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사제도의 변화 과정
1) 삼국시대
① 고구려
㉠ 국민개병제를 원칙으로 하고 3경과 성를 단위로 군대를 주둔시킴
㉡ 성주의 책임 하에서 성주들이 개인적 사병을 소유함
㉢ 국가 동원시 대모달, 말객이 지휘·통솔함
㉣ 교육기관인 경당은 상비군의 보충을 담당함
② 백 제
㉠ 국민개병제를 원칙으로 하고 중앙 각 부에 500명의 군사를 둠
㉡ 지방 각 방에 700~1,200명의 군사를 두고 방령이 지휘·통솔함
③ 신 라
㉠ 국민개병제를 원칙으로 하고 중앙과 지방에 군대를 주둔시킴
㉡ 군사상 요충지에 모병에 의한 서당을 설치함
㉢ 지방에는 주마다 6정을 설치함
㉣ 경주에는 국왕 친위부대로 특수부대인 시위부, 사자대 설치
㉤ 군주, 대감 등이 군사를 지휘·통솔함
◆ 공통점
삼국 모두 국민개병제를 원칙으로 함
지방 장관이 군사를 지휘·통솔함
2) 남북국 시대
① 통일신라
㉠ 중앙군 : 9서당 설치
ⓐ 특징 : 고구려인, 백제인, 말갈인, 신라인을 포함한 민족융합정책
ⓑ 구별 : 옷 깃의 색깔
㉡ 지방군 : 10정 설치
ⓐ 각주에 1정씩 설치하고 군사적 요충지인 한주에 2정 설치
ⓑ 국방과 경찰 임무 담당
② 발해
㉠ 10위제 마련 - 좌․우 맹분위, 좌․우 웅위 등
㉡ 각 위마다 대장군과 장군을 두어 통솔
3) 고려시대
① 특징
㉠ 직업 군인인 중앙군과 의무병인 지방군으로 구성
㉡ 과거 시험에 무과는 거의 실시되지 못함 → 공양왕 때 처음 실시
㉢ 무예 교육 기관은 설치되지 않음 → 예종 때 무학재를 설치했으나 곧 폐지
② 중앙군 : 2군 6위 마련
㉠ 2군 응양군( 1영)
용호군( 2영) 국왕 친위 부대
㉡ 6위 좌우위(13영)
신호위( 7영) 수도 및 변방 방어
흥위위(12영)
금오위( 7영) --- 경찰 임무 담당
천우위( 2영) --- 의장 임무 담당
감문위( 1영) --- 궁성 수비 담당
㉢ 특징
ⓐ 직업군인으로 구성되어 군인전을 지급 받음
ⓑ 중앙군은 군반씨족을 형성하여 따로 군호를 형성하고 군적에 오름
ⓒ 군인전은 2인의 양호로 하여금 경작케하여 군인의 장비와 생활비로 제공
ⓓ 결원이 생기면 천민 가운데서도 뽑아 충원시킴→천민 신분상승의 원인
③ 지방군 - 주현군, 주진군
보승군 치안과 국방 담당 = 농민으로 구성된 향토예비군
㉠ 주현군 정용군
(5도) 일품군 --- 노동 부대(=공병부대) => 長:향리
초 군
㉡ 주진군 좌 군 진의 상비군으로 구성하여 국방의 주역을 담당
(양계) 우 군
㉢ 특징 : 의무병인 농민군으로 구성되어 중앙과 교대 번상하지 않음
④ 특수군
㉠ 광 군 정종 때 거란 침입에 대비하여 설치
호족들의 사병을 규합하여 30만명으로 구성
㉡ 별무반 숙종때 윤관의 건의로 설치
여진정벌을 위한 기병부대 양성이 목적
전직관리 ~ 승려까지 편성
신기군 - 기병, 신보군 - 보병, 항마군 - 승병
㉢ 삼별초 처음에는 최우가 치안과 국방을 목적으로 설치
나중에는 최씨 무인정권의 사병적 역할 담당
신의군 - 국방, 야별초(좌별초·우별초) - 치안
몽고 침입때 대몽항쟁 전개→무인세력 끝까지 항전
강화도 -------> 진도(용장성) -------> 제주도
여·몽연합군에 의해 진압되고 탐라총관부 설치
우리 민족의 꿋꿋한 기상을 표현→대몽항쟁비 건립
㉣ 연호군 양천혼성군
말기 왜구를 토벌하기 위해 농민·노비로 구성
㉤ 기타 -- 무신집권기의 도방
⑤ 무관회의
㉠ 중 방
성종때 설치된 무반 최고회의 기구
무신정변 이후 권력의 중추기구가 됨
㉡ 장군방 -- 각 영의 부대장인 장군(정4품)으로 구성
4) 조선시대
① 특징
㉠ 양인개병제, 병농일치제를 원칙
㉡ 16 ~ 60세의 양인은 누구나 정병이나 보인에 편성
㉢ 양반, 학생, 공장, 상인은 군역이 면제됨 필요에 따라 특수군에 편성
㉣ 노비는 원칙적으로 군역이 없음
㉤ 노비는 군역의 의무는 없으나 군인이 될 수는 있음
② 중앙군 - 5위(도총부)
㉠ 구조
의흥위 - 중앙, 중부지방
용양위 - 동부, 경상도
호분위 - 서부, 평안도 갑사와 의무병으로 구성
충좌위 - 남부, 전라도
충무위 - 북부, 함경도
㉡ 특징
ⓐ 궁궐 수비와 수도 방어 임무 담당
ⓑ 갑사인 왕족, 공신, 고관의 자제와 정병인 의무병 등으로 구성
ⓒ 복무 연한에 따라 녹봉과 품계를 받았으나 군인전은 없음
ⓓ 지휘관은 도총관(=군단 총사령관)이고 위장, 대호군(=예하 지휘관)존재
ⓔ 중심병력은 갑사를 위시한 직업 군인이고 시험에 의해서 선발되었음
ⓕ 정병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들은 정기적 병력이 아니어서 비중이 크지 않았음
ⓖ 갑사는 왕실․공신 고관의 자제 중에서 무술시험으로 선발된 특수 고급 군인임
ⓗ 정병은 각도에서 차출되어 상경한 의무 군역자로 품계를 받음
☞ 변천 : 의흥삼군부 -> 삼군부 -> 5위도총부 -> 5군영 -> 2영
③ 지방군 - 영진군(병영·수영)→진수군
㉠ 특징
ⓐ 지방 군사제도는 진관체제에 바탕을 두고 조직
ⓑ 각 도에는 병영과 수영을 두고 병사와 수사를 파견하여 군사를 지휘토록 함
ⓒ 병영과 수영은 한 도에 각각 하나씩 두고 병사·수사는 관찰사가 겸임하는게 원칙
ⓓ 국방상 요지에는 병영․수영을 증치하여 따로이 전임의 병사․수사를 파견함
ⓔ 중심 병력은 농민군인 정병이 중심
ⓕ 의무병인 정병은 중앙군과 교대로 번상하여 근무
ⓖ 복무 연한에 따라 품계만 받음
㉡ 병영(장:병마절도사) = 육군
ⓐ 각 도의 육군이 중심이 되고 장은 종2품의 서반직이 임명
ⓑ 각 도의 1명은 관찰사가 겸하도록 법제화함
ⓒ 경상도 4개, 함경도 3개, 전라․충청도 2개, 황해․강원․경기 1개씩 설치
㉢ 수영(장:수군절도사) = 수군(=선군)
ⓐ 각도의 수군이 중심이 되고 장은 정3품의 서반직이 임명
ⓑ 각 도의 1명은 관찰사가 겸하도록 법제화함
ⓒ 전라․경상도 2개, 충청․경기․황해도 1개, 함경․강원․평안도 없음
④ 특수군 - 잡색군
㉠ 평상시 본업에 종사하면서 일정기간 훈련을 받아 유사시 향촌 방어하는 향토예비군
㉡ 전직 관리, 한량, 서리, 향리, 교생, 노비 등으로 구성
㉢ 농민은 제외됨 → 정병으로 군에 복무하기 때문
⑤ 방위체제
㉠ 세조 : 진관체제 - 군·현 단위 방위 체제=지역 단위 방위 체제
㉡ 중종 : 제승방략체제 - 집결지를 정하여 1명의 지휘관이 전군을 지휘하는 체제
㉢ 선조 : 속오군체제 - 부대 편성 방법에 따라 방어하는 체제
⑥ 보법
㉠ 세조 때 양인 장정을 중심으로 편성
㉡ 정남 2~3인을 1보로 삼고 보인이 정병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도록 하는 제도
5) 조선 후기
① 중앙군 - 5군영
㉠ 특징
ⓐ 종래의 의무병제, 병농일치제가 용병제도로 변함
ⓑ 방군수포제 실시로 군역 의무가 납세의 의무로 변함
ⓒ 그때그때 필요에 따라 임기응변적으로 설치했으며, 병종이 다양함
ⓓ 붕당정치 하에서 서인 정권의 군사적 기반 강화시키는 역할을 함
ⓔ 1881년 별기군 창설까지 존속
㉡ 내용
| 훈련도감 | 어영청 | 총융청 | 수어청 | 금위영 |
설 치 | 임난기간 중 (1594,선조) | 이괄의 난 (1624,인조) | 이괄의 난 (1624,인조) | 정묘호란 (1626,인조) | 정초청개편 (1682,숙종) |
목 적 | 삼수병 양성 | 수도 방어 | 경기 방어 | 경기 방어 | 궁중 수비 |
특 징 | 중앙군의 핵심군영 | 북벌의 핵심군영 | 북한 산성 설 치 | 남한 산성 설 치 | 왕권 강화 |
병 종 | 장번급료병 (직업군인) | 지방번상병 (의무병) | 경기속오군 (경비자담) | 경기속오군 (경비자담) | 지방번상병 (의무병) |
훈련도감은 임란 기간 중 유성룡과 낙성지의 건의로 척계광의 병서인「기효신서」
에 따라 포수, 사수, 살수로 편성함→이들의 재정적 부담을 지원하기 위해 함경,
·평안도를 제외하고 삼수미세 2.2두를 징수함
② 지방군 - 속오군
㉠ 방위체제의 개편과 함께 속오군 편성→속오군 체제
㉡ 양반에서 노비까지 편성되었고 경비는 스스로 부담함
㉢ 농한기에는 훈련받고 평상시에 향촌 방어 담당
㉣ 조선 후기 노비 신분 상승의 중요한 원인
6) 근대사회
① 개화 정책 추진 과정
㉠ 5군영 → 2영으로 개편 = 무위영, 장어영 설치
㉡ 별기군 창설 - 신식군대
ⓐ 상류 귀족층 자제를 대상으로 군사훈련 실시
ⓑ 일본인 교관 호리모또가 훈련 교육
② 갑오개혁
㉠ 군사적 측면의 개혁은 미흡함
㉡ 훈련대, 시위대 2개 대대 설치
③ 광무개혁 : 시위대와 진위대 편성되어 군제 재편이 이루어짐
④ 정미7조약 이후 : 군대가 해산되고 의병활동과 독립군 활동에 가담
'한국사 > 분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분류사 6 - 관리 선발 제도의 변화 과정 (0) | 2018.12.11 |
---|---|
한국사 분류사 5 - 불교의 전래와 변화 과정 (0) | 2018.12.10 |
한국사 분류사 4 - 토지제도의 변화 과정 (0) | 2018.12.10 |
한국사 분류사 2 - 지방 행정 조직의 변화 과정 (0) | 2018.12.10 |
한국사 분류사 1 - 중앙행정조직(고조선, 초기국가,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개화 이후 (0) | 2018.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