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과학 기술의 발전


서양 과학기술의 수용

선조 때: 이광정이 세계지도 곤여만국전도가져옴.

인조 때: 정두원이 화포, 자명종, 천리경 전래. 벨테브레가 대포 제작법과 조종법 전수.

효종 때: 하멜 표류기

서양문물의 수용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은 대부분 성호학파와 북학파 실학자들.

한계: 18세기까지는 어느 정도 수용하였으나, 19세기에 이르러서는 정체.

 


천문학과 지도 제작기술


천문학

이익은 서양 천문학에 관심, 연구.

지전설: 성리학적 세계관의 비판 근거

김석문: 지전설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주장.

이익정약용: 서양 천문학에 큰 관심을 가지고 연구.

홍대용: 김석문과 같이 지전설 주장. 무한 우주론 주장.


역법: 김육 등의 60여년간의 노력으로 시헌력이 어렵게 도입.


수학

㉠ 「기하원본도입: 유클리드 기하학을 마테오 리치가 한문으로 번역.

최석정황윤석: 전통 수학을 집대성.

홍대용: 주해수용을 저술하여 조선중국서양 수학의 연구 성과를 정리.


 

의학서적의 편찬과 기술의 개발


의학서적의 편찬

동의보감(허준): 광해군 때. 조선 최대 의서(25). 중국일본에까지 영향.

침구경험방(허임): 인조 때. 침술 집대성.

마과회통(정약용): 정조 때. 종두법을 소개하고 천연두 연구 진전.

제중신편(강명길): 정조 때. 의학 처방서.

동의수세보원(이제마): 고종 때. 사상의설.

방약합편(황필수): 고종 때. 한의학 대중화.


기술의 개발

정약용은 기예론에서 북학파의 주장인 이용후생을 강조. 거중기 제작 화성 축조, 정조 수원 행차 시 주교(배다리) 설계.


 

농서의 간행과 농업기술의 발전


농서의 간행

농가집성(신속): 인조효종 때. 농사직설+금양잡록+사시찬요

색경(박세당): 숙종 때. 농가집성비판 과수축산원예수리기후 등에 중점.

산림경제(홍만선): 숙종 때. 농림축산양잠 농서.

증보산림경제(유중림): 영조 때. 산림경제를 증보하여 간행한 박물지 성격의 농사요약서. 임원경 제지에 영향.

과농소초(박지원): 정조 때. 농업기술과 농업정책을 논하고 개혁책으로 한전법 제시. 농사직설, 금양잡록, 산림경제등과 중국의 제민요술을 당시의 입장에서 종합 비판.

해동농서(서호수): 정조 때 저술.

임원경제지(서유구): 순조 때. 농업기술과 산업전반에 관한 백과사전.


농업기술의 발전

논농사에서는 이앙법 확대, 수리 관개시설 발달(당진 합덕지, 연안 남대지와 작은 저수지들)

밭농사에서는 견종법 등장, 시비법이 발달하여 연작상경지 증가. 18세기 이후에는 밭을 논으로 많 이 바꾸여 정조 때에는 논이 더 많았다.

쟁기 사용과 가을갈이가 보편화. 황무지 개간과 간척사업 발달.


어업의 발달

어법과 김 양식: 어업에서는 어살을 설치하는 방법이 실시되고, 어망의 재료도 면사로 바뀌었다. 17세기에는 전라도 지방에서 김 양식 기술 개발, 18세기 후반에는 냉장선 등장.

자산어보: 정약전이 흑산도 유배 중, 흑산도 근해의 해산물 등을 직접 채집조사하여 155종의 해 물에 대한 명칭, 분포, 습성 등을 기록. 어류학의 신기원.

국학의 연구



역사서


성호사설(이익): 실증적이며 비판적인 역사 서술을 제시하고 중화 역사관에서 벗어나 우리 역사를 체계화할 것을 주장.


동사강목(안정복): 

명분론적 역사의식과 실증적 역사연구 집대성삼한정통론과 민족독자성에 입각 한 편년체 사서이익의 정통사관을 적용하여 단군조선고려 말까지의 한국사의 독자적 체계를 세워 정확한 고증을 거쳐 엮은 통사.


해동역사(한치윤): 

외국 사서를 500여종이나 인용한 기전체적 분류사 통사71. 삼국사기나 고 려사의 누락, 소홀한 점을 보충하고, 정통사체 인식을 심화. 서두의 동이총기에서 단군조선 앞에 동이문화권 설정.


연려실기술(이긍익): 

조선시대의 역사를 기사본말체로 서술한 야사. 400여 종의 자료를 참고로 실 증적객관적으로 정리. 47(120: 태조현종, 나머지는 다양한 글)


동사(이종휘): 

에서 고구려에 대해 큰 비중을 두고 만주 중심의 역사관을 폄.


발해고(유득공): 

발해와 신라를 남북국의 형세로 파악하고 한국사의 무대를 만주와 한반도로 인식. 동사와 함께 반도중심의 역사관 탈피.


대동야승(?): 

17세기 중엽까지의 야사, 야담 59종을 모은 야사집. 조선 초부터 인조 이전까지 250여 년에 나온 제가의 저술 중 53종을 채집하여 당시의 풍속과 인정을 알기에 필요한 사료가 많이 포 함. 수록된 저술로는 성현 용재총화, 서거정 필원잡기, 어숙권 패관잡기.


규사(이진택): 

철종 10(1859). 서얼의 역사서로서 차별대우를 철폐 주장. 규사현인록 부록.


연조귀감(이진홍): 

현종 12(1846). 향리출신의 역사서로서 향리가 양반과 혈통을 같이함에 양반과 같은 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주장.


기타

중인출신 조희룡의 호산외기

서리출신 유재건의 이향견문록

서민출신 이경민의 희조 일사」 

등 기예와 덕행이 있는 인물의 전기 편찬.



역사지리서


동국지리지(한백겸): 인조 때. 고조선고려까지의 역사지리서로 삼한의 위치 고증.

강계고(신경준): 영조 때. 각지의 교통로, 경계 규명.

해동역사지리고(한진서): 순조 때. 한치윤 해동역사의 속편으로 서술한 역사지리서.

아방강역고(정약용): 순조 때. 지역별로 소개한 역사지리서.


기타

사군지(유득공), 

산수경(신경준), 

도로고(신경준), 

대동지지(김정호), 

동국명산기(성해응), 

여지고(유형원)




인문지리서


택리지(이중환): 

영조 때. 사람이 살만한 곳의 정치, 경제, 풍속을 서술한 것으로 팔역지라고도 함. 각 지방의 자연환경, 인물, 풍속, 인습, 고사 등을 흥미있게 서술.


여지도서

영조 때. 읍지를 총정리하고 지역별 지도 삽입.



지도


대동여지도(김정호): 철종 때(1861). 조선전도(22)로 산업, 군사지도적 성격이 있음. 대동지도 도 있음.

동국지도(정상기): 영조 때. 처음으로 백리척의 축척법을 사용하여 제작한 8도 분도.

청구도(김정호): 철종 때. 인문지도.



음운 연구와 어휘 수집


음운학

훈민정음운해(신경준), 

언문지(유희),


어휘 수집

고금석림(이의봉-국내외 방언 정리), 

재물보(이성지), 대동운부군옥(권문해),

아언각비(정약용)



⑥ 백과사전


저 서

저 자

시 기

내 용

지봉유설

이수광

광해군

천문지리군사관제 등 문화의 각 영역을 25부문으로 기술

성호사설

이익

영조

천지만물경사인사시문의 5개 부분으로 정리

청장관전서

이덕무

정조

이덕무의 시문 전집으로 중국의 역사, 풍속, 제도 등을 소개

오주연문장전산고

이규경

헌종

우리나라와 중국 등 외국의 고금, 사물에 대해 고증한 책

임원경제지

서유구

헌종

농업의 경제경영에 대해 정리

동국문헌비고

홍봉한

영조

왕명으로 조선의 지리정치경제문화를 정리한 한국학 백과사전

 

  

 

실학의 의의


실학의 학문 영역: 미치지 않는 분야가 없었다.

실학의 역사적 의의: 민족주의 성격, 근대 지향적, 실증적, 피지배층 처지 옹호(민중적).

 

8. 실학의 성립


실학의 대두


배경: 성리학의 사회적 기능 상실한계 자각, 양난 후 정치경제 피폐에 따른 자아 발생, 새로운 학 문정신 추구, 청의 실증적 고증학의 영향, 정조의 학문장려와 학자 배출, (양과)학의 영향, 경제 적변화와 발전, 신분 변동 등.

제기: 이수광, 한백겸 등에 의해 제기되어 경세치용, 이용후생, 국학연구로 확산.

한계: 유학의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였고 지지세력의 대부분이 몰락 지식인이어서 국가정책에 미반영.

 

 

실학의 선구

정여립(선조): 군주 세습제를 부인하고 천하는 공물이라고 주장.

정인홍(광해군): 성리학 이외의 사상을 폭넓게 수용하여 정신문화와 물질문화를 균형 있게 발전시켜 부국강병과 달성해 보고자 하였고, 이언적, 이황을 비판하다가 유적에서 삭제당함.

이수광

 


실학의 제기(17세기 전반기)와 확산(18세기)

이수광: 지봉유설에서 천문지리관제 및 천주실의등을 소개하여 문화 인식의 폭을 확대.

한백겸: 동국지리지를 저술하여 우리나라의 역사 지리를 치밀하게 고증하였으며, 토지 소유의 지나 친 편중을 개탄하고 대동법의 확대 실시를 추진.

실학의 확산: 18세기에 가장 활발.


 

경세치용 학파(=중농학파)


특징

18세기 전반 남인 출신들의 학자들로 이들의 이상은 유교적 이상국가의 실현.

토지 제도 개혁을 가장 중시하여지주제 타파와 자영농 육성 주장, 화폐의 폐단 지적.

한말 애국계몽사상가와 국학 연구 등에 영향.


② 중농주의 실학자


유형원

(16221673)

∙「반계수록에서 균전론 주장

자영농을 바탕으로 병농일치의 군사제도, 사농일치의 교육제도 주장.

사상의 한계: 적서차별, 군 내의 양천구별, 문음제도와 노비제도 인정

이 익

(16811763)

∙「성호사설에서 한전제 주장하여 토지소유의 평등 요구

6좀론의 폐단 지적: 노비제, 과거제, 양반문벌, 기교(사치미신), 승려, 게으름

성호학파 형성, 붕당론저술, 화폐폐단 지적

천주교에 비판적인 입장

정약용

(17621836)

∙「여유당전서500여권 저술

3부작 목민심서(지방관 도리), 경세유표(중앙 정치조직에 대한 의견과 정전제), 흠흠 신서(형옥 담당 관리의 유의사항)

3논설 탕론(역성 혁명로크의 시민 혁명 사상 내포), 원목(정치의 근본과 목민관 강조), 전론(여전제- 공동소유공동생산)

정치개혁론: 향촌 단위의 방위체제 강화 역설

∙「기예론: 북학파의 이용후생설과 같은 주장, 기술 혁신기술 교육 등을 촉구

박세당

(16291703)

∙「색경에서 농가집성을 비판하고 농업 전반에 걸친 의견 제시

윤휴와 함께 사변록을 지어 성리학을 비판하다가 사문난적으로 몰림

홍만선

(16431715)

산림경제: 숙종 때 농업과 일상생활에 관한 광범위한 사상을 기술한 소백과사전적인 책

서유구

(17641845)

∙「임원경제지, 종저보




③ 중농학파의 토지개혁안


균전론

(유형원)

주나라의 정전법에서 영향

관리, 양반, 농민에게 토지의 차등적 재분배 주장

자영농 육성 병농일치로의 환원 군역의 폐단 해결

토지국유제 원칙: 토지매매 금지, 대토지 소유 방지(토지소유의 편중 방지)

한전론

(이 익)

유형원의 균전론 비판(급진적비현실성)

균전론의 대안으로 한전론 제시(중종 때 요옥의 건의에 따라 50결 상한으로 시행되었다가 실패)

가구별 적정 규모의 영업전 지정 매매의 법적 금지, 영업전 이외 소유 토지는 매매 가능

토지소유의 평등화 추구

여전제

(정약용)

균전론과 한전론 모두 비판: 토지의 사적 소유 인정은 결국 토지소유의 편중이다.

경자유전의 원칙

한 마을(1) 단위의 토지 공동소유

주나라의 정전법에서 영향

공동경작, 공동분배 일동의 공동농장제

정전제

(정약용)

토지 한 구역을 ()자로 9등분하여 8호의 농가가 각각 한 구역씩 경작, 가운데는 8호가 공동 경작하여 조세로 바침. 다산은 토지의 국유를 원칙으로 하고 농민에게만 경작능력을 기준으로 분배 주장.

 

 


이용후생 학파(=북학파)


특징

18세기 전반 노론 출신들의 학자들로 이들의 이상은 유교적 이상국가에서 탈피.

부국강병과 이용후생 주장. 서울(도시)를 배경으로 상공업 진흥에 힘씀.

개화사상 등에 영향.


② 중상주의 실학자


유수원

(16941755)

∙「우서: 중국과 조선의 문물을 비교하면서 사회전반의 개혁안 제시

농업에서는 토지 제도의 개혁보다 농업의 상업적 경영과 기술 혁신을 통해 생산성을 높이자고 주장

대상인의 지역사회개발 참여

상공업의 진흥과 기술 혁신 강조, 사농공상의 평등과 전문화 주장

홍대용

(17311783)

노론 명문 출신으로 성리학적 세계관 부정.

∙「임하경륜, 의산문답: 균전제 주장, 담헌서에 수록되어 전함.

신분제 철폐, 주자학 극복이 부국강병의 요체라고 믿었음.

김석문의 지구회전설을 이어받아 의산문답에서 지전설 주장하여 중화사상 비판.

박지원

(17371805)

∙「열하일기, 과농소초, 한민명전의, 양반전

한전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농업생산력의 향상에 관심이 많았다.

화폐유통의 필요성, 수레와 선박의 이용, 양반문벌제도의 모순 지적

박제가

(17501805)

∙「북학의: 청에 네 번이나 드나들며 저술, 규장각 검서관

청과의 통상강화, 수레와 배의 이용을 늘릴 것, 절약보다 소비촉진(우물)

 

 

7. 성리학의 경직성


조선후기 성리학의 경향


조선후기 성리학의 경향: 비판적 견해나 주장을 사문난적으로 배척하는 교조화 경향.


성리학의 흐름

16세기 중엽부터의 논쟁에서 형성된 영남학파와 기호학파의 분열.

17세기 이후의 남인학풍: 서경덕조식 문인의 북인이 인조반정으로 몰락하면서 이황의 남인에 합 류. 이에 남인학풍이 지역에 따라 다양히 전개.

서인 학풍: 인조반정 이후 의리 명분론을 강화. 17세기 말에 노론소론으로 분열. 송시열의 저술 은 서인의 주장을 뒷받침.

18세기 노론 내 송시열 제자들의 호락논쟁: 호론(충청도)는 인물성이론, 낙론(서울경기)은 인물성동론.

호론은 위정척사 사상에 영향, 낙론은 북학사상에 영향.

영남 남인과 노론 사이에 이기론 논쟁이 치열하게 전개.


성리학에 대한 비판

경향: 17세기 후반부터 주자 성리학을 상대화하고 6경과 제자백가 등에서 사상적 기반을 찾으려 하였다.

윤휴(남인): 서경덕의 영향을 받았으며, 유교 경전에 주자와 다른 독자적인 해석을 하다 서인에 의 해 사문난적으로 몰림.

박세당(소론): 양명학과 노장사상 영향을 받아 사변록을 통해 주자의 학설을 비판하다 서인에 의 해 사문난적으로 몰림.


기타: 정약용은 주자의 해석에 구애되지 않고, 고주(古註)를 참작하여 공자맹자의 본뜻을 찾으려고 노력.

 


양명학의 전래


전래: 중종 때 전래


특징: 치양지설과 지행합일설을 근간으로 한, 교조화된 성리학을 비판.


연구: 경기지방 중심의 재야 소론계열 학자와 불우 종친 출신 학자들이 연구. 18세기 초 정제두에 의해 체계화.

강화학파 형성: 정제두가 형성. 국어학, 역사학, 서화 등에서 새로 운 경지 개척. 실학자들과도 서로 영향.

정제두의 활동: 존언, 만물일체설저술. 그는 일반민을 도덕 실천의 주체로 상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양반 신분제의 폐지 를 주장.


영향: 박은식(유교구신론)정인보(양명학연론) 등의 국학자가 양명학 을 계승하여 민족운동 전개.

∙「불씨잡변(정도전) - 불교

∙「사변록(박세당) - 성리학

∙「천학고(안정복) - 천주교

∙「전습록변(이황) - 양명학

∙「서학변(신후담) - 천주교

 

 

 

 

 

 

공무원 기출&예상 단어 18 (infatuate~insatiable)


infatuate 얼빠지게하다,홀딱 한하게하다
infer 추리하다,추론하다
infidel 무신론자,이교도
infiltrate 스며들게하다,침투하다
infinitesimal 극소의
infirm 허약한
inflate 부풀리다,팽창시키다,우쭐하게하다
inflexible 구부러지지 않는,불변의,확고한
inflict 충격을 가하다
influx 유입,쇄도
infra(structure) 하부구조,기반
infrared 적외선
infringe 위반하다,어기다,침해하다
infuriate 격노하다,격분하다
infuse 주입하다,불어넣다
ingenious 재능이있는,영리한
ingenuous 솔직한,순진한
ingrained 깊이 배어든
ingrate 은혜를 모르는
ingratiate 비위를 맞추다,영합하다
ingredient 성분,요소
inhale 흡입하다
inherent 선천적인,고유의
inherit 상속하다,물려받다
inhibit 금지하나,방해하다
inhospitable 불친절한,대접이 나쁜
inimical 적대적인,불리한
iniquitous 부정한,사악한
inject 주사하다,주입하다
inkling 암시
inmate 입원자
innate 타고난,선천적인
innocuous 해가없는
innovate 혁신하다,받아들이다
innuendo 암시,풍자,암시하다
innumerable 셀수 없는,무수한
inoculate 접종하다,접목하다
inopportune 부적절한 시기의
inordinate 무절제한,터무니 없는
insatiable 만족할 줄 모르는,탐욕스러운


공무원 기출&예상 단어 17 (incredulous~infamous)


incredulous 쉽사리 믿지 않는,의심하는 듯한
incriminate 죄를 씌우다,고발하다
incubate 품다,계획하다
incubus 악마,악몽
inculcate 되풀이하여 가르치다
incumbent ~의 의무인,재직
incursion 침략,습격
indecent 버릇없는,품위없는
indecisive 결단성 없는,우유부단한
indefatigable 지칠줄 모르는
indelible 지울수 없는
indelicate 조잡한,천한
indemnify ~에게 변상하다
indent 톱니 모양을 내다,움푹들어가게 하다
indescribable 형언할수 없는
indict 기소하다,고발하다
indigenous 토착의,고유의
indigent 가난한,궁핍한
indignant 분개한,성난
indiscreet 무분별한,경솔한
indiscriminate 무차별의,가리지 않는
indistinct 분명치않은,희미한
indolent 나태한,게으른
indomitable 굴하지 않는,불굴의
induce 유도하다,설득하여~하게하다
induct 취임하다,전수하다
indulge 만족시키다,내버려두다
inebriate 취하게하다
ineffable 형언할수 없는
ineligible 비적격의,부적당한
ineluctable 피할수 없는
inept 부적당한,서투른
inequality 불평등,불공평
inert 활동하지 않는,느릿느릿한
inexorable 무정한,냉혹한
inexpiable 보상할수 없는,용서할수 없는
inexplicable 설명할 수 없는,불가해한
inextricable 벗어날수 없는
infallible 틀림없는,확실한
infamous 악명높은


공무원 기출&예상 단어 16 (impunity~incredible)


impunity 무사,안전
impute ~의 탓으로 하다
inaccessible 접근하기 어려운
inadvertent 부주의한
inalienable 양도할수 없는
inanimate 생명없는,무생물의
inapplicable 적용할수 없는,부적당한
inapposite 부적당한
inappropriate 부적당한
inaugurate 취임시키다,시작하다
inauspicious 불길한
inborn 타고난,선천적인
inbred 타고난,선척적인
incalculable 헤아릴수 없는,무수한
incandescent 백열의,빛나는
incantation 주문,마법
incarcerate 투옥하다,감금하다
incarnate 육체를 갖게하다,구체화하다
incendiary 불나게하는,선동적인
incense 향,격분시키다


incessant 끊임없는
inchoate 초기단계인,불완전한
incipient 시초의,초기의
incise 자르다,절개하다
incite 자극하다,선동하다
inclement 험악한,혹독한
incognito 익명의,신분을 숨긴
incoherent 비논리적인,모순된
incomparable 견줄데 없는
incompatible 양립할수 없는
incompetent 무능한,자격이없는
incomprehensible 이해할수 없는,불가해한
inconceivable 상상할수없는,생각할수없는
incongruous 일치하지않는,어울리지않는
inconsistent 일치되지않은,모순된
incontrovertible 논쟁의 여지가 없는,명백한
incorporate 합동하다,통합시키다
incorrigible 교정불가능한,어쩔도리없는
incredible 믿을수없는


5. 과학기술


과학기구의 발명과 의학서적의 간행


기술발전의 동향

조선 초기(15세기): 훈구파의 입장 등으로 과학기술이 크게 발전.

16세기 이후: 사림의 과학 기술 천시 풍조로 점차 침체


과학(기구)의 발명

시간: 양부일구(해시계), 자격루(장영실)

강우량: 세계 최초 측우기(세종)

토지: 규형과 인지의

천체 관측: 혼천의, 간의, 천상열차분야지도(태조), 새로운 천문도(세 종때 제작하였으나 부전)


수학과 역법의 발달

상명산법과 산학계몽: 수학 교재로 아라비아(사라센) 수학의 영향 받음.

칠정산: 중국 수시력+아라비아 회회력 역법서로 서울을 기준으로 천체 운동을 정확하게 계산.

부여: 은력

신라: 선명력()

고려: 수시력(), 대통력()

조선 전기: 칠정산

조선 후기: 시헌력(아담 샬)

을미개혁: 태양력


의학서적

향약집성방: 세종 때 유효통. 국산 의약제 개발과 조선의학의 학문적 체계 수립. 1천여 병의 치료예방법 소개.

의방유취: 세종 때 김순의. 동양 최대의 의학 백과.

 


인쇄술과 제지술의 발달

태종 때: 주자소를 설치하고 계미자 주조.

세종 때: 갑인자 주조, 식자판 조립법 창안, 조지서(종이 생산).

활자명

주조 연대

재료

계미자

태종

갑인자

세종

병진자

세종

임진자

영조

생생자

정조

정리자

정조

춘추강자

정조

 


농서의 간행과 농업기술의 발전


농서의 간행

농사직설: 세종 때 정초. 현존 최고의 농서로 경험담을 토대로 우리 실정에 맞게 수록. 직파법 권장.

사시찬요: 세조 때 강희맹. 14계절의 농사와 농작물에 관한 주의사항 및 112개월의 행사 등 을 기록.

금양잡록: 성종 때 강희맹. 금양(시흥) 지방 농민들의 경험담을 토대로 저술한 농사목축서. 농사직 설에 없는 내용만을 수록하는 것이 원칙.


농업기술의 발전

농종법 시행: 종자를 밭이랑 위에서 재배.

직파법 시행

23작 시행: 밭농사에서 조보리23작 확산.

이모작 실시: 논농사에서 남부 지방 일부에 벼보리 이모작 실시.

건사리(건경법): 마른 땅에 종자를 뿌려 일정한 정도 자란 다음에 급수.

물사리(수경법): 무논에 종자 직접 뿌림.

모내기(이앙법): 남부 지방에서 고려말에 이어 계속.

시비법 발달: 농경지의 상경화 확립, 휴경제도 거의 사라짐.

가을갈이 보급: 가을에 농작물을 수확한 후 빈 농지를 갈아 엎어 다음해의 농사를 준비.

목화재배 확대: 무명 생산 증가로 화폐처럼 사용.

모시누에치기도 확산되고 양잠관련 농서(산가요록)도 편찬.

 


병서편찬과 무기 제조기술의 발달


병서의 편찬

진도: 태조 때 정도전. 전술부대 편성법.

총통등록: 세종 때. 화약 무기의 제작과 사용법.

병장도설: 세종 때. 그림으로 설명한 군사훈련 지침서.

역대병요: 세종 때. 역대 군담과 전술 정리.

동국병감: 문종 때. 중국과 우리나라(고조선고려 말)의 역대 전쟁사.


무기제조 기술의 발달

거북선: 최초의 철갑선으로 태조때 제작, 충무공이 임난 중 개량.

비거도선: 작고 날쌘 배

화포: 사정거리 최대 1000

화차: 로켓포와 비슷, 신기전 화살 100개 연속발사.

비격진천뢰: 이장손이 임난 중 개발.

 



6. 문학작품과 예술


문학의 다양화


조선 전기 문학의 경향: 초기에는 격식을 존중하고 질서와 조화 표방 점차 개인적 감정 표현 경향 의 가사와 시조


악장문학: 조선 건국의 정당성과 우리 민족의 자주의식 표현 16세기 가사 문학으로 발전


한문학

15세기의 한문학: 문학의 주류 형성. 서거정의 동문선이 대표적 작품.

16세기의 한문학: 사림들이 경학치중 사장경시로 저조.


설화문학: 금오신화, 필원잡기, 용재총화, 패관잡기(문벌제도와 적서 차별 폭로, 임제도 유사)


시조

15세기의 시조: 건국 초 패기(김종서, 남이)/유교적 충절(길재, 원천석)

16세기의 시조: 인간 본연의 순수한 감정, 자연 은둔 생활(황진이, 윤선도)

여류 문인: 신사임당, 허난설현, 황진이

 


조선시대 건축의 특색


조선시대 건축의 특색: 건물 규모를 법으로 규제하여 규모는 작고 검소하였으나 나름대로 위엄을 갖추 고 환경과 조화.

15세기의 건축: 궁궐, 관아, 성문, 학교 등이 중심.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숭례문, 개성 남대문, 평양 보통문 등이 대표적.

16세기의 건축: 서원 건축이 활발(가람배치+주택양식). 옥산 서원(경주), 도산 서원(안동).


왕실의 비호를 받은 불교 건축물

무위사 극락전: 검박하고 단정.

해인사 장경판전: 당시의 과학과 기술을 집약.

원각사지 10층 석탑: 세조때 대리석으로 만든 탑으로 고려 경천사 10층 석탑 모방.

 


공예의 발달


조선시대 공예의 특색: 실용성과 예술성의 조화, 자연미(특히 목공예)와 흔한 재료의 사용.

1. 분청사기는 퇴락한 상감청자에서 연원, 14세기 후반부터 제작을 시작하여 세종 연간을 전후하여 절정.

2. 15세기 후반부터 경기 광주 일대에 백자 관요가 운영되면서 분청사기 생산이 소규모화.

3. 16세기 중엽 이후에는 생산이 급감, 임진왜란 이후에는 백자만 남음.

15세기의 공예: 소박한 회청색의 분청사기 유행

16세기의 공예: 선비들의 취향과 어울리는 세련된 백자가 유행.


 

그림과 글씨의 발달


15세기의 그림: 화원 출신의 그림, 관료 문인화가 출신의 그림. 인물과 산수를 씩씩하고도 낭만적으로 묘사. 중국 역대 화풍을 선택적으로 수용. 무로마치 시대의 미술에 영향을 줌.

안견: 도화서의 화원. 구도 웅장, 필치 섬세. 몽유도원도(이상 세계 묘사), 적벽도가 일본에 현존.

최경: 인물가의 대가로 채희귀한도가 대표작.

강희안: 문인화가로 간결하고 호방. 고사관수도가 대표작.


16세기의 그림: 4군자가 유행.

이상좌: 노비 출신 화원으로 송하보월도가 대표작.

신사임당: 나비오리 등을 섬세하고 정교한 여성적 필치로.

사군자: 이정(대나무), 황집중(포도), 어몽룡(매화)은 삼절로 유명.

이암: 동물화.

글씨

안평대군: 송설체(=조맹부체)를 따르면서 수려하고 활달한 독자적인 글씨.

양사언: 왕희지체를 특기로 하면서 초서에 능하였다.

한호(한석봉): 왕희지체에 우리 고유의 예술성을 가미하여 단정하면서 성실한 석봉체 정립. 중국 에도 이름이 알려졌고 일반인들도 석봉체를 많이 따라 썼다.


 

음악과 무용의 발달


조선 시대 음악의 경향: 백성을 교화하는 수단으로 여겼고 국가 의례와 관련되어 있어 중요시.


음악의 발전

세종

박연: 세종은 박연에게 악기를 개량하거나 만들게 하였고, 아울러 악곡과 악보를 정리하게 하였으 며, 아악을 체계화함으로써 아악이 궁중 음악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세종: 여민락 등 악곡을 짓고 소리의 장단과 높낮이를 표현할 수 있는 정간보를 창안.

성종 때: 성현, 유자광등이 악학궤범을 편찬(동동, 정읍사, 처용가수록)

16 세기: 음악의 주체가 궁중에서 서민사회로 이동하여 속악 발달.


무용

궁중에서 나례춤, 처용무 유행.

서민층에서 농악무, 무당춤, 승무, 산대놀이(탈춤), 꼭두각시놀이(인형극) 등 유행.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