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행정 조직의 변화 과정



1) 삼국시대


고구려

수도 : 5(부족적 성격행정적 성격 = 고국천왕 때)

지방 : 5(장관:욕살) - (성주:처려근지, 도사)

특수행정 : 3경제 마련 - 국내성, 평양성, 한 성

3경은 정치적·문화적 중심지의 성격을 지니고 주군을 감시하는 기능도 가짐


백 제

수도 : 5

지방 : 5(장관: 방령 - 달솔 임명) - (장관:군장 - 덕솔 임명)

특수행정 : 22담로제 - 웅진 시대 정비된 왕족을 파견한 지방통치 정책


신 라

수도 : 6사로 6촌에서 발달

지방 : 5(장관:군주) - (장관:군주) -

특수행정 : 2소경(장관:사신) - 동원경(강릉), 중원경(충주)

공통점 삼국 모두 지방행정을 정비하고 지방관을 파견함

지방행정은 군사적 성격을 띠고 지방장관도 군사적 성격이 강함

삼국 모두 특수행정 조직을 갖춤



2) 남북국시대


통신


특징 넓어진 영토를 효율적으로 지배·관리하기 위해 행정조직 개편

수도 경주가 동쪽으로 치우친 점을 보안하기 위해 5소경 정비

특수 천민집단 향·부곡 설치

주와 군에는 감찰의 임무를 가진 외사정 설치


지방 : 9(장관:총관도독) - ·(:태수·현령) - (:촌주)

구분

지역

9

5 소 경

신문왕

경덕왕

()

()

소재지

소 경

현지명

 

신 라

사벌주

상 주

10

30

상 주

 

금관경

 

김 해

삽량주

양 주

12

34

양 산

청 주

강 주

11

27

진 주

 

고구려

한산주

한 주

27

46

광 주

중원경

북원경

충 주

원 주

수약주

삭 주

11

27

춘 천

하서주

명 주

9

25

강 릉

 

백 제

웅천주

웅 주

13

29

공 주

서원경

남원경

청 주

남 원

완산주

전 주

10

31

전 주

무진주

무 주

14

44

광 주

장 관

총 관

도 독

태 수

현 령

 

사 신

지방관의 명칭이 도독으로 바뀌면서 행정적 성격이 강화됨

9주는 신라지역, 고구려지역, 백제지역에 각각 3주씩을 두어 9주를 완성

촌주는 지방의 토착 세력으로 중앙에서 파견된 현령의 통제를 받았으며

촌주 1명은 여러 촌을 거느림


특수행정 = 5소경제도

북원경(원주), 서원경(청주), 중원경(충주), 남원경(남원), 금관경(김해)

통일전 2소경을 무시하고 새롭게 5소경으로 편성

수도의 편재성을 보완하기 위해 소백산맥 외곽에 주로 설치하였으나, 금관

경은 소백산맥 안쪽에 설치되어 있었음.


특수 천민집단 : ·부곡

부곡은 일반 군·현과는 달리 피정복자 집단이나 전쟁포로의 집단거류지

과거에는 통일신라시대부터 향부곡이 설치되었다고 보았으나 현재는

소는 고려시대 처음 설치된 것으로 설명함


지방통제 정책 : 상수리제도 마련

=> 토착세력을 통제하기 위해 그들을 상경시켜 관부의 일을 맡도록 하는 제도



발해 : 515(장관:도독) - 62(:자사) - (:)


5경 

󰠆󰠏 상경 = 용천부 수도(지금 길림성 동경성)

󰠉󰠏 중경 = 현덕부 (지금 길림성 화용)

󰠉󰠏 동경 = 용원부 (지금 길림성 혼춘)

󰠉󰠏 서경 = 압록부 고구려 옛 수도에 설치

󰠌󰠏 남경 = 남해부 신라와 가장 가까운 지역(지금 북청)


지방의 가장 말단에 있는 촌락은 토착인 유력자 수령에 의해 다스림





3) 고려시대


특징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는 속현제도 존재

특수천민 집단 향··부곡 존재

지방의 실제 행정은 향리가 담당

특수행정으로 3경제도 마련

지방통치 정책으로 기인제도, 사심관제도 마련

기인제도 : 지방호족이나 향리 자제를 중앙에 인질로 머물게 하는 제도

기인은 중앙과 지방의 연락사무, 지방사정의 자문, 공물과 연료 조달 등 임무를 맡음

사심관제도 : 나라에 공이 있어 중앙의 고관이 된 사람에게 자기 고향의 치안을 유지 하는데 연대 책임을 지도록 하는 제도

최초의 사심관은 경주 사심관으로 임명된 신라 경순왕 김부

사심관제도는 조선의 경재소와 유향소로 분화됨


정비과정

태조 : 호족 자치에 맡겨 조세를 관장하는 임무 줌

성종 : 처음 12목을 설치하고 외관(=목사)을 파견함

현종 : 4도호부 8목 정비 5도 양계로 정비


구조

경기 : 수도인 개경과 그 부근을 경기로 편성하여 개성부에서 관장

3경 제도

풍수지리설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설치

장은 유수이고, 처음은 개경, 서경, 동경이고 나중은 개경, 서경 남경임

4도호부

장은 대도호라 하며 군사적 방비의 중심적 역할을 맡는 곳

안남(=전주), 안서(=해주), 안북(=안주), 안변 등

8(:목사) - 廣州·청주·충주·상주·진주·전주·나주·황주

군현제도

주현은 속현을 관할하고 주현보다 속현이 많음

고려후기로 갈수록 주현이 늘고, 속현이 점차 줄어듬

: 유랑농민의 집합소

소 

󰠆󰠏 수공업자 마을 - 조선의 점촌과 유사

󰠌󰠏 국가의 공납품을 제조하는 곳 - 고려청자 제조

부곡 : 일반현이 강등되는 경우

현과 향··부곡은 항구적 행정조직이 아니라 승격과 강등이 가능함

무신정변 이후 점차 천민집단이 줄어들어 조선 태종때 완전 소멸

양계의 지방 장관인 병마사는 문신이 파견됨 무신정변의 원인


5양계

5도의 지방장관은 안찰사이고, 양계는 병마사임

56품의 낮은 관직자가 임명되었으며 임기 6개월의 임시직

지방에 상주하지 않고 중앙에 있으면서 지방을 순시·감찰함

향리

호장·부호장의 향직이 세습된 중인층

지방행정의 실제 담당자백성을 직접 지배함

··부곡과 속현의 최고 책임자

조세 징수와 노동력 징발 사무 담당

국가로부터 외역전을 지급받아 세습시킴

성리학 수용 이후 신진사대부로 성장

노동부대인 일품군의 장을 역임


보충학습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향리 비교

 

고 려

조 선

중인 계층

세습 신분

 

행정 실무 담당

 

6방의 구성원

 

백성을 직접 지배

수령을 보좌함

외역전을 받음

무보수(=무록)

기인제로 견제

인질적 성격 없음

과거 응시 가능

과거 응시 제한



4) 조선시대


특징

인구비례에 따라 행정조직 개편하고, 관찰사의 권한을 대폭 강화함

모든 지방에 지방관 파견속현과 향··부곡 소멸

향리의 지위 격하토호의 백성에 대한 사적 지배 방지

말단행정까지 조직을 갖춤··통 정비(=면리제 발달)

지방관의 상피제, 임기제 철저히 적용지역상피·부자상피·형제상피 적용

상피제 : 지방관이 출신지에 임명될 수 없고 친척이 같은 관청에 임명될 수

없다는 원칙

임기제 : 관찰사 - 1(360), 수 령 - 5(1800)


관찰사(도백=방백=감사)

감영에 근무하며 행정·사법·군사 등 전권 장악

품관은 종2품이고 도내의 수령을 관할

도내의 병사·수사 1인을 겸하고 다른 병사·수사를 통할함

임기는 1년 단임으로 제한하고 반드시 문관으로 파견


수령

동헌에 근무하며 직접 관내의 주민을 다스리는 지방관(=목민관)

품계는 종2(부윤)부터 종6(현감)까지 다양하나 임무는 모두 같음

임기는 5년이고 고을의 행정·사법·군사 등 전권 장악

가장 중요한 임무는 조세와 공물의 징수 상납

수령7


보충학습고려와 조선의 지방행정의 비교

구 분

고 려

조 선

제 도

5양계 - -

8- -

지방관 파견

속군속현이 많았음

모든 군현에 파견

행정편제기준

그 지방출신 호족의 신분적 서열

인구토지의 비례를 기준

수 령

권한 약화

권한 강화

수령견제책

임기제상피제의 원칙(적용×)

임기제상피제 철저히 적용

향 리

세력강화(외역전지급,수취권장악)

세력축소(무보수,징세권 없음)

지방세족

사심관

경재소, 유향소

천민집단

부곡 존재

부곡 소멸(양인 증가)

지방통치

호족의 자치 인정

중앙집권 강화


유향소

지방자치 기관으로 군·현의 수령을 보좌하는 고문기관

임기는 2년이며 모든 군·현에 1개씩 설치하고 장은 스스로 뽑아 수령과 대립

임무는 수령자문, 향리규찰, 향민의 풍속교정, 민정대표, 정령시달 등

세조 때 이시애의 난으로 폐지되었다가 성종 때 향청으로 부활

경재소

서울에 있는 각 지방 출신의 중앙관리로 구성된 지방 출장소

해당 지방의 제반사를 주선하고 서울과 지방간의 연락사무를 담당함

향리 가운데 한 사람을 서울에 파견·상주시켜 그 고을의 공부를 수납토록함

서울에는 경저리(=경주인)을 감영에는 영저리(=영주인)을 둠

임난 이후 선조 36(1603) 폐지

유향소, 경재소, 경저리 제도는 지방 통치의 효과를 높이고 지방세력을 견제하여

집권정치를 강화하기 위한 조치임


유수관

경관직으로 한양 외곽인 개성, 강화, 수원, 광주에 설치

2품의 품관으로 비변사 회의에 참여

교통통신제도

조선은 중앙집권 강화를 목적으로 역원제, 봉수제, 파발제, 조운제를 정비함

5가 작통법

5호를 1, 5통을 1리로 조직하여 지방 통제에 이용



5) 갑오개혁

전국을 23부로 정비

지방관의 권한 축소 사법부 독립



6) 대한제국

전국을 13도로 개편

간도 관리사 이범윤을 파견하고 함경도 행정구역으로 편입(1902)

울릉도를 군으로 승격시키고 독도를 관할토록함(1900)

독도 󰠆󰠏 1차 한일 의정서 체결 이후 강제로 점탈(1905. 2)

󰠌󰠏 일 전쟁 기간 중 일본이 자기 영토로 편입(1905. 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