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및 유물의 발달 과정



1) 불상 발달


삼국시대

고구려 -- 연가 7연명 금동 여래 입상

백 제 -- 서산 마애 삼존 불상, 공주 금동 보살 입상

신 라 --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금동 미륵 보살 반가 사유상 삼국이 모두 제작


남북국시대

통 신 -- 석굴암 불교 이상 세계 실현을 목적으로 제작

발 해 -- 이불병좌상 고구려 불상 제작 기술 계승


고려시대

특징

석불, 금동불이 주류, 9C부터 철불 제작

제작 수법이 신라에 비해 떨어짐

균형미가 없어 안정감이 결여되어 있는 듯하나 자유분방한 면이 강조됨

종류

영풍 부석사 소조아미타여래불 신라 양식 계승

관촉사 석조미륵보살 입상, 개태사지 석불 입상



2) 탑파 발달


삼국시대

고구려 -- 목탑만을 제작하여 현존하지 않음

백 제

익산 미륵사지 석탑 현존 最古의 목탑 양식의 석탑

부여 정림사지 5층 석탑 백제 탑의 전형

신 라

경주 분황사 모전 석탑

경주 황룡사 9층 목탑

황룡사 9층 목탑 󰠆󰠏 백제 아비지 축조, 백제 탑의 영향

󰠌󰠏 호국불교 사상에서 건립, 몽고 3차 침입 때 소실

 


통일신라


특징

3층 석탑이 널리 유행

높은 기단 위에 각층의 폭과 높이를 대담하게 줄임

기단이 높고 옥개석의 간격이 넓음


종류

불국사 3층 석탑(=석가탑) 간소하고 장엄한 맛

감은사지 3층 석탑, 화엄사 4사자 3층 석탑

다보탑 일반 양식을 이탈함



고려시대


특징

여러 탑의 양식이 실험되는 단계

다각 다층 석탑 유행

조형 감각면에서 신라에 뒤짐

기단이 낮고 옥개석의 간격이 좁음


종류

전기 

󰠆󰠏 현화사 7층 석탑 고려 석탑의 대표적 걸작

󰠌󰠏 월정사 89층 석탑

후기 -- 경천사 10층 석탑 원탑의 영향 = 라마불교 영향


부도(=사리탑)

특징 : 선종의 유행

종류

팔각원당형(=기본형) - 구례 연곡사 북부도, 공주 갑사 부도, 원종대사 혜진탑

구형 - 정토사 흥법국사 실상탑

방형 - 법천사 지광국사 현묘탑



조선시대

원각사지 10층 석탑 - 서울 탑골공원 소재




3) 건축 발달


삼국시대

신라 - 첨성대 세계 최초의 천문 관측대


통일신라

불국사

󰠆󰠏 8C 중엽 경덕왕때 김대성이 축조

󰠉󰠏 임난때 소실되었다가 조선 숙종때(18C) 대웅전 중건

󰠌󰠏 청운교, 백운교 등 석조물만 전하다가 현대에 중건


고려시대


특징

층단식 건축 외관이 높고 웅장하게 보이기 위함

주심포 양식 건물의 공포가 기둥 위에만 있음

배흘림 양식 건물의 기둥을 안정감 있게 보이기 위함(=엔타시스 양식)

채광 이용 주춧돌과 처마끝의 각도를 30°로 유지함


전기 - 현존하는 목조 건축물은 없음, 만월대, 현화사, 흥왕사 건립


후기의 건축

안동 봉정사 극락전 - 현존 最古의 목조 건축, 주심포·맞배지붕

영풍 부석사 무량수전 - 현존 最高의 목조 건축, 주심포·팔작지붕

부석사 조사당 - 보살상, 비천상의 벽화 존재, 주심포·맞배지붕

수덕사 대웅전 - 모란과 들국화 벽화, 주심포·맞배지붕

석왕사 응진전 - 원의 영향으로 다포 양식으로 건축

건축의 지붕구조와 두공(=공포)양식



조선시대


특징

주위 환경과의 조화 강조

건물의 규모를 법적으로 제한 신분질서 유지, 사치방지 목적


종류

15C = 성곽, 성문, 궁궐, 관청, 학교 건축 발달

󰠆󰠏 서울의 숭례문

󰠉󰠏 개성의 남대문

󰠉󰠏 해인사 경판고

󰠌󰠏 창덕궁 돈화문


서울의 4대문 = 유교적 색체가 강하게 나타남

(동대문-흥인지문, 서대문-돈의문, 남대문-숭례문, 숙청문-홍지문)


16C = 서원 건축 발달

󰠆󰠏 안동의 도산 서원

󰠌󰠏 경주의 옥산 서원

서원 건축 => 사원 건축 주택 건축 정자 건축 융합

불교적 건축이 유교적 건축으로 변화된 시기


17C = 사원 건축 발달

󰠆󰠏 금산사 미륵전, 화엄사 각황전

󰠌󰠏 법주사 팔상전 우리 나라 현존 最古의 목조탑, 선조 38년 완성


18C = 실학적 건축 발달

수원성 정약용 설계, 공격과 방어에 용이한 전투적 성곽으로 축조

평양의 대동문, 불국사 대웅전 중건


19C = 경복궁 중건 - 근정전, 경회루


개항 이후 = 서양 건축 양식 도입 - 명동성당, 독립문, 덕수궁 석조전




4) 그림 발달


삼국시대

고구려 : 담징 - 일본 호류사(=법륭사) 금당벽화

백 제 : 아좌태좌 - 일본 쇼오토쿠태자의 초상화

신 라 : 솔거 - 황룡사 노송도


통일신라 : 김충의가 불화 및 초상화로 유명


고려시대

도화원 : 화가 양성 기관

전기 -- 이령 󰡔예성강도󰡕, 이광필 유명 그림은 현존하지 않음

후기 

󰠆󰠏 공민왕 󰡔천산대렵도󰡕 - 원대 북종화 영향 󰠏󰠈

󰠉󰠏 혜허 󰡔양류관음도󰡕 󰠏󰠋 현존

󰠉󰠏 부석사 조사당의 사천왕과 보살상 󰠏󰠋

󰠌󰠏 수덕사 대웅전의 모란과 들국화 󰠏󰠎



조선시대


15C = 인물과 산수를 씩씩하고 낭만적으로 묘사

화원 출신 : 안견 󰡔몽유도원도󰡕 → 도교적 색체로 묘사(꿈속 풍경 묘사)

문인 출신 󰠆󰠏 강희안 󰡔고사관수도󰡕 → 인간의 사색에 잠긴 내면세계 표현

󰠌󰠏 강희맹

신숙주화기: 그림 평론집, 안평대군의 소장품 소개

일본 무로마찌 시대 미술에 영향 - 문청, 이수문


16C = 자연 속의 서정적 아름다움 묘사 사군자 묘사

󰠆󰠏 이상좌 󰡔송하보월도󰡕 → 노비출신 화가

󰠉󰠏 이암 󰡔화조묘구도󰡕

󰠌󰠏 신사임당 󰡔초충도󰡕, 󰡔이어도󰡕,수박도』 → 섬세한 필치로 꽃과 나비 등 묘사

삼절 : 이정 󰡔묵죽도󰡕 - , 어몽룡 󰡔매월도󰡕 - 매화, 황집중포도도- 포도


17C = 자연 속의 서정적 아름다움 묘사 사군자 묘사

-- 김명국 󰡔심산행여도󰡕, 󰡔달마도󰡕 → 일본 화단에 영향


18C = 실학적 화풍 등장

18세기 전반 진경산수화 유행

󰠆󰠏 정선 󰡔금강전도󰡕, 󰡔인왕제색도󰡕 → 진경산수화 개척

󰠌󰠏 윤두서 󰡔유하백마도󰡕, 심사정

진경산수화 : 우리 나라 자연의 아름다움을 직접 보고 묘사

18세기 후반 풍속화 유행

󰠆󰠏 김홍도 󰡔총석정도󰡕 󰠏󰠈 밭갈이·대장간·씨름 등

󰠉󰠏 김득신 󰠏󰠎 농촌서민들의 생활 묘사

󰠉󰠏 신윤복 󰡔미인도󰡕, 󰡔선유도󰡕,주막도』 → 도회지 양반과 부녀자 묘사

18세기 후반 서양화법 도입 = 원근법, 명암법 : 강세황 󰡔영통골입구도󰡕

 


19C = 복고풍 유행

조선시대 3대 화가 : 안견, 김홍도, 장승업

3: 단원=김홍도, 혜원=신윤복, 오원=장승업


개항 이후 = 서양 유화 도입



5) 서예 발달


통일신라


왕희지체 유행


김생 : 해동필가의 조종으로 그의 원화첩은 없고 글씨를 모은집자비문

고려시대에 편찬됨


기타 : 요극일, 김인문, 최치원 유명



고려시대

전기 󰠆󰠏 왕희지체, 구양순체 유행

󰠌󰠏 유신, 탄현, 최우 등 유명

신품4- 유신, 탄현, 최우, 김생(통신) 이규보동국이상국집에 수록

후기 󰠆󰠏 조맹부(=송설체) 유행

󰠌󰠏 이암, 이강 등 유명

조선시대

전기 = 문인들의 필수교양으로 조맹부체 유행

󰠆󰠏 안평대군 : 세종의 세째 아들로 송설체의 대가

󰠉󰠏 김 구 : 중종때 왕희체에 뛰어났으며 인수체 창안

󰠉󰠏 양사언 : 인조때 활동했으며 초서에 능함

󰠌󰠏 한 호(=석봉) : 해서에 능함 개성의 남대문 액서로 유명

후기 = 추사체 개발

󰠆󰠏 김정희 추사체 개발 →『금석과안록저술, 진흥왕 순수비 가운데 북한산비 해독

󰠌󰠏 기타 : 윤순, 신위, 조광진, 전기, 오경석 등 유명




6) 도자기 발달

󰠆󰠏󰠏󰠏󰠏󰠏󰠏󰠏󰠏󰠈 󰠆󰠏󰠏󰠏󰠏󰠏󰠏󰠏󰠏󰠏󰠏󰠏󰠏󰠈 󰠆󰠏󰠏󰠏󰠏󰠏󰠏󰠏󰠏󰠈 󰠆󰠏󰠏󰠏󰠏󰠏󰠏󰠏󰠏󰠈 󰠆󰠏󰠏󰠏󰠏󰠏󰠏󰠏󰠏󰠈 󰠆󰠏󰠏󰠏󰠏󰠏󰠏󰠏󰠏󰠈

󰠐순수청자󰠐→󰠐양각음각청자󰠐→󰠐상감청자󰠐→󰠐분청사기󰠐→󰠐 백 자 󰠐→󰠐청화백자󰠐

󰠌󰠏󰠏󰠏󰠏󰠏󰠏󰠏󰠏󰠎 󰠌󰠏󰠏󰠏󰠏󰠏󰠏󰠏󰠏󰠏󰠏󰠏󰠏󰠎 󰠌󰠏󰠏󰠏󰠏󰠏󰠏󰠏󰠏󰠎 󰠌󰠏󰠏󰠏󰠏󰠏󰠏󰠏󰠏󰠎 󰠌󰠏󰠏󰠏󰠏󰠏󰠏󰠏󰠏󰠎 󰠌󰠏󰠏󰠏󰠏󰠏󰠏󰠏󰠏󰠎

(고려초) (1213C) (15C) (16C) (조선후기)

순수청자 신라자기, 당말5, 송자기 수법 등을 도입하여 제조

상감청자 󰠆󰠏 12C 중엽 기법 등장

󰠉󰠏 13C 원의 간섭 이전까지 가장 발달

󰠉󰠏 13C 원의간섭 이후 쇠퇴

󰠉󰠏 비색의 아름다움을 지닌 자기로 동물과 식물 문양을 즐겨 사용

󰠌󰠏 강진, 부안, 강화 도요지 유명

송의 사신 서긍은고려도경에서 고려 청자의 우수성을 극찬함

분청사기 초기에 발달했으며 회청색, 회황색 안료 사용

청화백자 󰠆󰠏 세조때 부터 회회청의 푸른 물감 이용

󰠌󰠏 정조때 회회청의 안료 우리 나라에서 생산됨

철사백자 산화철의 안료로 다갈색 무늬를 그린 백자

진사백자 산화철의 안료로 붉은색 무늬를 그린 백자



7) 범종 발달

통일신라

상원사 동종 현존 最古의 종

성덕대왕 신종 󰠆󰠏 봉덕사종 = 에밀레종

󰠌󰠏 현존 最高의 종 비천상의 조각이 뛰어남

고려시대

신라양식 가장 잘 계승

용주사 종, 천흥사 종, 대흥사의 탑산사 종



8) 음악 발달

삼국시대

고구려 - 왕산악 거문고

백 제 - 일본 음악에 가장 커다란 영향

신 라 - 우륵에 가야금, 백결선생 방아타령, 33현 유명

고려시대

향악 - 민중의 노래 = 동동, 대동강

아악 - 궁중 음악 송의 대성악이 우리 나라 아악으로 발전

조선시대

박연아악정리」→ 궁중 음악의 기초 확립 - 관습도감 설치(세종)

성현악학궤범」→ 동양 음악을 집대성함(성종)

굿 유행, 가면극 - 산대놀이(=산대도감), 인형극 - 꼭두각시 놀음 유행



9) 기타

통일신라의 조각

무열왕비의 이수와 귀부

김유신 장군묘, 성덕대왕릉 등의 둘레돌(=호석) 조각 도교 영향, 사실적 묘사

불국사 석등과 법주사 쌍사자 석등

고려시대 은입사 공예

청동 바탕에 은으로 장식

청동은입사수금무늬정병과 향로

고려시대 나전칠기

경함, 화장품갑, 문방구 등 제작

중국 보다 더욱 발달

조선시대 공예

목공예 값싼 재료를 이용하여 실용성, 예술성 강조

화각공예 소뿔을 이용하여 만든 공예

여성들의 자수와 매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