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동학농민혁명과 갑오개혁
1. 동학농민운동(1894)
⑴ 동학교세의 확장
① 최제우: 1860년 창도, 1864년 최제우 처형.
② 최시형: 제2대 교주로 각지에 포와 접 설치. 「동경대전」과 「용담유사」로 포교. - 이 두 책도 최제우가 다 지어놓은 거였다.
⑵ 교조신원운동
① 삼례집회: 1892년 11월 전라도 삼례에서 교조 신원과 탐관오리의 숙청을 충청․전라감사에게 요구하였으나 거절당함.
② 2차 신원: 1893년 3월 박광호․손병희 등이 서울 궁궐에서 교조신원 복합상소를 하고 외국인 철수 요구, 실패.
③ 보은집회(3차 신원):
1893. 3. 11~4. 2. 척외양창의를 구호로 정치운동을 벌임.
정부는 탐학한 향리를 징벌하겠다며 어윤중을 선무사로 파견.
한편으로 홍계훈으로 하여금 600명의 관군을 출동시켜 진압.
④ 금구집회:
보은집회 시기에 전라도 금구에서 1만여명의 농민이 참가.
전봉준․서장옥․황하일 등이 보 은집회와 결합하여 서울로 쳐들어가려 하였으나 집회는 무산되고 동학 상층부의 반대로 해산.
⑶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① 제1기- 고부민란의 시기
㉠ 원인 고부군소 조병갑이 만석보의 수세를 강제 징수하고 1천냥을 사취.
㉡ 전봉준과 농민군 지도자들은 「사발통문」을 돌리며 1894년 1월 10일 봉기. 고부접주 전봉준은 관아를 습격하며 군수를 내쫓고, 아전들을 징벌한 뒤 곡식을 농민들에게 분배하고 보를 허물음.
㉢ 몇 개조의 요구사항을 제시하며 10여일 만에 해산(1894. 2). 제1차 농민전쟁의 도화선이 됨.
② 제2기- 황토현 전투(남접)의 승리(절정기)
㉠ 원인: 정부는 조병갑을 징죄하고 안핵사 이용태를 파견하였으나 그는 탄압에 급급. 대장 전봉준과 총사령관 손화중, 김개남, 총참모 오지영 하에 창의문을 선포.
㉡ 주장: 탐관오리 제거, 조세 수탈의 사정 등을 주장. 특히 균전사 폐지를 강력히 요구.
1890년에 왕실이 전라도 서북부 11개 고을의 개간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파견한 관리. |
㉢ 경과: 농민군은 고부와 태인에서 봉기하여 백산에 진을 옮겨 호남창의대장소를 조직하고 격문과 4 대 강령 발표. 이후 황토현에서 관군을 물리치면서 남하.
<4대 강령>
① 사람을 죽이지 말고 가축을 잡아 먹지 마라. ② 충효를 다하여 세상을 구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하라. | ③ 왜놈을 몰아내어 없애고 나라의 정치를 바로잡는다. ④ 서울로 들어가 권세가와 귀족을 모두 없앤다. |
㉣ 결과 : 정읍․고창․함평에서도 승리하고, 양호초토사 홍계훈 병력 800여명을 장성에서 패배시킨 후 전주를 점령.
③ 제3기- 집강소 설치 및 자치시기
㉠ 집강소의 설치:
정부와 전주 화약을 맺고 촌촌설포.
새로 부임한 전라감사 김학진과의 합의에 따라 전라도 53개 군에 집강소를 설치하여 폐정 혁역안(=폐정개혁안)을 실천.
㉡ 집강소의 조직: 한 사람의 집강과, 몇 명의 임원. 전주에는 대도소 설치. 도소가 있는 곳은 도소가 집강소를 대신.
㉣ 민보단: 봉건유생층(지주, 부호, 양반 등)이 각지에서 농민군을 체포하여 화적 혐의로 처형.
㉤ 정부의 대응:
전주 화약에도 불구하고 청에 파병 요청.
청이 파병되자 일본도 천진조약을 구실로 파병하여 갑오개혁도 후퇴하고 청․일 전쟁 발발.
관민상화와 집강소체제는 좌절.
<폐정개혁안> - 나중에 갑오개혁 때(그 중에서도 1차개혁 때) 많이 반영 된다.
① 동학도는 정부와의 원한을 씻고 서정에 협력 ② 탐관오리는 엄징. ③ 횡포한 부호는 엄징. ④ 불량한 유림과 양반 징벌. ⑤ 노비문서 소각: 갑오 1차 때 반영 - 1차 때 노비제도 "공식"적 소멸 - 물론 실질적으로는 여전히 좀 남았을 것이다. ⑥ 7종의 천인차별 개선, 백정의 평량갓을 없앤다. | ⑦ 청상과부의 개가 허용. ⑧ 무명의 잡세를 일체 폐지. ⑨ 관리 채용에 지벌을 타파하고 인재를 등용. ⑩ 공사채를 물론하고 기왕의 것은 무효로. ⑪ 왜와 통하는 자는 엄징. ⑫ 토지는 평균하여 분작 - 참고: 토지에 관하여 "평균분작"이라는 말은 한국사 통틀어서 여기밖에 안 나온다. 만약 다른 시기의 토지제도에서 이 말 하면 그건 틀린 보기이다. |
④ 제2차 동학농민전쟁(남접+북접), 공주우금치 전투
㉠ 원인:
갑오정권의 개혁 지진, 일본군․관군의 탄압, 봉건유생의 반격.
일본의 내정간섭과 왕궁 점령에 농민군은 1894년 10월 척왜를 구호로 재기.
㉡ 경과:
손병희는 최시형의 승인 하에 10만여 명의 충청 농민군(북접)을 이끌고 청산에 집결하여 논산에서 합류.
서울로 북상하다 공주 남쪽의 우금치에서 관군․일본군과 1주일간 50여회 격전.
첫 전투인 목천 세성산 전투에서 패배, 이인 전투에서 승리, 우금치에서 많은 희생을 내고 후퇴.
농민 군의 전면적 후퇴와 함께 무자비한 살육 시작.
양반․토호의 민보군․수성군도 공격하여 30~40만 의 민중이 학살.
㉢ 결과:
전봉준은 변절한 부하의 밀고로 순창에서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된 후 일본공사의 재판을 받고 사형(1895. 4.).
나머지 지도자들도 체포 혹은 살해.
⑷ 동학운동의 성격:
철학적으로 주기론에 근접, 종교적으로 샤머니즘 중시.
도교에 가까워 조선왕조를 부정하고 양반사회를 반대하는 사회개혁 사상.
인내천 사상(한울님 사상), 천인합일, 운수, 말세, 후천개벽 사상 보유.
⑸ 동학운동의 영향
① 갑오개혁에 영향
② 구국 의병 투쟁의 활성화: 농민군의 잔여 세력이 영학당, 활빈당을 조직.
⑹ 동학운동의 의의
① 일부의 유생, 관리, 군인까지 참여.
② 조선의 근대화에 박차를 가하고 항일의병운동의 단초를 열었음.
③ 중국의 태평천국 혁명, 인도의 세포이 투쟁과 함께 19세기 아시아 3대 농민전쟁의 하나로 평가.
'한국사 > 근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대사 6 - 근대 문물의 수용 <표> (0) | 2018.11.16 |
---|---|
근대사 5 - 갑오개혁(1, 2, 3차), 김홍집 내각(1, 2, 3, 4차) (0) | 2018.11.13 |
근대사 3 - 열강의 침략, 조미수호, 조일통상, 거문도, 유길준 중립론 등 (0) | 2018.11.12 |
근대사 2 - 위정척사, 개화, 임오군란-제물포, 갑신정변-한성 (0) | 2018.11.12 |
근대사 1 - 흥선대원군, 병인양요, 신미양요, 개항, 강화도조약 (0) | 2018.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