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 역사 편찬 과정
1. 삼국시대
① 배경
㉠ 한학의 발달
㉡ 영토 확장과 중앙집권 국가 완성
② 역사서
㉠ 고구려 - 영양왕(600) - 이문진 - 신집5권
☞ 신집5권 이전에 유기100권이 있었음
㉡ 백 제 - 근초고왕(4C) - 고 흥 - 서기
㉢ 신 라 - 진흥왕(6C) - 거칠부 - 국사
㉣ 고려시대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편찬할 때 참고했으나 현존하지는 않음
2. 고려시대
① 고려 초기
㉠ 특징 - 독자적·자주적 사관의 역사서 편찬
㉡ 사서 - 황주량『7대실록』, 김양감『가락국기』,『구삼국사』
☞『7대실록』→ 거란 침입으로 소실된 태조~목종 실록
☞『가락국기』→ 김수로왕 설화가 담긴 가야 관련 내용
② 고려 중기
㉠ 특징 - 보수적·사대적·유교적 사관의 역사서 편찬
㉡ 사서 - 박인량『고금록』, 홍관『속편년통제』, 김부식『삼국사기』
㉢ 내용
ⓐ『삼국사기』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이후 인종 때 편찬
중국 정사를 모방하여 유교적 입장에서 편찬
기전체 방식으로 신라의 정통성을 강조함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사서
③ 무신정변기
㉠ 특징
새로운 역사 의식의 등장
민족적 자주의식을 바탕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싹틈
㉡ 사서
각훈『해동고승전』, 이규보『동국이상국집-동명왕편』
일연『삼국유사』,이승휴『제왕운기』
㉢ 내용
ⓐ『동명왕편』: 1193년 이규보가 민족적 자부심과 외세와의 저항정신을 일깨우기 위해 동명왕의 건국 서사시 편찬
ⓑ『삼국유사』
1281년 충렬왕 때 일연이 편찬
고조선 계승의식에 의해 편찬
불교의 중심 설화와 야사를 많이 수록
단군 신화의 내용을 최초로 수록
ⓒ『제왕운기』
충렬왕 때 이승휴가 편찬
중국(상권)과 우리(하권) 역사를 한시로 편찬
우리 역사를 단군부터 실어 민족의 기원으로 삼음
발해사를 처음으로 연구
【보충학습】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비교
구 분 | 삼 국 사 기 | 삼국유사 |
편찬시기 | 인종 때 (1145) 묘청의 난 진압 후 | 충렬왕 때 (1281) 원의 간섭기 |
편 찬 자 | 김부식 | 일 연 |
체 제 | 기전체 | 야사체 |
내 용 | 왕조 중심의 정사체 삼국시대 역사 서술 | 설화 중심의 야사체 단군부터 고려까지 서술 |
특 징 | 신라 중심의 역사 서술 고구려 계승의식 부정 | 불교의 입장에서 서술 고조선 계승의식 강조 |
사 관 | 보수적 유교사관 | 자주적 사관 |
④ 원의 간섭 이후의 사서
㉠ 특징
성리학적 사관의 등장
정통과 대의명분 강조
㉡ 사서
이제현『사략』,『고려국사』, 원부『고금록』
정가신『천추금경록』, 민지『본조편년강목』
㉢ 내용
『사략』- 성리학적 춘추사관을 확립, 조선시대 역사학에 영향
※『삼국사기』와『사략』의 공통점 =>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
【보충설명】역사서를 묻는 방법
① 성격
㉠ 자주적 사관
고려 초, 무신정변기, 조선 15C, 조선 18C(=독자적)
7대실록, 삼국유사, 동국통감, 동사강목 등
㉡ 보수적 사관
고려 중기, 성리학 수용 이후, 조선 16․17C(=사대적)
삼국사기, 사략, 기자실기, 여사제강 등
② 서술방식(=편찬방식)
㉠ 기전체
본기, 열전, 지, 연표 순으로 편찬(=정사체)
삼국사기 등 대다수 역사서 서술 방식
㉡ 편년체
년, 월, 일별로 서술(=날짜별 서술)(=일기체)
~절요, ~통감, ~실록, ~편년~
㉢ 기사본말체
사건을 중심으로 서술
연려실기술, 삼국유사도 포함 가능
㉣ 야사체
이야기 중심의 역사 서술(=이야기체)
삼국유사
㉤ 강목체
강(대의)와 목(세목)으로 나누어 서술(=통사체)
동사강목 대표적
3. 조선시대
① 건국초
㉠ 특징 - 왕조 개창 정당화하고 성리학적 통치규범을 정당화시키는 사서 편찬
㉡ 사서 - 정도전『고려국사』, 권근『동국사략』
② 15C 중엽
㉠ 특징 - 성리학적 대의명분보다 민족적 자각과 왕실의 위신을 높이는 사서 편찬
㉡ 사서 김종서『고려사』,『고려사절요』
서거정『삼국사절요』,『동국통감』
㉢ 내용
ⓐ『동국통감』 성종 때(1484) 서거정이 편찬
고조선에서 고려 공양왕 때까지의 역사를 수록
우리 나라 최초의 편년체 통사
단군을 민족의 시조로 하여 민족사의 새로운 개척을 제시
③ 16C 사서
㉠ 특징 사림에 의한 존화주의․왕도주의 사관
단군 조선이 부정되고 기자를 더 높이 숭상
㉡ 사서 『기자실기』- 기자 중심
『동사찬요』,『표제음주동국사략』- 중국 중심
㉢ 내용
ⓐ『동사찬요』-동국통감을 전면 부정하고 새롭게 편찬
㉣ 영향
ⓐ 긍정적
민족적 자부심에 의한 소중화 의식으로 왜와 여진 무시
애국심을 높여주는 역할로 왜란과 호란 때 의병을 조직
ⓑ 부정적 - 국제정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여 양난을 격음
④ 18C 실학저 사서
㉠ 특징 -- 실학적 사서 편찬
㉡ 사서
ⓐ 안정복『동사강목』 한국사의 독자적 정통론 체계화
한백겸 이후 삼한정통론 체계화
고증사학의 토대 마련
※ 삼한정통론=>단군-(기자조선)-삼한(마한)-삼국-통신으로 연결
ⓑ 이종휘『동사』 만주 중심의 북방사 체계화
고대사의 시야를 만주까지 확대
반도 중심의 협소한 사관 극복
ⓒ 유득공『발해고』 발해사의 체계적 서술에 노력
발해를 신라와 함께 남북국으로 규정
ⓓ 한치윤『해동역사』- 외국의 많은 자료를 이용 민족사 인식의 폭 확대
ⓔ 이긍익『연려실기술』- 실증적․객관적 역사서술에 노력
【보충학습】조선왕조 실록
㉮ 편찬임금 : 태조실록~철종실록까지 25대 임금
㉯ 편찬시기 : 태종 때 태조 실록이 처음 편찬
㉰ 편 찬 처 : 춘추관 내의 임시관청인 실록청
㉱ 편찬방식 : 그날 그날의 사건을 낱낱이 기록한 편년체
㉲ 편찬사료
사관이 임금의 언행을 기록한 사초를 기본자료
시정기, 의정부등록, 승정원일기, 일성록 보조자료
㉳ 특징
왕 사후에 편찬
조선시대 연구의 가장 귀중한 자료
조선시대 문화 수준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
일단 편찬된 실록이라 할지라도 붕당 하에서 개수 가능
연산군과 광해군은 일기로 표기했지만 실록으로 인정함
※ 수정실록을 갖는 임금 : 선조, 현종, 경종
㉴ 실록보존 세종 때 4대사고 : 춘추관, 충주, 성주, 전주
임난 때 전주사고본만 묘향산으로 옮기고 나머지는 소실
광해군 때 5대사고로 정비
이괄의 난으로 춘추관사고본 소실
현존실록은 태백산본과 정족산본만 현존
4. 개항기
① 근대 계몽 사학의 성립
㉠ 박은식, 신채호, 장지연 등 활동
㉡ 영웅들의 전기 편찬
㉢ 외국 흥망사와 독립사 편찬
㉣ 항일 저작물 간행 → 오수불망, 금수회의록
② 민족주의 사학의 방향 제시
③ 민족 고전의 정리 및 간행 : 조선광문회 - 최남선, 박은식 중심
④ 사학자
㉠ 장지연 : 백두산 정계비고, 대한 최근세사, 대한 강역고
→ 민족 주체성과 조국 정신 고취
㉡ 신채호 : 독사신론, 을지문덕전, 이순신전, 강감찬전, 최도통전
→ 민족 정신 고취
㉢ 박은식 : 연개소문전, 안중근전, 이준전
㉣ 현 채 : 동국사략, 유년필독(=근대학교의 대표적 역사 교과서)
㉤ 정 교 : 대한계년사
㉥ 황 현 : 매천야록
5. 일제시대
① 식민사관
㉠ 특징
ⓐ 일제가 우리 역사의 부정적 측면을 강조한 사관
ⓑ 우리 민족의 뿌리와 근본을 무시한 사관
ⓒ 단군 조선을 부정하고 고대사 왜곡이 가장 심함
ⓓ 우리 역사를 왜곡․날조한 사관
㉡ 이론
ⓐ 만선사관 ⓑ 일선동조론
ⓒ 임나일본부설 ⓓ 내선일체론
ⓔ 당파성론 ⓕ 후진성론
ⓖ 정체성론 ⓗ 타율성론
㉢ 연구단체
ⓐ 조선사 편수회 ⓑ 고적조사위원회
ⓒ 법전조사국 ⓓ 청구학회
② 민족주의 사관
㉠ 특징
ⓐ 한민족의 기원을 밝힘
ⓑ 우리 문화의 우수성과 한국사의 주체적 발전을 강조
ⓒ 민족정신 강조
㉡ 학자
ⓐ 박은식
근대사 연구에 노력
역사는 신(神)이요, 나라는 형(形)이라고 강조
한국통사 - 근대 이후 일본의 조선 침략 과정 서술
한국독립운동지혈사 - 일제 침략에 대한 한민족의 독립운동 서술
“민족 혼” 강조
ⓑ 신채호
고대사 연구에 노력
민족주의 역사학의 기반 확립
조선상고사 - 역사를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으로 인식
조선사연구초 -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 극찬
독사신론 - 삼한정통론에서 벗어나 고대사의 체계를 정립
“낭가사상” 강조
ⓒ 정인보
근대사 연구에 치중
신채호의 민족주의 사관 가장 잘 계승
조선사연구 - 실학 연구에 노력
5천년간의 조선의 “얼” 강조
ⓓ 문일평
근대사 연구에 노력
한․미50년사 - 개항 이후 역사 연구
“조선심” 강조
ⓔ 최남선
조선역사, 고사통, 아시조선
불함문화권 주장
③ 실증주의 사학
㉠ 특징
ⓐ 역사적 사실의 객관성 강조
ⓑ 사실 그대로의 역사 강조
ⓒ 문헌 고증을 통한 역사 연구
㉡ 진단학회 결성
ⓐ 일제의 청구학회를 중심으로 한 왜곡돤 한국사 연구에 반발하여 조직
ⓑ 1934년 조직하여 1942년 일제에 의해 해체
㉢ 학자 - 이병도, 김상기, 신석호, 이상백, 이윤재, 조윤제, 손진태 등
④ 사회경제 사학
㉠ 특징
ⓐ 일제의 경제학자들이 우리 역사의 후진성과 정체성을 강조한데 반발
ⓑ 유물론적 변증법에 의한 역사 연구 강조
ⓒ 세계사적 역사 발전 단계설을 우리 역사에 적용함
ⓓ 일제가 주장하는 한국사의 특수성론을 배척하고 보편사의 이론 적용
㉡ 학자
ⓐ 백남운
유물사관의 입장에서 한국사를 체계화함
조선사회경제사, 조선봉건사회 경제사
ⓑ 기타 - 김석형, 이청원, 박극채
'한국사 > 분류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립운동 1920~1940년대 간단 정리 (1) | 2018.12.13 |
---|---|
한국사 전체 군사제도 정리 표 (삼국~조선후기) (0) | 2018.12.12 |
한국사 분류사 9 - 농경의 발달 과정 (0) | 2018.12.11 |
한국사 분류사 8 - 무덤의 변화 과정(신석기, 청동기, 초기철기, 초기국가,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0) | 2018.12.11 |
한국사 분류사 7 - 문화재 및 유물의 발달 과정(불상, 탑, 건축, 서예, 도자기, 음악, 기타) (0) | 2018.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