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과학 기술의 발전
⑴ 서양 과학기술의 수용
① 선조 때: 이광정이 세계지도 「곤여만국전도」 가져옴.
② 인조 때: 정두원이 화포, 자명종, 천리경 전래. 벨테브레가 대포 제작법과 조종법 전수.
③ 효종 때: 「하멜 표류기」
④ 서양문물의 수용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은 대부분 성호학파와 북학파 실학자들.
⑤ 한계: 18세기까지는 어느 정도 수용하였으나, 19세기에 이르러서는 정체.
⑵ 천문학과 지도 제작기술
① 천문학
㉠ 이익은 서양 천문학에 관심, 연구.
㉡ 지전설: 성리학적 세계관의 비판 근거
ⓐ 김석문: 지전설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주장.
ⓑ 이익․정약용: 서양 천문학에 큰 관심을 가지고 연구.
ⓒ 홍대용: 김석문과 같이 지전설 주장. 무한 우주론 주장.
② 역법: 김육 등의 60여년간의 노력으로 시헌력이 어렵게 도입.
③ 수학
㉠ 「기하원본」 도입: 유클리드 기하학을 마테오 리치가 한문으로 번역.
㉡ 최석정․황윤석: 전통 수학을 집대성.
㉢ 홍대용: 「주해수용」을 저술하여 조선․중국․서양 수학의 연구 성과를 정리.
⑶ 의학서적의 편찬과 기술의 개발
① 의학서적의 편찬
㉠ 동의보감(허준): 광해군 때. 조선 최대 의서(25권). 중국․일본에까지 영향.
㉡ 침구경험방(허임): 인조 때. 침술 집대성.
㉢ 마과회통(정약용): 정조 때. 종두법을 소개하고 천연두 연구 진전.
㉣ 제중신편(강명길): 정조 때. 의학 처방서.
㉤ 동의수세보원(이제마): 고종 때. 사상의설.
㉥ 방약합편(황필수): 고종 때. 한의학 대중화.
② 기술의 개발
㉠ 정약용은 「기예론」에서 북학파의 주장인 이용후생을 강조. 거중기 제작 화성 축조, 정조 수원 행차 시 주교(배다리) 설계.
⑷ 농서의 간행과 농업기술의 발전
① 농서의 간행
㉠ 농가집성(신속): 인조~효종 때. 「농사직설」+「금양잡록」+「사시찬요」
㉡ 색경(박세당): 숙종 때. 「농가집성」 비판 과수․축산․원예․수리․기후 등에 중점.
㉢ 산림경제(홍만선): 숙종 때. 농림축산․양잠 농서.
㉣ 증보산림경제(유중림): 영조 때. 「산림경제」를 증보하여 간행한 박물지 성격의 농사요약서. 「임원경 제지」에 영향.
㉤ 과농소초(박지원): 정조 때. 농업기술과 농업정책을 논하고 개혁책으로 한전법 제시. 「농사직설」, 「 금양잡록」, 「산림경제」 등과 중국의 「제민요술」을 당시의 입장에서 종합 비판.
㉥ 해동농서(서호수): 정조 때 저술.
㉦ 임원경제지(서유구): 순조 때. 농업기술과 산업전반에 관한 백과사전.
② 농업기술의 발전
㉠ 논농사에서는 이앙법 확대, 수리 관개시설 발달(당진 합덕지, 연안 남대지와 작은 저수지들)
㉡ 밭농사에서는 견종법 등장, 시비법이 발달하여 연작상경지 증가. 18세기 이후에는 밭을 논으로 많 이 바꾸여 정조 때에는 논이 더 많았다.
㉢ 쟁기 사용과 가을갈이가 보편화. 황무지 개간과 간척사업 발달.
③ 어업의 발달
㉠ 어법과 김 양식: 어업에서는 어살을 설치하는 방법이 실시되고, 어망의 재료도 면사로 바뀌었다. 17세기에는 전라도 지방에서 김 양식 기술 개발, 18세기 후반에는 냉장선 등장.
㉡ 자산어보: 정약전이 흑산도 유배 중, 흑산도 근해의 해산물 등을 직접 채집․조사하여 155종의 해 물에 대한 명칭, 분포, 습성 등을 기록. 어류학의 신기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