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전래와 변화 과정


1) 삼국시대


배경

중앙집권국가로 발전하면서 고등 종교의 필요성 인식


시기

고대 왕국으로 성장할 무렵


성격

왕실귀족적 성격 호국적 성격

현세구복적 성격 샤머니즘과 융합

대승불교와 소승불교의 융합


보충학습우리나라 불교의 호국적 성격

호국경인 인왕경과 법화경을 널리 암송함

인왕회라는 백좌강회 개최

팔관회 개최

백제 무왕의 왕흥사, 신라 진흥왕의 황룡사 건립

외적 방어를 위한 황룡사 9층 목탑 건립

세속오계인 화랑정신에서 임전무퇴 강조

고려시대 비보사찰 건립

고려시대 대장경 조판


기능

고대문화 발전에 공헌 왕권강화에 공헌

철학적 인식의 토대 구축 사상통일에 공헌

서역문화 전래자 역할


전래과정

 

유행 종파

고구려 - 삼론종 

백 제 - 율 종 

신 라 - 계율종


신라 불교의 특징

불교식 왕명 사용시기 존재 : 법흥왕진덕여왕(=중고기 시대)

불교 교단 조직 정비

󰠆󰠏 고구려 승려 혜량의 활약으로 정비

󰠌󰠏 국통 주통군통 등 마련(=승관계) 마련

세속오계 마련 - 진평왕 때 원광법사가 마련하여 국가 윤리와 사회 규범 확립



명승


고구려

혜자 : 일본 쇼오토쿠 태자의 스승

담징 : 일본에 5경과 지묵법을 전래하고, 호류사 금당벽화를 그림

도현 :일본서기저술

보덕 : 도교 전래 이후 불로장생 사상에 대항하여 열반종 개창

혜랑 : 신라에 들어가 불교 교단을 정비하고, 최초의 국통에 임명됨


백 제

겸익 : 인동에서 구법하고 율종을 전래함

관륵 : 일본에 천문, 역법을 전래

노리사치계 : 일본에 불경과 불상을 전래함


신 라

원광 : 성실종을 전하고 세속오계를 만듬

자장 : 계율종을 전하고 통도사를 창건함




2) 통일신라


특징

불교 사상 전반에 대한 종합적 이해의 체계 확립

원효의 정토종 보급으로 대중불교, 민중불교로 발전

삼국불교 가운데가장 뒤떨어졌던 신라 불교의 후진성 극복에 노력

중대 교종 발달, 하대 선종 발달


중대 : 교종 유행 5교 유행

5교 

󰠆󰠏 ⓐ 열반종 - 보덕 - 경복사(전주)

󰠉󰠏 ⓑ 계율종 - 자장 - 통도사(양산)

󰠉󰠏 ⓒ 법성종 - 원효 - 분황사(경주)

󰠉󰠏 ⓓ 화엄종 - 의상 - 부석사(영풍)

󰠌󰠏 ⓔ 법상종 - 진표 - 금산사(김제)

특징

불경에 의존하여 불타의 진리를 구하고자 하는 종파

통일 신라 사회체제를 옹호하며 화합사상과 통일사상 제시

5교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종파는 화엄종과 법상종임


하대 : 선종 유행 9산 유행

선덕여왕 때 법랑이 전래했으나, 빛을 보지 못하다가 헌덕왕 때 도의가 보급

특징

교리보다는 불립문자 직지인심의 직관적인 인식 방법 중시

불경을 무시하고 좌선을 통한 수양으로 진리를 구하고자 함

선종 9산의 개조들은 거의 6두품 출신임

지방 분권적 체제를 지향함으로 호족과 연결되어 발달

영향

중국 문화에 대한 이해의 폭 확대

고려 왕조 개창의 사상적 기반 제공

신라 하대 조형미술 쇠퇴의 원인

9산 

가지산파 - 도의 - 보림사(장흥) 1산으로 최초 개창

성주산파 - 무염 - 성주사(보령) 진골 귀족으로 김헌창의 후손

수미산파 - 이엄 - 광조사(해주) - 9산으로 고려 태조 왕건의 스승



명승


의상

ⓐ『화엄일승법계도를 저술하여 화엄사상의 요체를 제시함

화엄종을 개창하여 해동화엄의 초조라 불림

당시 전제왕권과 진골 귀족의 호응을 받음

고려 초기 균여에게로 그의 법맥이 계승됨


보충학습화엄사상

󰠆󰠏 一卽多多卽一의 원융사상

󰠉󰠏 원융 즉 조화의 사상으로 지배층과 피지배층의 대립과 분열 지향

󰠌󰠏 통일 이후 전제왕권 강화의 이념적 도구로 이용


원측

신라 법상종의 가장 대표적 승려

중국 서명사에서 유식불교의 깊은 뜻을 깨닫고 자기 학설을 강의하여 교리의우위를 보임


원효

ⓐ『금강삼매경론,대승기신론소를 저술하여 불교 이해의 기준을 확립

ⓑ『십문화쟁론를 저술하여 화쟁사상을 주장하고 불교 종파 통합에 노력함

정토종을 보급하여 불교 대중화에 기여함


보충학습화쟁사상

󰠆󰠏 서로 다른 쟁론을 화합하여 하나의 원리로써 회통시키려는 사상

󰠉󰠏 의 대립된 견해를 하나로 귀일시키는 사상

󰠉󰠏 불교 종합화뿐만 아니라 불교의 대중화 주장

󰠌󰠏 민중을 중심으로 한 화합 사상 강조


보충학습정토신앙

󰠆󰠏 인간은 모두 평등하다는 기본 원칙에서 출발

󰠌󰠏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이라는 염불만 외면 누구나 극락왕생 할 수 있다고 믿는 사상


혜초

인도에 다녀와 기행문왕오천축국전저술

프랑스 역사학자 펠리오가 둔황석글에서 발견하여 현재 파리 발물관 소장 중

교 종 5교 유행

선 종 9산 유행

신라 중대 유행

신라 하대 유행

불경의 교리 및 불교 의식 강조

인간의 정신 수양 강조, 참선 중시

중앙의 왕실 및 진골 귀족에 호응

지방 호족 및 6두품 세력의 호응

국가 윤리를 강조, 전통과 권위 강조

개인주의적 성향 강조, 전통과 권위 부정

조형미술의 발달

조형미술의 쇠퇴, 부도 제작 유행

중앙 집권화 강조 = 화합과 통일 사상

새로운 왕조 개창의 정신적 기반

세속 불교로 발전

산중 불교로 발전


교종과 선종의 비교


발해

발해에도 불교가 융성함

수도였던 상경에서 10여 개의 절터가 발견됨

불상, 석등, 연화무늬 와당 등 불교 유물이 많이 출토됨

고구려 불교를 계승하여 왕실귀족 중심으로 신봉됨

정소는 발해의 명승으로 불법을 벌리 선양함





3) 고려시대


불교 정책

태조 

󰠆󰠏 ⓐ『훈요10를 통해서 불교 강조

󰠌󰠏 ⓑ 등회, 팔관회를 중시할 것 당부

광종 

󰠆󰠏 ⓐ 과거 시험에 승과 제도 마련

󰠉󰠏 ⓑ 왕사국사 제도 실시 탄문을 왕사로, 혜거를 국사로 기용

󰠌󰠏 ⓒ 분열된 종파 수습에 노력

성종 

󰠆󰠏 ⓐ 유교 정치 이념 채택

󰠌󰠏 ⓑ 불교 행사 일단 중시 연등회, 팔관회 일시 중단

현종 ---- 현화사, 흥왕사 건립


불교의 발달 과정

국초 : 교종인 화엄종과 선종 9산의 대립 양상 초래

광종 : 불교 종파 통합 운동 추진

11세기 전후 

숙종 : 해동천태종 개창 - 교종인 화엄종 중심의 선종 통합 운동

무신정변기 

󰠆󰠏 ⓐ 선종 부흥와 신앙 결사 운동 추진

󰠉󰠏 ⓑ 조계종 개창 - 선종 중심의 교종 통합 운동

󰠌󰠏 ⓒ 불교 혁신 운동 전개

원 간섭기 

󰠆󰠏 ⓐ 불교 혁신 운동이 단절되고 불교가 세속화타락화 함

󰠉󰠏 ⓑ 미신적인 라마불교 전래

󰠉󰠏 ⓒ 임제종 전래 조선 선종의 주류

󰠉󰠏 ⓓ 5교 양종의 대립 양상 초래

󰠌󰠏 ⓔ 성리학 수용 이후 불교 비판



해동 천태종 개창


배경

국초에 교종인 화엄종과 선종 9산의 대립 양상 초래

왕권 정비 과정에서 교선 양종의 대립과 통합 시도

고려 중기 11세기를 전후한 시기에는 귀족 불교인 화엄종과 법상종 유행


개창 : 숙종 때 국청사에서 대각국사 의천


교리

교종(화엄종)의 입장에서 선종 통합 시도

교관겸수 주장 교상(=이론)과 겸수(=실천)를 다같이 중시함

성상겸학의 논리 제시 당시 법상종의 융합을 유도하기 위함

지관 중시 수행의 실천 방법으로 중시

원효의 화쟁사상 중시


발달 : 왕실과 귀족층의 호응으로 발달

한계

선 양종의 불안정한 통합

교리적 통합이라기 보다는 법상종을 의식한 정치적 통합에 그침

의천 사후 천태종은 곧 쇠퇴하고 선종이 다시 독립됨



조계종 개창


배경

무신정변 이후 최씨 정권의 새로운 사상 체계의 필요성 인식

왕실과 문벌귀족을 탄압하기 위한 선종 계통의 불교 후원

무신정변 이후 불교계의 동향 

󰠆󰠏 선종의 부흥

󰠌󰠏 신앙 결사 운동 전개

신앙 결사 단체 조직 󰠆󰠏 선종 중심의 지눌 수선사 조직

󰠌󰠏 교종 중심의 요세 백련사 조직


개창 : 신종 때 송광사에서 보조국사 지눌이 개창


교리

선종 중심의 교종 통합 시도 = 교선일치, 선교병수

정혜쌍수 주장 불교 수행의 중심 이론인 정혜의 실천 운동 강조

돈오점수 인간의 마음이 곧 부처님의 마음이라고 깨닫고 계속 수행함

진심직설 진심은 그윽하고 미묘하여 생각할 수도 논할 수도 없음

불교의 타락을 비판하면서 선종 위주의 불교 혁신 운동 전개


발달

무신정권의 적극적 후원으로 발달

진각선사 혜심의 유불일치설 주장 유교와 불교의 타협 시도

종래의 교종 중심의 불교를 선종 중심으로 변화시킴

종래의 정치적세속적 성격의 불교를 민중 저변의 불교로 확대시킴

지눌의 심성론은 고려 후기 지방 향리 출신의 신진사대부들이 성리학을 수용하는 바탕을 마련함

천 태 종

조 계 종

대각국사 의천 개창

보조국사 지눌 개칭

숙종 때 국청사에서 개창

신종 때 송광사에서 개창

고려 전기에 유행

무신정변기에 유행

왕실문벌 귀족의 호응

무인 세력의 후원

교종 중심의 선종 통합 시도

선종 중심의 교종 통합 시도

교관겸수, 내외겸전 주장

정혜쌍수, 선교병수 주장

지관을 중시함

돈오점수를 중시함

보충설명천태종과 조계종 비교



명승


제관 : 천태종의 기본 교리서인천태사교의저술


의통 : 중국 천태종의 13대 교조로 활약


의천

왕족 출신으로 해동 천태종을 개창함

ⓑ『신편제종교장총록의 불서 목록 작성

흥왕사에 교장도감을 설치하고 속장경 조판

ⓓ『청주전표를 써서 주전론 건의

ⓔ『원종문류,석원사림,천태사교의주등 저술


태고화상 보우 : 임제종을 개창하여 조선시대 선종의 주류를 형성함



대장경 조판

의미 : , , 논 등의 불교 삼장을 총칭하는 의미

이유 : 호국불교, 현세구복 불교의 성격

목적 : 불력으로 외적 격퇴, 불교 교리의 정리 필요성

종류

초조대장경

󰠆󰠏 현종문종

󰠉󰠏 거란 격퇴를 염원하기 위해 조판

󰠌󰠏 대구 부인사에 보관 중 몽고 3차 침입 때 소실 일부 일본에 보관

속장경

󰠆󰠏 숙종 때 의천의 주장으로 조판

󰠉󰠏 고려 및 송일본의 불경까지를 수집하여 정리

󰠉󰠏『신편제종교장총록의 불서 목록 작성

󰠉󰠏 흥왕사에 교장 도감을 설치하여 조판

󰠉󰠏 대장경 뿐 만 아니라 주석서인 장소까지 포함

󰠉󰠏 선종 계통의 불서는 단 한 권도 간행되지 않음

󰠌󰠏 대구 부인사에 보관 중 몽고 3차 침입 때 소실 일부 일본에 보관

재조대장경(=팔만대장경)

󰠆󰠏 고종 때 최우가 강화도에서 조판(12361251)

󰠉󰠏 동양 대장경 가운데 으뜸

󰠉󰠏 현재 합천 해인사에 보관 중

󰠌󰠏 고려 불교의 높은 수준과 문화 의식 반영




4) 조선시대


정책

숭유억불 정책

국가가 정책적으로 불교를 억압하였으나 왕실과 민간에서는 신봉함


불교 정책

태조 -- 승려의 수를 줄이기 위해 도첩제 실시

태종 

󰠆󰠏 사원의 토지와 노비를 몰수함

󰠌󰠏 가장 철저한 불교 탄압 정책을 실시함

세종 

󰠆󰠏 선 양종을 각각 18본산씩 36본산만 인정

󰠌󰠏 궁중에 내불당 건립

세조 

󰠆󰠏 간경도감을 설치하여석보상절언해

󰠌󰠏 원각사 건립, 해인사 경판고 건립

성종 -- 승려가 되는 길마져 없애기 위해 도첩제 페지

중종 

󰠆󰠏 과거 시험에 승과 폐지

󰠌󰠏 불교 관련 국가 정책과 법적 제도 청산


조선시대 불교가 최소한의 명맥을 유지한 이유

왕실과 민간 부녀자 층에서 계속 신봉함

불교 철학은 사물을 대립과 독립적 관계로 보지 않고 포용과 융합 관계로 보며,

국가와 개인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종교적 기능을 가졌음

중국을 존중하는 세계관이 없어 민간 신앙의 하나로 전승

세종세조 때의 불사의 중건과 불경 간행이 이룩되고, 승려들의 사회경제 활동이 용인되기도 하였기 때문



5) 한말일제시대

한용운의 불교 유신론

일본식 불교에 대항하기 위해 불교의 자주성 회복과 미신적 요소 배격 등 불교의 쇄신 주장

이후 일제 시대 호국 불교로 발전시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