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민족운동의 성장


식민통치의 강화


문화통치의 실시(19191930)

일본에 절대 충성하는 자로써 관리를 강화.

친일적 인물을 물색하고 친일단체를 만든다.

각종 종교단체에서 친일파가 최고지도자가 되게 하고 일본인을 고문으로 앉힌다.

친일적 민간인에게 편의와 원조를 제공하고 친일적 지식인을 대량으로 장기적 안목에서 육성한다.

양반유생으로 직업이 없는 자에게 생활방도를 만들어 주고 선전과 민정정찰에 이용(대동사문회, 유교진흥회).

조선인 부호에게는 노동자농민과의 대립을 인식시키고 일본자본을 도입(조선인소작인상조회).

유지가 이끄는 친일단체 교풍회, 진흥회를 만들어 회유이용(대동동지회, 국민협회).

실시배경과 목적: 기만정책임

내용

총독임명 제한철폐: 문관도 임명될 수 있게 하였으나 식민지 전 기간 동안 사이토가 해군대장, 나 머지는 육군대장.

보통경찰제 실시: 사실은 고등계 사찰기구 신설, 경찰의 수와 장비를 더욱 증가.

언론출판통제의 완화: 31운동의 가장 두드러진 성과로 조선일보(1920. 3), 동아일보(1920. 4)등 민족신문 발행을 허가하였으나, 기사검열을 강화하여 탄압.

전시용 중추원을 확대하고 도군에 평의회협의회를 기만적형식적으로 운영.

교육의 기회증대: 학제를 개정, 경성제대 설립(1926), 그러나 고등교육은 계속 억제.

치안유지법 공포(1925): “일본의 국체 및 정체의 변형과 사유 재산을 부인하는 자는 징역 10년에 처한다.”


일제 독점 자본의 침투

1920년대

본격적인 침투: 1차대전을 계기로 성장한 일제 독점 자본은 1920년대부터 한국에 본격적으로 침 투하기 시작. 광업, 비료, 섬유 회사 등을 설립하고 우리나라의 공업 생산을 장악해 나감.

중공업 정책 실시: 1926년 함경도에 부전강 수력 발전소가 완성되고, 다음 해에 그 전력을 이용한 조선 질소 비료 공장이 흥남에 세워지면서 중공업 투자 시작.

1930년대

일본이 만주와 중국을 침략함에 따라 우리나라는 병참 기지가 되어 일본인의 중공업 투 자가 더욱 증가.


식량의 수탈

산미증식계획(19201933): 일본의 공업화정책으로 자국의 식량생산이 부족하자 조선을 식량공급기 지화 하는 것이 의도.

산미증식계획 하에 영세한 농민들은 소작쟁의를 일으켰으며, 단작형 농업구조로 단순화.

세계 경제공황(1933)으로 농민을 보호하기 위해 산미증식계획 중단.

 


대한민국 임시정부(1919. 41945. 8)


임시정부의 의의와 수립과정

대한국민의회(1919. 2. 25)

블라디보스톡

대통령: 손병희/국무총리: 이승만

조선민국임시정부(1919. 4. 9)

서울

정도령: 손병희/부도령: 이승만

대한민국임시정부(1919. 4. 10)

상해

의정원 의장: 이동녕/국무총리: 이승만

신한민국정부(1919. 4. 17)

철산의주지역

집정관: 이동휘/국방총리: 이승만

한성정부(1919. 4. 23.)

서울

(국내에서 13도 국민 대표 명의로)

집정관 총재: 이승만/국무총리 총재: 이동휘


㉠ 「우리역사에 따른 임시정부 단체


대한민국의회

(연해주 1919. 2)

노령정부

│➡

 

 

 

 

창조파

 

 

대한민국임시정부

(상해 1919. 4. 10)

대한민국임시정부(1919. 9)

한성정부의 정통성을 인정한 상해 임시정부로 최초의 민주 공화제 정부

국민대표회의(1923. 1)

이승만의 불신임과 독립운동 전체 방향 전환 문제

현상 유지파

 

 

한성정부

(서울 1919. 4. 23)

 

 

개조파

 

북간도의 군정부

(1919)


임시정부의 수립과정

구분

연도(지역)

내용

초기

1919. 4(상해)

국무총리: 이승만, 의정원 의장: 이동녕, 내무총장: 안창호

1차 개헌

1919 (상해)

대통령 중심제(이승만12월 박은식), 국무총리: 이동녕, 3권 분립 제도

2차 개헌

1925 (상해)

국무령 중심의 내각책임 지도제(김구, 이상룡, 양기탁, 안창호, 홍진)

사법권 조항 규정

3차 개헌

1927 (상해충칭)

국무위원 중심제(주석: 이동녕, 국문총리: 김구 등 11)

사법권 조항 폐지

4차 개헌

1940. (충칭)

주석 지도 체제(주석: 김구)

5차 개헌

1944

주석(김구)부주석(김규식) 중심체제 다시 심판원 조항 규정

개헌과 정치형태


임시정부의 활동

연통제의 조직: 비밀 조직망으로서 서울(총판), (독판), (군감), (면감)의 조직.

군자금의 지원: 만주에서 쇼의 이륭양행, 부산 안희제의 백산상회, 애국공채.

외교활동: 김규식을 파리 강화회의에 파견(1919. 5), 구미위원부 설치.

언론편찬사업: 독립신문 간행(1919. 8), 사료편찬소 일 관계 사료집

무장활동: 상하이에 육군 무관 학교 설립, 광복군 사령부, 광복군 총영, 육군주만참의부를 두었다. 광복군을 조직(1940)하여 총사령관에 지청천 임명. 1941년에 대일대독 선전포고, 1943년에는 버 마전선에도 참가.


임시정부의 분열과정

독립전쟁론과 외교론의 갈등

새 정부 통합 교섭 당시 연해주의 노령 정부는 외교부와 교통부만 상해에 두고, 정부와 의정원은 동포가 많이 사는 간도나 연해주 지방으로 옮길 것을 제안(독립전쟁론).

상해 정부는 외교론에 근거하여 상해를 고수.

외교론의 문제점: 임정이 독립전쟁을 방기, 이론의 갈등이 내부 분열 유발, 독립운동 단체 및 무 장세력 통합 기회가 무산.

외교적 실패

위임통치 청원서(1919. 2): 이승만이 미국 정부에 제출하여 임정의 권위 추락, 민족적 망신.

파리 강회회의 본회의에 김규식 참여 거부당함.

워싱턴 회의에도 이승만서재필이 참여하지 못하고, 회의에서는 일본의 과잉 인구문제 해결을 위한 식민지 필요만이 역설.

국민대표회의(1923. 1): 70여 단체 140명이 참석.

ⓐ 3개의 파

가. 창조파: 무력항쟁 강조조선공화국 수립 주장, 임정의 완전 해체와 새 정부의 구성을 주장. 원세 훈김규식김창숙박은식신채호이동휘 등 민족주의 좌파계열과 노령 공산주의 등 80여명 의 지지를 얻었음.

나. 개조파: 실력양성을 우선으로 자치운동과 외교활동을 강조, 임정의 개조를 주장. 안창호와 상해파 공산주의자 등 57명 정도가 지지.

다. 현상유지파: 이동녕김구.

임정은 1925년 이승만을 탄핵파면하고 박은식을 제2대 대통령으로 추대, 헌법 개정과 조직 개편 추진.

 



한인의 국외 이주와 독립 운동


한인의 국외 이주

19세기 중엽의 국외 이주

배경: 조선인들이 압록강, 두만강을 건너 간도와 연해주 등지로 본격적인 이주를 하게 된 직접적 인 동기는 열악한 경제 상황을 타개하려는 것이었다.

지리적 여건: 이 지방들은 한반도와 연접해 있어서 이동이 쉬웠고, 풍토 역시 우리나라와 비슷.

이민 형태: 그 이전에도 변경 지대의 조선인 중에 두만강과 압록강을 건너 간도 땅에서 농사를 짓고 가을이면 타작한 곡식을 가지고 돌아오는 계절 출가 이민이 있기는 하였지만 많은 수는 아 니었다.

을사 조약(1905) 이후의 국외 이주

배경: 일제의 침략이 노골화되자 이에 반감을 품은 인사들 가운데 일부가 국외로 이주.

이민 형태: 일제의 탄압을 피한 정치적 망명자들의 이주가 급증.

국권 강탈(1910) 이후의 국외 이주

배경: 국내에서 활동하던 의병과 애국지사들은 중국, 연해주, 미국, 일본 등으로 망명하여 본격적 인 국외 독립 운동을 전개하려 하였다.

전개: 민족 운동가들은 주로 서북간도를 비롯한 남북만주와 시베리아 연해주에서 독립 전쟁 을 위한 기지 건설을 활발히 추진하였다.

지리적 여건: 이 지역은 국내 진공이 유리한 국경 지역이라는 점 이외에도 수많은 한인들이 이주 하여 폭넓은 한인 사회를 형성하고 있어서 지역 주민들의 협조와 지지를 얻을 수 있었다.

이민 형태: 대부분의 독립 운동 단체들은 경제 및 교육 단체를 표방. 그들은 향후 독립 전쟁을 위 하여 동포들의 생활 대책을 강구하는 목적과 대중적인 운동 방법으로 경제 활동을 강조.


 

독립군의 항전


독립군의 편성(1920년대 전후)


만주

대한독립단(서간도): 1919년 박장호, 조맹선, 백삼규 등이 조직.

서로군정서(남만주): 1920년 이상룡, 여준, 지청천 등이 활약.

북로군정서: 1919년 서일, 김좌진 등 대종교도들이 중심.

대한독립군: 1919년 홍범도 지휘, 본부는 봉오동.

대한독립군비단: 1919년 장백현에서 이희삼 등이 조직.

의군부: 김덕원, 김평식 등이 조직.

광복단: 1920년 봉천에서 김성극, 홍두식 등이 조직.

태극단: 1919년 조인관, 김동준 등이 조직.

광한단: 1920년 현정경, 이호원 등이 조직.

광복군 사령부: 1920년 조병준 등이 조직.

광복군 총영: 1920년 광복군 사령부가 오동진에 의해 개편되어 임시정부 산하군단으로 발전.

광정단: 1922년 장백현에서 대한독립군비단+흥업단+태극단+광복단. 김호익윤덕포 등이 활약.


연해주

혈성단: 1920년 헤이룽장성에서 김국초, 김태일 등이 조직.

신민단: 1919년 블라디 보스토크에서 한광휘 등이 조직.

경비대


미국

국민군단: 1919년 하와이를 중심으로 박용만 등이 조직.

비행사 양성소

소년병 학교 등


국내

천마산대: 31운동 이후 평북 천마산에서 최시흥, 최지풍 등이 조직.

보합단: 1920년 의주에서 김동식, 백운기 등이 조직. 군자금을 모금하여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보 내고, 친일파를 숙청하는 데 힘썼다.

의용단: 1919년 평양에서 홍석운, 김동혁 등이 조직.

구월산대: 1920년 이명서, 이근영 등이 구월산에서 조직.

태극단: 1942년 이상호 등이 조직.

보민회: 1919년 최창규 등의, 본부를 홍경현에 둔(후에 봉천 이전) 반민족적 단체. 후신으로 조선 인민회와 권농회.



독립군의 승리와 수난


봉오동 전투(1920. 6)

독립군 부대들의 국내 진입 작전에 시달리던 일본군이 두만강을 건너 독립군을 추격하였으나 삼 둔자에 매복해 있던 독립군에게 섬멸당함(삼둔자 전투).

일본군은 19206, 1개 대대의 병력으로 독립군 소탕 시작.

홍범도의 대한 독립군은 화룡현을 출발하여 함북 종성현의 일제 국경 수비대를 격파, 일본군 남 양 수비대 1개 중대를 기습.

일본군은 661개 대대 병력으로 공격해오고 대한독립군은 최진동의 군무도독부와 안무의 국 민회군과 합세하여 격파(봉오동 전투), 반격하는 일본군을 맞아 77일 대승리.


청산리 대첩(1920. 10)

봉오동 전투의 보복으로 일본군은 중국 마적과 짜고 학살과 훈춘성의 일본공사관을 방화한 훈춘 사건(1920. 10. 2)을 조작, 이것을 구실로 3만명의 한국인을 학살.

북로군정서 부대는 서대피구를 출발하여 안도현의 백두 밀림으로 이동 중, 화룡현 청산리에서 적 의 포위를 당함.

김좌진 부대는 배수진을 치고 1020일 독립군의 매복 지점에 당도한 일본군 선발 부대를 기습 하고, 3차례에 걸친 적의 반격을 격퇴. 이후 김좌진 부대는 후퇴를 하고, 그 와중에 일본군은 양 쪽에서 자기편을 공격하여 많은 사상자를 냄.

10여 차례의 전투에서 독립군은 일본군 1254명 사살, 아군은 60명 전사90명 부상.


간도참변(=경신참변, 1920. 10): 일본군은 192010월부터 이듬해 5월까지 독립군은 물론 비전투원 동포에 조선군(국내), 관동군(관동), 포조군(연해주)를 동원하여 무차별 살상, 체포, 강간, 방화 자행.


자유시 참변(=흑하사변, 1921)과 미쓰야 협정

간도참변 후 독립군 주립부대는 밀산부(만 국경지대)에 집결하여, 서일을 총재로 대한독립군 단을 조직(1921. 4)하고 노령으로 이동.

소련 영내의 자유시로 이동한 독립군은 적색군(적군, 소련군)과 백색군(백군, 반혁명군)의 내전에 서 적군을 도왔다.

독립군은 약소 민족을 지원한다는 적색군에게 이용당하고 무장 해제까지 당하였다. 이것은 시베 리아의 일본군이 백색군을 지원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내전에서 승리한 적군이 독립군의 무장을 강제로 해산하려 하자 독립군은 무수한 사상자를 내었다.

미쓰야 협정: 만주 군벌 장작림 장군은 19256월 조선 총독부 미쓰야와 미쓰야 협정을 체결하 고 재만 조선인의 독립운동 단속, 체포자의 일본 영사관 인도를 약속함.

지린성 만보산에서 일제의 한중 양국 이간책으로 만보산 사건이 발생하여 재만 동포의 생존에 위협.


독립군의 재정비와 통합

독립 운동 단체들의 통합운동 전개로 민정기관과 군정기관을 갖춘 삼부 성립. 완전한 통합은 이 루지 못함.

(육군주만)참의부(1923): 백광운, 최석순, 윤세용 등이 압록강 대안에 임시정부직할 하에 편성.

  정의부(1924): 지청천과 오동진 등이 지린성과 봉천성을 중심으로 조직.

  신민부(1925): 김좌진 등이 북만주 일대에서 자유시 참변 이후 노령에서 돌아온 독립군을 중심으 로 결성.

혁신 의회(1928): 북만주의 독립 운동 세력인 김좌진, 지청천, 김동산 등을 중심으로 결성. 이를 통치하는 정당의 성격을 띤 한국 독립당과 군사 조직인 한국 독립군이 결성.

1929년 삼부는 국민부로 통합: 남만주에서 수립되고, 조선 혁명당의 군사 조직으로 조선 혁명군 결성.


만주사변 이후의 독립군 활동

1930년대는 만주간도 지역에서 해방 운동 주도, 따라서 함경도평안도의 노동자농민 투쟁이 격렬.

만주를 통치하던 중국 군벌이 구국군으로 저항. 여러 노력으로 1932년에 각지의 소규모 유격대가 만들어지고 항일유격대로 발전. 동만주의 유격대는 거의 조선인, 북만주는 한중연합. 항일 유격대는 인민 혁명 정부를 수립하고 개혁 실시.

일제는 항일 유격대를 토벌키 위하여 19331936년 만주 파견군 규모를 40만으로 증강, 보갑제집단부락민생단 등을 실시.

항일 유격대는 민족 통일 전선 조직체를 건설하고 재만 한인 조국 광복회(약칭 조국광복회)’193656월 경 창립.

만주사변(1931) 이후 독립군 일부는 한중연합군을 결성하였고, 만주를 일본이 장악하자 중국대 륙이나 연해주로 분산되었는데, 중국 본토로 들어간 독립군은 광복군에 합류.

한국 독립군(지청천)과 중국 호로군: 쌍성보, 대전자령 전투, 사도하자 전투, 동경성 전투 등지에서 일만 연합군과 전투를 전개하여 대승.

조선 혁명군(양세봉)과 중국 의용군: 흥경성 전투, 영릉가 전투에서 일본군을 크게 격파.

항일유격대와 조국광복회의 협력 전투. 조아범(중국인)이 이끄는 부대는 압록강 연안으로 진출하여 후위를 담당, 주수동(중국인)최현이 이끄는 함북 무산으로 진공하여 보조 타격을 담당, 보천보 공격의 주공 방향은 김일성 부대가 맡는다는 계획을 19373월 서강 회의에서 수립.

193764일 밤10시 주력부대에서 선발된 150여명의 원정대를 김일성이 지휘하여 전투를 시작했다. 이 전투로 일제의 모든 기관들이 불타고, 일본인들은 처형당했다고 북한이 주장.


일 전쟁 무렵 독립군

독립군의 동향: 1930년대 중반 이후, 독립군의 대부분은 한국 광복군에 참여하였고. 만주 잔류 독 립군은 중국 항일군과 함께 항일 연군을 편성하여 항전을 계속함.

조국광복회의 조직(1936): 중국 공산당의 동북 인민 혁명군(1933)을 확대 개편한 동북 항일 연군 의 조선인 간부들이 민족 연합(통일)전선을 실현하고 독립적인 인민 정부를 수립한다는 목적 아 래 조직. 국내의 민족주의자 및 공산주의자들과 손을 잡고 함경도 일대에도 조직을 확대.


 

광복군의 대일항전


광복군 결성(1940. 9)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대한민국임시정부는 각지의 무장독립군을 모아 김구, 김규식, 지청천 등을 중 심으로 충칭에서 광복군을 창설하고, 지청천을 사령관, 이범석을 참모장으로 하였음.

1942년 조선의용대(김원봉, 1938)을 흡수하고 그를 부사령관으로 임명하여 조직을 보강.


대일선전포고(1941): 대일대독 선전포고문을 발표하고, 버마인도전선에서 영국군과 연합작전 수행.


국내진입작전: ‘국내 정진군으로 특수훈련을 받고 459월 국내진입 계획을 세웠으나, 미국의 일본 제압으로 인하여 이미 광복이 됨으로써 실현되지 못함.

. 일본 제국주의와 민족수호운동


1. 일제의 식민지 정책


무단정치

임시총독 - 이토 히로부미

1- 데라우치(1910. 10, 무단정치)

2- 하세가와(1916. 10, 31운동 당시)

3- 사이토 마코토(1919. 8, 문화정치)

4- 우가키(1927. 4)

5- 야마나시(1927. 12)

 

6- 사이토 마코토(1929. 8)

7- 우가키(1931. 8)

8- 미나미 지로(1936. 8, 민족말살정치)

9- 고이소(1942. 5)

10- 아베 노부유키(1944. 7)


조선총독부: 무관출신 총독을 정점으로 헌병경찰제 실시. 정무총감과 경무총감.


강압정치

1910년대는 무단통치의 시기.

데라우치는 범죄즉결령(1910. 12), 경찰범 처벌규칙(1912. 3), 조선형사령(1912. 3), 조선태형령(1912. 3), 조선감옥령(1912. 3) 등 악법 제정.

헌병경찰제도: 헌병이 민사 경찰의 임무까지 수행하고 행정관, 검사, 재판관의 역할까지 행하며 즉 결심판 행함.

일반 관리에서부터 교원에 이르기까지 제목과 제모에다가 칼까지 차게 함.

한국인의 정치참여를 위장: 자문기관으로 중추원을 두었으나 회합이 없었음.

 


식민지 경제


일제의 토지조사사업 실시(19121918)

토지조사령(1912): 토지조사국(1910)에 신고하면 그 소유권을 인정받는 기한부 신고제.

목적: 토지조사령을 발표하여 근대적 소유권이 인정되는 토지 제도를 확립한다고 선전하였으나, 실 제로는 한국인의 토지를 약탈하고 지주층을 회유하기 위한 것이었다.

방법: 토지 신고제가 널리 알려지지 않았으며, 신고 기간도 짧고 절차가 복잡하여 기회를 놓친 사 람이 많았다.

미신고지국공유지를 불법 탈취한 것이 전 통토의 40%, 마을이나 문중 소유의 토지와 산림, 초원 황무지 등도 강탈.

수탈한 토지는 동양척식주식회사 또는 한국에 이주한 일본인에게 염가로 불허.

결과: 지주의 소유권만 인정되어 지주제가 강화. 1918년에는 3%의 지주가 50% 이상의 경작지를 소유. 소작 농가는 77%나 되었고 5070%의 소작료를 내게 되었다. 농민은 영세화되었으며 고리 대에 희생되어 화전민이 되거나 만주연해주로 이주.


임업어업광업부문

임업: 삼림법(1908)을 제정. 삼림령(1911)을 공포하면서 전 산림의 50% 이상을 총독부와 일본인이 강점. 압록강두만강 유역의 목재를 대대적으로 벌채.

어업: 1910년 이후 다수의 일본 어부들이 한국에 이주하여 황금 어장을 독점, 조선어업령(1911)에 의해 황실 및 개인소유 어장이 일본인 소유로 재편성.

광업: 조선광업령(1915) 공포와 병행하여 각지의 광산을 조사하여 이를 일본인 재벌에게 불하.


상업금융부문

총독부는 철도통신항만 등을 독점경영, 담배소금인삼은 전매.

회사령(1910): 회사설립에 허가제를 실시하여 자본형성을 견제. 1920년에는 민족 자본가층을 항일 의 대열에서 탈락시키기 위하여 신고제로 바꾸었고 이와 더불어 관세철폐로 일본의 독점 자본주의 진출을 적극 후원.

금융: 조선은행(1911), 조선식산은행(1918), 동양척식주식회사가 금융계를 장악, 지방에는 금융조합 이 침투. 세금도 대폭 강화.


식민지 경제정책의 결과

무역이 일본 중심으로 개편: 수출의 90%, 수입의 65%가 일본으로 집중. 잡곡담배를 수출하 고 옷감경공업 제품을 수입.

 


식민지 교육


일제 식민지 교육의 본질: 한국인의 민족성과 자주성을 말살하여 한민족을 일본의 하등 부용국민으로 만드는 것.

1
(1911)

일본어를 국어라고 하여 학습강요

사립학교규칙(1911. 10), 서당규칙(1918. 2)

우민화교육: 보통실업전문기술교육

 

3

(1938)

고등보통학교를 중학교로 개칭

초둥학교 시설 확장(11)

우리말 교육과 국사교육 금지

황국신민서사 제정, 암송제창 강요

2

(1922)

사범학교 설치, 대학교육 허용

교육시설이 31교로 확대

보통학교는 6, 고등보통학교는 5

4

(1943)

민족교육기관을 탄압


조선교육령


일제의 식민사관(조선반도사1910)

타율성론: 반도적성격론, 남한경영설, 만선사관, 임나일본부설

정체성론 사회경제사학

당파성론

일선동조론

 



2. 독립운동의 방향과 31 운동


약소 민족의 시련


파리 강회 회의(1919. 1): 1차대전의 뒤처리를 위하여 소집되었고 윌슨 대통령이 제창한 14개조의 평 화 원칙을 기본 원칙으로 하였다.

민족 자결주의: 패전국러시아의 식민지에만 적용되었음.

공산주의 세력 확대: 코민테른을 결성(1919), 반제국주의 민족 운동 및 약소 민족의 독립 운동 지원.



아시아 각국의 민족 운동


중국

54운동(1919): 파리 강화 회의에서 일본의 21개조 요구를 인정한 것을 원인으로, 베이징 대학생 을 중심으로 21개조 요구를 철회하고 친일 관리의 파면을 요구.

1차 국공 합작(1924): 쑨 원의 국민당이 중국 공산당과 제휴.

장 제스의 중국 통일: 난징에 국민 정부를 수립하고 베이징의 군벌 정부를 타도하여 통일(1924).


인도

간디: 완전 자치 주장, 비폭력불복종의 민족 운동 전개.

네루: 완전한 독립 요구.


오스만 제국

1차대전의 패배: 영토 상실, 소국으로 전락.

케말 파샤의 개혁: 오스만 제국의 술탄 퇴위, 터키 공화국 수립, 근대화 작업의 추진.

 



31운동 이전의 독립운동


국내의 독립운동


독립의군부(1912): 고종의 밀지를 받아 임병찬 등이 의병과 유생을 규합한 복벽주의 단체.

활동: 일본의 총리 대신과 조선 총독에게 국권 반환 요구서를 제출.


(대한(조선))광복단(1913): 채기중 등이 조직하여 각도에 지부를 설치. 만주에도 지부를 두어 독립 군 간부를 양성하였으며 군자금도 수집.


천도교국단(1914): 천도교 계통의 이종일 등이 조직.


조선국권회복단(1915): 대구에서 이시영, 서상일 등이 시회(詩會)를 가장하여 조직. 경찰서를 습격, 만주와 연해주의 독립단체와도 연결한 공화주의 단체.

활동: 한일 합방 후 시도한 전국 규모의 첫 번째 항일 운동 단체로서, 만주연해주의 독립 단체 와 연계 투쟁을 하였고, 파리 강화 회의에 보낼 독립 청원서를 작성하기도 하였다.


대한(조선)광복회(1915): 채기중의 대한광복단을 개편하여 박상진, 김좌진 등이 군대식으로 조직한 공화주의 단체.

활동: 의병 출신자를 비롯하여 신교육을 받은 인사들이 참여하였으며, 근대 공화 정치를 지향. 국 외 독립 운동 기지 건설을 위한 군자금 모집 활동을 전개하였고, 친일파를 처단.


조선국민회(19151918): 장일환이 평양 숭실학교 학생과 기독교 청년을 중심으로 조직.

활동: 해외의 독립 운동가와 연락하며 군자금 모금과 무기 구입을 위해 활약.


자진회(1915): 함난 단천에서 자립 교육을 목표로 결성되었으나 곧 해산.

민단조합(1915): 한말 의병장 이동하를 중심으로 조직하여 군자금을 수집.

조선산식장려계(1917): 경성고보 교원양성소 내의 비밀결사조직.


기타: 송죽회(1913), 자립단(1915), 신명단(1915)


 

독립운동 기지의 건설


국내: 신민회(19071911)는 안창호, 이동녕, 이승훈, 양기탁, 박은식 등이 조직. 북간도와 연해 주 등지에서 항일운동의 거점 마련.


북간도 지역(19세기 후반에는 농민들의, 20세기 이후에는 민족의식이 확고한 사람들이 이주)

삼원보: 이시영이상용 등이 조직한 서간도의 조직.

한흥동: 이상설이승희 등이 조직한 밀산부의 조직.

경학사(1910): 대종교인들인 이시영이동녕이상룡 등이 만주에서 조직한 독립운동 단체의 시 초. 자치기관으로 기능하였고, 1914년 부민단으로 개편. 이후 백서농장을 건설(1917)하여 훈련+농 사. 신흥강습소(1919년 신흥무관학교로)를 설치.

항일 운동의 약화: 1930년대에 들어와 일제의 대륙 침략으로 만주의 무장 부대 활동이 점차 약화.

서전서숙: 이상설이 만주 용정에 세운 학교.


연해주(블라디보스토크)

한민회(1905): 해조신문등 발행, 한민학교(1909)를 중심으로 교육활동.

13도 의군(1910): 한말의 대표적인 의병의 통합체로, 유생 의병장인 유인석이 조직.

성명단(1910): 시베리아에서 유인석이상설 등이 조직, 8천명 애국자의 선언문을 채택.

권업회(1911): 이종덕 등이 국권 회복을 목적으로 조직, 한인 사회의 경제적 이익을 증진시키고 민족 교육 운동을 추진.

대한광복군정부(1914): 이상설과 이동휘를 정부통령으로 하는 최초의 임시정부. 독립군의 무장 항일운동의 기반이자 민간정부 탄생의 단초.

전로한족회 중앙총회(1917): 시베리아 한인의 핵심단체.

한인사회당(1917): 볼셰비키 혁명의 영향으로 이동휘 등이 하바로프스크에서 결성. 1921년 고려공 산당으로 개명.

대한국민의회(1919): 블라디보스토크의 전로한족회 중앙총회가 정부 형태로 개편(노령 정부)된 것 으로서 고창일 등을 파리 강화 회의에 파견.

1920년대: 시베리아 내전이 종식되고 볼셰비키가 정권을 장악한 후, 1920년 초에는 한국인의 무장 활동을 금지하고 무장 해제를 강요함으로써 민족 운동이 약화.

1930년대: 1937년에 연해주의 한인들은 소련 당국에 의하여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되었고, 그 과 정에서 수많은 한인이 희생되고 재산을 잃게 되었다.


상하이(중국 국민당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 관계가 편리한 것이 배경)

동제사(1911): 신규식, 박은식, 조소앙 등이 결성한 비밀 결사. 중국 국민당 인사까지 참여시켜 신 아 동제사로 개편(1913)하여 박달 학원 설립.

신한혁명당(1915): 박은식, 신규식이 중심이 되어 결성. 복벽주의에서 출발하였으나, 1917년 황제 권을 포기하고 국민 주권주의와 공화주의를 표방하면서 임시 정부와 같은 단체를 결성하는 내용 의 대동 단결 선언(1917) 제창(최초의 애국 계몽 운동과 의병 운동을 최초로 통합 시도).

신한청년당(1918): 여운형김구김규식장덕수 등이 조직하여 김규식을 파리 강화회의에 파견(1919)


미주(20세기 초부터 하와이의 사탕수수 밭 노동 희망자와 그 가족의 이주)

하와이 이주민: 일제가 하와이 이민을 금지한 1905년 말까지 7천여 명이 하와이로 이주하여 혹사.

미국 본토: 대부분 유학생이나 관리 출신. 샌프란시스코에서는 소수의 인삼 장수와 지식인들이 이주.

하와이서부터 시작하여 신민회(1903), 한인합성협회(1907)등 다수의 조직이 결성.

공립협회(1905): 샌프란시스코를 중심으로 조직.

국민회(1909): 공립협회와 합성협회가 합동하여 이승만이 하와이에서 조직, 후에 대한인국민회로 개명.

한인소년병학교(1909): 박용만이 헤이스팅스에서 설립. 박용만은 그 후 국민군단(1914)를 결성하여 1917년에 약소국민회의에 참가.

대한인국민회(1910): 외교 활동 전개. 임정 수립 이후에는 의연금을 송금하였으며, 구미 위원부의 활동을 적극 지원.

흥사단(1913): 안창호가 로스엔젤레스에서 조직. 군인 양성과 외교 및 교민 교화에 노력하였으며, 동광잡지 발행.

구미 위원부(1919): 이승만이 미국 워싱턴에 설치한 임정의 외교 사무소로 서재필이 운영하던 한 국 통신부와 주 파리 위원회를 흡수. 영문 월간지 한국평론을 발행하여 일제 침략을 고발하기도 하였으나, 구체적 외교 성과는 없었다.

멕시코 동포: 승무 학교를 세워 독립군 양성.


일본: 조선유학생학우회(1912), 조선기독교청년회(1906), 도쿄의 동아동맹회(1915), 최팔용이 28독 립선언식을 추진한 조선청년독립단(1918)등이 활약. 일본에로의 이주는 19세기 말에는 유학생이, 국권 강탈 후에는 농민들이 산업 노동자로 취업 이주가 많았다.


 

31운동


배경

국제적 분위기

1910년대 말의 민족자결주의 물결.

볼셰비키 혁명 후 신정부의 레닌은 민족자결의 원칙하에 식민지 이권을 모두 포기한다고 선언.

윌슨 대통령은 191811차대전의 전후 처리 문제에 대해 강화원칙 제시.

해외 독립운동단체의 동향

대한국민회는 191812재미 한인 전체 대표 회의를 소집하고 파리 강화 회의에 대표를 파견 하여 독립을 호소할 것을 결의.

신한청년단도 김규식을 파리 강화 회의에 파견할 것을 협의.

19192월 조소앙이 작성하고 민족대표자 39인이 서명한 지린의 무오독립선언 발표.

일본인들이 고종을 독살하였다는 소문이 반일감정을 고조.

28 독립선언(1919): 재일 조선 유학생들은 도교 조선 기독교 청년회관에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후, 독립선언서와 민족대회 소집 청원서를 각국 대사관, 일본 정부와 의회, 조선총독부, 각 언론사에 발송. 학생 총회 이후 일본 의회를 향해 시위행진을 감행.




과정

추진: 민족대표자 33(천도교의 손병희 등 15, 불교의 한용운 등 2, 기독교의 이승훈 등 16) 과 학생들과의 결합 하에 추진.

민족대표의 계획: 총대표 손병희를 추대하고 31일 정오를 기해 탑골 공원에서 독립 선언서를 낭독한 후 일제히 시위를 전개하기로 결정. 지방에도 미리 조직을 짜서 독립선언서와 독립청원서, 독립의견서 등을 작성하고 인쇄배부 문제등을 결정.

계획의 실행

민족대표 측: 31일 민족대표들은 태화관에서 만세삼창을 하고 독립 선언서의 공약 3장을 낭독 한 후 경무 총감부에 전화를 걸어 체포되었다.

학생 측: 오후 2시 반경 정재용이라는 학생이 독립 선언서를 낭독하고 만세를 외침.

운동의 확산

31일 서울, 평양, 의주, 원산을 시발점으로 3월 하순4월 상순에는 하루 최고 60회 이상까지 투쟁.

청년 학생이 커다란 역할을 수행하여 장날을 이용해 확산.

단계

1단계(점화기)

2단계(도시 확대기)

3단계(농촌 확산기)

범위

주요 도시

도시를 중심으로 확대

농촌, 국외로도 확산

주체 및 구성원

민족 대표(종교계)

학생

학생 주도

상인, 노동자 참여

농민 적극 참여

전개 양상

독립 선언서 배포

비폭력주의

만세 시위

만세 시위

철시

 

무력적인 저항

 

 

노동자들은 파업시위로, 학생들은 동맹 휴학가두연설, 상인수공업자는 폐점철시, 하급 관 리와 일본인 회사의 사무원들은 태업퇴직의 방법으로 투쟁.해외의 시위

지린: 무오 독립선언을 발표하였던 지린에서는, 31운동이 일어나자 각지에서 시위 전개.

만주 용정, 연해주 블라디보스토크, 미국 필라델피아에서도 시위 전개.

일본: 28 독립선언을 하였던 도쿄 유학생들은 31운동 봉기 소식을 듣자 시위 전개, 오사카의 동포들도 뒤이어 시위 전개.


일제의 대응

헌병, 경찰, 군인, 소방대원을 동원하고 일본 내의 보병 6개 대대 이상을 증파. 수원제암리 처살사 건(1921)을 일으킴.

415정치에 관한 범죄 처벌에 관한 것이라는 악법을 만들어 대대적으로 검거하고 고문과 악형을 가함.

4월 중순 이후 항쟁은 하강 국면에 접어들었고, 여파는 1920년까지 계속.


운동의 성격: 투쟁이 산발적분산적으로 이루어지고 지도가 부재하였지만, 민족 단결의 정신적 기반 을 마련.


운동의 의의

일제의 가혹한 탄압에도 불구하고 우리 한민족의 존속을 입증.

일제의 식민통치에 큰 타격을 주어 문화통치로 전환케 함.

민족운동의 방향 및 주도층을 바꾸었음. 1920년대의 노동운동, 농민운동의 바탕이 됨.

무장독립운동이 본격 추진.


영향

대한민국임시정부(1919. 4)의 수립, 일제의 문화통치 전환.

54운동(1919), 인도의 무저항운동, 중동지역의 민족운동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었다.

 

2. 애국계몽운동과 의병의 항쟁



을미의병의 활동(1895)

단발령이 직접적 계기, 을미사변으로 처음 거병. 고종과 명성황후 척족의 지원도 있었다.

의병장: 처음 문석봉(보은), 유인석(제천), 이소응(춘천), 박준영(이천여주), 민용호(강릉), 김복한(홍주), 곽종석(산청), 이강년(문경), 기우만(장성)

해산: 아관파천, 단발령 철회, 국왕의 해산권고조칙에 따라 해산(많은 부대가 근왕주의적 의식이 있었음).

 


을사조약과 민족의 저항

민족의 저항

상소 운동: 조병세, 이상설, 안병찬 등은 을사조약에 서명한 대신들의 처벌과 조약의 폐기를 황제 에게 요구.

항일 순국: 민영환(대국민 유서), 좌의정 조병세, 전대사헌인 송병선, 학부 주사 이상철 등이 자결.

5적 암살단

항일 언론: 시일야방성대곡(황성신문), 을사조약불인친서(대한매일신보).

외교적 노력: 워싱턴 특사 헐버트와 헤이그 특사 이상설, 이준 이위종 파견.

을사 조약 후의 민족 운동의 방향: 애국 계몽 운동과 의병의 항전.

 


을사의병과 병오의병


을사의병

원인: 을사조약 체결.

의병장과 의병대: 민종식(충청도 정주), 원용팔(강원도 원주), 김순현신돌석정용기(경상도), 최익 현기우만고상순(전라도 태인) 등 농민을 중심으로 노동자, 지식인, 학생, 활빈당 세력이 참여.

의병의 활동

민종식 부대: 조약 체결 뒤에 사직하고 1000여 명 규모로 1906519일 충청도 서해안 지역의 홍주성(홍성)을 장악.

신돌석 부대: 1906년 영해에서 봉기한 3천여명까지 달한 의병부대로 경상도 일대에 명성을 떨침.


병오의병(1906 1906. 6): 충청강원경상전라경기 등 60여개 군에서 활동. 1906 후반기1907년 전반기에는 서울 주변에까지 활동.

 


정미의병(1907)


군대해산

19078월에 일제는 군대 정리라는 명목으로 군대 해산. 박승환의 자결은 시가전을 강력히 전개 하는 계기가 되었다. 원주 진위대(민긍호), 강화 분견대(유명규) 등 지방 군인들도 봉기.

군대 해산 이후 의병의 양상: 전투력 강화, 의병 투쟁의 전국화, 평민군인 출신의 의병장 대두.

의병장: (평민)군인 출신으로 민긍호김덕제지홍윤연기우박준성손재주현덕호, 평민 출 신으로 신돌석홍범도김수민안계홍 등.


서울진공작전(1907 1908 )

관동 의병장 이인영은 각지의 의병 부대를 양주에 1만여 명 집결.

의병 부대는 이인영을 13도 총대장, 허위를 군사장으로 삼아 13도 창의군을 결성(1907. 12)하고 다 음해 1월부터 서울 진공 작전 개시.

의병 부대는 서울의 각국 영사관에 의병을 국제법상 교전 단체로 승인해 줄 것을 요구하는 통문을 돌리고, 서울 총공격에 앞서 허위의 300명 선발대가 먼저 서울에 접근케 하였음.

선발대는 연결이 끊어진 상태에서 후퇴하고, 부친상을 당한 이인영은 허위에게 맡기고 귀향하여 작전 실패. 좌절 이후 의병활동은 평민의병장 의병 부대의 주도로 유격 전술을 실시.


국내 진공 작전: 홍범도와 이범윤이 지휘하는 간도와 연해주 일대의 의병 부대가 국내 진공 작전을 꾀 하였다.


일제의 남한 대토벌 작전

의병 활동이 거세지자 일제는 조선 정부군을 배후에서 지휘하던 방식을 직접 진압으로 바꿈.

삼광정책: 민긍호 전사, 이인영이강년 사형, 허위 옥사. 1909. 910월의 초토화 작전은 의병의 최대 중심지였던 전라도 지방을 주요 대상으로 하였음.

1913년에 황해도의 헌병 파견소를 공격하였던 마지막 의병장 채응언이 1915년에 체포되기까지 활 동은 면면히 이어졌으나 남한 대토벌 이후 의병은 만주 등지로 활동을 옮김.

 


항일 의병 전쟁의 한계성

의병의 무력적 열세

내적 요인: 의병을 주도한 양반 유생층이 전통적 지배 질서의 유지를 고집하였으므로 대다수 농민 의 병들과 갈등을 빚기도 하였다.

외적 요인: 을사조약이 강요된 후에는 외교권이 상실되어 국제적으로 고립되고, 국제적 지원도 기대할 수 없었다.


 

애국계몽운동


(을사조약 전후의 항일의병 전개 즈음의)애국계몽운동의 성격

변법개화사상가: 서양의 자유평등민권사상을 옹호, 근대시민국가 수립을 목표. 일본과 협력하 는 길을 찾다가 침략이 가속화될수록 친일파로 전락. 일진회가 대표적 예임.

혁신적 유학자 출신의 지식인들: 황성신문이나 대한매일신보 계열의 인사들. 1910년 이후에는 중국 으로 망명. 신민회가 대표적 단체.


경제자립운동

1880년대의 근대적 상업자본

대동상회, 장통회사가 출현하였다. 인삼의 재배와 판매로 자본을 축적한 개성 상인들은 종삼 회사 를 설립하였으며, 군산에서는 미곡 무역을 담당하는 호상 상회가 설립되었다. 갑오개혁 이전에는 회사 수가 전국 각지에 40여 개에 달하였다.

성격: 초기에는 동업자 조합의 성격을 띠었고, 이후 근대적 형태의 주식회사도 설립되었다.

1890년 이후 근대적 상업자본

배경: 정부의 상공업 진흥 정책에 맞추어 내국인의 기업 활동이 활발.

일본 자본가들의 진출: 대규모의 운수 회사를 설립하고 해상과 육상의 운수업을 지배.

민족 자본의 토대 마련: 이운사(1892), 대한협동우선회사(1900), 인천윤선주식회사(1900), 통운사 (1901), 부하철도회사(1898), 대한철도회사(1899), 해서철광회사(1900), 수안금광회사(1903), 대한직 조공장(1897), 김창덕 직조공장(1902).

근대적 산업 자본의 성장

유기 공업: 개항 이전에 이미 발달했던 유기 공업과 야철 공업을 계승하여 서울에 조선 유기 상 회라는 합자 회사가 설립.

면직물 공업: 개항 이전에 농가 부업 단계에 머물러 있던 면직물의 생산은 외국산 면직물의 수입 으로 큰 타격을 받았지만, 대한 직조 공장, 종로 직조사 등의 직조 공장이 설립되어 발동기를 이 용한 생산 활동을 전개.

기타: 이를 전후하여 연초 공장, 사기 공장들도 설립.

금융부문: 1890년 이래 조선은행(관료 자본 중심의 민간 은행, 심상훈), 한일은행, 제국은행(민병한) 등이 창립 1년도 못되어 폐쇄.

한성은행(1897): 김종한이 설립, 해방 이후 조흥은행으로 발전, 현재 신한은행.

천일은행(1899): 민병석심상훈 등이 설립, 현재 우리은행.

결과: 이들 은행은 1905년에 일제가 실시한 화폐 정리 사업을 계기로 몰락하거나 자주성을 잃고 변질되기도 하여 한국의 금융은 사실상 일제에 장악.

1900년대 은행경영: 한국인 은행으로 농공은행보통은행, 일본인 은행으로 제일은행한국은행팔십은행백삼십은행주방은행밀양은행일본흥업은행.


국채보상운동(1907): 대구에서 김광재서상돈이 국채보상기성회를 조직하여 금연운동을 시작으로 서 울여자교육회대한부인회, 대한매일신보황성신문제국신문 등이 1,300만원을 갚는 운동을 일으 킴. 통감부가 간사 양기탁을 횡령 누명으로 구속하는 등 방해를 하여 실패.



애국계몽단체와 언론활동


보안회

(1904)

송수만심상진원세성 등이 일본의 황무지개척 요구를 철회. 농광회사(이도재)를 설립하여 개간하는데 성공하였으나, 일진회의 반민족행위를 규탄하다 일본의 압력으로 해산.

헌정연구회

(1905)

이준양한묵윤효정 등이 입헌정치의 수립을 목표로 활동. 통감부가 설치된 직후에 해산. 일진회의 반민족 행위를 규탄.

대한자강회

(1906. 4)

헌정연구회를 이끌던 윤효정이 장지연심의성 등과 함께 조직. 교육개발, 식산흥업, 외세배격을 구호로 25개 지회를 두고 월보를 간행. 1907년 통감부에 의해 해산. 고종퇴위 반대운동을 벌였다.

대한협회

(1907. 11)

대한자강회의 후신으로서 천도교의 오세창권동진 등이 조직. 산업, 교육, 애국계몽 운동을 전개하고 70개소의 지회를 두었으나, 통감부 통치를 문명지도로 긍정하면서 친일적 색채를 드러내기 시작함.

서북학회(이갑): 평양황해도의 학술단체로 서북 학보 발행, 순회 강연.

한북흥학회(이준이동휘): 함경도의 학술단체로 교육구국운동계몽강연토론운동청년운동 전개.

기호흥학회(이광종): 경기충청도의 학술단체로 기호 학보 발행, 기호 학교 설립.

호남학회(이채): 전라도의 학술단체로 호남 학보 발행.

관동학회(남궁억): 강원도의 학술단체로 황성신문 발행.

교남학회(박정동): 경상도의 학술단체로 교남교육회잡지 발간.

 

영남학회(장지연): 대한 자강회 조직.

대동학회(김윤식): 대동 전수 학교 설립.

흥사단(안창호): 흥사단보 발행.

여자교육회(진학신): 양규 의숙 설립.

신민회

(1907. 4)

안창호이동녕양기탁이승훈 등 서북지방의 기독교 신자 및 학교, 학생들로 조직.

표면적으로는 애국계몽단체였으나 이면으로는 남만주 삼원보, 밀산부 한흥동, 신흥 무 관 학교 등 해외 독립운동 기지 건설에 노력.

안창호의 대성학교(평양), 이승훈의 오산학교(정주)건립, 태극서관(대구), 자기회사(평 양) 건립 등의 활동. 조선 광문회(고전 간행) 1911105인 사건으로 해산.

4대 강령으로 사상 고취 동지 발견단합 상공업기관 건설 교육기관 설립.


애국계몽단체


한성순보(18831884)

박영효 등 개화파가 박문국에서 발간한 순간 관보. 한성주보(18861888)가 됨.

독립신문(18961899)

서재필 등이 발행한 독립협회 기관지. 한글판, 영문판.

황성신문(18981910)

남궁억 등 개신유학자들의 중류지. 국한문 혼용. 장지연의 논설로 80일 정간.

제국신문(18981910)

이종일의 부녀자 대상의 순한글 대중지.

매일신문(18981899)

1898. 4의 협성회보를 발전시킨 순한글 일간지. 독립협회 해산으로 폐간. 대중지로 개화사상을 펴며 국민의 각성 촉구.

대한매일신보

(19051910)

영국인 베델이 창간한 국한문한글영문판의 신민회 기관지. 영일동맹 덕으로 검열을 면제받고 주필 양기탁이 일인불가입이라 계시. 박은식, 신채호 등이 항일논조를 펴며 을사조약불인친서의병활동서양문물 소개를 함. 베델은 1909년 병사하였으나 1910년까지 간행되다 총독부에 매수되어 매일신보로 속간.

만세보(19061907)

천도교의 후원으로 오세창이 창간. 일진회를 공격하고 사회진보주의를 제창. 대한신문으로 변질.

대한민보(19091910)

대한협회의 기관지로 국민신보(일진회)에 대항.

경향신문(19061959)

국문의 가톨릭교회 주간 기관지.

경남일보(19091914)

김홍조, 최초의 지방신문으로 영남 유림들이 장지연 초빙.

한말 5대지: 황성신문, 제국신문, 대한매일신보, 만세보, 대한민보

친일신문: 경성일보(총독부, 1906), 국민신문(이용구, 1906), 대한신문(이인직, 1927), 법정신문(이완용, 1909), 매일신보(1910).

기타 민족지: 신한민보(미국), 해조신문(1910, 연해주, 신채호)

언론활동(신문)


민족교육운동과 종교활동

동문학

고종 20(1883)

정부가 세운 영어 강습 기관으로 통역관 양성.

육영공원

고종 23(1886)

정부가 세운 최초의 관립 학교로 미국인 교사를 초빙하여 상류층 자제들에게 영어, 수학, 지리학, 정치학 등 근대 학문을 교육

(동도서기적)민족교육운동

갑오개혁 때 교육입국의 조서가 발표(1895)되며 소사범외국어 학교 등 각종 관립학교 설 립. 민족교육은 을사조약 이후부터 절정.

연대

학교명

설립자

위치

연대

학교명

설립자

위치

고종 20(1883)

원산학사(최초근대사립)

정현석

원산

광무 10(1906)

신성보성여학교

진명여학교

보성여학교

서전서숙

미 북장로회

엄귀비

엄귀비

이상설

선천

서울

서울

간도

고종 23(1886)

배재학당(최초사립학교)

이화여학고(최초여사립)

경신학교

북감아펜젤러

북감스크렌튼

북장언더우드

서울

서울

서울

융희 1 (1907)

대성학교

오산학교

오성학교

신흥학교

안창호

이승훈

서북학회

신민회

평양

정주

서울

삼원보

고종 27(1890)

정신여학교

미 북장 엘러스

서울

광무 1 (1897)

숭실학교(최초지방사립)

미 북장 베이드

평양

융희 2 (1908)

기호학교

동덕여자의숙

기호흥학회

조동식

서울

서울

광무 2 (1898)

배화여학교

미 남감리회

개성

광무 7 (1903)

숭의여학교

미 북장로회

평양

 

광무 9 (1905)

보성학교

양정의숙

휘문의숙

이용익

엄주익

민영휘

서울

서울

서울

한말 주요 사립학교

천주교

1886 프 수호통상조약 이후 선교활동 자유화.

∙「경향창간

일제 강점기: 만주에서 의민단 조직 무장항일투쟁, 고아원양로원 등 사회 사업

개신교

1884년 알렌이 장로교, 1885년 아펜젤러가 감리교 전래.

서북지방에서 큰 호응, 서재필이상재윤치호 등이 대표자

서울의 기독교인들은 1903년 황성기독교청년회(YMCA 전신) 조직 일제의 동양전도관

국권침탈 후: 민족운동 전개 극심한 탄압 일제 말기: 신사참배 거부(1935)

천도교

(1906)

3대 교주 손병희는 친일적인 이용구가 시천교를 설립하여, 이와 결별하고 동학을 천도교로.

이용익과 더불어 출판사 보성사 설립, 보성학교와 동덕여학교 인수, 만세보기관지.

231운동인 자주호국선언을 계획(1922)

사회운동 전개 조선농민사 조직: 신파의 개량주의적 민족운동

대종교

(1909)

창립 단시 단군교라 칭하며 나철, 오기호 등이 발전.

1910년에 다수 애국지사들이 가담, 간도연해주등 해외 항일운동의 정신적 지주(정신문화운동)

중광단(1910) 북로군정서: 무장항일투쟁(청산리 전투) 전개

유 교

민주주의 이념에 적응하려는 움직임 나타남.

양명학에도 주목하여, 양명학자 박은식은 유교구신론(1909) 주장. 일제의 대동학회

불 교

민족 불교의 자주성을 지키기 위해 만해 한용운이 불교유신론(1913) 주장 일제의 본원사

원불교

1916 박중빈이 창시, 개간사업과 저축운동 전개.

기본교서 원불교 전서: 교화, 교육, 자선의 3대사업 전개

새생활운동 전개 일부는 친일행각

종교활동

 


국어학과 신문학운동


국어학 분야

갑오개혁 후: 정부에서 편집국과 인쇄국을 두어 국한문 혼용의 교과서를 편찬, 국문연구소(1907)을 두어 주시경지석영최광옥 등이 국어 정리.

조선어연구회(1921): 국문연구소를 모체로 이윤재최현배 등이 조직. ‘가갸날제정, 기관지 한글발간.

조선어학회(19311942): 표준어를 제정하고 한글맞춤법통일안 제정(1932), 우리말 큰사전편찬을 착수. 우리말 큰사전은 한글학회(1946)1957년 완성편찬.

국문표기방법의 통일: 유길준 조선문전(1895), 이봉운 국문정리(1897), 지석영 신정국문(1905), 주시경 국어문법(1906), 유길준 대한문전(1909)


국사분야

국사교과서의 간행: 장지영김영택현채

현채: 유년필독서, 동국사략등을 저술. 대체로 안정복의 동사강목을 서양식 역사서술 체계 에 맞춰 축약한 신사체.

이 시기 국사연구의 경향: 고대사 연구에 치중, 민족주의적 주체성을 강조(단재), 국사의 대중화에 관심.

민족사관: 박은식에서 시작하여 신채호의 역사적 민족사관 정립, 둘에 의해 정립되어 정인보안재 홍문일평 등에 계승. 주로 실학자들의 저술을 정리. 민족사학은 현대의 근대적주체적 역사관 정립에 크게 기여.

국학자

저서

연구활동

신채호

을지문덕전, 최도통전, 천희당시화, 이태리건국 3걸전

독사신론」 ⇨역사 서술상의 주체를 민족으로 설정하고 민족주의 사학의 연구 방향 제시

조선혁명선언」 ⇨ 의열단의 이념. 민중의 폭력 혁명으로 독립 쟁취를 부르짖음.

<해조신문> 간행

 

신민회에 참여.

(화랑) 사상: 조선사연구초에서 묘청의 난을 낭가사상의 대표로 인정, 민족사관 정립

∙「조선상고사(1931): 역사는 -非我의 투쟁.

대륙사관 단군부여고구려발해

기자위만 제거, 한군현 부정

임시 정부에서 국민 대표 회의 개최를 주장하는 등 창조파의 주동 역할을 하다 무정부주의자로 변신.

박은식

(백암)

유교구신론(양명학적), 안중근전, 서사건국지, 연개소문전, 한국독립운동지혈사, 학규신론, 왕양명실기

 

조선혼: 한국통사이 존재하여 불멸하면 (나라)는 때맞추어 부활한다.”

한국통사는 최초의 한국근대사(1915)이다.

신규식과 동제사 조직, 임정 대통령으로 활약

정인보

(위당)

조선사연구, 양명학연론

‘5천년간 조선의 얼동아일보 게재.

신채호의 민족주체사상 계승발전

실학의 전통 정리

문일평

호암집, 한미50년사

조선역사학의 대중화 문제에 큰 관심

근현대사 연구 치중 세종을 민족대표로

최남선

아시조선, 조선정신, 고사통, 조선독립운동사, 단군론, 조선역사

사상.

불암문화론으로 일선동조론에 대항. ‘조선 정신

이능화

조선기독교 및 외교사, 한국도교사, 한국불교통사

종교민속 방면의 연구

홍이섭

조선과학사

전형필

오세창의 지도로 문화재 수집

장지연

∙「대한강역고, 백두산정계비고」 ⇨ 민족 주체성 과 조국 정신 고취

∙「조선유교연원, 대한최근사

조국정신

장도빈

조선사상사(1925), 잡지 서울간행, 발해사 연구의 개척

∙「대한위인전(민족주의 사학)

 

손진태

조선민족사개론, 국사대요, 한국민족문화의 연구

민족사관에 대한 비판과 극복

황 현

매천야록

현 채

동국사략(1907)․「유년필독등 교과서 저술, 월남망국사 번역소개.

이광수

민족개조론, 민족적 경륜민족주의 우파

안재홍

조선상고사감

민족정기 고조선 사회의 발전 체계화

신간회 참가, 신민족주의 제기

안 확

조선문명사(1923)

정 교

대한계년사(고종 이후 근대사)

한용운

조선독립의 서, 불교유신론

불교의 미신적 요소를 배격하고 자주성을 회복하려는 근대화 운동

국학자와 민족주의 사학자

외국인의 역사연구

헐버어트: 대한기년, 한국통사, 한국최근사

그리피스: 은둔의 나라 한국

맥켄지: 한국의 비극

그라젠제프: 근대한국


문학분야

신소설

신체시 운동이 친일문학 쪽으로 흘러가자 한문학을 계승하면서 자주정신을 고취하는 문학풍조가 생겼는데, 신채호는 천의당시화를 대한매일신보에 게재.


기타 문학

계몽문학, 창가, 민속 가면극, 고희동, 김정희를 잇는 전통 회화.

번역문학: 게일 천로역정, 헐버트 사민필지, 윤치호 이솝이야기」․「걸리버 여행기」․「 로빈슨 표류기

. 일제의 주권침탈과 구국운동


1. 일제의 주권침탈


러일전쟁(19041905)

러일전쟁의 배경

러시아의 행동: 해군기지 획득을 위하여 마산목포 등을 조차하려다 일본의 반대로 실패(1899). 청의 의화단 사건 때 만주에 파병(1900).

일본의 행동: 1차 영일동맹을 체결(1902). 미국도 영국과 함께 일본을 지지.

러시아는 군사기지 획들을 위하여 압록강 입구 용암포 조차를 시도하다가 일본이 저지(1903).

러일전쟁

戰前(전전) 정세: 대한제국은 국외중립을 선언(1904. 1). 일본은 러시아군의 만주철병이 이행되지 않자 러시아에 협상을 제의, 러시아는 39°선을 경계로 그 이북의 특권을 주장하고 일본은 압록강 을 중립지대로 하고 그 이남 지배를 주장하였으나 러시아의 반대로 좌절.

전쟁 발발: 협상이 결렬되자 일본은 밤에 인천뤼순항의 러시아 함대에 기습공격을 가한 후(1904. 2. 8), 5만의 병력을 인천에 상륙시켜 서울을 점령. 공식 선전 포고는 210.

일본의 승전: 19051일 뤼순 요새 장악, 3월에는 봉천 교외세서 러시아 육군 격퇴. 5월에는 남해 에서 발틱 함대를 격파하여 승세를 쥠. 일본의 승세에는 영국과 미국의 지원도 한몫함.

가쓰라-테프트 밀약(1905. 7)과 제2차 영일동맹 협약(1905. 8)

한국에 대한 일본의 정치군사경제상의 특별권리 승인.

러시아는 사할린 남반부를 일본에 할양.

뤼순다롄의 러시아 권리를 일체 일본에 양도.

양국 군대는 만주에서 동시에 철수하고 상호 이권을 존중.

만주철도는 관성자장춘을 경계로 양국이 분할.

포츠머드 강화조약(1905. 9): 일본의 우세가 확실하고 러시아도 자국의 혼란으로 장기전을 바라지 않자, 일본은 미국에 중재를 요청. 포츠머드 강화조약으로 일본은 조선에서 독점적 지위를 국제적 으로 인정받음.

 


일제의 침략


한일 의정서(1904. 2)

한국은 일본의 시정개선에 대한 충고를 용납한다.

일본은 한국 왕실을 친의로써 안전하게 한다.

일본은 한국의 독립과 영토보전을 보장한다.

한국 황제는 영토에 위험이 있을 때에는 특별조치를 취하고, 편의를 도모할 것이며 전략상 중요한 지점을 임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은 일본의 승인 없이 제3국과 협정을 맺지 못한다.

결과: 국외중립 붕괴, 러시아와 체결한 모든 조약이 폐기. 이후 일본은 한국의 통신망, 항해권, 어 업권을 차지하고 경부선과 경의선 부설. 황무지 개척안을 요구.


1차 한일협약(=한일 협정서, 1904. 8)

황무지 개척권을 철회한 일본은 일본인 고문관 초빙을 강요. 전황이 일본에게 유리하게 되자 대한 방침 및 대한시설강령 마련(1904. 5)

대한방침

일본제국은 한국에 대해 정사상 및 군사상에 있어서 보호의 실권을 거두고 경제상으로 더욱 우리 이권의 발전을 도모한다.

 

 

대한시설강령 6개 조항

방비 완전(일본군대의 본격적 한국 주둔)

외정 감독(일본의 한국 외교 감독)

재정 감독 교통기관 장악(철도부설 중심)

척식 도모

한일 협정서 체결(외무대신 서리 윤치호-일본공사 하야시)

조선정부는 일본이 추천하는 일본인 1명을 재정고문으로 초빙하여 자문한 후에 시행.

일본이 추천하는 외국인 1명을 외교고문으로 초빙.

조약체결이나 그 밖의 중요한 외교안거는 사전에 일본과 협의하에 시행.

한일 협정서의 결과

재정고문 메카다, 외교고문 스티븐스 파견. 협정에 없는 경찰고문 마루야마, 군사고문 노즈, 학무 고문에 시데하라가 초빙되어 고문정치 실시.

각국에 파견된 한국 공사가 모두 소환.

메카다의 금본위제 확립과 화폐정리사업.

화폐정리사업(1905)

 

제일은행(1905. 3 이래 통화발행권 소유) 신화폐를 만들어 엽전(상평통보) 및 백동화와 교환하는 조치.

백동화는 종을 개당 25, 종을 1, 종을 무효로 등급을 나누어 교환. 종이 백동화 전체의 2/3.

한국 상인들은 새화폐를 신용치 않고 토지나 가옥에 투자하여 자본이 고갈.

새 화폐의 가치가 등귀하여 일본인들은 이익.

화폐정리사업은 일본 상인의 경제적 진출의 길이 되었고 민족경제를 말살. 결국 일본이 조선금융 지배.

참정대신 한규설 ──┐

탁지부대신 민영기 반대

궁내부대신 이재극 ──┘

법무대신 이하영

내무대신 이지용 ──┐

외무대신 박제순

군부대신 이근택 을사오적

농상부대신 권중현

학부대신 이완용 ──┘

박제순 대신 이하영을 을사오적에 속한다고 보기도 한다.

화폐정리사업(1905)

 

제일은행(1905. 3 이래 통화발행권 소유) 신화폐를 만들어 엽전(상평통보) 및 백동화와 교환하는 조치.

백동화는 종을 개당 25, 종을 1, 종을 무효로 등급을 나누어 교환. 종이 백동화 전체의 2/3.

한국 상인들은 새화폐를 신용치 않고 토지나 가옥에 투자하여 자본이 고갈.

새 화폐의 가치가 등귀하여 일본인들은 이익.

화폐정리사업은 일본 상인의 경제적 진출의 길이 되었고 민족경제를 말살. 결국 일본이 조선금융 지배.

참정대신 한규설 ──┐

탁지부대신 민영기 반대

궁내부대신 이재극 ──┘

법무대신 이하영

내무대신 이지용 ──┐

외무대신 박제순

군부대신 이근택 을사오적

농상부대신 권중현

학부대신 이완용 ──┘

박제순 대신 이하영을 을사오적에 속한다고 보기도 한다.


③ 제2차 한일협약(을사늑약, 1905.11)

190511월 초순 전권 대표로 조선에 들어온 이토 히로부미는 을사5적신을 이용하여 을사조약 체결. 고종은 끝까지 반대.

일제는 외교권을 박탈하고 통감부(초대 통감은 이토) 설치. 해외 한국공사관과 재한 외국공사관 폐쇄, 독도와 간도가 상실.

조약 체결 후 23일 지나서야 일반에 알려짐. 시일야방성대곡논설. 나철오기호 등은 5적 암살단 조직.


한일 신협정(=정미 7조약, 1907)

조약 체결전의 정세: 일제는 고종을 헤이그 특사사건(1907. 6)을 트집잡아 강제로 폐위시키고, 순종을 즉위케 하였으며 융희연호 사용. 고종의 퇴위로 연일 시위, 일진회 기관지 국민신보사옥 파괴.

조약 체결: 이토는 순종 즉위 직후 협박하여 한일신협약 체결. 내정간섭 권한까지 강탈.

한국정부는 시정개선에 있어서 통감의 지휘를 받는다.

한국정부의 법령제정과 행정상 처분은 미리 통감의 승인을 받는다.

한국의 사법사무는 일반 행정사무와 구별한다.

한국 고등관리의 임명은 통감의 동의에 의한다

한국정부는 통감이 추천하는 일본인을 한국관리로 채용한다.

한국정부는 통감의 승인없이 외국인을 한국관리로 채용하지 않는다.

1904827일에 조인된 한일협약 제1항을 폐지(재정고문 초빙을 폐지).

결과: 차관정치가 실시되어 통감이 내정권 장악, 일본인 장관이 전결권 소유.

   

합방 후의 조선에는 소위 천황의 대권으로 통치.

일체의 정무를 무관 총독이 독재.

통치기구는 가능한 한 간단히.

총독부 회계는 특별회계로 할 것.


군사권사법권경찰권의 박탈과 국권의 상실

군사권 박탈: 이토와 하세가와가 한국군대를 강제 로 해산. 해산일에 시위보병 제1대대장 박성환이 자살, 장병들이 일본군대와 시가전을 벌이고 각지 의 의병들과 합류. 

보안법과 신문지법 제정으로 언론활동 봉쇄.

기유각서(1909) 조인: 이토 후임인 통감 소네가 사법권과 감옥사무 박탈.

소네 후임으로 데라우치가 통감이 되어 19106월에 합방 준비로 도쿄에서 한국의 경찰권 이양의 조약을 맺고 7월에 부임.

일제는 황성신문대한민보대한매일신보 등을 폐간시킨 뒤 일진 회를 앞세워 이용구송병준으로 하여금 합방촉진성명등을 발표.

합방조약(1910. 8. 총리대신 이완용-마지막 통감 데라우치)

합방에 대한 국제적 반응: 독 지지, 청 경계.

 

일본의 토지 약탈

개항 초기: 농민들에게 돈을 빌려 주었다가 농토를 차압하기도 하고 농토를 저당잡고 고리 대금업을 하다가 그것을 헐값으로 사서 점차 농장을 확대.

일 전쟁 이후: 일본의 대자본가들이 대거 진출하여 전주, 군산, 나주 일대에서 대규모의 농장을 경영.

일 전쟁 이후- 본격적 토지 약탈

철도 부지 약탈: 일본은 경인선경부선을 부설하면서 철도 부지 중 국유지는 무상으로 약탈하였 고, 사유지는 조선 정부가 소유자로부터 사들여 제공하도록 강요.

군용지 약탈: 필요한 지역을 거의 제한 없이 무상으로 차지하였고, 군용지를 핑계로 주둔지 근처의 토지를 대량으로 약탈.

황무지 개간: 일본은 조선의 황무지 개간과 역둔토의 수용을 통하여 토지 약탈을 꾀하였다.

토지 약탈 목적: 국권 피탈 무렵에 일본이 차지한 토지는 15천만 평에 이르렀는데, 식민지화를 위한 기초 작업이었다.

 


간도와 독도


간도

1907년 경에는 간도 주민 3/4가 한민족.

백두산 정계비: 숙종 38(1712)에 접반사 박권과 오라총관 목극동 사이에 국경 확정.

간도 귀속문제: 고종 18(1881) 청은 간도개간 사업을 벌인다는 구실로 한민족의 철수를 요구.

해결: 정계비 토문강의 해석을 청은 두만강으로, 조선은 송화강 상류로 보아 영토분쟁 발생. 조선 은 1883년에 어윤중을 서북경략사로, 1885년에 이중하를 토문감계사로, 1902년에 이범윤을 북변 간 도관리사로 파견하여 우리 영토임을 확인.

간도 파출소 설치(1902): 일본은 통감부 설치 이후에도 간도에 파출소를 설치하여 관할하였다.

간도협약(1909): 일본은 만주에 푸순탄광권과 안봉선철도를 부설하는 권리를 얻어내는 대가로 간도 를 청의 영유로 인정.


독도

지증왕 때 이사부가 정벌(512)하여 우리 영토로 편입. 1693년에 안용복은 울릉도에 침입한 일본 어 부를 축출하고 막부에 건너가서 우리 영토임을 확인(일본 사료 통항일람).

독도는 현종 때(1849) 프랑스 포경선 리앙쿠르가 발견하여 리앙쿠르 섬이라고 하였고, 영국은 호넷 섬이라고 하였다.

일본은 1905년에 독도를 시마네현에 편입시켰으나 광복으로 수복. 독도 관련 문헌으로는 문헌비고, 통문관지, 매천야록, 고지도등이 있음.

공무원 기출&예상 단어 11 (dissemble~expropriate)

dissemble 숨기다,가장하다
disseminate 퍼뜨리다,유포시키다
dissent 의견을 달리하다,반대하다
dissertation 논문
dissident 불찬성자,의견을 달리하는
dissipate 흩어지다,낭비하다
dissociate 분리시키다
dissolute 방탕한
dissonance 부조화음,불일치
dissuade 단념시키다
distort 비틀다,왜곡하다
distract 어지럽히다,~을 즐겁게하다
distress 고통,고민,재난
diurnal 매일의,낮동안의
diverge 갈라지다,다르다,이탈하다
diverse 여러가지의,다양한
divest ~에게 벗게하다
dividend 배당금
divulge 누설하다
docile 지도하기 쉬운
dogmatic 독단적인
dolorous 익살,슬픈
dormant 잠자는
dour 시무룩한
drudgery 힘든일
dubious 의심하는
duel 결투
duplicate 복사의,복사,복사하다
earthy 상스러운,흙의
ebullient 끓어 넘치는,원기 왕성한
eccentric 괴짜의, 이상한
ecclesiastical 교회의ㅡ성직자의
eclectic 절충하는
eclipse 일식,월식,능가하다,가리다
ecstasy 무아지경,황홀
edict 칙령,포고
edify 교화하다
educe 이끌어내다
eerie 섬뜩한
eerie 섬뜩한
efface 지우다,말살하다
effeminate 사내답지 못한,여자같은
effervescent 활기있는,열띤
effete 활력을 잃은,나약한
efficacy 효력
effigy 상,형상
effluent 유출하는,유출물,폐수
effrontery 철면피,파렴치
egregious 난폭한,터무니 없는
ejaculate 사출하다,갑자기 외치다
elaborate 정성들인,정교한
elapse 경과하다
elate 의기 양양하게하다
elicit 이끌어내다,유도해내다
eligible 적격의,자격이있는
elongate 늘이다,연장하다
elucidate 밝히다,명료하게 설명하다
elude 교묘히 피하다,빠져나오다
emaciate 여위게하다
emanate 내다,발산하다
emancipate 해방시키다,자유롭게하다
emasculate 거세하다,나약 하게하다
embargo 제재,금지하다
embark 승선하다,투자하다
embed(imbed) 꽂아넣다,끼워넣다
embellish 아름답게 하다,장식하다,치장하다
embezzle 횡령하다
emblem 상징,표상
embody 구체화하다,포함하다
emboss (금속을)튀어나오게하다
embroider 수를 놓다,재미있게 꾸미다
embroil 끌어들이다,관련시키다
embryo 태아,미발달 단계
emend 교정하다,수정하다
emerge 나오다,나타나다,벗어나다
emigrate 이주하다,이민하다
eminent 뛰어난,탁월한
emit 방출하다,말하다
emollient 부드럽게하는
empathy 감정이입
empirical 경험의,경험적인
empower ~에게 권한을 주다
emulate 경쟁하다,본뜨다
emulate 경쟁하다,본뜨다
enact 제정하다,규정하다
enchant 마법을걸다,매혹하다
encircle 둘러싸다
encompass 둘러싸다
encounter 우연히 만나다,부딪히다,직면하다
encroach 침해하다
encumber 방해하다,막다
encyclopedia 백과사전

endear 애정을 느끼게하다
endemic 풍토성의
endorse(indorse) 이서하다,승인하다
endue 주다,부여하다
enervate 기력을 빼앗다,약화시키다
enfeeble 약하게하다
engender 발생시키다,야기시키다
engrave 새기다,조각하다
engross 빼앗다,몰두시키다
enhance 높이다,향상시키다
enigma 수수께끼
enjoin ~에게 명령하다,금지하다
enlist 입대하다,병적에 넣다,도움을주다
enliven 활기있게 하다
enmity 증오,적의
ennoble 품위있게 하다
ennui 권태
enrage 격노하게 하다
enroll 등록시키다,입대시키다
ensconce 몸을 편히 앉히다
ensemble 전체적효과,합주곡,조화,앙상블
ensign (국)기,상징
enslave 노예로 만들다,예속시키다
ensue 계속해서 일어나다
ensure 책임지다,보장하다
entail 수반하다,필요로하다
entangle 엉키게하다,말려들게하다
entertain 즐겁게 해주다
enthrall 노예화하다,매혹시키다
enthrone 왕위에 앉히다,즉위시키다
entice 꾀다,유혹하다
entitle ~에게 제목을 붙이다,~에게 권리를 부여하다
entrap 함정에 빠뜨리다
entreat 간절히 원하다,간청하다
entrench 확립하다,참호로 에워싸다
entrepreneur 기업가
entrust 맡기다,위탁하다
enumerate 열거하다
envisage 관찰하다,마음 속에 그려보다
envision 마음 속에 그려보다
envoy 특사,사절
ephemeral 일시적인
epicenter 진앙,진원지,중심,핵심
epidemic 유행병,유행
epidermal,-mic 표피의
epigone 후손,후계자
epigram 경구,짧은시
epigraph 비문
epilepsy 간질
epilogue 맺음말,결어
epitaph 비문
epitome 요약,표본
epoch 시대
equanimity 평정
equivocal 애매한
eradicate 뿌리째 뽑다,근절하다
erode ~을 좀먹다,부식하다
erudite 박식한,학식있는
erupt 분출하다,발진하다
eschew 피하다
escort 호송자
estrange ~의사이를 나쁘게하다,이간질하다
ethnic 민족의,소수 민족
eugenics 우생학
eulogy 찬사,칭송
euphemism 완곡어법
euphoria 행복감,쾌감
euthanasia 안락사
evacuate 비우다,대피시키다,철수시키다
evade 피하다,벗어나다
evaluate 평가하다
evanescent 사라지는,덧없는
evaporate 증발하다,사라지다
evict 퇴거시키다,쫓아내다
evince 분명히나타내다,표명하다
evoke 불러 일으키다,자아내다
evolve 발전시키다,고안하다
exacerbate 악화시키다,더하게하다
exalt 높이다,올리다
exasperate 몹시화나게하다
excavate ~에구멍을 파다
excerpt 발췌,인용
excise 삭제하다
excoriate ~의피부를 벗겨내다
exculpate 무죄로하다
execrate 대단히 싫어하다,심하게 비난하다
exempt 면제하다,면제된
exhale 내쉬다,내뿜다,발산하다
exhilarate 기분좋게하다
exhort ~에게 열심히 타이르다,권고하다
exigent 절박한,긴급한,가혹한
exile 추방
exonerate ~의무죄를 증명하다,혐의를 풀어주다
exorbitant 터무니 없는,과도한
exotic 외래의,이국적인
expatiate 상세히 설명하다,부연하다
expatriate 추방하다
expedient 편리한,편의의
expedite 재촉하다,진척시키다
expel 쫓아내다,방출하다
expend 들이다,쓰다,소비하다
expire 끝나다,만료되다
explicit 명백한,숨김없는
exploit 개발하다,업적
expostulate 충고하다,훈계하다
expound 상세히 설명하다
expropriate 빼앗다


. 독립협회와 대한제국


1. 제국주의 열강의 각축


청일전쟁

배경: 일의 경제적 대립. 임오군란 이후 청의 정치적 진출에 대한 일본의 불만과 동학 이후 청일 본의 군사적 대치.

경과

청은 일본에 조선에서 공동철수를 제의하였으나 일본이 거절. 일본은 청과 공동 내정개혁을 제의 하였으나 청이 거절.

일본은 갑오개혁을 시작하며 청과의 기존 조약을 폐기 선언하여 충돌.

아산만 풍도에서 일본의 선제로 전쟁이 시작되어(1894. 7), 성환평양여순위해위대만에서 일본이 승리.

결과: 하관조약이 체결되고 청은 조선에서 완전히 철수, 일본이 조선과 만주에까지 영향.

 

삼국간섭

원인: 하관조약으로 일본은 요동반도를 할양: 러시아에겐 남하정책에 위협.

경과: 러시아는 독일프랑스와 협동하여 요동반도 반환을 일본에 요구.

결과: 일본은 3천만냥을 받고 청에 반환. 국내에서는 친러파가 득세.

삼국간섭 이후 청으로부터 얻은 이권.

러시아: 뤼순다롄간의 철도부설권, 다롄 25년 조차권.

프랑스: 도쿄철도의 연장부설권, 광주만 99년 조차권.

독 일: 산둥성 철도부설권, 교주만 99년 조차권.


 

일간의 각축

춘생문 사건(1895. 10. 12): 이범진 주도하에 친러친미파들이 친일 정권에 포위되어 있던 국왕을 미국 공사관으로 이어(移御)하고 친일 정권을 타도하려 하였으나 실패.


아관파천

배경: 러시아는 친러파와 짜고 을미사변 후 러시아 수병을 파견. 베베르는 18961월 스피에르로 교체되었지만 여전히 막후에서 활동.

경과: 친위대가 의병 진압으로 왕궁의 경비가 소홀하자 친러파 이범윤 등이 베베르와 모의하여 아 관파천 단행(1896. 2)

결과: 김홍집과 어윤중이 친일파로 지목되어 민중에게 살해, 유길준 등은 일본으로 망명. 윤용선을 총리로 하는 친러내각이 조직되고 고종은 1년간 러시아 공사관에서 보호를 받음.


러시아와 청일본간의 관계

1차 협상 베베르-소촌 각서(1896. 5): 일본은 아관파천과 친러내각을 인정하고, 서울-부산간의 전신선 보호와 거류민 보호의 구실로 군대를 계속 주둔한다.

2차 협상 로마노프-야마가타 의정서(1896. 6)

3차 협상 로젠-니시 협정(1898): 양국은 모두 조선내정 불간섭, 훈병교관과 재무고문의 파견은 사전에 협의, 러시아는 일본의 조선 상업공업의 침투를 방해하지 않는다. 일본은 한반도의 경제 적 우위 확보.


니콜라이 2세 대관식을 계기로 한 러시아와 각국의 비밀조약

러시아-: 만주와 조선에서 일본의 침략을 방어하기 위해 공수동맹을 체결하여 동청 철도 부설권 을 청으로부터 획득.

러시아-일본: 일본이 조선에 점유하고 있는 전신선 관리권을 인정하는 대신, 러시아는 서울에서 조러 국경선 간의 전신가설권 확보. 완충지대 설정. 일본은 38° 분할을 제의하였으나 거절당함 (로마노프-야마가타 의정서).

조선-러시아: 군사교관과 재정고문 파견. 전신선 연결 합의. 탁지부의 알렉셰프는 한러 은행을 설립.

 


⑷ 열강의 이권침탈


고종 20 (1883)

: 부산-나가사키 해저전선 부설권

고종 22 (1885)

: 인천-의주 전선 부설권 | : 부산-인천 전선 부설권

고종 23 (1886)

: 부산 절영도 저탄소 설치권

고종 25 (1888)

: 연안 어획권

고종 28 (1891)

: 인천 월미도 저탄소 설치권, 경상도 연안 어획권

고종 31 (1894)

: 경부철도 부설권

고종 32 (1895)

: 평안도 운산금광 채굴권

건양원년(1896)

: 경인철도 부설권 | : 경의철도 부설권

: 경원종성광산 채굴권, 인천 월미도 저탄소 설치권, 압록강 유역울릉도 채벌권

광무원년(1897)

: 강원도 금성 당현금광 채굴권 | : 부산 절영도 저탄소 설치권

: 서울 전기수도 시설권

광무 2 (1898)

: 한러은행 설치권 | : 평안도 은산금광 채굴권

: 평양탄광 석탄 전매권, 경인철도 부설권(미국으로부터 매수)

 



2. 독립협회의 활동(18961899)


독립협회의 성격: 자주독립자유민권자강혁신


독립협회의 자주적 근대사상과 그 조류

독립협회의 사상적 조류

서구시민사상: 서재필, 윤치호 등.

개신유학사상: 남궁억, 정교 등은 동도서기파로부터 발전.

자주자강과 개화혁신사상: 이상재는 서구시민사상+개신유학사상.

기타: 한규설 등의 개화파 무관, 자본가, 천민에서 해방된 일반 시민.

 


독립협회의 성립과 활동


독립협회의 성립

시작: 갑신정변에 실패하여 미국으로 망명하였던 서재필이 귀국하여 조직.

주요인사: 윤치호이상재 등 외교계 인사들로 조직된 정동구락부와 남궁억 등 실무관료 계열 인 사들이 주로 참여.

지지층: 학생, 노동자, 부녀자 및 해방된 천민 등 광범한 사회 계층의 지지를 받았다.


독립협회의 특징

회원 가입이 전적으로 개방

1898년 공지지회를 필두로 평양대구 등지에 지회 설치. 지회는 서울의 본회 해산 뒤에도 활동을 계속.


독립협회의 자주 국권 활동

모화관을 독립회관으로 개칭(1896).

고종 환궁요구: 고종은 경운궁(덕수궁)으로 환국하여 국호 대한, 연호 광무의 대한제국 선포(1897. 10).

영은문 헐고 (청으로부터의) 독립문 설치(1897. 11)

러시아 군사교관과 알렉셰프의 소환.

만민 공동회 개최(1898): 1만여 명이 운집한 가운데 러시아의 침략 정책을 규탄하고, 대한의 자주 독립권을 지키자는 내용의 결의안 채택.

자주 국권 운동: 독립 협회는 수시로 만민 공동회를 열고, 민중을 배경으로 내정 간섭과 이권 요구 및 토지 조차 요구 등에 대항.

독립신문, 자주호국선언, 입헌군주제 주장, 지회설치


독립 협회의 이권 수호 운동

러시아의 이권 침탈 저지

절영도 조차 요구 저지: 러시아가 일본의 선례에 따라 저탄소 조차를 요구하자, 독립 협회는 만민 공동회를 배경으로 일본의 저탄소 철거까지 주장하여 러시아의 요구를 저지.

러 은행 폐쇄.

도서의 매도 요구 저지: 군사 기지의 설치를 위한 러시아의 목포, 증남포 부근의 도서에 대한 매 도 요구를 저지.

기타 열강의 이권 침탈 저지: 프랑스의 광산 채굴권 요구를 좌절, 독일이 차지한 이권에 대한 반대 운동도 벌여 한동안 이권 침탈이 줄어들었다.


독립 협회의 민권 운동

배경: 자주 국권 운동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민중의 힘이 증대되고 민권 의식이 고양되어 전개.

내용: 기본권 운동을 전개하여 상당한 성과를 거두었고, 국민 참정권 운동도 전개.


독립 협회의 민중 운동 성과

민중의 대표 기관으로 성장

진보적 내각의 수립: 민중 운동을 통하여 보수적 내각을 퇴진시키고, 박정양의 진보적 내각을 수립.

관민공동회에서 헌의 6조 결의할 것: 헌의 6조는 고종도 실시를 약속하여 의관의 반을 민선으로 하기로 하고 독립협회에 의뢰까지 하였으나 이것은 정부의 탄압방책 준비수단에 불과.

외국인에게 의지하지 말고 전제황권을 공고히 할 것.

외국과의 이권에 관한 계약과 조약은 각 대신과 중추원 의장이 합동 날인하여 시행.

국가재정을 탁지부에서 관장, 예산과 결산을 국민에게 공포.

중대 범죄를 공판하되, 피고의 인권을 존중하여 자복한 후에 시행.

칙임관을 임명할 때에는 황제폐하가 정부에 그 뜻을 물어서 중의(과반수)에 따를 것

정해진 규정 홍범 14조를 실천할 것(장정실천).



독립협회의 의의


독립협회의 해산(1899)

정부는 독립협회가 공화주의 정치를 한다고 하여 해산 명령을 내리고 이상재 등 중심인물 17인 체포.

만민 공동회의 항거: 서울 시민들은 만민 공동회를 열어 50여 일간의 시위 농성을 통하여 독립 협 회의 복설, 개혁파 내각의 수립, 의회식 중추원의 설치 등을 요구하며 투쟁을 벌였다.

정부는 황국협회(1898)를 이용하여 시위 군중에게 테러를 감행하고, 군대와 순검을 풀어 독립협회 를 견제하다가 두 단체 모두 해산.


독립협회의 의의: 우민관을 지닌 부르주아적 개혁운동

시민 의식이 성숙하지 못한 상태에서 서구식 입헌군주제 혹은 공화국가를 세우려 하여서 보수 세 력의 지지를 얻지 못함.

미국영국일본에 대해서는 우호적, 농민군이나 의병에 대해서는 적대적.

독립 협회를 통한 사회의식과 사회 자체의 변화

사회의식의 변화

사회 자체의 변화: 민권 사상과 평등 사상이 확산

 



3. 광무개혁


광무개혁의 성격

광무개혁의 배경: 고종의 경운궁 환궁과 대한제국 선포.

광무개혁의 성격: 황제의 전제권을 강화하기 위한 구본신참.

교정소 설치: 정부는 법률칙령의 개정안을 마련하기 위한 황제 직속의 입법 기구 설치.

 

광무개혁의 내용

경향의 변화: 처음에는 중추원을 구성하여 민의반영 개혁정치를 실시하고자 하였고, 지방의 23부를 13 도로 개편, 사범학교 설립. 1899년 대한국제의 반포에서 황제권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정치적 개혁: 18998월 교정소에서 9개조에 달하는 대한국제의 반포.

모든 권한을 군주의 대권으로 규정. 의회참정권사법권 규정은 없음.

군사적 개혁

원수부를 설치하여 황제가 육해군을 통솔하도록 하고, 서울에 시위대와 지방에 진위대의 군제를 마련하고 군사 수를 대폭 증강.

장교 양성을 위한 무관 학교 설립

민주적 외교

청과 통상 조약을 체결하여 관계를 대등하게 수정(1899).

간도관리사(1902, 이범윤)와 블라디보스토크 통상사무관을 파견, 북간도의 영토편입 도모.

경제적 개혁

토지조사(양전) 사업: 1898년 양지아문을 설치하고 18991903년 사이에 미국인 측량사를 초빙하여 지계를 발급.

국가 제조공장을 설립하고 민간 제조공장 설립을 지원.

상무사를 조직하여 상업특권을 부여하고 영업세 징수도 위임.

내장원 재정 관리: 이용익에게 위임하였고, 재정은 군대양성공장건설회사설립학교건립의병 지원으로 사용.

사회적 개혁

기예학교의학교상공학교외국어학교 설립. 유학생 파견. 실업교육 강화.

교통통신시설 개선, 새 호적제도, 병원 설립.

 


대한제국의 의의와 한계

의의: 강력한 황제권을 바탕으로 여러 분야에서 짧은 기간에 근대화를 이룸.

한계

열강의 간섭과 보수적 파쟁을 제거하지 못하였음.

백동화 남발로 화폐제도가 문란, 상무사는 상업 발전을 저해.

군대도 민중항쟁 진압용이었을 뿐 외세를 막아내는 데는 역부족.

 


민주의 반침략반봉건 항쟁

농민운동과 노동운동

농민층의 저항: 항조운동, 항세운동

초기 노동운동: 제국주의매판적 자본에 대해 노동운동반침략적 운동을 벌임.

광부: 저임금과 민족적 차별대우에 저항. 운산당현은산직산금광에서 봉기.

개항장 부두노동자: 장시간 노동과 저임금에 저항. 목포 부두노동자들의 파업(18981903)이 대표적.

영학당동학당활빈당

영학당

전라도 동학교도인 최익서 등이 영학당을 조직하여 1898년 말의 흥덕 농민항쟁을 지원하며 활동.

영학당은 1899년 봄 전라도 북부의 농민들이 균전폐지 요구에 해산당한 것을 계기로 고부, 흥덕, 무장 등지를 공격하고, 영암지역의 농민들과 합세하여 광주전주관찰부를 점령한 뒤 서울까지 공격 시도.

고창 공격에서 패함.

동학당

1900년경에 해주재령 등 황해도와 소백산맥 지역에서도 활발.

1900년부터 본격적 활동을 전개하는 활빈당으로 흡수되거나 을사조약 전후 의병에 참가.

활빈당

19001905에 활발. 충청경기, 낙동강 동쪽의 경상도, 소백산맥 부근 등지에서 활동.

행상유민초기노동자걸인의병 운동에 가담한 농민군 등의 조직으로서 양부를 빈민에게 분 배함으로 활동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하였음.

대한사민논설 13조목을 요구하며 저항하다, 을사조약 이후 일본군의 무력 탄압으로 지도부가 붕 괴되어 소멸. 잔여세력은 의병에 흡수.

방곡을 실시하여 구민법을 채용할 것.

시장에 외국상인의 출입을 엄금.

금광의 채굴 엄금.

사전을 혁파하고 균전으로 하는 목민법 채용.

악형의 여러 법을 혁파.

타국에 철도부설권 불허.

도우를 엄금.

곡가 안정을 위한 구민법 꾀할 것.

백성이 소원하는 문권을 폐하께 받들어 올려 흥인을 꾀할 것.

개화법을 행할 때에는 정법을 행할 것

어지럽지도 사치하지도 않은 선왕의 의제를 사용할 것.

요순 공맹의 효제안민의 대법을 행할 것을 간언함.

행상에게 징세하는 폐단을 고치고, 징세한 것을 모두 반환하고, 방임을 파할 것.

 

 

 

 

 3. 근대 문물의 수용


각종 시설

연대

내용

출판

박문국

1883

근대적 인쇄술 도입, 한성순보 발행

광인사

1884

최초의 민간 출판사

화폐

전환국

1883

당오전 주조

무기 제조

기기창

1883

연선사의 건의로 세운 최초의 근대식 무기 제조 공장

통신

전신

청에 의해

1885

서울-인천, 서울-의주

정부+일본

1888

서울-부산

우편

 

우정국 설치(1884) 우정국 운영(1895) 만국우편연맹 가입(1900)

전화

1898

궁중 내에(1893), 서울-인천(1898), 서울시내(1902)

교통 기관

철도

경인선

18991900

미국인 모오스가 착공하고 일본이 완성

경부선

1904

경의선은 프랑스가 침탈한 이권이나 경부선과 더불어 러일 전쟁 중 일본의 군사적 목적으로 부설

경의선

1905

전차

서대문

청량리

1898

미국인 콜브란과 황실의 합작으로 만든 한성전기회사(1898)가 발전소를 설립하고 전차를 운영

전등

1900

 

의료 기관

광혜원

1885

정부의 후원을 얻어 알렌이 설립한 최초의 근대식 병원. 후에 제중원으로 개명.

광제원

1889

정부가 설립하고 지석영이 종두법 시행.

세브란스

1904

미국인 에비슨이 설립, 경성 의학교와 더불어 의료 요원 양성.

대한 의원

1907

의학부, 약학과, 신파과, 간호과를 부설하여 의료요원을 양성한 국립병원.

자혜 의원

1909

진주청주함흥 등 지방 10여 곳에 설치한 도립병원.

근대 건축

독립문

1896

프랑스의 개선문을 모방.

덕수궁 석조전

19001909

르네상스식.

명동 성당

18871898

고딕 양식.

 

공무원 기출&예상 단어 10 (desist~dissect)


desist 그만두다,중지하다
desolate 사람이 살지않는,황폐한,외로운
despise 경멸하다
despondent 낙담한,풀이 죽은 
despotism 독재정치
destitute 빈궁한,빈곤한
desuetude 폐지
desultory 종잡을수 없는,산만한
detach 분리시키다,파견하다
detain 지체하게하다, 감금하다
deter 그만두게하다,단념시키다
deteriorate 떨어뜨리다
detest 몹시싫어하다,질색하다
detonate 폭발시키다
detract 떨어뜨리다,손상시키다
detrimental 해로운
devastate 황폐화하다,압도하다
deviate 벗어나다,빗나가다
devitalize ~의 활력을 빼앗다
devoid ~이 빠진,전혀없는
devolve 양도하다
devour 게걸스레 먹다,파괴하다
devout 독실한,경건한
diabolic 악마의,사악한,극악무도한
diagnosis 진단
diagonal 대각선
dialect 방언,사투리
dialectic 변증법,논리적논증
diametric(al) 직경의,정반대의
diaphanous 투과하는,투명한
diarrhea 설사
diatribe 심한매도
dichotomy 양분,이분
diffident 자신이 없는,수줍어하는
digress 본론에서 벗어나다
dilapidated 황폐한,낡아빠진
dilate 넓히다
dilatory 느린,시간을끄는
dilemma 딜레마,진퇴양난
dilemma 딜레마,진퇴양난
dilettante 아마추어 예술가
dilettante 아마추어 예술가
dilute 묽게하다,약하게하다
dimension 치수,특징,차원
diminish 줄이다,축소하다
disable ~을 불구로 만들다,무자격하게하다
disarm 무장을 해제하다
disarrange 어지럽히다,혼란시키다
disarray 혼란,혼잡
disband 해산하다
discard 버리다,포기하다
disciple 제자,문하생
disclaim 부인하다

discompose ~을 교란하다,당황케하다
disconcert 평정을 잃게하다,~을 당황케하다
disconsolate 불행한,위안이 없는
discord 의견차이,불화
discountenance ~에 찬성하지 않다,반대하다
discourse 이야기, 대화
discredit ~을 믿지않다
discreet 신중한,조심스러운
discrepancy 차이,불일치
discrete 분리된,별개의
discriminate 구별하다,분간하다
discursive 산만한
disdain 경멸하다,거부하다
disentangle 풀다,구해내다
disfigure 망가뜨리다,흉하게하다
dishearten 낙담시키다
disheveled 단정치못한
disillusion 환상에서 깨어나게하다
disincline ~할 마음을 잃게하다
disintegrate 분해하다
disinterested 공정한,객관적인
dislocate 탈구시키다,뒤죽박죽으로하다
dislodge 빼내다,쫓아내다
dismal 음침한
dismantle 제거하다
dismay 당황하게하다
disorient 어리둥절하게하다
disown ~을 자기것이 아니라고하다
disparage ~을얕보다,명예를 손상시키다
disparity 차이,상이함
dispassionate 냉정한,공정한
dispatch 급파하다,죽이다,해치우다,파견하다
dispel 없애다,떨쳐버리다
dispense 나누어주다,분배하다
disperse 흩뜨리다,퍼뜨리다,보급하다
dispirited 의기소침한,낙심한
displace 옮기다,대신하다
dispose 배치하다,배열하다
dispossess 남에게서 빼앗다
disproportionate 어울리지않는,불균형한
disprove 증명하다,반등을 들다
disqualify ~의 자격을 빼앗다,~을 부적격자로 간주하다
disquiet ~을 불안하게하다
disregard 무시하다
disrupt 붕괴시키다
dissect 해부하다,분석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