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행정조직의 변화 과정



) 고조선: 제정일치 사회의 군장 의미


단군 : 제사를 주관하는 군장

왕검 : 정치를 주관하는 군장



2) 초기국가


부여 : 마가, 우가, 저가, 구가 등 4출도를 중심으로 한 5부족 연맹 사회


삼한: 제정분리 사회로 발전

진왕 : 목지국 진왕이 영도세력으로 삼한의 왕

천군 : 제사를 주관하는 군장으로 소도에서 기거

신지, 견지, 읍차, 부례 등 저수지 관리권을 갖는 족장 존재



3) 삼국시대


고구려

최고회의 : 제가회의 귀족회의, 국가 중대사 의논, 수상 선출

수상 : 대대로 - 평상시, 막리지 - 비상시 3년마다 선출

최초 막리지 - 연개소문, 최후 막리지 - 남산

관부 : 정확한 기록을 알 수 없음

관등 : 10여관등 = [: 연장자, 사자 : 조세 수취자 의미]


백제

최고회의 : 정사암회의 귀족회의, 국가 중대사 의논, 수상 선출

수상 : 상좌평 = 내신좌평 귀족회의에서 선출

관부 6좌평 제도(고이왕) = 내신·내두·내법·위사·조정·병관좌평

22중앙 관부(성 왕) = 내관 12- 왕실, 외관 10- 의정

관등 : 16관등 = [·: 족장 의미]


신라

최고회의 : 화백회의 귀족회의, 국가 중대사 의논, 수상 선출

수상 : 상대등 대등 모임(=귀족회의)에서 선출

관부 : 10여관부 마련 중국의 6전 조직이 완비되지 못함

신라 관부 중 최초로 설치된 것은 = 병부

관등 : 17관등 = [: 족장 의미]


공통점 

삼국은 모두 귀족 중심의 최고회의를 갖춤

삼국이 각각 귀족 중심의 최고회의를 통해 수상을 선출



;;


4) 남북국 시대


통일신라

최고회의 : 화백회의 통일 전에 비해서 기능이 약화됨

수상 : 집사부 시중(=중시) 국왕이 임명 => 왕권이 전제화됨

관부 : 14관부 체제 정비(신문왕 때) 6전 조직이 완비됨

행정 총괄 : 집사부() 최고 권력 기구로써 기반 강화

감찰 기구

사정부

내사정 = 중앙 관리 감찰 담당

외사정 = 지방 관리 감찰 담당

보충학습신라 중앙관부 정비과정

관 부

설치시기

담당 업무

발 해

고 려

조 선

집 사 성

진덕여왕

국가기밀사무

정당성

중서문하성

의정부

병 부

법 흥 왕

군사국방

지 부

병 부

병 조

조 부

진 평 왕

공물부역

인 부

호 부

호 조

창 부

진덕여왕

재정회계

위 화 부

진 평 왕

관리임면사무

충 부

이 부

이 조

예 부

진 평 왕

의례교육

의 부

예 부

예 조

영 객 부

진 평 왕

외교사신

좌이방부

진덕여왕

형률노비

예 부

형 부

형 조

공 장 부

신 문 왕

수공업사무

신 부

공 부

공 조

예 작 부

신 문 왕

토목영선

사 정 부

무 열 왕

관리감찰사무

중정대

어사대

사헌부

우이방부

문 무 왕

형벌노비

 

 

 

선 부

문 무 왕

선박해상

 

 

 

승 부

진 평 왕

마정육상

 

 

 

발해

특징 

당의 36부를 모방했으나 독자적으로 운영

정당성 아래 6부를 두고 일원적 체제로 운영

6부의 명칭은 유교적 색체가 강하게 나타남

구조

선조성(의정심의) -> 좌상 (=, =, =)

정당성(의정총리) -> 대내상

중대성(의정수리) -> 우상 (=, =, =)

 

* 보조기관 : 중정대(감찰기관),사빈시(외교기관),문적원(서적출판),주자감(최고학부)




5) 고려시대


정비과정

신라·태봉의 관제 병행

당의 36부 수용 26부로 운영

송의 관제 수용 중추원, 삼사

독자적 성격의 관부 설치 도병마사, 식목도감

고려의 중앙관제는 국초에 태봉신라의 관제를 사용하다, 성종 때 대폭

비하여 문종 때 완성됨


<별첨> 우리 나라 관부 중 도감이 붙으면 임시관청

식목도감 - 고려시대 국가의식과 법령을 관장한 임시관청

주전도감 - 고려 숙종 때 의천의 건의로 화폐주조를 위한 관청

교장도감대장도감 - 속장경8만대장경 간행을 위한 관청

급전도감 - 고려 공양왕 때 과전법 실시를 위한 관청

정치도감 - 고려 충목왕 때 설치한 토지개량 관청

전민변정도감 - 고려 공민왕 때 설치한 토지노비정리 관청

구급도감·구제도감 - 고려 예종 때 설치한 빈민구제 관청

간경도감 - 조선 세조 때 설치한 불경언해 관청

관습도감 - 고려 말부터 조선 세조 때까지 설치한 음악 담당 관청

결혼도감 - 고려 원종 때 설치한 공녀징발 관청

경사교수도감 - 고려 충렬왕 때 설치한 유교경전 교수 관청

노비변정도감 - 조선시대 노비 소유권을 해결하기 위해 설치한 관청

노비추쇄도감 - 조선시대 도망간 노비를 잡기 위해 설치한 관청

산대도감 - 산대잡극과 중국사신을 접대하기 위해 설치한 관청

산천비보도감 - 고려 신종 때 풍수지리설에 따라 사찰을 건립하기 위한 관청

무예도감 - 고려 우왕 때 우예를 습득하기 위해 설치한 관청



중앙 정치구조


중앙관제



기타 관제


󰠆󰠏 어사대 : 관리감찰, 풍기단속, 시정논의

󰠉󰠏 삼 사 : 회계와 전곡의 출납 업무

󰠉󰠏 사천대 : 천문 관측

󰠉󰠏 춘추관 : 역사 편찬

󰠉󰠏 한림원 : 왕명 교지 작성

󰠉󰠏 국자감 : 최고 학부

󰠌󰠏 식목도감 : 법령격식 제정


서경(=대성=대간=성대): 중서문하성의 낭사와 어사대 관원이 모여

법률 개폐시, 관리 임면시 국왕에게 동의권을 행사하는 기능

도병마사의 변천

도병마사 󰠆󰠏 구성 : 중서문하성 재신 + 중추원 추밀

󰠌󰠏 역할 : 국방문제 등 국가중요정책 협의

성종 : 양계병마사 통솔, 병마판사제 설치

현종 : 임시회의 기구, 국방군사문제 담당, 단일기구로 완성

고종(무신정변 이후) : 재추합좌 기관, 국정전반을 관장하는 도당

충렬왕(원의 간섭기) : 도평의사사로 개편, 왕권 약화 초래

 


;;


6) 원의 간섭 이후(=고려후기)


특징

관제 격하 : 2614사로 전락

내정 간섭기구 설치 : 정동행성, 다루가치, 순마소, 응방, 심양왕

용어의 격하 : ->, 폐하->전하, 태자->세자, ·->왕 등

구조


내정 간섭 기구

정동행성 󰠆󰠏 처음에는 일본 정벌을 목적으로 설치

(이문소) 󰠌󰠏 나중에는 고려의 내정를 간섭는 기구로 변함

다루가치 : 지방 군·현의 내정 간섭 = 공물징수 사무

순마소 : 반원 인사 색출기구

응 방 : 해동청(고려매) 수집기관

부마국 : 황실의 사위국

심양왕 󰠆󰠏 만주 심양 지방을 다스리는 고려왕이 별도로 존재

󰠌󰠏 최초의 심양왕은 충렬왕때 충선왕




7) 조선시대


특징

경국대전 체제로 운영 = 통치규범의 성문화

·무양반제도 확립 = 동반-서반, 경직-외직

왕권을 중심으로 권력을 분산시킴

여론을 국정에 반영하는 언론정치 발달

=> 의정부합의제, 서경, 경연, 권당, 순문, 상소

경연 : 국왕의 학덕 배양 서연 : 왕세자의 학덕 배양

권당 : 성균관 유생의 휴학 순문 : 국왕이 민생을 살핌

상소 : 국왕에게 글을 올림

서경 : 관리 임면에 있어서 경력·신분을 조사하여 가부를 승인함

의정부합의제 : 모든 정책은 반드시 의정부를 거쳐 실행하도록 함

 


구조


<별첨> 한품서용의 원칙 적용 : 관계의 진출에는 신분에 따라 한계가

있었는데, 기술관서얼은 정3품까지, 토관향리는 정5품까지, 서리

및 기타는 정7품까지 승진이 가능함. 양반만이 정1품에 오를 수 있었음



③ 6조의 기능

관 부

기 능

이 조

문관 인사공훈상작

호 조

호구조세어염조운

예 조

외교예악교육문과 과거

병 조

무관 인사국방우역봉수무과 과거

형 조

법률소송노비

공 조

건축토목영선도량형파발


 



8) 조선 후기

󰠆󰠏󰠏󰠏󰠏󰠏󰠏󰠏󰠏󰠏󰠏󰠏󰠏󰠈

󰠐 비 변 사 󰠐 = [최고회의 기구]

󰠌󰠏󰠏󰠏󰠏󰠏󰠏󰠏󰠏󰠏󰠏󰠏󰠏󰠎

설치

중종(1510) : 삼포왜란을 계기로 임시기구로 설치

명종(1555) : 을묘왜변을 계기로 상설기구화됨

기능의 확대

임란을 계기로 문·무 최고기구로 확대

임란 기간 중 국방, 외교, 내정 등 국정 전반을 담당하는 기구로 변화

구성

당상관(=3) 이상의 전·현직 고관이 참여

3정승, 공조를 제외한 5조 판서, 군영대장, 관찰사, 대제학 참여

결과

의정부와 6조 기능이 유명무실화됨

왕권의 약화 초래

 


9) 흥선집권기

비변사 폐지(1865) - 의정부와 삼군부 부활

의정부 - 의정사무 담당 󰠏󰠈 정치와 군사 분리

삼군부 - 군사사무 담당 󰠏󰠎

 


10) 개화정책 추진 과정


특징 : 적극적 개화 정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행정기구 개편(1881)


기구

통리기무아문 󰠆󰠏 개화정책 추진기구

󰠌󰠏 최초의 근대적 성격의 정치기구

12사 설치 󰠆󰠏 사대, 교린, 군무, 변정, 통상, 군물

󰠌󰠏 기계, 선함, 기연, 어학, 전선, 이용 등

임오군란으로 대원군이 정권을 잡으면서 개화정책을 철폐하고 구제도 복구=> 삼군부 부활



11) 갑오개혁 추진 과정


군국기무처 

󰠆󰠏 갑오개혁 추진기구 -> 김홍집 총재관으로 임명

󰠉󰠏 국왕이나 대원군의 간섭마져 배제된 초정부적 기구

󰠌󰠏 18947월에 설치되어 208건의 개혁안 의결 처리


의정부와 궁내부 분리 -> 의정사무와 왕실사무 분리


8아문 설치 - 내무, 외무, 탁지, 군무, 법무, 학무, 공무, 농상무 등

갑오개혁때 정부조직 = 28아문


기타

중추원 - 자문 기관

도찰원 - 감찰 기관

경무청 - 경찰 기관

사법부 - 2심제 채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