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경의 발달 과정
1) 구석기 시대
① 수렵·채집 생활 자연
② 나무열매, 물고기 등 경제
2) 신석기 시대
① 농경 최초 시작 - 신석기 후기
② 식량생산 경제로 발전 => 신석기 혁명
③ 조, 피, 수수, 기장 재배
☞ 유적
평양의 남경 → 탄화된 조
봉산 지탑리 → 탄회된 피
④ 농기구는 간석기 사용 - 돌보습, 돌삽, 돌괭이, 갈돌판(=맷돌=연석) 등
⑤ 목축 가능 - 가금의 형태로 시작
⑥ 직조생활 가능 - 가락바퀴(=방추차) 출토
3) 청동기 시대
① 벼농사 시작 - 보리, 콩 등 함께 재배
☞ 유적
┌여주 흔암리, 부여 송국리 등 → 탄화미 발견
└ 김해 패총 → 볍씨 자국 토기 발견
② 농업이 번창함 → 청동기 유적에서 여러 곡식 발견
③ 농기구는 신석기 시대 간석기가 보다 발달
☞ 농기구
┌ 반달돌칼→벼·조 등 곡식을 추수할때 사용
├ 홈자귀, 바퀴날도끼 → 경작에 사용
└ 청동제 농기구×
4) 초기 철기 시대
① 철제 농기구(=금속제 농기구) 사용
② 농업 생산력이 비약적으로 증가함
③ 농업이 산업의 기반으로 발전
5) 초기국가
① 부 여 : 반농반목, 밭농사 중심
② 고구려 : 약탈경제 → ‘부경’ 이라는 창고 존재
③ 옥 저 : 오곡이 잘됨
④ 삼 한
┌ 수전경작 = 저수지 축조→벽골제, 의림지, 공검지, 수산제
├ 저수지 관리권을 갖는 족장 존재→신지, 견지, 읍차, 부례
└ 가축을 밭갈이에 이용
6) 삼국시대
① 신라 지증왕 때 우경 보급
② 신라 선덕여왕 때 중국에서 차 처음 전래
7) 고려시대
① 고려전기
㉠ 우경에 의한 심경법 일반화 : 제초작업에 유리하고 생산력 증대 도움
㉡ 2년 3작의 윤작법 실시 : 휴경지 존재 → 휴한농법 실시
㉢ 이유 : 시비법의 미발달
㉣ 가축의 분뇨 이용
② 고려후기
㉠ 목화 전래
┌ 공민왕 때 문익점이 원에서 처음 전래
└ 의생활의 대혁신을 가져옴
㉡ 농서 소개 : 이암이 원에서 농상집요 전래 (편찬×)
8) 조선전기
① 시비법의 발달
㉠ 휴경지·윤작법·심경법 소멸 : 완전 소멸이 아니고 점차 소멸됨
㉡ 연작(連作)·상경(常耕) 가능
② 이앙법(=모내기법) 남부 일부 지방에서 처음 실시
=> 남부 일부 지방을 제외하고 2년 3작의 윤작법이 일반적임
③ 목화 재배의 전국적 확대
④ 원예작물(=특용작물) 재배 - 채소, 과일, 약초 등
☞ 인삼 : 삼국 이전부터 재배
⑤ 수리시설 확충, 품종 개량, 농지 개간 실시
⑥ 농서 편찬
㉠ 농사직설(세종, 정초)
┌ 우리 실정에 맞는 최초의 농서 편찬
├ 농부들의 실제 경험을 토대로 편찬
├ 이앙법인 모내기법을 최초로 소개 → 그러나 이앙법은 비판함
└ 씨앗 저장 방법, 품종 개량 방법 등 소개
㉡ 금양잡록(성종, 강희맹) → 시흥 지방의 농법 소개
㉢ 구황촬요(명종, 국가) → 기근을 모면하기 위해 국가가 번역하여 보급
※ 임란 이후 - 담배(17C), 고추(17C), 호박(17C) 전래
9) 조선후기
① 농경지 확대
㉠ 왕실·양반 지주층에 의해 진지(=황무지)개간
㉡ 늪지나 하천의 간척지 개간
☞ 결과 : 숙종 때 140만 결로 농지 확대 → 전기 수준에 육박함
② 농법 개발
㉠ 논농사(=수전) : 직파법에서 이앙법으로 발전 ┐ 광작
㉡ 밭농사(=한전) : 농종법에서 견종법으로 발전 ┘ 현상
☞ 이앙법의 전국적 보급(확대) → 이모작 가능
③ 수리 시설의 정비
㉠ 제언사 설치(1662, 현종) ┐언답 증가
㉡ 제언절목 반포(1778, 정조) ┘천수답 감소
☞ 저수지 : 16C 중엽 3,000 여개 소가 18C 말 6,000 여개로 증가
④ 상업작물 재배 - 인삼, 담배, 고추, 호박, 토마토 등
⑤ 구황작물 재배┌ 고구마 → 조엄이 쓰시마에서 영조때 전래(18C)
└ 감 자 → 청에서 헌종때 전래(19C)
⑥ 고구마 재배법 소개 : 강필리 감저보, 김장순 감저신보, 서유구 종저보등 편찬
⑦ 지주제의 변동 초래
㉠ 광작 또는 합리적 경영에 의한 서민 지주의 등장으로 지주-전호관계 변화
㉡ 종래의 신분적 지배-예속관계를 탈피, 순수한 경제적 관계로 진전
⑧ 지대의 변화
㉠ 타조법 → 도조법으로 전환
㉡ 화폐지대인 지대의 금납화 가능
㉢ 전호권의 성장과 지주권의 약화
⑨ 농서 편찬
㉠ 성리학적 농서 - 농가집성(효종, 신속)
ⓐ 조선전기 농서를 집대성함
ⓑ 전기의 농사직설의 농학을 그대로 계승하면서 이앙법과 견종법으로의 기술적인
전환과 그 보급을 목표로 편찬하였으나, 아직 지주제를 그대로 계승하는 범위 내에서 농법의 개량만을 주장함
㉡ 실학적 농서
ⓐ 색경(박세당) : 현종 때, 채소․과수․화초 등의 재배법과 목축․양잠기술 소개, 종법 보급에 기여, 지주제적 경영 부정
ⓑ 산림경제(홍만선) : 숙종 때, 농업 이외의 임업, 축산 등에 관한 농의학사전
ⓒ 임원경제지(서유구) : 순조 때, 축산, 원예, 상업적 농업 등에 이르기까지 집대성한 농업백과사전, 경영형 부농의 경영 원리를 바탕으로 임노동하의 지주제를 구상하여 체계화 함
ⓓ 과농소초(박지원) : 순조 때, 전제, 농기구 수리, 영농에 대한 언급, 한전론 주장, 당시 농서 중 체계가 가장 완벽하며 수리 조항을 처음으로 신설함
ⓔ『해동농서』(서수호) : 정조 때 왕명으로 편찬한 한국농학을 집대성한 농서
'한국사 > 분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전체 군사제도 정리 표 (삼국~조선후기) (0) | 2018.12.12 |
---|---|
한국사 분류사 10(完) - 우리나라 역사 편찬 과정(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개항기, 일제시대) (0) | 2018.12.11 |
한국사 분류사 8 - 무덤의 변화 과정(신석기, 청동기, 초기철기, 초기국가,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0) | 2018.12.11 |
한국사 분류사 7 - 문화재 및 유물의 발달 과정(불상, 탑, 건축, 서예, 도자기, 음악, 기타) (0) | 2018.12.11 |
한국사 분류사 6 - 관리 선발 제도의 변화 과정 (0) | 2018.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