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의 사회


1. 삼국시대 사회

(1) 삼국시대 사회 성격

계층상의 차이가 분명한 계급사회

귀족, 평민, 노비 등 엄격한 신분제도 마련 - 중인층은 별도로 없음

법률이 엄격한 율령사회로 사형제도 존재

개인의 능력보다 친족의 신분을 중시한 신분중심 사회 - 골품제 사회

 

(2) 고구려 사회

지배계층 

󰠆󰠏 왕족 : 계루부 고씨 왕위 세습

󰠌󰠏 귀족 : 5부족 출신 -> 사병 소유 가능

피지배층 - 농민이 중심이고 농민을 보호하기 위해 진대법 마련

법률

반역자나 패군자·살인자는 사형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12배로 배상

우마를 죽인 자는 노비로 삼음

 

(3) 백제 사회

지배계층 󰠆󰠏 왕족 : 부여씨 왕족

󰠌󰠏 귀족 : 8대 성씨를 중심으로 한 연합정치

피지배층 - 대다수 농민이 중심이고 천민과 노비 존재

법률

살인자, 패전자는 모두 사형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2배로 배상

간음한 자를 노비로 삼음

 

(4) 신라 사회

씨족사회의 전통을 계승한 화백과 화랑도

골품제를 중심으로 한 폐쇄적 신분사회

 

(5) 골품제도

성립 배경

지방의 족장 세력을 중앙의 관리로 통합 편제하는 과정

내용

성골

부부가 모두 왕족으로 왕이 될 수 있는 최고의 신분

진덕여왕 이후 소멸하고 진골 귀족이 왕위 계승

갈문왕 제도 마련

 

심화학습갈문왕 제도

의미 : 국왕의 생부, 장인, 형제와 여왕의 남편에 부여하는 특별 존칭

유사제도 : 고구려 - 고추가, 백제 - 길사, 조선 - 대원군 제도

上代 - 성골이 왕위를 계승할 때 갈문왕 제도 존재

中代 - 무열왕계가 왕위를 계승하면서 소멸

下代 - 왕위쟁탈전으로 왕권이 약화되어 다시 부활

 



진골

5관등인 대아찬 이상의 관직을 독점

17관등의 관직을 모두 할 수 있음

무열왕 이후 왕위계승

모든 관직의 장관을 독점하고 화랑과 장군이 될 수 있음

집의 규모를 24척으로 규정

다른 나라 왕족도 편입 가능 - 김유신, 안승

6두품

지방의 대족장 출신 - 주로 경주 지방 사로 6촌이 중심

관직 진출의 한계성 때문에 6관등인 아찬까지 승진

학문과 종교 활동에 전념 - 원효, 설총, 최치원

도당 유학생 다수 배출

신라하대 반신라 세력으로 성장

각부 차관인 시랑과 경을 역임

집의 규모는 21척으로 규정

5두품

10관등인 대나마까지 승진 가능

4두품

12관등인 대사까지 승진 가능

특징

개인의 신분뿐 아니라 친족의 등급 표시

사회활동과 정치활동의 범위 결정

관등과 밀접한 관계

골품의 한계를 극복할 수 없음

중위제 마련 - 골품의 한계를 넘지 않고 승진 가능한 제도

붕괴

신라하대 중앙 정치의 문란으로 붕괴

중세 능력 중심의 사회로 발전하는 계기

 

(6) 화백제도

씨족사회에서 유래된 만장일치 제도

집단의 부정 방지와 결속 강화가 목적

귀족 세력과 왕 사이의 권력을 조절 - 귀족 연합 정치 성격

법흥왕 때 마련된 제도로 의장을 상대등, 구성원을 대등이라 함

4영지를 중심으로 회의(-청송산, -피전, -오지산, -금강산)

 

(7) 화랑도

옛 씨족 사회의 청소년 집단에서 유래

진흥왕 때 공인

계급간의 갈등을 조절·완화시키는 기능

유교 경전과 무예를 교육하는 전사단체

화랑은 진골귀족이고 낭도는 다수의 6두품 이하(서민도 가능)로 구성

원광법사의 세속오계 기본정신

사회 중견 인물을 양성하는 교육단체

임신서기석(진평왕, 612) - 신라 화랑의 유교 경전 학습 사실 입증

 



2. 남북국가의 사회

(1) 통일신라 사회의 특성

우리 민족이 하나의 통일된 정부 수립

영역 확대와 인구 증가로 국가 경제력 증대

단일한 민족 문화와 사회를 이룸 => 이유 : 삼국 사회가 혈연적 동질성과 문화적 공통점을 많이 지녔기 때문

 

(2) 신라 중대 사회

왕권이 전제화되었으며 성골 왕위가 진골 왕위로 변화

국왕의 정치적 조언자로서 6두품 세력의 부각

6두품이 집사부 시랑직에 임명

 

(3) 신라 하대 사회

6두품 세력

중앙 권력에서 점차 배제

유교 이념을 내세워 국가 체제 내에서 개혁을 시도했으나 거부함

반신라화로 호족과 연결

교종의 권위에 도전하는 선종의 등장에 주도적 역할 수행

호족 세력

풍수지리설 수용에 적극적임

방대한 토지를 소유하고 백성을 지배함

지방의 징세권과 군사권까지 장악함으로써 지방 분권 현상 초래

새로운 관료제를 만들어 백성들을 통치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공고히 함

지방에 학교를 설치하여 학문을 지방으로 확산시킴

고려의 왕조의 건설에 주동적 역할 담당

 

(4) 발해의 사회

지배층은 왕족인 대씨와 귀족인 고씨 등 고구려인 계통으로 구성

대다수 말갈족은 촌락에 거주하며 농경에 종사

촌락은 촌장을 통하여 국가의 지배를 받음

말갈족 사회의 내부 조직은 그대로 보존

고대의 경제


1.삼국의 경제생활

(1) 특징

① 농업 중심의 경제 생활

② 왕토 사상에 의한 토지 국유제 원칙 자영농의 개인 토지 인정

③ 귀족 중심의 경제 녹읍식읍을 받음

④ 조세제도 마련되었고 귀족들의 고리대업이 성행함


(2) 고구려

① 토지제도

㉠ 토지의 국유제 원칙 ⇒ 자기의 토지를 경작한 자영농민 인정

㉡ 토지단위로 경무법 사용

② 조세제도

㉠ 자영농민에게 조세·공부·역역을 부과

㉡ 세는 사람을 기준으로 포5필과 곡5석으로 징수

㉢ 조는 호를 3등급으로 구분하여 1·7·5두로 징수

 

(3) 백제

① 토지제도

㉠ 토지 국유제 원칙

㉡ 토지 단위로 두락제 사용

② 조세제도

㉠ 농민을 수취대상으로 파악하여 조세·공부·요역을 부과

㉡ 조세와 공부는 고구려와 마찬가지로 포와 곡으로 차등 징

 

(4) 신라

① 토지제도

㉠ 국유제를 원칙으로 하고 자영농민 인정

㉡ 토지 측량 단위로 결부법 사용 → 고려·조선에 계승

② 조세제도

㉠ 진흥왕 때 품주라는 세를 관장하는 관부 설치

㉡ 진평왕 때 공부를 관장하는 조부 설치

㉢ 진덕여왕 때 품주가 집사부와 창부로 분화

㉣ 신라는 전국적 조세 행정이 체계화되어 있음.

③ 부역동원

㉠ 법흥왕 23(536)에 영천의 청제를 수리할 때

㉡ 진평왕 13(591)에 남산신성을 쌓을 때

(5) 고리대업 성행

삼국 모두 고리대업이 성행하였고 고구려는 진대법을 마련하여 농민 보호

 

보충학습】 고구려의 진대법

㉠ 고국천왕 때 을파소 건의(194)

㉡ 봄에 곡식을 빌려 가을에 갚는 빈민 구제 제도

㉢ 현재의 영농 자금 대출과 유사

 

(6) 도시의 발달

① 수도는 정치사회의 중심지로 관청이 집중되어 도시로 성장

② 수도를 방어하기 위하여 재성과 나성을 축조하고 신라는 재성 대신 산성을 축조

③ 수도는 사람이 많이 모여 살았기 때문에 시장 개설

 

(7) 대외 무역 발달

① 고구려 중국 남북조 및 북방 민족과도 교류하여 무역의 폭이 가장 넓음

② 백제 고대 해상 세력을 형성 삼국 중 가장 무역 활발

③ 신라 : 6세기 한강 유역 확보 이후 중국과 직접 교류

④ 교역품 󰠆󰠏 수출품 마직물·은세공품모피류인삼 등

󰠌󰠏 수입품 비단서적약재 등 귀족의 사치품

 

(8) 고대인의 식생활

① 쌀은 왕족이나 귀족이 먹는 곡물

② 일반 백성은 보리조 등을 주식으로 함

③ 곡물을 찧을 때 디딜방아절구 사용

④ 밥을 지을 때 솥시루 사용 → 안악 3호 고분 입증

⑤ 고조선 이래 아욱배추무 등을 채소로 이용한 김치를 담그고 소금젓갈 도 사용

☞ 오늘날과 같이 고추를 이용한 김치는 임난 이후(17c) 가능

 



2. 통일신라의 경제

(1) 특징

① 귀족 중심의 경제

② 귀족의 녹읍을 폐지하고 관료전 지급 -> 경덕왕 때 다시 녹읍 부활

③ 국가가 농민을 직접 지배하기 위하여 정전 지급(성덕왕21, 722)

④ 귀족 중심의 사치와 향락 생활 금입택사절유택안압지포석정

⑤ 통일전 동시 외에 서시남시 설치

⑥ ·은 세공기술 및 나전칠기의 공예기술 발달

⑦ 흥덕왕때 김대렴이 당에서 차 전래하여 재배

☞ 차가 최초의 전래로 전래된 것은 삼국시대 선덕여왕 때로 봄

 

(2) 신라장적(=민정문서)

① 발견

㉠ 1933년 일본 동대사의 정창원에서 발견

㉡ 8세기 중엽 경덕왕 때 작성

㉢ 서원경(=청주중심의 4개 촌락 문서 현존

② 3년마다 촌주가 작성

③ 국가의 부역과 조세 기준의 근거 마련이 목적

④ 면적호수인구전답가축마전백자상전 등 철저히 파악

⑤ 호를 기준으로 인정의 다과에 따라 9등급

⑥ 인정을 기준으로 연령별남녀별 6등급으로 구별

⑦ 민정문서상에 보이는 토지

㉠ 촌주에게 지급되는 촌주위답

㉡ 농민에게 정전으로 지급되는 연수유답

㉢ 내시령이라는 관료에게 지급되는 내시령답

㉣ 왕실과 관청에 지급되는 관모답

⑧ 평민 이외에 향·부곡민 및 노비의 노동력도 철저히 동원

 

(3) 발해의 산업

① 농업

㉠ 논농사보다는 밭농사를 주로 하여 콩·조 등 곡물이 많이 재배

㉡ 철제 농기구가 사용되고 수리 시설이 확충됨으로써 점차로 재배하는 곡 물의 수도 많아졌고 벼농사도 이루어짐

② 수공업

㉠ 제철업이 발달하여 금속 가공업이 성행

㉡ 방직업이나 목재피혁의 가공업도 발전

③ 목축·수렵

㉠ 솔빈부에서 명마가 많이 생산

㉡ 돼지나 소 사육

㉢ 모피녹용사향 등 생산

㉣ 옷감으로는 짐승의 털가죽이나 베비단이 사용

④ 어업

㉠ 고기잡이 도구가 개량되어 그물 사용

㉡ 먼 바다에 나아가 고래를 잡기도 함

 

(4) 통일신라의 무역

① 무역항

㉠ 영암에서 상하이 방면

㉡ 남양만(=당항성)에서 산둥 방면

㉢ 울산항이 가장 발달하고 아라비아 상인까지 왕래

② 교역품 󰠆󰠏 수출품 어아주조아주고운베인삼·은세공품해표피

󰠌󰠏 수입품 비단약재 등 귀족의 사치품이 주류

③ 신라 중대 공무역 발달신라 하대 사무역 발달

 

(5) 신라인의 대당 활동

① 신라방 산둥강소성에 있는 신라인의 집단 거류지

② 신라소 신라방에 설치된 자치적 행정 기관

③ 신라관 신라방에 설치된 신라인의 유숙소

④ 신라원 신라인이 신라방 안에 설치한 사원

⑤ 법화원 장보고가 신라방 안에 설치한 절

 

(6) 일본과의 무역

① 통일 초기에 일본이 신라를 경계함으로써 경제 교류가 그전처럼 자유롭지 못함

② 8세기에 이르러 정치가 안정되면서 두 나라의 교류가 다시 활발해짐

 

(7) 장보고의 활약

① 흥덕왕 3(828)에 활약

② 완도에 청해진을 설치하여 활약 문성왕 13년 폐지

③ 해적 소탕 및 중개무역 독점

④ 견당매물사 및 회역사를 파견하고 무역선인 교관선 파견

⑤ 신무왕의 왕위 쟁탈전에 참여 → 민애왕 축출

⑥ 염장에게 피살됨

 

(8) 발해의 상업

발해는 상업이 크게 흥한 것은 아니지만 곳곳에 시장이 개설됨

 

(9) 발해의 무역

① 당과 평화관계가 성립되면서 무역이 활발히 전개

② 당의 덩조우에 발해관 설치

③ 발해의 교관선이 자주 왕래함

④ 왕실이나 귀족의 공무역이 행해졌으나 민간 무역도 이루어짐

⑤ 수출품은 모피인삼·은 등의 토산품이 주류

⑥ 그 밖의 불상유리잔 등의 공예도 유명

⑦ 발해와 일본의 무역 규모는 매우 컸음 => 한번에 수백명이 일본에 가서 교역 활동을 전개함

⑧ 신라도 통일신라와 발해의 무역로

⑨ 일본도 발해와 일본의 무역로

1920년대 독립전쟁

 

1920.06 봉오동 전투

북간도 - 두만강 북부 : 북로군정서군(김좌진), 대한독립군(홍범도) 주둔

대한독립군 홍범도 주축, 국민회군(개신교), 군무도독부군(최진동)의 연합

군무도독부군(최진동) 훈련 중 일본군의 추격

일본 토벌군 1개대대를 연합으로 봉오동에서 격퇴

 

1920.10 훈춘사건 - 일본의 봉오동전투 패배 > 토벌군 파견을 위한 조작 사건

마적떼 매수, 훈춘의 일본 영사관을 공격하게 함

> 일본인과 영사관 보호를 위한 대규모병력 파견 > 청산리 전투 야기

 

1920.10 청산리 대첩

1개사단 대규모 일본군 병력 파병 > 대한독립군 추격

청산리에서 7일간의 전쟁

대종교를 바탕으로 한 김좌진의 북로군정서군이 일본군 격파

 

1920.10 간도참변

보복으로 북간도 거주 한인 무차별 학살

북간도 독립군의 사실상 와해

1920.12 대한독립군단 결성

대종교총재 서일(밀산부) 북간도의 잔여병력을 규합하여 소련대한독립군단을 결성

 

1921 자유시참변

소련 적색군(볼세비키 혁명군)에 의한 대한독립군단 무장해제, 참살

 

자유시참변을 겪고 북만주에서 신민부 결성

 

1922 ‘대한통의부로 통합(서간도)

한국광복군사령부와 광복군총영과 함께 임정 직할부대

1922 ‘육군주만참의부결성 (‘대한통의부의 유격대장 백광훈)

1925 정의부(<대한통의부), 신민부(자유시 남하)

>> 육군주만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 3

3부의 성격 민정기관 + 군정기관 : 사실상의 정부형태 (북간도를 제외한)

입헌체제, 권력분립

 

1925. 미쓰야 협정

3부의 탄압을 위해 만주군벌 장쭤린과의 협정

 

cf. 자유시 참변, 미쓰야 협정 공통점 - 3국에 의한 독립군의 탄압

3부의 통합운동

 

1928 혁신의회 - 북만주 : 지청천 : 한국독립당, 한국독립군

1929 국민부 (남만주,서간도) : 조선혁명당, 조선혁명군

 




1930년대 이후 독립전쟁

 

1928 한국독립군 (북만주)

1929 조선혁명군 (서간도)

1931 만주사변 일제의 중국침략

한인애국단(김구, 이봉창/윤봉길의거) 반한감정 고조로 독립활동이 어려웠던 시기

1932 윤봉길 의거

한중연합작전 전개 : 국민당정부 장제스의 지원

1932.33

조선혁명군(양세봉) - 중국의용군 : 영릉가, 홍경성 전투

한국독립군(지청천) - 중국호로군 : 쌍성보전투, 대전자령전투

 

  

1935 조선민족혁명당 결성 (김원봉 중심 + 조선혁명당 등) - 임정계열은 불참

만주활동 민족유일당

민족+사회주의, 통일전선단일정당

민족주의 계열 인사 지청천, 조소앙은 이탈 -> 임정(김구)

1935, 36, 37년에 걸쳐 분리

1. 대한민국 임시정부 계열 : 지청천 조소앙

2. 조선민족혁명당 계열 : 김원봉

3. 공산주의 계열

 

1935.11 한국국민당 결성 김구 중심, 조소앙 참여

1937.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광복진선 결성 김구 (한국국민당,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

민족주의 + 사회주의 통합에는 실패

 

김원봉 중심의 조선민족혁명당 > 민족전선 > 조선의용대

조선의용대는 김원봉 중심 사회주의계열 민족전선의 예하부대

 

1937 광복진선(김구-민족주의)과 민족전선(김원봉-사회주의)의 대립시기

1939 전국연합진선협회 (광복진선 + 민족전선)

 

  

1940 한국독립당 김구총재

예하부대 한국광복군 : 충칭에서 1940년 결성

민족주의 + 사회주의 (김원봉 계열 등 흡수)

대일/대독 선전포고(1941)

연합군의 일원으로 참전 (미얀마 영국군 지원)

OSS 활동 (암호해독 등)

국내정진군

 


 

사회주의계열


1931 동북인민혁명군 : 춘황/추수투쟁 -> 유격대 결성

1936 동북항일연군 -> 조국광복회

1937 보천보전투 : 동북항일연군 국내진입시도

1941 화북조선청년연합회 결성

민족전선 최창익 화북지대 이동 > 화북조선청년연합회 결성

조선의용대 화북지대의 합류, 동북항일연군의 합류

1942 조선독립동맹 결성(김두봉 중심) 예하부대 조선의용군

조선의용군 -> 인민군

 

1940년대 독립군조직의 최종 양분

한국독립당 - 한국광복군 : 김구 <> 조선독립동맹 - 조선의용군 : 김두봉

 

cf. 1945 해방이후 조선독립동맹 - 조선의용군은 국공내전에 참여하여

중국 공산화에 기여 향후 북한의 공산화에도 직접적으로 참여

> 1950 한국전쟁 발발에 까지 영향

71. 동격어로 쓰인 대명사의 수와 격은 대명사가 나타내는 명사를 따른다.

. He asked for two volunteers, you and I. (X)

. He asked for two volunteers, you and me. (O)

. Us girls are going out shopping now. (X)

. We girls are going or shopping now. (O)

 

 


72. 전치사의 목적어는 목적격이다.

. Henry was asked to choose between Jack and I. (X)

. Henry was asked to choose between Jack and me. (O)

 

 


73. different 뒤에는 from이다.

. Life here is not different than life anywhere else. (X)

. Henry here is not different from life anywhere else. (O)

 

 


74. 주어의 수를 동사는 따라야 한다.

. The carton of eggs is on the table.

. The data have arrived just in time. (datadatum의 복수)

 


 

75. 삽입구는 무시하고 주어와 동사만을 일치시킨다.

. Joe, as well as his two cousins, calls me every day.

. My two aunts, along with their dog DJ, visit me every Sunday.




76. There는 주어가 아니고 유도부사이므로 주어를 확인하여 동사의 수를 정해야 한다.

. There is a sparrow on the window ledge.

. There are 300 apartments in my building.

 


 

77. 주격보어는 주격이고 목적격 보어는 목적격이다.

. The best player may be he.

. I think it to be her.

. It was him that I liked. (강조구문이므로 예외)

 

 


78. 부정사 앞에 의미상의 주어가 없으면 주절의 주어와 동일하다는 뜻이다.

. To live life fully, friends are needed. (X)

. In order to live life fully, one must have friends. (O)

 


 

79. hardly, scarcely, barely등은 부정의 뜻에 가까우므로 다른 부정어와 같이 쓰이지 않는다.

. Tom didn't hardly touch his dinner tonight. (X)

. Tom hardly touched his dinner tonight. (O)

 

 


80. Almost는 바로 다음의 단어를 수식한다.

. Last week I almost lost $100. (잃을 뻔하다)

. Last week I lost almost $ 100. (거의 100불을 잃었다)

'영어 >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문법 꿀팁 10 (91~100)  (0) 2018.12.15
영어 문법 꿀팁 9 (81~90)  (0) 2018.12.15
영어 문법 꿀팁 7 (61~70)  (0) 2018.12.12
영어 문법 꿀팁 6 (51~60)  (0) 2018.12.12
영어 문법 꿀팁 5 (41~50)  (0) 2018.12.11

 

삼 국

남 북 국

고 려

조 선 전 기

조 선 후 기

원칙

특징

1)국민개병제

2)국왕이 군사지휘권의

행사(일원적 통치체제)

국민개병제

1)국민개병제

2)이원조직

1)양인개병제(현직관리와 학생만 면제,종친,외척,

공신고급관리의 자제는 고급 특수군에 편입)

2)노비는 원칙적으로 군역의 의무가 없었으나

필요에 따라서 특수군으로 편제

1)모병제,상비군,용병제(직업군인)

2)양인개병제,농병일치제의 붕괴(16세기이후)

 

중 앙 군

1)고구려

:대모달,말객 등이 지휘

 

2)백제

:각 부에 500명의 배치

 

3)신라

사자대:특수부대

위병:수도의 방위

서당:모병

 

1):9서당(신문왕)

구성:고구려+백제+신라

+보덕국+말갈족

특징:이민족의 포함

목적

민족융합

피지배층의 회유견제

2)발해:10

-대장군,장군이 지휘

26

구성

2:국왕의 친위부대

6

-수도의 경비,국경의 방어

-상장군,대장군이 지휘

자손에게 역의 세습,정치적 성격

직업군인,군인전의 지급

무신으로의 신분 상승이 가능

공사에 동원,군인전의 미지급 몰락,도망일반 농민군으로 충원

결원 때 향리,농민,천민,한인의

자제로 보충

*중방

무관의 합좌기관

무신정변 이후 권력의 중추기구

26위의 상대장군이 참여

1)5

문반관료가 지휘 책임

구성

갑사:간단한 시험으로 선발,직업군인

정군:의무병,5위의 중심

2)특수병

 

군역의 편성

1)정군(정병)

의무병,현역군인,교대로 복무

서울에서 근무,국경 요충지에 배속

품계와 녹봉을 받기도 함

2)보인(봉족):정군의 비용 부담

5군영

배경

대립제의 일반화(16세기 이후)

임진왜란의 초기 패전새로운 군대의 필요성 절감

성격

일률적으로 편성된 것이 아님(상비병,정군의 번상)

임기응변으로 설치,서인정권의 군사적 기반으로 설치

구분

훈련도감(1593)

왜진왜란 중에 유성룡의 건의로 기효신서를 참조하여 설치

중앙의 핵심군영

삼수병으로 편성

-기존의 사수(),살수() 외에 포수(조총으로 무장)를 만듬

-일정한 급료(군포,삼수미세:1결당2.2)를 받는 상비군

-직업군인(장번급료병)의 성격

총융청(인조,1624):이괄의 난을 계기로 북한산성에 설치

서울, 경기의 경비 강화

수어청(인조,1626)):남한산성에 설치

광주와 부근의 제진 정비

어영청(효종,1652):북벌계획에 의해 설치, 정군이 교대로 번상

금위영(숙종,1682)

도성의 수비를 위해 정병(기병)과 훈련도감군의 일부를

주축으로 설치

어영청과 함께 기병과 보병으로 구성,번상병

지 방 군

1)백제:방령이 7001200

명을 지휘

2)신라:(6)

부족적 전통

군주가 통솔

1):10

각 주에 1,한산주에 2

골래근정(여주),남천정(이천),

거사물정(임실),미다부리정(나주),

고량부리정(청양),벌력천정(홍천),

이화혜정(청송),삼량화정(달성),

소삼정(함안),음리화정(상주)

2)발해

농병일치,촌락단위로 조직

지방관이 지휘

1)주현군(5)

정용군,보승군,일품군

자기의 토지 경작,노역에 동원

외적의 방어,치안의 유지

2)주진군(양계)

초군,좌군,우군

국경의 수비 전담

도령이 최고 지휘관

3)특징:국방적 성격,의무병

영진군

육군(병영)과 수군(수영)으로 구분

, 진에 소속되어 복무

수군은 힘들고 위험하여 기피

정군을 기간으로 편성

일부는 교대로 수도에 복무

중앙군과 지방군의 교류 가능

지방관이 군사지휘권의 행사

(관찰사:병마수군절도사의 겸임)

 

속오군

양반부터 노비까지 편제

양반이 노비와 함께 편제되는 것을 회피(상민과 노비만 남음)

경비를 자비로 충당

신분제의 동요

농민의 포함농민의 부담 증가

평상시에는 생업에 종사,적이 침입해 오면 전투에 동원

중앙군에 편입되는 경우도 있음(총융청,수어청)

특 수 군

 

1)5주서

2)만보당

1)광군(정종):거란족의 방어

2)별무반(윤관):여진족의 정벌

3)삼별초(최우):최씨정권의 사병

4)연호군:양천혼성부대,농민의 포함

잡색군

예비군의 일종유사시에 향토방위

서리,잡학인,신량역천인,노비 등이 소속

(농민은 제외)

 

방위체제

 

 

 

조선전기:교통통신체계과

아울러 정비국방과 중앙집권적

행정운영이 수월함

1)봉수제의 정비:군사적인

위급사태의 전달

2)역참의 설치:물자수송과 통신을

위함

 

1)진관체제(세조 이후)

전국의 군현을 지역단위의 방위체제로 편성

병영(병사가 지휘)거진(수령이 통제)

대단위 외적의 침입시 방어에 불합리

행정와 군사의 일원화


2)제승방략체제(16세기 후반

필요한 방어지역에 각 지역의 병력 집결

중앙에서 파견된 장수가 지휘

임진왜란 중에 효과를 거두지 못함

 

 

 

 

 





진관의 복구

속오법에 따라 군대를 편제하는 속오군체제의 정비

 

61. 같은 동사의 반복은 좋지 않으며 tooso와 조동사와 같이 써서 나타낸다.


. I went to school in Ann Arbor and Ginger went to school in Ann Arbor. (X)


. I went to school in Ann Arbor and so did Ginger.


 

 

62. 사역동사 have, make와 지각동사 see, hear, feel의 목적어가 직접 행하는 것은 목적어 뒤에 동사원형을 써서 나타내고, 당하는 것은 과거분사로 나타낸다.


. Did you have your oil checked at the gas station?


. If the gardener comes today, have him plant the rosebush.


 

 

63. 의미상의 주어 없이 분사만 있는 것은 주절의 주어와 같은 경우이다.


. Jumping to the ground, my key fell out. (X) (뛰는 것은 key가 아니고 ''이다.)


. Jumping to the ground, I lost my keys. (O)


 

 

64. because of 는 부사구이므로 동사를 수식하고 due todue는 형용사이므로 be 동사의 보어가 된다.


. She was absent because she was sick.


. Her absence was due to her sickness.

 


 

65. farther, farthest는 거리를 나타내고 further, furthest는 정도, 범위, 양을 나타낸다.


. Alaska is farther than I thought.


. If you need further assistance, please ask.




66. 빈도를 나타내는 부사 (ever, never, often, seldom, hardly, scarcely, always)는 본동사의 앞에, 조동사와 be동사 뒤에 둔다.


. Ellen has never sailed a boat.


. He seldom complains.


. Nina is often late for class.


 

 

67. 부사와 동사를 목적어 사이에 두어서는 안 된다.


. I will meet today the president. (X)


. I will meet the president today. (O)



 

68. 최상급의 형용사와 of the two, because, for가 있는 구문에서의 비교급 앞에는 the가 붙는다.


. Mr. Kim is the smartest architect in the company.


. He is the smaller of the two.


 

 

69. 집단의 구성원과 비교할 때는 자기가 제외되도록 otherelse를 쓴다.


. Jim's car was faster than any other in the race.


. Anne is heavier than anyone else in the laboratory.


 

 

70. 다음은 의미상 비교급이 있을 수 없다.


. absolute, final, ultimate(궁극적인), sole (유일한), first, unanimous (만장일치의), total, last, unique, eternal, primary, only

'영어 >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문법 꿀팁 9 (81~90)  (0) 2018.12.15
영어 문법 꿀팁 8 (71~80)  (0) 2018.12.13
영어 문법 꿀팁 6 (51~60)  (0) 2018.12.12
영어 문법 꿀팁 5 (41~50)  (0) 2018.12.11
영어 문법 꿀팁 4 (31~40)  (0) 2018.12.11

51. see, hear, feel 은 지각동사로 목적어 뒤에 동사원형을 쓰지만 '인식'을 의미하는 뜻으로 쓰이면 목적어 뒤에 to be가 쓰인다.


. I see it to be a mistake. (나는 그것이 잘못이라는 것을 안다.)


 

 

52. 동명사의 의미상의 주어는 소유격이 원칙이지만 소유격을 만들 수 없는 것은 그대로 쓴다.


. I have no doubt of both of them being wrong. (나는 그들 둘다가 틀렸음을 의심하지 않는다.)

 


 

53. 같은 문장에서 다른 태의 문장은 피하는 것이 좋다.


. He gave me my pay and I was told where to go. (X)


. He paid me and told me where to go.

 


 

54. 미래 완료는 (will/shall have + pp)는 미래의 어느 때까지의 완료될 일을 나타낸다.


. I shall have eaten by the time you arrive. (네가 도착할 때쯤은 나는 식사를 했을 것이다.)

 

 


55. yet, already, so far(지금까지), up to now, before, recently, lately 등은 현재완료와 같이 잘 쓰인다.


. Has he returned your pen yet?

 


 

56. if 절에 should를 쓰면 '혹시 ... 한다면'의 뜻이고 주절에는 명령문이나, 조동사 현재, 조동사 과거가 쓰인다.

. If you should see Jay, tell him to meet us.

 

 


57. should have +pp는 이루어지지 않은 일에 대하여 유감의 뜻을 나타내는 구문이다.


. The train should have been here by now. (기차가 지금쯤 여기에 왔어야만 하는데)

 


 

58. used to + 원형동사는 과거의 규칙적인 습관을 나타낸다. 'be used to + 동명사''...에 익숙하다'이고 'be used to + 원형''...하는데 사용된다'이다.


. This tool is used to bore a hole.

 


 

59. would ratherprefer의 뜻이고 뒤에 동사원형이 온다.


. I'd rather go to a play than see a movie.

 



60. 같은 형의 조동사가 이어지는 본동사와 이어질 경우 처음만 쓰는 것이 좋다.


. He will preserve the fresh flower and will discard stale one. (X)


. He will preserve the fresh flower and discard the stale one.)O)

'영어 >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문법 꿀팁 8 (71~80)  (0) 2018.12.13
영어 문법 꿀팁 7 (61~70)  (0) 2018.12.12
영어 문법 꿀팁 5 (41~50)  (0) 2018.12.11
영어 문법 꿀팁 4 (31~40)  (0) 2018.12.11
영어 문법 꿀팁 3 (21~30)  (0) 2018.12.11

41. if 절에 과거(be동사는 were)를 쓰고 주절에 조동사 과거를 쓰면 현재 사실의 반대를 나타내는 가정법 과거이다.


. If I had the time, I would take a vacation.


. If she were here, she could show you the way.

 

 


42. if 절에 had+ p.p (또는 could have + p.p)가 있으면 주절에는 "조동사 과거 + have + p.p"가 오면 과거 사실의 반대를 나타낸다.


. If I had followed the directions carefully, this cake would have been delicious.


. If I had had the time, I'd have taken a vacation.

 


 

43. wish 다음에 과거 문장(bewere)이 오면 wish 와 같은 시간의 반대 상황이고, 과거완료가 오면 wish보다 한 time 앞선 시간의 반대상황을 나타낸다.


. I wish I were a bird. (내가 지금 새라면 좋을텐데)


. I wish I had been a bird. (내가 그때 새였더라면 지금 좋을텐데)


. I wished I were a bird. (내가 그때 새였더라면 그때 좋았을텐데)


. I wished I had been a bird. (내가 그때 새였었었더라면(?) 좋았을텐네 --우리말에 없는 것이라 이렇게 밖에 표현할 수 없습니다.)

 

 


44. until, when, before, after, if, unless, while, as long as, by the time 다음에 현재시제 서서 미래를 나타낸다.

. We won't go unless they invite us.

. They won't leave as long as we are here.

 


 

45. 시간과 조건의 부사절에서는 현재가 미래를 나타내지만 그 이외의 절에서는 미래를 will, shall로 나타낸다.


. I will consult with him when he returns.


. I will ask him when he will return.





46. will you....?'부탁, 권유'를 나타내고, 'Won't you ...?'는 권유를 나타낸다.


. Will you show me the way o the station? (부탁)


. Won't you go camping with us? (권유)

 


 

47. 두 개의 과거 중 먼저 일어난 것은 과거완료(대과거) 구문으로 하지만 일어난 순서대로 말하면 과거만 쓴다.


. He gave me a novel, but I lost it.


. I lost the novel which he had given me.

 


 

48. hope, expect, suppose, intend, mean(의도하다)에 완료 부정사(to+have+pp)를 붙이거나 과거 완료형에 단순 부정사를 붙이면 이루어지지 못한 것을 말한다.


. He hoped to have met her.


. He hoped to meet her in vain.


. He hoped to meet her, but he couldn't.

 

 


49. 의문문에 대한 답을 할 때 do를 쓰면 동사+목적어를 모두 나타나게 되는 것이 되고 의문문의 동사를 그대로 쓰면 목적어까지 써야된다.


. Did you tell the truth?


- Yes, he did. (O)


- Yes, he told. (X)


- Yes, he told the truth. (O)

 

 


50. cannot ... too"아무리 ... 히도 괜찮다"인데 too를 쓰지 않고 접두어 over-가 있는 동사를 써도 된다.


 You cannot overpraise her conduct. (너는 그녀의 행동을 아무리 칭찬해도 괜찮다.) 

'영어 >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어 문법 꿀팁 7 (61~70)  (0) 2018.12.12
영어 문법 꿀팁 6 (51~60)  (0) 2018.12.12
영어 문법 꿀팁 4 (31~40)  (0) 2018.12.11
영어 문법 꿀팁 3 (21~30)  (0) 2018.12.11
영어 문법 꿀팁 2 (11~20)  (0) 2018.12.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