도압록강두만강 삼림 채벌권과 경성종성의 광산 채굴권을 획득한 나라 는 러시아였다.

350. 시전상인들은 대규모 철시와 황국중앙총상회 조직을 통한 상권수호운동을 전개하였다.

351. 갑오개혁을 통하여 조선사회에서 신분제도가 폐지되었다.

352. 내국인 자본에 의한 최초의 민간은행은 조선은행이었다.

353. 독립협회는 평등사회를 위한 개혁사상을 정착시켰다.

354. 신사 유람단()과 영선사()의 파견은 근대적 기술도입에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였다.

355. 동문학(1883)은 정부가 건립한 영어강습기관이었다.

356. 최남선과 박은식은 조선 광문회를 설립하여 민족고전의 정리와 간행에 노력 하였다.

357. 유길준의 서유견문은 새로운 국한문체 보급에 공헌하였다.

358. 독립신문과 제국신문은 순 한글로 간행되었다.

359. 자혜의원은 도립병원의 전신이며 대한의원은 국립병원으로 의료요원을 양성 하였다.

360. 지석영, 주시경 등은 국문연구소(1907)를 설립하여, 국문의 정리에 힘썼다.

361. 우리 나라 최초의 신체시는 최남선이 지은 해에게서 소년에게이다.

362. 한말 <동도서기론>은 일본의 화혼양재론(和魂洋才論) 중국의 중체서용론과 맥을 같이 하였다.

363. 구한말 구국을 위해 일어난 의병중 이인영을 중심으로 한 의병들은 서울진공 작전을 폈다.

364. 19세기 후반 일본은 주로 면제품, 염료 등을 수출하고 미(), , 우피 등을 수입해 갔다.

365. 대한제국의 개혁사업중에는 양전지계사업을 통해 토지소유권을 근대법적으로 인정하려고 하였다.

366. 안확은 조선문명사에서 문명진보론적 민족사관을 강조하였다.

367. 19051910년의 기간중 우리나라 근대학교의 양상으로 중요한 것은 여성교육의 필요성에 의한 많은 여학교 설립이 있었다.

368. 일제시대 공포된 법령 중 1920년대 민족운동을 억압하려는 법적 근거는 치안유지법(1925)이었다.

369. 新幹會는 일본의 주권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의 운동인 자치운동을 적극 반대 하였다.

370. 일제하 사회주의운동의 시대순 배열은 正友會宣言-7월테제-12월테제-9월테제 -10월서신이다.

371. 안재홍은 조선상고사감에서 민족정기를 강조하였다.

372. 우리 나라 31 운동과 중국 54 운동의 공통점은 일본제국주의 침략에 대한 저항운동이었다.

373. 윤봉길은 애국단원으로서 상해 홍구공원에서의 시라카와(白川)대장 사살은 한.중연합항일운동의 계기가 되었다.

374. 공화주의와 독립군기지 건설, 미곡상점설립, 친일자주처단등의 활동을 한 1910년대 전투적 독립운동단체는 대한광복회이다.

375. 일제시대 조선인 공업의 대부분은 직포공업과 식료품 가공업이었다.

376. 일본의 병참기지화 정책으로 공업과 농업의 불균형, 공업시설의 지역적 편재성이 심하여 해방후의 민족경제에서도 나쁜 영향을 미쳤다.

377. 해방후 미군정과 이승만 정부는 친일파 관료경찰을 대거 등용하였다.

378. 日帝는 교육을 통한 민족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사립학교령, 교과용 도서 검정규정 등을 만들었다.

379. 상해에서는 동제사, 신한혁명당, 신한청년당 등이 조직되었다.

380. 구한말 애국계몽단체 중 국권회복과 共和政體의 국민국가수립을 궁극적 목표로 삼아 활동하던 단체는 신민회였다.

381. 일제가 회사령(會社令)을 철폐한 이유는 일본독점자본의 효과적인 조선 침투를 위해서이다.

382. 31 운동의 배경으로 레닌과 윌슨의 민족자결의 원칙은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

383. 주시경은 국어문법, 말의 소리등을 저술했는데 훗날 많은 제자들에 의해 <조선어학회>를 결성하였다.

384. 31 운동직후 폭탄세례를 받으면서 부임한 사이또오(齊藤實)[조선민족에

대한 대책]을 구상하면서 친일파 양성책을 고안하였다.

385. 삼국간섭후 친러내각인 제3차 김홍집 내각이 구성되었다.

386. 러일전쟁의 결과인 포츠머드 조약에서는 한국에 대한 일본의 우월권이 인정되었다.

387. 의화단(義和團)의 난을 계기로 소련이 만주에 대군을 주둔시키자 일본이 영일 동맹(1902. 1)을 맺고 영미와 함께 철군을 요구하였다.




388. 아관파천을 인정한 베베르소촌각서(1896. 5)’, 38선 분할을 잠정합의한

로마노프산현의정서(1896. 6)’에 이어 러일 양국은 조선의 내정불간섭, 교관

고문파견의 사전협의 등을 약속한 니시로제협정(1898)’을 체결하였다.

389. 독도는 을사조약을(1905) 체결하던 해에 일제에 편입되었다.

390. 민족사관의 편협성과 국수성에 머물러 있는 것을 극복하기 위해 진단학회 (1934)를 구성하여 진단학보를 발간하였다.

391. 김원봉, 이동녕, 김두봉 등이 1932년 조선의열단, 한국독립당, 조선혁명당이 모여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을 발족시켰다.

392. 민족혁명당은 중국지역 민족운동전선의 좌우익을 통일하는데 목적을 둔 정당 이었다.

393. 4차 조선공산당은 코민테른에서 자금을 받아 활동을 하였으나 곧 발각되고,

코민테른은 <12월 테제>를 통해 당의 해체와 재건을 지령했다.

394. 일본은 가쓰라태프트 밀약(1905.7)을 통해 미국으로부터 한국의 지배를 인정 받았다.

395. 행정각부에 일본인 차관이 파견된 것은 한일신협약(1907) 이후의 일이다.

396. 일제는 만주사변이후 한반도에 대해 병참기지화정책을 시행하였다.

397. 일제는 공황문제를 타결하기 위해 본토와 식민지를 하나로 묶는 블록경제체제 를 추진하였다.

398. 대한광복회는 군대식 조직을 갖추고 의연금 징수, 친일파 처단등의 활동을 담당하였다.

399. 한인 애국단원이었던 이봉창과 윤봉길은 의거활동을 전개하였다.

400. 만주지역의 대표적 독립운동기지로는 삼원보, 한흥동 등이 있다.

401. 신민부, 정의부, 참의부는 한국인 사회에 기반을 둔 자치정부의 성격을 띠었다.

402. 지주출신의 민족기업으로는 김성수가 설립한 경성방직주식회사가 있다.

403. 성명회(聲明會)는 연해주에서 광복의 그 날까지 피의 투쟁을 결행하겠다는 선언문을 채택하였다.

404. 일제의 간도참변과 미쓰야 협정(삼시협정-1925)으로 만주에 이주하였던 우리 동포들은 큰 희생을 치루었다.

405. 천도교대종교에 대한 일제의 감시와 간섭이 특히 심하였다.

406. 청구학회를 중심으로 한 일본어용학자들의 왜곡된 한국사 연구에 대항하여 진단학회(1934)가 조직되었다.

407. 동경 유학생들은 극예술 협회를 조직하여, 연극공연을 민중계몽의 수단으로 삼았다.

408. 군대식으로 조직된 대한광복단은 만주에 독립군 사관학교건립을 계획하고, 친일파 숙청활동을 하였다.

409. 농민운동은 주로 소작인조합이 중심이 되어 일어났는데, 5할 이상의 고율인 소작료 인하소작권 이동반대가 주목적이었다.

410. 일제의 식민사학으로는 민족동화론, 타율성론, 한국사상 부재론, 정체성론등이 있다.

411. 일제의 무차별 수탈정책으로 1920년대에는 노동쟁의, 소작쟁의가 급격히 늘어 나고 있었다.

412. 신간회운동, 민족유일당운동, 전국연합진선협회운동은 일제하 전개된 좌우익 의 연합단체운동이었다.

413. 일제의 토지조사사업으로 지주계급의 토지소유는 근대적 소유로 法認 되었다.

414. 일제가 독도를 일본영토에 포함시키는 불법행위를 자행한 시점은 러일전쟁 시기이다.

415. 건국준비위원회는 449월 인민대표자 대회를 열어 조선인민 공화국을 선포 하였다.

416. 2공화국 시기에는 각 대학에 민족통일연맹이 만들어졌으며 통일운동이 본격화되었다.

417. 조선민족혁명당은 1935년 남경에서 한국독립당 등 5당이 통합하여 조직된 민족통일전선이다.

418. 194111월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채택한 건국강령의 내용에는 초등교육과 중등교육을 의무화하고 일체의 비용을 국가가 부담한다는 것이 포함되어 있었다.

419. 남북공동성명에서는 중상비방의 중지와 남북조절위원회의 설치를 약속 하였다.

420. 31 운동은 대중화일원화비폭력의 3대 원칙을 가지고 준비에 임했다.

421. 191931 운동직후 수립된 대한민국임시정부는 국무원제와 의정원제가 결합 된 민주공화정체였다.

422. 19727. 4 남북공동성명은 이념과 제도의 차이를 초월해서 민족적 단결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423.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조직한 독립군단(獨立軍團)參議府이다.

424. 419 의거후 통일론에 변화가 오기 시작했고 가장 큰 요인은 혁신적 정치세력 의 활동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425. 38도선 획정에 대해 얄타협정에서 연합국의 군사적 견지에서 논의되었다.

426. 농지개혁의 지가는 연평균 소출의 1.5(150%)5년간 평균분할상환 (연소출의 30%)케 하고 상환 완료전에 소유권 이전을 금했다.

427. 민족분열을 방지하기 위해 전개된 좌우합작 운동을 중도세력인 김구, 여운형, 김규식 등이 중심 인물이었다.

428. ‘좌우합작 7원칙은 토지친일파 처리문제 등을 중도적인 입장에서 조정하였다.

429. 임시정부의 건국 강령 가운데는 대산업기관의 국유화, 의무교육의 실시, 사회 보장제의 실시 등이 규정되어 있다.

430. 19448월 여운형이 중심이 되어 건국동맹을 결성하였으며 산하에 농민동맹, 군사위원회를 조직하였다.

431. 金九 등 임시정부 계열에서는 반탁운동을 2의 독립운동으로 규정하고 신탁통치 반대투쟁위원회를 구성하여 전국민 궐기대회를 개최하였다.

432. 31 독립선언서는 본문을 최남선이, 공약삼장은 한용운이 작성하였고 민족

대표자 33인의 총대표는 손병희였다.

433. 조선농민을 회유하고, 항일운동을 무력화시키기 위한 일제의 허구적 관제운동 을 <농촌진흥운동>이라 한다.

434. 194111월 임정이 채택한 건국강령에는 대생산기관, 국가기간산업의 국유화 를 규정하고 있으나 중소기업은 사유화한다고 명시하였다.

435. 해방후 신한공사가 관리했던 日本人 토지는 특혜불하로 신흥재벌의 탄생 계기가 되었다.

436. 좌우합작 우익단체인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1937)와 좌익단체인 조선민족전선

연맹(1937)을 통합하여 전국연합진선협회가 결정(1939)되었다.

437. 신탁통치를 계기로 좌익의 단합은 민주주의민족전선으로 결성되었다.

438. 1차 조선공산당의 모체는 이르쿠츠파 계열의 화요회와 일본 유학생파의 북풍회의 결합체인 비밀결사(1925. 4)였다.

439. 국내 유일의 건국준비단체인 건국준비위원회는 치안대를 결성하고, 일본 경찰서를 접수하였다.

440. 건국준비위원회는 건국강령으로 완전한 독립국가건설, 민주정권수립, 자주적 민중생활의 확보를 내세웠다.

441. 3공화국 들어와 굴욕적인 한일 국교정상화 회담이 본격화되자 학생과 시민 들은 한일회담 반대투쟁을 전개하였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한 사건이 ‘63

사태였다.

442. 우익측의 김규식과 좌익측의 여운형을 중심으로 하는 좌우합작위원회가 1946 7월 구성되고, 좌우합작위원회가 일어났다.

443. 해방후 농지개혁에 있어서 19483월에는 우선 신한공사 소유토지를 농가 호당 2정보를 상한으로 유상분배하였다.

444. 한국내에서 좌우익의 대립을 더욱 격화시킨 것은 신탁통치문제였다.

445. 1950년대 남한의 공업화는 원조물자를 가공하는 소비재 산업이 팽창 하였다.

446. 광복 후 좌우의 갈등을 파탄지경까지 몰고간 큰 사건은 신탁통치 찬반 운동 이었다.

447. 모스크바 삼상회의의 결정사항으로 임시정부 제정당 사회단체와 협의하여 4개국 신탁 통치의 방안을 강구한다는 내용이 있다.

448. 임시정부가 대일선전포고를 한 것은 1941년의 일이다.

449. 남북한의 교차승인과 유엔 동시가입을 제안한 것은 623선언이다.

450. 북한의 이른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에 배제된 북한지역 정치세력은 조만식의 <조선민주당>이다.

451. 74공동성명은 분단 이후 남북한 정부의 합의에 의해 발표된 최초의 공동 성명이었다.

452. 1972년에 합의된 평화통일 3원칙의 중심내용은 통일을 위해 우선적으로 사상, 이념, 제도의 차이를 초월하여 민족의 대단결을 도모해야 한다는 것이다.

 

 

 

. 선사시대 ~ 고대국가


0. 흔암리와 송국리 유적은 청동기 시대에 벼농사가 전래하였음을 알려준다.

1. 우리나라 君長制社會에서는 사유재산에 대한 보호는 철저하였다.

2. 고구려에서는 대가들도 사자, 조의, 선인 등의 관료들을 거느렸다.

3. 청동기 시대의 암각화로 반구대암각화, 천전리 암각화,고령 암각화등이 있다.

4. 고인돌은 청동기시대 지역집단의 수장이 묻힌 무덤으로 지배자의 등장을 말해 준다.

5. 신석기인들은 구석기인들과 단절되어 있으며 새로 한반도로 이동해온 우리민족의 기원이다.

6. 비파형 동검과 함께 미송리식 토기는 고조선의 세력범위와 일치한다.

7. 세형동검은 한반도에서만 발견된다.

8. 고조선은 상대부장군 등의 중앙관직을 두고 지방관으로 도위를 파견 하였다.

9. 단군왕검, 소도지역의 천군, 차차웅은 모두 주술사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10. 원시신앙 중 샤머니즘(Shamanism)은 세계적 유형의 원시종교이며 애니미즘(animism)은 우주만물이 모두 영혼을 지니고 있다는 근원적 신앙이었다.

11. 삼한 중 마한이 가장크게 강대하였다. 그중에서도 목지국이 영도세력이 되었다.

12. 신석기시대에는 애니미즘, 샤머니즘, 토테미즘 등의 신앙활동이 있었다.

13. 청동기 문화의 주인공은 무문 토기의 제작사용인들이다.

14. 卵生說話太陽숭배사상과 관련이 깊다.

15. 부여에서는 가뭄이나 장마가 계속되어 오곡이 잘익지않으면 그허물을 왕에게 돌려 왕을 바꾸거나 죽이기도 하였다.

16. 철기문화는 B.C 4세기경 중국의 스키타이 계통의 청동기 문화와 함께전래 되었다.

17. 단군신화의 弘益人間은 고조선이 새로운 지배자에 의해서 새로운 사회질서가 확립 되었음을 말해준다.

18. 櫛文土器人은 뒤에 이동해 온 無文土器人들에게 정복동화되어 우리민족의 주류를 형성 하였다.

19. 청동기인은 주로 구릉지대에 거주하면서 기장수수벼 등을 재배하였다

20. 삼국시대 불교의 유입으로 인해 문화가 크게 발달하였는데 특히 호국사상을 대표하는 仁王經이 널리 읽혔다.

21. 신라의 和白會議와 같은 귀족회의가 있었다는 것은 백제의 政事巖에서의 재상 선출에서 엿볼 수 있다.

22. 고구려 소수림왕 때에 전진에서 순도가 최초로 불교를 전파하였다.

23. 광개토대왕비는 고구려 특유의 예서체로 약 1,800여 자가 수록되어 있으며 주몽의 건국, 왕의 공덕, 능묘의 수묘 등 3부로 구성되었다.

24. 삼국시대 공통적인 지방관으로 도사(道使)가 있어 조세수납군사지휘노동력 동원 등을 담당 하였다.

25. 고대국가체제가 갖추어지면서 노비도 율령체계에 편입되었다.

26. 신라(8C) 문화중 불국사와 석굴암이 이 시기의 문화를 대표한다.

27. 백제가 국호를 남부여로 개칭한 시기에는 22부의 중앙관서와 5, 5방의 내외통치 조직을 완비하였다

28. 본가야를 복속시킨것은 법흥왕때이며대가야를 복속시킨것은 진흥왕때이다.

29. 삼국이 고대국가의 기틀을 마련한 것은 각각 태조왕, 고이왕, 내물왕 때의 일이다.

30. 삼국이 고대국가를 완성한것은 각각 근초고왕,소수림왕,법흥왕때의 일이다.

31. 제가회의, 정사암회의, 화백회의는 국왕중심의 귀족정치가 이루어졌음을 보여 준다.

32. 5소경은 수도의 편재성이 가져오는 지방통치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설치 되었다.

33. 화백제도는 귀족과 왕권사이의 권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담당하였다.

34. 녹읍제도의 부활은 귀족세력의 강화를 의미한다.

35. 통일신라의 국제무역항인 울산항에는 아라비아 상인까지 내왕하였다.

36. 백제가 고구려와 함께 부여계열임을 말해주는 자료로는 왕족의 성이 부여라는 점, 성왕이 국호를 남부여로 칭했다는 점 등에서 알 수 있다.

37. 고구려에서는 삼론종이, 백제에서는 율종이 발달하였다.

38. 신라의 삼국통일 이후 전제왕권이 확립되고 갈문왕 제도가 쇠퇴하였다.

39. 고구려는 초기에 석총이, 후기에 토총이 발달하였다.

40. 신라에서 불교가 늦게 공인된 이유로는 고유한 신앙이 강하여 外來宗敎를 배척 하였기 때문이다.

41. 보우는 원의 임제종을 고려에 전래하여 조선 선종의 주류로 발전시키는 토대를 제공하였다.

42. 4C(미천왕) 고구려는 낙랑을 쳐서 중국세력을 우리나라에서 몰아내는데 성공 하였다.

43. 고구려 광개토대왕은 후연(後燕)을 공격하여 요동을 확보하였다.

44. 원효의 화쟁사상은 교종불교의 제학설을 한단계 높은 차원에서 통합하려는 사상 이다.

45. 신문왕은 유학을 통치이념으로 확립하기 위해 국학을 정비하였고, 설총은 군주 에게 도덕정치를 요구하는 <화왕계>를 지어 신문왕의 노력을 뒷받침하였다

46. 강서대묘에서는 四神圖가 발견되었다. 이외에 백제 송산리 6호분, 타카마쓰 고분, 기토라 고분에서 사신도가 나왔으며 이는 도교적 요소를 엿볼수 있다.

47. 일본화폐가 발해 유적지에서 발견된 바 있다.

48. 신라 골품제도는 고대국가 확대과정에서 족장세력의 대소에 따라 골품이정해졌다.

49. 최치원의 사산비명 중 신라 선종사를 소개하고 있는 것은 [지증대사비문]이며 골품제를 수록하고 있는 것은 [낭혜화상비]이다.

50. 신라 下代 변방을 수비하던 軍鎭세력, 지방 호족세력 등이 독자적인 지위를 확보 하게 되었다.

51. 신라말기 儒佛과 풍수도참사상이 복합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52. 원효는 정토신앙을 통해 十門和諍論을 강조하였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각 종파간의 대립을 조화융화하고자 하였.

53. 황룡사 9층탑, 왕흥사, 백고좌회 등은 모두 호국신앙을 나타낸다.

54. 나말 신라의 역사무대가 중앙에서 지방으로 바뀌기 시작했다.

55. 공의 난(770)‘96각간의 난이라고도 하며 왕위쟁탈전의 시초였다. 왕위쟁탈전은 신라 하대 진골 귀족간의 다툼이다.

56. 통일이후 신라는 주군에 외사정(外司正)을 파견하였다.

57. 신라말의 지리도참설은 송악이 國都가 될 만한 吉地라고도 하였다.

58. 발해의 정혜공주묘는 횡혈식 석실분(굴식 돌방무덤)으로서 고구려계통의 영향을 보여준다. 반대로 정효공주묘는 전축분(벽돌무덤)으로서 당적 문화계통의 영향을 보여준다.

59. 장보고는 청해진을 설치하고 해상무역을 독점하여 커다란 정치세력으로까지 성장 하였다.

60. 원효는 각 종파간의 대립을 조화, 융화하고자 十門和諍論을 지었다.

61. 신라의 이방부(理方部) 발해의 禮部와 그 기능이 같다(형률담당).

62. 신라 민정문서에 의하면 연령별남녀별 인구수가3년마다파악되었다(6등급).

63. 만파식적 고사는 신문왕대의 전제왕권강화와 신라의 평화를 상징한다.

64. 발해사를 처음으로 우리 민족사의 연장으로 보려하였던 것은 유득공의 [발해고] 이다.

우리 나라 역사 편찬 과정

 

1. 삼국시대

배경

한학의 발달

영토 확장과 중앙집권 국가 완성

역사서

고구려 - 영양왕(600) - 이문진 - 신집5

신집5권 이전에 유기100권이 있었음

백 제 - 근초고왕(4C) - 고 흥 - 서기

신 라 - 진흥왕(6C) - 거칠부 - 국사

고려시대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편찬할 때 참고했으나 현존하지는 않음

 

2. 고려시대

고려 초기

특징 - 독자적·자주적 사관의 역사서 편찬

사서 - 황주량7대실록, 김양감가락국기,구삼국사

☞『7대실록』→ 거란 침입으로 소실된 태조목종 실록

☞『가락국기』→ 김수로왕 설화가 담긴 가야 관련 내용

고려 중기

특징 - 보수적·사대적·유교적 사관의 역사서 편찬

사서 - 박인량고금록, 홍관속편년통제, 김부식삼국사기

내용

ⓐ『삼국사기』󰠆󰠏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이후 인종 때 편찬

중국 정사를 모방하여 유교적 입장에서 편찬

기전체 방식으로 신라의 정통성을 강조함

󰠌󰠏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서

무신정변기

특징 󰠆󰠏 새로운 역사 의식의 등장

󰠌󰠏 민족적 자주의식을 바탕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싹틈

사서 󰠆󰠏 각훈해동고승전, 이규보동국이상국집-동명왕편

󰠌󰠏 일연삼국유사,이승휴제왕운기

내용

ⓐ『동명왕편: 1193년 이규보가 민족적 자부심과 외세와의 저항정신을 일깨 우기 위해 동명왕의 건국 서사시 편찬

ⓑ『삼국유사』󰠆󰠏 1281년 충렬왕 때 일연이 편찬

고조선 계승의식에 의해 편찬

불교의 중심 설화와 야사를 많이 수록

󰠌󰠏 단군 신화의 내용을 최초로 수록

ⓒ『제왕운기』󰠆󰠏 충렬왕 때 이승휴가 편찬

중국(상권)과 우리(하권) 역사를 한시로 편찬

우리 역사를 단군부터 실어 민족의 기원으로 삼음

󰠌󰠏 발해사를 처음으로 연구

 

보충학습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비교

구 분

삼 국 사 기

삼국유사

편찬시기

인종 때 (1145)

묘청의 난 진압 후

충렬왕 때 (1281)

원의 간섭기

편 찬 자

김부식

일 연

체 제

기전체

야사체

내 용

왕조 중심의 정사체

삼국시대 역사 서술

설화 중심의 야사체

단군부터 고려까지 서술

특 징

신라 중심의 역사 서술

고구려 계승의식 부정

불교의 입장에서 서술

고조선 계승의식 강조

사 관

보수적 유교사관

자주적 사관

 

원의 간섭 이후의 사서

특징 󰠆󰠏 성리학적 사관의 등장

󰠌󰠏 정통과 대의명분 강조

사서 󰠆󰠏 이제현사략,고려국사, 원부고금록

󰠌󰠏 정가신천추금경록, 민지본조편년강목

내용

사략- 성리학적 춘추사관을 확립, 조선시대 역사학에 영향

※『삼국사기사략의 공통점 =>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

 

보충설명역사서를 묻는 방법

성격

자주적 사관󰠆󰠏고려 초, 무신정변기, 조선 15C, 조선 18C

(=독자적) 󰠌󰠏7대실록, 삼국유사, 동국통감, 동사강목 등

보수적 사관󰠆󰠏고려 중기, 성리학 수용 이후, 조선 1617C

(=사대적) 󰠌󰠏삼국사기, 사략, 기자실기, 여사제강 등

 

서술방식(=편찬방식)

기전체 󰠆󰠏 본기, 열전, , 연표 순으로 편찬

(=정사체)󰠌󰠏 삼국사기 등 대다수 역사서 서술 방식

편년체 󰠆󰠏 , , 일별로 서술(=날짜별 서술)

(=일기체)󰠌󰠏 ~절요, 통감, 실록, 편년

기사본말체󰠆󰠏 사건을 중심으로 서술

󰠌󰠏 연려실기술, 삼국유사도 포함 가능

야사체 󰠆󰠏 이야기 중심의 역사 서술

(=이야기체)󰠌󰠏 삼국유사

강목체 󰠆󰠏 (대의)와 목(세목)으로 나누어 서술

(=통사체)󰠌󰠏 동사강목 대표적

 

3. 조선시대

건국초

특징 - 왕조 개창 정당화하고 성리학적 통치규범을 정당화시키는 사서 편찬

사서 - 정도전고려국사, 권근동국사략

 

15C 중엽

특징 - 성리학적 대의명분보다 민족적 자각과 왕실의 위신을 높이는 사서 편 찬

사서 󰠆󰠏 김종서고려사,고려사절요

󰠌󰠏 서거정삼국사절요,동국통감

내용

ⓐ『동국통감』󰠆󰠏 성종 때(1484) 서거정이 편찬

고조선에서 고려 공양왕 때까지의 역사를 수록

우리 나라 최초의 편년체 통사

󰠌󰠏 단군을 민족의 시조로 하여 민족사의 새로운 개척을 제시

 

16C 사서

특징 󰠆󰠏 사림에 의한 존화주의왕도주의 사관

󰠌󰠏 단군 조선이 부정되고 기자를 더 높이 숭상

사서 󰠆󰠏『기자실기- 기자 중심

󰠌󰠏『동사찬요,표제음주동국사략- 중국 중심

내용

ⓐ『동사찬요-동국통감을 전면 부정하고 새롭게 편찬

영향

긍정적󰠆󰠏민족적 자부심에 의한 소중화 의식으로 왜와 여진 무시

󰠌󰠏애국심을 높여주는 역할로 왜란과 호란 때 의병을 조직

부정적 - 국제정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여 양난을 격음

 



18C 실학저 사서

특징 -- 실학적 사서 편찬

사서

안정복동사강목』󰠆󰠏 한국사의 독자적 정통론 체계화

한백겸 이후 삼한정통론 체계화

󰠌󰠏 고증사학의 토대 마련

삼한정통론=>단군-(기자조선)-삼한(마한)-삼국-통신으로 연결

이종휘동사』󰠆󰠏 만주 중심의 북방사 체계화

고대사의 시야를 만주까지 확대

󰠌󰠏 반도 중심의 협소한 사관 극복

유득공발해고』󰠆󰠏 발해사의 체계적 서술에 노력

󰠌󰠏 발해를 신라와 함께 남북국으로 규정

한치윤해동역사- 외국의 많은 자료를 이용 민족사 인식의 폭 확대

이긍익연려실기술- 실증적객관적 역사서술에 노력

 

보충학습조선왕조 실록

편찬임금 : 태조실록철종실록까지 25대 임금

편찬시기 : 태종 때 태조 실록이 처음 편찬

편 찬 처 : 춘추관 내의 임시관청인 실록청

편찬방식 : 그날 그날의 사건을 낱낱이 기록한 편년체

편찬사료󰠆󰠏 사관이 임금의 언행을 기록한 사초를 기본자료

󰠌󰠏 시정기, 의정부등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보조자료

특징 󰠆󰠏 왕 사후에 편찬

조선시대 연구의 가장 귀중한 자료

조선시대 문화 수준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

일단 편찬된 실록이라 할지라도 붕당 하에서 개수 가능

󰠌󰠏 연산군과 광해군은 일기로 표기했지만 실록으로 인정함

수정실록을 갖는 임금 : 선조, 현종, 경종

실록보존 󰠆󰠏 세종 때 4대사고 : 춘추관, 충주, 성주, 전주

임난 때 전주사고본만 묘향산으로 옮기고 나머지는 소실

광해군 때 5대사고로 정비

이괄의 난으로 춘추관사고본 소실

󰠌󰠏 현존실록은 태백산본과 정족산본만 현존

 

4. 개항기

근대 계몽 사학의 성립

박은식, 신채호, 장지연 등 활동

영웅들의 전기 편찬

외국 흥망사와 독립사 편찬

항일 저작물 간행 오수불망, 금수회의록

민족주의 사학의 방향 제시

민족 고전의 정리 및 간행 : 조선광문회 - 최남선, 박은식 중심

사학자

장지연 : 백두산 정계비고, 대한 최근세사, 대한 강역고

민족 주체성과 조국 정신 고취

신채호 : 독사신론, 을지문덕전, 이순신전, 강감찬전, 최도통전

민족 정신 고취

박은식 : 연개소문전, 안중근전, 이준전

현 채 : 동국사략, 유년필독(=근대학교의 대표적 역사 교과서)

정 교 : 대한계년사

황 현 : 매천야록

 

5. 일제시대

식민사관

특징

일제가 우리 역사의 부정적 측면을 강조한 사관

우리 민족의 뿌리와 근본을 무시한 사관

단군 조선을 부정하고 고대사 왜곡이 가장 심함

우리 역사를 왜곡날조한 사관

이론

만선사관 일선동조론

임나일본부설 내선일체론

당파성론 후진성론

정체성론 타율성론

연구단체

조선사 편수회 고적조사위원회

법전조사국 청구학회

 

민족주의 사관

특징

한민족의 기원을 밝힘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한국사의 주체적 발전을 강조

민족정신 강조

학자

박은식 󰠆󰠏 근대사 연구에 노력

역사는 신()이요, 나라는 형()이라고 강조

한국통사 - 근대 이후 일본의 조선 침략 과정 서술

한국독립운동지혈사 - 일제 침략에 대한 한민족의 독립운동 서술

󰠌󰠏 민족 혼강조

신채호 󰠆󰠏 고대사 연구에 노력

민족주의 역사학의 기반 확립

조선상고사 - 역사를 아()와 비아(非我)의 투쟁으로 인식

조선사연구초 -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극찬

독사신론 - 삼한정통론에서 벗어나 고대사의 체계를 정립

󰠌󰠏 낭가사상강조

정인보 󰠆󰠏 근대사 연구에 치중

신채호의 민족주의 사관 가장 잘 계승

조선사연구 - 실학 연구에 노력

󰠌󰠏 5천년간의 조선의 강조

문일평 󰠆󰠏 근대사 연구에 노력

50년사 - 개항 이후 역사 연구

󰠌󰠏 조선심강조

최남선 󰠆󰠏 조선역사, 고사통, 아시조선

󰠌󰠏 불함문화권 주장

 

실증주의 사학

특징

역사적 사실의 객관성 강조

사실 그대로의 역사 강조

문헌 고증을 통한 역사 연구

진단학회 결성

일제의 청구학회를 중심으로 한 왜곡돤 한국사 연구에 반발하여 조직

1934년 조직하여 1942년 일제에 의해 해체

학자 - 이병도, 김상기, 신석호, 이상백, 이윤재, 조윤제, 손진태 등

 

사회경제 사학

특징

일제의 경제학자들이 우리 역사의 후진성과 정체성을 강조한데 반발

유물론적 변증법에 의한 역사 연구 강조

세계사적 역사 발전 단계설을 우리 역사에 적용함

일제가 주장하는 한국사의 특수성론을 배척하고 보편사의 이론 적용

학자

백남운 󰠆󰠏 유물사관의 입장에서 한국사를 체계화함

󰠌󰠏 조선사회경제사, 조선봉건사회 경제사

기타 - 김석형, 이청원, 박극채

 

 

'한국사 > 분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빈출 지문 정리 4 - 근현대사  (0) 2019.03.17
빈출 지문 정리 1 - 선사시대~고대국가  (0) 2019.03.17
고대의 불교 - 교종, 선종  (0) 2019.03.17
조선시대 농서  (0) 2019.01.01
조선시대 지리서, 백과사전  (0) 2019.01.01

조선 전기

 

. 조선사회의 성격

양반관료사회 - 귀족 중심의 중세사회에서 문무 양반 관료체제 성립.

과전법 체제 - 토지에 대한 사적 지배가 진전, 양인 자작농의 증가로 농민의 지위 상승.

특수 행정구역의 소멸 - 부곡의 소멸로 양인의 증가(천민의 양인화).

성리학의 정치이념화 - 억불숭유 정책과 성리학이 일반국민의 일상생활의 규범이 됨.

국민국가의 기반 마련 - 한글의 창제, 단군국조(檀君國祖)관념 등의 민족의식 고취, 우리 역사지리에 대한 관심 고조, 대외적으로 국경선의 확장에 따른 국경의식의 성장.

 

. 양반관료사회의 성립

1. 조선의 건국 배경 위화도 회군(정치적, 군사적 권력 장악)

사전개혁(경제적 권력 장악)

조선 건국의 주체세력 - 정도전조준 등의 강경파(역성혁명파)의 신흥사대부와 이성계 를 중심으로 하는 무인세력농민군사세력.

 

 

2. 조선의 중앙집권화 과정(왕권강화 과정)

태 조

태 종

세 종

세 조

성 종

* 기본 정책

- 농본억상 정책

- 억불숭유 정책

- 사대교린 정책

* 병제 - 의흥삼군부

* 억불책 - 도첩제 실시

* 관리임용제도 정비

-

음양이과문음 등 7과로 정비

 

* 왕권강화책

- 사병혁파, 6조직계제 실시, 사원정리

* 주민통제

- 호패법 실시

- 호적정리(3년마다)

* 양전사업(20년마다)

* 지방제도 개편

- 8도체제 확립

* 학문의 장려

- 집현전 설치

* 한글 창제

* 의정부 서사제

* 불교의 정리

- 선의 통합, 36개 로 정리.

* 음악정리

- 관습도감(박연)

* 활자개량(갑인자)

* 화폐발행(조선통보)

* 토지세제개혁

- 전분6, 연분9등법

* 과학기술의 발달

- 측우기, 대소간의,

자격루, 앙부일귀 등

- 칠정산 내(아라 비아의 영향)

* 서적편찬

- 농사직설, 의방유취,

효행록, 삼강행실도,

용비어천가 등.

* 영토확장사민정책

- 서북4, 동북6

* 삼포개항과 계해약조

* 계유정난으로 등극.

- 이징옥, 이시애의 난 진압

* 왕권강화책

- 집현전 폐지,

6조직계제 부활

* 군제개편

- 중앙군(5)

- 지방군(진관체제)

* 경국대전 편찬착수

- 형전 완성

* 직전법 실시

* 홍문관 설치

* 규형인지의 제작

 

* 중앙집권 완성

 

* 편찬 사업

- 동국통감

- 동국여지승람

- 삼국사절요

 

* 경국대전의 반포

 

* 도첩제의 폐지

- 승려의 출가 금지

 

* 관수관급제 실시

 

* 5가작통법제정

 

. 조선사회의 정치구조

 

1. 무 양반의 관등체계

(1). 조선 정치 체제의 특징 - 재상권과 합의제 발달, 광범위한 겸임제 발달(중요 관서의 책임자는 당상관 이상), 관계 안에 일정한 구분이 있음(당상관 정3품 이상, 참상관 종6품이상)

(2). 관등체계 - 18품계가 기본, 각품에 정9품이 있고, 6품이상은 상하로 구분이 되어 있어 총 30 등급.

2. 중앙 정치 기구

의정부

영의정(1)

백관과 서무를 총괄하는 최고 회의 기관

6

판 서(2)

공조 등 행정 실무관장

승정원

도승지(3)

왕명출납

의금부

판 사(1)

특별 사법기관

삼사

사헌부

대사헌(2)

감찰기관

사간원

대사간(3)

간쟁기관

홍문관

대제학(2)

학술기관

한성부

판 윤(2)

서울의 치안과 행정 담당

사 관

교서관

제 조(12)

서적편찬

성균관

지 사(2)

교육기관

예문관

대제학(2)

교서제정

승문원

도제조(1)

외교문서 작성

 

3. 지방제도

(1). 8도 체제(태종) - 전국을 8도로 나누고, 그 아래 부현을 설치

- 도에는 관찰사를 파견(방백) : 행정권과 병권 관할, 임기는 360, 상피제도 적용

- 군현의 수령(목민관) : 임기는 1800, 상피제도 적용

 

(2). 지방관의 임무 - 農桑盛戶口增學校興軍政修賦役均詞訟簡奸猾息 등이고 조세와 공물의 징수가 가장 중요.

 

(3). 지방 통제기구(효율적인 지방통치를 통한 중앙집권 목적)

향청 - 유향소의 후신

- 조직 : 지방의 양반층으로 구성(향안이 지방 양반의 등재명부)

- 대표자 : 좌수와 2명의 별감

- 역할 : 수령의 감시 및 보좌, 향리규찰, 풍속교정, 민정대표, 정령의 시달.

 

경재소 - 서울에 설치

- 구성 : 각 지방 출신의 중앙관리로 구성

- 역할 : 해당 지방의 제반사 주관, 서울과 지방간의 연락담당.

경저리 - 지방 향리를 서울에 상주시킴.

- 해당지방의 공부를 수납.

 

4. 조선사회의 군사제도

(1). 조선전기의 군역제도 - 1660세의 丁男은 원칙적으로 군역의 의무가 있음.

- 양인개병제, 농병일치제

- 保法의 제정(세조) : 양인은 정병이 되거나, 保人(봉족)이 되어 비용을 부담.

- 법제적으로 양반도 군역의 의무가 있음, 향리와 노비는 원칙적으로 군역의 의무 면제.

- 군역의 변질 - 15세기 말에는 대립제, 16세기에는 방군수포현상이 성행

군적수포제로 법제화하여 전기의 의무병제에서 납포군화 현상 발생.

 

(2). 전기의 중앙군(5) 구성 - 의흥위(서울중부방비), 용양위(서울동부경상도), 호분위(서울서부평안도),

충좌위(서울남부전라도), 충무위(서울북부함경도)

병종 - 전문적인 직업군인과 의무병(정병)으로 구성.

 

(3). 전기의 지방군(영진군) 진관체제의 성립(세조) - 각도에 병영과 수영을 설치

- 군사 중요지점에 진을 설치(주진 : 병사가 있는 곳, 거 진 등) : 거진을 중심으로 여러진을 진관으로 편성.

- 병사와 수사가 파견 : 원칙적으로 관찰사가 병사나 수 사를 겸임하였으나, 병영이나 수영이 2개 이상 설치 된지역에는 전임 병사나 수사 를 파견.

관찰사가 전임병사나 수사보다 권한이 큼.

 

(4). 전기의 특수군 - <잡색군> - 예비군적 성격

- 전직관료, 향리, 학생, 노비 등으로 구성(농민은 제외)

- 주로 내륙지방을 방비하기 위해 설치.

- 임진왜란 때 의병조직 하는 데 유리.

 

5. 조선사회의 교육과 과거제도

(1). 교육제도 유학교육 - 서당 : 양반자제의 초등교육 담당

- 향교 - 각 지방에 설치한 중등교육기관, 양반 뿐 아니라 양인의 입학도 허용

- 구조는 명륜당(강의실), 문묘, 양재(기숙사)와 기타건물로 구성(성균관과 동일).

- 4부학당 - 서울에 설치한 중등교육기관으로 향교와 달리 문묘가 없음.

- 성균관 - 국립대학으로 고등교육기관

- 15세 이상의 양반자제, 향교4학의 졸업자 또는 생원과 진사가 입학

- 구조 : 명륜당, 문묘, 양재, 존경각(도서관), 비천당(과거시험보는 곳)

기술교육 - 고려시대와 달리 모든 기술교육을 해당관청에서 담당.

의학

전의감

천문, 지리

관상감

역학

사역원

도교

소격서

산학

호조

회화

도화서

율학

형조

 

 

(2). 과거제도 문과 - 소과 : 생원과 진사 시험(급제자에게 백패지급)

- 대과 - 초시(100), 복시(33), 전시(순위만 결정) : 급제자에게 홍패 지급, 참상관(6)

- 응시자격 : 원칙적으로 양인이상이면 응시 가능(, 공업자 서얼 등은 제한)

- 시기 : 3년마다 보는 정기시험

무과 - 초시(200), 복시(28), 전시(순위만 결정) : 장원제도가 없음

잡과 - 기술관 등용시험, 전시가 없음

승과 - 중종 대에 폐지

(3). 문음제도 : 2품이상의 관리 자손은 과거시험을 보지 않고 관직을 수여(고려 : 5품이상)

(4). 기타 특별시험 - 증광시(특별한 경사), 알성시(왕의 문묘 참배시), 별시(국가적인 경사), 백일장(시골유생의 학업장려),

도시(무관선발), 취재(특정직의 기술관임용), 유일(추천에 의한 시험 : 조광조의 현량과)

 

. 조선사회의 경제사회구조

 

1. 조선전기의 신분구조

 

<조선 전기의 양천제> - 조선전기에는 양인과 천인으로 신분이 구분, 16세기 이후에 양반, 중인, 상민, 노비 로 구분됨.

양인 양반 - 무관리, 관리로서의 과전을 지급받고 사유지인 공신전별사전 등을 지급받음

- 양반도 원칙적으로 군역의 의무를 지나 현실적으로 불역.

중인 - 하위 지배층, 기술관서얼향리 등이 중인층을 형성.

상민 - 농민 - 원칙적으로 과거에 응시가능하고 조세, 공납, 역의 의무를 지는 계층

- 대부분의 농민들은 자영농민 이나 소작농의 지위에 있음.

- 상민 - 상인과 수공업자, 군역의 의무 대신 국역의 의무를 짐, 과거 응시가 제한됨.

천인 노비 - 최하위 계층, 매매상속증여의 대상, 원칙적으로 군역의 의무가 없음, 노비종모법에 따라 신분세습.

- 공노비 : 선상노비(직접 노동력 제공), 납공노비(일정한 신공만을 납부)

- 사노비 : 솔거노비(직접 노동력 제공),

외거노비(주인과 따로 거주, 경제적 독립 인정, 경제적 지위가 양인인 소작농 과 비슷한 계층)

기타 천인 - 노비를 제외한 기타 천인은 법제적으로는 신분이 양인임.

- 백정(피혁, 유기제조업), 광대, 무당, 창기 등

- 신양역천 : 조예, 나장, 일수, 조군, 수군, 봉수군, 역졸

 

2. 조선시대의 경제구조

(1). 기본 정책 - 농본 억상 정책에 따라 농업을 중시, 상업과 수공업은 통제(관영으로 운영), 대외 무역의 부진

 

(2). 토지제도

과전법 제도(공양왕,1391) - 직역에 따라 국가에서 과전 지급

- 수조권에 따라 공전과 사전으로 분류

- 과전은 세습되지 않는 것이 원칙, 그러나 수신전, 휼양전의 명목으로 세습됨.

- 과전법 하에서는 병작반수가 금지, 농민의 경작권 보장(농민의 지위향상)

- 과전의 지급은 경기내의 사전에 한함.

- 현직 18등급으로 차등지급, 수확량의 10분의 1로 전주에게 지급하 고 전주는 그 중에 15분의 1로 국가에 납부.

직전법(세조, 1466) - 현직자에게만 과전을 지급

관수관급제(성종, 1470) - 국가에서 조세를 직접 거두어 지급함, 조와 세의 구별이 없어짐.

직전제의 폐지(명종, 1556) - 관리에게 녹봉만을 지급, 양반의 병작반수제 성행, 농장 등의 사유지가 확대됨.

 

(3). 조선사회의 조세제도

전세제도 - 손실답험법 : 국초의 제도, 10분의 1

- 공 법 : 세종대에 전분6등법과 연등9등법에 의해 최고20두에서 최저4두를 납부(15분의 1)

- 영 정 법(1635) : 1결당 4두로 고정(자영농에 유리하고 병작농은 불리한 제도)

 

의 의무 - 군역 : 병농일치제양인개병제로 양인이상이면 원칙적으로 군역의 의무가 있음

- 요역

- 군역의 변질 : 15세기 말에는 대립제, 16세기에는 방군수포제, 군적수포제로 변질.(전기의 의무병제에서 2필의 군포를 납부하는 납포군화, 모병제의 성립)

 

공납의 의무 - 왕실과 관청의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 현물로 징수하는 제도.

- 상공과 별공, 진상이 있음(상공보다 별공이나 진상이 농민에게 더 큰 부담)

 

(4). 조선전기의 상업과 수공업 수공업 - 조선 전기는 관영 수공업이 중심

- 관장 : 공장안에 등록되어 각 해당관청에 소속됨, 신분상으로는

대부분 공노비

- 사장 : 사영수공업자, 양반들의 주문품 생산과 농기구 등을 제작.

- 사원경제 : 제지양조업에 진출

- 가내수공업 : 주로 면포면직의 제작에 종사

상 업 - 농본억상 정책에 따라 국가의 통제를 받음, 어용적, 관허상인 중심 으로 운영.

- 시전상인(관허상인) : 금난전권을 갖고, 국가에 세를 부담하는 어 용상인(특히6의전).

- 보부상(관허상인) : 주로 지방 장시를 중심으로 활동

- 경시서 설치 : 시전을 감독, 도량형의 검사, 물가의 조절 등 상업통제

- 지방장시의 발생 : 15세기 말부터 발생, 16세기 이후에는 전국적으 로 확산, 조선정부는 장시의 성행을 통제함.

 



3. 조선사회의 사회제도

(1). 조선전기의 신분제도 - 천제

 

(2). 가족제도 - 가부장적 가족제도 : 유교적 질서에 의해 통제, 강상죄(불효죄)를 반역죄와 더불어 중되로 처리.

 

(3). 법률

법전의 편찬 - 세조대에 착수하여(호전과 형전완성) 성종대에 완성

조선시대 법전의 변천

태조

태종

세종

성종

영조

정조

고종(대원군)

* 조선경국전(정도전)

* 경제문감(정도전)

* 경제육전(조준)

* 원육전,속육전

* 정전6

* 육전등록

* 경국대전

* 속대전

* 대전통편

* 대전회통

 

법률 형법 - 가장 중요하게 취급, 주로 대명률에 의함, 반역죄와 강상죄가 중죄, 연좌법 적용

- 형벌은 태(곤장)(공장)(징역)(유배)(사형)

- 사법기관 : 3법사(사헌부, 형조, 한성부), 의금부(특별사법기관), 포도청(일반치안),

장예원(노비담당) .

민법 - 주로 관습에 의해 처리

지방관의 권한 - 수령(목민관)은 민사, 경범, 태형의 사법권이 있고, 관찰사는 모든 범죄를 다루었으나, 중죄와 사형은 중앙에 보고하고 처리

 

. 조선전기의 사상과 문화

 

1. 억불숭유 정책

(1). 관학파의 형성과 성격(조선전기의 사회성격)

형 성

* 고려말의 역성혁명파, 세조의 왕위찬탈에 동조한 세력 등 훈구파

성 격

* 중앙집권과 부국강병을 추구

* 15세기 문화를 주도한 세력 - 사장을 중시, 각종 편찬사업 실시, 관학중심

* 공리주의를 중시 - 격물치지적 학풍경험적 학풍

* 성리학 이외의 불교도교풍수지리설민간신앙도 포용

* 과학과 기술, 문화와 예술에도 관심을 보임

 

(2). 불교정책 - 태조 : 도첩제의 실시(승려의 수를 제한하는 조치)

- 성종 : 도첩제를 폐지하여 출가를 일체 금지함.

- 중종 : 승과제도를 폐지

* 세조 : 간경도감을 설치하고 불경을 언해, 원각사 중건

 

(3). 도교와 민간신앙 - 국가에서 도교행사 주관 : 소격서를 설치하고 도교행사를 주관(삼청동에 제단을 세우고 초제를 지내고 마니산 초제를 지냄)

- 민간신앙을 국가신앙으로 흡수 : 무당을 국가에서 채용, 평양에 단군사당 건립 등.

 

2. 훈민정음의 창제 - 목적 : 대민교화의 필요성에 의함(세종,1443에 제작되어 1446년에 반포)

- 한글서적 보급 : <월인천강지곡>, <용비어천가>, <석보상절>, <동국정운>, 불경언해, 농서, 병서

- 사용계층 : 부녀자나 피지배계층이 사용, 식자층은 여전히 한자를 사용.

 

3. 편찬사업의 전개

 

(1). 조선전기 편찬사업의 성격 - 유교정치에 따른 통치를 위한 실용적인 성격의 서적이 편찬됨.

 

(2). 역사서

실록의 편찬 - 내용 : 태조에서부터 철종대까지의 실록을 제작

- 보관 : 춘추관충주성주전주에 보관(이 중 임진왜란 시 전주사고본을 제외한 다른 사고본은 소실됨.)

- 편찬기관 : 춘추관 내에 임시로 실록청을 설치하고 왕의 사후에 편찬

- 참고자료 : 사초, 의정부 등록, 비변사 등록, 일성록, 승정원 일기, 시정기 등을 참고로 실록 편찬.

- 국조보감 : 실록내용을 압축하여 경연 참고서로 편찬

- 개수실록 : 선조, 현종, 경종의 개수실록이 편찬(당쟁과 관련되어 왜곡된 부분을 바로잡기 위해)

 

편찬자

시대(서술체제)

내 용

고려국사

정도전

여말태조(편년체)

이제현의 고려국사 계승, 성리학적 사관

동국사략

권근, 하륜

태 종(편년체)

단군조선에서 신라 말까지의 역사, 신라중심서술

고 려 사

김종서,정인지

세종문종(기전체)

자주적 입장에서 서술

고려사절요

김종서

문 종(편년체)

자주적 입장에서 서술

동국통감

서거정

성 종(편년체)

최초의 통사, 단군조선을 민족사의 시조로 정립

삼국사절요

서거정

성 종(편년체)

삼국시대의 역사를 자주적으로 정리.

(3). 지리서, 지도

서 적 명

편찬자

시대

내용

지 도

혼일강리도

이 회

태종

* 현존하는 동양최고(最古)의 세계지도

- 중국중심적 사관 반영

팔도도

정척, 양성지

세종세조

* 인지의를 이용한 최초의 실측지도

- 북방에(압록강) 대한 관심을 반영.

지리지

팔도지리지

윤회, 신색

세종

* 최초의 인문지리서(경상도지리가 현존)

세종실록지리지

정인지, 노사신

단종

* 동국여지승람의 모범

- 히 단군신화가 수록

동국여지승람

강희맹

성종

* 조선전기 인문지리서의 완성본

신증동국여지승람

이 행

중종

* 현재 전하는 인문지리서.

 

(4). 윤리서 - 삼강행실도(설순)

- 국조오례의(신숙주) : 국가적 의례에 관한 정리서 ( 제례 등의 서민의 예는 주자가례에 의함)

- 효행록(설순)

 

4. 과학의 발달

 

(1). 발달 배경 - 조선전기의 관학파의 성격과 관련됨.

- 조선전기는 부국강병과 중앙집권을 추구, 공리주의, 격물치지적 학풍으로 과학, 기술도 중시함.

- 따라서 조선전기는 농법천문의학인쇄술무기의 발달이 현저함.

16세기의 사회성격과 구분되는 점(, 이해필요)

 

(2). 농법의 발달 - 시비법 발달, 연작상경법, 부 일부지방에 이앙법 보급, 수리시설의 신축보수, 新田의 개발 등.

- <농사직설> : 세종대에 정초가 저술, 촌로들의 의견을 들어 우리 현실에 맞는 농법보급 목적,

이앙법을 소개(이앙법의 보급을 경계함)

- <금양잡록> : 성종대에 강희맹, 지방에서 직접 경험한 농법기록

 

(3). 천문기상학의 발달(서운관 후에 관상감) - 천체관측 : 혼천의, 간의(세종)

- 시간관측 : 앙부일귀(해시계), 자격루(물시계)

- 우량관측 : 측우기

- 토지측량 : 인지의, 규형(세조)

 

(4). 의학의 발달 - <향약집성방>, <의방유취>

 

(5). 인쇄술의 발달 - 태종대의 계미자, 세종대의 갑인자 등

 

(6). 무기의 발달 - 화포의 제작, 화차제작, 비격진천뢰 제작, 태종대에 거북선 제작

- <진도> : 태조대에 정도전이 저술, 전술과 부대편성방법에 관한 내용 수록

- <병장도설> : 세종대에 집현전, 군사훈련 교본, 화포제작과 방법 수록

- <동국병감> : 문종, 고려말까지의 전쟁사를 정리.

 

5. 문학과 음악

 

(1). 문학의 발달 - 한문학 : 조선시대 문학의 주류, 특히 관학파는 경학보다 사장을 중시, 양반들의 필수 교양.

서거정의 <동문선>, 서거정의 <필원잡기>, 성현의 <용재총화>, 김시습의 <금오신화>

- 국문학 : 훈민정음의 창제로 발전.

악장의 발달(용비어천가), 가사의 발달(정극인의 상춘곡, 정철), 단형시조의 발전.

 

(2). 음악의 발달 - 아악의 정리 : 세종대에 설치된 관습도감, 박연

- 성종대에 <악학궤범> 편찬

- 민간음악 과 특수 음악 : 농악, 가곡, 범패 등

 

6. 예술의 발달

 

(1). 서예의 발달 - 양반들의 필수 교양으로 발전.

- 조선전기의 4대가 : 안평대군(조맹부체), 김구(인수체), 한호(한석봉), 양사언(초서에 능함)

 

(2). 회화 - 15세기 회화의 특징 : 그림은 장인들이 하는 일이라 기피, 양반 중에는 취미 삼아 그림을 그림(강희안)

문인화(강의안), 산수화초상화 발달(장인들이 그림), 관념적 산수화 유행.

전기의 그림은 중국의 화풍을 모방, 예술성보다는 기계적인 모사에 치중.

- 주요 화가 - 안견(장인, 도화서 소속) : <몽유도원도>, <적벽도>

- 강희안 : <고사관수도>, <산수인물도>

- 최경(장인) : 산수화 인물화의 대가, <채희귀한도>

- 이상좌(노비출신 장인) : <송하보월도>, <관음도>, <월광보살도>

- 일본 무로마치 시대의 미술에 영향을 미침.

 

(3). 공예 - 특색 : 생활필수품이나 사대부의 문방구 등과 관련하여 특색있는 발달, 실용적서민적 성격

- 자기의 발달 : 분청사기와 백자의 발달.

 

(4). 건축 - 특색 : 고려시대에는 사원건축 중심, 조선시대에는 도시의 궁궐, 성곽성문학교 건축이 발달.

- 조선전기의 건축물 : 해인사 경판고, 창덕궁 돈화문(현존 서울시내 최고 목조건축물), 경복궁창덕 궁창경궁과 남대문 등 4대문, 신륵사 조사당, 원각사 10층석탑(고려 경천사 탑의 영향) .

 

 

. 조선전기의 대외관계

 

1. VS. 명관계

 

(1). 기본정책 - 친명 사대외교 : 단 건국 초에 정도전에 의해서 정명계획이 세워지기 함.

 

(2). 사신의 파견 - 1년에 정기적으로 3차례 파견이 원칙, 나중에 동지사가 추가됨, 그 외에 비정기사 파견

- 하정사(賀正使) 또는 정조사(연초에 파견), 성절사(명 황제의 생일), 천추사(황태자 생일),

동지사(연말)

 

(3). 대명무역 - 수출품 : 마필인삼화문석 등

- 수입품 : 견직물서적약재문방구도자기 등

 

2. VS. 여진관계

 

. 和戰 양면 정책 - 강경책 - 국방상의 국경선 확보와 농지 확보를 목적으로 북방지방 개척, 북방개척을 위해 조선 초에 사민정책을 실시.

- 두만강 유역 확보 : 세종, 김종서, 동북6 설치(경성, 경원, 종성, 온성, 회령, 부령)

- 압록강 유역 확보 : 세종, 최윤덕이천, 서북4 설치(여연, 우예, 자성, 무창)

- 회유책 : 여진족의 귀순 장려, 관직토지주택 등 제공, 무역소 설치(경원, 경성),

북평관(사신숙소)설치

 

3. VS. 왜관계

 

. 和戰 양면 정책 - 강경책 : 세종대에 이종무가 쓰시마섬 토벌.

- 회유책 - 귀화장려, 동평관(사신숙소) 설치,

- 제한된 조공무역 허용(삼포개항 : 부산포, 제포, 염포), 도서(조선측의 무역허 가증)문인(대마도주가 발행)을 표시하고 교역을 허용.

- 계해약조(세종:1443) : 세견선 50, 세사미두 200, 3포에 거류할 왜인의 수를 제한.

- 신숙주의 <해동제국기> : 일본의 사정을 쓴 일본여행기.

- 무역품 : 수출(, 무명, 삼베, 서적, 공예품), 수입(구리, , 향료, 약재)

 

4. 기타 동남아시아 - 조선 초기에 사이암(태국), 자바 등 동남아시아 각국과도 교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