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제도의 변화 과정


1) 삼국시대


고구려

국민개병제를 원칙으로 하고 3경과 성를 단위로 군대를 주둔시킴

성주의 책임 하에서 성주들이 개인적 사병을 소유함

국가 동원시 대모달, 말객이 지휘·통솔함

교육기관인 경당은 상비군의 보충을 담당함


백 제

국민개병제를 원칙으로 하고 중앙 각 부에 500명의 군사를 둠

지방 각 방에 7001,200명의 군사를 두고 방령이 지휘·통솔함


신 라

국민개병제를 원칙으로 하고 중앙과 지방에 군대를 주둔시킴

군사상 요충지에 모병에 의한 서당을 설치함

지방에는 주마다 6정을 설치함

경주에는 국왕 친위부대로 특수부대인 시위부, 사자대 설치

군주, 대감 등이 군사를 지휘·통솔함


공통점 

󰠆󰠏 삼국 모두 국민개병제를 원칙으로 함

󰠌󰠏 지방 장관이 군사를 지휘·통솔함



2) 남북국 시대


통일신라

중앙군 : 9서당 설치

특징 : 고구려인, 백제인, 말갈인, 신라인을 포함한 민족융합정책

구별 : 옷 깃의 색깔

지방군 : 10정 설치

각주에 1정씩 설치하고 군사적 요충지인 한주에 2정 설치

국방과 경찰 임무 담당


발해

10위제 마련 - 우 맹분위, 우 웅위 등

각 위마다 대장군과 장군을 두어 통솔



3) 고려시대


특징

직업 군인인 중앙군과 의무병인 지방군으로 구성

과거 시험에 무과는 거의 실시되지 못함 공양왕 때 처음 실시

무예 교육 기관은 설치되지 않음 예종 때 무학재를 설치했으나 곧 폐지


중앙군 : 26위 마련

2󰠆󰠏 응양군( 1) 󰠏󰠈

󰠌󰠏 용호군( 2) 󰠏󰠎 국왕 친위 부대

6󰠆󰠏 좌우위(13) 󰠏󰠈

󰠉󰠏 신호위( 7) 󰠏󰠊󰠏 수도 및 변방 방어

󰠉󰠏 흥위위(12) 󰠏󰠎

󰠉󰠏 금오위( 7) --- 경찰 임무 담당

󰠉󰠏 천우위( 2) --- 의장 임무 담당

󰠌󰠏 감문위( 1) --- 궁성 수비 담당

특징

직업군인으로 구성되어 군인전을 지급 받음

중앙군은 군반씨족을 형성하여 따로 군호를 형성하고 군적에 오름

군인전은 2인의 양호로 하여금 경작케하여 군인의 장비와 생활비로 제공

결원이 생기면 천민 가운데서도 뽑아 충원시킴천민 신분상승의 원인


지방군 - 주현군, 주진군

󰠆󰠏 보승군 󰠏󰠇󰠏 치안과 국방 담당 = 농민으로 구성된 향토예비군

주현군 󰠉󰠏 정용군 󰠏󰠎

(5) 󰠌󰠏 일품군 --- 노동 부대(=공병부대) => :향리

󰠆󰠏 초 군 󰠏󰠈

주진군 󰠉󰠏 좌 군 󰠏󰠊󰠏 진의 상비군으로 구성하여 국방의 주역을 담당

(양계) 󰠌󰠏 우 군 󰠏󰠎

특징 : 의무병인 농민군으로 구성되어 중앙과 교대 번상하지 않음


특수군

광 군 󰠆󰠏 정종 때 거란 침입에 대비하여 설치

󰠌󰠏 호족들의 사병을 규합하여 30만명으로 구성

별무반 󰠆󰠏 숙종때 윤관의 건의로 설치

󰠉󰠏 여진정벌을 위한 기병부대 양성이 목적

󰠉󰠏 전직관리 승려까지 편성

󰠌󰠏 신기군 - 기병, 신보군 - 보병, 항마군 - 승병

삼별초 󰠆󰠏 처음에는 최우가 치안과 국방을 목적으로 설치

󰠉󰠏 나중에는 최씨 무인정권의 사병적 역할 담당

󰠉󰠏 신의군 - 국방, 야별초(좌별초·우별초) - 치안

󰠉󰠏 몽고 침입때 대몽항쟁 전개무인세력 끝까지 항전

󰠉󰠏 강화도 -------> 진도(용장성) -------> 제주도

󰠉󰠏 ·몽연합군에 의해 진압되고 탐라총관부 설치

󰠌󰠏 우리 민족의 꿋꿋한 기상을 표현대몽항쟁비 건립

연호군 󰠆󰠏 양천혼성군

󰠌󰠏 말기 왜구를 토벌하기 위해 농민·노비로 구성

기타 -- 무신집권기의 도방


무관회의

중 방 

󰠆󰠏 성종때 설치된 무반 최고회의 기구

󰠌󰠏 무신정변 이후 권력의 중추기구가 됨

장군방 -- 각 영의 부대장인 장군(4)으로 구성





4) 조선시대


특징

양인개병제, 병농일치제를 원칙

16 60세의 양인은 누구나 정병이나 보인에 편성

양반, 학생, 공장, 상인은 군역이 면제됨 󰠏󰠇󰠏 필요에 따라 특수군에 편성

노비는 원칙적으로 군역이 없음 󰠏󰠎

노비는 군역의 의무는 없으나 군인이 될 수는 있음


중앙군 - 5(도총부)

구조

󰠆󰠏 의흥위 - 중앙, 중부지방 󰠏󰠈

󰠉󰠏 용양위 - 동부, 경상도 󰠏󰠋

󰠉󰠏 호분위 - 서부, 평안도 󰠏󰠊󰠏 갑사와 의무병으로 구성

󰠉󰠏 충좌위 - 남부, 전라도 󰠏󰠋

󰠌󰠏 충무위 - 북부, 함경도 󰠏󰠎

특징

궁궐 수비와 수도 방어 임무 담당

갑사인 왕족, 공신, 고관의 자제와 정병인 의무병 등으로 구성

복무 연한에 따라 녹봉과 품계를 받았으나 군인전은 없음

지휘관은 도총관(=군단 총사령관)이고 위장, 대호군(=예하 지휘관)존재

중심병력은 갑사를 위시한 직업 군인이고 시험에 의해서 선발되었음

정병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은 정기적 병력이 아니어서 비중이 크지 않았음

갑사는 왕실공신 고관의 자제 중에서 무술시험으로 선발된 특수 고급 군인임

정병은 각도에서 차출되어 상경한 의무 군역자로 품계를 받음

변천 : 의흥삼군부 -> 삼군부 -> 5위도총부 -> 5군영 -> 2


지방군 - 영진군(병영·수영)진수군

특징

지방 군사제도는 진관체제에 바탕을 두고 조직

각 도에는 병영과 수영을 두고 병사와 수사를 파견하여 군사를 지휘토록 함

병영과 수영은 한 도에 각각 하나씩 두고 병사·수사는 관찰사가 겸임하는게 원칙

국방상 요지에는 병영수영을 증치하여 따로이 전임의 병사수사를 파견함

중심 병력은 농민군인 정병이 중심

의무병인 정병은 중앙군과 교대로 번상하여 근무

복무 연한에 따라 품계만 받음

병영(:병마절도사) = 육군

각 도의 육군이 중심이 되고 장은 종2품의 서반직이 임명

각 도의 1명은 관찰사가 겸하도록 법제화함

경상도 4, 함경도 3, 전라충청도 2, 황해강원경기 1개씩 설치

수영(:수군절도사) = 수군(=선군)

각도의 수군이 중심이 되고 장은 정3품의 서반직이 임명

각 도의 1명은 관찰사가 겸하도록 법제화함

전라경상도 2, 충청경기황해도 1, 함경강원평안도 없음


특수군 - 잡색군

평상시 본업에 종사하면서 일정기간 훈련을 받아 유사시 향촌 방어하는 향토예비군

전직 관리, 한량, 서리, 향리, 교생, 노비 등으로 구성

농민은 제외됨 정병으로 군에 복무하기 때문


방위체제

세조 : 진관체제 - ·현 단위 방위 체제=지역 단위 방위 체제

중종 : 제승방략체제 - 집결지를 정하여 1명의 지휘관이 전군을 지휘하는 체제

선조 : 속오군체제 - 부대 편성 방법에 따라 방어하는 체제


보법

세조 때 양인 장정을 중심으로 편성

정남 23인을 1보로 삼고 보인이 정병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도록 하는 제도



5) 조선 후기


중앙군 - 5군영

특징

종래의 의무병제, 병농일치제가 용병제도로 변함

방군수포제 실시로 군역 의무가 납세의 의무로 변함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 임기응변적으로 설치했으며, 병종이 다양함

붕당정치 하에서 서인 정권의 군사적 기반 강화시키는 역할을 함

1881년 별기군 창설까지 존속

내용

 

훈련도감

어영청

총융청

수어청

금위영

설 치

임난기간 중

(1594,선조)

이괄의 난

(1624,인조)

이괄의 난

(1624,인조)

정묘호란

(1626,인조)

정초청개편

(1682,숙종)

목 적

삼수병 양성

수도 방어

경기 방어

경기 방어

궁중 수비

특 징

중앙군의

핵심군영

북벌의

핵심군영

북한 산성

설 치

남한 산성

설 치

왕권 강화

병 종

장번급료병

(직업군인)

지방번상병

(의무병)

경기속오군

(경비자담)

경기속오군

(경비자담)

지방번상병

(의무병)

훈련도감은 임란 기간 중 유성룡과 낙성지의 건의로 척계광의 병서인기효신서

에 따라 포수, 사수, 살수로 편성함이들의 재정적 부담을 지원하기 위해 함경,

·평안도를 제외하고 삼수미세 2.2두를 징수함

 

지방군 - 속오군

방위체제의 개편과 함께 속오군 편성속오군 체제

양반에서 노비까지 편성되었고 경비는 스스로 부담함

농한기에는 훈련받고 평상시에 향촌 방어 담당

조선 후기 노비 신분 상승의 중요한 원인



6) 근대사회


개화 정책 추진 과정

5군영 2영으로 개편 = 무위영, 장어영 설치

별기군 창설 - 신식군대

상류 귀족층 자제를 대상으로 군사훈련 실시

일본인 교관 호리모또가 훈련 교육


갑오개혁

군사적 측면의 개혁은 미흡함

훈련대, 시위대 2개 대대 설치

광무개혁 : 시위대와 진위대 편성되어 군제 재편이 이루어짐

정미7조약 이후 : 군대가 해산되고 의병활동과 독립군 활동에 가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