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성리학의 경직성
⑴ 조선후기 성리학의 경향
① 조선후기 성리학의 경향: 비판적 견해나 주장을 사문난적으로 배척하는 교조화 경향.
② 성리학의 흐름
㉠ 16세기 중엽부터의 논쟁에서 형성된 영남학파와 기호학파의 분열.
㉡ 17세기 이후의 남인학풍: 서경덕․조식 문인의 북인이 인조반정으로 몰락하면서 이황의 남인에 합 류. 이에 남인학풍이 지역에 따라 다양히 전개.
㉢ 서인 학풍: 인조반정 이후 의리 명분론을 강화. 17세기 말에 노론․소론으로 분열. 송시열의 저술 은 서인의 주장을 뒷받침.
㉣ 18세기 노론 내 송시열 제자들의 호락논쟁: 호론(충청도)는 인물성이론, 낙론(서울․경기)은 인물성동론.
호론은 위정척사 사상에 영향, 낙론은 북학사상에 영향.
㉤ 영남 남인과 노론 사이에 이기론 논쟁이 치열하게 전개.
③ 성리학에 대한 비판
㉠ 경향: 17세기 후반부터 주자 성리학을 상대화하고 6경과 제자백가 등에서 사상적 기반을 찾으려 하였다.
㉡ 윤휴(남인): 서경덕의 영향을 받았으며, 유교 경전에 주자와 다른 독자적인 해석을 하다 서인에 의 해 사문난적으로 몰림.
㉢ 박세당(소론): 양명학과 노장사상 영향을 받아 「사변록」을 통해 주자의 학설을 비판하다 서인에 의 해 사문난적으로 몰림.
④ 기타: 정약용은 주자의 해석에 구애되지 않고, 고주(古註)를 참작하여 공자․맹자의 본뜻을 찾으려고 노력.
⑵ 양명학의 전래
① 전래: 중종 때 전래
② 특징: 치양지설과 지행합일설을 근간으로 한, 교조화된 성리학을 비판.
③ 연구: 경기지방 중심의 재야 소론계열 학자와 불우 종친 출신 학자들이 연구. 18세기 초 정제두에 의해 체계화.
㉠ 강화학파 형성: 정제두가 형성. 국어학, 역사학, 서화 등에서 새로 운 경지 개척. 실학자들과도 서로 영향.
㉡ 정제두의 활동: 「존언」, 「만물일체설」 저술. 그는 일반민을 도덕 실천의 주체로 상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양반 신분제의 폐지 를 주장.
④ 영향: 박은식(유교구신론)․정인보(양명학연론) 등의 국학자가 양명학 을 계승하여 민족운동 전개.
∙「불씨잡변」(정도전) - 불교 ∙「사변록」(박세당) - 성리학 ∙「천학고」(안정복) - 천주교 | ∙「전습록변」(이황) - 양명학 ∙「서학변」(신후담) - 천주교
|