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 조선 후기의 문학작품과 예술


서민문화의 대두

판소리와가면극의 발달

한글소설과 사설시조의 발달


기타

풍자 시인: 김삿갓, 정수동 등은 민중과 어우러져 활동.

시사(시인 동우회): 중인과 상민이 각 신분끼리 조직. 천수경 옥계 시사’, 최경흠 직하 시사가 대표적. 동인지를 발행하기도 하였다.



진경산수화와 풍속화의 발달


미술의 유행: 조선 후기에는 진경산수화, 풍속화, 민화가 유행.

17세기

18세기 초

자연 산천을 그대로 묘사하는 진경산수화 발달

김명국: 관폭도, 달마도, 설중귀려도

윤두서: 노승도, 백마도

정선(18C 초 진경산수화): 인왕제색도, 금강산도, 금강전도, 여산초당도, 임압도

변상벽(변고양이): 추자도, 묘작도

최북: 하경산수도」 ․심사정: 강상야박도, 하경산수도

18세기

후반

실학적 화풍서양화법 영향풍속화민화발달

김홍도(풍속화) 김득신이 계승하여 파적도, 야공도

신윤복(풍속화): 주유도, 주막도, 선유도, 여인도, 단오풍정, 풍속화첩(배경 있음)

김수철: 산사 만종도(서양화 기법), 계산적적도, 송계한담도

강세황: 영통골 입구도(서양화 기법) 화의 삼절로 불렸으며 예원의 총수로 한국적인 남종문인화풍 정착에 공헌

19세기

실학적 화풍이 쇠퇴하고 복고적 화풍이 유행

장승업: 군마도: 관인화가로 안견, 김홍도와 더불어 조선시대 3대 화가.

김정희(문인화): 세한도, 묵죽도, 금석과 안록(금석문 관련 저서)

이하응(대원군): 묵란도

신위: 대나무 그림, 경수당전고() 당대 시서화의 삼절.


서예: 단아한 동국진체(이광사), 굳세고 다양한 조형성의 추사체(김정희)


 

건축


17세기: 사원건축 중심

금산사 미륵전, 화엄사 각황전, 법주사 팔상전 등이 불교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양반 지주층의 경 제적 성장을 반영.


18세기

수원 화성, 평양 대동문, 불국사 대웅전, 논산 쌍계사, 부안 개암사, 안성 석남사

부농과 상인의 지원을 받아 그들의 근거지에 사원 건축.


19세기: 흥선대원군이 국왕 권위 신장을 목적으로 경복궁(근정전경회루광화문) 복원


20세기: 덕수궁 석조전


 

공예와 음악


공예

백자가 민간에까지 보급, 청화백자 유행 형태 다양화. 청화, 철화, 진사 등 안료도 다양화.

제기, 문방구 다수. 목공예, 화각공예 발달.


음악

양반 계층: 종래의 가곡, 시조 애창

서민 사회: 민요 유행. 상업의 성황으로 직업 광대나 기생들의 판소리, 산조, 잡가 창작.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